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평면에서의 정정보 및 라멘의 해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3. 평면에서의 정정보 및 라멘의 해석"

Copied!
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3. 평면에서의 정정보 및 라멘의 해석

3.1. 개설

■ 단면력이란 부재의 변형으로부터 야기되는 단면의 응력을 단면적에 대하여 적분함 으로 부재의 중심축에 작용하는 단순화된 크기로 표현된 힘: 전단력(), 휨(곡)모 멘트(), 축력(), 비틀림 모멘트()

■ 구조물의 기하형상과 작용하는 하중이 한 평면에서 정의된 경우 평면구조물(2차원 구조물)로서 부재의 단면에 나타나는 단면력은 전단력, 모멘트 및 축력

■ 공간 구조물(3차원 구조물)에는 비틀림(Torsion) 변형 및 비틀림 모멘트(Torsional moment)가 추가적으로 발생

■ 보(Beam)는 부재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받는 부재로, 휨 변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부재단면에 전단력과 모멘트가 발생, 흔히 실무에서는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큰 보를 ‘거더(Girder)’라 하고 거더와 거더 사이에 연결되는 작 은 보는 ‘보’라 구분하여 부르기도 함.

■ 보에 축의 수직방향 하중 외에 축 방향 하중이 작용할 경우 보는 휨부재 뿐만 아니 라 인장 또는 압축부재로 거동하므로 단면에 전단력 및 모멘트 외에 축력이 발생

■ 라멘은 휨 부재인 보 와 압축부재인 기둥이 조합된 구조물로 각각의 부재에 휨 및 축 변형이 발생하므로 전단력, 모멘트 및 축력이 나타남.

3.2. 휨부재의 단면력 해석

■ 단면력의 (+) 부호 정의: 부재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한 국부좌표에 대하여 양단면 에서의 + 축방향의 힘 (축력, 전단력)을 양의 값으로 정의, 모멘트의 경우 +Z측에 +응력이 작용하고 있는 단면 응력 상태를 적분한 모멘트 방향을 양의 값으로 정의

 

 

양단면 (Positive Cross Section) 음단면(Negative Cross Section)

■ 단면력의 계산

(1) 부재의 국부 좌표계를 설정 (2) 반력 산정

(3) 단면력을 구하고자하는 위치에서 절단하여 미지 단면력을 양의 값으로 표현하고 반력 및 하중을 포함한 자유물체도 작성

(4) 3개의 평형조건식을 이용하여 3개의 미지 단면력을 계산

(2)

예제 3.1

지점 D와 지점 E의 좌, 우측에서의 축력 및 전단력과 모멘트를 구하시오.

q=5kN/m A

P =10kN

D E

H P =20kN·m

B C F G

1m

60°

1m 2m 6m 2m 1m 1m

1

2

1. 정정판별

2. 반력산정

3. 단면력 산정

(1) 지점 D 좌측에서의 단면력: 자유물체도 

A B C D

1m 1m 2m

L

(2) 지점 D 우측에서의 단면력: 자유물체도 

A B C D

1m 1m 2m

R





 

  

  

  

 





  

  

  

(3)

(3) 지점 E 좌측에서의 단면력: 자유물체도 

E H

F G

1m 1m 2m

L

(4) 지점 E 우측에서의 단면력: 자유물체도 

E H

F G

1m 1m 2m

R

위의 결과로부터

§ 지점 전후에서 전단력은 반력 크기만큼 변화 (Jump)하고, 휨모멘트는 변화하지 않음

§ 즉, 전단력은 집중하중 전후에서 하중의 크기만큼 Jump한다.

 · 

  

  

  

 

 

  

 · 

(4)

예제 3.2

지점 A의 상부 및 우측, 지점 B, 지점 C의 좌, 우측에서의 전단력과 모멘트를 구하시오.

