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분류의 기본적 역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분류의 기본적 역할 "

Copied!
4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영남대학교

분류학의 발달과정과 분류사상

Chapter 3

1

Ⅰ. 동물분류학의 발달사

II. 우리 동물분류학의 현황과 전망

(2)

영남대학교

• 기재(記載, description)와 명명(命名, nomenclature) - 생물의 다양성을 질서있게 정리하는 것.

• 동물적인 분류 능력: 먹을 수 있느냐 없느냐, 경쟁자냐 아니냐를 구별 하는 데에서부터 출발.

• 분류의 역사는 사실상 인류사(人類史)와 같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음

• 동물분류의 기원

수 백 만년 전의 원시인은 자연히 주변 생물에 대하여 관심

언어를 가짐

자연 환경의 형상(form)과 현상(phenomenon)에 대하여 서로 의사를 교환 가능

자연 현상들이 일반적인 개념으로 체제화 되기 이전에 이미 동물에 관한 보편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서술이나 표현이 존재.

 분류의 기본적 역할

(3)

영남대학교

3

• 분류학: 종을 인식하고 구분하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에서 비롯되어 점차 복잡한 논리와 방법론이 도입된 과학으로 발달.

• 분류학의 발달사는 대략 8기(period)로 나눔.

• 초기 : 개체수가 많거나 체형이 크거나 체색이 두드러져서 사람의 눈에 잘 보이는 동물들이 많이 연구.

• 발전기 : 정통분류학(orthodox systematics) 발전 - 동정과 기재에 치중.

집단개념이 도입

1) Huxley(1840)의 신분류학(new systematics)와

2) Sneath & Sokal(1963)의 수리분류학(numerical taxonomy) 발전

• 현재 1)분자분류학 (molecular systematics) 발전 – 유자조작기술 2) 생물다양성 보전(conservation of biodiversity)을 위한 도구과학(tool-science)으로서의 분류학의 활용이 강조.

(4)

1기 원시시대 : 초기분류

• 의식주(衣食住) 특히 식생활을 위해 많은 동, 식물에 접근했을 것이고 언어와 문자가 발달되면서 동물에 관한 지식을 구체적으로 축적

• 초기인류가 남겨 놓은 유적

1) 스페인의 알타미라(Altamira)의 동굴벽화- 바이슨(bison) 2) 프랑스의 라스코(Lascaux)의 동굴 - 황소

• 우리나라

1) 반구대암각화(국보 제 285호) -230종 이상의 육상 및 해상동물 2) 천전리 각석(국보 제 147호)

• 민족생물학(ethnobiology), 민속생물학(folk biology) : 경험, 지식의 보고 1) 파푸아뉴기니의 한 파푸아 부족 : 138종의 새들 중 137종을 식별.

2) 각기 특정한 이름으로 부르고, 단 1종만을 유사한 종과 혼동

3) 일부 에스키모 부족 : 102종의 새 중 98종을 자신들의 언어로 구분 알타미라(Altamira)의 동굴벽화 :

바이슨(bison)

라스코(Lascaux)의 동굴 : 황소

(5)

 울산 울주군 언양면 대곡천의 반구대

영남대학교

Lab. of Animal systematics 5

: 75종 200여점의 육상 및 해상 동물들이 새겨진 암각화(국보 제285호), 1960년 사연댐 건설로 평상시에는 수면 밑에 물이 마르면 관찰 가능 1) 정식명칭은 울산대곡리반구대암각화(蔚山大谷里盤龜臺岩刻畵) 2) 신석기말에서 청동기시대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다양한 종류의 물상들이 새겨져 있는 것은 세계적으로 매우 드문 예로 분류학뿐 아니라 고고학, 미술사 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가치 를 지님

4) 인류 최초의 고래 잡는 그림으로서 흰수염고래, 귀신고래, 향고래 등 종 류별 고래의 특징을 정밀하게 묘사 하고 있다. 당시로선 첨단 중의 첨단 인 ‘부구'란 도구를 이용해 잡은 고래를 배로 끌고 오는 모습도 그림에 서 확인할 수 있다(58종의 고래가 그려져 있음)

(6)

국보 제 285호- 10mX3m

(7)

영남대학교

멧돼지 등이 상세히 관찰

(8)

반구대 암벽조각 일부 (탁본)

(9)

영남대학교

9

 울산 언양 천전리 각석

1) 국보 제 147호

2) 사슴, 호랑이, 멧돼지,곰,여우 등 동물 150여 점

(10)

•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 BC 460-377 ?) - 기원전 4 세기경, 동물의 종류를 열거하였으나 동물을 유사한 부류끼리 묶어서 분류군을 형성하는 분류체제는 제시하지 않음

2기 그리스-중세기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BC384-322)

영남대학교

• 분류를 위한 논리 : 기원전 6-7 세기경 이오니아(Ionia)의 한 도시인 밀레투스(Miletus)의 자연 철학자들로부터 비롯.

