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Realization Strategies of New Digital Convergence Space(Ⅲ)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The Realization Strategies of New Digital Convergence Space(Ⅲ)"

Copied!
15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Ⅲ) -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추진사례를 중심으로 -

The Realization Strategies of New Digital Convergence Space(Ⅲ)

- Focusing on the Case of New Digital Convergence Space -

(2)

국토연 2011-52-1․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III) 실제편

지은이․정문섭․조춘만․김민철․김소라․송미경 / 펴낸이․ 박양호 / 펴낸곳․국토연구원 출판등록․제2-22호 / 인쇄․2011년 12월 24일 / 발행․2011년 12월 31일

주소․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254 (431-712)

전화․031-380-0114(대표), 031-380-0426(배포) / 팩스․031-380-0470 ISBN․978-89-8182-889-9

한국연구재단 연구분야 분류코드․B170500 http://www.krihs.re.kr

Ⓒ2011, 국토연구원

*이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국토연구원의 자체 연구물로서 정부의 정책이나 견해와는 상관없습니다.

(3)

국토연 2011―52-1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Ⅲ) -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추진사례를 중심으로 -

The Realization Strategies of New Digital Convergence Space(Ⅲ) - Focusing on the Case of New Digital Convergence Space -

정문섭․조춘만․김민철․김소라․송미경

(4)

연 구 진

연구책임 정문섭 GIS연구센터장 연구진 조춘만 책임연구원

김민철 연구원 김소라 연구원 송미경 연구원

연구심의위원 손경환 부원장 (주심)

류재영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장 사공호상 선임연구위원

이상건 선임연구위원 임은선 연구위원

이상역 국토해양부 사무관(외부) 최용복 제주대학교 교수(외부)

연구협의(자문)위원 고준환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권준철 한국유비쿼터스도시협회 센터장 김태진 충주대학교 교수

민세희 랜덤웍스 대표이사 서봉상 ㈜올포랜드 대표이사 손 철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안재학 통계개발원 사무관 이득우 ㈜유비스티 대표

(5)

P ․ R ․ E ․ F ․ A ․ C ․ E

발 간 사

현재 추진 중인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은 광역화․특성화를 통한 지역경쟁력 강화, 인구․사회구조변화를 반영한 사회인프라 확충,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글로벌 거점기능 강화 등의 새로운 국토정책을 중심으로 글로벌 녹색국토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선진형 글로벌 녹색국토 구현을 위해서는 국토 공간을 구성하는 인간활동과 정주공간 및 자연 생태계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미래예측이 요구되며, 그 추진을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국토공간정보정보인 프라의 구축이 무엇보다 먼저 선결되어야할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지난 20세기 후반 이후부터 갑작스러운 컴퓨터 기술 및 활용서비스의 눈부신 발전에서 비롯된 정보통신기술의 진화는 디지털 융합(Digital Convergence), 유비 쿼터스(Ubiquitous),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등 다양한 기반기술 간 융 복합적인 발전으로 그 패러다임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국토공간의 관리 및 활용을 위한 새롭고 강력한 전문 기술개발과 방법론의 개선 을 위한 매우 새로운 전기로서 작용하고 있다. 국토공간과 그것을 구성하는 인구 및 정주공간에 관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의 확보 및 분석 그리고 미래예측 등 추진을 통해, 주거, 교통, 문화,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성 있는 정책적 성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마트 사회에 첨단교통체계 구축사업(ITS)으로 대표되는 공간정보 수요와 정보통신기술의 새로운 융복합적 패러다임이 또 다시 새롭게 부각되고

(6)

있다. 이에 종합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 방법론에서 탈피하여 실제 사용자 중심의 정보화 및 서비스화의 노력이 무엇보다 강조되어 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이미 다양한 세대에 널리 퍼진 스마트 기기들의 광범위한 활용은 시민들로 하여금 스마트한 삶의 영역구축 및 외부 세계와의 합리적이고 시공간을 초월한 상호작용이 일상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한 융복합서비스의 발굴 및 일반화를 위해서는 기존의 한 가지 분야에 국한되지 않은 인근 유사분야들 간 끊임없는 융복합화의 노력과 만남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2차년도 까지 추진되어온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시대적 필요성에 근거한 국가공간 정보서비스의 틀을 바꾸는 전기를 마련하는 연구로서, 국토의 스마트한 활용과 국토의 품격을 제고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 사회의 정보 활용 패턴의 두드러진 특성으로서 개인맞춤성과 시공간 초월성 등의 과제는 공간 정보 분야 자체만의 노력으로는 불가능하다. 그 현실적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는 기존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기타 분야의 콘텐츠 등을 엮어 새로운 시공간의 제약을 없앤 차세대 정보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도전의 성과라고 볼 수 있다. 이 러한 노력을 통하여 가상국토의 재창조와 현실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이며 관련 산업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에서 제시된 디지털통합국토 추진에 기여하 고 특히 정체되어 있는 국토공간정보화사업의 활력소로써 국토공간정보화사업 추진에 일조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 동안 본 연구에 연구책임자로 참여한 정문섭 연구위원과 조춘만 박사 및 김민철․김소라․송미경 연구원 등 연구진의 열정과 노고를 치하하며 연구수행 과정에서 적극적인 협조를 아끼지 않은 관련기관의 공무원과 전문가 여러분에게 특별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1년 12월 국토연구원장 박양호

(7)

F ․ O ․ R ․ E ․ W ․ O ․ R ․ D

서 문

디지털융합(Digital Convergence)으로 대표되는 오늘날의 스마트 사회에는 디지털 기술 활용의 고도화를 기반으로 삶의 환경이 전반적으로 첨단화되어 다양한 산업 컨버젼스의 추세가 가속화되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는 한 개 분야의 자체적 효용성보다는 그것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산업분야가 융합되어 활용되고 다양한 신기술 산업화에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대임을 의미하기도 한다. 정보화 패러 다임의 측면에서 볼 때, 생산자 중심의 체계에서 정보수요자의 기호에 맞게 공간 정보의 생산의 틀이 달라지고 있는 것도 스마트 사회의 가장 큰 특성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사회의 공간정보 활용패턴의 변화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 양한 융복합 공간정보활용 서비스 개발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협력적 노력 역시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 와 있다.

사실상 그동안의 공간정보 활용패턴은 공공의 다소간 일방적 데이터 구축 및 유통체계 제공 및 서비스화에 머물러 있었던 바, u-City서비스로 대표되는 현실 공간에 지능화 기능을 심어 실제 삶의 공간이 고도화되는 노력이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다. 스마트 사회의 국토공간 유비쿼터스화라는 대전제 하에 공간정보가 어떻게 첨단 국토공간서비스 화에 기여하고 발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첨단국토 공간 개념 및 서비스화 방안을 제시하여 시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고 실생활에 다양하게 밀착화된 첨단국토공간 서비스 구현이 요구된다.

(8)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내용과 같이 스마트 사회에 요구되는 공간정보서비스, 즉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구현의 현실적 어려움을 직시하고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국토공간정보화 추진전략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 하여 글로벌 위계의 선도적인 실험사업을 우선 추진하여 국가공간정보정책과 다 양한 관련 분야의 제도적 연계관계 등의 필요성 등에 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사회에 요구되는 공간정보서비스의 특 성을 이동성, 개인맞춤성 및 실시간성 등으로 구체적으로 규정하여 향후 국가가 주도하면서도 공공과 민간이 상호 협력적으로 구현해 가야할 융복합 공간정보서 비스 구현의 기본방향과 구체적 추진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었다.

