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自我尊重感에 관한 硏究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自我尊重感에 관한 硏究"

Copied!
7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碩士學位論文

低所得層 및 高所得層 中學生이 知覺한 父母의 養育態度와

自我尊重感에 관한 硏究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相談心理專攻

朴 光 姬

2001

(2)

低所得層 및 高所得層 中學生이 知覺한 父母의 養育態度와

自我尊重感에 관한 硏究

指導敎授 趙 元 浩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請求論文으로 提出함

2002年 6月 日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相談心理專攻

朴 光 姬

2001

(3)

朴光姬의

碩士學位 請求論文을 認准함

2002年 6月 日

審査委員長 印

審 査 委 員 印

審 査 委 員 印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4)

목 차

국문요약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3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저소득층 및 고소득층의 개념 ··· 5

2. 가정환경 ··· 6

3.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이론 ··· 8

4. 자아존중감 ··· 14

5. 가정의 물리적 환경과 자아존중감 ··· 16

Ⅲ. 연구방법

··· 20

1. 연구대상 ··· 20

2. 측정도구 ··· 20

3. 자료처리 ··· 2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7

1. 부모에 따른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 27

2. 소득차이에 따른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 31

Ⅳ. 결론 및 제언

··· 43

1. 결 론 ··· 43

2. 제 언 ··· 46

참고문헌

··· 48

ABSTRACT

··· 54

(5)

표 목 차

<표 1>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문항구성 ··· 21

<표 2> 자아존중감 검사 문항구성 ··· 24

<표 3> 부모에 따른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검증 ··· 27

<표 4>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 28

<표 5>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 30

<표 6> 소득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검증 ··· 32

<표 7> 소득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검증 ··· 33

<표 8> 부모의 소득차이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대한 차이검증 ··· 34

<표 9> 고소득 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검증 ··· 35

<표 10> 고소득 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 36

<표 11> 고소득 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 38

<표 12> 저소득 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검증 ··· 39

<표 13> 저소득 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 40

<표 14> 저소득 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 41

(6)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저소득층 및 고소득층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그들 의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했 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부모에 따라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은 어떠 한 관계가 있는가?

나. 소득에 따라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은 어떠 한 관계가 있는가?

이를 위해서 성남시에 소재 하는 중학교 2학년 378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측정은 오성심과 이종승(1982)이 개발한 검사와 자아존중 감 측정을 위해서 Coopersmith(1967)이 개발한 척도를 번역한 강종구 (1986)의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여, 이중 가정환경조사에 의한 담임교사 가 선별한 저소득 32명, 고소득 32명을 선발하였다.

질문지의 응답에 대한 분석은 SPSS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는데, 소득에 따른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t 검증과 상관관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는 합리적 요인에서 어머니는 애정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

(7)

(p<.001)를 보였으며,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일부 하위요인에서 부모간에 차이가 나타나기 는 했지만, 전체적으로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고소득 가정의 아버지는 자율요인과 합리적 요인에서 어머니는 애정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상관관계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 저소득 가정의 경우 어머니가 애 정요인과 자율요인에서 아버지는 합리적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P<.001)를 보이고 있으며, 아버지는 일부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어머니는 일부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와 함께 양육태도의 하부요인 중 애정요인에 있어서는 자아존중감의 모든 하 부요인과 부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소득 가정의 경우 부모들의 경제적 안정성이 자녀의 교 육이나 생활 전반에 많은 시간과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지게 됨으로 인해 서 자녀들이 안정성,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이는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많 은 영향을 주지만, 저소득 가정의 경우 경제력의 향상을 위해 부모의 노력 이 자녀에게 집중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고 일시적임으로 인해서 자녀 들의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8)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정은 청소년들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사회적지지 망으로서 청소년의 성장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정은 인간이 태어나서 처음으로 접하는 장이며 최초로 사회생활을 하게되는 곳으로, 인간의 지적발달에 지 대한 영향을 미치고 생활환경의 기본적인 태도를 익히며 적응하는 방법을 습득해 나가는 곳이다.

개인이 속한 사회 문화적 특징에 따라 환경적 측면은 다양할 수 있으나 대표적인 요인으로 성인-청소년 관계에 관한 기준이나 내용, 가족 구성원 들의 역할 기대, 공동체의 가치, 일상적인 생활 규준 등은 중요하다. 즉, 청 소년의 심리 정서적 측면의 사회성 발달은 생의 초기단계에서부터 이루어 진다고 볼 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인 결정인자가 되는 환경으로 가정을 빼놓을 수 없다. 학생들의 여러 가지 행동양식은 그 학생 자신의 독특한 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학생은 가장 먼저 가정이라는 작은 사회 집단에서 태어나서 가족의 구성원이 되며 부모와 가장 많은 상호접촉을 통 해 언어, 습관, 가치, 태도, 지식, 기술 등을 배우기 때문에 학생들의 심리 정서적 측면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가족 내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상당

(9)

히 중요하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가정환경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청 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서로 다양한 변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데 특히 일차적인 환경인 가정환경으로 영향을 받는다(최양임, 1994). 가정환경의 개념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여러 다른 구분을 하고 있으나 공통적으로 크 게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 가족구조의 물리적 환경과 부모-자녀관계, 가 정분위기 심리적 환경으로 나눌 수 있고, 이러한 부모의 경제 사회적 지위 와 부모-자녀관계, 가족의 응집성은 청소년들이 자아존중감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들이 이루어져 왔다(McCandles & Coop, 1979; 김태련·

김유진, 1979; Margaret, 1985; 김희영, 1986). 자아존중감은 어느 한 시기 에 갑자기 전체가 발달하는 것이 아니며 발전의 과정이 어느 한 시기에 끝 나 버리는 것도 아니다. 자아존중감의 발달은 개인이 새로운 잠재력을 계 속해서 발견하는 것처럼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활동적으로 진행되며 (송인섭, 1989), 특히 청소년기에 가장 활발히 이루어진다. 청소년기 자아존 중감 형성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첫째, 자아에 대한 인식과 평가가 다른 발달 단계보다도 청소년기에 활발하게 형성되며, 둘째, 자아존중감이 낮을 때 청소년들에게서 문제해결이나 부적응이 대두되기 때문이다(장영 지, 1995). 이러한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주는 부모의 양육태 도를 학생들이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긍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한다. 즉, 무관심한 부모의 양육태도나 억압적인 부모의 양육태 도는 그들의 자녀들로 하여금 낮은 자아존중감을 갖게 한다(Rosenberg,

(10)

1965).

이상을 통해 볼 때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밀접한 관 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부모의 경제력과 양육태도라는 환경변 인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발달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양육태도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주안 점을 두고 있다.

2.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은 관련 선행 연구 자료를 참고로 저소득층 및 고소득층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그들의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 며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려는 것으로 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 다.

가.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나. 소득에 따라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1)

(1) 소득간 차이에 따라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있는가?

(2) 고소득 가정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있는가?

(3) 저소득 가정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있는가?

3.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음을 밝힌다.