• 탈레스(Thales ; BC 6세기) - 무(無)에서 유(有)는 나오지 않는다고 하며 우주의 기본물질이 물에서 탄생한다고 주장.

• 아낙시만드로스(Anaximander ; BC 6세기) - 그의 제자이지만 스승과는 달리 태양열에 의해 흙탕물에서 거품이 생기는 데서 원시생물이 발생한다고 주장,

비생명물질에서 생명의 기원을 찾는 서구철학의 기원.

이들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탐구방법과 연역적 논리 (deductive logic)을 시도하였다 (Durant, 1939).

(11)

2. 그리스-중세기 :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le; BC384-322)

영남대학교

11

• 분류학의 시조, 체계(体系, system)를 다루는 분류가 시도.

• 보편적인 형질을 기준으로 삼아 분류체계를 완성

“동물은 생활방식, 행동, 습성, 체제에 의해 특징 지워진다”

ex) 혈액의 유무, 부속지의 수, 표피의 상태

• 실제로 520종의 동물을 기록, 이 동물들을 여러 분류범주에 배정 ex) 동물계 - 혈액의 유무

무혈류(無血類, Anaima): 유연류(柔軟類; 문어, 오징어, 등), 연갑류(軟甲類; 새우, 게 등),

충류(蟲類; 초시류, 쌍시류 등), 유각류(有角類;성게, 조개)

유혈류(流血類, Enaima): 태생사족류(胎生四足類; 고래 포함), 조류(鳥類; 박쥐 포함)

난생사족류(卵生四足類), 어류(魚類)

• 류(類) 아래에 작은 무리를 설정하고 다시 그 아래에 종(種)을 위치.

(12)

2기 그리스-중세기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BC384-322)

영남대학교

• 철학의 전개는 목적론(目的論)의 형태를 취하므로 생물학적인 연구도 목 적론을 기반으로 둠.

• 완성원리(完成原理, entelechy): 잠재성인 질료(質料, hyle)과 실존성인 형상(形象, eidos)을 결합하는 개념으로 현실성보다 잠재성만 있는 즉, 질료가 형상보다 우세한 무생물에서 형상이 질료보다 우세한 생물에 이 르는 일련의 단계.

• 완전성(完全性, perfection)의 정도에 따라 하등한 것부터 고등한 것에 이르기까지 한 계통(line)을 이룬다는 '자연의 계단(scala nature)‘을 제시.

• 생물의 발달 : 무생물류 → 식물 → 하등 무척추동물 → 멍게 → 조개 → 절지동물 → 두족류 → 척추동물 → 포유류.

‘자연의 계단’: 연속성을 가지고 발달.

식물 → 동물

단순한 것 → 복잡한 체제

(13)

2기 그리스-중세기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BC384-322)

영남대학교

13

아리스토텔레스식 분류의 문제점

1) 다분히 공상적인 면이 게재

2) 시간적 과정으로서 생성이나 유래에 대한 개념이 없음 3) 또한 비록 ‘자연의 계단’을 제시하기는 하였으나

아리스토텔레스가 구성한 동물의 분류체계는 분류의 원칙이나 연속성에서 미흡한 것이었음

(14)

2기 그리스-중세기

영남대학교

• 그리스의 해부학과 생리학: 1,500년이란 긴 기간 동안 더 이상의 발전이 없음

• 미신과 신화: 서양의 종교와 정치가 아집과 혼란 속에 빠져있던 그 기간 동안 오히려 현실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또 사회적으로 인기

• 그러나 아리스토테레스의 분류학적 체계나 해부학 등의 생물학적 연구는

미완성인 채로 18세기 이후까지도 끈질기게 그 영향을 미치는 철학적 사고의 기반이 됨

결국 그리스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사고는 발전되지 못하고 영향력 있는 몇몇 사고만이 잔존

(15)

3기 15-17세기 : 분류의 르네상스

영남대학교

15

• 자연과학이 활발해짐에 따라 분류학도 발달하기 시작.

