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구축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구축방안"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구축방안

신동빈|국토연구원 연구위원

5

머리말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공간정보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구축된 공간정보를 공유하며, 다양한 공간 정보 활용기술을 빠르게 개발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공간정보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와 개발의 노력을 지 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조직 간 혹은 이를 조금 확대해석하여 국가 간의 공간정보에 대한 데이터 공동이용과 연구협력체계로 확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글로벌 연구협력체계 구축은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연구결과의 생산을 통해 국가의 지식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수기반이라고 할 수 있다. 실효성 있는 글로벌 연구협력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기존에 외국에서 구축된 선행 사례와 우리나라의 경험 및 현황분석을 통하여 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공간정보 관련 국가 간 연구협력체계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고 국 내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여건의 분석을 통하여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구축 사례

전 세계적으로 교육, 과학, 의료,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 간 연구협력체계의 필요성을 인 식하고, 협력체계를 구축・운영하는 사례를 살 펴볼 수 있다. 물론 공간정보와 관련된 분야에서

도 다양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

이 글에서는 공간정보 관련 국제 협력체계를 마련하고 진행 중인 유럽의 공간정보 데이터 공 동 연구기구 EuroSDR(European Spatial Data Research)과 아시아 지역의 환경문제를 범지구 적으로 연구하고 데이터를 공동 이용하는 Sentinel Asia를 대표적 사례로 살펴보았다.

국내의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는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 기본계 획에 의거하여 다양한 산학연기관 들이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되었으 며, 특히 국토연구원에서는 지난 15년간 GIS 국제세미나를 개최 하며, 매년 진행된 연구결과가 국 내외적으로 공유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 이에 대한 사례 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 EuroSDR

EuroSDR은 1953년에 파리에서 설립된 유럽의 공간정보 관련 공 동 연구조직으로 현재 사무국은 아일랜드에 설립되어 있다.

EuroSDR은 유럽 17개국의 국가공간정보 생산 및 연구를 진 행하는 대표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변화와 정보통신기술

<그림 1> EuroSDR 회원국

<그림 2> EuroSDR 홈페이지

1) UN-GGIM(UN 공간정보관리 전문가위원회), PCGIAP(아시아태평양 GIS 정보기반 구축 상설위원회) 등의 협력이 진행 중이다.

(3)

5

의 발전에 힘입어 공간정보 분야의 발전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국제협력을 통하 여 공간정보 제작, 관리 및 유통과 관련한 각종 분야에 대한 연구결과를 연결해주 고 있다.

<그림 1>은 EuroSDR의 17개 회원국2)을 나타내며 EuroSDR에는 유럽연합 27 개 나라 중 63%가 참여하고 있다. <그림 2>의 EuroSDR 홈페이지에서는 EuroSDR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3), 향후 연구계획, 소식지 등의 다운로드, 현재 진 행 중인 연구목록과 진행과정 등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EuroSDR은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CEN(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등의 국제표준 및 규격에 대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공 동연구에 대한 워크숍 개최 및 관련 공식 연구보고서를 출간하고 있다. 공동연구 는 <표 1>과 같은 5개의 주제별 분과위원회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각 분과위

