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간정보 융복합 활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간정보 융복합 활용"

Copied!
6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년 국토정책 연구성과 세미나 시리즈 2011

국토인프라 연구본부 시뮬레이션 부문

- ․ GIS (GIS/ )-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간정보 융복합 활용

『 』

세부일정

주최 : 국토연구원

일시 : 2010. 3.17( ), 10:00 12:00목

□ ∼

장소 : 국토연구원 층 중회의실3

등 록 - 09:40 10:00∼

개회사 류재영 국토인프라 연구본부 본부장 - 10:00 10:10∼ : ( ·GIS )

주제발표 - 10:10 10:55∼

좌 장 조우석 인하대 교수: ( ) 주제1 : 공간정보 융복합 가치사슬과 파급효과 분석 연구 최병남 선임연구위원( ) 주제2 :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 ) (Ⅱ 정문섭 GIS연구센터장) 주제3 : 광역경제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간구조 진단 및 공간활용도 제고방안

임은선 연구위원

( )

토론 - 10:55 11:55∼

김상빈 지역발전위원회 상임전문위원( )

양근우 국토해양부 지적기획과 과장( )

이상역 국토해양부 공간정보정책과 사무관( )

김태진 충주대 교수( )

최봉문 목원대 교수( )

최재헌 건국대 교수( )

홍일영 남서울대 교수 이하 가나다순( )

(2)
(3)

< 차 례 >

주 제 1: 공 간 정 보 융 복 합 가 치 사 슬 과 파 급 효 과 분 석 연 구 ··· 1

1.

서론

··· 3

공간정보 가치창출 활동영역의 개념정립

2. ··· 4

공간정보 활동영역의 생산자 상품 수요자

1) - - ··· 4 공간정보 활동영역과 가치창출

2) ··· 7

공간정보 융복합 가치네트워크와 파급효과 분석

3. ··· 9

공간정보 융복합화 가치네트워크

1) ··· 9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 정책적 함의와 활성화 방안

2) ··· 12

공간정보 융복합 파급효과 분석

3) ··· 12

공간정보 융복합 촉진을 위한 정책방안

4. ··· 15

공간정보 융복합 촉진을 위한 정책방향

1) ··· 15 연구의 한계 및 기대효과

2) ··· 17

주 제 2: 차 세 대 디 지 털 통 합 공 간 실 현 방 안 연 구 ( ) Ⅱ ··· 21

1.

서론

··· 23

디지털 융합시대 공간정보 서비스 현황

1) ··· 24 시사점 도출

2) ··· 25

디지털통합공간 기본 구상

2. ··· 25

디지털통합공간 개념 및 서비스 구현요소

1) ··· 25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기본구상

2) ··· 27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3. ··· 32

서비스 실험구축 및 시사점

1) ··· 32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2) ··· 34 연구의 특징 및 한계

3) ··· 37 정책 건의 및 차년도 연구방향

4) ··· 38

(4)

주 제 3: 광역경제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간구조 진단 및 공간

활용도 제고방안 지방광역경제권을 중심으로 : ··· 41

1.

서론

··· 43

광역경제권 공간구조의 개념과 특징

2. ··· 45

광역경제권 현황과 공간구조 개념

1) ··· 45 광역경제권의 공간구조 진단 의의

2) ··· 47

광역경제권 공간구조 진단 결과

3. ··· 48

광역경제권의 도시체계와 지역구조

1) ··· 48 광역경제권의 토지이용구조

2) ··· 51 광역경제권의 산업입지구조

3) ··· 53 광역경제권의 교통구조

4) ··· 54

광역경제권의 공간 활용도 제고방안

4. ··· 56

공간활용도 제고방안

1) ··· 56 연구의 한계 및 기대효과

2) ··· 58

(5)

년 국토연구원 연구성과 세미나 시리즈

2011 :

국토인프라 GIS연구본부(GIS/시뮬레이션 부문)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간정보의 융복합 활용

주제1: 공간정보 융복합 가치사슬과 파급효과 분석 연구

최병남 이영주 강혜경

- ․ ․

주제2: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 )Ⅱ

정문섭 조춘만 김계욱 최재성

- ․ ․ ․

주제3: 광역경제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간구조 진단 및 공간활용도 제고방안 임은선 이원섭 이미영 이경주

- ․ ․ ․

(6)
(7)

1

공간정보 융복합 가치사슬과 파급효과 분석 연구

최병남 ․ 이영주 ․ 강혜경

서론 1.

공간정보 가치창출 활동영역의 개념정립 2.

공간정보 활동영역의 생산자 상품 수요자

1) - -

공간정보 활동영역과 가치창출 2)

공간정보 융복합 가치네트워크와 파급효과 분석 3.

공간정보 융복합과 가치네트워크 1)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 정책적 함의와 활성화 방안 2)

공간정보 융복합 파급효과 분석 3)

공간정보 융복합 촉진을 위한 정책방안 4.

공간정보 융복합 촉진을 위한 정책방향 1)

연구의 한계 및 기대효과 2)

(8)
(9)

서론 1.

공간정보는 현실 공간의 객체나 현상을 전자 공간에 표현할 수 있는 자료라는 자체 만으로도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그런데 공간정보는 지식정보사회의 정보인프라로. 역할과 위상을 가지고 다양한 요소들과 융복합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플랫폼이 되고 있다 이는 경제 산업 생활 등의 활동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기반. , , 이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공간정보의 융복합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가 창출. 되는 활용범위가 확산되고 있어 관련 산업의 잠재성과 발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정보 융복합 현상에 대한 개념과 체계가 정립되지 않아 정책수립. 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공간정보 융복합을 촉진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정책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비즈니스모. , 델과 정보 가치사슬 이론을 기반으로 공간정보 융복합의 구조와 작동 메커니즘 전체( 구조 을 정립하고 둘째 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 융복합을 촉진시키기 위한 공간정보) , ,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공간정보 가치창출의 장은 국가 기업 국민 등이 공간정, , 보를 생산관리활용유통하는 추상적 영역을 범위로 한다 연구내용은 공간정보․ ․ ․ . 융복합의 구조 및 작동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그 속에서 융복합 요소들이 주고받는 영, 향분석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공간정보 융복합의 정확한 파급효과 분석을 목표. 로 하지 않고 정책적 이슈가 공간정보 가치창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 하는 수준으로 수행한다.

본 연구의 틀은 그림[ 1-1]과 같다 공간정보 융복합은 공간정보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과정이다 이와 같은 가치창출의 활동체계를 설명하는 개념이 비즈니스모델과 정. 보가치사슬이다 두 개념을 적용해 공간정보 융복합의 메커니즘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 , 으로 융복합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앞의 두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공간정보 용복합 촉진. 을 위한 향후 공간정보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수행을 위해 공간정보 융복합 활동에 참여하는 공공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 로 공간정보 융복합 현상을 조사했다. 18개 기업을 중심으로①조사대상기관이 누구에 게서 무엇을 어떻게 받고, ② 무엇을 어떻게 생산해서, ③ 누구에게 어떻게 전달하고,

(10)

그 대가로 무엇을 받는지 등을 조사했다 조사방법은 각 기업의 중간 실무책임자 이.