• 워톤(Wotton, 1492~1555) :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류 방식에 Zoophyta라는 부류를 새로 추가 (해삼, 말미잘, 해면, 불가사리 등)

• 베잘리우스(Vesalius, 1514~1564) : 인체해부

• 하비(Harvey, 1578~1657) : 혈액이 동맥과 정맥을 순환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

• 갈레노스(Galenos, 128~199?) : 상상력이 크게 영향을 미친 오류투성이의

해부학과 생리학이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여지던 시대가 마무리됨

• 세살피노(Cesalpino, 1519~1603) : ‘생물학적 종의 개념’을 최초로 언급 (1583년) 『 같은 것이 항상 같은 것을 생산하는 것이 종 』- 유전개념 포함.

• 레이(Ray, 1628~1705) : 『 몇 대이건 같은 특성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종 』 종과 속을 모으기 시작.

단일형질(單一形質)에 의한 분류에서 여러 형질을 종합하는 분류가 시작한 시작.

(16)

결국 지역적 동물상과 식물상의 연구방법에도 변화를 줌.

3. 15-17세기 : 분류의 르네상스

영남대학교

• 생물학적인 발견은 빠르게 진행

• 현미경의 도입- 말피기(Malpighi)와 쉬밤머담(Swammerdam)의 미세해부

• 레벤후크(Leeuwenhoek) - 미생물의 발견.

• 자연사박물관 건립 - 유럽의 여러 도시에서 생겨 그 주변지역은 물론 당시로서는 미지의 세계였던 다른 대양과 대륙으로부터 채집된 표본들로 점차 채워짐.

• 유럽에서는 자원탐사와 식민지 개척- 유럽에서는 제국주의의 필요 충족을 위해

• 항해술의 발달- 생물들에 대한 지식을 상식으로 보편화 .생물계를 보는 시야를 넓혀 줌.

Leeuwenhoek’s microscope

Robert Hooke’s microscope

(17)

4기 18세기 : 린네의 업적(1707-1778)

영남대학교

17

• 현대 분류학의 틀을 완성.

• 분류계급(category) : 강(classis), 목(ordo), 종(species), 변종(varietas)을 설정.

동물 4,162종을 명명, 기재.

채집된 표본을 정리할 때 단순형질에 근거한 분류를 도입 • 이명법(binomenal nomenclature)을 확립 → 동물의 분류를 체제화.

(Systema Naturae 10판. 1758년)

제 10판- 종에 대해서 『 종이란 일정 불변한 것으로 신이 창조한 종의 수는 불변이며 신종은 더 이상 없다 』고 주장.

제 12판- 종의 불변에 대한 항목을 삭제.

 이명법: 종에 대한 학명 (scientific name)

 종의 속명(generic name)과

종소명(species epithet) 두 단어를 병기하는 방법

사자 - Felis cauda flacum definente (꼬리끝에 뭉치가 달린 고양이) =>

Felis leo

호랑이- Felis flava maculis longis nigris varigata

(여러 검고 긴 얼룩 무늬의 황색 고양이) =>

Felis catus

(18)

린네(Carolus Linnaeus, 1707~1778)와 동물명명규약에 관한 논문이 실린 Systema Naturae 10판

(19)

4기 18세기 : 린네의 업적(1707-1778)

영남대학교

19

린네가 활동한 시기:

• 종은 창조에서 비롯된 것이고 같은 특성이 대대로 계속해서 이어져 감으로 불변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인 시기.

• 린네도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철학과 종교적 영향의 시대 속에 있던 학 자였으므로, ‘신의 더 큰 영광을 위해서(ad majorem Dei gloriam)’ 그 의 모든 연구를 하였던 만큼 변이라는 문제를 인정하는데 시간이 걸 렸다. 그래서 린네는 자연계 제10판에서 종(種)이란 정형(定型)이며 신 이 창조한 종수(種數)는 불변이므로 결국 "신종(新種)은 더 이상 없다 (Nulla species nova)”고 하였으나, 제12판에 이르러 종의 불변에 대한 항목을 삭제하였다.