<표 1> EuroSDR 분과위원회 구성 및 연구주제 분과구분

Commission 1

연구주제(일부요약) 센서, 초기 정보취득 및 지오레퍼런싱

•센서 오리엔테이션과 보정

•지구관측 플랫폼

•센서 오리엔테이션과 보정의 표준

Commission 2

Commission 3

Commission 4

Commission 5

영상분석과 정보 추출

•다중 분광, 다중센서, 다중 해상도 영상의 정보 내용

•공간정보의 품질 표현과 자동 취득을 위한 방법 및 알고리즘

•영상 및 추가 정보로부터 공간정보의 통합취득 및 갱신 방법론 생산체계와 절차

•반자동, 자동 지형 추출

•현재 생산공정의 성능향상 방안

•생산절차의 품질확보 방안 데이터 시방서

•서로 다른 자료원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와 정보의 호환성 확보 구조

•서로 다른 정보의 연계 및 통합

•기존 정보를 활용하여 소축척 정보의 생성 네트워크 서비스

• 핵심정보에 대한 요구조건의 조화

• 모바일통신과 분산 공간정보기반에 대한 새로운 정보제공 방법

• 정보의 품질을 나타내는 메타데이터의 제공 방법 및 메커니즘

2) EuroSDR 회원국은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벨기에,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덴마크, 핀란드, 아일랜드, 이탈리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3) EuroSDR 홈페이지는 www.eurosdr.net. 분과위원회 구성, 워킹그룹, 운영진, 회원, 최근연구, 완료된 워크숍 소식, 발간간행물, 교육과정 등 소개.

(4)

원회는 상호협력을 통하여 분과위원회의 개별 연구에 도움을 주고 있다.

2. Sentinel Asia

Sentinel Asia는 아시아・태평양 우주기관포럼 (Asia-Pacific Regional Space Agency Forum:

APRSAF) 주도로 설립된 지원기구로서, 지구관 측 위성데이터에 Web-GIS와 공간정보기술을

적용하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재난관리 활동 을 지원한다.

현재 Sentinel Asia에는 24개 국가 및 지역의 67개 기관과 11개의 국제기구, 총 78개 기관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Sentinel Asia는 프로 젝트의 진행을 위하여 태국 방콕과 일본 도쿄에 서 기구를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항공 우주연구원이 참여하고 있으며, 정보를 제공해

<표 2> Sentinel Asia 회원 현황 국가 및 지역

Australia

참여기관

CSIRO Office of Space Science and Applications(COSSA) 외 2개 기관 NO.

1

Bangladesh Bangladesh Space Research and Remote Sensing Organization(SPARRSO) 2

Bhutan Ministry of Home & Cultural Affairs외 2개 기관 3

Brunei Survey Department, Ministry of Development 4

Cambodia Ministry of Land Management, Urban Planning and Construction 5

China National Disaster Reduction Center of China(NDRCC)외 4개 기관 6

Fiji Fiji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Office(NDMO) 7

India Indian Space Research Organisation(ISRO)외 2개 기관 8

Indonesia National Coordinating Board for Disaster Management(BAKORNAS PBP)외 4개 기관 9

Japan Keio University외 4개 기관 10

Kazakhstan National Center of Space Reseaches and Technologies(NCSRT) 11

Korea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KARI) 12

Kyrgyz Central Asian Institute of Applied Geosciences(CAIAG) 13

Lao P.D.R Ministry of Labor and Social Welfare외 1개 기관 14

Malaysia National Security Division, Prime Minister's Department외 2개 기관 15

Mongolia National Remote Sensing Center of Mongolia(NRSC) 16

Myanmar Department of Meteorology and Hydrology외 1개 기관 17

Nepal Department of Water Induced Disaster Prevention외 2개 기관 18

Philippines Office of Civil Defense-National Disaster Coordinating Council(NDCC)외 7개 기관 19

Singapore Centre for Remote Imaging, Sensing and Processing(CRISP),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0

Sri Lanka Survey Department of Sri Lanka외 1개 기관 21

Taiwan National Applied Research Laboratories(NARL)외 1개 기관 22

Thailand Geo-Informatics and Space Technology Development Agency(GISTDA)외 6개 기관 23

Vietnam Vietnamese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VAST)외 4개 기관 24

International

Organization Asian Institute of Technology(AIT) 외 10개 기관 25

주: Sentinel Asia 회원기관 상세현황은 https://sentinel.tksc.jaxa.jp/sentinel2/MB_HTML/JPTMember/JPTMember.htm 참조.

(5)

5

주는 데이터 프로바이더 노드(DPN)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아시아・태평양 우주기관포럼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재난관리 지원을 위 하여 Web-GIS 매칭도구를 통하여 지구를 관측하고 그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급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제안하였다. 이 프로젝트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와 공간기술을 이용한 사회 안전성 향상, 방재에 대한 조기경보의 속도와 정확도의 향상, 사회・경제적 손실과 피해의 최소화다.

