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4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3년 2 월 석사학위 논문

일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금지( DNR) 에 따른 간호 활동

변화와 정서 상태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김 윤 희

(3)

일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금지( DNR) 에 따른 간호 활동

변화와 정서 상태

Changeofnur si ng act i vi t i esandemot i onalst at e f orDNR i n somenur ses

2013년 2월 일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김 윤 희

(4)

일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금지( DNR) 에 따른 간호 활동

변화와 정서 상태

지도교수 한 미 아

이 논문을 보건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2년 10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김 윤 희

(5)

김윤희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박 종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최 성 우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한 미 아 인

2012년 12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6)

<목 차>

표 목차 ···ⅲ ABSTRACT···ⅳ

Ⅰ.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연구 방법

A.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4

B.용어의 정의 ···4

C.조사변수 ···4

D.자료분석 ···5

Ⅲ.연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A.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7

B.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인식 ···9

C.간호사가 경험한 가장 최근의 DNR 환자 특성 ···11

D.DNR 결정에 따른 간호사의 정서 상태 ···13

E.DNR 결정 후 간호 활동 변화 ···14

F.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 상태 ···15

Ⅳ.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8

Ⅴ.요약 및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Ⅵ.참 고 문 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3

Ⅶ.감사의 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6

Ⅷ.부록<설문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7

(7)

<표 목 차>

표1.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8

표2.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인식 ···10

표3.간호사가 경험한 가장 최근의 DNR 환자 특성 ···12

표4.DNR 결정에 따른 간호사의 정서 상태 ···13

표5.DNR 결정 후 간호 활동 변화 ···14

표6-1.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 상태 ···15

표6-2.간호사의 DNR 환자 관련 인식에 따른 정서 상태 ···16

표6-3.DNR 환자에 따른 정서 상태 ···17

(8)

ABSTRACT

Changeofnur si ng act i vi t i esandemot i onalst at e f orDNR i n somenur ses

Kim,YoonHee

Advisor:Prof.HanMiAh,MD.Ph.D DepartmentofPublicHealth

GraduateSchoolofHealthScience, ChosunUnivers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experience,andchangeofemotionalstateandnursing activitiesassociatedwith DNR (Do-Not-Resuscitate)ofnurses.

Methods:Thestudy subjectswere243 nursesin oneofUniversity Hospitals. General characteristics, awareness, experience, emotional state and nursing activities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between August1 and August 15, 2012. Descrip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wareness,experience and nursing activities.And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toaccessthechangeofemotionalstateafterDNR experience.

(9)

Results:Mostoftheparticipants(98.8%)responded thatDNR wasnecessary.

Themajorreason forthenecessity ofDNR wastheimpossibility ofrecovery (53.3%).The decision to have a DNR order was most frequently made by patientsandfamily members.Mostoftheparticipants(94.2%)respondedthata guidebookforDNR inhospitalsisnecessary.Themeanscoreofemotionalstate was53.9±±6.76.It wasassociatedwithDNR enforcementofthefamilyandthe DNR decisiontimefrom hospitalization.

Conclusion:Thisstudyshowedthechangeofnursingactivitiesandemotional stateinnurses.TheseresultsmayhelptocareDNR patientsin

universityhospitals.

Keywords:DNR.Nursingactivities.Emotionalstate.

(10)

Ⅰ.서 론

CPR(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이하 CPR)은 갑작스럽고 예 기치 않게 심폐기능이 정지된 응급환자를 소생시킬 목적의 치료방법으로 인간의 생명을 구하는데 많은 공헌을 하였다(이명순,2010).그러나 단순히 생명만을 연장 하는 CPR 등의 사례가 증가 하면서 무의미한 생명의 연장과 소생술에 따르는 대 상자의 삶의 질과 존엄을 해치는 부작용이 초래되고 있다(주명하,2008).의료진은 CPR을 해도 회복의 가망이 없는 환자군이 있음을 알게 되면서,살아있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점차 커져갔다.의료기술의 발달로 과거에는 치료하기 어려 웠던 질병이 치료되는 사례도 많아졌지만 질병의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에라도 단 순한 죽음을 연장시키기만 할 뿐 잠재적으로는 환자에게 고통을 증가시키는 CPR 대신에 급성 심정지시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겠다는 DNR (Do-Not-Resuscitate) 을 선택하는 사례가 늘어나게 되었다(Simpson,1994;Wilson,1996;정성필 등, 1997).

DNR의 개념은 1976년 공식 발표되었고,대부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 으로 하였다.DNR의 지시는 처음에는 주로 의사의 판단하에 결정되었으나 근래에 는 환자의 자율성이 강조되면서 환자 스스로 요청하고 있다(송태준 등,2008).한 연구 자료에 따르면 말기암 환자의 DNR 찬성률이 85%(181/213-서울아산병원 2003)였고,또 다른 병원에서는 87%(143/165-보라매병원 2003-2004)로 조사되어 점차 증가 추세에 있다(허대석,2008).

미국에서는 1990년에 자기결정법(Patient'sSelf-Determination Acts)이 통과하여 병원에 처음 입원하는 환자에게 죽음의 과정에 관한 사전의사결정서(Advanced directives)를 받도록 하고 있으며 DNR 환자의 의식이 완전한 경우 환자가 일차적 인 의사결정을 하고 환자 의식이 불완전한 경우 사전의사결정서에 근거하여 결정 하거나 사전의사결정서를 받지 못하였을 때라도 환자의 유언,평소의 말이나 행동 에 근거하여 법적 대리인이 경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sohn,1998).

그러나 국내에서는 DNR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주치의와 환자 보호자의 주 관적인 판단에 따르고 있는 실정이며,주치의 마다 환자에게 구체적으로 시행하는 치료의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상황 대처시에 갈등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한성숙 등,2001).우리나라의 경우 DNR 결정이 환자가 배제된 상황에서 이루어지고 있으

(11)

며,DNR에 대해 가족이 환자의 존엄한 죽음을 위해 고려하였더라도 결국 환자의 포기 즉 가족으로서의 도리를 다하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부담감을 갖게 되고,가족 이 DNR을 끝까지 거부한 경우에는 오히려 도리를 다한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명선 등,2008).

DNR은 결정하는 사람의 과거 경험이나 문화,종교적 배경,전문적 훈련 과정, 태도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Nyman & Sprung,2000)DNR을 결정하 는 사람의 가치관,태도 및 지식 등은 매우 중요하다 (강현임,2003).DNR을 결정 하는 의료진 중 가장 가까이에서 환자를 대하는 간호사의 경우 DNR 경험에 따른 많은 정서적인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DNR 결정과 관련하여 간호한 환자를 회복 시킬 수 없다는 생각에서 오는 무력감,최선을 다하여 간호하지 못함으로 인한 죄 책감,DNR을 결정해야하는 상황의 잦은 발생으로 인한 우울 등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정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료 간호사들과 함께 감정 나누기 등의 대처방법을 시도하나 제대로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이명선 등,2008).