• 그멜린(Gmelin, 1748 ~ 1804): 자연계 13판에서 린네의 6개의 강에 적충류(滴蟲類, Infusoria)를 첨가하여 7개의 강으로 분류

Paramecium caudatum Vorticella nebulifera

적충류 (Infusoria): 오늘날의 원생동물 섬모충강

1. 유기물질을 함유하는 수중에서 생활하는 미소한 동물 2. 레벤후크가 1786년에 최초기재

(20)

4기 18세기 : 린네의 업적(1707-1778)

영남대학교

린네가 활동한 시기:

• 하트만(Hartman, ? ~ 1751)과 쾰로이터(Kolreuter, 1761 ~ 1766):

분류에 실험생물학적 접근을 시도하여, 종, 잡종, 변종에 대하여 잡종이 형성되지 않은 것은 종이고 만약 잡종이 만들어지면 같은 종의 변종이라고 규정 (Roberts, 1929).

• 파브르(J.C. Fabricius, 1823~1915): 린네의 제자, 곤충의 구기

(mouth parts)의 형태에 따라 곤충 분류.

• 아담슨(Adamson, 1727 ~ 1806) : 모든 형질의 가치를 동등하게 보고 모든 형질의 비교를 종합하여 분류를 시도 → 현대의 수리분류학(數理分類學)의 시조.

(21)

영남대학교

21

• 초기 진화적인 사고가 분류학에서 태동되는 시기 - 린네의 자연계 10판 이후

다윈의 ”종의 기원(種의 起源, the Origin of Species)"까지 100년 동안은 민감하면서도 안정성 있는 변화.

• 경험주의(經驗主義, empiricism)가 발달

- 연역적(演繹的)인 선험적 추론(先驗的 推論)을 버리고 소수의 필수적인 형질만이 아니라 많은 형질을 고려

5기 경험주의적 접근 ( Empirical approach)

(22)

라마르크의 용불용설 (획득형질 유전설):

•프랑스의 생물학자 라마르크가 그의 저서 ‘동물철학(Philosophie Zoologique, 1809) 에서 주장

• 생물은 환경이 변하면 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변화해 가는데, 자주 사용하는 기관은 발달하고, 사용하지 않는 기관은 퇴화한다. 그리고 이렇게 변화된 형질이 자손에게 전해져서 진화가 일어난다.

•비판 : 후천적으로 얻어진 형질을 획득 형질 이라고 하는데, 오늘날 획득 형질 의 유전은 완전히 부정되고 있기 때문에 용불용설은 인정되지 않는다.

(23)

영남대학교

23

다윈의 자연선택설(자연도태설) :

• 1859년 영국의 다윈이 그의 저서 ’종의 기원(The Origin of Species, 1859)’이라는 저서에서 주장

• 생존 경쟁의 결과 환경에 잘 적응한 개체가 살아남는데(적자생존), 이것을 자연 선택 이라고 한다. 즉, 개체변이가 유전된다.

(24)

격리설(격리분화설) :

• 바그너, 로마네스 등이 주장한 것으로 지리적인 격리 를 통해 진화가 일어난다는 학설

• 바다나 높은 산맥에 의해 생물이 떨어져 있으면, 같은 종일지라도 오랜 세월이

(25)

영남대학교

25

• 타조의 진화

► 다위니즘(Darwinism): 환경에 지배 받는 대상으로 생각하고 비주체적인 종의 변화에 관심.

► 라마르키즘(Lamarckism): 환경의 변화에 주체적으로 대처하는

개체들을 진화의 원인으로 보며 근본적으로는 종의 배열에 관심.

• 그러나 결국 라마르키즘과 다위니즘으로 인해 진화학에는 적응(適應, adaptation), 계통(系統, phylogeny), 종분화(種分化, speciation) 라는 세 부분의 중요한 전통적인 연구분야가 생김,

이후 분류학과 자연스러운 접목이 이루어지게 됨.

5기 경험주의적 접근 ( Empirical approach)

라마르크 (Lamarck, 1744~1829)

(26)

퀴비에 (cuvier, 1769~1832)

영남대학교

• 비교해부학의 대가 : 화석을 고생물학적으로 동물분류학과 연결.

•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의 계단’을 배격하고 린네의 분류체계를 보완 → 동물을 독립된 네 종류의 문(門, phylum)으로 나눔.

► 척추동물문(脊椎動物門, Vertebrata) ► 연체동물문(軟體動物門, Molluskus) ► 체절동물문(體節動物門, Articulata) ► 방사동물문(放射動物門, Radiates)

• 격변설 (激變說)을 주장하며 라마르크의 진화론을 배격.