작년도 연구의 내용은 그동안 추진되었던 국가GIS사업을 기반으로 디지털통합 공간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였다. 국토공간서비스, 법제도적인 측면,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측면, 국토공간정보기술 측면 등을 분석하여 국토공간 정보서비스 확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공간정보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공간범위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글로벌, 국토도시 및 생활공간의 제반 위계에 대한 정책적인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는 통계로 대표되는 다양한 사회·경제 데이터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공간 정보와 연계 또는 통합되어 다양한 분야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를 충족 시킬 수 있을지에 관한 추진전략 수립 등으로 연계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3개 년도에 걸쳐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에 협력해주신 연구협력기관 전문가 여러분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하는 바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디지털통합 공간정보서비스 개념체계와 추진방안 등이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과 범국가적 통합 발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2011년 12월 GIS연구센터장 정문섭

(9)

S ․ U ․ M ․ M ․ A ․ R ․ Y

요 약

이 연구는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Ⅲ)」에서 스마트시대를 대비하는 미래의 공간정보 정책 및 공공의 역할을 찾고자 그리는 미래의 공간정 보서비스 모델을 구체화하고, 실제 추진 사례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효과를 검 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제1장은 실제편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 범위 그리고 연구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2장은 올해 3차년도에 실험사업 으로 추진 중인 글로벌형 디지털통합공간 사례를 소개하였으며, 글로벌 공간정 보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공간정보 데이터․기술․서비스․법제도 측면의 시사 점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국토해양부가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보상시스템의 구축사례를 분석하여 국토정책지원형 디지털통합공간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제4 장에서는 1․2차년도 연구에서 실험구축 사업으로 진행한 안양시 예술공원의 구 축 사례와 시사점 등을 검토하여 생활밀착형 디지털통합공간의 사례를 분석하였 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본 실제편을 종합 정리하여 디지털통합공간의 실현가능 성과 디지털통합공간이 그려갈 미래 모습을 서술하였다.

(10)

제1장 실제편 개요

이 장에서는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제편의 연구배경과 목적, 연구범위 그 리고 연구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국내․외 공간정보 산업의 트렌드는 기본 지리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술과 표준을 기반으로한 인프라 구축․활용 이다. 국내에서도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운영센터」를 설립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을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구글어스(Google Earth), 빙맵(Bing Map) 등과 같 은 외국 공룡기업들의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트렌드로는 공 간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인터넷 포털서비스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들의 등장이 다. 공간정보 측면에서 볼 때 기본지리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공간정보서비스 발 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정 아이디어만 있으면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의 필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된다. 즉, 다양한 융합기술 및 서비 스가 제공되는 스마트시대에 공공의 역할은 개인의 아이디어가 응용프로그램과 Open-API(제작소스)를 통해 발휘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고, 국가 경쟁력 제 고를 위한 벤처기업과 1인기업의 활성화를 위한 여건 조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제편에서는 디지털통합공간이라는 미래의 공간정보서비스 모델을 구체화 하고, 차세대 모델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여 예상되는 문제점을 심 층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범위는 도시․국토․글로벌 단위를 모두 아우르는 지구상 모든 공간을 대상으로 하며, 시간적 범위는 현재 수준에서 적용 가능한 기술과 데이터 를 기반으로 하는 현재 시점부터 향후 5년 혹은 10년 후의 시대이다. 본 연구에서 는 1차년도부터 진행되어온 실험구축 사업을 통해 구축된 결과물을 심층 분석하 여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탐색하며, 외부 공개입찰을 통해 선정된 산업체와의 협동 연구를 통해 실험구축 사업의 성과 극대화를 도모한다.

(11)

제2장 글로벌형 디지털통합공간 실제

국내․외적으로 공간정보의 글로벌화가 급속화 됨에 따라 글로벌 이슈를 다루 기 위한 공간정보 기초 플랫폼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장에서는 이러한 국 제적인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또 다른 형태의 기반인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를 시범적으로 구축해 보았으며, 그 실현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공간정보 기반 구축의 초기 단계로써 그 활용성을 검증하 고자 실험사업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국제 이슈를 해결하고 해당 시 스템이 얼마나 활용가치가 있는지 테스트하는 초기 모델을 구축․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필요 공간정보 데이터를 정의하였으며, 국내에는 부재한 온라인 글로벌 맵(지도)와 각종 통계 정보들을 확보하였다. 이 러한 기본 전제를 바탕으로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기반구축」기술용역이라 는 과업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사례에서는 글로벌 환경의 공간정보 매쉬업(Mash-up) 기획 모델을 제 시하고 OpenAPI 서비스 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실험 시스템은 ‘공간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가상의 지구 공간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 스’라는 의미를 바탕으로 ‘정보가 살아 숨 쉬는 공간정보서비스’를 지향한다. 이 러한 서비스 추진전략으로 Global 환경으로의 공간정보대상 확장, 외부 공간정보 보유 기관의 연계 확대, 활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 마련, 급변하는 IT(정보통 신) 환경에 발맞춘 진화능력을 선정하였다. 목표 실험모델의 명칭은 'ALIVE(All of Location Information on Virtual Earth)'로 명명하고, 이에 대한 세부 서비스는 UN 통계정보, 세계 지진정보, 세계 환경재해정보, 세계 도시정보 등 국제적인 이 슈 해결을 위한 모델과 국내 통계정보, 국내 규제지역조회 등을 활용하는 모델로 구성하였다.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실험구축 사례를 통해 글로벌 공간정보를 활용하기 위 한 국내의 기반구조가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공공 차원에서는 기 구축한 공간정보의 개방 및 공유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정부 주도의 민관 협력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12)

제3장 국토정책지원형 디지털통합공간 실제

이 장에서는 스마트 사회에서 국가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국토 전반에 걸 친 정책적 지원이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사례로써 국토해양부가 추진 중인 대표적 사업인 SOC 사업과 보상 업무 선진화 사업에 스마트 공간정보서비스를 융합함으로써 어떤 기대효과를 낼 수 있는지를 검토해보았다.

국가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SOC사업 스마트 보상 시스템”은 기존 토지보 상의 행정 편의적 개념에서 탈피하여 기 구축되어있는 공간정보들을 활용하여 각종 보상관련 민원업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대체로 SOC사업과 보상업무를 하는 기관들은 자체적인 시스템과 공간정보를 활용하지 만, 기관별로 상이한 보상업무체계와 공간정보의 낮은 활용도는 문제점으로 지 적되고 있다. 이에 기본조사, 협의, 감정평가, 재결, 수용 및 등기과정 등을 연결 하는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공통적인 업무 프로세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공공보상 정보지원시스템」은 SOC사업과 같이 보상업무가 발생하는 업무 를 기존에 기관들에게 산재되어있던 공간정보(지적도, 건물등기부등본 등)들을 취합하는 과정 없이 통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별도로 공간정 보 DB를 구축하지 않고, 기본 인프라를 활용하여 필요시마다 자료를 추출하고 합성하는 방식으로 시스템 구축 비용도 매우 적다. 2011년에는 행정전산망 내부 국가기관과 지자체를 대상으로 토지, 건축물, 소유자 정보를 서비스하고 향후 타 공기업에 서비스를 실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 스마트 행정시스템은 기존에 2~3개월이 소요되던 기본조사를 1개월 이내로 축소시켜주며, 2주 이상 걸리던 통계자료 산출을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한다. 이 러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상업무 및 서비스는 향후 다양한 측면에서 국토정책 을 지원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스마트사회에서는 융․복합을 통해 산업부문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국토정책형 공간정보 서비스를 개발하여 새로운 행정서비스를 창출함으로써 관련 산업부문의 효율성 증대와 활성화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13)

제4장 생활밀착형 디지털통합공간 실제

이 장은 생활밀착형 디지털통합공간에 대한 실험으로 과년도(1, 2차) 연구에서 구축한 안양시 예술공원에 대한 웹(Web) 및 모바일(Mobile) 공간정보 서비스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계획에 그치지 않고 실제 체감할 수 있는 대시민 서비스를 구축해보고 이를 운영하면서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에서의 체감형 공간정보서 비스에 대해 고찰해볼 수 있었다.