그 동안의 DNR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보면 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경험 (강현임과 염영희,2003),말기 환자의 DNR 결정에 대한 고찰(김상희,2005),중환 자실 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윤리문제의 인식 및 태도 조사(성미혜 둥,2007),노 인환자의 비 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 및 인식(김선아,2009),노인환자의 심폐소생 술 금지 결과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정서 상태(이명순,2010),노인환자의 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인식(박서윤,2011),암환자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태도(이주연,2012)에 대한 연구들이 있다.이렇듯 DNR에 대한 연구가 활발 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DNR과 관련된 인식이나 태도에 대한 내용이고 DNR 을 경험하면서 부딪히는 정서상태 및 간호활동 변화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이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실제로 임상 현장에서 DNR 결정과정에 간호사의 명확한 역할을 규명할 수 있는 근거를 찾기 위해서는 DNR 간호 활동 실태나 변화에 대해 조사해 보아야 할 것이 며 간호사들이 갖는 무력감,우울 등의 정서 상태 변화 또한 감정 전달 등으로 환 자에게 직접 영향을 줄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DNR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파악하고, DNR 경험 간호사의 정서 상태 및 간호 활동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2)

Ⅱ.연구 방법

A.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는 G광역시에 소재한 1개의 상급종합병원의 간호부에 연구의 목적과 방 법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를 동의한 간호사 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8월 1일부 터 8월 15일까지 전체 400명의 간호사 중 응급실,중환자실,병동의 수간호사에게 협조를 받아 설문지 작성법을 설명하고 연구대상자에게 배부 및 회수하였다.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나 이 중 불완전한 설문지 7부를 제외하고 243부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B.용어의 정의

1)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Resuscitation:CPR)

갑작스럽고 예기치 않게 심폐 기능이 정지된 상태에 소생시킬 목적으로 흉부압 박,인공호흡,전기적 제세동,응급 약물 공급을 시행하여 정지된 기능을 소생시키 는 것을 말한다.

2)심폐소생술금지(Do-Not-Resuscitate:DNR)

DNR이란 급성 심정지 또는 호흡정지 시 CPR을 하지 않는 것을 말하며,질환 혹은 사고로 인해 죽음이 예상되는 환자에게 CPR을 시행했을 경우 일시적으로만 심박동을 회복시킬 수 있지만,질환의 경과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을 것이라는 판 단 하에 앞으로 심정지가 일어나도 CPR을 시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한성숙 등,2001).본 연구에서는 의사의 소생가능성이 없다는 결론에 따라서 환자 자신, 법적으로 정당한 대리인 혹은 가족에 의해서 치료 중단 및 보류가 결정되어 의사 가 서면으로 DNR을 지시한 상태를 의미한다.

C.조사변수

1)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성별,결혼상태,종교,임상 근무 경력,현 근무부 서 등으로 구성되었다.

(13)

2)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인식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인식은 자가 보고형 질문지로 DNR에 대해 서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지 알아 보는 DNR 관련 교육 유무,DNR 환자에게 간호 가 필요하나를 묻는 DNR환자 간호의 필요성 유무, DNR 필요성 유무,DNR의 주 된 요인,DNR의 주요 결정자,DNR 설명의 필요성 유무,DNR 설명 시기의 적절 성,DNR 지침서 제정의 필요성과 간호사 본인 가족의 DNR 시행 의향 여부,간호 사 본인의 DNR 시행 의향 여부,DNR 환자 경험 유무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3)간호사가 경험한 가장 최근의 DNR 환자 특성

환자의 특성은 성별,환자의 연령,DNR의 주 의사결정자,DNR의 주된 결정요인, 입원부터 DNR까지 걸린 시간,DNR 상담 요청 유무,DNR 결정 후 환자 상태, DNR이 결정된 후 CPR 시행 경험 유무와 CPR 시행 이유,CPR 시행시 행한 처치 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4)DNR 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정서 상태

간호사의 정서상태는 McNair,Loor와 Droppleman(1992)이 개발한 기분 상태 측 정 도구인 POMS(ProfileofMood state)로 한국인의 정서 상태에 맞게 표준화한 김의중 등(2003)의 한국판 기분 상태 척도(K-POMS)를 수정 보완한 이명순(2010) 의 도구를 사용하였다.총 23문항으로 이루어진 도구에 각 문항은 Likert4점 척도 로 ‘전혀 아니다’1점,‘아니다’2점,‘그렇다’3점,‘매우 그렇다’4점을 주고,긍정적 인 문항은 역으로 점수를 주었으며,점수가 높을수록 기분 및 정서 상태가 부정적 임을 의미한다.이명순(2010)의 선행 연구 신뢰도는 Cronbach'sα=.89이었으며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sα=0.876이었다.

5)DNR 결정 후 간호활동의 변화

DNR 결정 후 간호활동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장상옥(2000)이 개발하고 고 효정(2003)이 수정 보완한 총 15문항으로 ‘변화 없음’,‘적극적 (증가)’,‘소극적(감 소)’,‘일정치 않음’으로 간호 활동의 변화를 측정하였다.고효정(2003)등 선행 연구 의 신뢰도는 Cronbach'sα=.90이었으며,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sα=0.966이 었다.

D.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Version 9.2 SAS.institut.cary.

(14)

NC)이용하여 분석하였다.간호사의 일반적 특성,DNR과 관련된 인식,간호사가 가장 최근에 경험한 DNR 환자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DNR 결정에 따른 간호사 의 정서상태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 상태,간호사의 DNR 환자 관련 인식에 따른 정서 상태의 차이는 t검정과 분산분 석을 이용하였고 DNR 결정 후 간호 활동 변화는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 하였다.

(15)

Ⅲ.연구 결과

A.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평균 연령은 20-29세가 57.6%로 가장 많았고 30-39세가 26.8%,40세 이상은 15.6% 이었다.성별은 여성이 95.4%로 대부분을 차 지하였다.연구 대상자의 71.2%가 미혼이었고,종교는 42.8%로 없는 대상자가 가장 많았으며 천주교 23.9%,기독교 21.8%순 이었다.임상근무 경력은 5년 미만이 50.2%로 가장 많았으며 5-10년이 21.4%,10년 이상의 근무자가 28.4%였다.또한 간호사들의 근무 부서는 병동이 67.1%로 가장 많았으며 중환자실 20.6%,응급실 12.4% 순이었다<표 1>.

(16)

<표 1>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n=243)

특성 구분 (n) (%)

연령 20-29세 140 57.6

30-39세 65 26.8

40세 이상 38 15.6

성별 남 11 4.5

여 232 95.4

결혼상태 미혼 173 71.2

기혼 70 28.8

종교 무교 104 42.8

천주교 58 23.9

기독교 53 21.8

불교 19 7.8

기타 9 3.7

임상 근무 경력 5년 미만 122 50.2

5년-10년 미만 52 21.4

10년 이상 69 28.4

현 근무 부서 응급실 30 12.4

중환자실 50 20.6

병동 163 67.1

(17)

B.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인식

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정도를 보면,DNR 관련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 이 있는 간호사가 34.9%,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간호사가 65.0% 이었으며 DNR 환자 간호의 필요성은 93% 이상의 간호사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모르겠다가 4.9%,간호가 필요 없다고 대답한 대상자는 2.0% 이었다.그리고 DNR의 필요성에 대해 98.8%의 간호사들이 필요하다고 대답하였고 DNR이 필요한 주된 요인은 ‘회 복불가능’이 53.3%와 ‘편안하고 품위 있는 죽음’이 44.2%였다.DNR의 주요 결정자 는 ‘환자와 가족의 합의’64.2%,‘가족과 주치의의 합의’30.9%,‘환자의 의지’는 2.9% 였다.환자에게 DNR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는 77.0%가 필요하 다고 응답하였다.적절한 DNR 설명 시기는 ‘입원즉시’가 47.3%로 가장 많았으며

‘자발적 호흡 정지시’19.3%,‘중환자실 입실 후’18.1%,‘혼수 상태시’12.8%로 이었 으며 DNR 지침의 제정이 필요한가는 응답에는 94.2%의 간호사가 필요하다고 응답 하였다.간호사 본인 가족의 DNR 시행여부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서’가 59.7%

이었고,‘예’라고 응답한 경우는 37.5%,‘아니요’는 2.9% 순이었고 간호사 본인의 DNR 시행 여부는 ‘상황에 따라서’가 51.9%,‘예’47.3%,‘아니요’0.8%로 응답하였 다 <표 2>.

