•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6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청소년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

자기불일치와 연령의 조절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상 담 심 리 학 과

박 민 우

2 0 16 년 2 월

석사학위 논문

(3)

청소년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

자기불일치와 연령의 조절효과

TheRel at i onshi pbet ween Per f ect i oni sm andSchool adj ust mentofadol escent :

TheModer at i ng ef f ectofSel f -Di scr epancy andAge

2 0 1 6년 2 월 2 5 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상 담 심 리 학 과

박 민 우

(4)

청소년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

자기불일치와 연령의 조절효과

지도교수 정 승 아

이 논문을 상담심 리 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 0 1 5 년 1 0 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상 담 심 리 학 과

박 민 우

(5)

박민우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 수 권 해 수 (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오 지 현 (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정 승 아 ( 인)

2 0 1 5 년 1 1 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ABSTRACT

Ⅰ.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B.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 .학교적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 .완벽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3 .자기불일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4 .변인 간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 · · · · · · · · · · · · · · · · · · · · · 12

C.연구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Ⅱ.연구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A.연구대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B.측정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1 .완벽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2 .자기불일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3 .학교적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C.연구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D.자료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7)

Ⅲ.연구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A.연구 대상자들의 인구 통계학적 특징 · · · · · · · · · · · · · 23

B.주요 변인들의 분포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C.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25

D.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1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2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E.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1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2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Ⅳ.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8)

표 목 차

<표 1 > 청소년 완벽주의 척도의 문항구성 및 내적합치 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8

<표 2 > 학교적응 척도의 문항구성 및 내적합치도 · · · · · · · 2 2

<표 3 > 연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 · · · · · · · · · · · · · 2 3

<표 4 > 주요 변인들의 분포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4

<표 5 >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2 6

<표 6 >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 불일치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8

<표 7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 불일치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9

<표 8 >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연령 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표 9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연령

의 조절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3

(9)

그 림 목 차

<그림 1 > 연구모형 1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5

<그림 2 > 연구모형 2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6

<그림 3 >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상호작용· · · · 2 8

<그림 4 >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연령의 상호작용· · · · · · · · · 3 1

<그림 6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연령의 상호작용· · · · · · · · · 3 3

(10)

ABSTRACT

TheRel at i onshi pbet ween Per f ect i oni sm andSchool adj ust mentofadol escent :

TheModer at i ng ef f ectofSel f -Di scr epancy andAge

ParkMinWoo

Advisor:JungSeungAh,

DepartmentofCounsellingPsychology GraduateSchoolofChosunUniversity

The research was regarding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and this study examined moderating effects of self-discrepancy and age on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school adjustment.Through this,itintended to help the counseland the program foradolescentswhohaveperfectionism inclination.

In this study,302 adolescents from elementary(4th-6th grade),middle,and high schoolofSeoul,Gyungi,Choungbuk,Chonnam,Gwangju weresurveyed.

Thescalesused in thissurvey wasCAPS(child andadolescentperfectionism scale),theself-questionnaireandschooladjustmentscale.

The results ofthis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perfectionism(‘self-oriented’and ‘socially prescribed’)Second,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discrepancy was foun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perfectionism andschooladjustment.Third,themoderatingeffect of age was found between both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11)

perfectionism andschooladjustment.

These results mean that self-discrepancy and age changes the levelof schooladjustment causedbyperfectionism.

The implications ofthese results for subclinicalperfectionism treatment program,limitationsofthisstudy,and therecommendationsforfuturestudy werediscussed.

(12)

I .서론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14년 발표된 통계청의 보고에 따르면,우리나라 청소년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 는 학업(32.9%)으로 나타났으며 자살 충동을 느끼는 원인에서 성적 및 진학문제가 39.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2012년 기준).학교생활에 만족하는 청 소년은 절반 미만(46.1%)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여자 청소년 10명 중 7명 (69.6)%이 학교생활 가운데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교육부의 2014년 통계에 따르면,2013년 3월부터 2014년 2월까지 학교 중도 탈락 청소년은 60,568명(0.9%)이나 된다.이 중에서 초등학생은 15,908명(0.6%),중학생은 14,278명 (0.8%)그리고 고등학생은 30,382명(1.6%)이었다.이러한 수치는 전년의 통계보다는 감소한 수치이지만,이탈 비율로는 크게 감소되지 않았다.교원 1인당 학생 수나 학급당 학생 수 등 과거에 비해 교육환경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제 로 학교현장에서 이러한 문제에 적절한 대응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가능하다.이로 인해 학교 부적응을 이유로 학업중단 위기에 놓인 청소년들에게 체계적인 관리와 폭넓은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증대되고 있다(국민일보,2014).

수면 시간을 제외한 청소년의 일상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은 학교이기 때문에 이 시기의 학교적응은 졸업 이후의 사회적 적응을 위한 준비기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이를 볼 때 학교적응은 청소년의 현재 삶과 미래에 큰 영향을 미 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학교적응은 학교생활,학교환경,학교친구,학교교 사,학교수업 적응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학교적응이 어려울 때 청소년의 문제행동이 심화되고 중도 탈락할 가능성 또한 높아진다(김광수,장승현,조병만, 임을미,2001).또한 청소년기에 대인관계로 인해 받는 스트레스는 학업성취도를 감 소시키고 행동 문제 및 심리적인 손상에까지 이어질 수 있다(허재홍 & 조용래, 2005),

그동안 청소년의 학교적응 및 부적응에 대한 예측변인을 찾아내기 위한 많은 선 행연구들이 진행되었다.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예측변인으로 개인적.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변인들이 중요하게 인식되었고,개인의 심리 사회적 요인들과 학교 부적응과의 관계에 많은 관심이 있어왔다.세부적인 내용으로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13)

행동,부모와 자녀 간의 의사소통,학습에 대한 부모의 지원,원만한 교우관계,교 사의 지원,학업스트레스 등과 학교 부적응과의 관계를 다루는 많은 연구들이 발표 되었다(김춘희,2000;이옥주,2003;Connell,Spencer,& Arber,1995:Grolnick, Kurowski,& Gurland,1999).