Sentinel Asia의 주요 활동은 지구 관측위성을 이용한 주요 재해의 관찰, 재해 지역에 대한 관측요청 접수, 산불 및 홍수 모니터링, 재해관리를 위한 위성영상 활용방안 구축으로 나타난다. Sentinel Asia는 2006년 10월 홈페이지 서비스를 개시하여 이러한 활동들을 지원하기 시작하였다.4)

Sentinel Asia는 지구 관측 위성데이터를 최대 한 활용할 수 있도록 원 격감지기술과 GIS기술, ICT를 활용하여 아시 아・태평양 지역의 재해 를 관리하고, 그 정보를 공 유 할 수 있 도 록 APRSAF가 주도하는 가 운데 자발적인 사업으로 진행되었다. Sentinel Asia의 다양한 서비스의 개념은 <그림 5>와 같다.

Sentinel Asia는 <그 림 6>에 나타난 바와 같 이 국제적 커뮤니티 ( U N / E S C A P , UN/OOSA, ASEAN 등), 재해감소 커뮤니티

<그림 4> Emergency Observation 사례

4) 홈페이지는 http://dmss.tksc.jaxa.jp/sentinel. Sentinel Asia 소개, Web GIS, 재난관리 공간정보 구축현황, 프 로젝트 관련 문서 제공.

<그림 3> Sentinel Asia 홈페이지

(6)

(아시아재해저감센터 및 회원국), 우주공간 커 뮤니티(APRDAF) 및 디지털 아시아 커뮤니티 (게이오대학교 등)가 협력하여 Sentinel Asia 프 로젝트 공동팀을 구성・운영하고 있다.

Sentinel Asia에 회원으로 참여하는 것만으 로도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재해 관련 데

이터와 이미지를 공동 활용할 수 있는 공유체계 가 갖춰져 있다. Sentinel Asia의 디지털지도는 아시아 전체 면적을 표현하는 100만개 이상의 데 이 터 가 NGA(National Geospatial- Intelligence Agency)에 의해서 게이오대학교의 서버에 제공되어 공동활용되고 있다.

<그림 5> Sentinel Asia의 개념도

<그림 6> Sentinel Asia의 협력프레임

(7)

5

3. 한국의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우리나라는 1995년부터 국토해양부의 주도하에 국가공간정보정책을 5년 단위로 수립(현재 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추진 중)하고, 공간정보에 대한 신기술, 산업 전 망에 따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공간정보 분야에서 국제적인 연구협력체계를 구성하고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체계적인 준비와 역량 강화가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진행되었던 국가지리정 보체계 구축사업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은 단계별로 추진되었으며, 1단계는‘GIS 기반조 성’, 2단계는‘GIS 활용확산’, 3단계는‘GIS 연계통합’에 목표를 두었다.

1단계는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진행되었으며, 지형도, 공통주제도, 지하시 설물도 및 지적도 등을 수치지도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사업 등 국가공 간정보의 기초가 되는 국가기본도 전산화에 주력하였다. 2단계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진행되었으며, 1단계에서 구축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응용 시스템을 구축・활용하는 데 주력하였다. 3단계는 2006부터 2009년까지 진행되 었으며, 부분별・기관별로 구축된 데이터와 응용시스템을 연계・통합하여 시너 지 효과를 제고하는 데 주력하였다.

2010년부터는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공간정보분야의 체계적 발전을 이루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표 3>은 그동안 진행되었던 우리나라의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을 간략하게 요약한 내용이다.

또한 국제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공간정보의 생산・관리 및 연구에 관한 다양한 형태의 국제세미나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세미나는 외국의 전문기관(OGC, ISO, PCGIAP, UN 등)과 국내외 공간정보 전문가의 참여로 진 행되어왔다.