(18)

<표 2> 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인식 (n=243)

특성 구분 (n) (%)

DNR 관련 교육 유무 유 85 34.9

무 158 65.0

DNR 환자 간호의 필요성

유 226 93.0

무 5 2.0

모르겠다 12 4.9

DNR의 필요성 유 240 98.8

무 3 1.2

*DNR이 필요한 주된 요인

회복 불가능 128 53.3

편안하고 품위 있는 죽음 106 44.2

기타 6 2.5

DNR의 주요 결정자 환자와 가족의 합의 156 64.2 가족과 주치의 합의 75 30.9

환자의 의지 7 2.9

기타 4 1.7

의사의 판단 1 0.4

DNR 설명의 필요성 유 187 77.0

무 56 23.0

적절한 DNR 설명 시기

입원 즉시 115 47.3

자발적 호흡 정지시 47 19.3

중환자실 입실 후 44 18.1

혼수 상태시 31 12.8

기타 6 2.8

DNR 지침서 제정의 필요성

예 229 94.2

아니요 3 1.2

모르겠다 11 4.5

간호사 본인 가족의 DNR 시행 여부

예 91 37.5

아니요 7 2.9

상황에 따라서 145 59.7

간호사 본인의 DNR 시행 여부

예 115 47.3

아니요 2 0.8

상황에 따라서 126 51.9

DNR 환자 간호 경험 유 178 73.3

무 65 26.7

*DNR이 필요하다고 답한 경우

(19)

C.간호사가 경험한 가장 최근의 DNR 환자 특성

DNR 결정을 받은 환자의 특성은 <표 3>과 같다.

DNR 대상 환자의 성별은 여성이 53.4%,남성이 46.7% 이었으며 환자의 연령은 60세 이상이 69.7%,60세 미만이 30.3% 이었다.DNR의 주 의사 결정자는 가족의 합의 68.4%로 가장 많았으며 아들 13.0%,배우자 8.5% 순으로 본인이 결정하는 경 우는 2.3%에 불과 했다.DNR의 주된 결정 요인은 ‘회복불가능’91.0%,‘고령’인 경 우가 4.5%,‘본인의지’에 의해 결정하는 경우는 2.9%를 차지하였다.또한 입원부터 DNR까지 걸린 시간은 1주 이상-4주 미만이 44.3%,1주 미만 30.3%,4주 이상은 25.3% 이었다.DNR 상담요청을 받은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25.2%로 상담 요청을 받은 경험이 없는 간호사가 74.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DNR 결정 후 환자들 은 89.9%가 병원에서 사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DNR 결정 후 CPR 시행 경험은 52.3%가 CPR 시행 경험을 하였으며 DNR 결정 후 CPR 시행이유는 ‘마음이 바뀌 어 CPR을 원하여서’가 36.6%로 가장 많았으며 ‘의료진의 신념에 따른 사명감으로’

28.0%,‘가족 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서’가 20.4% 순 이었다.DNR 결정 후 CPR 시행 시 행한 처치는 ‘CPR 원칙대로 시행’이 63.4%,‘Cardiacmassage만 시 행’31.2%,‘Epinephirine등 강심제 투여’가 5.4% 이었다 <표 3>.

(20)

<표 3> 간호사가 경험한 가장 최근의 DNR 환자 특성 (n=178)

항목 구분 (n) (%)

성별 남 83 46.7

여 95 53.4

환자의 연령 60세 미만 54 30.3

60세 이상 124 69.7

DNR의 주 의사결정자

가족의 합의 121 68.4

아들 23 13.0

배우자 15 8.5

부모 5 2.8

의사 5 2.8

딸 4 2.3

본인 4 2.3

DNR의 주된 결정 요인

회복불가능 162 91.0

고령 8 4.5

본인 의지 5 2.9

경제적 어려움 2 1.1

기타 1 0.6

입원부터 DNR까지 걸린 시간

1주 미만 54 30.3

1주 이상-4주 미만 79 44.3

4주 이상 45 25.3

DNR 상담 요청을 받은 경험

유 45 25.2

무 133 74.7

DNR결정 후 환자 상태

병원에서 사망 160 89.9

다른 기관으로 전원 18 10.1

DNR이 결정된 후 CPR 시행 경험

유 93 52.3

무 85 47.8

*DNR 결정 후 CPR 시행 이유

마음이 바뀌어 CPR을 원하여서 34 36.6 의료진의 신념에 따른 사명감으로 26 28.0 가족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19 20.4

임종 순간 가족들이 모이지 않아서 12 12.9

기타 2 2.2

*DNR 결정 후 CPR 시행시 행한 처치

CPR 원칙대로 시행 59 63.4

Cardiacmassage만 시행 29 31.2 Epinephirine등 강심제 투여 5 5.4

*DNR 결정된 후 CPR 시행 경험이 있는 사람이 답한 경우

(21)

<표 4> DNR 결정에 따른 간호사의 정서 상태 (N=178)

항목 Mean±SD

*걱정 없다 2.94±0.51

슬프다 2.84±0.48

우울하다 2.77±0.59

내 힘으로는 어쩔 수 없다 2.71±0.65

*안도감이 든다 2.67±0.60

긴장된다 2.50±0.58

불안하다 2.48±0.57

기분이 뒤죽박죽이다 2.41±0.66

혼란스럽다 2.39±0.60

거북하고 편하지 않다 2.37±0.63

당황스럽다 2.27±0.59

확신이 없다 2.25±0.59

마음이 내키지 않는다 2.24±0.58

지친다 2.21±0.65

*환자나 가족에게 도움이 된다 2.20±0.46

죄책감이 든다 2.16±0.52

후회 된다 2.14±0.51

집중이 안 된다 2.16±0.57

자신이 쓸모없게 느껴진다 2.12±0.55

*이해하고 공감한다 2.02±0.43

*동정심이 우러나온다 2.10±0.54

불쾌하게 느낀다 1.93±0.54

화난다 1.90±0.48

정서 상태 평균 53.90±6.76

*역 문항 처리

D.DNR 결정에 따른 간호사의 정서 상태

환자의 DNR 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정서 상태는 4점 Likert척도를 이용한 설문 조사에서 53.9±6.76점의 평균을 보였다.정서 상태 항목 중 걱정 없다가 2.94±0.51 점으로 나와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이는 역 문항 처리한 것으로 DNR결정 과 관련하여 걱정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다음으로 점수가 높은 항목은 ‘슬프다’,

‘우울하다’,‘내 힘으로 어쩔 수 없다’,등의 순이었다.점수가 낮은 항목은 ‘화 난다’,

‘불쾌하게 느껴진다’,‘동정심이 우러나온다’로 조사 되었다 <표4>.