한편,최근 임상 및 상담분야에서는 완벽주의가 개인의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 치는 특성으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Flett과 Hewitt에 따르면 완벽주의란 무결점의 상태를 지향하여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자신에게 매우 비판적인 성격 특 성을 말한다(Flett& Hewitt,2002).Hewitt와 Flett(1991a)는 완벽주의를 ‘자기 지 향적 완벽주의’,‘타인 지향적 완벽주의’그리고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의 세 가지 하위 차원으로 구성된다고 하였다.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스스로에게 엄격한 기준을 세우고 자신의 행동을 평가,비판하는 성향을 말한다.이러한 성향의 경우 모든 과제 혹은 목표를 완벽하게 해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타인지향 완벽주의는 자신에게 의미 있는 타인에게 비현실적인 기준을 부과하여 이를 완벽 하게 해내도록 기대하는 것이다.이러한 유형의 경우 만약 자신이 타인에게 어떤 것을 요청하면,그 사람이 자신이 요청한 것을 하나의 결점도 없이 행해주기를 기 대하는 경향이 있다.마지막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타인이 부과한 과도한 기준 과 기대를 충족시켜야만 인정을 받을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진 것을 말한다.

이처럼 완벽주의의 다차원적 특성이 밝혀지면서 완벽주의의 순기능과 역기능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이미화 & 류진혜,2002,하정희,2006,안도희,김옥분, 2006;Hewitt& Flett,1991).

완벽주의의 하위요인에 따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 는지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은 각각 상이한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자기지향 완벽 주의는 개인의 삶의 만족도와 정적인 상관(김혜진,2010)을 보이고 어려움을 인내 하고 성취를 추구하는 태도를 보인다고 하였다(박진희,1997;한기연,1993).또한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다양한 긍정적 정서와 관련된다는 연구결과(이미화 & 류진 혜,2002;김현지,2005;하정희,2006)도 있다.이와 반대로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우울이나 불안과 정적상관(Hewitt& Flett,1993;한기연,1993)이 있으며 과도한 자기애,자기 비난,등의 부적응적 특성과 정적 상관이 있고,긍정적인 정서와 부적 상관을 보인다는 결과(Saboonchi& Lundh,2003)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기대성적과 실제성적의 격차에 따라 완벽주의 성향이 학생들의 성적에 대 한 만족,학교적응,스트레스,우울감,등과 다른 상관을 나타내는지를 밝힌 하정희

(14)

(2006)의 연구에서는 Frost등(1990)이 구분한 6개의 완벽주의 하위차원 중 ‘실수에 대한 염려’와 ‘개인적 기준’차원의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실수에 대 한 염려(concern overmistakes)’는 실수에 대한 부정적 반응으로서 실수를 실패와 동등하게 해석하며 실수를 하면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존중하지 않으리라고 믿는 경향을 나타내고,‘개인적 기준(personalstandards)’으로,자신에게 매우 높은 기준 을 세우는 경향과 긍정적 자기개념을 포함한다.연구 결과에서 실수에 대한 염려 완벽주의가 높은 학생들은 기대성적과 실제성적의 차이에 따라서 우울감 및 스트 레스의 수준이 달라지지 않았다.이에 비해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높은 학생들의 경 우에는 기대성적과 실제성적의 차이가 클수록 우울감 및 스트레스의 수준이 큰 것 으로 나타났다.기대성적과 실제성적의 차이가 큰 학생들에게서는 개인적 기준 완 벽주의 성향이 우울감 및 스트레스와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나,기대성적과 실제성 적의 격차가 적은 집단에서는 개인적 기준 완벽주의 성향이 우울감과 스트레스와 의 상관이 없었고,학교적응과는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기대성적과 실제성적의 격차가 적은 경우에 비해 격차가 큰 경우에,개인적 기준 완벽주의는 우울,스트레스와 같은 부적응적 변인과 관련성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다.완벽주의 차원의 정의를 볼 때,‘실수에 대한 염려’차원은 본 연구에서의 자기 지향 완벽주의와,‘개인적 기준’차원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 할 수 있다.즉,개인적 기준 완벽주의는 실수에 대한 염려 완벽주의와는 달리 기대성적과 실제성적의 격차 정도에 따라 적응적 특성과 부적응적 특성과의 관계 가 명확하게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자기지향 완벽주의 청소년들의 학교 적응이 자기불일치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완벽주의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다.대학생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를 연구한 송창호(2010)의 연구 에서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대학 생활 적응과 정적상관을 보였고,사회부과 완벽주 의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김성 희(2008)의 연구에서,초등학생의 자기지향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교생활 적응 이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즉,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학교적응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완벽주의 성향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학교수업,학교규칙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사회부과 완벽주의는 교사와의관계에서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 다.학교생활 적응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교사관계,교우관계,학교규칙 하위

(15)

요인들은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 모두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 였다.

또한 강헌영(2010)은 완벽주의를 발달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연령이 낮을수 록 완벽주의가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연령이 높아지면서 외적기준의 부재와 지나치게 높은 내적 기준이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자기효능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이를 통해 아동의 연령이 낮을 때,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완벽주의와 학교적응간의 관계에서 불일치하는 결과 들이 나왔던 것은,이 두 변인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다른 핵심변인들을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완벽주의 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해 도,그 완벽주의를 유발하는 자기기준들 사이의 불일치의 정도에 따라,그리고 연 령 수준에 따라서 학교 적응 양상이 달리 나타날 수 있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적응과 부적응에 대한 상담 및 임상적 개입의 초점을 어디에 맞추어야 하는지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B.이론적 배경 1.학교 적응

적응(adjustments)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일정한 조건이나 환경 따위에 맞 추어 응하거나 알맞게 되는 것’을 말한다.생물학적 관점으로는 생물이 주위환경에 적합하도록 형태적·생리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지칭하고,사회학적으로는 ‘개체가 환경에 적합한 행동이나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정의를 내리고 있다.반면에 부적 응(maladjustment)이란 개체가 환경과의 관계에서 균형과 조화를 잃어 불안,긴장, 좌절,갈등,불만족 등의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강만식, 2012).

Schaffer(1956)는 적응이란 개체의 욕구와 사회 환경 상황과의 조화로서 개체와 환경의 만족한 상태이며,개인이 변화하는 환경에 잘 맞추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16)

고 했으며,Lazarus(1976)은 적응을 ‘개체와 환경 간 균형 있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 지하는 행동과정’이라고 정의했다.또한 Arkoff(1968)는 한 개인이 주변 환경과 능 동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적응이라고 하는데,경우에 따라 개인을 변화시키거 나 또는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라고 하였다.그리고 Gates(1950)는 적응을 개체가 환경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 지 속적으로 행동을 변화시켜가는 과정으로서,개인과 환경의 관계가 조화를 이룰 때 달성된다고 하였다(이예승,2004,재인용).