서비스 모델은 대상공간으로 다양한 예술작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시민들에 게 다양한 문화․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목적 지향 단위 공간’으로 안양시 예술 공원을 선정하였다. 공간정보서비스는 우선 공간정보 데이터가 필수적으로 갖추 어져 있어야 하며, 이에 생활밀착형 디지털통합공간은 데이터 확보, 시스템 설 치․운영을 위해 안양시의 협조로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공간정보 외에도 안양 시 예술공원 주변 음식점 정보와 예술작품 등에 대한 다양한 속성정보를 활용하 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세부서비스로는 스마트폰 환경을 위한 현실공간 서비 스 모델과 웹 환경을 위한 가상공간서비스 모델 두 가지를 설정하였으며, 예술작 품 안내, 맛집 안내, 동행자 위치 안내 기능 등으로 구성된다. 이 구체화된 사례는 향후 적용 가능한 가상공간 및 현실공간 실현을 위한 기술검증을 통해 추진방향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현실공간의 정보 연동기능을 갖춘 가상공간 서 비스 구축으로 가상공간 서비스가 현실공간의 모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실 공간 정보를 투영․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할 것이다.

생활밀착형 디지털통합공간의 사례를 분석하면서 기 구축된 공간정보 획득을 위한 접근의 어려움, 빠른 주기의 국가 공공정보 관리 및 갱신 체계 마련 필요, 국가 차원의 공간정보 융․복합 데이터 제공 체계 필요, Open API 서비스 확대 필요 등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민간부문을 지원하는 국가 차원의 노력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14)

제5장 결론

이 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글로벌형, 국토정책지원형, 생활밀착형 각각의 디지 털통합공간 사례 검토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결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구축사례 들을 통해 살펴본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들이 도래하는 스마트사회에서 기여할 부분, 그리고 현재 시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통합공간의 실현가능성 등을 종합적 으로 정리하였다. 글로벌형 디지털통합공간은 특정 주제에 관한 서비스 고도화 를 목표로 한 것이 아닌 본 연구의 특성 상 이러한 부분은 추후 과제로 남겨두고 플랫폼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실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 목표 시 스템과 본 연구에서 의도한 기획은 매우 성공적이라 평가된다.

국토정책지원형의 경우는 다른 사례들과는 달리 현재 직면한 국가적 과제 현 안을 다루어 국가의 정책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기존 에 이미 오랜 기간 구축해온 국가공간정보인프라를 활용하여, 다른 사업들과는 달리 대규모의 비용과 자원을 투자하지 않고도 새로운 시도를 가능하게 한다.

생활밀착형 디지털통합공간은 글로벌형과 마찬가지로 기술적인 부분의 고려 만큼 중요한 것이 DB 확보 내지는 이러한 플랫폼의 활용도 고찰이다. 또한 국가 가 보유하고 있는 공공 데이터의 개방 등 제도적 측면에서의 지원 역시 관련 산 업 활성화에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부분들이 충분히 뒷받침된다면 민간 부분 에서의 적극적인 참여 등으로 향후 공공과 민간의 큰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15)

C ․ O ․ N ․ T ․ E ․ N ․ T ․ S

차 례

발간사 ··· ⅰ 서 문 ··· ⅲ 요 약 ··· ⅴ

제 1 장 실제편 개요

1. 연구배경 ··· 1

2. 연구목적 ··· 3

3. 연구범위 ··· 3

4. 연구방법 ··· 4

1) 선행연구 및 실험구축 경험 활용 ··· 4

2) 관․산․학․연 협동연구 수행 ··· 4

3) 추진사례 공간 단위별 분석 ··· 5

제 2 장 글로벌형 디지털통합공간 실제 1.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개요 ··· 7

1) 개요 ··· 7

2)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 ··· 9

2. 세부 내용 ··· 10

1) 기본 추진방향 ··· 10

2)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 목표시스템 ··· 12

(16)

3. ׮၊ᑺ⸃ം↮⤦⦣ⵗӣϲ··· 39

1) ኗⱊ᫒ⷆኖ୦··· 39

2) ᫒ⷆኖ୦⃪Ẃ՚ⷲᢚီ··· 40

4. ׮၊ᑺ⸃ം↮⤦⦣ⵗӣϲ؞૮⺖Ӫᏽ᫊ᢚ῾··· 54

1) ؞૮⺖Ӫ··· 54

2) ᫊ᢚ῾··· 55

제 3 장 국토정책지원형 디지털통합공간 실제 1. ՛⦎ ␳↮Ế⸃ം↮⤦⦣ⵗӣϲЊẂ··· 61

1) ЊẂ··· 61

2) ՛⦎ ␳↮Ế⸃ӣϲ ᓢᤊᘲ᪒··· 64

2. ᤦᕮࢢẗ··· 66

1) ؞ᓦ▂↲ᐗⶓ··· 66

2) SOC ᢚᶳ᪒ᆶ⪦ᓢ᢯᫊᪒⥊··· 73

3. ՛⦎ ␳↮Ế⸃ം↮⤦⦣ⵗӣϲ؞૮⺖Ӫᏽ᫊ᢚ῾··· 88

1) ؞૮⺖Ӫ··· 88

2) ᫊ᢚ῾··· 94

제 4 장 생활밀착형 디지털통합공간 실제 1. ᣋ⹊Ꮾ␗⸃ം↮⤦⦣ⵗӣϲЊẂ··· 95

1) ЊẂ··· 95

2) ᴶᵿ᫊᷶ᨎӣẾᤊᘲ᪒··· 96

2. ᤦᕮࢢẗ··· 97

1) ؞ᓦ▂↲ᐗⶓ··· 97

2) ⷲ᫒ӣϲᏽϮ᢯ӣϲ᫊᪒⥊··· 98

3. ᣋ⹊Ꮾ␗⸃ം↮⤦⦣ⵗӣϲᤊᘲ᪒··· 104

1) ኗⱊ᫒ⷆኖ୦··· 104

2) ᫒ⷆኖ୦⃪Ẃ՚ⷲᢚီ··· 107

(17)

4. 생활밀착형 디지털통합공간 기대효과 및 시사점 ··· 113

1) 기대효과 ··· 113

2) 시사점 ··· 116

제 5 장 결론 1. 추진사례 요약 및 결론 ··· 121

1) 글로벌형 디지털통합공간 실현 ··· 122

2) 국토정책지원형 디지털통합공간 실현 ··· 123

3) 생활밀착형 디지털통합공간 실현 ··· 124

참 고 문 헌 ··· 125

SUMMARY ··· 127

(18)
(19)