가. 본 연구는 성남 지역의 2개 학교에서만 표집 되어 있어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다.

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질문지에 의한 학생들의 입장에 의존하기 때 문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

(12)

Ⅱ. 이론적 배경

1. 저소득층 및 고소득층의 개념

세계 어느 나라 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소득 또는 보유재산의 차이에 따른 빈부격차는 존재한다. 이 같은 빈부격차는 흔히 고소득층, 중산층 그 리고 저소득층 등 소득분포를 통해 비교된다. 구체적으로 전체 가구 중에 서 정부의 직 간접적인 보호를 필요로 하는 저소득계층 약 10 %와 상위 소득계층 약 25 %를 제외한 60∼70 %를 중산층으로 분류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경우 국가간 비교시 소득 중간 값의 50∼

150 %에 해당하는 계층을 중산층으로 정의하고 있으므로 이 같은 방식에 따를 경우 98년 기준으로 전체가구의 65 % 정도가 중산층에 해당되고 저 소득층 11 %, 고소득층 23 %로 구분된다. 즉 도시근로자 가구조사에 의하 면 98년 가구당 월소득의 중간치는 182만원으로 이의 50∼150 %에 해당하 는 91만∼274만 원의 소득계층이 중산층이라는 계산이 나온다(朴時龍, 2001).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엥겔계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1857년 독일의 통계학자 엥겔이 창안한 것으로 가계의 소비지출에서 식료 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나나낸 계수이다. 따라서 수입이 많은 가계일수록

(13)

소비지출 총액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어 엥겔계수 도 낮은 수치를 보인다. 반대로 엥겔계수가 높다는 것은 오로지 생존만 있 고 생활(여가)은 없다는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엥겔계수가 20 % 이하 면 상류(최고도 문화생활), 25∼30 %는 중류(문화생활), 30∼50 %는 하류 (건강생활), 50 % 이상은 최저생활 등으로 분류된다(oneness.pe.kr).

통계청은 2001년 3월 전국 30,000가구(가구원 80,000명)를 대상으로 소득 계층별 정보화 실태를 조사했는데 월 평균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를 저소득층으로 300만원이 넘는 가구를 고소득층으로 분류하였다(중앙일보 2001. 12. 5).

각 교육청의 2001학년도 저소득층 자녀 중·고생 학비지원 대상자 선정 기준에 의하면 소득구분에서 도시지역은 1,253,529원 이하이고, 농어촌 지 역은 1,079,033원 이하이다. 재산구분에서는 무주택 자는 전세금이 도시지 역은 2,000만원 이하이고, 농어촌은 1,500만원 이하이다. 부동산이 있는 경 우는 도시지역은 과세표준액이 1,845만원 이하이고 농어촌은 1,278만원 이 하이다. 건강보험료는 지역건강보험료 월 27,300원 이하이다.

2. 가정환경

환경이란 유기체를 둘러싸고 그것과 일정한 접촉을 유지하고 있는 외계 이며, 가정은 인간이 태어나서 처음으로 접하는 장이며 최초로 사회생활을

(14)

하게되는 곳으로 가정환경의 중요성은 일찍부터 학자들에 의해 강조되어 오던 것이다. 가정환경 구성 요소는 거주지의 환경, 가옥의 크기, 사회경 제적 지위, 내부 문화시설, 가족 구성원 등의 물리적 환경과 가정의 가치지 향성, 가정의 집단성격, 가정의 분위기 등의 심리적 환경으로 구분하는 것 이 일반적인 방법이나 근래에 와서는 분류방법이 다양화되고 있다.

황정규(1964)는 가정환경을 물적 환경과 인적환경으로 분류하였는데, 물 적환경요인에는 저주지, 가족 문화적 시설 등이 있으며 인적환경요인에는 가족관계, 가정의 분위기 등을 들었다. 가족구조에는 출생순서와 자녀의 수 를, 사회적 지위에는 부의 직업과 부모의 교육수준·대학교육을 시킬 수 있는 능력을 들었고, 가족의 심리적 특성에는 격려와 기대, 가정에서의 교 육적 활동·교육적 관심·자녀의 지적능력에 대한 부모의 평가·보상과 벌 등을 들고 있다. 이재창(1981)은 가정환경을 일반적 환경, 가정분위기, 부모 자녀 대인관계 등으로 나누었는데 가정분위기와 부모자녀 대인관계는 가정 의 심리적 환경으로 간주할 수 있겠다. 이경수(1990)는 가정환경을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으로 구분하였고, 물리적 환경이란 개인을 둘러싸고 있 는 자연적, 물리적 공간 및 그 속에 존재하는 사물이나 사태를 의미하며 심리적 환경이란 인간관계 혹은 심리작용에서 오는 환경, 다시 말하면 개 인에 의해서 인식된 생활 공간 혹은 분위기를 말한다고 하였다.

청소년에게 가장 중요한 환경인 가정환경요인을 나누는 데에 학자마다 요인 수나 그 명칭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합해보면 가정 환경의 물리적 환경에는 가족의 구성, 자녀의 수, 출생 순서, 가족의 연령,

(15)

가족의 성별 비율 등의 가족구조, 부모의 직업, 교육정도, 주거상태, 경제정 도를 총괄하는 의미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포함되며, 심리적 환경에 는 부모-자녀관계, 가정 분위기 등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3.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이론

양육태도란 부모 혹은 부모를 대신할 다른 보호자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 어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내적·외적 태도나 행동이라 할 수 있으며 자녀 의 인성과 행동은 이러한 양육태도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가 할 수 있다(한 종혜, 1980; 송설희, 1994).

자녀의 인지적 특성과 정의적 특성은 부모 또는 대리 부모의 양육태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는 일방적이 아닌 상호보완적인 관계라는 입장에서 부모의 양육태도를 자녀가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느냐 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자녀 양육태도는 부모 자녀간의 관계의 질을 결정해 주고 자녀의 인성적, 정서적, 성격적 세 측면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김경숙, 1988).

Fisherbein과 Aizen(1975)은 부모의 양육태도는 하나의 문화적 양식으로 부모가 자녀의 성장 발달을 위해 기르고 가르치는 양태이며 행동에 대한 경향성과 반응 양식이라고 했다. 이종승(1981)은 양육태도 또는 양육 방식 이란 부모나 부모를 대신한 다른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함에 있어서 일반적

(16)

이고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외현적, 내현적 행동이라고 정의하였다.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이론적으로 연구된 것은 거의 최근 의 일이다. 17세기까지만 해도 엄격한 훈육 및 체벌이 가장 효율적인 양육 태도라고 여겼으나 18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소아의학과 심리학의 발달로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변화되기에 이르렀다. 부모-자녀 관계는 1910년이래 프로이드에 의해 체계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그는 초기 경 험이 인간의 일생을 좌우한다고 보았으며, 요람에서의 경험이 잠재 의식화 되어 후일 행동을 좌우하는 원동력을 이루기 때문에 어린이의 인성은 주로 어렸을 때 부모와의 상호 작용에서 빚어진다고 보았다. 프로이드는 범죄 소년에 관한 한 연구에서 어머니의 부정적인 양육태도와 범죄 행동과는 밀 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정원식, 1989).

