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이론

문서에서 自我尊重感에 관한 硏究 (페이지 15-21)

Ⅱ. 이론적 배경

3.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이론

양육태도란 부모 혹은 부모를 대신할 다른 보호자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 어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내적·외적 태도나 행동이라 할 수 있으며 자녀 의 인성과 행동은 이러한 양육태도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가 할 수 있다(한 종혜, 1980; 송설희, 1994).

자녀의 인지적 특성과 정의적 특성은 부모 또는 대리 부모의 양육태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는 일방적이 아닌 상호보완적인 관계라는 입장에서 부모의 양육태도를 자녀가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느냐 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자녀 양육태도는 부모 자녀간의 관계의 질을 결정해 주고 자녀의 인성적, 정서적, 성격적 세 측면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김경숙, 1988).

Fisherbein과 Aizen(1975)은 부모의 양육태도는 하나의 문화적 양식으로 부모가 자녀의 성장 발달을 위해 기르고 가르치는 양태이며 행동에 대한 경향성과 반응 양식이라고 했다. 이종승(1981)은 양육태도 또는 양육 방식 이란 부모나 부모를 대신한 다른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함에 있어서 일반적

이고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외현적, 내현적 행동이라고 정의하였다.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이론적으로 연구된 것은 거의 최근 의 일이다. 17세기까지만 해도 엄격한 훈육 및 체벌이 가장 효율적인 양육 태도라고 여겼으나 18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소아의학과 심리학의 발달로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변화되기에 이르렀다. 부모-자녀 관계는 1910년이래 프로이드에 의해 체계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그는 초기 경 험이 인간의 일생을 좌우한다고 보았으며, 요람에서의 경험이 잠재 의식화 되어 후일 행동을 좌우하는 원동력을 이루기 때문에 어린이의 인성은 주로 어렸을 때 부모와의 상호 작용에서 빚어진다고 보았다. 프로이드는 범죄 소년에 관한 한 연구에서 어머니의 부정적인 양육태도와 범죄 행동과는 밀 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정원식, 1989).

양육태도에 대한 많은 연구들 중에 부모의 양육태도 배경 요인에 대한 연구가 있는데, Watson(1957)은 부모의 양육태도는 가족 구성이나 가정의 분위기, 경제적 수준, 문화적 배경과 깊은 관계를 가진다고 하여 부모의 양 육태도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Brofenbrenner(1961)는 자녀의 성별에 따라 애정과 권위에 있어서 최적 수준이 서로 다르다고 하였으며, 부모가 이성의 자녀와 동성의 자녀에게 서로 다른 행동을 취하는 것은 문화와 관계없이 공통적인 현상이며, 지각 성향과 양육태도 지각에 있어서 자기 자신의 지각 성향에 따라 부모의 양 육태도는 다를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는 부모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보편적이고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태도나 행동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것은 자녀의 지적, 정의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 양육태도의 유형

자녀가 지각한 양육태도는 자녀의 입장에서 부모나 양육자에 의해 비교 적 일관성 있게 양육하는 양태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하며, 광범위하고 포 괄적인 개념으로 구체적인 연구에 적응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 그래서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유형화하여 중요 차원별로 분류하였다.

(1) 차원론적 접근

차원론적 접근은 양육태도의 차원들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양육태도의 주 요 요인을 규명하고 그것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 는지 보는 것으로 초기의 Symonds(1949)의 2차원 양육태도와 Schaefer(1959)이론이 대표적이다.

Symonds(1949)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처음으로 이론화했던 사람으로 부 모의 양육태도는 수용-거부, 지배-복종의 2개 차원으로 분류했다.

수용은 간섭형과 불안형으로, 지배는 기대형과 엄격형으로, 거부는 소극 적 거부형과 적극적 거부형으로, 복종은 복종형과 익애형의 형태로 분류하 였다. Symonds(1949)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정적으로만 설명되어져 건전 한 측면의 양육태도에 대한 언급이 없이 정상적인 규준에 의한 설명을 하 는 데에는 실패하였다(이원영, 1983).

이에 대하여 Schaefer(1959)는 정상적인 부모의 양육태도를 연구하여 가 설적 원형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자녀 양육에 관련된 각종 변인들 간의 상호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변인들 중에서 서로 밀접하게 관련 있는 요인과 서로 대립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각 변인의 위치를 원형 상에 나 타낸 것으로서, 부모의 양육 행동을 애정과 적대, 그리고 자율과 통제라는 2개의 차원으로 대별하였다.