이처럼 적응을 정의하는 것은 시대적 배경과 정의한 학자에 따라 크고 작은 차 이가 있지만 공통적 요인을 찾는다면,개체와 환경이라는 두 개념과 개체의 적극적 인 조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박영신,김의철,정갑순,2004).적응은 환경의 조건 과 개체의 조건을 서로 맞추어 조정하는 과정이며(홍계옥,강혜원,2010),이때의 환경은 자아와 상호관련이 있는 행동적 심리적 환경이라 할 수 있다.개인의 적응 은 모든 인간과 사회 환경 가운데 조화로운 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한다(이춘희, 2007).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학교적응은 상기한 적응에서 이야기하는 환경이 학교라는 공간이 제시된 것으로 고쳐 말할 수 있고,청소년들이 학교 환경 안에서 조화를 이 루며 생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많은 선행연구자들 역시 학교적응을 설명하 는 데 있어 학교에서의 조화롭고 균형 잡힌 생활과,환경에 대한 개인의 변화 과정 을 강조하였다.즉 학교적응이란 청소년들이 학생으로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환경 을 자신의 요구에 맞도록 변화시키거나 모든 생활 및 환경을 바르게 수용하고 교 사,친구를 비롯한 대인 관계 안에서 만족감을 느끼며,교과활동 및 모든 교내활동 에서 자신의 욕구를 합리적으로 해결하여 만족감을 얻고 조화로운 관계로 적응하 는 것을 의미한다(윤은종,김희수,2005).

한편 청소년기는 아동기와 성인기 사이의 전환적 시기로서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때문에 청소년 시기는 전반적인 삶의 영역 에 걸쳐 적응이 필요한 시기이며,이 때의 적응은 현재의 청소년시기 뿐만 아니라 성인기를 비롯하여 전 생애 발달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또한 이후 성인기 적응을 예측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특히,청소년들이 많은 시 간을 보내는 학교는 학습과 확장된 대인 관계를 경험하게 되는 곳이기 때문에 학 교에서의 적응 문제는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강만식,2012).또한 학교에서의 적 응은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매우 큰 영향력이 있으며(김세영,2014),학교적응과 부

(17)

모의 양육행동을 통해 청소년 삶의 만족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김신경,박민경,안 지선,2014).이와 같이 학교적응은 학교에서의 적응 뿐 아니라 청소년의 생활 전반 의 적응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극적인 관심과 구체적,실제적인 개입이 필요하 다.

이를 위해 그동안 청소년의 학교적응 및 부적응에 대한 예측변인을 찾아내기 위 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진행되었다.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동,부모와 자녀 간의 의 사소통,학습에 대한 부모의 지원,원만한 교우관계,교사의 지원,학업스트레스 등 을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예측변인으로 제시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었다(김춘 희,2000;이옥주,2003;Connell,Spencer,& Arber,1995:Grolnick,Kurowski,&

Gurland,1999).

선행연구들을 검토해 본 결과,‘학교적응’의 예측변인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주 로 부모-자녀,교사-학생 관계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본 연구에서는 개인내적 변인인 완벽주의를 학교적응의 예측변인으로 보고,완벽주의 척도와 학교적응 척도 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완벽주의가 학교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2.완벽주의

a.완벽주의의 개념

완벽주의란 무결점의 상태를 지향하여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자신에게 매우 비 판적인 성격 특성을 말한다(Flett& Hewitt,2002).

Hewitt와 Flett(1989)는 기존에 사용되는 완벽주의 측정도구가 개인의 인지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지적하고 타인과의 관계적 측면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 하면서 Hewitt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Hewitt MultidimensionalPerfectionism Scale:이하 HMPS)를 개발 하였는데,완벽주의 행동의 대상이 누구이며 어디에서 귀인 되었는가에 따라 자기지향 완벽주의(self-orientedperfectionism),사회부과 완 벽주의(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타인지향 완벽주의(other-oriented perfectionism)의 3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였다.여기서 하위차원들은 완벽 행동 유형

(18)

이 아닌 행동의 방향에 차이가 있다.3가지 차원에 대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지향 완벽주의(self-oriented perfectionism)는 개인내적 측면을 나타내 는 것으로,비현실적인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추구하고,이러한 엄격한 기준에 따 라 비판적으로 자신을 평가하며,자신의 결점이나 실패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집착 하는 특성을 지닌다(Hewitt& Flett,1991a).즉,자기지향 완벽주의는 단순히 비현 실적인 기준을 설정하는 부정적인 것만이 아닌 완벽을 추구하는 자기향상에 대한 내적 욕구이며,실패를 피하고자 하는 성취 지향적 노력에 의해 완벽하기를 원하는 특성이 반영된 것이다(Hewitt& Flett,1991b).이것은 열망,성취,등과 같은 적응 적 행동(Flett,Hewitt,Blankstein,& Mosher1991;Hewitt& Flett,1991b)과 관련 되기도 하지만 실패경험으로 인해 우울,불안,섭식장애 등의 많은 부적응을 유발 하기도 한다(Hewitt& Flett,1993).

사회부과 완벽주의(sociallyprescribedperfectionism)는 자신에게 의미 있는 타인 이 부가한 비현실적인 기준과 그의 기대를 완벽하게 달성하지 못하면 인정받을 수 없다고 여기는 신념 혹은 지각이다(Hewitt& Flett,1991a).과도하게 높은 기준이 자신이 아닌 타인으로부터 부과된 것이기 때문에 스스로 통제를 할 수 없다고 생 각한다.또한 완벽하지 않으면 의미 있는 타인을 기쁘게 할 수 없다고 지각하기 때 문에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다른 완벽주의 성향에 비해 심리적 부적응과 높은 상관 이 있다는 연구들이 비교적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다(Hewitt& Flett,1991b).사회부 과 완벽주의는 수줍음,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고독감,낮은 사회적 자존감, 열등감,우울감,등과 관련이 있다(안신혜,2010;Flett,Hewitt& DeRosa,1996).

타인지향 완벽주의(other-oriented perfectionism)는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 비현실적인 기대를 하고 높은 기준을 내세워 타인의 수행에 대해 엄격한 잣대로 평가하는 완벽주의이다(Hewitt& Flett,1991a).타인에 대한 비난과 적대감,불신, 냉소적 태도 및 고독과 같은 대인 관계적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이러한 성향은 주 로 가족 및 부부문제와 관련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Brown,1993;Burns,1980). 이에 반해 타인에 대한 동기부여와 격려,리더십,관심,등의 긍정적인 측면과 관련 이 있다는 연구도 있다(박선희,2010).타인지향 완벽주의는 완벽을 추구하는 대상 이 자기 자신이 아닌 타인이라는 점에서 다른 두 차원과 구별된다.본 연구에서 보 고자 하는 조절변인인 ‘자기불일치’와 ‘연령’은,타인에 대한 기대가 아닌 자기 내부 의 요인들과 관련된 것이므로,본 연구에서는 타인지향 완벽주의를 제외한 자기지 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만을 연구하고자 한다.