양육태도에 대한 많은 연구들 중에 부모의 양육태도 배경 요인에 대한 연구가 있는데, Watson(1957)은 부모의 양육태도는 가족 구성이나 가정의 분위기, 경제적 수준, 문화적 배경과 깊은 관계를 가진다고 하여 부모의 양 육태도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Brofenbrenner(1961)는 자녀의 성별에 따라 애정과 권위에 있어서 최적 수준이 서로 다르다고 하였으며, 부모가 이성의 자녀와 동성의 자녀에게 서로 다른 행동을 취하는 것은 문화와 관계없이 공통적인 현상이며, 지각 성향과 양육태도 지각에 있어서 자기 자신의 지각 성향에 따라 부모의 양 육태도는 다를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는 부모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보편적이고

(17)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태도나 행동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것은 자녀의 지적, 정의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 양육태도의 유형

자녀가 지각한 양육태도는 자녀의 입장에서 부모나 양육자에 의해 비교 적 일관성 있게 양육하는 양태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하며, 광범위하고 포 괄적인 개념으로 구체적인 연구에 적응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 그래서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유형화하여 중요 차원별로 분류하였다.

(1) 차원론적 접근

차원론적 접근은 양육태도의 차원들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양육태도의 주 요 요인을 규명하고 그것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 는지 보는 것으로 초기의 Symonds(1949)의 2차원 양육태도와 Schaefer(1959)이론이 대표적이다.

Symonds(1949)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처음으로 이론화했던 사람으로 부 모의 양육태도는 수용-거부, 지배-복종의 2개 차원으로 분류했다.

수용은 간섭형과 불안형으로, 지배는 기대형과 엄격형으로, 거부는 소극 적 거부형과 적극적 거부형으로, 복종은 복종형과 익애형의 형태로 분류하 였다. Symonds(1949)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정적으로만 설명되어져 건전 한 측면의 양육태도에 대한 언급이 없이 정상적인 규준에 의한 설명을 하 는 데에는 실패하였다(이원영, 1983).

(18)

이에 대하여 Schaefer(1959)는 정상적인 부모의 양육태도를 연구하여 가 설적 원형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자녀 양육에 관련된 각종 변인들 간의 상호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변인들 중에서 서로 밀접하게 관련 있는 요인과 서로 대립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각 변인의 위치를 원형 상에 나 타낸 것으로서, 부모의 양육 행동을 애정과 적대, 그리고 자율과 통제라는 2개의 차원으로 대별하였다.

신춘자(1992)는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성격발달에 대하여 Schaefer(1959)의 연구와 Becker(1964), Medinnus(1967), Mussen(1984) 그 리고 Kagan(1984) 등의 이론과 함께 지지되고 있는 4가지 연구 결과를 보 고하였다. 즉, 애정-자율적인 태도는 가장 이상적이며 바람직한 태도로서 이런 양육태도에서 성장한 자녀는 능동적이고, 외향적, 독립적이며, 사회 적응을 잘 하는 편이다. 애정-통제적인 태도는 자녀에게 사랑을 베풀며 따 뜻하게 대하지만 엄격한 제약을 가하는 양육태도로서 애정-자율적 태도 하에서 성장한 자녀보다는 의존적이고 사교성, 창의성은 적고 인내심이 강 하며 극단적인 모습을 나타낸다. 적의-자율적인 태도는 자녀를 사랑스럽고 따뜻하게 수용하지 못하며, 자녀의 행동에 통제를 가하지 못하고 마음대로 행동하게끔 하는 방임적인 태도이다. Bexker(1964)는 이러한 양육태도 하 에서 성장한 자녀는 공격적이고 자신의 행동 조절에 절제력이 약하다고 지 적하기도 하였다. 적의-통제적인 태도는 자녀를 애정적으로 수용하지 못하 고, 체벌이나 심리적 통제로 독재하려는 태도이며 자녀의 감정 표현을 용 납치 않기 때문에 적대감을 유발시키는 태도이다.

(19)

부모의 양육행동차원(PDI: Parenting Dimension Inventory)이라는 다차 원적인 자기 보고식 척도를 통하여 부모의 양육행동과 태도를 평가하였는 데, 양육 방식을 온정·지원, 훈육·통제, 구조라는 세 차원으로 구분한다.

온정·지원은 아동의 투입에 대한 반응성 및 비 제한적 태도를 포함하고, 훈육·통제는 성숙을 요구하고, 통제의 양, 그리고 통제나 훈육의 유형을 포함하고, 구조는 일관성과 가정의 조직을 포함한다.

결국, 차원론적 입장은 애정의 정도와 통제의 정도에 따라 구분하고 있 다고 할 수 있다.

(2) 유형론적 접근

유형론적 입장에서 양육태도를 유형화한 이론가인 Baumrind(1971)는 양 육태도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에서 양육태도를 권위적·허용적·권유적으로 제시하며, 끊임없이 가정 생활 속에서 반복되는 양육태도는 아동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양육의 차원과 그 차원의 높고 낮음에 따라 수용-참여와 엄격-감독이라 는 권유적, 권위주의적, 익애적, 방임형으로 양육태도를 구분하였다(김순재, 1996).

양육태도와 성격 발달에 있어서 애정적 수용적 태도는 정상적이며, 외적 거부는 공격성이나 정서의 박약, 완전주의적 태도는 욕구불만, 자신감 결 여, 강박 관념을 갖게 하며, 과보호는 성숙이나 독립성을 저해한다고 하였 다. 김성연(1981)은 부모가 자녀를 신뢰하고 애정적일 때 긍정적인 자아가

(20)

형성되며, 자녀를 불신하고 거부적일 때는 부정적인 자아 개념이 형성된다 고 하였다. 유안진과 서봉연(1982)은 부모가 과잉보호하거나 엄격하고 지배 적이거나, 지나친 기대를 갖거나, 거부적일 때 부정적인 성격과 행동특성을 보인다고 지적하고 수용적인 태도로서 자녀가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긍정적 인 특성을 지닐 수 있게 해야한다고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양육태도는 차원론의 실질적 이용과 유형론 의 변형 및 확장 그리고 두 차원의 절충 형식의 접근들이 등장하고 있다.

한편 Schaefer(1959)가 수정한 척도를 지향하여 요인 분석한 결과로 수 용 대 거부(acceptance vs rejection), 엄격한 통제 대 느슨한 통제(firm control vs lax control)의 네 요인을 구하였다. 부모의 행동 모델을 긍정적 대 부정적 행동(positive vs negative), 능동적 대 수동적(active vs passive) 행동으로 나누었고, Roe와 Sienglman(1963)은 자녀의 양육태도에 대한 자녀의 보고서를 요인분석 하여 애정 대 거부(loving vs rejecting), 방임 대 요구(casual vs demanding), 관심(attention)의 세 차원을 구하였 다.

