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아이가’ 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아이가’ 나"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주차 강의] 문장의 몸과 옷

<학습 목표>

1. 문장이 단순히 ‘주어+서술어’의 결합이 아니라 ‘명제’와 ‘양상’의 결합체임을 이해한다.

2. 서술어를 중심으로 한 문장의 몸(명제)과 어미를 중심으로 한 문장의 옷(양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를 구체적인 예를 통해 이해한다.

<학습 내용>

1. 문장성분과 구 1.1 주어와 명사구 1.2 주격조사와 후치사구 1.3 단순한 구와 복잡한 구 2. 문장의 몸과 옷

2.1 문장의 몸과 서술어 2.2 문장의 옷과 어미 2.3 문장=명제+양상

---

(2)

1. 문장성분과 구

(1) 그 아이가 빵을 먹었다.

1.1 주어와 명사구

(2) 문장 (1)에서의 ‘주어’는 다음 중 어느 것일까?

가. ‘아이가’

나. ‘그 아이가’

(3) ‘주어’의 정의와 그 적용

가. ‘주어’의 정의: 문장에서 행위의 주체를 나타내는 말 나. ‘주어 정의’의 적용:

a. 문장 (1)에서 발견되는 행위: ‘먹다’라는 행위 b. ‘먹는 행위를 한’ 주체는 ‘아이’인가 ‘그 아이’인가?

⇒ ‘그 아이’ (막연한 ‘아이’가 아니라 구체적인 ‘그 아이’임) c. ∴문장 (1)의 행위의 주체가 ‘그 아이’이므로, 주어는 ‘그 아이가’임

(4) 주어 ‘그 아이가’는 다음 중 어떻게 분석되는가?

가. 그 [아이+가]

나. [그 아이] + 가

(5) ‘주격조사’의 정의와 그 적용

가. ‘주격조사’의 정의: 앞 말이 주어임을 나타내어 주는 격조사 나. ‘주격조사 정의’의 적용:

a. ‘그 아이가’에서 주어(행위의 주체)는 ‘아이’가 아니라 ‘그 아이’임 (=3나b) b. 따라서 주격조사 ‘가’는 ‘그 아이’에 결합된 것이라고 보어야 함

⇒ [그 아이] + 가 (=4나) 다. 이에 대한 반론:

a. 주격조사 ‘이/가’는 앞 말이 자음으로 끝나는가, 모음으로 끝나는가에 따라서 교체됨 b. ∴주격조사 ‘이/가’는 ‘그 아이’가 아니라 ‘아이’에 직접 결합한다고 보아야 함 라. 반론에 대한 재반론:

a. ‘자음/모음 뒤’라는 환경 정보는 통사적인 정보가 아니라 음운론적 정보임.

b. 문장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앞 말에 조사가 결합하는 것은 통사론적인 현상임

c. 통사론적 현상을 다루는 데 음운론적 정보를 동원하여 판단하는 것은, 마치 회사 임 원회의에서 사장이 갑자기 자기 집안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과 같이 격에 안 맞음.

d. ∴‘자음/모음 뒤에서의 주격조사 교체 양상’은 이 대목에서 적절한 증거가 아님 (즉, 이 증거는 현 상황에서 무효임)

e. ∴(5다)는 적절한 반론이라 할 수 없음.

f. ∴주격조사 ‘가’는 ‘그 아이’에 결합된 것이라고 보아야 함

⇒ [그 아이] + 가 (=4나)

(3)

(6) 주어 ‘그 아이가’ 내부의 ‘그 아이’의 통사적 신분은?