(19)

b.완벽주의와 학교적응

완벽주의 성향을 연구한 초기 논문에서는 주로 완벽주의의 역기능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었고 부적응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그러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가 개발된 이후 완벽주의 성향이 부적응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적응적인 측면도 가지 고 있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Flett(1996)의 연구에서 다차원적 완벽주의 요소 중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심리 사회적 부적응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특히 외로움,수줍음,부정적 평 가에 대한 두려움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완벽주의자들이 비현 실적 기준을 부과한다고 생각하는 타인의 비난을 예상하여 스스로 고립되거나 철 수하는 회피적 반응을 보이는 성향이라는 것을 나타냈다.

Slaney(2006)는 완벽주의와 대인문제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대인관 계 문제와 높은 상관을 나타내며 높은 수준의 대인고통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고 주장했다.부적응적 완벽주의자들은 자신의 능력에 만족하지 못하며 나아가 자신의 동료나 친구들 역시 자신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지각하였다(서영숙, 2009,재인용).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청소년은 자신에게 과도하게 높은 기준을 부여하거나 매 사에 실수를 용납하지 못하는 강한 신념을 가진다.그렇기 때문에 학업에 대한 완 벽성향이 강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반면 적응적 완벽주의의 경우에는 성취 와 관련된 중요한 상황에서 끊임없이 높은 기준을 적용하고 이에 맞추어 학습에 대한 계획,실행,평가를 조직적으로 수행하게 된다.이러한 측면은 완벽주의가 학 교적응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장한소리,2011).

여러 선행연구에서,완벽주의는 학교적응에 있어 정적,부적상관을 모두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전미연,2013;박서연,2013).특히,하정희(2006)의 연구에서 완벽 주의와 성적에 대한 만족,학교적응,스트레스,우울감,등의 상관이 청소년들의 기 대성적과 실제성적의 격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또한 김지현 (2001)은,완벽주의가 학교적응과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아 완벽주 의 성향에 따라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완벽주의 성향은 적응 및 부적응적 측면 모두를 포함하는 성격 특성임을 알 수 있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와 학교적응 관계의 비일관적인 결과의 이유를 자

(20)

기 불일치와 연령의 영향으로 보고,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청소년들의 자기 불일치 및 연령의 수준에 따라 학교 적응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3.자기불일치

a.자기불일치의 개념

자기(self)에 대한 정의 및 이해와 관련된 내용은 심리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영역 에서 오랜 시간 논의되고 있는 주제이다.많은 선행 연구에서 자기의 개념을 중요 하게 생각하여 이에 관심을 갖고 있다.Rosenberg(1979)는 자기의 개념을 “한 대상 으로서의 자기 자신에 대한 그 개인의 생각과 느낌의 총체”라고 정의 하였다.

Shavelson,Hunber및 Stanton(1976)은 자기의 개념을 “자신에 대한 개인의 지각 과 평가”라고 정의하면서,지각은 환경 안에서의 경험 특히 의미 있는 타인과의 상 호작용을 통해 형성되고,자신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 절대적 기준이나 타인과 비교 를 통한 상대적 기준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이 밖에도 자기를 보는 관점에 따 라 서로 다른 해석이나 연구가 가능하다.김용래(1987)는 다른 학자들의 개념을 종 합하여,자기 개념의 정의를 “한 개인이 자기 자신을 어떻게 보며 어떻게 지각하느 냐 하는 자기에 대한 지각현상”이라고 정리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구자들은 자기 개념들의 다양한 면을 제시하는데,자기 개념 들 간의 불일치가 부정적 정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많다.오래전부터 사람들은 현재 자기의 모습과 이상적인 자기가 일치하지 않을 때 수치심을 경험한다고 하였으며,Rogers(1954)는 자기개념을 스스로가 자신을 보는 관점인 주관적 가치와 타인이 시선에 대한 평가인 주관적 평가의 두 가지로 보면 서,실제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차이를 정신건강의 지표로 보았다(김승희,2015,재 인용).실제 자기와 이상적 자기 간의 차이 증가는 정서적 어려움 증가로 이어져 부적응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또한 일상생활에서 심리적 적응 정도가 낮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이상적 자기와 실제적 자기 간의 불일치를 더 자주 경험한다는 연구들이 있다(조용래,김선태,표경식,1996).개념화와 측정에 대한 어려움 때문에 초기에는 자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21)

1970년대 후반 이후 척도의 개발과 함께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Higgins,1987). 이렇듯 자기 개념의 구분과 불일치에 대한 이론은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왔고,이 가운데 자기개념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정서와 관련지은 대표적인 이론이 Higgins(1987)의 자기불일치 이론이다.자기불일치 이론이란 자기불일치가 부정적 정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넘어 특정유형의 자기불일치가 특정한 정서를 유발 할 것에 대해 설명하는 이론이다.자기불일치 이론에서는 자기에 대한 개념을 세 가지 영역과 두 가지 관점으로 분류하고 있다.세 가지 영역은 실제적 자기(actual self),이상적 자기(idealself),의무적 자기(oughtself)로 나눠진다.실제적 자기 (actualself)는 개인이 실제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속성의 표상이고,이상적 자기 (idealself)는 개인이 이상적으로 소유하기 바라는 영역이며,의무적 자기(ought self)는 개인이 마땅히 가지고 있거나 유지해야 한다고 믿고 있는 특성의 가지 영 역이다.두 가지 관점은 자기에 대한 관점과 자신의 개인적 관점과 부모나 형제, 친한 친구와 같은 중요한 타인이 보는 관점이다.자기불일치 이론에서는 자기를 상 기한 세 가지의 자기 영역과 두 가지의 관점을 조합하여,총 여섯 가지 상태의 표 상으로 분류한다.