우리 나라 연구로는 오기선(1965)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거부적, 지배적, 보호적, 복종적, 모순 불일치의 태도 등 5개 차원으로 나누었으며, 박성연 (1989)은 합리적인 지도, 애정, 권위주의적 통제, 과보호, 성취, 적극적 참 여, 일관성 있는 규제의 7가지로 양육태도를 분류하였다. 오성심과 이종승 (1982)은 Schaefer(1959)의 2차원 원형 모형을 토대로 애정-적대, 자율-통 제, 성취-미성취, 합리적-비합리적의 4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여 긍정적인

(21)

면과 부정적인 면으로 양극화시킨 유형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부모의 양육 태도 차원을 거의 망라하였으며, 부모의 양육태도를 자녀가 지각한 입장에 서 설명하였다.

4.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self-esteem)은 개인이 스스로에 대해 인정하는 가치이며 자 신이 하는 일에 대해 성공을 기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비교적 광범위한 연구주제이지만 정의가 없어(김경언, 1987) 다른 개념(자아개념 등)과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가. 자아존중감의 개념

자아존중감은 개인 내적 특성과 외적환경의 영향으로 형성되며,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개인적 가치감이나 긍정적 평가이다(김태련과 장휘숙, 1988).

Branden(1994)은 자아존중감이 자기신뢰와 자기존경의 융화, 즉 자신이 가지는 생의 가치와 유능성에 대한 확신이라고 보았고, Coopersmith(1967) 는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갖는 태도 속에 나타나는 자신에 대한 가치의 판단 이며, 자신이 유능하고 중요하며 성공할 수 있다고 믿는 정도로 보았다.

자아존중감의 진정한 의미란 자기자신을 가치로운 한 인간으로 여기는

(22)

것이라고 했다. 비록 개인이 스스로 극복하지 않으면 안될 개인적인 문제 를 가지고 있다거나, 더 잘되어지기를 기대하는 소망이 있다 하더라도 자 기가 보다 좋은 점 또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데 대해 고마움을 느끼면서 근본적으로 자기에 대한 존중감을 갖는 것이라고 했다.

자아존중감이란 인간이 갖는 자기자신에 대한 가치감과 자기인생에 대한 확고한 신념으로 자신의 의도를 성취하는 것이 자기의 힘에 닿는 것인 한 에서는 자기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라고 하였다.

또 송현종(1993)은 자아존중감이 자신의 여러 가지 속성에 대한 주관적 인 평가 결과에 따르는 감정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자아존중감은 자 신이 능력, 중요성, 성공 여부 등 자기의 태도에서 보여지는 가치성의 개인 적 평가 또는 판단이라고 주장한다(Coopersmith, 1967).

자아개념이란 다양한 역할에서 자기자신에 대해 가지는 기술적인 면을 말하는 용어이며, 이와 유사한 개념인 자아존중감은 역할수행의 만족도에 따라 개인이 가지는 평가적 태도라 하였고, 자아존중감의 관점이 상황이나 가치기준의 영향에 따라 훨씬 더 변화하기 쉽다고 하였다.

자아개념에는 두 가지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하나는 어떤 과제를 할 수 있다는 자기 능력에 대한 신념인 자아자신감(self-confidence)이며, 다른 하 나는 자신을 자기가 얼마나 좋아하느냐의 문제인 자아존중감(self-esteem) 이다(양민철, 1964).

즉, 자아개념은 다차원적인 개념으로써 한 개인이 자기 스스로에게 부여 하는 자기평가와 관련된 모든 특성들의 구조물이다. 이에 비해 자아존중감

(23)

은 단일한 차원의 개념으로써 한 개인이 자신을 얼마나 높이 평가하느냐와 관련된 개념이다.

강한 긍정적 자아를 갖고 있는 사람은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환경을 탐색 하고 자기의 행동에 있어서 모험을 할 수 있으며 자기 자신에 대해서 부정 적 자아를 갖고 있는 사람은 모험이나 새로운 환경에 불안스럽게 반응한다 고 하였다.

자아존중감은 자아정체감(self-identification)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는데 McCandless와 Coop(1979)은 Marcia(1980)의 이론을 근거로 자아존중감이 자아정체감 성취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말하고 있다. Marcia(1980)에 의 하면 자아존중감과 자아정체감 성취가 상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자아 존중감이 높으면 자아정체감 성취도 높으며, 자아정체감 성취도가 높으면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외적변화와 내적 갈등으로부터 성숙한 자기를 형성해 가는 시 기에 있는 중학생들에게 자아존중감은 중요한 과업이며, 가정의 경제적 환 경과 부모의 양육이라는 상호작용 속에서 각기 다른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청소년기의 자아존중감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뜻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5. 가정의 물리적 환경과 자아존중감

청소년의 가정은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며 그 중에서도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매우 핵심적인 결정 요인이라는 견해는

(24)

학자들 사이에서 일관성 있게 보고되고 받아들여지고 있다(이태인, 1995).

또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서 많은 연구 들이 두 변인 사이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Margaret(1985)은 청소년에 대한 가정환경을 논함에 있어서 가정의 물리 적 환경을 사회경제적 지위, 가족크기, 출생순서와 성, 모친의 취업, 부부이 별 등으로 나누어 이러한 요인들이 자녀의 인격발달에 얼마나 중요한가를 밝혔다. 그는 사회경제적 지위의 높음이 청소년 발달에 긍정적인 요인이 되며 가족의 크기에 있어서 대가족의 경우 개인의 필요가 무시되기 쉽고 부모는 더 권위적일 수 있음을 선행연구를 들어 제시하고 있다.

한유선(1996)은 청소년의 주변환경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에서 가정 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으며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삶의 만족도 가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김희경(1990)은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환경과의 연구에서 가정의 사회경 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아개념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심계전(1985)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발달에 관한 연구에서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자아정체감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학생이 자아정체감이 높다고 하였다.

Sears, Maccoby, Levin(1957)은 중·상류층의 어머니보다 하류층의 어머 니가 자녀에게 더 제한적, 적대적인 태도로 대한다고 하였다.

Rapp(1961)은 사회계층이 하층일수록 통제적이고 권위적인 양상태도를

(25)

태도를 보이고 Bronfenbremner(1961)도 중류층의 부모가 하류층의 부모보 다 더 허용적이고 애정적인 태도를 가지며 심리학적 기교를 사용하여 자녀 를 양육한다고 하였다.

가정의 사회적 지위가 낮을수록 어머니는 자녀에게 강제적인 제한, 제한 적인 규칙 등을 사용하였다고 하며, 저소득으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가 부모역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심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겪는 어머니들은 부모역할을 어려워하며 자녀를 안아주거나 칭 찬해주거나 지지적인 표현을 해 주는 일이 드문 반면, 자녀를 위협하거나 무시하는 경우가 빈번하다고 하였다.

