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결론 및 제언

1. 결 론

본 연구는 저소득층 및 고소득층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그들 의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했 다. 이를 위해 성남시에 소재 하는 중학교 2학년 378명을 대상으로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여 학년초 실시한 가정 환경조사서와 담임교사의 판단에 의해 고소득 가정 학생 32명을 선발하고 저소득층 학비지원을 받는 학생 32명을 선발하였다.

가설검증을 통해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부모에 따른 지각한 양육태도 차이에서는 아버지는 합리적 요인에서 어머니는 애정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p<.001)를 보였으 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자율요인, 성취요인에서 어머니가 높 게 나타났다.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하위요인간의 상관관 계를 분석해 본 결과 일부 하위요인에서 부모간에 차이가 나타나기는 했지

만 전체적으로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자녀 관계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 Mussen(1984)했고,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 향을 준다는 결과 이광자(1998)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애정적이고 자율적 이며 성취 지향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지각한 경우에 자아정체감 발달에 긍 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이현(1999)의 연구결과와도 일치된다. 하지만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존중감의 상관관계를 볼 때 애정차원에서 어머니의 경우는 전 영역에서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아버지는 애정차원에서 정적상관을, 자율차원의 전 영역에서 부적상관을 보이고 있다는 신란영(1995)의 결과와 는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반면에 이화림(1999)이 아버지는 애정요인을, 어머 니는 합리적 요인의 양육태도를 가진다는 결과와는 상반되는 결과이다.

둘째, 소득 차이에 따라 자녀가 지각한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보면, 고소득 가정의 자녀가 지각한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에서 저소득 가 정보다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면, 저소득 가정의 학 생들은 어머니에 대해서 자율적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소득별로 보다 자세히 보면 고소득 가정의 아버지는 자율요인과 합 리적 요인에서 어머니는 애정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상관관 계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임으로 고소득 가정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반면 저소득 가정의 경우 어머니가 애정요인과 자율 요인에서 아버지는 합리적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01)를 보이고 있으며, 아버지는 일부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어머니는 일부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와 함께 양육태도 의 하부요인 중 애정요인에 있어서는 자아존중감의 모든 하부요인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Margaret(1985)가 사회경제적 지위의 높음이 청소년 발달에 긍정적 인 요인이라는 보고나, Sears, Maccoby, Levin(1957)의 중·상류층의 어머 니보다 하류층의 어머니가 자녀에게 더 제한적, 적대적인 태도로 대한다는 결과와는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또한, 신란영(1995)이 아버지는 애정차원이 남녀 학생 모두 자기존중감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반면 어머니의 애정은 오히려 자기존중감의 하위 영역 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는 결과와는 부분적으로 일치하며, 한유선 (1996)이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인지 하는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보고와 실업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이 유의미하게 낮아 실업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정혜인(1998)의 결과는 일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고소득 가정의 경우 부모들의 경제적 안정성이 자녀의 교 육이나 생활 전반에 많은 시간과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지게 됨으로 인해 서 자녀들이 안정성,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이는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많 은 영향을 주지만, 저소득 가정의 경우 경제력의 향상을 위해 부모의 노력

이 자녀에게 집중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고 일시적임으로 인해서 자녀 들의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문서에서 自我尊重感에 관한 硏究 (페이지 50-5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