실제적 자기는 자기에 대한 개념을 구성하며 이상적 자기나 의무적 자기는 자신 이 지향하는 기준이나 목표가 되기도 하고,자신을 끌어가는 지침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이것을 자기 지향적 기준(self-standards)또는 자기 지침(self-guides)이라고 도 한다(Higgins,1987).이러한 실제적 자기와 자기 지향적 기준 사이에 불일치가 발생하면 개인은 심리적 불편감을 경험하게 된다.특히 이상적 자기와 실제적 자기 간 차이가 증가하면 좌절과 관련된 정서를 경험하게 된다.자신의 목표를 이루지 못하고 자신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경험할 때 우울,낙심 등과 같은 정서 에 취약해지는 것이다(Higgins,1987).의무적 자기와 실제적 자기 사이의 차이가 커지게 되면 불안 및 초조와 관련된 정서를 경험할 수 있다(Scott & O'Hara, 1993).실패한 결과에 따를 처벌이나 위협을 예상하여 불안,초조와 관련된 정서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b.자기불일치와 학교적응

Rogers(1961)는 ‘자기(self)’를 실제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두 가지 측면으로 구

(22)

분하였다.그는 사람들이 실제 자기의 모습과 이상적 자기의 모습에서 불일치를 느 끼는 것이 실망과 부적응을 초래한다고 하였다(Rogers,1961).또한 많은 연구자들 은 자기 개념 간의 불일치가 정서적 불편감을 야기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었고, 여러 고전적 이론에서 자신이 원하는 자기 모습과 실제 자기의 모습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될 때 심리적으로 불편한 상태가 되고,이러한 부조화가 적응적인 문 제를 일으킨다고 보았다(신민희,2005;임진,2008;Rogers,1961).

이와 관련하여 자기불일치와 우울 간의 관련성을 일반 청소년과 비행 청소년들 을 대상으로 연구한 신민희(2005)의 연구에서 비행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모두 자 기불일치가 클수록 우울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청소년들은 실제 자기 모습과 자신 혹은 타인이 기대하는 이상적인 자기 간에 불일치가 일어날 때 직접 우울을 경험할 수 있고(임진,2008),자기불일치로 인해 생겨난 수치심 및 그 상황 에 대한 지속적인 반추가 우울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심승희,2010).

또한,조용래와 표경식(1996)은 시험불안과 관련된 연구에서 성취관련 자기불일 치가 높은 집단이 자기불일치가 낮은 집단에 비해 상태불안이 높고,시험 시에 인 지적 방해를 더 받았으며,더 낮은 수행을 보인다는 것을 밝혔고 이는 성취와 관련 된 자기불일치가 시험불안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박현희(2006)의 연구 에서도 자기불일치의 수준에 따라 시험불안의 수준이 달라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Hewitt와 Dyck(1986)는 높은 수행 기준과 자존감은 부적 상관이 있으며,의심, 무력감,불만족,등의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한다고 주장하였다(이수란,2008;박 정선,2009).

또한 Higgins(1987)는 완벽주의 특성이 이상적 자기와 실제 자기 사이에서 불일치 를 많이 경험하고 이러한 불일치로 인해 부정적인 정서를 많이 경험할 수 있다고 하였고,최대성(2013)에 따르면,자기지향 완벽주의 특성이 자신이 가치를 두게 되 는 영역에서의 불일치,즉 불만족을 통해 우울 등 부정적인 정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청소년의 자기불일치는 학교적응에 영향을 줄 것임을 알 수 있다.

(23)

4.변인 간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a.자기지향 완벽주의,자기불일치와 학교적응의 관계

하정희(2006)는 Frost등(1990)이 구분한 6개의 완벽주의 하위차원 중 ‘실수에 대 한 염려’와 ‘개인적 기준’차원의 척도를 사용하여 기대성적과 실제성적의 격차에 따라 완벽주의 성향이 학생들의 성적에 대한 만족,학교적응,스트레스,우울감,등 과 다른 상관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수에 대한 염려(concern overmistakes)’는 실수에 대한 부정적 반응으로서 실수를 실패와 동등하게 해석하 며 실수를 하면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존중하지 않으리라고 믿는 경향을 나타내고,

‘개인적 기준(personalstandards)’으로,자신에게 매우 높은 기준을 세우는 경향과 긍정적 자기개념을 포함한다.연구 결과에서 실수에 대한 염려 완벽주의가 높은 학 생들은 기대성적과 실제성적의 차이에 따라서 우울감 및 스트레스의 수준이 달라 지지 않았다.이에 비해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높은 학생들의 경우에는 기대성적과 실제성적의 차이가 클수록 우울감 및 스트레스의 수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기대 성적과 실제성적의 차이가 큰 학생들에게서는 개인적 기준 완벽주의 성향이 우울 감 및 스트레스와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나,기대성적과 실제성적의 격차가 적은 집 단에서는 개인적 기준 완벽주의 성향이 우울감과 스트레스와의 상관이 없었고,학 교적응과는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기대성적과 실제성적의 격차가 적은 경우에 비해 격차가 큰 경우에,개인적 기준 완벽주의는 우울,스트레스와 같 은 부적응적 변인과 관련성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완벽주의 차원의 정의를 볼 때,‘실수에 대한 염려’차원은 본 연구에서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와,‘개 인적 기준’차원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즉,개 인적 기준 완벽주의는 실수에 대한 염려 완벽주의와는 달리 기대성적과 실제성적 의 격차 정도에 따라 적응적 특성과 부적응적 특성과의 관계가 명확하게 달라졌음 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자기지향 완벽주의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이 자기불일치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Higgins(1987)는 자기불일치 이론을 통하여 개인이 느끼는 실제자기와 이상적 자 기간의 불일치가 클수록 낙심과 관련된 정서(dejection-relatedemotion;예 :실망, 불만족감,슬픔 등)를 크게 느끼며,실제자기와 의무적자기간의 불일치가 클수록 초

(24)

조와 관련된 정서(agitation-relatedemotion;예 :두려움,안절부절,긴장 등)에 취 약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Higgins, Klein과 Strauman(1985)과 Higgins(1987)는 서로 다른 유형의 자기 불일치가 상이한 종류의 만성적인 부정정 서 및 증상들과 차별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이렇듯 자기 불일치가 실 망,불안 및 부정정서 등의 부정적인 심리적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자신이 바라거 나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는 자신의 모습이 현실 속의 자신의 모습과 격차가 크기 때문인 것이다.따라서 이러한 격차는 현실에서 동떨어진 일종의 비합리적인 기대 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Higgins,Bond,Klein과 Strauman(1986)에 따르면,완벽주의자들은 이상적 자기 와 실제 자기 간의 불일치를 경험하게 된다.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경우, 이상적 자기와 실제 자기간의 불일치를 경험하고 이는 우울감과 관계가 있다고 설 명하였다.또한 많은 연구자들은 선행 연구에서 과도하게 높은 기준의 이상적인 자 기상과 자신이 생각하는 실제 자기상 사이의 불일치가 정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Roger,1961;Schafer,1967).Burns(1980)의 연구에 서 과도하고 비합리적인 높은 기준은 우울 또는 좌절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며,Hewitt과 Dyck는 1986년 연구에서,지나치게 엄격하고 과도하 게 높은 기준을 세우는 것은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이는 곧 우울과 불만족으로 연 결된다고 설명하였다.또한 일상생활에서 심리적 적응 정도가 낮은 사람들이 이상 적 자기와 실제적 자기 간 불일치를 많이 경험한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되고 있다 (조용래,김선태,표경식,1996).즉,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사람이 높은 기준을 세 우는 것만으로도 일상의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높은 기준의 이 상적 자기와 실제 자기 사이의 불일치가 커질수록 그러한 부정적 영향이 더욱 심 각해질 가능성이 있다(최대성,2013).이러한 연구결과들을 근거로 자기지향 완벽주 의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불일치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 다는 가설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완벽을 추구하는 기준자체 를 본인이 아닌 타인이 부과하는 것이므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 을 것이다.