C D

E G

A B F

q =10kN/m

q =30kN/m

q =20kN/m

3m 3m 3m 3m 3m 3m

1.5m

H

1.5m

P =50kN

q =10kN/m

I

1

1

2,L

2,R

3

1. 정정판별

2. 반력산정

(1) 전체 자유물체도

→ 

  

  ∴

 

(←)

(2) 자유물체도 

E G

A

3m 1.5m

H

1.5m P =50kN

q =10kN/m

1

1

(3) 자유물체도 

F D

q =20kN/m

3

3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4) 자유물체도 

E B C F

q =10kN/m

q =30kN/m

3m 3m 3m 3m

I

2,L

2,R

2. 단면력 산정

(1) 지점 A 상부에서의 단면력: 자유물체도 

G

1.5m

H

1.5m

P =50kN

q =10kN/m

1

1

A

3m

U

(2) 지점 A 우측에서의 단면력: 자유물체도 

G

A

3m 1.5m

1.5m

P =50kN

q =10kN/m

1

1

R

(3) 지점 B 좌측에서의 단면력: 자유물체도 

E G

A B

3m 3m

1.5m

H

1.5m

P =50kN

q =10kN/m

1

1

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4) 지점 B 우측에서의 단면력 : 자유물체도 

E G

A B

3m 3m

1.5m

H

1.5m P =50kN

q =10kN/m

1

1

R

(5) 지점 C 좌측에서의 단면력 : 자유물체도 

C F D

q =20kN/m3

3m 3m

L

(6) 지점 C 우측에서의 단면력 : 자유물체도 

C F D

q =20kN/m3

3m 3m

R



















(7)

- 반력

-  ≤  ≤ 

-  ≤  ≤ 

■ 단면력식 및 단면력도

■ 앞에서는 부재내의 한 단면에 대한 단면력을 계산

■ 부재의 모든 점에서의 단면력이 요구 될 경우 부재축에 대한 함수

  로 표현하고, 그래프로 도식화; 전단력도(Shear Force Diagram), 모멘트도(Bending Moment Diagram), 축력도(Normal Force Diagram)

■ 아래와 같은 하중을 받는 단순보의 단면력식 및 단면력도

(8)

-  ≤  ≤ 

- 단면력도

위의 결과로부터

§ 집중하중 작용 점에서 전단력은 Jump하고 휨모멘트도는 꺽인다.

§ 하중이 없는 구간에서 전단력도는 상수함수, 휨모멘트도는 1차식

§ 하중이 상수함수(등분포)구간에서, 전단력도는 1차식, 휨모멘트도는 2차식

§ 전단력과 휨모멘트도는 하중함수의 차수보다 각각 1차, 2차 높은 함수로 나타난다.

(9)

3.3. 보의 단면력도 (전단력도(SFD), 휨모멘트도(BMD))

■ 하중, 전단력 및 모멘트 관계

∆



임의의 부재축 수직방향 하중 를 받는 위의 보 시스템의 미분요소에 대하여

∆

  

  ∆



   ∆

■ 수직력

■ 수직력에 대한 평형조건식으로 부터

     ∆ ·∆      (3-1)      

∆·∆ (3-2)

lim

  →  



 



  , 

  

     (3-3a,b)

⇒ 전단력의 기울기 함수는 하중함수 × (-1)과 같고, 한 점   에서 전단력 함 수의 기울기 값은 그 점에 작용하는 분포하중의 크기 × (-1)

■ 식(3-3a)의 양변을 적분하면





 

  (3-4)

   

,   

 (3-5a,b)

⇒ 구간 에서 전단력크기의 변화( )는 그 구간에 작용하는 분포 하중의 합 × (-1), 점 b의 전단력 는 a점의 전단력에서 그 구간 

에 작용하는 분포하중의 합을 감소시키므로 구할 수 있다.