상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조사로 이루어졌다 공공기관에 대한 조사는 공간정보 관련. 정책을 수행하고 있거나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조사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시민의 활동은 공공기관과 기업을 조사하는 과정. 에서 시민이 공간정보 가치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행태를 조사했다 조사내용을 바탕으. 로 조사대상기관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구조화 및 도식화 하여 각 기관의 공간정보 가치사슬지도를 작성했다.

공간정보 융복합의 메커니즘은 가치 창출 주체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순환체계이다.

이와 같은 융복합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해 시스템 다이나믹스 기법을 적용해 융복합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또한 공간정보 융복합은 다양한 요소들로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데 요소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정책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스템 사고,

기법을 이용했다 (system thinking) .

그림

[ 1-1] 연구의 틀

공간정보 가치창출 활동영역의 개념정립 2.

공간정보 활동영역의 생산자 상품 수요자

1) - -

이 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으로 공간정보 가치창출의 범위를 설정한다 기존 연구. 들은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기업활동의 장으로 시장이라는 개념을 전제로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정보정책의 근본 목적은 공간정보의 효율적인 생산 관리 활용 유통. , , ,

(11)

등의 활동을 통해 국가행정의 효율성 기업경영의 생산성 국민 삶의 질 등을 향상시키, , 고 국가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공간정보정책은 공간정보시장뿐만 아니, . 라 공간정보 가치창출 활동영역 이를 공간정보 활동영역 이라고 함 전체를 대상으로( “ ” ) 한다.

본 연구는 공간정보 활동영역에서 생산 및 거래 주고받는 되는 상품으로 어떤 것들( ) 이 있고 이를 생산 공급 하는 주체와 소비하는 주체는 어떤 유형이 있는지를 기준으로, ( ) 범주화한다 그리고 이 유형들을 조합해 공간정보 활동영역을 세분화하고 특성을 규정. 함으로서 공간정보 활동영역을 정의 한다.

공간정보 활동영역에서 생산되는 상품들은 융복합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경계구분이 모호하다 본 연구는 공간정보를 생산관리활용유통하는 활동 주체를 대상으로 한. ‧ ‧ ‧ 면담조사를 통해 공간정보 콘텐츠 와 공간정보를 생산관리활용유통하는 활동에 이( ) ‧ ‧ ‧ 용되는 지식 용역( ), S/W, H/W, 플랫폼 등으로 유형화했다.

공간정보 콘텐츠 는 가치를 부가하는 생산관리활용유통 활동의 대상으로 공간정( ) ‧ ‧ ‧ 보 자체를 의미하며 기초 공간정보와 주제 공간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기초 공간정보, . 는 현실의 객체 현상 등을 대상으로 라이다 토탈스테이션 등의 장비를 활용해 다른, ,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공간정보로 바탕도 성격이 강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공간정보이다 예로 수치지형도 기본공간정보 정사영상. , , , DEM, 항공사진 위, 성영상 측량기준점 지적도 로드 뷰 등 현실을 추상화한 공간정보가 해당된다 주제, , , . 공간정보는 기초 공간정보 혹은 가공된 기초 공간정보에 다른 공간정보 속성정보 등을, 추가 혹은 처리해 가공한 공간정보를 의미한다 이는 특정 주제를 나타내는 성격이 강. 하여 수요자의 특정 목적으로 이용되는 공간정보이다 예로 도시계획도 토지이용현황. , 도 관광안내도 유권자특성도 등이 해당된다, , .

지식 용역 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응용시스템 솔류션 개발 합리적인 의사( ) ( ) , 결정을 지원하는 정보 도출 등을 위해 공간정보를 이용하는 전문가의 기술 경험 지식, , 등을 의미한다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용역은 시스템. S/W를 이용해 특정 업무 혹은 과 제의 정보화에 필요한DB를 구축하고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술용역을 말한다 예. 로 KOPSS, KLIS, UPIS, 국가공간정보체계 등과 같은 정보관리시스템 개발용역이 해 당된다 컨설팅 용역은 전문지식 기술 등을 보유한 전문가가 공간정보 등을 이용해 특. , 정 목적 달성이나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전략적 정보를 도출하는 용역이다 예로 정보화.

(12)

전략계획(ISP), g-CRM, 상권분석 부동산 컨설팅 등이 해당된다, .

소프트웨어는 공간정보를 생산관리활용유통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 ․ 패키지 프로그램을 말한다 시스템. S/W는 공간정보를 생산관리활용을 위한 응용․ ․ 소프트웨어 개발의 도구가 되는 기반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예로. GIS개발도구, 3D개 발도구, CAD, 내비게이션S/W, SDBMS등이 해당된다 서비스. S/W는 단말기 플랫폼, 등을 통해 공간정보의 효율적인 검색 제공 등의 기능을 하는 공간정보서비스, S/W를 말한다 예로 네이버 다음 등 포털의 지도검색 소프트웨어 스마트 폰의 앱 예 아이러. , , ( : 브커피 등이 해당된다) .

는 수요자가 공간정보 서비스 등을 송수신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클라이

H/W , S/W

언트 장치를 말한다 예로. PC, 노트북 내비게이션 핸드폰, , , PDA, GPS등이 해당된다. 플랫폼서비스는 공간정보 서비스, S/W등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데 필요한 H/W, 네트워크 공간정보 등의 구성체를 의미한다 예로 웹 통신 방송 등의 플랫폼이

S/W, , . , ,

있다 웹 플랫폼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공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공간. .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장 전형적인 플랫폼으로 구글 다음 네이버 등이 있다 통신, , . 플랫폼은 이동통신을 기반으로 공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이동통신은. 음성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었으나 기술의 발전으로 공간정보는 물론 영화 음악, ,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되었다 예로 이동통신사. LBS를 들 수 있다 방송. 플랫폼은 지상파방송 위성방송 등을 기반으로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을 말한다 방, . 송 플랫폼을 통해 TPEG등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공간정보 플랫폼은 사용자 참. 여를 통해 공간정보를 생산하고 제공할 수 있는 환경으로 공간정보를 말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가 공간정보 수요자이면서 생산자 역할을 하게 되면서 포털이 제공하 는 공간정보가 플랫폼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예로 네이버 지도. , 다음 지도 구글 어스 등이 있다, .

공간정보 활동영역의 상품 생산자는 공공기관 기업 시민 등이 모두 해당된다 공공, , . 기관은 행정업무 수행을 위해 공간정보를 생산하지만 또한 생산한 공간정보를 기업 및, 시민에게 제공하고 있다 기업은 비즈니스 차원에서 공간정보 응용시스템 등의 구축을. , 위한 기술용역 서비스 을 제공하고 공간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생산자이자 공급자이( ) , 다 몇 년 전에는 시민 개개인은 정보 사용자 위치에 있었으나 최근에는 공간정보 생산. , 자가 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 이용자의 위치가 공간정보이며 이는. ,

(13)

기업의 다양한 비즈니스모델 개발의 중요한 정보가 되고 있다.