T ․ A ․ B ․ L ․ E ․ C ․ O ․ N ․ T ․ E ․ N ․ T ․ S

표 차 례

<표 2-1> 기술용역 사업개요 ··· 8

<표 2-2> 가시화 대상 영상정보 ··· 24

<표 2-3> 가시화 대상 수치표고자료 ··· 24

<표 2-4> 가시화 대상 3D 모델 데이터 ··· 25

<표 2-5> 가시화 대상 2D 공간정보 ··· 25

<표 3-1> 보상비리 사례 ··· 67

<표 3-2> 국토해양부 SOC 사업 현황(2010) ··· 68

<표 3-3> 2010년 토지비축대상 ··· 69

<표 3-4> 국가공간정보 구축 현황 ··· 72

<표 3-5> 현행 공공사업 보상절차 ··· 74

<표 3-6> 보상자료의 DB구축 현황 ··· 75

<표 3-7> SOC 사업기관별 시스템 및 공간정보 활용 현황 ··· 77

<표 4-1> 실험시스템 구성 요소 ··· 101

<표 4-2> 실험데이터 확보․활용 ··· 103

<표 4-3> 현장 조사를 통한 검증 결과 ··· 116

<표 4-4> 영국 data.gov.uk 제공 공간정보 ··· 119

(20)
(21)

F ․ I ․ G ․ U ․ R ․ E ․ C ․ O ․ N ․ T ․ E ․ N ․ T ․ S

그 림 차 례

<그림 1-1>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구성 ··· 4

<그림 1-2> 실험구축 추진 체계도 ··· 6

<그림 2-1>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목표 ··· 12

<그림 2-2> 디지털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 총괄목표시스템 ··· 13

<그림 2-3> 3차년도 목표 실험모델 ··· 14

<그림 2-4> 디지털 공간정보 Sharing 시스템 구성도 ··· 15

<그림 2-5> Visualization 및 Analysis 시스템 구성도 ··· 19

<그림 2-6> REST API 구조 ··· 26

<그림 2-7> Publishing 시스템 구성도 ··· 30

<그림 2-8> 디지털공간정보 공유 및 협업 체계 주요 기능 ··· 33

<그림 2-9> OpenAPI를 통한 외부 시스템 연계 개념도 ··· 34

<그림 2-10> Global 단위 공간정보 가시화 예시 ··· 35

<그림 2-11> 각종 주제도 및 사용자 정보 가시화 예시 ··· 36

<그림 2-12> 남포시 개발잠재력 분석 결과 ··· 37

<그림 2-13> 디지털 공간정보 Publishing 예시 ··· 38

<그림 2-14> 실험시스템 브랜드 ‘ALIVE’ ··· 39

<그림 2-15> ALIVE 시스템의 메뉴구성 ··· 41

<그림 2-16> 세계도시정보 서비스 화면 ··· 42

<그림 2-17> 국내규제지역 조회 서비스 화면 ··· 43

<그림 2-18> Zone 서비스 사례 화면 ··· 45

(22)

<그림 2-19> UN 통계자료(data.un.org) ··· 46

<그림 2-20> UN 통계정보를 이용한 실험시스템 ··· 47

<그림 2-21> 국내 통계정보를 이용한 실험시스템 ··· 48

<그림 2-22> USGS 세계지진정보 화면 ··· 50

<그림 2-23> 실험시스템 세계지진정보 ··· 51

<그림 2-24> 실험시스템 환경재해정보 ··· 52

<그림 2-25> 실험시스템 사용자자료 공유서비스 ··· 53

<그림 2-26> 서울시 모바일 공공정보 Open API 서비스 ··· 58

<그림 3-1> 국토정책지원형 디지털통합공간 목표 ··· 65

<그림 3-2>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목표시스템 구성도 ··· 71

<그림 3-3> 공간정보기반 SOC사업 스마트보상 시스템 개요 ··· 79

<그림 3-4> 공공보상 정보지원시스템 개요 ··· 80

<그림 3-5> 공공보상 정보지원시스템 구성 개념도 ··· 81

<그림 3-6> 공공보상정보지원시스템 메인화면 ··· 82

<그림 3-7> 보상대상정보 식별 ··· 83

<그림 3-8> 항공사진, 연속지적도의 중첩 표출 ··· 84

<그림 3-9> 사업구역의 선정 (예: 도로확장) ··· 85

<그림 3-10> 보상정보의 표출(Excel 다운로드) ··· 85

<그림 3-11> 대안별 보상비 검토(예: 도로신설) ··· 86

<그림 3-12> 스마트폰 활용한 공간정보서비스 ··· 87

<그림 3-13> 토지이용규제시스템의 모바일 앱 ··· 93

<그림 4-1> 실험시스템 구성도 ··· 100

<그림 4-2> 안양예술공원 내 구현 시스템 ··· 102

<그림 4-3> 안양예술공원 내 예술작품 정보 표시 ··· 105

<그림 4-4> 3차원 기반의 가상공간에서의 건물 및 도로 표시 ··· 105

<그림 4-5> 안양예술공원 내 음식점(맛집) 정보 표시 ··· 106

<그림 4-6> 생활밀착형 서비스 시나리오 ··· 107

<그림 4-7> 현실공간서비스 모델 ··· 108

(23)

<그림 4-8> 가상공간서비스 모델 ··· 108

<그림 4-9> 가상공간서비스 메인화면 ··· 109

<그림 4-10> 3차원 GIS기술 활용, 웹을 통한 공간정보 제공 ··· 109

<그림 4-11> 현실공간서비스 체계 ··· 110

<그림 4-12> 아이폰용 앱 인트로 ··· 111

<그림 4-13> 예술작품 위치검색 ··· 111

<그림 4-14> 예술작품 정보제공 ··· 111

<그림 4-15> 키워드 검색 제공 ··· 111

<그림 4-16> 경로안내 화면 ··· 112

<그림 4-17> 증강현실 내 POI 표출 ··· 112

<그림 4-18> 맛집 정보 표출 ··· 112

<그림 4-19> 통계청 제공 OpenAPI 흐름도 ··· 120

(24)
(25)

1

C ․ H ․ A ․ P ․ T ․ E ․ R ․ 1

실제편 개요

이 장은 실제편의 연구배경과 목적, 연구범위 그리고 연구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연구배경에서는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의 추진배경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연구목적 및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연구범위에 서는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Ⅲ) 정책편에서 구상한 3가지 수준의 모델 (글로벌형, 국토정책지원형, 생활밀착형)의 공간적․내용적 연구범위를 정의하고, 연구 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1. 연구배경

국내의 공간정보 산업은 그 동안 공간정보서비스의 활성화 이전 단계인 기본 지리정보 혹은 국가공간정보 구축에 주로 매진하였다. 특히 국가 주도로 추진해온 국가 NGIS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는 이미 세계적 수준의 공간정보 산업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3차 NGIS 사업(2006~2010)부터는 기 구축된 기본지리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술과 표준에 역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해왔으며, 현재 우리의 세계적인 정보통신 기술 역량은 기존에 공간정보 활용 연구 분야를 주도해 온 북미와 유럽을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최근 국토해양부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국가 공간정보를 창의적인 비즈니스에 적극 활용하는 토대를 만들기 위하여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운영센터」를 설립

(26)