Conger(1984)는 저소득층 어머니들은 자녀에게 더 비판적이고 애정표현 을 덜 하며, 자녀 문제에 무관심해보이며 자녀와 문제가 있을 때 협상이나 대화로써 풀려 하기보다는 자녀의 복종을 요구하거나 자녀의 요구를 묵살 하는 방식으로 해결하였다고 한다. 또 저소득층 부모들은 그렇지 않은 가 정의 부모들에 비해 만성적인 경제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탓에 자 녀에게 지지적이지 못하며 권력 주장적인 훈육기법을 많이 사용하고 자녀 에 대한 통제수단으로 체벌을 사용하는 편이다. 자녀가 원하는 바에 대해 자녀와 상의하는 경우가 드물고 자녀가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칭찬을 하는 경우가 드물다.

처벌적이고 비일관적인 훈육방식은 청소년 자녀에게 비행, 약물사용, 우 울증, 부정적인 자아감으로 이끌고 청소년기 및 그 이전 시기에 부모가 신 경질적이고 변덕스러우며 처벌적일 경우 자녀들이 반사회적이고 공격적으

(26)

로 되는 경향이 커진다고 하였다.

경제적 압박은 심한 경우 자녀에 대한 학대를 유발시켜 빈곤층 가족이 많은 지역은 부유층 가정이 많은 지역과 비교해 매맞는 아동의 비율이 높 았고 부모에 의한 학대 및 방임 경험은 불가피하게 자녀에게 심각한 발달 장애와 심리사회적 부적응을 가져온다.

그러나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윤명숙(1989)의 연구에서 중학생의 전체 자아정체감은 가정경제의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결과 를 나타냈으며, 하위요인의 분석을 통해 경제적으로 부유한 가정에서 자라 는 학생들이 어려운 환경의 학생들보다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다른 사람들 이 자신에 대하여 갖는 기대에 보다 잘 적응하며,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 의 학생들은 부유한 가정에서 자란 학생들보다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자아 상을 지닌다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중학생의 자아개념이 사회경제 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사회경제적 지위가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가정도 부모가족이 원만한 관계이면 계층 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김희경, 1990).

(27)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성남시에 소재 하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을 대상으 로 하였다. 학생 표집을 위해 고소득층이 밀집해 살고 있는 분당구 1개 학 교에서 2학급, 저소득층이 많은 수정구 1개 학교에서 7학급, 총 9학급을 선 정하였다.

본 조사는 2002년 2월 4일부터 2월 8일까지 학급별 집단검사 방법으로 각 학급 담임교사가 실시하였다. 설문지에 학급과 성명을 기록하도록 하였 고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일부만 기재한 것과 모든 문항에 대하여 한 방향 으로만 표시한 것 등 분석 대상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한 378부를 가지고 가정환경 조사서와 가정의 경제적 형편에 대한 담임교사의 판단에 따라 고소득 가정 학생 32명을 선정하고 , 저소득층 학비지원을 받고 있는 32명의 저소득층 학생을 선정하여 그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측정도구

(28)

가.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방식은 오성심과 이종승(1982)이 제작한 설문지 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지는 애정지향, 자율지향, 성취지향, 합리지향의 4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각각 애정-적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 합리적-비합 리적과 같이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영 역별로 15문항씩 총 6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의 양육태도와 모의 양 육태도를 구분하여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채점은 그렇다 1점, 아니다 0점 으로 높을수록 양육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함을 의미한다. 지각된 부 모의 양육태도 검사의 문항 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1>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문항구성

지 각 요 인 문항수 문 항 번 호

애정 - 적대 15 1 5 9 13 17 21 25 29 33 37 41 45 49 53 57

자율 - 통제 15 2 6 10 14 18 22 26 30 34 38 42 46 50 54 58

성취 - 비성취 15 3 7 11 15 19 23 27 31 35 39 43 47 51 55 59

합리적 - 비합리적 15 4 8 12 16 20 24 28 32 36 40 44 48 52 56 60

또한 이 검사의 특징은 Schaefer(1959)가 제시한 2개의 양육 차원 외에

(29)

도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성취-비성취, 합리적-비합리적의 2개 차원을 더 유형화함으로써 지금까지 유형화된 부모의 양육태도 차원을 거의 망라하였 다고 보여진다.

각 영역별 내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애정 - 적대

① 애정 : 부모가 자신(자녀)에 대해 수용적, 헌신적이며, 많은 관심과 애 정을 가지고 있다고 지각하며, 칭찬을 아끼지 않고, 언제라도 부모가 자신 (자녀)의 고민을 들어준다고 생각한다.

② 적대 : 부모가 자신(자녀)을 무시하고 거부하며, 무관심하고 소홀히 대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비난과 체벌을 자주 사용하고 자신(자녀)의 단점 을 강조한다고 여기는 것을 말한다.

(2) 자율 - 통제

① 자율 : 부모가 자신(자녀)의 의견이나 권리를 존중하며 지나친 간섭이 나 통제를 하지 않는 민주적인 태도와 가능한 한 자신(자녀) 스스로 생각 과 처리 능력을 키워주고 책임을 지게 하는 습관을 길러 주는 것을 말한 다.

② 통제 : 부모의 권위만을 강조하고 통제적이며 엄격하고 많은 제한을 가하고 자신(자녀)에 대해 간섭이 심하고 설명이나 설득보다 즉각적이고 무조건적 복종을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30)

(3) 성취 - 비성취

① 성취 : 부모가 자신(자녀)이 달성 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해 놓고 자신(자녀)에게 달성하도록 격려해 주며 자신(자녀)으로 하여금 적극적인 활동을 권장하고 끈기 있게 목표했던 일을 성취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② 비성취 : 부모가 자신(자녀)의 능력을 과소평가하고 자신(자녀)에게 맡겨진 일의 책임 완수에 무관심하고 새로운 일이나 경험, 호기심에 대한 연구에 비협조적임을 말한다.

(4) 합리적 - 비합리적

① 합리적 : 부모가 자신이 갖는 생각이나 행동에 대해 이유를 중시하는 경향을 말한다. 즉, 자신(자녀)에게 일의 동기나 근거의 제시를 요구하며 자녀와의 약속을 중시하며, 자녀 교육에 이성적이며 일관성 있는 태도를 보임을 말한다.

② 비합리적 : 부모가 매사에 이유를 불필요하게 생각한다. 즉, 일의 동 기나 과정보다는 결과만을 중시하며, 자신(자녀)과의 약속을 하찮게 생각하 고 자녀의 교육에도 비이성적이며 일관성이 없는 태도를 보이는 것을 말한 다.