(22)

<표 5> DNR 결정 후 간호 활동 변화

항목 소극적

(감소)

적극적 (증가)

일정치 않음

변화 없음 환자 상태에 대한 보고 89(50.0) 17(9.6) 4(2.3) 68(38.2) 수액 감시 및 관리 88(49.4) 13(7.3) 4(2.3) 73(41.0)

*V/S 측정 88(49.4) 11(6.9) 4(2.3) 75(42.1) 흡인 88(49.4) 20(11.2) 6(3.4) 64(36.0) 환자 보호자와 적극적인 의사소통 75(42.1) 37(20.8) 8(4.5) 58(32.6) 각종 수액선 교환 67(37.6) 30(16.9) 4(2.3) 77(43.3) 체온 조절(냉,온 찜질) 64(36.0) 40(22.5) 5(2.8) 69(38.8) infection을 위한 처치(감염관리) 64(36.0) 39(21.9) 6(3.4) 69(38.8) 전해질 감시(산,염기 관리) 62(34.8) 34(19.1) 9(5.1) 73(41.0) 체위변경 및 욕창 예방 간호 62(34.8) 53(29.8) 6(3.4) 57(32.0) 침상(환의)교환 57(32.0) 57(32.0) 9(5.1) 55(30.9) 구강간호 54(30.3) 57(32.0) 8(4.5) 59(33.2) 욕창 및 상처간호 52(29.2) 55(30.9) 8(4.49) 63(35.4) 흉부타진 47(26.4) 71(39.9) 5(2.8) 55(30.9)

*v/s(vitalsign)-활력증후

E.DNR 결정 후 간호 활동 변화

DNR 결정 후 간호 활동 변화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5>과 같다. 환자 상태 에 대한 보고가 50%(89명)로 가장 많은 소극적 감소 소견을 보였으며,다음이 수액 감시 및 관리 49.4%(88명),V/S 측정 49.4%(88명),흡인 49.4%(88명)등 이었다.변 화 없이 행하는 간호 활동으로는 각종 수액선 교환이 43.3%(77명),V/S 측정 42.1%(75명),수액 감시 및 관리 41%(73명)순 이었으며 적극적으로 증가하는 간호 활동은 흉부타진 39.9%(71명),침상교환 32%(57명),구강간호 32%(57명),상처간호 30.9%(55명)순 이었다.환자 보호자와 적극적인 의사소통은 소극적 감소 42.1%(75 명)변화 없음이 32.6%(58명) 적극적 증가 20.8%(37명)순 이었다.

(23)

<표 6-1>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 상태

(N=178)

항목 구분 Mean±SD torF ρ

일반적 특성

성별 남 51.2±4.57

-1.05 0.297 여 54.0±6.82

결혼 미혼 54.3±6.61 1.24 0.215 기혼 53.0±7.01

1.82 0.127 종교

불교 50.6±7.56 기독교 54.9±6.21 천주교 55.0±6.88 무교 53.5±6.62 기타 53.3±7.00 연령 20-29세 54.5±6.26

0.97 0.38 30-39세 53.5±6.79

40세 이상 52.7±8.02 임상근무 경력 5년 미만 54.7±6.12

1.43 0.242 5-10년 미만 52.6±7.12

10년 이상 53.7±7.21 현 근무부서 응급실 53.7±4.53

0.73 0.484 중환자실 52.8±7.06

병동 54.3±7.13

F.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 상태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결혼,종교,연령,임상근무경력,근무부서 등에 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표 6-1>.

(24)

<표 6-2> 간호사의 DNR 환자 관련 인식에 따른 정서 상태

항목 구분 Mean±SD torF ρ

DNR 관련 인식

DNR 관련 교육 유무

유 52.7±6.66

-1.68 0.095 무 54.5±6.76

DNR 환자 간호의 필요성

유 53.9±6.63

0.00 0.997 무 54.0±9.35

모르겠다 53.7±8.59 DNR 주 결정자 환자의 의지 48.5±6.55

0.89 0.448 환자와 가족의 합의 53.9±6.69

환자와 주치의의합의 54.1±7.00 기타 53.3±3.51 DNR 설명 필요성 유 53.6±6.78

-0.95 0.342 무 54.7±6.69

DNR 설명의 시기의 적절성

입원즉시 52.9±6.36

1.40 0.236 중환자실 입실 후 54.8±5.75

혼수 상태시 56.2±7.12 자발적 호흡 정지 53.7±8.29 기타 54.6±4.66 DNR 지침서

제정의 필요성

예 53.7±6.77

1.17 0.313 아니요 54.6±9.60

모르겠다 58.0±4.28

*간호사 본인 가족의 DNR 시행여부

예 52.5±7.10

3.33 0.038 아니요 58.6±5.85

상황에 따라서 54.8±6.35 간호사 본인의

DNR 시행여부

예 53.1±7.05

2.02 0.136

아니요 63.0±0

상황에 따라서 54.6±6.32

*p< 0.05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항목

DNR 관련 인식에서는 DNR 관련 교육 유무,DNR 환자 간호 필요성,DNR 주 결정자,DNR 설명 필요성,DNR 시기의 적절성,DNR 지침서 제정의 필요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그러나 대상자 가족의 DNR 시행여부에서는 `DNR 을 시행하지 않을 것 이다‘라는 항목의 정서상태가 58.6±5.85점으로 가장 높았으 며 `DNR을 시행 할 것이다’의 항목의 정서 상태는 52.5±7.10 으로 가장 점수가 낮 았다(F =3.33p<0.038)<표 6-2>.

(25)

<표 6-3> DNR 환자에 따른 정서 상태

항목 구분 Mean±SD torF ρ

DNR 환자의 일반적 상황

환자의 성별 남 53.8±6.40

-0.11 0.910 여 53.9±7.08

환자의 나이 60세 미만 54.7±6.81

1.09 0.277 60세 이상 53.5±6.73

DNR 주 의사결정자

본인 57.5±9.88

0.92 0.485 배우자 54.0±7.95

아들 52.5±6.20 딸 48.2±6.84 의사 53.6±5.27 부모 56.0±5.43 가족의 합의 54.1±6.73

*입원으로부터 DNR까지 걸린

시간

1주 미만 53.9±6.60

3.47 0.033 1주 이상-4주 미만 52.6±6.43

4주 이상 55.9±7.14 DNR 상담 요청 유 52.7±7.14

-1.35 0.179 무 54.3±6.60

DNR 결정 후 환자 상태

병원에서 사망 54.0±6.55

0.93 0.354 다른기관으로 전원 52.5±8.45

DNR 결정 후 CPR 결정

유 53.5±6.39

-0.78 0.437 무 54.3±7.15

*p< 0.05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항목

DNR 환자에 따른 정서 상태에서는 성별,연령,DNR 상담요청,DNR 결정 후 환자 상태,DNR 결정 후 CPR 결정등의 정서 상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그러나 입원으로부터 DNR 결정까지 걸린 시간은 4주이상 55.9±7.14점으로 가 장 높았고 1주미만은 53.9±6.60,1주이상-4주미만은 52.6±6.43점의 순 이었다(F

=3.47,p<0.033)<표 6-3>.

