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의 부가가치기준무역 최근 동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의 부가가치기준무역 최근 동향"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의 부가가치기준무역 최근 동향

◇ (DVA와 FVA) 수출에서 FVA의 비중은 감소했으나, OECD나 G20 평균보다 높음

* DVA: domestic value added/ FVA: foreign value added

ㅇ 업종별 수출금액 중 FVA의 비중은 원자재와 ICT 업종이 높음 ㅇ 총 수출금액에서 DVA+FVA를 합한 비중이 높은 업종(주력 수출

산업)은 정보통신-전자, 자동차, 화학-의약 순서임

ㅇ 부가가치의 최종소비 기준 DVA의 30%가 해외에서 소비됨

◇ (중간재 무역) 총 수입금액(제조업+서비스업)의 50%가 다시 수출 되었음

◇ (서비스 무역) 수출 중 서비스(service content) 비중은 2015년 34%로 10년 전과 비슷하며, OECD 평균 54%보다 크게 낮음

◇ (무역 파트너) 수출금액보다 많은 DVA가 미국에 수출되었으며, 수입금액보다 많은 FVA가 미국으로부터 수입됨

ㅇ DVA가 재수입되는 비중은 중국 60%, 베트남 9%, 일본 5% 순서 ㅇ 해당국가의 제조업 수출 중 DVA(한국)가 높은 국가와 그 비중은

베트남 5.4%, 슬로박 3.4%, 중국 2.4%임

※ OECD의 ‘부가가치기준무역 2018년 업데이트’의 한국 자료를 요약

(2)

< 부가가치기준무역(TiVA: Trade in Value Added) >

ㅇ 64개 국가, 36개 업종에 대해 부가가치의 국가간 순이동을 분석함 - 최종소비에 기여한 각 국가의 부가가치, 중간재, 서비스 무역이 부각됨

* 별도 표기가 없으면 최신 자료는 2015년 기준임

1. 국내부가가치(DVA)와 외국부가가치(FVA) 트렌드

* DVA: domestic value added/ FVA: foreign value added

□ 수출에서 FVA의 비중은 감소했으나, OECD나 G20 평균보다 높음 ㅇ 또한, 주요 업종별로 FVA의 비중은 10년 전과 유사함

2005 2011 2016 OECD 평균 G20 평균

FVA 비중 32% 42% 30% 25% 16%

□ 업종별 수출금액 중 FVA의 비중은 원자재와 ICT 업종이 높음

ㅇ 높은 순서대로 석탄-석유류 제품 73%, 금속 40%, 정보통신-전자 35% 등임(나머지는 DVA임)

□ 총 수출금액에서 DVA+FVA를 합한 비중이 높은 업종은 정보통신- 전자, 자동차, 화학-의약 순서임

ㅇ 이들 업종의 DVA는 정보통신-전자 15%(FVA는 8%), 자동차 8%, 화학-의약 5%임

□ 부가가치의 최종소비 기준 DVA의 30%가 해외에서 소비됨

ㅇ 제조업에서 DVA의 해외소비는 2016년 60%로 증가(2015년 52%) ㅇ 서비스업에서 DVA의 해외소비는 2016년 20%가 안됨

(3)

2. 중간재 무역

□ 총 수입금액(제조업+서비스업)의 50%가 다시 수출되었음

2005 2015 OECD 평균

수입의 수출비중 44% 50% 45%

ㅇ 이러한 중간재(intermediate inputs)는 제조업에서 55%로 증가함 ㅇ 업종별로 이러한 중간재 비중은 정보통신-전자 72%, 자동차 64%,

전자부품 63%로 높음 3. 서비스 무역

□ 수출 중 서비스(service content) 비중은 2015년 34%로 10년 전과 비슷하며, OECD 평균 54%보다 크게 낮음

ㅇ 제조업 수출에서 서비스부가가치(service value-added content)도 25%에 불과함

- 업종별로는 식음료 31%, 기타제조업 29%, 수송장비 29% 순서임

(4)

4. 무역 파트너

□ 수출금액보다 많은 DVA가 미국에 수출됨

(상위 3위 수출국) 중국 미국 일본

금액 기준 33% 13% 5%

부가가치 기준 25% 18% 5%

□ 수입금액보다 많은 FVA가 미국으로부터 수입됨

(상위 3위 수입국) 중국 미국 일본

금액 기준 21% 13% 9%

부가가치 기준 18% 16% 8%

(5)

□ DVA가 재수입되는 비중은 중국 60%, 베트남 9%, 일본 5% 순서임

□ 해당국가의 제조업 수출 중 DVA(한국)가 높은 국가와 그 비중은 베트남 5.4%, 슬로박 3.4%, 중국 2.4%임

5. 관찰

□ FVA의 현저한 감소

ㅇ 국내 핵심 제조업 경쟁력은 지속 강화(정보통신, 전자, 자동차, 화학)

ㅇ 다만, 핵심 제조업의 모습은 10년 전과 같음

□ 중간재 수출의 증가

ㅇ 국내 핵심 제조업의 GVCs 편입이 보다 가속화됨

□ 서비스업의 DVA 정체

ㅇ 서비스업의 경쟁력이 여전히 취약함

ㅇ 서비스업에서 DVA 확대없이는 OECD 평균의 DVA 달성에 어려움

□ 무역 파트너 분석

ㅇ 중국이 제 1의 교역 파트너이나, TiVA 상에서 미국이 중요 ㅇ 中, 美, 日 이외에 GVCs상 핵심국가는 베트남, 슬로박임

※ 작성: 김용태 1등서기관(원소속: 산업통상자원부), ytkimm18@mofa.go.kr

참조

관련 문서

북한농업 동향 북한의 대외 교역 동향 대북 지원 및 교류 협력 동향 북한의 경제 및 농업 관련 연구 부록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NORTH KOREA..

북한농업 동향 북한의 대외 교역 동향 대북 지원 및 교류 협력 동향 북한의 경제 및 농업 관련 연구 부록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회의 다자성 양자원조의 동향, 주요 공여국의 다자성 양자원조 정책 기조, 한국의 농업 ODA 사업의 목표 등의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다자성 양자원조의 정책 추진

• On November 09, 2017, the Designated Authority terminated the initiation of sunset review investigation against China PR for CTF, pursuant to a court order

- 제시문 [나]는 최근 한국의 식량자급률을 나타내고 있 는데 여기서 한국은 전체적으로 매우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음이 드러나고 있다. 특히 밀 등의 자급률이

∙최근 노조활동이 강화되고 있는 한국의 현실은 임금의 유연한 수급조정 기능을 기대하기 어렵게 하고 있음.. 구직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임금이

본 강좌는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론과 세계적인 최근 동향과 추세를 이해함으로써 한국의 국제개발협력의 실천 당위성을 이해하고 관련 자격증 취득 및 진로탐색의

본 보고서는 On-Demand Service &amp; Tech Platform* 관련 5대 영역에서의 최근 동향 및 주요 비즈니스 모델 등을 살펴 봄으로써 온디멘드 영역에 대한 관심 고취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