나. 자아존중감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 측정을 위해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번역하여 사용한 것을 이용하였

(31)

다. 이 검사는 25개의 문항으로 되어 있으며 척도는 4가지의 하위영역(자 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 주장과 불안)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종구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구한 결과는 r=.86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이 검사의 신뢰도는 충분히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채점은 “그렇다”

문항에서 매우 그렇다는 4점, 약간 그렇다는 3점, 약간 그렇지 않다는 2점, 전혀 그렇지 않다는 1점으로 했다. “아니다” 문항 채점은 역으로 계산하 였다. 하위영역별 문항수에 따른 합산점수가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표 2> 자아존중감 검사 문항구성

하위영역 문항번호 그렇다 아니다

자기비하 1, 3, 11, 15, 16 1, 3, 11, 15, 16

타인과의 관계 6, 7, 9, 10, 20, 21, 22 10, 20 6, 7, 9, 21, 22

지도력과 인기 2, 5, 8, 14, 18, 25 5, 8, 14 2, 18, 25

자기 주장과 불안 4, 12, 13, 17, 19, 23, 24 4, 19, 24 12, 13, 17, 23

각 하위영역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자기비하

(32)

① 자신을 남보다 못하고 장점이 없고 단점이 많다고 생각함

② 자신의 존재 가치를 못 느끼고 쉽게 포기하는 편임

(2) 타인과의 관계

① 타인이 사랑을 못 받는다고 생각하고 환경에 쉽게 적응하지 못한다.

② 가족의 기대가 벅차다고 느끼고 가족의 이해나 사랑이 부족하다고 생각 한다.

③ 타인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다.

(3) 지도력과 인기

① 남 앞에서 말하기가 어렵고 자신의 매력이 적다고 생각한다.

②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기가 적고 다른 사람을 이끄는 힘도 적다고 생각 한다.

③ 자신이 남보다 약하다고 생각한다.

(4) 자기 주장과 불안

① 결정하기가 매우 힘들고 행복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② 자신의 생활태도에 자신이 없다.

③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고 자신에게 실망할 때가 종종 있다.

④ 하는 일마다 어렵고 일이 뜻대로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33)

3. 자료처리

연구대상자 전체 부모들의 양육태도를 아버지와 어머니로 구분한 후 어 떤 차이가 있는지를 t 검증하였다. 또한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소득에 따라 고소 득 가정과 저소득 가정의 집단간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해 t검증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 로 설정하였다.

(3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및 고소득층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가 그들의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 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검증한 결과와 이에 대 한 해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부모에 따른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소득차이를 따지지 않고 부모에 따라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증을 하였다.

<표 3> 부모에 따른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검증

( ) 안은 표준편차

양육태도 아버지 어머니 t

애정 - 적대 5.78 (2.69) 7.82 (3.04) 4.91***

자율 - 통제 7.32 (3.25) 7.59 (2.90) .65 성취 - 비성취 7.82 (3.12) 8.32 (3.51) 1.20 합리적 - 비합리적 7.98 (2.83) 5.45 (3.25) 5.72***

*** : p < .001

(35)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분석한 결과 애정요인과 합리적 요인에서 p<.001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의 경우 합리적 요인(아버지 M=7.98, 어머니 M=5.45)에서 더 높 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반면에 어머니의 경우는 애정요인(아버지 M=5.78, 어머니 M=7.82)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의 지 각에 있어서 자녀들은 아버지가 합리적 요인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어머니에 대해서는 애정요인에서 긍정적으로 느낌으로 부모의 양육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양육태도의 하위요인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과의 Pearson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자아존중감

양육태도 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 주장과 불안 애정 - 적대 .46*** .54*** .25* .52***

자율 - 통제 .57*** .63*** .14 .60***

성취 - 비성취 .78*** .67*** .24 .61***

합리적 - 비합리적 .35** .41** .32** .40**

* : p < .05 ** : p < .01 *** : p < .001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간의 상관관계는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

(36)

이 지도력과 인기의 일부 하위요인을 제외한 양육태도의 하위요인과 자아 존중감의 하위요인과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정적상관관계 를 보이고 있다.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녀들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는 애정요인에서 자기비하(r=.46), 타인과의 관계(r=.54), 자기주장과 불안 (r=.52)에서는 유의도 p<.001 수준에서, 지도력과 인기(r=.25)에서는 유의도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자율요인의 경우 자기비하(r=.57), 타인과의 관계(r=.63), 자기주장과 불안요인(r=.60)에서는 유의도 p<.001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지도력과 인기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성취요인의 경우 자기비하(r=.78), 타 인과의 관계(r=.67), 자기주장과 불안요인(r=.61)에서는 유의도 p<.001 수준 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지도력과 인기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 합리적 요인의 경우는 자기비하(r=.35), 타인과의 관계(r=.41), 지도력과 인기(r=.32), 자기주장과 불안(r=.40)에서는 유의도 p<.01 수준에 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양육태도의 하위요인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과의 Pearson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37)

자아존중감

양육태도 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 주장과 불안 애정 - 적대 .59*** .51*** .11 .54***

자율 - 통제 .25* .40** .16 .31* 성취 - 비성취 .45*** .49*** .36** .29* 합리적 - 비합리적 .41** .47*** .21 .46***

* : p < .05 ** : p < .01 *** : p < .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에서 지도력과 인기의 일 부 하위요인을 제외한 양육태도의 하위요인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정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녀들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는 애정요인에서 자기비하(r=.59), 타인과의 관계(r=.51), 자기주장과 불안 (r=.54)에서는 유의도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 났다. 자율요인의 경우 자기비하(r=.25), 자기주장과 불안요인(r=.31)에서는 유의도 p<.05 수준에서, 타인과의 관계 (r=.40)에서는 유의도 p<.01 수준에 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또한 성취요인의 경우 자기 비하(r=.45), 타인과의 관계(r=.49)에서는 유의도 p<.001 수준에서, 지도력과 인기(r=.36)에서는 유의도 p<.01 수준에서, 마지막으로 자기주장과 불안 (r=.29)에서는 유의도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 다. 합리적 요인의 경우는 자기비하(r=.41)에서는 유의도 p<.01 수준에서, 타인과의 관계(r=.47), 자기주장과 불안(r=.46)에서는 유의도 p<.001 수준에 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지도력과 인기는 유의미한 차이

(38)

를 보이지 않았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학생의 자아존중감 또한 높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생의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에서 지도력과 인기 의 경우는 부모에 따라 다른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부모의 양육방식 에 차이가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2. 소득차이에 따른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의 관계

가. 소득 차이에 따른 아버지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소득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학생들이 인식한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를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아버지와 어머니를 구분하여 t 검증한 결 과를 표 6에 제시하였다.

표 6에서는 소득차이에 따른 아버지들의 양육태도를 하위요인별로 비교 하여 본 결과 고소득 가정의 학생들의 경우에는 합리적 요인을 제외한 애 정요인과 성취요인에서 p<.05, 자율요인에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고소득 가정의 아버지의 경우 애정요인(고소득 M=6.62, 저소득

(39)

M=4.93), 자율요인(고소득 M=8.93, 저소득 M=5.71), 성취요인(고소득 M=8.75, 저소득 M=6.90)에서 저소득 가정의 학생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보 였으며, 이는 고소득 가정의 아버지가 자녀의 양육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 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고소득 가정의 자녀들의 경우 경제적 안정성을 통해서 자녀에 대한 관심 이 증가함으로 인해서 저소득 가정의 자녀들 보다 양육태도가 증가하는 것 으로 생각되어진다. 하지만 합리적 요인은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 자녀들 은 부모의 의사를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표 6> 소득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검증 ( ) 안은 표준편차

양육태도 고소득 저소득 t

애정 - 적대 6.62 (3.11) 4.93 (1.88) 2.62* 자율 - 통제 8.93 (2.94) 5.71 (2.73) 4.53***

성취 - 비성취 8.75 (3.57) 6.90 (2.29) 2.45* 합리적 - 비합리적 8.50 (3.42) 7.46 (2.00) 1.47

* : p < .05 *** : p < .001

나. 소득차이에 따른 어머니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소득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생들이 인식한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를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아버지와 어머니를 구분하여 t 검증한 결 과를 표 7에 제시하였다.