(10)

■ 휨모멘트

■ 휨모멘트에 대한 평형조건식으로 부터

↷    

∆· 

∆

      (3-6)

     

∆· 

∆

(3-7)

lim

→ 



 

, 

     (3-8a,b)

⇒ 휨모멘트의 기울기 함수는 전단력함수와 같고, 한 점   에서 모멘트 함수 의 기울기 값은 그 점에 작용하는 전단력의 크기

■ 식(3-8a)로부터









  

,   

 (3-9a,b)

⇒ 구간에서 모멘트크기의 변화( )는 그 구간에 작용하는 전단력 의 합

예)

 













 



(11)

■ 집중하중(), 휨모멘트하중()을 받는 미분요소에 대하여

∆

∆

  

 (3-10)

 

 (3-11)

⇒ 집중하중 (모멘트 하중 )가 작용하는 점에서는 전단력(모멘트)은 불연속 이고, 작용하중의 반대방향으로 만큼 jump한다.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n 집중하중은 등분포하중의 폭이 무한소일 경우이며 모멘트도는 집중하중 작용 점에서 꺽인다.

∆



 

m ax



 

m ax  



  · 

m ax   

∆· 

 

∆· 

∆  



 

·∆, lim

∆ → m axm ax 



(12)

■ 전단력도 및 휨모멘트도의 예

예1)



예2)





 



예3)

 

  

  

··

m ax

m ax

  



··

예4)

 







m ax

m ax

(13)

■ 하중, 축력 관계



∆

■ 임의의 부재 축방향 분포하중 을 받는 위의 봉 시스템의 미분요소에 대하여

   ∆

 ∆



■ 수평력에 대한 평형조건식으로 부터

       ∆    (3-12)

     

∆  (3-13)

lim

∆  → ∆

∆

 



  , 

  

    (3-14a,b)

⇒ 축력의 기울기 함수는 하중함수 × (-1)과 같고, 한 점   에서 축력 함수의 기울기 값은 그 점에 작용하는 분포하중의 크기 × (-1): 전단력과 하중의 관계 와 동일

■ 식(3-14a)으로부터

 

  (3-15)

   

,   

 (3-16a,b)

⇒ 구간 에서 축력크기의 변화( )는 그 구간에 작용하는 분포하 중의 합 × (-1), 점 b의 축력 는 a점의 축력에서 그 구간 에 작 용하는 분포하중의 합을 감소시키므로 구할 수 있다.: 전단력과 하중의 관계와 동일

(14)

예)



 



 

 



 

 





■ 집중하중()를 받는 미분요소에 대하여



 



⇒ 집중하중 가 작용하는 점에서는 축력은 불연속이고, 작용하중의 반대방향 으로 만큼 Jump한다.

예)





 

 



 



 

(15)

■ 연직 투영면에 등분포하중(예, 적설하중, 강우하중)을 받는 경사진 단순보

A

B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cos

′

′·sin  

··sin

′

 

·sin



·sin





·cos

 

·cos



m ax



m ax · 

 

·

· 

 

·

→ 부재의 경사에 무관하고 연직투영길이에만 관계

■ 위의 경사진 단순보에 대하여

′

 ′



 ′

′

 ′ ′

′  cos

 ′

′

 ′

m ax

■ m ax

■ 경사진 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 ′에 대한 양 지점 반력은 ′성분의 힘을 포함하므로 축력은 ′ 외에도 ′에 의해 발생함.

(16)

■ 아래 경사진 단순보의 전단력도 및 모멘트도에서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 경사진 단순보의 부재 축에 대하여 등분포된 연직하중(예, 자중)

A

′

 ′

B

 

 

cos

·

 ′  ′  

·

·tan

 ′′  

·

 

·tan



·tan





·  

·

 m ax cos

·



■ 경사진 단순보의 부재 축 수직방향에 등분포된 하중(예, 풍하중)

A

′

 ′

B

′

 ′··tan ,  

 

′·

  tan ,  

cos

′·

′′  

cos

′·sin

′′ 

cos

·

cos

 ′·sin

cos

′·  cos

′·

m ax 

cos

′·

(17)

3.4. 겹침법에 의한 해석(Superposition)

■ 한 구조물에 여러 종류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 구조물의 응력(반력응력, 단면력, 처 짐 등)은 각각의 하중에 대한 응답을 중첩하여 구할 수 있다.

