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전기적 특성에 따른 t t(접촉 接觸)의 종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전기적 특성에 따른 t t(접촉 接觸)의 종류"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 전기적 특성에 따른 t t(접촉 接觸)의 종류

™ 전기적 특성에 따른 contact(접촉, 接觸)의 종류

(1) Ohmic contact(저항성 접촉) : Ohm의 법칙을 만족시키는 I-V 특성을 갖는 접촉 (2) Rectifying contact(정류성 접촉) : 접촉 양단에 인가된 전압의 극성에 따라

( ) y g (정류성 촉) 촉 양 에 가 의 극성에 따라

I-V 특성이 현저히 다른 접촉

I I

V V

™ 접합(junction)의 종류

(1) 반도체-반도체 접합

-. 同種 접합(homojunction) : 같은 반도체 재료에서 서로 다르게 도핑된 두 개의 영역 사이의 접합 (예 : Si-Si)

-. 異種 접합(heterojunction) : 다른 종류의 반도체 재료 사이의 접합 (예 : Si-Ge) . 異種 접합(heterojunction) : 다른 종류의 반도체 재료 사이의 접합 (예 : Si Ge) (2) 금속-반도체 접합(metal-semiconductor junction) : 금속과 반도체 사이의 접합

(2)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 pn junction의 제조

* pn junction은 하나의 single crystal에 각기 다른 불순물을 doping시켜 두 불순물 간의 경계를 만들어줌으로써 얻어진다. 즉, p-type 불순물과 n-type 불순물간의 경계인 metallurgical junction (금속학적 접합)이 pn junction이 되는 것이다.

(금속학적 접합)이 pn junction이 되는 것이다.

* pn junction을 이론적으로 해석할 때에는 p과 n-type을 따로 준비하여 붙이는 것처럼 설명한다.

(3)

7 1

pn 접합의 기본 구조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7.1

pn 접합의 기본 구조

¾ 불순물의 공간적 분포에 따른 접합의 분류

(1) 경사형 접합(傾斜形 접합 graded junction) : 불순물 분포가 서서히 변함 (1) 경사형 접합(傾斜形 접합, graded junction) : 불순물 분포가 서서히 변함 (2) 계단형 접합(step junction) : 불순물 분포가 급격히 변함.

'abrupt junction'이라고도 함.

P (N

a

) N (N

d

) P (N

a

) N (N

d

)

N C(x)

Na C(x) Na

N

x1 x2 x

0

Na

Nd 0 x Nd

• x ≤ x1 : C(x) = Na → 일정

C( ) f( ) (위치)의 함수

Nd

• x ≤ 0 : C(x) = Na → 일정

• x1 ≤ x ≤ x2 : C(x) = f(x) → x(위치)의 함수

• x2 ≤ x 일 때: C(x) = Nd → 일정 • 0 ≤ x : C(x) = Nd → 일정

(4)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7 2 제로 인가 바이어스 7.2 제로 인가 바이어스

™ ‘zero 인가 바이어스’ = ‘equilibrium 상태’

™ pn junction의 수학적 해석을 위한 기본 가정

™ pn junction의 수학적 해석을 위한 기본 가정

i) 실제 구조의 pn junction을 ‘one-dimensional model’로 간략화

- 각 region은 homogeneous하며 그 경계는 step junction을 이루고 있음 - 전류의 흐름은 한 개의 방향으로만 제한

(해석의 편의를 위해 1차원 경우만 고려) ii) 각 region의 끝에는 Ohmic contact으로 구성) 각 g 의 끝에는 구성

pn junction(rectifying contact)

Ohmic contact Ohmic contact

p-type n-type p-type

(균일)

n-type

(균일)

(5)