공간정보 활동영역의 상품 수요자 역시 공공기관 기업 시민 등이 모두 해당된다, , . 공공기관은 많은 행정업무를 공간정보 기반으로 수행하는 공간정보 수요자이다 기업. 은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 혹은 비즈니스를 위해 공간정보를 이용한다 시민 개개인은. 생활의 편리 안전 등을 위해 공간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

공간정보 활동영역과 가치창출 2)

이상과 같이 공간정보 가치 창출과 소비는 공공기관 기업 시민 모두에 의해 이루어, , 진다 공간정보 가치창출 활동영역은 공공기관 기업 시민 모두가 생산자이면서 수요. , , 자인 순환관계를 이루며 개 영역으로 세분된다 그림, 9 ([ 1-2]).그런데 각 활동영역의 가 치창출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각 활동영역에서 창출된 가치 유형이 다르다 가치유형은. 크게 경제적 가치 정책적 가치 사회적 가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정보, , . 활동영역은 경제적 가치창출이 목적인 공간정보시장보다 큰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전. 통적으로 공간정보 수요자이던 국가 및 시민이 공급자 역할도 하기 때문에 영역이 확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림

[ 1-2] 공간정보 활동영역과 가치유형

이상과 같은 공간정보 활동영역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그 동안. , 공간정보의 수요자였던 국가나 개인도 공급자 역할을 한다 국가가 공간정보의 공급자. 역할을 하는 것은 공간정보가 공공재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새로운 패러다임으

(14)

로 등장하는 Gov. 2.0 정부시대의 개방공유참여라는 정책 이상과도 관계가 있다․ ․ . 개인도 자기중심의 공간정보를 공급할 수 있다.

둘째 공간정보 활동영역은 공간정보시장보다 더 큰 영역이고 개념이다 경제 주체, . 인 국가와 기업 및 국민을 공급자와 수요자 관계에 따라 공간정보 활동영역을 개 영역9 으로 구분했을 때 경제학에서 말하는 일반적인 시장의 정의에 따른 공간정보시장은,

에 해당된다 B2G, B2B, B2C .

셋째 공간정보 활동영역은 다양한 가치가 창출되고 서로 연계되어 상승효과가 발생, 한다 최근 기업이 제공하기 시작한 공간정보기반의 사회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는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들 사이

network service) .

에 편리한 의사소통 수단이기도 하지만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공간정보를 생산하고 사, 회활동에 참여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따라서 기업은 수익창출을 목적으로 공간정보 기. 반의 사회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사용자는 사회활동에 이를 이용하면서 새로, 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넷째 공간정보 활동영역의 경우 많은 수요자는 공간정보를 무상으로 이용한다 기, . 업이 공간정보를 제공하지만 수익은 다른 비즈니스로 창출하는 양면시장(two sided 이기 때문이다 웹 포털인 네이버나 다음은 많은 비용을 들어 고해상도 공간정 market) .

보를 만들어 무상으로 제공하지만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

공간정보 활동영역은1995년 제 차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 이후 지속적으로 발1 전 및 확장되고 있다 그림([ 1-3]). 최근에는 공공 기업 시민 등 각 부문의 공간정보 활, , 동이 공급자에 수요자로 이어지는 한 방향에서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양방향으로 전환되고 영역의 경계구분이 어려워지고 있는데 이는 공간정보 활동영역, 을 확장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웹 포털은 단순 정보검색 혹은 위치 확인을. 위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이제는 수요자가 정보서비스를 취사선택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수요자가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으로 발전되었다 이와 같은 환경변화는 공, . 공기관 기업 시민 중심으로 구분되던 활동영역의 구분이 통합되어가고 있음을 말해주, , 는 데 이로 인해 활동의 경계 구분이 더 모호해지고 있다, .

(15)

그림

[ 1-3] 공간정보 활동영역의 발전

공간정보 융복합 가치네트워크와 파급효과 분석 3.

공간정보 융복합화 가치네트워크 1)

본 연구는 현실 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간정보 융복합 현상을 분석해 융복합의 메커니즘을 정립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 기업 시민 등을 대상으로 한 공간정보 융복. , , 합 현상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가치창출 구조를 도식화하고 공간정보 융. , 복합 유형을 체계화 한다.

본 연구는 공간정보 활동영역의 상품인 공간정보 콘텐츠( ), S/W, 단말기 플랫폼 지, , 식 등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단위 상품을 생산하는 활동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유형을5 구분한다 공간정보 융복합 요소의 공급 수요 관계에 따라 전방 노드 공급 에서 후방. / ( ) 노드 수요 사이의 관계를 링크로 표현하고 가치창출자 대상 노드 가 부가가치를 창출( ) , ( ) 하는 활동을 함께 표현한다 이를 통해 가치창출자 대상 노드 가 누구 전방 노드 에게. ( ) ( ) 무엇을 받아서 어떤 활동을 거쳐 무엇을 누구 후방 노드 에게 제공하는지에 대한 가치( ) 창출 과정 및 흐름을 파악한다.

이와 같은 공간정보 융복합은 다양한 요소들의 결합으로 새로운 가치와 시장을 창출 하는 나름의 발전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공간정보 융복합 활동은 공간정보가 생산과. 소비되는 일련의 가치사슬 네트워크 과정이며 이는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이다 최병( ) , (

(16)

남, 2008). 이상과 같은 공간정보 융복합 현상조사와 분석을 통해 공간정보 융복합을 공간정보의 가치를 창출하는 공간정보와 공간정보 혹은 공간정보와 다른 요소를 융합 혹은 복합하는 활동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은 공간정보 융복합의 시사점은 첫째 단순한 기본적 융복합에서 복잡한 이, 종 융복합으로 발전하고 있다 둘째 공간정보를 가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많은 중소. , 기업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전문적인 지식이 결합된 정보서비스가 확장되고 있다 넷. , . 째 공간정보 융복합의 핵심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일어나고 있다, .

공간정보 융복합에 의해 가치가 창출되는 과정은 비즈니스모델 개념을 적용해 설명 할 수 있다 비즈니스모델은 어떤 상품의 가치를 어떻게 생산해 누구에게 어떻게 판매. 해 수익을 남길 것인가 하는 전략이다 조직 기업 이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수익으로. ( ) 연계하는 일련의 활동은 그 활동의 비즈니스모델로 체계화 된다 따라서 비즈니스모델. 은 공간정보 융복합 현상을 설명하는 가장 미시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 한 공간정보 융복합 유형은 조직 기업 의 공간정보 가치 창출활동 활동으로 생산된 산( ) , 출물 상품 등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유형화한다 그러나 비즈니스모델은 조직 기관 사( ) . ( ) 이의 관계에 의한 가치창출을 설명하는데 미흡하다.

조직 기관 내부의 생산활동에 의한 가치창출을 비즈니스모델로 설명한다면 조직( ) , 사이의 관계에 의한 가치창출은 정보가치사슬 개념으로 상당 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

정보가치사슬은 한 주체의 산출물이 다른 주체의 투입물이 되고 그 투입물의 변환 또, 는 가공을 통해 가치가 부가되어 다음 주체의 투입물로 투입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따. 라서 비즈니스모델에 의해 유형화된 활동이나 산출물은 정보가치사슬 관점에서 보면, 유사한 가치 창출활동을 하는 노드 단위 정보가치사슬 가 된다( ) .

따라서 공간정보 융복합 유형은 공간정보 가치가 생산되는 투입 변환 산출 과정인- - 단위 정보가치사슬이며 이를 연계하면 공간정보 활동영역 전체를 구성하는 정보가치, 사슬을 형성한다 그런데 이 정보가치사슬은 일방향의 가치창출 활동을 설명하며 참여. , 주체들 사이의 상호작용(interaction)은 설명하지 못한다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의 상호작용에 의한 가치창출 구조를 체계화 한 서비스 가치네트워크 가 있다 그러나 서비스 가치네트워크 개념은 가치 (R.C. Basole and W.B Rouse, 2008) .