신춘자(1992)는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성격발달에 대하여 Schaefer(1959)의 연구와 Becker(1964), Medinnus(1967), Mussen(1984) 그 리고 Kagan(1984) 등의 이론과 함께 지지되고 있는 4가지 연구 결과를 보 고하였다. 즉, 애정-자율적인 태도는 가장 이상적이며 바람직한 태도로서 이런 양육태도에서 성장한 자녀는 능동적이고, 외향적, 독립적이며, 사회 적응을 잘 하는 편이다. 애정-통제적인 태도는 자녀에게 사랑을 베풀며 따 뜻하게 대하지만 엄격한 제약을 가하는 양육태도로서 애정-자율적 태도 하에서 성장한 자녀보다는 의존적이고 사교성, 창의성은 적고 인내심이 강 하며 극단적인 모습을 나타낸다. 적의-자율적인 태도는 자녀를 사랑스럽고 따뜻하게 수용하지 못하며, 자녀의 행동에 통제를 가하지 못하고 마음대로 행동하게끔 하는 방임적인 태도이다. Bexker(1964)는 이러한 양육태도 하 에서 성장한 자녀는 공격적이고 자신의 행동 조절에 절제력이 약하다고 지 적하기도 하였다. 적의-통제적인 태도는 자녀를 애정적으로 수용하지 못하 고, 체벌이나 심리적 통제로 독재하려는 태도이며 자녀의 감정 표현을 용 납치 않기 때문에 적대감을 유발시키는 태도이다.

부모의 양육행동차원(PDI: Parenting Dimension Inventory)이라는 다차 원적인 자기 보고식 척도를 통하여 부모의 양육행동과 태도를 평가하였는 데, 양육 방식을 온정·지원, 훈육·통제, 구조라는 세 차원으로 구분한다.

온정·지원은 아동의 투입에 대한 반응성 및 비 제한적 태도를 포함하고, 훈육·통제는 성숙을 요구하고, 통제의 양, 그리고 통제나 훈육의 유형을 포함하고, 구조는 일관성과 가정의 조직을 포함한다.

결국, 차원론적 입장은 애정의 정도와 통제의 정도에 따라 구분하고 있 다고 할 수 있다.

(2) 유형론적 접근

유형론적 입장에서 양육태도를 유형화한 이론가인 Baumrind(1971)는 양 육태도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에서 양육태도를 권위적·허용적·권유적으로 제시하며, 끊임없이 가정 생활 속에서 반복되는 양육태도는 아동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양육의 차원과 그 차원의 높고 낮음에 따라 수용-참여와 엄격-감독이라 는 권유적, 권위주의적, 익애적, 방임형으로 양육태도를 구분하였다(김순재, 1996).

양육태도와 성격 발달에 있어서 애정적 수용적 태도는 정상적이며, 외적 거부는 공격성이나 정서의 박약, 완전주의적 태도는 욕구불만, 자신감 결 여, 강박 관념을 갖게 하며, 과보호는 성숙이나 독립성을 저해한다고 하였 다. 김성연(1981)은 부모가 자녀를 신뢰하고 애정적일 때 긍정적인 자아가

형성되며, 자녀를 불신하고 거부적일 때는 부정적인 자아 개념이 형성된다 고 하였다. 유안진과 서봉연(1982)은 부모가 과잉보호하거나 엄격하고 지배 적이거나, 지나친 기대를 갖거나, 거부적일 때 부정적인 성격과 행동특성을 보인다고 지적하고 수용적인 태도로서 자녀가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긍정적 인 특성을 지닐 수 있게 해야한다고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양육태도는 차원론의 실질적 이용과 유형론 의 변형 및 확장 그리고 두 차원의 절충 형식의 접근들이 등장하고 있다.

한편 Schaefer(1959)가 수정한 척도를 지향하여 요인 분석한 결과로 수 용 대 거부(acceptance vs rejection), 엄격한 통제 대 느슨한 통제(firm control vs lax control)의 네 요인을 구하였다. 부모의 행동 모델을 긍정적 대 부정적 행동(positive vs negative), 능동적 대 수동적(active vs passive) 행동으로 나누었고, Roe와 Sienglman(1963)은 자녀의 양육태도에 대한 자녀의 보고서를 요인분석 하여 애정 대 거부(loving vs rejecting), 방임 대 요구(casual vs demanding), 관심(attention)의 세 차원을 구하였 다.

우리 나라 연구로는 오기선(1965)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거부적, 지배적, 보호적, 복종적, 모순 불일치의 태도 등 5개 차원으로 나누었으며, 박성연 (1989)은 합리적인 지도, 애정, 권위주의적 통제, 과보호, 성취, 적극적 참 여, 일관성 있는 규제의 7가지로 양육태도를 분류하였다. 오성심과 이종승 (1982)은 Schaefer(1959)의 2차원 원형 모형을 토대로 애정-적대, 자율-통 제, 성취-미성취, 합리적-비합리적의 4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여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으로 양극화시킨 유형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부모의 양육 태도 차원을 거의 망라하였으며, 부모의 양육태도를 자녀가 지각한 입장에 서 설명하였다.

문서에서 自我尊重感에 관한 硏究 (페이지 15-2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