(25)

b.사회부과 완벽주의,연령과 학교적응의 관계

완벽주의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강헌영 (2010)은 완벽주의를 발달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연령이 낮을수록 완벽주의가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연령이 높아지면서 외적기준의 부재와 지나치게 높은 내적 기준이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자기효능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 음을 보여주었다.이를 통해 아동의 연령이 낮을 때,완벽주의가 학교적응에 긍정 적인 영향을 줄 것임을 알 수 있다.또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교를 통해서도 연령의 조절효과를 생각해 볼 수 있다.대학 생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를 연구한 송창호(2010)의 연구에서 자기지향 완 벽주의는 대학 생활 적응과 정적상관을 보였고,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부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김성희(2008)의 연구에 서 초등학생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자기지향 완벽주의 와 사회부과 완벽주의 모두 학교생활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즉,연령이 어 린 초등학생의 경우 하위 영역에 관계없이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학교적응도 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상기한 두 연구의 비교를 통해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성인과 아동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성인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아동에게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는 연령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와 학 교적응의 관계에서 연령이 조절효과가 사회부과 완벽주의에서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이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26)

C.연구문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연령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밝히고자 한다.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 와 연구 모형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청소년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가 조절효과를 갖는가?

가설1.청소년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 는 자기지향완벽주의에서만 나타날 것이다.

청소년의

자기지향 완벽주의 학교적응

자기 불일치

<그림 1> 연구모형1-1

(27)

연구문제 2.청소년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연령이 조절효과를 갖는 가?

가설1.청소년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는 사회 부과 완벽주의에서만 나타날 것이다.

청소년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학교적응

연령

<그림 2> 연구모형2-1

(28)

Ⅱ.연구 방법

A.연구대상

본 연구를 실시하기 위한 연구 질문지의 배포와 회수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연령은 초등 4학년부터 고등 2학년까 지 분포되었으며 회수된 348부의 설문지 가운데 하나 이상의 척도 모두를 응답하 지 않았거나 모두 한 번호로만 응답하는 등 불성실하게 응답한 46부를 제외하고 총 302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B.측정도구

1.청소년 완벽주의 척도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 측정을 위한 도구로는 Flett(2000)등이 개발한 아동.청 소년 완벽주의 척도(Child and AdolescentPerfectionism Scale)를 이재연(2004)이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추어 번안하고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미국에서 10세에서 15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개발되었고,Hewitt와 Flett(1991)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H)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H)에서는 척도의 구성요인이 자기지향 완벽주의(SOP),타인지 향 완벽주의(OOP),사회부과 완벽주의(SPP)의 3가지로 나뉘어져 있으나,CAPS에 서는 12개의 자기지향 완벽주의 문항과 10개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문항을 합한 22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전혀 그렇지 않다’,‘대체로 그렇지 않다’,‘대체로 그렇다’,

‘항상 그렇다’의 4점 리커트 척도이며,각 문항을 합산한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영역 의 완벽주의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이재연의 연구에서는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내 적합치도 계수가 .81,사회부과 완벽주의의 내적합치도 계수가 .80이었으며,본 연 구에서는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 각각 .76으로 나타났고,완벽주 의 전체는 .85였다.

(29)

<표 1> 청소년 완벽주의 척도의 문항구성 및 내적합치도

(n=302) 하위영역

(문항수) 문항번호 내적합치도

자기지향 완벽주의

(12문항) 1,2,4,6,7,9*,11,14,16,18*,20,22 .76 사회부과 완벽주의

(10문항) 3*,5,8,10,12,13,15,17,19,21 .76

*는 역채점 문항임.

2.자기 불일치

자기 질문지(SelfQuestionnaires)는 일반적인 자기 불일치를 평가하는 도구로, Higgins,Bond,Klein 및 Strauman(1986)이 만든 자기 질문지(Self-Questionnaire) 를 보완하여 폐쇄형 질문으로 다시 구성한 서수균(1996)의 척도를 사용하였다.이 질문지는 평가차원(evaluative factor),역능차원(potency factor),활동차원(active factor)으로 이루어진 22문항의 형용사 쌍들로 구성되어 있으며,9점 척도상에서 평 정된다.본래 자기질문지는 세 가지 자기영역(실제,이상,당위)과 두 가지(자기,타 인)을 조합한 여섯 가지 영역을 포함한다.그러나 선행연구에서 내용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자기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자기 모습과 의무적인 자기 모습 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을 제시하였고(이은영 & 한기연,1991),정 승아와 오경자(2005)의 연구에서도 자기불일치의 기본구조가 한 개인의 현실과 욕 구 혹은 기대와의 차이에서 생겨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자기와 의무적 자기의 불 일치가 실제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불일치에 포함될 수 있다고 하였다.청소년의 자기불일치 역시 대학생과 동일할 것으로 간주하고 본 연구에서는 실제자기와 이 상적 자기질문지를 선택하여 사용하였으며,자기의 관점에 관한 질문지만 사용하였 다.

각 유형의 자기 질문지는 측정하고자 하는 자기의 유형에 따라 22개의 형용사 반의어 쌍들로 구성되어 있다.서로 반대의 의미를 가진 형용사들이 9점 척도 상에

(30)

서 양 극단에 제시되었다(예:아름다운-추한,좋은-나쁜,약한-강한).제시된 대부 분의 형용사 쌍들은 내용상 긍정성과 부정성이 분명하였고,역문항은 6개였다.자 기불일치 점수는 실제자기와 이상자기간의 문항별 차이의 절대값을 더해 계산하였 다.서수균(1996)의 연구에서 해당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90이었고,본 연구에서 는 .92로 나타났다.