하기로 하였으며, 이는 구글어스(Google Earth)와 같은 외국 기업들의 공간정보 서비스에 대항하려는 국내 플랫폼 구축․운영의 첫 시도이다. 그 동안 우리 정부 및 지자체가 구축․보유한 공간정보의 양은 매우 다양하고 방대하지만, 이러한 공간정보 인프라는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였고, 특히 수요자 측면에서 이를 어디서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알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런 와중에 활용 측면의 서비스를 적극 표방․개방해온 구글어스, 빙맵(Bing Map)과 같은 외국의 공간정보 플랫폼 들이 시장을 잠식해갔으며, 포털사이트를 중심으로 국내의 민간 업체들 역시 자체 서비스를 구축하며 시장을 만들어갔다. 하지만 지속적인 DB 갱신에 따른 비용 부담 등으로 인해 국내 민간업체는 자체적인 수익모델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공간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인터넷 포털서비스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들이 제공되고 있다. 공간정보 측면에서는 기본지리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공간정보서비스 발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특정 아이디어만 있으면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즉, 다양한 융합기술 및 서비스가 제공되는 스마트시대에 공공의 역할은 개인의 아이디어가 응용프로그램과 Open-API(제작소스)를 통해 발휘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고,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벤처기업과 1인기업의 활성화를 위한 여건 조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Ⅲ)」는 이러한 기본 명제 하에 스마트 시대를 대비하는 미래의 공간정보 정책 및 공공의 역할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 에서는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의 범위를 도시, 국토 그리고 글로벌 단위로 세분화 하여, 국가 공간정보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특히 구상 단계에 그치지 않고, 1차년도부터 진행해 온 실험구축 사업들의 결과물과 추후 예상되는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제 사례들을 보여줌으로써, 계획과 현실 사이의 간극을 최대한 줄이고자 본 실제편을 구상하게 되었다.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제편에서 소개 되는 대표적 사례들은 본 연구의 의도와 중요성을 파악하는데 큰 이해와 도움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27)

2. 연구목적

본 실제편에서는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Ⅲ)」에서 그리는 미래의 공간정보서비스 모델을 구체화하고,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추진 사례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고, 예상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많은 국가의 정책 연구와 계획들은 다가올 미래를 예측하고 그려간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사전에 그 실효성과 구현가능성을 실험하는 과정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제편 연구에서는 각 단위별(글로벌형, 국토정책지원형, 생활밀착형)로 실제 실험구축 사례와 현재 기술수준에서의 실현가능성을 검토하여 본 연구의 활용 가치를 찾고 보다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구체적인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실제 추진 중인 디지털통합공간 사례를 심층 분석하여 융․복합 공간정보 기술의 현재 수준과 공간정보데이터 활용 방안을 분석한다.

둘째, 글로벌형, 국토정책지원형, 생활밀착형 디지털통합공간 각각의 구축 방법과 활용사례를 보임으로써,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셋째, 각 모델의 추진사례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디지털통합공간을 구축 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제도․데이터․기술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3. 연구범위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은 <그림 1-1>과 같이 공간정보인프라의 고도화가 추진 중인 법·제도, 활용기술, 데이터, 인력 등으로 구성된 기반요소들과 글로벌형, 국토 정책지원형, 생활밀착형으로 나누어지는 차세대 공간정보서비스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에서 차세대 공간정보서비스를 공간의 범위별로 3단계 수준으로 구분, 그 실현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실험사업을 수행하였다. 결국 공간적 범위는 도시 단위, 국토 단위, 글로벌 단위를 포함한 지구상의 모든 공간을 아우르는 범위를 가지며, 시간적 범위는 현재 수준에서 적용 가능한 기술과 데이터를 기반 으로 하는 현재 시점부터 향후 5년 혹은 10년 후의 시대를 예측․대비한다.

(28)

<그림 1-1>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구성

4. 연구방법

1) 선행연구 및 실험구축 경험 활용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는 1차년도부터 실험구축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안양시 예술공원을 대상으로 생활밀착형 디지털통합공간을 구축 하였다. 특히 2차년도에는 최근 급속히 확산되는 모바일 트렌드를 반영한 공간정보 서비스를 실험 구축하였고, 이러한 실험사업의 결과물은 현재 안양시청의 관리 하에 안양시민들을 대상으로 대민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실험 구축을 위해 협동 연구를 수행하였던 산업체(주식회사 유비스티)와 안양시청은 지속적으로 협의하며, 실질적인 생활밀착형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탐색하고 있다.

2) 관․산․학․연 협동연구 수행

디지털통합공간 실험구축을 위해서는 최신 공간정보 및 정보통신 기술에 관한

(29)

상당한 경험과 역량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진은 성공적인 실험구축 과업의 수행을 위하여 외부 공개입찰을 통해 선정된 (주)유비스티와 협동연구를 수행하 였으며, 해당 업체는 공간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개발경험을 토대로 성공적인 실험 구축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또한 3차년도 글로벌형 디지털통합공간 구축사업을 진행하면서, 연구의 연속성을 유지하며 실험구축 사업의 성과 극대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안양시청은 기 구축한 공간정보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관련 속성 데이터베이스 제공 등 본 실험구축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의 자문을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첨단국토포럼의 업계 전문가 및 교수들은 연구 성과의 극대화를 위해 지속적인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3) 추진사례 공간 단위별 분석

본 실제편에서는 일반적 모델론의 모호함 및 예외 사례를 최소화하고자, 각 공간적 범위(도시, 국토, 글로벌)를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본 실제편의 구축사례들은 각 범위별로 요구 수요, 필요 기술 그리고 법․제도 등 해당 범위에 맞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분석되어야 보다 실질적인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연구결과가 세분화되어 분석됨으로써 보다 폭넓은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게 하였다.

(1) 글로벌형 공간정보서비스 : 지구촌 문제의 공동대응과 협력

글로벌형 공간정보서비스는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에서 지향하는 차세대 공간 정보서비스를 전 지구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제시하려는 서비스이다.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기후 변화나 재난 재해, 기아, 질병 등 세계인이 직면한 지구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이며,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초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는 UN 통계데이터, 위성영상, 세계 지도 등 다양한 공간 및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이슈에 적절히 대응하는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를 추구한다.

(30)

(2) 국토정책지원형 공간정보서비스 : 국가정책현안의 지원

국토정책지원형 공간정보서비스는 우리 국토의 정책현안들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통합공간의 활용사례를 보여주었다. 실제편에서 유일하게 직접 구축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국토해양부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 보상관리시스템의 사례를 검토 해 봄으로써, 국가 공간정보를 활용한 SOC(Social Overhead Capital, 사회간접자본) 사업에 대한 보상체계 선진화방안을 제시하였다.

(3) 생활밀착형 공간정보서비스 : 대시민 체감형 서비스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에서 생활밀착형 공간정보서비스는 기존에 유비쿼터스(Ubiquitous)도시로 불리던 첨단 도시 공간서비스를 공간정보와 현실적용 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요소에 초점을 두어, 실제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공간정보서비스를 제시하였다. 실제 2차년도 연구에서 진행한 모바일 기반의 안양시 예술 공원 스마트폰 및 웹 서비스의 구축 사례를 검토해봄 으로써, 그 활용성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실현방안 연구(Ⅲ)」의 실제편은 다음 <그림 1-2>와 같이 본 연구진에서 도출한 차세대 공간정보 정책 및 서비스를 기반으로, 활발한 협동연구를 통해 실제로 테스트 및 시뮬레이션 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그림 1-2> 실험구축 추진 체계도

(31)

2

C ․ H ․ A ․ P ․ T ․ E ․ R ․ 2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실제

이 장에서는 올해 3차년도 연구에서 추진 중인 글로벌형 디지털통합공간 사례를 소개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구축 중인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 시스템을 소개 하여 향후 활용도를 예측해보았으며, 글로벌 디지털 공간정보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공간정보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와 첨단 정 보통신 기술들을 융․복합 활용하였으며, 본 실험구축 사례는 글로벌 공간정보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 및 높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개요