™ 예비 검토

N

D+

- N

D+

- N

D+

- N

A-

+ N

A-

+ N

A-

+

N-type P-type

™ 예비 검토

N

D+

- N

D+

- N

D+

- N

A-

+ N

A-

+ N

A-

+

N

A-

+

N

-

+ N

-

+ N

A-

+

N

-

+

N

A-

+ N

D+

- N

+

-

N

D+

- N

+

-

N

D+

- N

+

- N

A

+ N

A

+ N

A

+ N

D+

N

D+

N

D+

+ -

diffusion

N

+

N

+

N

+

N + N + N

electric field

N

D+

N

D+

N

D+

-

N

D+

-

N

D+

- N

D+

- N

A-

N

A-

N

A-

+

N

A-

+ N

A-

+

N

A-

+

- +

drift

(6)

neutral region

(중성 영역) depletion region

(공핍 영역) neutral region (중성 영역)

n-type p-type

diffusion drift drift diffusion

E-field

diffusion

electron

drift drift diffusion hole

(1) neutral region : +, - charge의 총량이 zero로 전체적으로 전기적 중성이 영역 (2) depletion region : electron, hole이 없어져 ion화된 불순물들만 남아있는 영역

space charge region(공간전하영역) 또는 transition region space charge region(공간전하영역) 또는 transition region (遷異영역)이라고도 함

(7)

7 2 1 내부 장벽 (Built-in potential barrier)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7.2.1 내부 장벽 (Built in potential barrier) N

A- h e

N

D+

P N N

A-

N

A-

N

D+

N

D+

<접합 생성 前> <접합 생성 後>

N

A

N

D

N

A-

N

D +

h e

P N

E

N

A h

N

D e

N

D+

N

A-

E

E

C E

E E

Fp

E

i

E

Fn energy difference

ECp

EVp EFip EFp

ECn EFin EFn

E

V

potential EVp

EVn

Vbi

“접촉전위차(contact potential)” 또는

“내부형성전압(built-in potential)”

1

) 1(

) 1(

) 1(

Vn Vp

Fin Fip

Cn Cp

bi E E

E e e E

E e E

V = = =

)}

( ) 1{(

Fin Fn

Fp

Fip E E E

e E +

= * (비교) “cut-in voltage”

(8)

™ contact potential 계산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 contact potential 계산

P N

x

1

x

2

x

0

a

p N

p 0 = nn0 = Nd

a p i

N n n

2 0 =

d n i

N p n

2 0 =

단, x1, x2는 중성영역 내의 임의의 점

평형 상태에서 모든 전류는 0이므로

) 0 ) (

( ) ( )

( = − =

dx x eD dp

x E x p e x

Jp μp p

따라서,

dx x dp x p x D

E

p

p ( )

) ( ) 1

( = μ

(9)

d x

E = φ )

( 이므로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또, E(x) = dx 이므로

dx x dp x p e kT dx

x dp x p D dx d

p

p ( )

) ( 1 )

( ) (

1 =

=

μ

φ

p

p p( ) ( )

μ

) ) (

(

1 dp x x

p e d = kT

φ

=

0

0

) ) (

(

n 1

p n

p

p

p dp x

x p e

d kT φ φ φ

단, φp=φ(x1), φp=φ(x2)

ln 0

) ( ln )

( p 0 kT pn

x

kT p n =

φ = φ

0

ln )

( ln )

( 0

0 p

p p

n p x e p

e

n p

=

=

φ φ

따라서 contact potential, Vbi, 는

d i

a n

p p

p n n

bi n N

N e

kT p

p e

kT p

p e

V kT

0 2 0 0

0 ln ln

ln )

( = = =

φ φ

k

ln

2 * (electron으로 계산해도 같은 결과)

i d a

bi n

N N e

V

=

kT

(10)

™ carrier concentration과 contact potential과의 관계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po no

bi n

n e

kT p

p e

V

=

kT

ln = ln

™ carrier concentration과 contact potential과의 관계

po

no e n

p e

) exp( kT p eV

pno = po bi

kT

) exp( kT n eV

npo = no bi

2 i po

po no

no p n p n

n = =

* : 각 중성영역에서 Mass-Action Law 성립

(11)

7.2.2 전계( electric field)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 )

™ Gauss의 법칙 : ∇ ⋅

D

=

ρ

(x )

* 단, D : electric displacement

ρ(x) : electric charge density

E D ε

) 1 (

dx x

dE ρ

= ε

E D

=

ε

dx ε

)) ( )

( )

( ) ( ( )

(x = e p x n x + Nd+ x Na x ρ

그런데 반도체 시료 내의 총 charge는

)) ( )

( )

( ) ( ( )

( p d a

ρ

[

p(x) n(x) N (x) N (x)