과거의 화석중에 현존종과 같은 것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현존종과 다른 화석종들은 천변지이(天變地異)로 절멸한 것.

예) 유성충돌설, 행성충돌설

• 라마르키즘의 급격한 쇠퇴는 사실상 학술적인 이유보다도 나폴레옹의 힘을 업은 퀴비에의 정치력에 더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음.

5기 경험주의적 접근 ( Empirical approach)

(27)

영남대학교

27

척추동물

연체동물

체절동물

방사동물

5기 경험주의적 접근 ( Empirical approach)

퀴비에 (cuvier, 1769~1832)의 4문

(28)

영남대학교

• 쥐시으(Jussieu, 1748-1836)와 캉돌(Candole, 1778-1841) :

식물자연분류를 시도하여 분류체계에 대한 논의와 교류가 활발.

• 모뻬르뛰(Maupertuis, 1698-1759), 뷔퐁(Buffon,1707-1788), 괴테(Goethe, 1742-1832), Kant(1724-1804) 등이 여러 저서에서 초기 진화적인 사상을 사회에 보급.

• 항해술의 발달 → 지방의 박물학자(博物學者, naturalist)들은 보다 안 목이 넓어지고 많은 문물이 소개되면서 박물학(博物學, natural history) 수준에서 생물학적인 전문분야로 수준이 심화됨.

• 문(門, phylum)이상의 분류군이 확립되었으며 분류의 중요한 방법(方 法, method)과 원리(原理, principle)가 정립됨

5기 경험주의적 접근 ( Empirical approach)

(29)

영남대학교

29

1859년 이전까지

• 계통의 자연성(naturalness of the system)을 설명

- 유명론자(nominalist)의 입장 : 자연의 무리들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분류군이란 사람의 마음 속에서 생기는 임의의 산물.

- 창조론자(創造論)의 입장 : 자연의 질서는 창조자의 계획에 따른 것이며 각 분류군은 밑바닥에 있는 하나의 유형(類型, type)의 변형물들로 되어 있고 이들은 이 유형(類型, type)의 본질(本質, essence)을 내포.

• 다윈이 1859년 『The Origin of Species 』을 출간 - 제 3의 설명이 가능하게 됨.

• 모든 생물은 서로 유연관계를 가진다는 사상이 분류학에 도입.

=> 자연의 계통은 계통발생적 계통이라 생각하게 되어 계통 탐구적 분류를 하는 데 치중.

비교형태학(比較形態學, comparative morphology), 비교발생학(比較發生學, comparative embryology),

비교분류학(比較分類學, comparative taxonomy) 등이 활발히 연구.

6기 진화론과 계통발생

(30)

영남대학교

Charles Robert Dawin

(1809-1882) Alfred Russel Wallace (1823-1913)

다윈과 왈라스: 과학계에서의 선취권의 예

(31)

영남대학교

31

Charles Darwin and H.M.S Beagle

Darwin in 1840 H.M.S beagle sails

(32)

영남대학교

Five-year voyage of H.M.S Beagle.

(33)

영남대학교

33

The Calapagos Islands viewed from the rim of a volcano.

(34)

영남대학교

• 반복설(反復說, recapitulation theory)을 『개체발생(個體發生, ontogeny)은 계통발주장

생(系統發生, phylogeny)을 반복한다.』

• 생물의 주요 분류군들의 계통수(系統樹, phylogenetic tree)를 작성.

• 자연의 계통은 계통 발생학적인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어 계통을 추적하는 다양한 방법이 분류에 도입.

헤켈(Heackel, 1866)

6기 진화론과 계통발생

(35)

영남대학교

35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분류학의 개념과 방법의 발전은 유전학(genetics), 생태학(ecology), 생물지리학(biogeography), 생리학(physiology), 집단 생물학(population biology) 등에 영향을 주게 됨.

→ 헉슬리(Huxely, 1940)

신분류학(新分類學, new systematic)이라 칭함.

7기 20세기 분류학 (Population systematics), 근대분류학

(36)

영남대학교

• 집단생물학에서 통계학(統計學, statistics)이 발달하며 집단의 개념이 보다 구체화되고, 곧 분류학자들은 모든 생물은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자연 속에 나타나며, 분류의 실제적 대상인 표본(標本, specimen)을 자연집단(自然集團, natural population)의 일부인 재료(材料, sample)로서 이해하기 시작.