(26)

Ⅳ.고 찰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인간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과 요구가 다양해지면서 어떻게 살 것인가와 더불어 어떻게 죽음을 맞이하는가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들이 생겨나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DNR에 대한 정서 상태와 간호활동 변화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DNR의 필요성에 대해 대상자의 98.8%가 DNR이 필요하다고 응답 하였는데 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한 이명순(2010)94.3%,전명희(2008)95.1%, 한성숙(2005)97.2%의 연구와 유사하였다.DNR이 필요한 주된 요인은 ‘회복 불가 능’이라는 항목이 53.3%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편안하고 품위 있는 죽음’이라 고 응답하였다.이는 강현임(2003)60.6%,이윤복(2007)48.7%,김선아(2009)51.8%, 전명희(2008)61.8%의 연구에서도 회복 불가능이 가장 높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DNR의 주요 결정자는 ‘환자와 가족의 합의’64.2%로 가장 높았고 ‘가족과 주치 의와 합의’30.9%,‘환자의 의지’2.9% 순으로 환자 본인의 의지가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의사 결정 능력이 있는 성인 환자라 할지라도 환자 대신 보호자 가 환자의 입장이 되어 모든 것을 결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임을 알 수 있다(송경 옥 등,2010).또한 환자에게 직접적인 DNR 설명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77%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환자가 배제된 상태에서 의사나 보호자와의 의사결정 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DNR 결정은 지양되어야 하며 환자 자율권을 존중하기 위해 사전 동의서의 서명이나 가족 구성원 중 의료 대리인의 지명이 크게 장려되어야 한다(Haung.Hu.Chiu,& Chen.,2008).

DNR 지침서의 제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94.2%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전명희 (2008)78.9%,이윤복(2007)75.2%,이명순(2010)89.1%의 연구와도 유사하였다.실 제 우리나라에서는 DNR과 관련 지침서가 소수의 병원에서만 사용되고 그 형식에 도 차이가 있어 DNR 관련 지침서의 체계화된 개발이 시급하다(한성숙,2005).이렇 든 급변하는 의료 상황에서 갈등하지 않도록 조속히 DNR에 대한 지침서 개발 및 제정이 필요한 실정이며 2012년 11월 보건복지부 산하 국가 생명윤리위원회가 무 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 제도화를 적극 추진하려 하고 있으나 추정 대리에 의한 연명 중단치료 인정 등 사회적 미합의 사항들은 실제 의료현장과 국민의 평 균적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를 시행한 후 공론화를 추진할 예정이다(국가생명윤리

(27)

심의위원회 2012).

적절한 DNR의 설명 시기는 ‘입원즉시’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한성숙(2005),강영순(2005),강현임(2003),이윤복(2007)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 였다.이와 같이 입원 즉시 DNR에 대해 설명해 줌으로써 환자와 보호자에게 그들 의 앞날에 대해 생각해 보고 미리 준비 시킨다는 점에서 의견이 일치한다(이윤복, 2007).‘자발적 호흡 정지시’나 ‘중환자실 입실 후’그리고 ‘혼수 상태시’등에서는 환자 본인이 의견을 나타낼 수 없으며 가족이나 주치의의 생각에 많이 의존하게 되므로 환자 자율성 존중에 위해된다.본인의 의지에 선택권을 주기 위해서라도 입 원 즉시 환자가 자신의 상태에 대한 알 권리를 강화시켜야 하며 의료진이나 보호 자의 정서적인 지지와 함께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제도 정착이 필요하다.

DNR 상담 요청을 받은 경험에서는 상담 요청을 받은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25.2%,상담 요청을 받은 경험이 없는 간호사가 74.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간 호사는 DNR 결정 과정에서 환자와 환자가족에게 상태를 교육하고 정보를 제공해 주는 정보제공자와 교육자의 역할을 해야 하며 옹호자의 역할도 할 수 있어야 한 다(Haslet,2009).그러므로 치료 중단의 결정 과정에서 DNR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옹호자의 역할과 적절한 상담과 지지를 제공 할 수 있도록 (김상희,1998)향후 DNR 결정시 간호사의 상담이나 참여를 고려해야 하며 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김명희,2011).또한 DNR 결정 후에 52.3%가 CPR을 경험하는데 CPR 시행 이유는 ‘마음이 바뀌어 CPR을 원하여서’로 우리나라 문화적,윤리적,사회적 관습에 의한 영향으로 CPR이 빈번하게 시행됨을 알 수 있 으며 CPR은 대부분 원칙대로 시행되고 있었다.이 결과를 볼 때 절박한 위기의 상 황에서 내린 DNR 결정에 대해 가족들이 갈등을 느끼고 있으며,보호자들 사이에서 도 의견 통일이 되지 않아 의료진과 보호자들이 혼란을 겪을 수 있다(이명선 등, 2008).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나 보호자의 충분한 논의와 문서화 과정을 통 하여 DNR 결정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DNR 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정서 상태 변화 점수는 평균 53.9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 상태가 부정적인데 ‘걱정없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역 문항 처리한 것으로 걱정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명순(2010)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다음으로 ‘슬프다’,‘우울하다’,‘내 힘으로는 어쩔 수 없다’

등으로 DNR 환자 간호시에 자신이 의료인으로써의 역할 한계와 환자를 회복시킬

(28)

수 없다는 무력감과 보호자들에 대한 미안함과 안타까움 등으로 인한 슬픔과 우울 을 느끼는 것으로 판단되며 ‘불쾌하게 느낀다’,‘화난다’등은 가장 점수가 낮아 DNR 환자 간호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 상태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이러한 정서 상태 변화가 많지 않은 이유로는 DNR을 경험한 환자의 연령이 고령이거나 소생이 불가능한 말기 환자 등으로 회복이 불가능 하거나,고통을 완화해 주는 등 의 죽음을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받아들여 DNR이 갖는 원래의 목적을 간호사들이 이해하고 공감한 것으로 보여진다(이명순,2010).

간호사의 DNR 환자 관련 인식에 따른 정서상태 점수를 파악해본 결과 간호사 본인 가족의 DNR 시행여부에서 `DNR을 시행하지 않을 것이다‘인 경우 58.6±5.85 점,`DNR을 시행 할 것이다’인 경우 52.5±7.10으로(F =3.33,p<0.038)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이는 간호사 스스로도 DNR에 대해 긍정적인 고려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본인과 본인 가족에게 DNR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와 간호 대상자에 게 DNR을 시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입원으로부터 DNR 결정 까지 걸린 시간이 4주 이상인 경우 55.9± 7.14점, 1주 미만인 경우 53.9± 6.60,1주 이상-4주 미만인 경우 52.6± 6.43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 = 3.47,p=0.033).이처럼 입원으로부터 DNR 결정까지 걸린 시간 에 따라 정서상태 점수에 차이가 있는 것은 환자를 간호하면서 생겨나는 환자와 간호사 사이의 랍포 형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이제 막 내원한 환자는 간호사가 관심을 많이 두게 되며 오래 입원해서 간호사와 관계가 지속될 경우 환 자가 DNR을 결정 하면서 정서 상태 변화가 심하게 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DNR 결정 후 간호사의 활동 변화를 조사한 결과 ‘환자 상태에 대한 보고’가 소 극적 감소 중 가장 높은 소견을 보였으며 ‘수액 감시 및 관리’,‘V/S 측정’,‘흡인’등 의 순이었다.반면 변화 없이 하는 간호활동에도 ‘수액선 교환’과 ‘V/S 측정’이 높은 소견을 보여서 V/S 측정과 환자의 간호 활동에는 많은 변화가 없음으로 보여 진 다.다만 DNR 결정 환자들의 직접 간호 행위인 간호인 침상 교환과 구강간호 등 이 적극적 증가 소견을 보였다.그러나 DNR을 결정하는 환자의 경우 신체적,심리 적으로 편안하게 해주기 위해서 환자의 안위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라면 제공하지 만 고통을 지속 시키는 일이라면 간호와 치료를 제공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Zimmerman,1996).이는 의료 자원의 분배 측면에서 희망이 없는 환자 보다 는 생산적인 환자의 간호에 할애하는 시간을 많게 하며 제한된 간호 인력을 효율