창출 주체 모두가 상호작용하는 순환체계를 설명하기에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간정보 융복합의 참여 주체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가치창출

(17)

과 생산된 가치의 순환체계 구조를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라고 정의한다 이는 기존의. 정보가치사슬과 서비스 가치네트워크 개념을 확장한 개념이다 공간정보 가치를 창출. 하는 공간정보 융복합 메커니즘으로서 가치네트워크를 공간정보 활동영역에서 생산되 는 상품과 상품을 생산하는 주체를 중심으로 그림[ 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는 가치창출자 대상 노드 가 누구 전방 노드 에게 무엇을 받( ) ( ) 아서 무엇을 생산해 누구 후방 노드 에게 제공하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 .[그림1-4]는 향 후 예상되는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를 도식화 한 것이다 현재의 공간정보 가치네트워. 크 골격을 유지하면서 확장하고 중심이 이동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전통적으로 최. , 종 소비자로 분류되던 공공기관(G),개인 사용자(C)등이 공간정보 생산자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를 질적 양적으로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둘째 이와 같은 참여자의 역할 변화와 확대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던 공간정보, 가치창출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도 흐르게 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가치네트워. 크에 참여하는 주체 사이의 상호작용과 생산된 가치 흐름의 순환이 활발해질 것이다.

셋째 공간정보 활동영역의 중심이 공간, DB구축 및 응용시스템 개발 시스템( S/W개발, 기초 공간정보 생산 응용, S/W개발 에서 공간정보서비스 주제 공간정보 가공 플랫폼) ( , 서비스 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림

[ 1-4]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

(18)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 정책적 함의와 활성화 방안 2)

이와 같은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가 함의하고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간정보의 개, 방이 필요하다 둘째 전통적으로 시민은 공간정보서비스의 최종 소비자 위치에 있었으. , 나 공간정보 생산자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공간정보가 정보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다, . , 른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기반(base)으로 콘텐츠 플랫폼 역할을 한다 넷째. ,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는 공공기관 기업 시민 등 참여 주체가 상호작용하는 순환체계, , 이다 다섯째 순환체계의 구조적 특성으로 공간정보 융복합이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 있다 여섯째 가치네트워크에서 중소기업은 대기업의 선순환 위치에 있으며 따라서. , ,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 협력해야 공간정보 융복합이 활성화된다.

공간정보 융복합 파급효과 분석 3)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는 융복합 요소들이 서로 역동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순환체, 계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에 적합한 시스템 다이나믹스 기법을 적용해 공간. 정보 융복합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파급효과 분석은 표. [ 1-1]과 같은 단계로 구분해4 단계적으로 수행한다.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는 공간정보 활동영역 전체의 구조와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지도라고 할 수 있다 가치네트워크는 공간정보 활동영역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계를 거. 의 모두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정보 활동영역 전체 구조와 흐름을 설명하기에는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이 가치네트워크를 그대로 사용해 파급효과 분석모형을 설계. 할 경우 분석에 필요한 자료수집이 어렵고 시뮬레이션을 위한 실험모형이 너무 복잡, , 해진다 따라서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의 일부 요소들을 통합하여 그림. [ 1-5]와 같은 개념모형을 기반으로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앞에서 정의한 가치네트워크 인과관계도를 중심으로 개발도구인, Vensim을 이용해 파급효과 분석 및 시뮬레이션모형을14개를 개발했다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자료의 기. 준년도는 2009년이며 자료수집이 어려운 값은 인 이상의 전문가로부터 검토를 받은, 2 추정 값을 사용했다.

(19)

단 계 방 법 산출물

1 단계

분석모형 의 개념화

공간정보 활동영역의 구조 및 작동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가치네트워크 를 실험이 가능한 형태로 일반화 시 켜서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개념모 형 제시

파급효과분석 개념모형

2 단계

영향요인의 인과관계

분석

공간정보 융복합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개념모형을 바탕으로 공간정보 활동영역에서 영향요인들의 현상적 특징을 고려하여 인과관계 구성

인과관계도

3 단계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공간정보 융복합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개념모형 및 인과관계도를 바 탕으로 시뮬레이션모형 개발

시뮬레이션모형

4

단계 시뮬레이션 시뮬레이션을 통한 파급효과 분석 파급효과 분석결과

표 단계별 분석방법

[ 1-1]

그림

[ 1-5]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개념모형

본 연구의 목적이 공간정보 융복합을 촉진하는 정책방안 제시에 있으므로 공간정보 정책이 공간정보 융복합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다 특히 공간정보 관련 업계의 조사에. 서 밝혀진 애로사항과 관련된 실험을 한다 이와 관련된 정책은 공간정보 생산 관리. , , 활용 유통 등의 활동 규제와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간정보의 유통과 관련된 것, 이다.

공간정보 활동 규제와 관련하여 공간정보 관련 업계가 많이 지적한 애로사항으로

(20)

성과심사 및 보안심사 기간을 실험의 대상으로 한다 공간정보 유통정책과 관련하여 현. 재 유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공공 공간정보를 무상으로 공개하는 경우 파급되는 효과를 실험한다 또한 이용할 수 있는 공공 공간정보를 증가시켰을 때 파급되는 효과를 실험. 한다 본 연구의 가지 실험 시나리오는 다음 표. 4 [ 1-2]와 같다.

실험 시나리오

공간정보 관련 기업의 매출 규모 전망 2009년을 기준으로 공간정보 융복합 활동에 참여하 는 관련 기업의 매출 규모 분석

성과심사 및 보안심사 기간단축에 따른 파급효과

성과 및 보안심사 기간을 단축시켜 관련 기업의 매 출 규모변화 분석

국가 공유 공간정보 무상 제공에 따른 파급효과

국가 공유 공간정보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경우 관 련 기업의 매출 규모변화 분석

공공 공간정보 증가에 따른 파급효과 관련 기업이 이용할 수 있는 공공 공간정보를 증가 시킬 경우 관련 기업의 매출 규모변화 분석

표 실험 시나리오

[ 1-2]

실험 시나리오 결과를 보면 성과심사를 단축할 경우 기준연도 대비, 4%(2015 )년 에 서 9%(2020 )년 정도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가 공간정보를 무상 유통할, 경우1%(2015 )년 에서2%(2020 )년 정도 매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 및 보안. 심사 기간단축과 무상공급에 따른 매출 증가치는 해당년도 전체 매출의 약1%에 해당 하는 수치로 공간정보산업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그러나 직접적인 영향을 받. 는 업체들이 플랫폼서비스 제공자나 시스템 개발자와 같은 대기업이 아니라 상대적으, 로 영세한 공간정보서비스 개발자와 공간정보 생산자라는 점은 시사점을 준다.

위의 두 실험에 비하여 공유 공간정보를 증가시키는 실험에서는 매출의 급격변화를 나타냈다 이는 정보공개로 공유할 수 있는 공간정보가 많아질 경우 다양한 공간정보서. 비스 개발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공간정보시장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 한다.

(21)

공간정보 융복합 촉진을 위한 정책방안 4.