특히 공간정보 연구에 대한 국제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1996년부터 국 토연구원 주도의 공간정보 연구 관련 국제세미나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2011년 현재 15회를 맞이한 GIS 국제세미나는 국내의 다양한 주제는 물론이고 외국에서도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정책, 제도, 기술, 산업, 활용 등에 대해서 심도 있는 주제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우리나라보다 오랜 공간정보 관련 경험을 가진 국가에서도 참여하고, 공간정 보 분야에 새롭게 진입하고 있는 아시아 국가에서도 많은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요 국가의 공간정보 관련 연구개발정책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8)

기회를 공유하고 국내외의 다양한 연구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공간정보에 대한 국제협력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 다. 이제까지 국토연구원에서 수행했던 GIS 국 제세미나의 현황은 <표 4>와 같다.

국내 공간정보분야의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GIS 국제세미나는 공간정보에 대한 정책과 활용 분야, 신기술, 산업 분야의 다양한 주제들에 대 하여 유럽, 미주, 아시아의 15개국 전문가와 공 간정보산업을 주도하는 기업 관계자 등 200인 이상이 참여하여 의견을 교류해왔다.

그러나 1년에 1회 개최되는 국제세미나에서 다룰 수 있는 연구의 주제와 연구의 내용, 공간 정보 연구협력체계 구축 등에 있어서 한계가 있 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이렇게 1년 에 1회씩 모여서 주제를 발표하고 토론을 하는 형식으로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회적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국가간에 진행 되는 다양한 연구개발 결과를 공유하는 데 있어 서도 시간의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개선 책을 제시하였다.

<표 3> 1, 2, 3차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 내용

구분 1차 국가GIS 사업 2차 국가GIS 사업 3차 국가GIS 사업

지리정보 구축

•지형도, 지적도 전산화

•토지이용현황도 등 주제도 구축

•도로, 하천, 건물, 문화재 등 부문 기본 지리정보 구축

•국가・해양기본도, 국가 기준점, 공간영상 등 구축 중

응용 시스템

구축

•지하시설물도 구축 추진 •토지이용, 지하, 환경, 농림, 해양 등 GIS 활용 체계 구축 추진

•3차원 국토공간정보, UPIS, KOPSS, 건물 통합 등 활용체계 구축 추진 중

표준화

•국가기본도, 주제도, 지하 시설물 도 등 구축에 필요한 표준제정

•지리정보 교환, 유통 관련 표준 제정

•기본지리정보 1건, 지리정보구축 13건, 유통 5건, 응용시스템 4건 의 표준 제정

•지리정보표준화, GIS국가표준체 계 확립 등 사업 추진 중

기술개발 •맵핑기술, DB Tool, GIS S/W 기술개발

•3차원 GIS, 고정밀 위성영상처리 등 기술개발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을 통한 원천기술 개발 중

인력양성 •정보화근로사업을 통한 인력양성

•오프라인 GIS 교육 실시

•오프라인 및 온라인 GIS교육 실시

•교육교재 및 실습 프로그램 개발

•오프라인 및 온라인 GIS교육 실시

•교육교재 및 실습 프로그램 업데이트

유통 •국가지리정보유통망 시범 사업 추진

•국가지리정보유통망

구축, 총 139종, 약 70만 건 등록

•국가지리정보유통망 기능 개선 및 유지관리 사업 추진 중

지원연구 •국가GIS 구축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지원연구 과제 수행

•국가GIS 현안과제 및 중장기 정책지원과제 수행

•2007년까지 국가GIS 현안 과제 수행, 2008년 변화된 정책 환경 지원을 위한 지정과제 수행 주;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참조.

(9)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구축방안

앞에서 검토한 외국의 사례에서는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들이 회원국가 및 기관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분야별 전문성을 확보하 여 국제적 경쟁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실정은 해외 전문가 의 자발적 참여가 아니라 주요 이슈에 대해 해외 전문가를 초청하고 그 의견을 수 렴하는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공간정보 연구에 대한 국제협력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선 국내 공간정보 관련 기관 간의 연구협력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연구기관 과 함께 국제공동연구, 공동세미나 등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국내 연구수준을 제고하고 국제학술교류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국제적 연구협력체계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협력체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 여건상 국가공간정보의 생산・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국토해양부와 국토지리정보원, 국가공간정보에 대한 연구를 주관하는 국토 연구원 등이 주축이 되고 관련 연구기관, 대학 등이 협력하여 국내 연구협력체계