(29)

적으로 재분배하려는 의도로 사료되며(장상옥,2000)DNR 결정 후 간호는 소극적 감소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G광역시 한 개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 였기 때문에 본 연구를 일반화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또한 본 연구는 단면연구 로 정서상태 변화를 경험한 간호사가 DNR의 필요성,시행 여부 등의 인식이 변화 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가장 최근에 경험한 DNR 환자에 근거하여 정서 상태 변화를 파악 하였으나 DNR 경험 시기에 대해서 조사하지 못했고 측정할 때 한번만 조사하여 상황과 시간에 따라 정서 상태는 변화 할 수 있다는 점도 배제 할 수 없다.그리고 간호사 자신이 여러 환자를 간호하면서 느꼈던 정서가 혼합되 어 나타날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 자면 DNR을 상대적으로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대학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DNR 에 대한 인식,경험 및 정서상태 변화를 조사하여 DNR과 관련된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고,향후 DNR 환자 간호에 있어 정서상태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파악 할 수 있었다.또한 DNR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이 간호사 인식이나 정서상태에 초점 을 맞춘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간호활동 변화를 파악하여 환자 간호에 있어 주의 해야 할 점과 중점을 두어야 하는 점을 파악한 데 그 의의가 있겠다.

(30)

Ⅴ.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일부 간호사의 DNR에 따른 간호 활동 변화와 정서 상태에 대해 조사하 기 위하여 시도되었다.연구 대상은 G광역시에 위치한 일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 234명 이었고 자료 수집 기간은 2012년 8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였으며,자료 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자료 분석 방법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 분율을 구하였고 t-test,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인식에 대해 대상자의 98.8%가 DNR이 필요하다고 하였으 며,주된 이유는 ‘회복 불가능’이라고 53.3%가 응답하였다.DNR의 주요 결정자는 ‘환자 와 가족의 합의’64.2%였으며 ‘환자의 의지’는 2.9%였다.DNR에 대한 설명의 필요성에 대하여 77%가 설명해야 한다고 하였으며,그 시기는 ‘입원즉시’가 47.3%로 가장 많았다.

DNR 지침서 제정에 대해서도 94.2%가 찬성하는 의견이 많았으며 DNR 환자 간호가 필 요하다고 응답한 경우도 93%였다.DNR상담 요청을 받은 경험에서는 상담 요청 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25.5%.경험이 없는 간호사가 74.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DNR 경험 후 간호사가 느끼는 정서 상태는 4점 척도 중 53.9±6.76점의 평균을 보였 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부정적임을 의미한다.긍정적 정서 항목인 ‘걱정 없다’를 역문항 처리한 결과 2.94±0.51점으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이는 DNR과 관련하여 걱정이 됨을 의미하며 ‘슬프다’,‘우울하다’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왔다.

DNR 결정 후 환자의 간호 활동 변화는 ‘환자 상태에 대한 보고’가 50%로 가장 높은 점수로 소극적 감소 소견을 보였으며 ‘흉부타진’39.9%,‘침상교환’32%,‘구강간호’32%

등 환자 직접 간호에 적극적 증가 소견을 보였다.

DNR과 관련된 인식에서 대상자 가족의 DNR 시행여부(F=3.33,P=0.038),입원으로부 터 DNR까지 걸린 시간(F=3.47,P=0.033)등이 정서 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일부 대학병원 간호사의 DNR에 대한 간호 활동 변화 및 정서 상태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향후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DNR 환자 간호시 필 요한 자료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겠다.

(31)

Ⅵ.참 고 문 헌

강현임.(2003).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간호사와 의사의 인식과 경험.석사학위논문, 한림대학교,춘천.

고효정.(2004).DNR에 대한 간호사의 윤리적 태도와 DNR 결정 후 간호 활동의 변화 연구.석사학위논문,조선대학교,광주.

김명희.(2011).신경계 중환자실에서의 DNR(DoNotResuscitation)결정 과정에서의 간호 활동 실태.GlobalHealthandNursingVol.1,No,2.73-82,July,2011.

김상희.(1998).암환자의 DNR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연세대학교, 서울.

김선경.(2006).DNR 결정과정 관련 가족 및 간호사의 경험.석사학위논문,연세대 학교,서울.

김선아.(2009).노인 환자 비 심폐소생술(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 및 인식 :간호사 와 환자 보호자 및 요양 보호사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한양대학교,서울.

김의중,이상익,정도언,신민섭,윤인영.(2003).한국판 기분상태 척도의 표준화와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수면․정신생리 학회지,10(1),39-51.

박서윤.(2011).노인환자의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인식:간호 사,의사 및 환자 보호자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한양대학교,서울.

보건복지부,(2012),국가생명윤리위원회.

석희태.(2000).연명의료의 중단:대법원 선고판결과 관련하여.의료법학,10(1), 263-305.

성미혜,박재희,정경은,한혜란.(2007).중환자실 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윤리문제 의 인식 및 태도조사.임상간호연구,13(3),109-122.

송경옥.(2010).DNR에 대한 환자 보호자의 윤리적 인식 및 태도.석사학위논문,가천 의과대학교,서울.

송태준.(2008).한 대학병원 종양내과에서 사망한 환자들의 심폐소생술 금지 지시 결정 요소.대한내과학회지,74(4).

이명선,오상은,최은옥,권인각,권성복,조경미,등.(2008).심폐소생술 금지와 관련 된 병원간호사들의 경험.대한간호학회지,38(2),298-309.

이명순.(2010).노인환자의 심폐소생술 금지 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정서

(32)

상태.석사학위논문,계명대학교,대구.

이윤복.(2007).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간호사와 의사의 인식과 경험 및 윤리적 태도.임상간호연구,13(2),73-85.

이주연.(2012).암 환자의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태도.석사 학위논문,중앙대학교,서울.

장상옥.(2000).중환자실 DNR 환자 가족의 경험과 DNR 결정 후 간호 및 치료의 변화.석사학위논문,경상대학교,진주.

전명희.(2008).노인의 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석사학위논문,한양대학교,서울.

주명하.(2008).심폐소생술(DNR)에 대한 간호 장교들의 인식 및 경험조사.석사학위 논문,고려대학교,서울.

한성숙,정순아,문미선,한미현,고규희.(2001).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및 태도 조사.간호행정학회지,7(3),403-414.

허대석.(2001).무의미한 치료의 중단.대한의사협회지,44(9),956-962.

허대석.(2008).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할 권리.대한의사협회지,51(6),524-529.

Burns,J.P.,Edward,S.J.,Johnson,J.,Cassem,N.H.,&Truog,R.O.(2003).

Do-Not-Resuscitationordersafter25years.Criticalcaremedicine,31, 1543-1550.

Campbell,M.L.,& Thill,M.C.(1996).Impactofpatientconsciousnessonthe intensityonthedonotresuscitatetherapeuticplan.AmericanJournalof CriticalCare,5(5),339-345.

Ellen,R.(1994).Familydynamicsintheendoflifetreatmentdecision.General HospitalPsychiatry,16(4),251-256.

Fisher,C.D.(2000).Moodandemotionswhileworking;missing piecesofjob satisfaction.JournalofOrganizationalBehavior,21,185-202.