3.학교적응

학교적응 척도는 조수정(2014)이 개발한 학교적응척도,이규미와 김명식(2008)이 개발한 중학생 학교적응척도,민병수(1991)가 개발한 학교생활적응척도,등의 척도 들이 있지만,측정하고자 하는 하위영역과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의 연령 범위 를 고려하여 실제 초,중,고등학교 실정과 동떨어지지 않으면서,전 연령이 이해할 수 있다고 판단된 김용래(2000)의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김용래(2000)는 학 교 적응의 개념을 “학습자들이 학교의 수업과정과 상황에서 지적‧정의적‧심리/운동 적 발달을 위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학습자들이 학교에서 접하게 되는 여러 가지 교육적 여건을 자신들의 요구에 알맞게 변화시키거나 학습 자들 스스로가 학교에서의 모든 여건을 바르게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았으 며 이를 토대로 학교적응척도를 개발하였다.학교적응의 하위영역은 총 5가지로 구 분되며,학교생활,학교환경,학교친구,학교교사,학교수업 적응의 영역이 그것이 다.학교생활적응은 학교의 규칙과 질서 등 교내생활 전반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바 르게 파악하면서 유발되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정도를,학교환경적응은 학교환경을 바르게 수용하여 자신의 요구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학교환경에서 일어 날 수 있는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정도를,학교친구적응은 학교 친구들과 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요구를 적절하게 조절하며 친구 사이에 유발되는 각종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정도를,학교교사적응은 교사 와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요구와 교사와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정도를,학교수업적응은 수업 상황에서 일 어나는 일들을 잘 이해하고 수업시간에 자신의 요구를 적절하게 조절하며,수업시 간에 유발되는 학습자 개인의 스트레스를 절적하게 대처하는 정도를 측정한다.각

(31)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가끔 그렇다’,‘대체로 그렇다’,‘상당히 그렇다’,‘항상 그렇다’의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학교적응 전체의 문항 내적합치도는 김용래의 연구와 본 연구에서 모두 .95로 나타났다.하위영역의 문항구성과 내적합 치도는 <표 2>와 같다.

<표 2> 학교적응 척도의 문항구성 및 내적합치도

(n=302) 하위영역

(문항수) 문항구성 내적합치도(

전체:) 학교생활적응(7) 1,2,3,4,6,8,36 .84 학교환경적응(9) 7,9,10,11,12,13,14,15,16 .93 학교친구적응(8) 5,17,18,19,20,21,22,23 .85 학교교사적응(9) 24,25,26,27,28,29,30,31,32 .92 학교수업적응(8) 33,34,35,37,38,39,40,41 .87

(32)

C.연구절차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302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그 중 일부 지역 에서는 연구자가 직접 청소년들에게 설명하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실시,수거하였 고,일부 지역에서는 각 학교의 교사에게 설문지에 대해 설명하고,담당 교사가 학 생들에게 설명하고 실시,수거하는 절차를 거쳐 이루어졌다.설문은 무기명으로 실 시되었으며,설문지를 작성하는 시간은 약 15분 정도 소요되었다.

D.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 다.

첫째,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각 척도(완벽주의,학교적응,자기 불일치)의 문항 간 내적 일치도를 알아 보기 위하여 CronbachAlpha신뢰도 계수를 계산하였다.

셋째,변수 간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독립-종속의 관계가 약하게 나타나며,상관관계가 높다면 이 미 치우쳐져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관이 없거나 그 크기가 낮은 객관적인 변인 을 전제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또한 Baron와 Kenny에 따르면,일반적으로 독립 변수와 조절변수의 종속변수와의 상관이 조절효과 검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독립변수와 조절변수가 유의하지 않지만,상호작용항을 통해 조절효과를 주장하는 연구는 조절변수 투입으로 인한 조절효과를 발견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Baron& Kenny,1986,p.1174).

넷째,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 불일치와 연령의 조절효과를 알아보 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regressionanalysis)을 실시하였다.이 때,예 측변인과 조절변인이 연속 변인일 때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예측변 인과 조절변인을 중심화 한 다음 상호작용 변인을 생성하면 이를 줄일 수 있으므 로 West,Alican과 Knull(1996)의 제안에 따라 완벽주의와 자기불일치를 평균중심화

(33)

(Mean-Centering)한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서영석,2010,재인용).독립변인과 조 절변인이 종속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주효과(1단계,2단계)와 상호작용 효 과 검증(3단계)을 통해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1,2,3단계 과정 중 3단계회귀식에서 상호작용항을 추가로 투입하였을 때,설명력(R)이 유의수준 하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송지준,2012).조 절효과가 확인되면 구체적인 상호작용 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서영석(2010)의 제안에 따라 그래프는 조절변인의 평균에서 1표준편차 위,평균에 서 1표준 편차 아래에서 독립변인에 대한 종속변인의 값을 입력하였다(서영석, 2010).

(34)

Ⅲ.연구 결과

A.연구 대상자들의 인구 통계학적 특징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총 302명 중 남학생은 180명(59.6%),여학생은 122명(40.4%)로 나타났 다.연령 구분의 빈도분석 결과로는,초등 4학년 53명(17.5%),초등 5학년 4명 (1.3%),초등 6학년 4명(1.3%),중등 1학년 56명(18.5%),중등 2학년 23명(7.6%),중 등 3학년 70명(23.2),고등 1학년 39명(12.9%),고등 2학년 53명(17.5%)으로 나타났 다.지역 구분의 빈도분석 결과로는 각 도의 광역시를 포함하여 서울,경기 80명(

26.8%),충청도 47명(15.6%)전라도 174명(57.6%)으로 나타났다.

<표 3> 연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n=302)

변인 구분 n(%)

성별 남 180(59.6)

여 122(40.4)

학년

초등 4학년 53(17.5) 초등 5학년 4(1.3) 초등 6학년 4(1.3) 중등 1학년 56(18.5) 중등 2학년 23(7.6) 중등 3학년 70(23.2) 고등 1학년 39(12.9) 고등 2학년 53(17.5)

지역

서울 및 경기지역 80(26.8) 충청도 47(15.6) 전라도 및 광주 174(57.6)

(35)

평균(표준편차)

초등학생(n=61) 중학생(n=149) 고등학생(n=92) 전체(n=302) 완벽주의 전체 44.69(6.66) 47.53(8.06) 46.32(8.55) 49.59(8.006) 자기지향 완벽주의 24.28(4.08) 25.89(4.94) 25.13(4.65) 25.33(4.716) 사회부과 완벽주의 20.41(3.63) 21.64(4.14) 21.18(4.54) 21.25(4.185) 학교적응 전체 136.98(24.98) 128.01(22.61) 118.22(23.25) 126.84(24.153)