예)



·

   

 

=



   

 

+

·

   

 

system system1 system2

 



=

    

 

+

    

 

  

 

 

m ax

m ax

= +

 



  

(18)

예제 3.3



 

A B

1.반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2. 전단력도



 

3. 모멘트도

 ·  ·· 

·   ·

m ax  ·

(19)

예제 3.4

예제 3.1의 아래 연속보의 단면력도를 작성하시오.

60°

A

B C

D E

F G H

 ·

  

 



      

예제 2.4와 3.1로부터 계산된 반력과 단면력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계산 결과와 B점과 G점의 단면력을 계산하여 아래와 같이 단면력도를 작성







 



 

 

 

·

 ·

·

·

 ·

 

 

(20)

예제 3.5

예제 3.2의 아래 연속보의 단면력도를 작성하시오.





   





 

 

 

 

 

      

예제 2.5와 3.2로부터 계산된 반력 및 단면력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결과와 절점G 와 I 및 집중하중 작용점의 단면력을 고려하여 단면력도 작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3.5. 라멘의 단면력(부재력)도

■ 정정 라멘과 국부좌표계

′

′

′

■ 라멘 모서리 절점 단면력

′

 ′

a b

c d

▪ 절점b ▪ 절점c

(22)

■ 라멘의 경사부재에서의 전단력과 모멘트

■ Case 1

 m ax

-

+ 

m ax

■ Case 2

 m ax

-

+ 

m ax

■ Case 3

 m ax

-

+ 

m ax

(23)

예제 3.5

아래 라멘의 단면력도를 작성하시오.









 

 

   

 

m ax 

 

 

 

m ax 

m ax ·

 ·

 ·



(24)

예제 3.6

다음 라멘의 단면력도를 작성하시오.





   





  

  

■ 수직하중만 고려한 경우의 반력



  

 

 

■ 수평하중만 고려한 경우의 반력



  

   

(25)

 

 절점평형 검토

■ 절점 평형 검토

·절점 D

·절점 G

·절점 E

(26)

예제 3.7

다음 라멘의 단면력도를 작성하시오.



·





 

 

  







1. 반력산정

(1) 자유물체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자유물체도 





  

  

(27)

(3) 자유물체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단면력 산정

(1) 절점  좌측에서의 단면력 : 자유물체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절점  우측에서의 단면력

·

 



 ·

  

 

′

′

(28)

(3) 절점  좌측에서의 단면력 : 자유물체도 

 

   ·

 

  

  

  

′

′

(4) 절점  아래측에서의 단면력 : 자유물체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절점  우측에서의 단면력 : 자유물체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 절점 평형 검토



 

 ·

 ·





 ·

 



(29)

3. 단면력도

    

  

 



m ax  

  

 

 

 

 ·



 ·

 ·

 ·

m ax

 ·



참조

관련 문서

[r]

(Taekwondo, Weight Lifting Players) (90 min × 6 days/week) Warming

15) 세광음악출판사

(부재상단의 압축파 괴 가능성 증대)  해결(완화) 방법은 긴장재의 편심거리를 증가시키 거나 프리스트레스 힘을 감소시거나, 또는 두가지를 함께 고려한다.

6.9 고속분할 전력조류 계산(FAST DECOUPLED POWER FLOW) (2) 쟈코비안 행렬의 additional simplification è 계산시간 더

• 또한, 임의의 대각 요소가 너무 작은(too small) 크기를 갖는 다면, 이들 방법은 발산(diverge).. • In general, convergence of Jacobi or Gauss-Seidel can be

벡터식이므로 3개의 스칼라량을 갖는다... 토크와

initial phase angles and 1.0 per unit initial voltage magnitudes (except at bus 3, where )to start the iteration procedures.. Sol) Bus 2 is a load bus.. Center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