• 소수의 표본만을 다루므로 간과되는 지리적 변이나 품종(race) 또는 아종 (subspecies)을 경계하고 개체군(個體群) 즉 집단을 분류의 기본단위로 채택.

• 1970년대에 이르면서 동물분류학에는 숙달된 분류학자들의 훈련과 경험 그리고 재능에서 비롯되는 주관적 능력에 더하여 설명적이고 객관적인 분류 를 위해 구체적인 기법이 추가.

• 생물학적 분류(生物學的 分類, biological classification)를 하기 위해 형태 적 형질에 행동, 음성, 생리, 생태학적 형질을 보충하여 연구하고, 사육과 관 찰이 도입되는 실험적 분류학(實驗的 分類學, experimental systimatics)이 도입.

7기 20세기 분류학 (Population systematics), 근대분류학

(37)

영남대학교

37

• 2차대전 후 동물분류학 분야는 빠른 속도로 새로운 경향과 사고방법에 변화가 생겨남.

• 통계학의 도입과 전자계산기의 발달 → 수리분류학(numerical taxanomy)이 발전

• 단계통을 추적하여 분지계통수를 작성 : 분지계통학 대두

• 다차원 전기영동법 등을 이용 : 생화학적 기술

•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에 의한 미량표본의 동정이나 유전자 정보은행을 이용한 염기서열의 재구성과 비교 : 분자생물학적 기술

• 비디오(video recorder)를 이용한 기록, 인공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에 의한 종의 추적과 행동의 연구 등 : 비교행동학(comparative ethology)

• 핵산의 분석과 조작 기술 : 분류생물학의 발달 → 미토콘드리아의 DNA와 RNA를 이용하여 진화경향을 연구하여 계통을 추적하는 유용한 방법.

• 생물의 급속한 감소 → 멸종이나 감소위기종을 파악하고 보호 → 국제적 협력을 위한 사회적 활동에 과학적인 처방을 제시 : 보전생물학(conservation biology)

8기 동물분류학의 현황과 전망

(38)

• 경남 울주군 언양면의 반구대 암각화, 대곡천(국보 제285호)

• 경주의 김유신(金庾信) 묘 : 실존 및 상상의 동물들의 모습을 조각한 십이지신상

• 삼국유사 : 호남지방에서 풀무치(

Locusta migratoria

)로 추정되는 메뚜기 종류인 황충(蝗蟲)의 대발생에 대한 여러 번 기록되어 있음.

• 고려와 조선시대: 약용으로 사용되는 동물들을 정리해 놓은 문헌이 등장.

1443(세종) : “Catalogue of local materials and prescriptions for medical use“- 209 spp. Animals. Worm and fishes.

• 1703(숙종 29년) : 송충이 대발생 - 10월 구제.

• 1704(숙종 30년) : 송충이 대발생 - 4월 관민합동구제.

• 화가 1504-1551 : 신사임당, 초충도 (1, 2) 1769-1845 : 신위, 봉엽실화

1811-1888 : 남계우, 화엽쌍부도

(39)

제1기 ( 1840-1904)

영남대학교

39

: 서구인에 의한 연구, 탐험대, 선종생활 (주간채칩) 1) Adams, A (英), 의사(Samarang号 군의관)

1843~1846 : 제주도 甲蟲, 나비, 나방 채집

2) Perry, W. W. (英), Levett, E. B. Iron duck号 해군사관- 나비, 나방 채집 3) Butler (英), 동양의 나비류 발표, 1882, Lep. 18spp. Moth 2spp.

4) H. A. otto, 1884, 日, 韓에서 채집(Lep. col. Hemi)

5) J. H. Leech, 1886~1900 (동지나, 일, 한)-부산, 원산 1500spp. Lep.