가. 문장 (1)의 주어: ‘그 아이가’

나. 주어의 내부 분석: [[그 아이] + 가] (=4나) 다. ‘그 아이’의 정체는?

a. ‘그 아이’에서 ‘그’가 중심인가, 아니면 ‘아이’가 중심인가?

b. ‘아이’가 중심이다.

c. ∵‘그’가 ‘아이’를 수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d. 이때 중심이 되는 ‘아이’를 ‘핵(head)’이라 부른다.

e. 그렇다면 ‘핵’이 아닌 ‘그’는 ‘비핵(non-head)’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f. 정리하면, ‘그 아이’는 ‘아이’라는 핵을 가진 ‘구(phrase)’라고 부른다!

g. 그렇다면 ‘그 아이’라는 구의 더 구체적인 명칭은?

⇒ 명사구(Noun Phrase)

∵구의 명칭은 그 안의 핵의 품사 명칭을 따르므로!

h. ‘그 아이’ ⇒ ‘[ 그 [아이]N ]NP’

1.2 주격조사와 후치사구

(7) 그렇다면 ‘그 아이가’의 정체는?

가. ‘그 아이가’: ‘주어’라는 문장성분

나. 이제까지의 논의에 의해 밝혀진 바: [ [ 그 [아이]N ]NP + 가 ] 다. 궁금한 점:

a. [ [ 그 [아이]N ]NP에 결합하는 ‘가’의 통사적 신분, 그리고 b. 결합의 결과로 만들어진 그 전체의 구조물의 통사적 신분

⇒ [ [ 그 [아이]N ]NP 가? ]?

(8) 우선, ‘그 아이가’에서 ‘가’의 정체는 무엇인가?

가. ‘가’: 주격조사(앞 말이 주어임을 표시해 주는 격조사) 나. (주)격조사 ∈ 단어

다. 그렇다면 ‘(주)격조사’는 어떠한 종류의 단어인가? (일반언어학적인 관점에서)

(9) 한국어의 격조사와 영어의 전치사 가. 두 언어의 비슷한 문장 대비

I gave a book to him 나는 책을 그에게 주었다 나. 영어의 예 분석:

I gave a book to him : [to him]PP (전치사구, PP: Prepositional Phrase)

→ to(전치사) > him(대명사)

→ to가 him보다 구 차원(통사적 차원)에서는 더 우월함(전치가가 명사를 지배) 다. 마찬가지의 논리로 한국어의 예 분석:

나는 책을 그에게 주었다 : [그 + 에게]PP (후치사구, PP: Postpositional Phrase)

(4)

→ 그(대명사) < 에게(조사 ⇒ 후치사)

→ ‘에게’가 ‘그’보다 구 차원(통사적 차원)에서는 더 우월함(격조사가 명사를 지배)

※동일한 대명사 뒤에 다른 ‘격조사’가 결합하면 다른 문장성분으로 기능함 그+가(주어), 그+를(목적어), 그+에게(부사어), …

※{전치사, 후치사} = 부치사(adposition)

(10) ‘그 아이가’의 통사적 분석

[ 그 [아이]N ]NP + [가]P ⇒ [ [ 그 [아이]N ]NP + [가]P ]PP

명사구 주격조사(후치사) 주격조사구(후치사구)

1.3 단순한 구와 복잡한 구

(11) 문장성분과 구

가. 문장성분: 주어, 목적어, 보어, ….

나. 구: 문장을 구성하는 실질적 기능 단위

다. ∴‘문장성분’은 실제로 ‘구’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 ‘그 아이가 빵을 먹었다’에서의 주어

→ ‘그 아이가’

→ 형식: 주격조사구, [ [ 그 [아이]N ]NP + [가]P ]PP

라. 그렇다면, 나머지 문장성분들은 어떻게 분석되는가?

(12) 목적어 분석

가. 분석 대상: 그 아이가 빵을 먹었다.

나. ‘빵을’의 통사적 지위는?

a. ‘빵’은 명사인가, 명사구인가?

b. ‘빵’에 목적격조사 ‘을’이 결합한 구성은 무엇인가?

(13) ‘빵을’에서의 ‘빵’의 통사적 지위

가. 핵심 질문: ‘빵’은 명사인가, 명사구인가?