1) 개요

공간정보 산업의 글로벌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III)에서는 글로벌 공간정보 이슈들에 대응하기 위한 기반 시스템을 기획․시도해보았다. 전 세계적으로도 공간정보 분야에서 국제 협력의 필요성은 이미 수차례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각 나라 별로 상이한 표준과 공간정보 기반의 차이 등으로 인해 글로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공동 협력에는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공간정보 인프라를 보다 고도화하고, 공간정보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비하는 제도적 기반으로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있다. 이 법률에서는 그동안 중앙부처․지자체 등 각 기관에서

(32)

구분 내용

계약명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기반구축 기술용역 계약기간 2011. 10. 21 ~ 2011. 12. 30

사업자 (주)유비스티

기술요소

○ 서버시스템 환경 : 지오웹 기반 GIS 엔진 - 원 내부 인프라와 보유 정보 활용

○ 공개 API, 매쉬업 및 서비스용 데이터 구축 기술 - 국내외 OpenAPI 및 REST API를 노출하는 GIS 사이

트에 접근

- Mash-up 기술, 공간정보 Tiling 기술

○ 수요자 개인단말기

- 인터넷 연결 개인용 컴퓨터

과업내용

○ 3차년도 실험시스템 구축 용역 수행

○ 글로벌 공간정보 기반의 각종 속성정보 연계

○ 디지털 공간정보 공유 및 협업 체계 구축

<표 2-1> 기술용역 사업개요

산발적으로 진행하던 국가공간정보 구축사업을 국토해양부를 중심으로 체계적 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1)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와 다양한 통계정보를 융합하여 몇 가지 국제적인 이슈를 다루어보고, 다양한 디지털 정보들을 공유하는 협업 체계가 얼마나 활용가치가 있는지 테스트하는 초기 모델을 구축하려고 시도하였다. 실험 사업에서 구축되는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를 기반으로 향후 확장 가능한 시스템 고도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기본전제를 바탕으로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기반구축」기술용역을 온라인 공개입찰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 하였으며, 기술용역의 사업개요는 다음 <표 2-1>과 같다.

1)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0~2015), 국토해양부(2010)

(33)

2)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Ⅲ)에서는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기반구축’ 과업을 제시하였고, 이는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라는 시스템으로 구현되었다. 이 시스템은 글로벌 지평에서 디지털통합공간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주요한 도구로써, 범세계적 공간정보와 통계정보 등 공유 및 협업 체계를 갖추기 위한 기반 틀이 된다. 현재 전 세계는 NSDI 사업 추진을 통해 공간정보를 경쟁적으로 디지털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간정보는 다양한 이종 데이터들과의 융합으로 그 활용도를 넓힐 수 있다.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에서도 공간정보 외에 여러 다양한 주제별 정보의 조회 및 표출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였고, 이의 지속적인 고도화 및 발전을 염두에 두었다.

현재 공간정보의 대표적인 공유 방식으로는 직접적인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과 OpenAPI를 통한 간접 Mash-up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OpenAPI 방식으로 제공되는 국내․외 공간정보 체계와의 Mash-up을 시도하 였고, 추가로 원 내부에 구축․보유 중인 국토정보들의 공유 방안도 고려하 였다. 결국 공간정보와 다양한 디지털 정보에 대한 열람, 활용, 공유 그리고 협업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계획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외 공간 정보 데이터의 확보와 공유 그리고 협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본 시스템의 잠재적 수요자는 공간정보를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정보의 가시화가 필요한 원내․외 연구자 및 전 국민이 그 대상이 된다. 특히 다양한 국토 관련 정보들을 생성하는 원내의 구성원에게 큰 기여를 할 것이라 사료된다.

이러한 기본 전제를 바탕으로 용역사인 ㈜유비스티는 본 연구팀과의 지속 적인 피드백을 통해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였고, 다음 장에서는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의 상세구성과 활용도를 보다 자세히 살펴본다.

(34)

2. 세부 내용

1) 기본 추진방향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구축사업은 계획편에서 제안하는 도시, 국토, 글로벌 단위에서의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위한 공유 및 협업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하며, 전 세계에 존재하는 공간정보 및 다양한 주제의 (디지털) 속성정보들을 그 대상으로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위치 및 공간정보가 중심이 되는 통합 인프라를 구축하여 공간정보 공유체계의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진에서는 해당 과업을「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기반구축」

이라는 과업명으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수행지침을 두어 과업의 명확성을 확보하였다.

① 구축 시스템은 국내․외에서 생산되는 디지털 공간정보의 공유 및 협업을 위한 기초 틀을 지향한다. 다양한 국제적 이슈를 분석할 수 있는 주제 별 정보의 조회 및 가시화가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고, 향후 지속적으로 기술과 서비스 측면에서의 확장 및 발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② 국내․외에서 확보한 공간정보는 직접적인 데이터 다운로드를 통한 DB(데이터베이스) 구성과 API(OpenAPI, REST API)를 통한 간접 Mash-up 방식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③ 사업자는 OpenAPI가 제공되는 혹은 제공 예정인 국내․외 기관들(국토 해양부, 통계청, 국토지리정보원, USGS, UN 등)의 공간정보체계와의 매쉬업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구축하여야 하며, 디지털공간정보의 공유 및 협업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추가로 국토연구원이 보유한 정보들의 공유도 가능하여야 한다.

(35)

④ 실험 환경은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Ⅱ)」용역 사업으 로 국토연구원이 보유한 웹 GIS 서비스 환경과 기자재를 적극 활용하여 야 하며, 추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 중인 SOPC(공간정보 오픈 플랫폼) 사업과의 상호운용성을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⑤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구축을 위해 용역사업자는 국토연구원이 보유한 소프트웨어(2차년도 성과물)를 적극 활용하며, 공유된 공간정보의 표현 및 활용은 최소한 3개 이상의 웹브라우저(Internet Explorer, Firefox, Safari, Google Chrome 등)를 지원해야 한다.

- 특정 회사의 브라우저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을 사용하여서는 안됨 (예 : MS사의 Explorer에서만 호환 가능한 ActiveX control 기술 등)

⑥ 다양한 데이터 포맷의 Mesh-up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KML(Keyhole Markup Language)을 통한 콘텐츠 오버레이를 지원함으로써, 범세계적 으로 널리 사용되는 Google Earth와의 연동을 확보하여야 한다.

⑦ 디지털 공간정보 공유체계는 개방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바 개인 사용자 정보가 오버레이 될 수 있도록 표준을 구성하여야 하며, 개별 정보 포맷들의 비정형성을 극복하는 기술을 제시하여야 한다.

⑧ 공간정보의 공유․확장에 제한이 없어야 하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다양한 디바이스(device)에서의 핵심 요소를 구현함으로써 향후 공간정보 서비스 허브로서의 역할이 가능하여야 한다.

⑨ 본 실험사업에서 공유 및 협업 대상이 되는 구체적인 공간정보와 연계 기관은 국토연구원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III)」연구 진에 의해 제시되며, 수집된 공간정보는 국토연구원 내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야 한다.

(36)

2)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 목표시스템

(1) 목표시스템 개요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실험사업에서는 글로벌 환경의 공간정보 매쉬업 (Mash-up) 기획 모델을 제시하고 기존의 웹GIS 엔진을 이용, OpenAPI 서비스 환 경이 조성될 수 있는 기술적인 기반을 시도하였다. 또한 국토연구원이 기 보유하 고 있는 국토정보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OpenAPI 가 제공되는 국내외 타 공간 정보체계와 연계가 가능하고, 사용자 정보의 매쉬업을 통해 새로운 융합서비스 를 창출할 수 있는 융합 틀을 구축하는 것이 본 실험사업의 핵심이다.