학교생활적응 25.61(5.04) 24.71(4.09) 22.72(4.65) 24.28(4.58) 학교환경적응 31.90(7.73) 28.25(6.43) 24.58(7.16) 27.87(7.37) 학교친구적응 27.15(5.61) 27.97(5.15) 27.45(4.75) 27.64(5.12) 학교교사적응 29.30(6.10) 26.74(6.46) 24.65(6.91) 26.62(6.71) 학교수업적응 26.30(5.51) 24.38(5.95) 23.09(5.86) 24.37(5.92) 자기불일치 26.92(17.08) 34.94(22.26) 35.76(24.48) 33.57(22.233)

B.주요 변인들의 분포 특성

연구모형에 포함된 주요 변수에 대한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 석을 하였고,그 결과는 <표 4>에 제시하였다.본 연구에서 사용한 각 척도의 평 균 점수를 연령별로 나누어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자기불일치에서 유의미한 차이 가 있었다(F=3.518,p<.05).고등학생 중학생 초등학생 순으로 자기불일치가 높게 나타났다.나머지 척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4> 주요 변인들의 분포특성

(n=302)

(36)

C.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은 <표 5>와 같다.완벽주의 전체와 학교적응은 정적 상 관(r=.214,p<.01)을 나타냈다.자기지향 완벽주의는 학교적응(r=.249,p<.01)및 학 교적응의 하위 영역인 학교생활적응(r=.279,p<.01),학교환경적응(r=.121,p<.05), 학교친구적응(r=.146, p<.05), 학교교사적응(r=.160, p<.01), 학교수업적응(r=.338, p<.01)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학교적응(r=.129,p<.05) 및 하위영역인 학교생활적응(r=.131,p<.05),학교교사적응(r=.194,p<.01)과 정적 상 관을 보였다.자기불일치는 완벽주의 및 학교적응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고,학교적 응의 하위영역인 학교수업적응과 낮은 부적 상관(r=-.128,p<.05)을 보였다.이를 볼 때,조절효과 분석에 적합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37)

<표 5>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n=302) 1 1-1 1-2 3 3-1 3-2 3-3 3-4 3-5 4

1.완벽주의 전체 1

1-1.자기지향완벽주의 .911** 1

1-2.사회부과완벽주의 .886** .617** 1

3.학교적응 .214** .249** .129* 1

3-1.학교생활적응 .233** .279** .131* .844** 1

3-2.학교환경적응 .076 .121* .010 .857** .647** 1

3-3.학교친구적응 .126* .146* .077 .673** .606** .455** 1

3-4.학교교사적응 .196** .160** .194** .824** .593** .590** .490** 1

3-5.학교수업적응 .257** .338** .111 .832** .696** .663** .425** .563** 1

4.자기불일치 .016 .062 -.040 -.098 -.064 -.079 -.108 -.033 -.128* 1

*p<.05,**p<.01

(38)

D.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

1.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를 검정한 결 과,모형1의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학교적응의 5.9%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249,

<.001).즉,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 한다고 볼 수 있다.모 형 2에서 자기지향 완벽주의(=.256,<.001)와 자기불일치(=-.114,<.05)는 학교 적응의 6.9%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모형3에서 자기지향 완벽주의(=.266, 

<.001), 자기불일치(=-.113, <.05), 자기지향 완벽주의*자기불일치(=-.117, 

<.05)는 학교적응의 7.9%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모형별 설명력을 확인한 결과 상 호작용항이 투입된 모형3의 설명력이 가장 강하다는 것을 확인했으며,이는 자기불 일치 정도에 따라 자기지향 완벽주의로 인한 학교적응의 정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공차한계는 모두 0.1 이상의 수치를 보여 다중공선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Durbin-Watson은 1.656으로 기준값인 2에 근접하고 0또 는 4에 가깝지 않기 때문에 잔차들 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이에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즉,자기지향 완벽주의가 학교적응에 미치 는 영향에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자기불일치를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으로 나누어 상호작용을 확인한 그래프를 아 래에 제시하였다.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낮은 청소년의 경 우에는 자기불일치가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학교적응 수준이 높았다.반대로,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높은 청소년은 자기불일치가 낮은 경우가 높은 경우에 비해 학교적응 수준이 높았다.즉,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낮은 청소년의 경우에는 자기불 일치가 클수록 학교적응을 잘 하는 반면,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높은 청소년의 경우 에는 자기불일치가 적을수록 학교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자기지향 완벽 주의가 있는 경우,자기불일치가 너무 클 때,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39)

<표 6>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

(n=302)

형 예언변인

학교적응

   ∆  공차 한계

Durbin- Watson 1 자기지향 완벽주의 .249 4.452   .059 .062 19.817   1.000

2 자기지향 완벽주의 .256 4.593  

.069 .013 12.101   .996 자기불일치 -.114 -.114 .996

3

자기지향 완벽주의 .266 4.776  

.079 .013 9.630  

.989

1.656 자기불일치 -.113 -2.031 .996

자기지향 완벽주의

자기불일치x -.117 -2.100 .993

<그림 3>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상호작용

(40)

2.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를 검정한 결 과,모형1의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학교적응의 1.9%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129,

<.05).즉,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 한다고 볼 수 있다.그러 나 모형 2에서 자기불일치와 학교적응의 설명력은 유의하지 않았으며,모형3의 사 회부과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 다.

<표 7>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

(n=302)

형 예언변인

학교적응

   ∆  공차 한계

Durbin- Watson 1 사회부과 완벽주의 .129 2.259 .013 .017 5.102 1.000

2 사회부과 완벽주의 .126 2.198

.019 .009 3.892 ,998 자기불일치 -.093 -1.629 ,998

3

사회부과 완벽주의 .126 2.189

.016 .000 2.586

,989

1.616 자기불일치 -.093 -1.626 .998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불일치x -.003 -.045 .991

참조

관련 문서

전복 패각 유래 수산화인회석은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시,판상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EDS 분석을 통한 원소 분석 결과,소량의 Na이온이 첨가 되어

넷째,직무특성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 과 직무만족의 경우 과업중요성과 피드백에 있어서 조절효과가 있는

우선 , 온라인 다독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의 동기 분석 결과 학습 자 자신의 영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영어 책 읽기가 중요하다는 것은 인식 하고

다섯째,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관계에서 동아리활동과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 유무에 따른 집단비 교에서

말기암환자 가족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가족원이 인지하는 삶의 질을 분석한 결 과, 연령이 20세 이하인 경우 대졸이상인 경우, 환자와의 관계에서 부모인 경우와 환

학교 본관내 G은행의 주간시간대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및 개선 방향 ... 학교 본관내 G은행의 야간시간대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본 저자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호발되는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황반변 성에 있어 맥락막 신생혈관의 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인자들 중

안해연 (2016)의 연구에서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수행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적인 상관을 보고 하였는데 이 연구 결과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