공간정보 융복합 촉진을 위한 정책방향 1)

제 장에서 설명한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의 함의는 가치네트워크의 인과관계와 기4 술발전에 따라 현재 나타나고 있는 환경변화와 앞으로 전망되는 상황을 고려해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이는 공간정보 융복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공간정보정책에 반영되어. 야 할 사항들이다.

제 장의 공간정보 파급효과 분석에서 가치네트워크의 장애요인을 제거할 경우 파급5 효과가 커짐을 알 수 있다 또한 공유 공간정보가 증가될 경우 파급효과가 더욱 커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해 장애요인을 제거하. 고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공간정보정책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의 함의와 융복합 파급효과 분석결과를 토대로 공 간정보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의 함의들은 공간정보 융복합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과 이러한 요구사항이 충족되었을 때 나타나는 상태로 구분 할 수 있다 전자에 해당하는 함의가 공간정보 생산자로서 공공기관과 시민 콘텐츠 플. , 랫폼으로 공간정보 상생 협력해야 하는 중소기업과 대기업 등이다 그림, ([ 1-6]).

그림

[ 1-6]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의 함의와 정책방향

(22)

이 각각의 요구사항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은 공간정보 생산 및 유통정책으로 민관 보완적 거래 공간정보이용정책으로 개인정보 보호 공간정보체계 구축정책으로 공간, , 정보 플랫폼 구축 공간정보 기술개발정책으로 중소기업 중심의 공간정보 기술개발 등, 이다 민관 보완적 거래와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은 공유할 수 있는 공간정보를 질적 양. 적으로 대폭 확장하는 방안이다 이와 같은 정책이 실현될 경우 나타날 상태는 다양한. 분야로 공간정보 융복합이 확산되고 참여 주체들이 더욱 상호작용하는 순환체계로 가, 치네트워크가 확대되는 것이다.

공간정보의 생산 및 유통 관점에서 민관 보완적 거래정책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 다 이는 민관이 서로 가지고 있는 공간정보를 공유하는 전략이다 융복합 파급효과 시뮬. . 레이션 실험결과는 공유하는 공간정보가 많아질 경우 파급효과가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민간의 정보생산은 상당히 규제되고 있고 공공기관의 보유 공간정보 공개도. , 제한적이다 민간의 정보생산 규제를 완화하고 공공기관 보유 정보를 공개하는 민관 보. , 완적 거래정책으로 전환해 공유할 수 있는 공간정보를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간정보이용 관점에서 보호해야할 개인정보는 철저하게 보호하는 정책이 필요하 다 시민에 의한 공간정보 생산은 플랫폼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이루지게 된다 이 경우. . 플랫폼서비스 제공자는 개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어떤 이유에서든 개인 위치정보, 가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인 스스로가 위치 노출을 원하지 않는 경우 개인정. 보는 철저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공간정보체계 구축 관점에서 공간정보 플랫폼을 구축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공간정. 보 플랫폼은 다양한 공간정보서비스는 물론 시민 등 다양한 주체가 공간정보 생산자로 서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 수많은 시민이 생산하는 다양한 공간정보는 공유 정보를 획. 기적으로 증가시켜 공간정보 융복합 파급효과를 커지게 한다 따라서 기존의 공간정보. 기반의 정보화 정책 혹은 전략은 공간정보 플랫폼을 구축하는 정책으로 확장되고 구축, 된 플랫폼을 개방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물론 공간정보인프라는 공간정보 플랫폼의 핵. 심이고 따라서 공간정보인프라가 잘 구축되어야 한다, .

공간정보 기술개발 관점에서 중소기업 중심의 기술개발정책이 필요하다 기술개발. 은 대부분의 경우 전문가 중심으로 이루어진 후 이를 기업에 전수하고 기업이 비즈니, 스모델을 개발하는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비즈니스 시점을. 놓칠 수 있고 기술개발도 시장의 수요와 거리가 먼 것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아, .

(23)

이디어와 비즈니스모델을 가지고 있는 중소기업이 중심이 되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특히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에서 시스템. S/W를 개발하는 중소기업 이 선순환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가치네트워크의 활성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중소기업 의 경쟁력 있는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

공간정보 생산 관리 활용 유통 등의 활동은 법제도에 의해 규정받고 있다 법제도, , , . 의 규정은 경우에 따라서 공간정보 융복합 촉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첫째 공간정보 생산가공 관점에서 규제적 성과심사 및 보안심사 등, ‧ ( ) 폐쇄적 법제도는 자율적개방적으로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공유유통 활성화. ,

‧ ‧ ‧

관점에서 규제적폐쇄적 정보 공개 제한 등 법제도는 민관 보완적개방적으로 정비하‧ ( ) ‧ 는 것이 필요하다 공간정보 활용 활성화 관점에서 규제적폐쇄적 개인정보 등 법제. ․ ( ) 도는 개방적제한적으로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공 공간정보에 대한 권한은 배타‧ . 적 재산권보다는 보상을 전제로 자유롭게 이용하는 개방적 권한(open license)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의 한계 및 기대효과 2)

■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이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정보 활동영역별로 창출되는 가치의 속성. , 을 밝히는 연구가 미흡하다 둘째 공간정보 활동영역에서 창출된 가치를 측정 혹은 정. , 량화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공간정보 가치를 창출하고 사. , 용하는 주체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이 본 연구에 반영되지 못했다 넷째 공간정보 가치. , 창출의 환경으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앞에서 지적한 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향후 연구해야할 과제는 다음과 같 다 첫째 공간정보 활동영역별로 창출되는 가치의 속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 둘째 공간정보 활동영역별 가치를 정량화하고 총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사람들의 공간정보 이용행태와 사람의 활동행위의 관계 변화. , ,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공간정보 가치창출의 환경요인으로 사회문화적 요. , ․ 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폭발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 이에 따른 사회의 변화 등에 대응하기 위,

(24)

해 현재 시행중인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의 수정이 필요하다 특히 기존의 기본계. 획은 정보화 사업 중심으로 수립되어 있다 이제는 공간정보 가치창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책을 실현할 수 있는 계획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 동안의 공간정보정책을 되. 짚어보고 선진 미래를 설계하는 가이드로 공간정보정책을 새롭게 정립하는 것이 필요, 하다.

공간정보가 융복합되고 활용되는 행태는 경제 기술 정책 사회문화 등 다양한 요인, , , 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 밝힌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의 정. 책적 함의는 공간정보 활동영역의 일부분에 불과하다 또한 정치 경제 기술 사회생활. , , , 등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한다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연구 미래를 선도. , 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기대효과

본 연구는 비즈니스모델과 정보가치사슬 개념을 확장하여 공간정보 융복합 메커니 즘의 이론적 체계를 제시했다 특히 공간정보 융복합으로 가치가 창출되는 추상적 영. , 역을 정의하고 공간정보 가치를 창출하는 융복합의 구조 및 작동 메커니즘을 정립한, 공간정보 가치네트워크를 제시함으로 공간정보 연구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환시키는 계 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공간정보 융복합 특성을 체계적으로 정립해 공간정보정책 수립을, 위한 기본 틀로 삼고 이를 통해 공간정보 융복합 촉진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공, . , 간정보가 융복합되고 가치가 창출되는 추상적 영역을 중심으로 공간정보정책의 대상영 역을 정립하고 공간정보정책의 내용과 개입 지점 방법 등을 가치네트워크의 인과관계, , 에 따라 결정함으로서 현실에 적응력 있는 정책을 수립하는 체계를 제시했다 이는 공. 간정보 융복합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기존 공간정보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결과가 공간정보정책 방향 정립을 위한 바탕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 으로 기대된다.