5

<표 4> 국토연구원 GIS 국제세미나 개최현황 회차

1회차(1996년)

주제 국가GIS 구축방안 2회차(1997년) 공공부문GIS 활용방안

21세기를 향한 GIS 발전전략 3회차(1998년)

4회차(1999년) 5회차(2000년) 6회차(2001년) 7회차(2002년) 8회차(2003년) 9회차(2004년) 10회차(2005년) 11회차(2006년) 12회차(2007년) 13회차(2008년) 14회차(2009년)

15회차(2010년)

분야 국가공간정보 구축 공공분야의 공간정보 활용 공간정보 미래 전망 지방자치단체의 GIS 활용방안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한 국가GIS 정책 및 기술개발 방향

GIS기술의 현재와 미래 발전전략

지방행정의 공간정보 활용 국가공간정보 정책 공간정보 신기술 전망

GIS워크숍 공간정보 산업 전망

사이버국토 구축과 전자정부 발전방안 사이버 공간정보 구축

GIS 기반 방재국토 구현전략 방재분야의 공간정보 활용

유비쿼터스 시대를 향한 국가 GIS 추진전략 유비쿼터스 공간정보 활용 공간정보사회를 위한 GIS 협력체계 구축전략 공간정보 지원분야 발굴 국토정보의 통합적 활용을 위한 NSDI

정책방향 국가공간정보정책

공간정보 산업의 동향과 전망 공간정보 신기술과 산업전망

스마트국토 구현을 위한 공간정보 활용방안 스마트국토를 위한 공간정보 활용

글로벌 공간정보사회 구현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공간정보분야의 국제협력방안

(10)

를 우선 마련하고 중장기적 계획을 통하여 글로 벌 연구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1. 국내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의 강화(1단계)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의 마련을 위해 서는 우선 국내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의 강화 가 필요하다. 현행 공간정보 관련 연구는 국가 주도로 각 연구기관과 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 관련 R&D사업을 확대 지 원하고, 분야별 국제세미나 활용을 통하여 분야 별 연구정보를 공유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공간정보 관련 국제협력체계 구축이 용이한 국 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의 지원을 받아 국토 연구원과 같은 공간정보를 연구하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주관하고 서로 협력하여 국내 공간 정보 연구협력체계를 관리할 수 있는 틀을 마련

하고, 대학 및 기업부설 연구소 등의 자발적 참 여를 유도하여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를 위한 초석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그림 7>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의 단계별 구축방안의 1단계 참조).

2. 아시아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구축(2단계)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서는 1단계에서 마련된 국내 연구협력체계를 지 원하는 기구와 아시아 지역의 다자간 연구협력 체계가 이루어지는 형태의 연구협력체계를 구축 할 필요가 있다. 이에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GIS 국제세미나 등의 연구협력체계를 활 용하고 제도적으로 국제 연구협력체계를 마련하 기 위해 아시아 다른 국가들과 MOU 등의 협약 을 실시한다. 아시아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는 협약 국가 및 연구기관 간의 활발한 파트너십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8>은 <그림 7>의 2

<그림 7>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의 단계별 구축방안

3단계: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구축

2단계: 아시아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구축

1단계: 국내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강화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연구원

대학 공간정보연구소

아시아지역 공간정보

관련 연구기관

및 국가

유럽, 미주지역 공간정보 관련 연구기관 및

국가

(11)

5

<그림 8>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의 2단계 구축방안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 아시아 공간정보

관련 연구소

관련 연구소 대학 및 기업 Research

Institutes

College/

University

국토지리정보원 Gov. NGI

단계를 상세히 표현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가공간정보정책을 지원하는 국토해양부와 국토지리정보원이 아시아 다른 국가들과 정부차원의 국가 간 협력을 진행하며, 공간정보 연구협력 주관기관들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협력을 진행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를 지 원하기 위해 관련 연구소나 대학 및 기업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물론 각 나라마다 정부영역에서 역할을 하는 기관들의 명칭이 달라질 수 있으며, 우 리나라에서도 반드시 국토연구원이 연구협력 주관기관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공간정보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 신연구원 등 여러 기관들이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협력체계의 구축을 통해서 상시 연구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제 안한다.