(40)

소득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하위요인별로 비교하여 본 결과 고소 득 가정의 학생들의 경우에는 성취요인과 합리적 요인에서는 p<.01을 저소 득 가정에서는 자율요인에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고소득 가정의 어머니의 경우 성취요인(고소득 M=9.68, 저소득 M=6.96) 과 합리적 요인(고소득 M=6.50, 저소득 M=4.40)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 인 반면에, 저소득 가정의 어머니들의 경우 자율요인(고소득 M=6.87, 저소 득 M=8.31)에서만 고소득 가정의 학생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표 7> 소득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검증 ( ) 안은 표준편차

양육태도 고소득 저소득 t

애정 - 적대 8.28 (3.78) 7.37 (2.02) 1.19 자율 - 통제 6.87 (2.55) 8.31 (3.09) 2.02* 성취 - 비성취 9.68 (3.35) 6.96 (3.16) 3.33**

합리적 - 비합리적 6.50 (3.88) 4.40 (2.03) 2.70**

* : p < .05 ** : p < .01

나. 부모의 소득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대한 차이 검증

부모의 소득차이에 따른 자아존중감 중 어느 것과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 보기 위한 t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표 8과 같이 나타났다.

부모의 소득차이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소득 가정

(41)

의 학생들의 경우 하위요인 중 지도력과 인기를 제외한 자기비하, 타인과 의 관계, 자기주장과 불안에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표 8> 부모의 소득차이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대한 차이검증 ( ) 안은 표준편차

자아존중감 고소득 저소득 t

자기비하 2.74 (.72) 2.29 (.64) 2.62* 타인과의 관계 2.73 (.78) 2.28 (.74) 2.36*

지도력과 인기

2.84 (.79) 2.77 (2.08) .18 자기주장과 불안 2.49 (.78) 2.05 (.64) 2.45*

* : p < .05

특히, 고소득 가정의 경우 자기비하(고소득 M=2.74, 저소득 M=2.29), 타 인과의 관계(고소득 M=2.73, 저소득 M=2.28), 자기주장(고소득 M=2.49, 저 소득 M=2.05)에서 저소득 가정의 학생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이 는 경제력에 따라 학생들이 지각하는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소득에 따른 자녀가 지각한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있으며, 특히 고소득 가정의 자녀들이 저소득 가정 의 자녀들보다 전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자녀의 양육에 있어서 경제력이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어지 며, 이를 자녀들이 크게 인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42)

라. 고소득 가정의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소득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고소득 가정의 t 검증과 상관관계의 결과를 표 9에서 표 11에 제시 하였다.

<표 9> 고소득 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검증 ( ) 안은 표준편차

양육태도 아버지 어머니 t

애정 - 적대 6.62 (3.11) 8.28 (3.78) 2.71* 자율 - 통제 8.93 (2.94) 6.87 (2.55) 6.56***

성취 - 비성취 8.75 (3.57) 9.68 (3.35) 1.71 합리적 - 비합리적 8.50 (3.42) 6.50 (3.88) 2.63*

* : p < .05 *** : p < .001

표 9에서 나타난 고소득 가정의 부모의 양육태도의 경우 애정요인, 자율 요인, 합리적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그 가운데 자율요인에서 가장 높은 차이가 있었다(t=6.56, p<.001).

평균차이 검증결과 아버지가 자율요인(아버지 M=8.93, 어머니 M=6.87), 합리적 요인(아버지 M=8.50, 어머니 M=6.50)에서 어머니보다 높게 나타났 다. 이에 반하여 어머니는 애정요인(아버지 M=6.62, 어머니 M=8.28)에서 아버지보다 높은 평균을 보이고 있다.

(43)

이를 통하여 보면 어머니는 가정 살림과 자녀의 양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행사함으로 인해서 학생들이 어머니의 보살핌은 알지만 관리적인 부분이 많은 것으로 생각하는 반면에 아버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부분을 많이 가 지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고소득 가정의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간의 상관관 계는 표 10과 표 11에 나타났다.

<표 10> 고소득 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자아존중감

양육태도 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 주장과 불안 애정 - 적대 .59*** .62*** .55** .54**

자율 - 통제 .62*** .69*** .55** .56***

성취 - 비성취 .79*** .78*** .76*** .77**

합리적 - 비합리적 .45** .44* .44* .55**

* : p < .05 ** : p < .01 *** : p < .001

고소득 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간의 상관관계는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정적상관관계를 보 이고 있다.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녀들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는

(44)

애정요인에서 자기비하(r=.59), 타인과의 관계(r=.62)에서는 유의도 p<.001 수준에서, 지도력과 인기(r=.55), 자기주장과 불안(r=.54)은 유의도 p<.01 수 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자율요인에서 자기비하 (r=.62), 타인과의 관계(r=.69), 자기주장과 불안(r=.56)에서는 유의도 p<.001 수준에서, 지도력과 인기(r=.55)는 유의도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취요인에서 자기비하(r=.79), 타인과의 관계 (r=.78), 지도력과 인기(r=.76)에서는 유의도 p<.001 수준에서, 자기주장과 불안(r=.77)은 유의도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 으며, 마지막으로 합리적 요인에서 자기비하(r=.45), 자기주장과 불안(r=.55) 에서는 유의도 p<.01 수준에서, 타인과의 관계(r=.44), 지도력과 인기(r=.44) 는 유의도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표 11의 고소득 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에서 도 양육태도의 하위요인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 으로 의미 있는 정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녀들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는 애정요인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도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율요인에서 자기비하(r=.50), 타인과의 관계 (r=.52)는 유의도 p<.01 수준에서, 지도력과 인기(r=.44), 자기주장과 불안 (r=.42)은 유의도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45)

<표 11> 고소득 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자아존중감

양육태도 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 주장과 불안 애정 - 적대 .88*** .86*** .87*** .79***

자율 - 통제 .50** .52** .44* .42* 성취 - 비성취 .64*** .65*** .60*** .51**

합리적 - 비합리적 .47** .55** .47** .60***

* : p < .05 ** : p < .01 *** : p < .001

성취요인에서 자기비하(r=.64), 타인과의 관계(r=.65), 지도력과 인기 (r=.60)에서는 유의도 p<.001 수준에서, 자기주장과 불안(r=.51)은 유의도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합 리적 요인에서 자기비하(r=.47), 타인과의 관계(r=.55), 지도력과 인기(r=.47) 에서는 유의도 p<.01 수준에서, 자기주장과 불안(r=.60)은 유의도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가정의 소득에 따른 부모의 안정적인 양육태도가 높아질수록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모든 부분에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볼 때 고소득 가정의 경우 경제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자 녀들에게 긍정적이고 안정적인 관심을 보이게 되고, 이는 자녀들의 자아존 중감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46)

마. 저소득 가정의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저소득 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t 검증과 상관관계의 결과를 표 12에서 표 14에 제시하였다.