Haslett,S.L.(2009).Critical-careandoncologynurses'perceptionsofthe Do-Not-Resuscitateconsenting process:A studyJesewaski'stheoretical model.UniversityofSanFranciscodoctoraldissertationresearch,San Francisco.

Haug,M.R.,& Lavin,B.(1981).Practitionerorpatientwho'sincharge.Journal ofHealthandSocialBehavior,22(3),212-229.

(33)

Jezewski,M.A.(1994).DNR statesconflictandculturebrokeringincriticalcare units.JournalofCriticalCare,23(6),458-463.

Sharon,G.,& James,P.(1992).DNR orCPR thechoicesisours.CriticalCare Medicine,20(9),1263-1272.

Sherman,D.A.(1995).CriticalCareNurse'sperceptionofappropriatecareofthe patientwithordersnottoresuscitate.Heart& Lung,24(4),321-329.

Simpson,S.H.(1994).A StudyintotheusesandeffectsofDNR ordersinthe intensivecareunitsoftwoteaching hospitals.IntensiveandCriticalcare Nursing,10,12-22.

Sohn,M.S.(1998).Ethicalandlegalaspectofterminationofhospitalcare.

JournalofKoreaMedicalAssociation,41(7),707-711.

Wilson,M.(1996).HighlightingtheRoleofPolicyinNursingPracticethrougha comparisonofDNR PolicyinfluencesandNO CPR decisioninfluences. NursingOutlook,44(6),272-279.

Zimmerman,J.E.,Knaus,W.A.,Anderson,A.S.,Draper,E.A.,& Wanger,D.P.

(1996).TheuseandimplicationofDNR Ordersinintensivecareunit. JournalAmericanMedicalAssociation,255(3),351-356.

Zimring,S.D.(2006).Healthcaredecision-makingcapacity:A legalperspective for long-term care providers. Journal of the America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7(5),322-326.

(34)

Ⅶ.감사의 글

밀린 숙제를 하지 않은 것처럼 불안하던 마음과 변화 없는 일상에 지쳐 있던 저에 게 대학원 입학은 설렘으로 시작되었습니다.무엇인가를 해내야 한다는 큰 포부보다 는 일주일에 한 번 소소한 기쁨을 느껴보고 싶었고 어느덧 2년이란 시간이 지나고 논 문을 마무리하게 되었습니다.

직장 생활과 학교 수업을 병행한다는게 쉬운 일은 아니어서 간혹 힘들 때도 있었지 만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는 동료들과의 수업은 참 좋은 경험이 되었습니다.

먼저 만삭의 몸으로 포기하지 않고 논문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열정적으로 지도해 주신 한미아 지도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많은 가르침과 격려를 해주신 박 종 교수님,최성우 교수님,정 영 교수님,류소연 교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아낌없는 지지를 보내주신 정복희 팀장님과 스케줄 신경 써 주시며 격려해 주신 김정신 수간호사 선생님과 32병동 식구들,많은 도움을 준 후배 수진이와 대학 원 동기로 친구처럼 변함없는 조력자가 되어준 후배 정윤희와도 이 기쁨을 함께 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610g의 작은 몸으로 태어나 기적을 보여준 첫 조카 민성이와 옆에서 노심초사 챙겨 주시는 엄마 강여사님께 이 영광을 돌립니다.

대학원 생활이 멀리 뛸 수 있는 발판이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2012년 12월 김 윤희 올림

(35)

연구 참여 동의서

본인은 김윤희가 진행하는 연구 목적에 대해 이해하고 자의로 본 연구의 자료수집에 동의하기로 동의합니다.

서명 : (인)

Ⅷ.부 록 <설 문 지>

안녕하십니까?

저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본 설문지는 현재 종합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심폐소생술 금지 (Do-Not-Resuscitate:DNR)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경험, 정서 상태 그리고 간호 활동 변화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작성되었습 니다.

귀하께서 주시는 자료는 무기명으로 처리되며 비밀 보장 및 순수한 학습 연구만을 위해 사용 될 것입니다.또한 귀하의 정성어린 답변은 본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활용 될 것입니다.

협조해 주심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2012년 8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전공

김 윤 희

(36)

Ⅰ.일반적 특성

다음 중 해당하는 항목에 ∨ 표해 주시기 바랍니다.

a-1.귀하의 연령은?

① 20-29세 ② 30-39세 ③ 40세 이상 a-2.귀하의 성별은?

① 남 ② 여

a-3.귀하의 결혼 상태는?

① 미혼 ②기혼 a-4.귀하의 종교는?

① 불교 ② 기독교 ③ 천주교 ④ 없음 ⑤ 기타 a-5.임상 근무 경력은? __________년 __________개월 a-6.현재 근무 부서는 ?

① 응급실 ② 중환자실 ③ 병동

a-7.DNR에 관련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호스피스 교육과정이나 DNR이 포함된 교육)

① 있다 ② 없다

a-8.DNR 환자 간호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그렇다 ② 아니다 ③ 모르겠다

(37)

Ⅱ.환자의 심폐소생술 금지( DNR)결정에 대한 윤리적 태 도와 인식

다음은 귀하가 평소에 생각하시는 환자의 DNR 실시에 대한 인식을 묻는 문항입 니다.

b-1.상황에 따라 환자에게 DNR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예(2번으로 가세요.) ② 아니오(3번으로 가세요.) b-2.DNR이 필요하다면 가장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편안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

②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

③ 고령이기 때문에

④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⑤ 기타

b-3.DNR이 필요하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법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기 때문

② 가능한 한 생명연장을 도모하는 것이 의료인의 본질이기 때문

③ DNR의 결정을 어느 시점에서 내릴지 확실하지 않기 때문

④ DNR의 결정을 누가 내릴지 확실하지 않기 때문

⑤ DNR이 결정되면 환자의 치료 및 간호사가 소홀해 질 수 있기 때문

⑥ 기타

b-4.DNR 결정을 누가,어떤 형태로 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환자의 의지 ② 환자와 가족의 합의 ③ 가족과 주치의 합의

④ 의사의 판단 ⑤ 기타 ( )

b-5.DNR에 관하여 말기 질환 환자 본인에게 직접 설명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 까?

① 예 ② 아니오

(38)

b-6.DNR에 관해 설명해야 한다면 적절한 시기는 언제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말기 질병(암이나 회복 불가능한 질환)으로 입원한 경우 입원 즉시

② 중환자실로 옮긴 후

③ 혼수상태에 빠졌을 때

④ 자발적인 호흡이 절지되었을 때

⑤ 기타 ( )

b-7.DNR 시행을 위해서는 문서화된 지침서가 제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예 ② 아니요 ③ 모르겠다.

b-8.당신의 가족에게 DNR을 시행하시겠습니까?

① 예 ② 아니요 ③ 상황에 따라서 ④ 기타 b-9.당신(본인)에게 DNR을 시행하겠습니까?

① 예 ② 아니요 ③ 상황에 따라서 ④ 기타 b-10.DNR 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습니까?

① 있다 (다음 문항으로) ② 없다 (끝;수고하셨습니다.)

(39)

Ⅲ.DNR 결정이 난 환자를 간호한 경험( DNR 결정에 대한 일반적 상황)

다음은 귀하가 가장 최근에 심폐소생술 금지(DNR)결정이 난 환자를 간호한 경험에 대한 질문입니다.

c-1.환자의 성별은?

① 남 ② 여 c-2.환자의 나이는?