<그림 2-1>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목표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 총괄목표시스템은 디지털 공간정보의 활용 단계를 공유(Sharing) → 가시화(Visualization) → 분석(Analysis) → 배포 (Publishing) 흐름으로 구분․제시하며, Open API 등 공간정보를 공유(Sharing)하 는 시스템, 3D/2D 지도 엔진을 기반으로 정보를 가시화(Visualization)하는 시스템 등 <그림 2-2>와 같은 다양한 기술적 시도들로 구성되었다.

(37)

<그림 2-2> 디지털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 총괄목표시스템

총괄목표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Global 수준에서 생산․배포되는 공간정보 모두를 대상으로 한다. 이는 단순히 공간적 확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적으로 세계를 포함하면서도 국내 부분에서는 다른 공간정보 서비스와 견줄만한 보다 세부적 정보서비스 들을 담는 형태를 추구한다.

둘째, OpenAPI가 제공되는 국내․외 공간정보시스템과의 연계를 수행하여 다양한 공간정보의 Mesh-up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외에는 상호 융․복합되어 새로운 정보 형태로 가공될 수 있는 공간 관련 정보가 무수히 존재하고 있으나, 이를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허브 시스템이 제대로 갖추어

(38)

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종합적인 공간정보 허브 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3차원 기반(2차원 포함)에서 Mesh-up 공간정보를 가시화하여, 보다 유용한 공간정보를 재생산․제공한다. 이는 2차원 정보에 머물고 있는 국내 포털사들의 대한 선행적 모델도 제공함과 동시에, 구글어스(Google Earth) 등 외산 공간정보 서비스 및 플랫폼에 대한 대항마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 된다.

넷째, 사용자 간 디지털 공간정보를 공유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대중에게 표출하는 등 협업 기능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단순한 정보의 수집 및 제공에서 그치는 단방향 시스템이 아니라,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각종 공간 관련 정보의 게시․공개․공유․협업체계를 제공하여 관련 연구 활동 등 각종 활용에 도움을 줄 것이다.

당해 연도 목표 시스템모델을 다시 정의하면 공간정보는 글로벌 대상의 공간 정보와 국내 대상의 공간정보로 구분되며, 대상 데이터는 원내 보유 데이터, 원외 타 기관 데이터, 개인사용자 보유 데이터 3가지로 분류된다. 이를 도식화 하면 다음 <그림 2-3>과 같다.

<그림 2-3> 3차년도 목표 실험모델

(39)

(2) 목표시스템 구성요소 가. Sharing 시스템

디지털 공간정보 Sharing은 공간정보의 가시화 및 분석을 위한 정보를 OpenAPI 및 SNS 정보를 융합하여 연계하거나, 사용자의 정보를 시스템에 업 로드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타 시스템과의 연계 및 로컬 시스템에 업 로드된 공간정보 및 위치정보가 결합된 속성정보는 다음 단계에서 Visualization 및 Analysis 시스템에서 가시화와 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그림 2-4> 디지털 공간정보 Sharing 시스템 구성도

(40)

Sharing 시스템의 보다 세부적인 활용은 다음과 같다.

□ OpenAPI 정보 융합

① 인터페이스 연동

인터넷 환경을 통하여 연계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기본 프레임워크를 제 공한다. 기본적으로 웹상에서 제공되는 OpenAPI표준은 REST2) 및 SOAP3) / XML 웹서비스로 해당 프로토콜로 제공되는 OpenAPI를 쉽게 연동할 수 있도 록 하며, 공간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인 WMS/WFS/WPS에 대해서 도 쉽게 연동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해야 한다. 동시에 SNS 연계를 위 하여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서 제공하는 OpenAPI와 연계할 수 있는 프레임워 크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 정보를 웹을 통하여 업로드 할 수 있는 프레임 워크 제공 등이 필요하다.

② 매쉬업 블록 및 프로젝트 관리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동된 각종 정보들을 하나의 블록 단위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이와 연계된 프로젝트 관리도 필요하다.

③ 매쉬업 저작도구

블록으로 생성된 정보를 사용자가 블록 간 연결함으로써 프로젝트를 생성 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 저작도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직접 매 쉬업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④ 매쉬업 코드 생성

매쉬업 저작도구에 의해 연결된 블록들 간의 정보를 활용하여 실제 매쉬업 을 위한 Javascript 기반의 코드를 생성해 주는 컴포넌트로, 이 코드를 실행함 으로써 즉시 매쉬업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

⑤ 외부 라이브러리 연동

사용자의 알고리즘이 담긴 외부 라이브러리를 프로젝트에 추가하여 사용 자 알고리즘을 실행 프로그램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컴포넌트이다.

2)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 3)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웹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객체 간 통신규약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웹서

비스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술임

(41)

⑥ 매쉬업 실행 환경

생성된 매쉬업 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기반으로 생성된 코드가 사용하는 Javascript 언어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해 준다.

□ SNS 정보 융합

① LOD4) 정보

LOD 체계는 데이터를 RDF5) 형태로 개방하고, 상호 연결, 질의할 수 있도록 함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데이터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시맨틱웹이 표방하는 데이터웹(Data Web)을 구현하는 구체적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웹 상 의 정보를 위치 및 공간정보와 연계하여 관심 정보를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② Facebook / Twitter 연계

SNS6)의 대표적인 서비스인 Facebook7)과 Twitter8)을 활용하고, 해당 사용 자 콘텐츠들을 위치정보와 공간정보로 매핑하여 지도 상에 표현하여 사회적 이슈 정보를 공간정보화하여 분석할 수 있다.

③ 위치기반 SNS 연계

SNS 서비스 중 위치정보와 연계하여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 단말기의 GPS정보 및 사용자 입력 위치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공간정보 상의 분석을 할 수 있다.

④ 빅데이터(Big Data) 처리/연동

LOD 및 SNS 서비스로부터 나오는 정보는 아주 방대한 빅데이터(Big Data) 로,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한 컴포넌트가 필요 하다.

4) 연계형 공개 데이터, Linked Open Data 5) 자원기술구조,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7) http://www.facebook.com

8) http://www.twitter.com

(42)

□ 사용자 정보 융합

① 사용자 공간정보 융합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공간정보 데이터를 디지털 공간정보 공유 및 협업체계에 업로드하고, 이를 활용하여 Visualization 및 Analysis을 수행하며, 이를 다른 사용자를 위해 제공할 수 있다. 이런 공간정보는 KML, SHP, GPX 등과 위치정보를 가진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업로드된 공간정 보는 필요 시 좌표변환 등의 변환과정을 수반하여 시스템 상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② 속성정보 융합

스프레드시트 형태의 사용자 보유 정보를 디지털 공간정보 공유 및 협업체 계 상에서 융합하는 기능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오매핑(Geomapping)이라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즉, 표 형태의 데이터 중 위치정보와 연계될 수 있는 정 보를 활용하여 위치정보를 가진 데이터로 변환하여 지도 상에 가시화 및 분 석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주소록 등을 쉽게 지도 상에 표현할 수 있으며, 행정도, 시군구, 시별 별로 가지고 있는 다양한 통계 정보를 지도 상에 쉽게 가시화 할 수 있다. 현재 구글에서는 스프레드시트 형 태 정보 처리를 위하여 퓨전테이블(Fusion Table)이라는 형태의 API를 제공하 며 있으며, 이를 통하여 Google Map 상에 쉽게 가시화할 수 있다.

③ 사용자 알고리즘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공간 및 속성정보를 시스템 상에 가시화하는 것을 넘어서서 사용자의 보유 지식을 시스템 상에 녹여 넣어 새로운 지식을 창출 하는 기능이다. 이는 사용자 알고리즘을 시스템 상에 플러그인 시키는 과정을 거쳐 새로운 정보를 창출 할 수 있다.