3.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구축(3단계)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의 구축을 위해서는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 계와의 협력을 유도해야 한다. 유럽, 북미 등의 공간정보 관련 연구협력체계와의 공동연구 및 국제세미나 등을 수행하여 연구협력체계의 틀을 마련하고, 제도적 협력을 통하여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를 구축한다(<그림 7> 3단계 참조 및 <그림 8>의 아시아 영역을 글로벌 영역으로 확장).

(12)

맺음말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의 구축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라고 인식할 필요가 있 다. 선진외국의 경험과 기술을 접목하고, 개발을 위해 노력 중인 외국에는 우리의 기술과 경험을 전파하여 서로가 가진 공간정보 인프라를 충분 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국가 간의 공간정보 관 련 격차가 점차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상호협력 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아직까지 공간정보 관련 모든 분야에 대해 글로 벌 연구협력체계를 구축하기는 힘들 것이다. 따 라서 순차적으로 연구분야를 확장해야 할 것으 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 공간정보의 경쟁력은 국토해양 부가 주축이 되어 지난 15년간 진행한 국가공간 정보정책 기본계획에 의거하여 탄탄하게 추진되 어왔다. 이와 더불어 관련 중앙부처 및 지자체, 국토연구원 및 관련 연구기관, 대학들이 주축이 되어 GIS기술에 대한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고 10여 년 동안의 국제세미나, 심포지엄 및 워크숍 등을 통하여 국제적 협력체계의 기반을 마련해 놓았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의 기반을 토대로 2013 년까지 국내의 연구협력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이후 2016년까지 제2단계 아시아 지역의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구축을 위하여 노력하고 협력할 것을 제안한다. 제3단계 글로벌 공간정 보 연구협력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유럽, 미주 지 역 연구협력체계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2020년까지는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공간정보에 대한 연구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 기관의 노력보다는 다양한 국 가, 다양한 기관들의 협력이 필요하며 국가 간 공간정보에 대한 기술과 지식을 개방해야 한다.

글로벌 공간정보 연구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 분야로는 국제적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분 야(지속가능 개발, 녹색성장, 재난재해, 스마트 도시), 공간정보 신기술분야(플랫폼기술, 고정 밀 공간정보 구축기술)부터 공동연구를 시작할 것을 제안한다.

참고문헌

http://www.opengeospatial.org.

http://www.iso.org/iso/home.html.

http://www.cen.eu/cen/pages/default.aspx.

http://www.eurosdr.net/start.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953492.

http://dmss.tksc.jaxa.jp.

http://www.krihs.re.kr.

참조

관련 문서

현재 조사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오류수 정 및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 작업과 지금까 지 조사과정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향후에는 조사결과 분석을 통한

농협 조직 구조의 변화로는 조합 간 합병 뿐 아니라 다양한 조합 간 연합체가 발달 하고 있으며, 회원조합간의 농산물 판매를 조정(coordination)하고

 a8 =&lt;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4  Ú    GH &amp; () PPP .  

ㅇ 사용후핵연료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직접처분 연구와 함께 대안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도 수행되어야 함. - 사용후핵연료 안전관리는 원자력에너지를 이용하는 한 세대를

이를 위해 우선 개발도상국의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의 현황, 미래전망 등 수요특 성이 파악되어야 한다.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은 정책적 의사결정에

정책지원내용으로는, 공간정보 취약계층의 생활 ․ 이동편의 증진에 기여하는 공간정 보 콘텐츠 구축지원, 공간정보 취약계층의 생활 ․ 이동편의 증진에 기여하는 공간정보

[r]

 다양한 형태의 협력을 허용하는 웹 기반의 글로벌 활동 영역이 만들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