(25)

참고문헌

국토해양부. 2008. 「국가GIS지원연구 신산업창출을 위한 공간정보산업 활성화 전략연구- 」. 국토해양부.

김영표 외. 2001. 「GIS산업 육석 및 지원방안에 관한 종합연구」. 건설교통부.

김종호 박화규· . 2008. "가치사슬의 융복합을 통한 공간정보산업의 경쟁력 제고 전략".「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 Vol.13 No.3. pp.13 - 21.」

김태현. 2006.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가치사슬변화와 사업자 동향”. 「정보통신정책」. 제 권18 호

23 . pp.1 - 18.

문성배 김원중 고준형 임순옥· · · . 2008. 「거시경제 변화에 따른IT산업 파급효과 추정을 위한 계량 모형 개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위정현. 2008.「가상세계 확대에 따른 정책방향 및 파급효과 분석연구」.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이홍재 문석웅 김용규 박진현 윤두영· · · · . 2002. 「통신서비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정보통신

정책연구원.

최병남. 2008. “공간정보서비스 전략-공간정보 가치사슬 네트워크와 비즈니스모델을 중심으 로”. 「지적」. 제 권 제 호38 2 . pp.53-73. 대한지적공사.

ACIL Tasman. 2008. ‘The Value of Spatial Information’. ACIL Tasman.

Basole and Rouse. 2008. “Complexity of service value networks,”「IBM Systems Journal .」 47(1). pp. 53-70.

Elisabetta Genovese . 2009b. “Evaluation the socio-economic impact of Geographic Information: A Classification of the literature".「International Journal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s Research . Vol.4. pp.218 - 238.」

John D. Sterman. 2000.「BusinessDynamics: Systems Thinking and Modeling for a Complex World . Mc-Graw Hill. 1st ed..」

Krek, A., and Frank, A. U.. 2000. "The Economic Value of Geo Information". 「In Geo-Informations- Systeme Journal for Spatial Information and Decision Making 13(3) .」

Longhorn, R., Blakemore, M.. 2008. Geographic Information: Value, Pric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Boca Raton, FL, CRC Press

Peter Weiss. 2002. Borders in Cyberspace: Conflicting Public Sector Information Policies and their Economic Impacts.

Phillips, R. L.. 2001. The management information value chain. Perspectives. 3.

(26)
(27)

2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 ) Ⅱ

정문섭 ․ 조춘만 ․ 최재성 ․ 김계욱

서론 1.

디지털 융합시대 공간정보 서비스 현황 1)

시사점 도출 2)

디지털통합공간 기본 구상 2.

디지털통합공간 개념 및 서비스 구현요소 1)

디지털통합공간 기본 구상 2)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3.

서비스 실험구축 및 시사점 1)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2)

연구의 특징 및 한계 3)

정책 건의 및 차년도 연구방향 4)

(28)
(29)

서론 1.

국토 지능화와 관련 정보통신 감성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 ・ ・ 황에서 그동안의 정적인(Static)측면의 국토공간 활용에서 동적인(Dynamic) 공간활용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이며 이러한 시도는 유비쿼터스 도시에 대한 연구 및 사업들로 일부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공간의 미래 지향성 기술개발의 난해성 및 구현의 중 장기적 지원, ・ 필요성 등 한계가 있어 왔다 따라서 보다 중단기적으로 특정 대상공간에 초점을 맞추어. ․ 계획 단위 유비쿼터스 공간으로 구체화한 후 디지털통합공간이라는 체감형 공간 안에서, ‘ ’ 서비스 실수요 기반의 실현가능한 접근방법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국토 공간 전역을 대상으로2009년부터 차년도에 걸쳐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5 며, 2011년 현재 차년도 연구를 진행 중이다 차년도 연구에서는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3 . 1 정의에 중점을 두었으며 본 차년도 연구에서는 이제까지의 국가2 GIS연구 성과를 활용하 여 과년도에 정의된 디지털통합공간 개념체계를 수렴하고 그 기반 위에 디지털통합공간서 비스에 관한 기본구상 및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사례를 통한 신생 공간서. 비스 사업 조사 및 활용방안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도출한 후 서비스 모델을 구상하였다.

이렇게 모델링된 현실 가상공간의 융복합 국토공간 서비스에 대해 스마트폰 단말 환경 및・ 범용 통신환경을 기반으로 현실공간 시스템 부문을 실험 구축하였다 이후 사례지역을 중. 심으로 시행한 후 시사점 및 활용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연구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연구협의회 자문회의를 개최하였고 외부전문가와 협동 연구를 수행 하였다, .

(30)

디지털 융합시대 공간정보 서비스 현황 1)

스마트폰기반의 공간정보서비스 현황을 직접제공 서비스와 공간정보융복합 서비스 사례의 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여 조사를 하였다 최근 모든 세대가 편하게 사용할 수2 . , 있는 스마트폰의 실용성과 인기의 흐름에 적극 부응할 수 있는 시기에 와 있으므로 본 연구는 스마트폰 기반의 국가GIS데이터 제공서비스 및 관련 융복합 서비스개발 보급 이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적극 활용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기반 공간정보 융복합서비스 개발 추세는 스마트폰과 어플리케이션 스토어가 활성화되면서 모바일광고 증강현실, (AR),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등이 다양하게 접 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즉 스마트폰이 점차 발달함에 따라 네이버, (NAVER)지도 다음, 로드뷰(DAUM Road View), 맛집찾기 등 실생활에 공간정보를 활용한 위치기반 서비 스(LBS: Location-based service)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폰 열풍에 힘입은 위치기반 서비스 중에서 교통 항법 분야가 국내 위치기반· 서비스 산업체조사에서 절반에 가까운 규모로 파악되었다 한편 고비용 및 기술적 투자. 가 큰 시스템 분야 서버 기지국 측위 는( , ) 2009년75억원의 매출, 2012년도에는152억원의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며 다수의 측위 기술은 GPS를 통한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즉 스마트폰 및 모바일 기기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공간정보 및 기술인 위치기반서비스, 와 공간정보기반의 서비스 등을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산될 전 망으로 보인다.

이같이 스마트폰기반 공간정보 융복합서비스 사례를 조사한 결과 스마트폰에 자신, 의 현재위치를 알려주면서 상대방과 대화 가능한 서비스가 등장하였으며 다양한 하드, 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발달함에 따라 융복합된 각양각색의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위 치기반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위치기. 반서비스들은 서비스 안에서의 공간정보 제공측면과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타 분야의 정보콘텐츠가 융복합되는 측면으로 발전하고 있다 공간정보 기반의 위치기반서비스․ . 는 기존 웹상에서 지도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처럼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위 치를 표시해주는 지도서비스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31)

시사점 도출 2)

현황조사를 통해 실내외 공간연계 측위기술 시민이 직접 업로드 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정보기술 개인정보보호 기술개발 대용량 무선통신기술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시, , 사점을 도출하였다 공간정보 활용의 측면으로는 공공데이터의 접근성 향상이 필요하. 며 민간데이터의 의존이 심화되면서 공공과 민간의 협력적 관계형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개발 측면에서는 공공 어플리케이션의 품질문제 인기 민간서비스의. , 출혈경쟁 과다 통합 서비스플랫폼의 부재 공간정보를 활용한 융복합서비스 개발방법, , 론의 부재 등을 꼽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법제도적 제약의 측면에서는 위치정보 사. , 업권의 규제에 따른 융통성이 요구되며 개인의 선택적 위치공개의 오용방지 대책 및, 형평성 있는 무선통신 과금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디지털통합공간 기본 구상 2.