]

e dE

a d

+

+

=

로 주어지므로

[

p( ) ( ) ( ) ( )

]

dx εs d a

™ Poisson’s equation의 유도

dx E dφ

=

d22φ2 e

[

p(x) n(x) N (x) N (x)

]

: ‘Poisson’s equation’

dx d

a d

s

+

+

= ε φ

(12)

™ E-field의 계산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 E field의 계산

[

( ) ( ) ( ) ( )

]

)

(x = e p x n x + Nd+ x Na x

ρ

[ ]

i) x ≤ -xp, x ≥ xn 일 때

0 ) (x = ρ

중성영역이므로 p(x) = Na-, n(x)= Nd+

0 ) ( =

E x

(13)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ii) x < x < 0 일 때 ii) -xp < x < 0 일 때

p = n = 0 (∵ depletion approximation), Ndd+ = 0 (∵ p-type) 이므로0 ( p yp ) 이

eNa

x) = ρ(

e N dx

dE e a

εs

=

E(x)dE =

x e N dx

x a

x s

E pdE p N dx

ε

) (

) (

) (

)

( p e Na x xp

x E x

E = +

εs p

p ε

그리고, E(-xp)=0 이므로,

) (

)

( a p

s

x x e N

x

E = +

ε

(14)

iii) 0 < x < x 일 때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iii) 0 < x < xn 일 때

eNd

x) = ρ(

E( )

) 0 ( )

( e N x E

x

E +

= x d

s x

E

E e N dx

dE 0 )

( ) 0

( ε

) 0 ( )

(x N x E

E d

s

+

= ε

ii)의 결과에서

e

p a s

x e N

E(0) = ε

) (

)

( d a p d a xp

N x N e N

x e N

x e N

x

E = =

( ) ( p)

d d

s p

a s d

s ε ε N

ε

따라서,

e

그리고

) (

)

( d n

s

x x e N

x

E =

ε

0 ) (

)

( = d n n =

s

n e N x x

x

E ε

그리고,

(15)

위 i) ii) iii)의 결과를 종합하여 그래프로 내타내면 아래와 같다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위 i), ii), iii)의 결과를 종합하여 그래프로 내타내면 아래와 같다.

x

n

-x

p

x

E(x)

0 x

) ) ) )

E

max

0

max

( 0 )

e N x E

x e N

E

E d n

s p

a s

=

=

=

ε ε

i)영역 ii)영역 iii)영역 i)영역

(공간전하영역) (중성영역) (중성영역)

(16)

™ E-field를 이용한 built-in potential의 계산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 E field를 이용한 built in potential의 계산

dx E

=

dφ

Edx dφ

= −

이므로

= −

n

p n

p

x x x

x) d E

(

x

)

dx

( ) ( φ

φ φ

) ( )

(

0 x

x x

e e

dx x

n E

p

=

∫ ∫

우변

) (

) (

)}

( {

)}

( {

0 0

0

x x

x

n d

s p

a s

e d e d

dx x

x e N

dx x

x e N

n p

n

⎢ ⎤

⎡ − − + + −

=

ε

ε

) 1 (

) (

) (

2 2

0 n

d

x p s

a s

x N x

e N

dx x

x e N

dx x

x

e N n

p

+

=

− +

=

ε

ε

) 2

s

(

Naxp

+

Nd xn

=

ε

xn d

=

x

− −

x

= ∫ ( ) ( )

)

( 좌변

φ( ) φ φ φ

bi

p x n

V

x x

d

p

=

= ∫

( ) ( )

)

(

( ) φ φ φ

좌변

φ

: Built-in potential

(17)

그런데 x N = x Nd W≡ x + x 에서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그런데, xpNa = xnNd, W≡ xp + xn 에서

) 2 (

) 1 2 (

1

2 2

n p

p a s n

d p

a s

x x

x e N

x N x

e N

Vbi

= + = +

εs εs

따라서,

W x e N

W x e N

V

1 1

d

=

=

또 다른 표현으로

W x N W

x N

V d n

s p

a

bi

= 2

εs

= 2

ε

d n a

p n

p W x x N x N

x

= − , =

N W xn

=

a

N Na d

n

+

2

2

1

W

N N

N Vbi e a

= +

: W를 계산할 때 주로 사용

⎟⎟ ⎞

⎜⎜ ⎛ +

=

sVbi Na Nd W

2

ε

2

εs Na

+

Nd

: W를 계산할 때 주로 사용

⎟⎟ ⎠

⎜⎜ ⎝

=

d aN N W e

(18)