저소득 가정의 부모에 따라 양육태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t 검증 의 결과는 표 12와 같다.

<표 12> 저소득 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검증 ( ) 안은 표준편차

양육태도 아버지 어머니 t

애정 - 적대 4.93 (1.88) 7.37 (2.02) 4.29***

자율 - 통제 5.71 (2.73) 8.31 (3.09) 5.51***

성취 - 비성취 6.90 (2.29) 6.96 (3.16) .10 합리적 - 비합리적 7.46 (2.00) 4.40 (2.03) 6.82***

*** : p < .001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애정요인(t=4.29), 자율요인(t=5.51), 합리적 요 인(t=7.46)에서 두 유형간에 p<.00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평균 차이검 증 결과 아버지는 합리적 요인(아버지 M=7.46, 어머니 M=4.40)에서 어머 니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어머니의 경우는 애정요인(아버지 M=4.93, 어머니 M=7.37), 자율요인(아버지 M=5.71, 어머니 M=8.31) 뿐만

(47)

아니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성취요인(t=.10)에서도 아버지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고 있다.

이는 어머니가 자녀의 양육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며 의사결정 에서는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생각된다.

저소득 가정의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간의 상관관 계는 표 13과 같이 나타났다.

<표 13> 저소득 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자아존중감

양육태도 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 주장과 불안

애정 - 적대 .08 .30 .19 .37

자율 - 통제 .35* .47** .01 .54**

성취 - 비성취 .72*** .44* .03 .19 합리적 - 비합리적 .08 .29 .41* .00

* : p < .05 ** : p < .01 *** : p < .001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녀들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는 전체적으로 정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 애정요 인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없으며, 자율요인의 경우 자기비하

(48)

(r=.35)는 p<.05에서 타인과의 관계(r=.47), 자기주장과 불안(r=.54)은 유의 도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취의 경우 자기비하(r=.72)는 p<.001을 타인과의 관계(r=.44)는 p<.05의 유의미한 차이 를 보이고, 합리적 요인은 지도력과 인기(r=.41)에서만 p<.05의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표 14> 저소득 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자아존중감

양육태도 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 주장과 불안 애정 - 적대 -.00 -.17 -.36* -.03 자율 - 통제 .25 .50** .09 .42* 성취 - 비성취 .08 .18 .35* -.20 합리적 - 비합리적 .12 .18 -.07 -.02

* : p < .05 ** : p < .01

표 14에서 저소득 가정의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 는 아버지와는 약간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 애정요인의 경우 지도력과 인기(r=-.36)는 p<.05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 는 부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나머지 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지 는 않지만 자기비하(r=-.00), 타인과의 관계(r=-.17), 자기주장과 불안 (r=-.03)에서 부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자율요인의 경우 타인과의 관계

(49)

(r=.50), 자기주장과 불안(r=.42)은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 이가 나타났으며, 성취요인의 경우 지도력과 인기(r=.35) 만이 p<.05의 유 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합리적 요인은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자녀들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지지 만, 저소득층의 어머니의 경우 일부 양육태도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볼 때 저소득 가정의 학생들의 경우 부모가 맞벌이 또는 상업을 함으로 인해서 자녀양육에 대한 관심의 저하가 자녀들 의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이라도 낮은 수준의 영향을 주는 것 으로 해석된다.

(50)

Ⅳ. 결론 및 제언

1. 결 론

본 연구는 저소득층 및 고소득층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그들 의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했 다. 이를 위해 성남시에 소재 하는 중학교 2학년 378명을 대상으로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여 학년초 실시한 가정 환경조사서와 담임교사의 판단에 의해 고소득 가정 학생 32명을 선발하고 저소득층 학비지원을 받는 학생 32명을 선발하였다.

가설검증을 통해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부모에 따른 지각한 양육태도 차이에서는 아버지는 합리적 요인에서 어머니는 애정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p<.001)를 보였으 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자율요인, 성취요인에서 어머니가 높 게 나타났다.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하위요인간의 상관관 계를 분석해 본 결과 일부 하위요인에서 부모간에 차이가 나타나기는 했지

(51)

만 전체적으로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자녀 관계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 Mussen(1984)했고,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 향을 준다는 결과 이광자(1998)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애정적이고 자율적 이며 성취 지향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지각한 경우에 자아정체감 발달에 긍 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이현(1999)의 연구결과와도 일치된다. 하지만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존중감의 상관관계를 볼 때 애정차원에서 어머니의 경우는 전 영역에서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아버지는 애정차원에서 정적상관을, 자율차원의 전 영역에서 부적상관을 보이고 있다는 신란영(1995)의 결과와 는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반면에 이화림(1999)이 아버지는 애정요인을, 어머 니는 합리적 요인의 양육태도를 가진다는 결과와는 상반되는 결과이다.

둘째, 소득 차이에 따라 자녀가 지각한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보면, 고소득 가정의 자녀가 지각한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에서 저소득 가 정보다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면, 저소득 가정의 학 생들은 어머니에 대해서 자율적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소득별로 보다 자세히 보면 고소득 가정의 아버지는 자율요인과 합 리적 요인에서 어머니는 애정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상관관 계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임으로 고소득 가정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수치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분석한 결과 애정요인과 합리적 요인에서 p&lt;.001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의 경우 합리적 요인(아버지 M=7.98, 어머니 M=5.45)에서 더 높 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반면에 어머니의 경우는 애정요인(아버지 M=5.78, 어머니 M=7.82)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참조

관련 문서

In addition to that, if the Korea-China liner markets are completely open in 2009 Korean liner carriers are likely to lose their market shares in

5) ‘Public service obligation’ means any obligation imposed upon an air carrier to take, in respect of any route which it is licensed to operate by a

이와 같은 경향으로 볼 때 가로보 위치는 하단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나 가로보 배치 위치가 중단에 배치하는 것과 하단에 배치 하는

The foundation can be accomplished by Civil Law as a social organic act investigating systematically the upper theory, a judicial precedent and custom,

Secondly, based on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which tested the discrimination of size of the sales, there are showed variables related to the power

시특례법, 귀속농지특별조치법, 귀속재산임시조치법, 귀속재산처리에관한특별 조치법, 농어촌고리채정리법, 부동산등기에관한특별조치법,

In conclusion, this paper wrights how guarantees right of student-centered education and parents in legal system. Also, this subject use to how explain to

본 논문에서는 슈베르트의 작품 중 고전주의적 형식과 낭만주의적 경향을 모두 포 함하고 있는 피아노 작품 “Wanderer Fantasie Op.15”를 분석 연구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