디지털통합공간

1)

1)

개념 및 서비스 구현요소

디지털통합공간(DSC, Digital Convergence Space)은 유비쿼터스공간 구현에 요구 되는u-IT기술 중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술을 활용하여 그 서비스의 실현이 가능 한 특정공간 서비스형 유비쿼터스공간 을 의미한다 표‘ ’ ([ 2-1] 참조).

구분 유비쿼터스 공간 디지털 융합공간

특성 이상적 u-공간 현재 실현가능 u-공간

무단절성 ×

사용자중심성

내재성

지능성

[ 2-1] 유비쿼터스 공간과 디지털융합공간의 개념적 비교

1) 정문섭 외. 2009.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I . 국토연구원. p53.

(32)

디지털통합공간은 물리공간의 유비쿼터스화를 위한 계획단위 공간으로서 디지털콘 텐츠 기기 통신망을 융복합 활용하여 공간정보활용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 계획단위 공간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 표([ 2-2] 참조).

구분 유비쿼터스공간 디지털통합공간

특성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서비스 제공

· · 특정공간에 제한된 서비스 제공

· “Every-ware” · “There-ware”

· Location-independent · Location-dependent 이상적으로 추구해야할 첨단

·

국토공간미래상

유비쿼터스기술 발전에

· (U-IT)

따른 단계적 첨단공간 구현

예시

[ 2-2] 유비쿼터스공간과 디지털통합공간 특성비교

디지털통합공간은 유비쿼터스화가 요구되는 특정공간에 집중적으로 유비쿼터스화 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이 해당공간에 제한된다 즉 디지털통합공간은 현실 기술개발 수. , 준을 고려하여 구현 가능한 첨단공간으로서 국토공간 모든 곳에 서비스가 가능한 가 아닌 특정 소규모공간에 집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

‘every-ware’ ‘there-ware’

해당한다 따라서 유비쿼터스공간은 특정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서비스 수혜. 가 가능하나 디지털통합공간은 특정한 물리적 공간활용의 문제해결을 위해 그 공간에, 국한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물리공간과 전자공간의 균형 있는 공진화를 유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의 구현요소는 크게 다음의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4 ([

참조 2-1] ).

정보콘텐츠(Contents): 공간정보 또는 공간정보기반 융복합콘텐츠

통신망(Networks) : 유비쿼터스서비스 제공을 위한 유무선 통신망

▪ 기기(Devices) : 정보 입출력기기로서 내재기기(Embedded devices)/사용자 휴대기기(Mobile devices)로 구분 서비스 계획관리시스템(Service Planning & Management System): 서비스기기들의 기능 및 재고

관리를 통합 지원

(33)

그림

[ 2-1] 디지털통합공간의 구성요소 및 상관관계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기본구상 2)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의 프레임워크(Framework)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본구상 단계에서는 디지털융복합에 의한 첨 단 국토공간서비스로서 유비쿼터스공간 제공을 위한 서비스별 표준내역을 제시한 서비 스 프레임워크(Service Framework)가 미리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본 서비스구상. 및 향후 기타 서비스 또는 인근 유사 디지털통합공간들과의 기능적 연계관계 확보 등 체계화를 유도할 수 있다 즉 표준화된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첨단 국토. , 공간서비스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자치단체 간 상호운 용이 가능한 서비스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아래 표[ 2-3]의 내용에 예시적으로 제시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위해 요구되는 서비스 분류체계(Category), 서비스 내용 구현체계 및 실행계획 등의 개괄 내용을 기본적으로 제시해 (Contents), (System) (Plan)

야 한다.

(34)

요 소 해 당 내 용 분류체계

(Category)

· 영역분류 문화 보건 환경 안전 등( , , , )

· 전국공통 광역 지역특화 등,

· 재원조달 분류 공공 민간 민관협력 등( ) 서비스내용

(Contents)

· 요구되는 공간정보 및 융복합 콘텐츠

· 서비스 수혜대상 국가 지방자치단체 시민 등( , , )

서비스 구현체계 (System)

· 서비스 시나리오 정의

· 시나리오 구현을 위한 대 부문별 세부 구성요소 제시4 정보 콘텐츠 서비스관리시스템 정보단말 통신망

( , , , )

· 서비스 시나리오 구현을 위한 기관간 협력 연계관계

· 내부 및 외부 기관간 협력 연계체계

예 정보 콘텐츠 획득여부 현장장치 설치장소 협력

( , ,

여부, 핸드폰 연계시 기존 상용망 활용여부 등) 실행계획

(Plan)

· 서비스의 계획 인프라의 구축 운영관리에 관한 단계적, 실행계획

[ 2-3]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워크 예시

서비스 분류체계의 필요성

국토해양부 한국정보사회진흥원, (NIA),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등 기관별 서비스 분류체계들이 공존하나 불분명한 서비스 정의 및 분류근거 등

u-City ‘u-City ’

으로 통일된 표준 분류체계 마련을 위한 근거제시가 요구된다 본 분류체계 제시를 통. 해 디지털융합시대의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개념체계를 기반으로 설득력 있는 정보서 비스 분류체계 마련에 기여할 수 있다.

관련 기관 서비스 체계 서비스 규모

국토해양부 u-Eco City 단위서비스

표준분류체계(2008) 11대 분야 228개 서비스 행정안전부 지역정보화 서비스모델(2007) 공통 및 특화분야 57개 서비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 TTA 서비스모델(2006) 공공 비즈니스 생활분야, , 102 한국정보 사회진흥원

(NIA) NIA 서비스모델(2007) 20개 분야 383개 서비스 토지공사 토지공사 서비스모델(2007) 7개 분야 56개 서비스

[ 2-4] 기관별 u-City 서비스 분류체계

(35)

또한 공공과 민간을 막론하고 공간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융복합서비스들이 개발되 고 있으나 공간정보와 타 디지털콘텐츠와의 융복합화에 관한 체계적 접근방법이 부재 하여 서비스 호환성에 제약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디지털통합공간서비스 분류를. 1) 공간정보 제공서비스2)공간정보활용 융복합서비스 등으로 대분류하고 융복합서비스 구현에 관한 구체적 접근방향 제시로 융복합서비스 개발의 기반제공에 기여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공간정보 융복합 서비스 자체에 대한 미흡한 개념정의 제도적 표준분‘ ( ) ’ , 류체계 미비로 공간정보 융복합 서비스 개발에 요구되는 기반기술 정의 및 단계적 기( ) 술개발 지원도 어려운 상황에 있다 따라서 관련 기초개념의 정비 및 서비스의 표준체. 계 즉 대 중 소 분류별 서비스체계 제시 및 그 구현을 위한 세부정보시스템 제안 등을, · · 통해 보다 체계적인 기술개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융합시대에 공간정보 융복합 서비스 구현을 위한 당면과제와 그, ‘ ( ) ’ 해결을 위한 제반 제도정비가 요구되나 서비스 자체에 대한 근거 있는 분류체계 미비로 제도정비분야 자체규정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같은 사항은 국토해양부를 중심으로. 제시된 유비쿼터스도시건설등에관한법률과 관련된 지침과 가이드라인 등과 연계된 서 비스관련 제도정비를 통해 보다 체계적 서비스개발지원이 가능할 것이다.