나. 가능한 대답

a. ‘빵’은 ‘명사’이다!

∵‘빵’ 밖에 보이지 않으므로 ‘빵’이라는 명사가 홀로 목적어 형성에 참여한 것임!

b. ‘빵’은 ‘명사구’이다!

∵‘빵을’은 ‘이 빵을’이나 ‘내가 어제 만든 빵을’처럼 얼마든지 복잡해질 수 있다. 이때

‘빵, 이 빵, 내가 어제 만든 빵’은 모두 같은 지위를 갖는다고 보아야 한다.

[빵] + 을 [이 빵] + 을 [내가 어제 만든 빵] + 을

즉, ‘빵을’에서의 ‘빵’은 가장 단순한 형태로 드러난 것일 뿐, 그것은 사실상 ‘이 빵’, ‘내가 어제 만든 빵’처럼 더욱 복잡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통사적 구성체이다.

(5)

⇒ ‘빵’은 ‘단순한 명사구’(simple NP), ‘이 빵, 내가 어제 만든 빵’은 ‘복잡한 명 사구’(complex NP)!

∮비유: 기업(company)에는 매우 단순한 기업(1인 기업)과 매우 복잡한 기업(대기 업)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들 모두 기업으로 분류되기는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복 잡성 정도의 차이가 있을지언정 단순한 명사구이든 복잡한 명사구이든 모두 명사 구이기는 매한가지이다.

다. 결론: ‘빵을’에서 ‘빵’은 명사로 출발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명사구의 신분을 갖는다.

⇒ [ [빵]N ]NP

(14) 그렇다면 ‘빵’에 목적격조사 ‘을’이 결합한 구성은 무엇인가?

가. 앞서 논의한 주어의 경우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분석할 수 있음

나. [ [빵]N ]NP + [을]P → [ [ [빵]N ]NP + [을]P ]PP : 목적격조사구(후치사구)

(15) 관형어 분석

가. 분석 대상: 그 아이가 빵을 먹었다.

나. 문제 제기: 주어 ‘그 아이가’에 들어 있는 관형어 ‘그’의 통사적 지위는?

⇒ ‘그’는 관형사인가, 아니면 관형사구인가?

다. 해결 과정:

a. 관형어의 정의: 문장에서 체언을 수식해 주는 말 b. 문장 (1)에서 관형어는 주어 내부에 들어 있다.

→ [ [ 그 [아이]N ]NP + [가]P ]PP

c. 이때 ‘그’ 자체로서는 분명히 ‘(지시)관형사’이다.

d. 그러나 이 경우에서도 관형사 ‘그’는 ‘바로 그’와 같이 더 복잡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경우와 복잡한 경우가 있을 경우, 복잡한 경우를 기본으로 설 정해야 했던 것처럼(목적어 논의에서), 이 경우도 ‘그’가 단순히 관형사에 머무는 것 이 아니라, 비록 관형사에서 출발했지만 결과적으로는 ‘관형사구’로 끝나게 된다고 해야 일관성 있는 분석이 된다.

라. 분석 결과:

a. 관형사구: [ [그]D ]DP

※관형사를 ‘Determiner’(한정사)라고 명명하고 그 약자를 D로 사용하기로 함 b. 주어 전체의 온전한 분석:

[ [ [ [그]D ]DP [아이]N ]NP [가]P ]PP

(16) 구(phrase)의 구조에 관한 일반화: 이제까지의 논의 정리 가. 문장성분은 ‘구’라는 통사적 형식으로 실현된다.