④ 데이터 업로드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각종 정보를 시스템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간 및 속성 데이터를 시스템 상에 업로드 할 수 있어야 한다.

(43)

나. Visualization 및 Analysis 시스템

디지털 공간정보 Visualization 및 Analysis 시스템은 디지털 공간정보를 처리 하여 지도상에 가시화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각종 공간정보를 클라이언트에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서버 컴포넌트와, 이를 웹과 스마트 폰 상에서 처리하기 위한 개발 툴 킷을 제공하는 Web Map API, 그리고 스마트폰 Map SDK로 구분한다. 또한 각종 공간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해 수집하고 이를 가공 처리하는 정보 수집․가공 컴포넌트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 구성 설명은 아래와 같다.

<그림 2-5> Visualization 및 Analysis 시스템 구성도

(44)

해당 시스템의 보다 세부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서버 컴포넌트

① API

공간정보 서버 컴포넌트에서 처리된 벡터 및 이미지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부분이다. 공유 및 협업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 시에는 표준 적 인터페이스에 의한 제공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OGC의 표준인 WMS, WFS-T, WCS, WPS 등의 표준과 타일맵 제공을 위한 TMS 등의 인터페이스 제공이 필수적이다. 상세 API에 대한 부분은 Open API 부분에서 다시 설명한 다.

② Spatial Processor

공간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실제 처리하는 부분을 담당한다. Map Renderer는 벡터 공간 정보 및 이미지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지도 이미지를 생 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공간연산자는 공간데이터의 Geometry 정보를 연산 하여 새로운 공간 정보를 생성하거나 연산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 행한다. 또한 각종 공간정보를 필요에 따라 좌표를 변환하고 포맷을 변환하는 기능까지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체계의 Analysis 단계 의 처리는 Spatial Processor 컴포넌트에서 주로 처리하며, 특히 공간연산자를 통하여 각종 공간정보의 연산을 하게 된다.

③ DB Adaptor

공간정보의 포맷은 매우 다양하며 이를 담는 그릇인 DBMS도 매우 다양하 다. 따라서 유연한 시스템이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간정보, 공간정보 처리 엔진, 공간정보 DBMS와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해야 한다. DB Adapter 부분은 표준 인터페이스로 다양한 공간정보 소스원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 록 컴포넌트를 구성해야 하며, 특히 shp 파일을 읽어서 공간정보를 직접 제공 하거나 다양한 공간 DBMS와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타일화된 이 미지 지도 정보에 대한 자료 정보도 가능하게 구성해야 한다.

(45)

□ Web Map API

① Web 3D 엔진

웹상에서 3차원 공간정보를 가시화하고 또한 여러 사용자 정보 및 OpenAPI 로 제공되는 정보를 Overlay 할 수 있는 엔진을 말한다. 현재 웹브라우저 자체 적으로 3차원 정보를 그래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은 초기 단계에 있다.

따라서 현재 웹 상에서 3차원 공간정보를 가시화하는 엔진은 ActiveX나 Java Applet, Flash 같은 웹브라우저에 플러그인 된 기술을 활용하여 제공되고 있 다. 향후 HTML5의 WebGL과 같은 웹3차원 그래픽 기술이 발전하면 이를 활 용하여 순수 웹브라우저만을 활용한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를 할 수 있도록 기술이 발전해야 한다. 3차원 지도를 제어하거나 각종 사용자 공간정보를 Overlay하기 위한 API는 웹상에서 쉽게 사용하기 위해 Javascript 기반의 OpenAPI로 제공되어야 하며 이에 대해서는 뒷부분에서 설명 한다.

② Web2D 엔진

웹 상에서 2차원 공간정보를 가시화하고, 여러 사용자 정보 및 OpenAPI로 제공되는 정보를 Overlay 할 수 있는 엔진을 말한다. Web2D 엔진의 초기 단계 에서는 웹브라우저의 그래픽 처리 문제로 ActiveX 등 플러그인 방식을 많이 사용하였지만, 타일화된 이미지 지도 방식이 활성화되면서 현재는 웹브라우 저에서 제공 되는 Javascript만 사용하여 2차원 지도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HTML5 기술의 확산으로 그래픽 처리기술이 웹브라우저 사양으로 포함되면 서 Javascript 기반의 Web2D 엔진이 더욱 활성화 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스 마트폰에서도 웹을 이용한 지도서비스를 Web2D 엔진으로 구성할 수 있다.

Web2D 엔진에도 Web3D 엔진처럼 지도를 제어하거나 각종 사용자 공간정보 를 Overlay 하기 위한 OpenAPI로 제공되어야 하며 이에 대해서는 뒷부분에서 설명한다.

(46)

□ 스마트폰 Map SDK

① iOS용 Map SDK

iOS용 Map SDK는 아이폰을 활용한 지도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위해 필요 한 각종 지도 서비스 관련 API을 제공하는 개발 툴킷이다. iOS 상에서는 이미 지 정보뿐만 아니라 벡터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그래픽 처리 API을 제공하고 있어 모바일 웹브라우저보다 더 좋은 성능의 지도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 고 GPS 등 단말기와의 연동도 좀 더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지도 정보를 제어하거나 각종 정보를 Overlay하기 위하여 각종 개발용 API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뒷부분에서 설명한다.

② Android용 Map SDK

Android용 Map SDK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활용한 지도 어플리케이션 구 성을 위해 필요한 각종 지도 서비스 관련 API을 제공하는 개발 툴킷이다. 안 드로이드 플랫폼에서는 iOS와 마찬가지로 이미지 정보뿐만 아니라 벡터 정보 를 처리하기 위한 그래픽 처리 API을 제공하고 있어 모바일 웹브라우저 보다 더 좋은 성능의 지도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고 GPS 등 단말기와의 연동도 좀 더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지도 정보를 제어하거나 각종 정보를 Overlay하기 위하여 각종 개발용 API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서 는 뒷부분에서 설명한다.

□ 정보 수집가공 컴포넌트

① 영상/DEM 정보 타일링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포함한 영상정보나 지형(DEM)정보는 그 자체가 엄청난 물리적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를 바로 웹상에서 서비스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며 이를 위하여 영상정보를 영역별로 타일링하고 넓은 지역을 보여 주기 위하여 리샘플링을 통한 레벨링을 진행해야 한다. 이 타일링과 레 벨링 과정을 거쳐 웹상 서비스에 적합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참조

관련 문서

- 출력신호가 가변 주파수인 센서도 아날로그 센서로 분류하지만, 주기신 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이 용이하므로 준 디지털 센서(quasi-digital sensor)라고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a8 =&lt;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4  Ú    GH &amp; () PPP .  

이를 위해 화물운송 (e-freight) 문서의 디지털화 추진, 물류관리 최적화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 구축, 추적가능성 및 물류 체인의 가치 기여도를 개선하기

키워드 : 문화유산기관 , 디지털 융합 , 디지털 큐레이션 , 디지털 보존 , 도서관 , 기록관 , 박물관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digital convergence,

• 이명의 치료에 대한 매커니즘과 디지털 음향 기술에 대한 상업적으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치료 옵션은 증가했 지만, 선택 가이드 라인은 거의 없음.. •

The core mechanism of the new secondhand digital media market is the seller inserts the new buyer’s watermark and the reseller’s encryption watermark into the digital content

Digital Convergence 제6장 진화론과 융합.. - 기존 문제 해결 방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