국가GIS 활용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분류체계

핵심기준과 기본방향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분류가 가능하나,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정보 콘텐츠 이용 관련 현행 기술수준과 실제 어플리케, 이션들의 이용패턴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1) 융복합콘텐츠 국가( GIS+융복합데이터베이스) 2) 디지털기기 스마트폰( 서버 통신망 유무선네트워크 간 연계특성별로 다음의 가지 서비스로 대분류하

+PC ) 3) ( ) 4

여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아래 그림( [ 2-2] 참조 디지털통합공간서비스 구현을 위한).

대 구성요소 중 나머지에 속하는 서비스계획관리시스템 은 아래 분류상 유

4 (DCS-MS)

형-3(국가GIS활용 LBS서비스 에 한정하여 개발 및 연계 가능하다) .

(36)

그림

[ 2-2] 국가GIS 활용 디지털통합공간서비스 유형분류

국가GIS활용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분류체계에 의한 유형별 명칭과 개요 및 예시 적 용도에 관한 상호 비교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가. GIS데이터에 기타 콘텐츠와 융복합 하느냐 또는 스마트폰을 중간매개체로 활용여부 등의 조합에 따라 가지로 분류할 수4 있다.

유형 국가 데이터 현장활용 서비스 (1) 1 : GIS

국가GIS데이터를 현장활동의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직접 받아 공간활동과 업무 등에 바로 활용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예를 들어 지가 건축물 이력 및 관련 정보 현장 확인 등 서비스가. , ,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유형 국가 데이터 단말활용 서비스 (2) 2 : GIS

스마트폰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원격조종으로 개인 또는 기업PC서버에 국가GIS데이 터를 다운받아 공간분석이나 업무지원 등에 활용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 , 로 원격 제어 지적 지형 도시 등 도시 기본계획수립을 위한 기초데이터를 기업, , , PC서버에 대 용량 저장 공간분석 및 계획수립 지원에 활용이 가능하다, .

유형 국가 활용 서비스

(3) 3 : GIS LBS

국가GIS데이터를 기반으로 문화 여가 전통 등 타 콘텐츠를 합한 가장 대표적 위치기반서비, , 스 유형에 해당한다 공공 화장실 찾기 앱 전국 문화가 있는 자전거 네비 앱 주말에 여는 약국. , , 찾기 앱 등의 서비스 사례를 들 수 있다.

(37)

유형 국가 활용 융복합 데이터 서비스 (4) 4 : GIS

국가GIS데이터에 문화 여가 전통 등 타 콘텐츠를 합한 융복합콘텐츠 데이터를 스마트폰 원, , 격제어로 개인 또는 기업의PC서버에 저장하여 공간분석이나 업무지원에 활용한다 스마트폰. 원격 제어로 지방자치단체가 축적 보유한 상습 아동성폭력 발생 구역 데이터베이스를 다운받 아 기업이u-학교안전 앱서비스 개발에 활용 가능하다.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구현의 당면과제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구현을 위해서는 실현가능 표준서비스에 대한 분류 및 제도 화와 관련되어 먼저 디지털융합에 의한 정보콘텐츠의 융복합서비스 개발방향을 크게, ‧ 공간정보 국가 제공서비스 공간정보활용 융복합 서비스로 대분류하여 접근

1) ( GIS) 2)

하고 국가GIS의 민간개방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제시 및 개인정보보호 국가정보보안, 등 관련 규제해결을 위한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공간정보와 기타 융복합 콘텐츠. 의 융복합을 지원하고 중재할 수 있는 공간정보 융복합 진흥기구를 제안하고 관련 추진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한편 공간정보 융복합서비스 방법론의 개발과 관련해서는. , 공간정보의 타분야 콘텐츠와 융복합 표준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과 기술적 제약제도적‧ 제약기관간 협력의 한계 등 현실적 고려사항들을 요소화하여 단기 및 중장기 융복합‧ 서비스 개발의 차별화방안에 대한 제시가 필요하다.

국가GIS 접근성 및 품질 향상 관련해서는 국가GIS의 민간개방을 목표로 점검되어 야 할 1) 기술적 2) 제도적 3) 기관간 협력적 한계 등을 종합분석하고 단계별 순차적 민간개방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체 국가. GIS데이터의 개방은 현실적으로 많은 제약과 한계가 따르는 바 시급성 당위성 기술지원 가능성 등 판단요소를 종합적, , , 으로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공개가능한 데이터를 선정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통신망/

기기의 제도 및 기술적 제약 극복과 관련해서는 통신망기기의 한계와 비표준화 현실을․ 극복하고 디지털융복합 기기류의 기술발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제도 및 기술표 준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민간에 의한 디지털기기류의 경쟁이 공공서비. 스 개발의 지연을 초래하지 않도록 관련한 디지털기기의 조기 표준화 실현에 기여해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 국가정보기밀 등 보안문제를 공간정보 활용 융복합서비스. ,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동반자적 핵심기술 분야로 인식해야 하며 또한 각종 공공주도의 첨단서비스 개발 시 협업 풍토조성 및 제도적 연계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38)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3.

서비스 실험구축 및 시사점 1)

디지털통합공간 실험구축사업은 차년도의 결과에 따라 현실 기술 개발 수준을 고1 려한 개념적 정의가 선행되었다 차년도에 정의한 통신환경 단말기 등의 기술적 문제. 1 , 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중화된 기술의 추가 도입을 통해 실험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전망 하였다 따라서 차년도 실험사업을 구축함으로써 기술 제도 서비스 데이터 등 세부. 2 , , , 장애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그림 실험시스템 목표

[ 2-3]

참조

관련 문서

정책지원내용으로는, 공간정보 취약계층의 생활 ․ 이동편의 증진에 기여하는 공간정 보 콘텐츠 구축지원, 공간정보 취약계층의 생활 ․ 이동편의 증진에 기여하는 공간정보

Analysis of Trends and Strategies on the Opening of Geospatial Data in the Developed Countries.. 이제는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보다는 데이터 공유

그런데 영국의 경우 대기업에서만 IFRS 전환으로 재량적 발생액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과 호주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 는 아시아

¾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공사시방서.. 공사시방서 작성시 작성시 활용하기 활용 하기

 a8 =&lt;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4  Ú    GH &amp; () PPP .  

한국어와 중국어에 나타난 금기어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는 대부분 각각의 언 어를 대상으로 한 개별적인 연구이었을 뿐 두 언어를 대상으로 하는 비교 연구.. 더구나

본 연구는 무용전공학생을 대상으로 무용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원활성이 무용 몰입과 성취,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커뮤니케이션 원활성에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G광역시 한 개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 였기 때문에 본 연구를 일반화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또한 본 연구는 단면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