나. 구는 ‘핵(head)’과 ‘비핵(non-head)’으로 구성된다.

a. 그 아이 → [그비핵 아이핵]

b. 그 아이가 → [[그비핵 아이핵]비핵 가핵] c. 빵 → [Ø비핵 빵핵]

d. 빵을 → [[Ø비핵 빵핵]비핵 을핵] e. 그 → [Ø비핵 그핵]

(6)

다. ‘핵(head)’과 ‘비핵(non-head)’의 순서 a. [Y비핵 X핵]

b. 비핵은 왼쪽에, 핵은 오른쪽에 나타남 라. 핵은 ‘단어’로, 비핵은 ‘구’로 나타남

a. [[그관형사구] 아이명사]명사구

b. [[그관형사구] 아이명사]명사구 가후치사]후치사구

c. [[빵명사구] 을후치사]후치사구

마. 구의 구조에 관한 일반화

a. 구는 ‘핵(head)’과 ‘비핵(non-head)’으로 구성되며, b. 그 순서는 ‘비핵, 핵’의 순서이고,

c. 비핵은 구, 핵은 단어로 나타나며,

d. 경우에 따라서는, 비핵 없이 핵만으로 구가 성립될 수 있다.

¶ 관형어 ‘그’, 목적어 ‘빵을’에서 명사구 ‘빵’

2. 문장의 몸과 옷

2.1 문장의 몸과 서술어

(17) 문장의 서술어

가. 질문: 문장 (1)에서 서술어는 무엇인가?

나. 통상적인 대답: 그 아이가 빵을 먹었다.

다. 의문: 이 분석은 정확한가?

(18) 서술어의 자릿수

가. 질문: 문장 (1)에서 주어(그 아이가)와 목적어(빵을)는 누가 선택하였나?

a. ‘먹었다’ 전체인가, 아니면 b. 그 가운데 ‘먹-’뿐인가?

나. 검토

a. 서술어의 자릿수: 서술어가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성분의 개수 b. 자료

1) 그 아이가 빵을 먹었다. (2자리 서술어 구문) 2) 그 아이가 나에게 빵을 주었다. (3자리 서술어 구문) c. 분석

1) 두 구문은 주어와 목적어를 동일하게 가지고 있음

2) 필수성분의 개수의 차이는 서술어의 자릿수의 차이에 기인함

3) 동사 어간: 필수성분을 직접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것은 ‘먹었다’나 ‘주었다’가 아니 라, 동사 어간으로 알려진 ‘먹-’이나 ‘주-’ 자체임

4) 어미: 두 문장에서 ‘-었-’은 ‘과거시제’를, ‘-다’는 ‘평서문’임을 표시해 주고 있음(서 술어의 자릿수와는 상관이 없음)

다. 정리

a. 주어나 목적어 등 서술어가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문장성분의 개수를 서술어의 자릿

(7)

수라고 부른다.

b. 서술어의 자릿수로 인해 문장의 성격이나 종류가 갈린다(자동사문, 타동사문 혹은 1 형식 문장, 2형식 문장, …)

c. 서술어의 자릿수는 동사 어간이 가지고 있는 정보이다.

d. 동사 어간이 주어나 목적어를 직접 선택한다는 것은, 주어나 목적어에 대한 서술어 가 동사 어간이라는 것을 뜻한다.

라. 문장 (1)에서, 서술어는 ‘먹었다’ 전체가 아니라 동사 어간인 ‘먹-’이다.

(19) 서술어와 ‘문장의 몸’(명제)

가. 동사 어간이 주어나 목적어를 선택한다.

나. 이는 곧, 동사 어간이 핵이 되고 주어와 목적어가 비핵이 됨을 의미한다.

다. 문장 (1)의 통사 구조 분석

[그 아이가]주어 [빵을]목적어 먹서술어

→ [그 아이가]비핵1 [빵을]비핵2 먹핵

→ [그 아이가]PP [빵을]PP 먹V

→ [ [그 아이가]PP [빵을]PP 먹V ]VP

라. 문장의 몸(명제): 서술어와 그에 딸린 문장성분들의 결합체 (명제: Proposition)

⇒ 문장 (1)의 경우, 동사구(VP):

[ [그 아이가]PP [빵을]PP 먹V ]VP = 명제

2.2 문장의 옷과 어미

(20) 문장에서의 어미의 기능

가. 문장 (1): 그 아이가 빵을 먹었다.