7.2.3 공간전하 폭(空間電荷 幅, space charge region width)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공간전하 폭(空間電荷 幅, p g g )

P N

- - - - - -

+ + + + + +

* + W

0 x

n

-x

p

x

- + +

+

* xp + xn = W (공간전하영역) (중성영역)

(중성영역)

W

⎟ ⎞

⎜ ⎛

N

+ N

ε V

2 ⎟⎟

⎜⎜ ⎞

⎛ +

=

d a

d a

bi s

N N

N N

e W

2

ε V

N W x

=

a

그런데 x N = x Nd W= x + x 에서 이므로

⎟⎟ ⎞

⎜⎜ ⎛

=

n sVbi Na

x

2

ε

1

N W x N

d a

n

= +

그런데, xpNa = xnNd, W= xp + xn 에서 이므로

⎟ ⎠

⎜ ⎝

a

+

d

d

n e N N N

같은 방법으로

⎛ 1

2 ⎟⎟

⎜⎜ ⎞

= +

d a

a d bi p s

N N

N N e

x

2

ε V

1

(19)

i) 의 명칭과 의미W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i) 의 명칭과 의미W

① 변천영역(變遷영역, transition region) : p -> n으로 불순물의 종류가 변하는 영역

② 공간전하영역(空間電荷영역, space charge region) :

보상되지 않은 impurity atom들(NA-, ND+)이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영역

③ 공핍영역(空乏영역 d l ti i )

③ 공핍영역(空乏영역, depletion region) :

mobile charge(즉, carrier)인 electron, hole이 없는 영역 ii) 이외 영역 : ‘중성 영역(중성 영역, neutral region)’W

공간전하와 carrier가 doping에 의해 주어진 만큼 그대로 존재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전기적 중성을 유지하고 있는 영역

전체적으로 전기적 중성을 유지하고 있는 영역

(20)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iii) depletion approximation

9 depletion 영역 내에는 실제로는 아주 적은 양이기는 하지만 carrier들이 존재

9 그러나 그 양이 보다 아주 적으므로 무시

9 즉, depletion region 내에는 mobile charge(carrier)가 하나도 없다고 가정하는 것을 ‘depletion approximation’이라고 함

+

D

A N

N ,

가정하는 것을 depletion approximation 이라고 함

n, p n 0, p 0 : 실제

n

no

p

po

n

po

p

no

0 x

-x

p

x

n

: depletion approximation

=0 n = p

W

(21)

7

7 장장 pnpn 접합접합((接合接合, , junction)junction)

iv) 공간전하(space charge)

P N

a-

N

d+

N

eN

d

total electric charge N

d

-x

p

x x

+ x

n

-

-eN

a

n d p

a x N x

N =

참조

관련 문서

– MultiAutoCompleteTextView 위젯 : 핚 입력 상자 안에서 여러 개의 항목 들에 대해 자동 완성 기능 제공. • 핚 문자열을 여러 개의

Available settings: 0 - tamper alarm sent to 3rd association group 1 - tamper alarm sent in broadcast mode Default setting: 0 Parameter size:

약국은 당초 수집 목적과 합리적으로 관련된 범위에서 정보주체에게 불이익이 발생하는지 여부,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등을

1st association group – “Lifeline” reports the device status and al- lows for assigning single device only (main controller by default)4. 2nd association group –

지반을 구성하고 있는 흙 입자는 입자 간에 전기적 힘이 작용하는 점토광물 입자와 입자 간에 전기적 힘이 거의 없는 조립토 광물 입자로 구분될 수 있고 이러한 입자의

혈액투석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과 자가간호이행의 차이 는 t 검정과 분산분석을 하였고,우울과 자가간호이행 간의

방사선사의 일반적인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 건강관련 및 방사선 피폭 관련 특성에 따른 방사선 방어행위 수행도 비교는 t-test, ANOVA를 이용하여

에너지 산업의 업종간 경쟁과 규제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