① 10세 이하 ② 10-29세 ③ 30-39세 ④ 40-59세 ⑤ 60세 이상

c-3.환자의 DNR을 결정한 주 의사결정자는 누구였습니까?

① 환자 본인 ② 배우자 ③ 아들 ④ 딸 ⑤ 의사 ⑥ 부모 ⑦ 가족의 합의 c-4.DNR 환자의 주 간호자는?

① 배우자 ② 아들 ③ 딸 ④ 형제ㆍ자매 ⑤ 부모 ⑥ 기타 c-5.DNR을 결정하게 된 주된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① 고령 ② 경제적 어려움 ③ 본인의 의지

④ 회복 불가능으로 인한 가족들의 결정 ⑤ 기타 c-6.입원 시부터 DNR 결정까지 거린 시간은 ?

① 1주 미만 ② 1주 이상 -4주 미만 ③ 4주 이상

c-7.환자나 보호자에게 DNR에 대한 상담 요청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c-8.DNR 결정 후 환자의 상태는?

① 병원에서 사망 ② 자택으로 퇴원 ③ 다른 기관으로 전원(예.요양병원) c-9.DNR이 이미 결정된 환자에게서 CPR이 이루어진 사례를 경험한 적이 있습니 까?

① 있다 (→ 10번 문항으로 가세요) ② 없다 (→ 다음 장으로 가세요)

(40)

c-10.DNR이 결정된 환자에게 CPR을 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① 보호자들의 마음이 바뀌어 CPR을 윈하여서

② 의료진의 신념에 따른 사명감으로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이기 위하여

③ 가족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다른 가족이 원하여서

④ 임종 순간 가족들이 모두 모이지 않아서

⑤ 기타

c-11.DNR이 결정된 환자에게 CPR을 하였다면 어떠한 처치를 하였습니까?

① cardiacmassage(가슴 압박)만 시행

② epinephirine정맥 주사만(강심제 투여)

③ CPR 원칙대로 시행 ④ 기타 ( )

(41)

문 항 내 용 전혀

아니다 아니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우울하다. ① ② ③ ④

2.자신이 쓸모없게 느껴진다. ① ② ③ ④

3.슬프다. ① ② ③ ④

4.후회 된다. ① ② ③ ④

5.죄책감이 든다. ① ② ③ ④

6.이해하고 공감한다. ① ② ③ ④

7.안도감이 든다. ① ② ③ ④

8.환자나 가족에게 도움이 된다. ① ② ③ ④

9.걱정 없다. ① ② ③ ④

10.동정심이 우러나온다. ① ② ③ ④

11.불안하다. ① ② ③ ④

12.긴장된다. ① ② ③ ④

13.혼란스럽다. ① ② ③ ④

14.당황스럽다. ① ② ③ ④

15.불쾌하게 느낀다. ① ② ③ ④

16.화난다. ① ② ③ ④

17.지친다. ① ② ③ ④

18.기분이 뒤죽박죽이다. ① ② ③ ④

19.거북하고 편하지 않다. ① ② ③ ④

20.집중이 안 된다. ① ② ③ ④

21.마음이 내키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22.확신이 없다. ① ② ③ ④

23.내 힘으로는 어떨 수 없다. ① ② ③ ④

Ⅳ.간호사의 DNR 결정에 대한 정서 상태

환자의 DNR 결정에 대하여 귀하가 느꼈던 기분이나 감정에 관하여 해당되는 사항에 ∨ 표 하십시오.

(42)

문 항 내 용 변화 없음

소극 적

적극 적

일정치 않음 1.침상(환의)교환(Bedmaking) ① ② ③ ④ 2.구강간호(Oralcare) ① ② ③ ④

3.흡인(Suction) ① ② ③ ④

4.흉부타진(Chestphysiotherapy) ① ② ③ ④

5.체위변경 및 욕창 예방 간호 ① ② ③ ④

6.욕창 및 상처 간호 ① ② ③ ④

7.V/S 측정 ① ② ③ ④

8.체온 조절(냉ㆍ온 찜질) ① ② ③ ④

9.수액 감시 및 관리 ① ② ③ ④

10.전해질 감시(산ㆍ염기 관리) ① ② ③ ④

11.infection을 위한 처치(감염관리) ① ② ③ ④

12.각종 수액선 교환 ① ② ③ ④

13.환자 상태에 대한 보고 ① ② ③ ④

14.환자 보호자와 적극적인 의사소통 ① ② ③ ④

Ⅴ.DNR 결정 후 환자의 간호 활동 변화

다음은 귀하가 평소 DNR 결정 후 환자 간호 활동에 대해 묻는 문항입니다.

Ⅵ.DNR 환자의 간호를 할 때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무엇이라 고 생각하십니까?

① 활력증후 ② 통증 조절 ③ 환자의 상태 보고

④ 심리적(영적)간호 ⑤ 기타 ( )

(43)

저 작 물 이 용 허 락 서

학 과 보건학과 학 번 20118603 과 정 석사 성 명 한글:김 윤희 한문 :金 潤熙 영문 :Kim YoonHee 주 소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 현대아파트 102동 802호

연락처 E-MAIL :yhsky70@hanmail.net

논문제목

한글 :일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따른 간호 활동 변화와 정서 상태

영어 :changeofnursingactivitiesandemotionalstateforDNR in somenurses

본인이 저작한 위의 저작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아래 조선대학교가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고 동의합니다.

-다 음 -

1.저작물의 DB구축 및 인터넷을 포함한 정보통신망에의 공개를 위한 저작물의 복 제,기억장치에의 저장,전송 등을 허락함.

2.위의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의 편집ㆍ형식상의 변경을 허락함.다만, 저작물의 내용변경은 금지함.

3.배포ㆍ전송된 저작물의 영리적 목적을 위한 복제,저장,전송 등은 금지함.

4.저작물에 대한 이용기간은 5년으로 하고,기간종료 3개월 이내에 별도의 의사 표 시가 없을 경우에는 저작물의 이용기간을 계속 연장함.

5.해당 저작물의 저작권을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또는 출판을 허락을 하였을 경우 에는 1개월 이내에 대학에 이를 통보함.

6.조선대학교는 저작물의 이용허락 이후 해당 저작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타인에 의한 권리 침해에 대하여 일체의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

7.소속대학의 협정기관에 저작물의 제공 및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저작 물의 전송ㆍ출력을 허락함.

동의여부 :동의(O ) 반대( ) 2013년 2월 일

저작자: 김 윤 희 (서명 또는 인)

조선대학교 총장 귀하

참조

관련 문서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업무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갈등 경험 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현상학적 질적 연..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또래관계와 학급응집력을 향상하기 위한 학교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

본 설문지는 회사에서 여러분들이 겪고 있는 여러 사항에 대해 발휘하는 것이 긍정적인 조직성과를 가져오는지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해 작성되었습 니다.. 귀하의

본 연구는 무용전공학생을 대상으로 무용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원활성이 무용 몰입과 성취,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커뮤니케이션 원활성에

하지만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본다면 대부분 의 연구들은 일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데 비해 본 연구는 여성독거 노인에서 가족 및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대상자가 일개 지역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전체노인을 대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신중을

본인의 본 연구의 참여여부 결정은 자발적인 것이며 연구기간 중 언제라도 , 개인적인 사유 등으로 본 연구의 지속적인 참여를 중도에 거부하거나 자유로이 본 연구의

이러한 연구 결과와 몇 가지 연구의 제한점에 불구하고,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저성취 학생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자 아존중감을 향상시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