나. 명제: ‘그 아이가 빵을 먹-’

다. 어미: ‘-었-’, ‘-다’

(21) ‘-었-’의 문법적 기능 가. ‘-었-’의 정제

a. 통상적인 명칭: 과거시제 선어말어미

b. 새로운 명칭: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소 → 시제소(Tense) 나. ‘-었-’의 기능과 문장 분석

a. ‘-었-’은 문장 (1)에서 명제 ‘그 아이가 빵을 먹-’이 과거에 일어난 일임을 나타냄 b. 그에 따른 문장 분석

→ [그 아이가 빵을 먹]명제 + 었시제

→ [그 아이가 빵을 먹]VP + 었T

→ [ [그 아이가 빵을 먹]VP 었T ]TP : 시제소구

(22) ‘-다’의 문법적 기능 가. ‘-다’의 정제

(8)

a. 통상적인 명칭: 평서형 종결어미

b. 새로운 명칭: 문장종결법을 나타내는 문법소 → 종결소(Complementizer) 나. ‘-다’의 기능과 문장 분석

a. ‘-다’는 문장 (1)에서 화자가 ‘그 아이가 빵을 먹는 일이 과거에 있어났음’을 청자에게 평서법으로 전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1)평서법: 화자가 청자에게 단순히 진술하는 문장종결법 2)의문법: 화자가 청자에게 대답할 것을 요구하는 문장종결법

¶ 그 아이가 빵을 먹었-니

3)명령법: 화자가 청자에게 행동으로 응해 줄 것을 요구하는 문장종결법

¶ 철수야, 빵을 먹-어라 b. 그에 따른 문장 분석

→ [ [그 아이가 빵을 먹었 ]TP + 다C

→ [ [그 아이가 빵을 먹었 ]TP 다C ]CP : 종결소구

2.3 문장=명제+양상

(23) 명제와 구별되는 양상

가. 문장의 몸: 명제(Proposition) a. 서술어

b. 주어, 목적어 등 나. 문장의 옷: 양상(Modality)

a. 시제소(Tense)

b. 종결소(Complementizer)

(24) 문장 = 명제 + 양상 (S = P + M) 그 아이가 빵을 먹 었다

명제 양상

(25) 문장의 해체

가. 문장(Sentence) = 종결소구(CP)

[[[그 아이가 빵을 먹]VP 었]TP 다]CP = S

나. 종전까지는 문장이 구와 구별되는 더 큰 언어단위인 것으로 생각해 왔으나, 이상의 분석에 따르면, 문장은 ‘구의 일종’에 지나지 않음.

참조

관련 문서

아이가 칭찬을 받고 산다면 그는 감 사해 하는 것을 배운다.. 아이가 공정함 속에서 산다면 그는

형용사는 명사 앞에 위치 하여 명사를 꾸며주거나 be동사의 뒤에서 주어를 보충 설명하는 보어역할 을 하고, 부사는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 전체를

따라서 이 꽃을 내다 버리라고 하는 것은 어머니가 아저씨에 대한 마 음을 정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저씨만을 달걀 먹는

이때 아스펙트 연구 대상에 관해서

10 동사 decide 뒤에는 목적어로 to부정사가 오고, 동사 finish, enjoy, give up, mind 뒤에는 동명사가 온다8. ①②④⑤에는 reading이 들어가고,

따라서 빈칸에는 목적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들어가야 한다.. Plus Q 유사 문제 빈칸에는 동사 think, heard의 목적절을 이끄 는

사무업무의 생산성 향상 척도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④ 건물이 도심 쪽으로 위치할수록 고층화된다는 것은 토지이용의 집약도 토지에 대한 자본의 결합비율 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토지에 대한 ( ) , 자본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