1888~1889 Lep. 91spp. Moth Ⅰ. 352spp. (일본산) Moth Ⅱ. 152spp. (원산)

1892~1894 Lep. 114spp. (한국산 발표) 1897 Geomelredae 103spp. 발표

6) Kolbe, H. J. 1886, 잎벌레 17spp. 하늘소 16spp. 발표 7) Radoszkowski, O. 1887~1890 한국산 벌 발표

(40)

제2기 ( 1905-1929)

영남대학교

일본인에 의한 연구

1) Gallois, E. H. 불, 외교관, 1903~1931(영사), 甲蟲 채집

2) Anderson, M. P. 1904~1911, 나방, 나비 채집 (美 스탠포드 大) 3) Ichgawa, 1905 (Anderson의 조수) 1906 제주도 갑충-일본에 발표, 수원 농사시험장 설립

4) Wheller, W. H. 1906 日, 韓, Formicidae 연구 5) Okamoto, kakayama - 작물해충연구

6) Doi, H.- 과학관, 일반곤충 연구

7) Mori, Matsumura, S., Uchida, Ueno-수서곤충

(41)

영남대학교

41

일본인, 한국인에 의한 연구

1. 조복성 (1905~1971) : 일반곤충 2. 석주명 (1908~1950) : 엽류(나비) 3. 백갑룡 : 거미

4. 김훈규

제3기 ( 1930-1945)

한국인에 의한 연구 1. 김 창 환

2. 김 훈 수 3. 이 창 언 4. 남 궁 준 5. 신 유 항

제4기 ( 1945- )

(42)

「조선박물학회잡지」

- 일본인들의 주동으로 1923년에 창립된 조선박물학회에 의해서 1924년에 창간되어 1944년 제40 호(1944)까지 발간된 것이다.

조복성(趙福成,)

(곤충학자, 1905~1971)

(43)

영남대학교

43

김창환

(金昌煥.1920.6.9~2013.4.5)

1943 동경제국대학 농생물학과 수학(∼1945)

1958 영국 캠브릿지대학교 곤충생리학 연구(∼1959)

1959 곤충에 관한 배후발생(胚後發生)에서의 분화중심설(分化中心 說)을 내세웠는데, 그 후 이 설은 정설이 되었다.

1945 이후 한국의 생물학 특히 곤충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

1970 한국곤충학회를 창립하고 자연보호운동에도 적극 참여했다.

(44)

영남대학교

1. 절멸 또는 위기종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어 백두산의 호랑이나 지리산의 반달가슴곰 등처럼 우리 나라 지역집단(地域集團, local

deme)을 복원시키려는 노력이 시작.

2. 특히 1997년 초에 총7장 68조와 부칙 11조로 이루어진

자연환경보전법 개정안이 대통령령으로 국회에서 통과되어 발효.

3. 한국자연보전협회(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호중앙협의회 4. 한국동물분류학회 창립(1985)

5.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한국곤충명집(1994) 6. 한국동물분류학회: 한국동물명집(1998)

제5기 현재

지리산 반달가슴곰(1급 멸종 위기종·천연기념물 329호) 복원사업

• 2004년부터 고아가 된 새끼 반달곰 27마리 연해주와 북한에서 도입 지리 산에 방사 12마리가 폐사하거나 적응에 실패해서 돌아옴. 현재 암컷 9마리 와 수컷 6마리 등 15마리가 자연상태로 살고 있다.

• 지리산 반달곰 2개체가 건강한 새끼를 낳은 것을 발견(2009. 2월 모니터링) 반달곰 어미는 2005년 북한에서 들여와 방사한 8호와 10호로, 한 마리씩 새끼를 품고 바위굴에서 겨울잠을 자는 모습이 목격됐다. 어미는 둘 다 생 후 5년이 된 개체로 초산이다.

딜레마 : 자연적응의 실패, 등산객, 주민 공격

야생동물 복원의 노하우가 없는 상태에서 멸종 위기종 1호

참조

관련 문서

비율이 1보다 크다는 것은 각 샘플이 하나의 모집단에서 왔을 가능성이 작다는 것이다. 즉, 각 집단의 평균이 같다는

④ 상호작용적 의존 스포츠 (interactively dependent sport): 성원이 집단 효율성의 향상을 위하여 상호간에 의존 관계를 유지하는 스포츠로서 단체 구기 경기.. 스포츠

집단의 각 사례가 표본으로 추출될 기회가 동등하게 기회가 부여되지 않는 표집 방법. 의도적 표집

예를 들면 분리불안장애 separation amxiety disorder, 품행 장애 conduct disorder, 주의력결핍/과잉활동장애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학 습장애 learning

상대방, 또는 상대방의 행위, 소유물 등을 높여 표현함으로써 상대방을 직접적으로 높이는 말이다.. 이때 경의의 대상은 일반적으로 윗사람이

• 대규모 사회조직이 확대되는 현대사회, 팽창하는 국가 조직을 이끌기 위해 민주주의 국가에서 엘리트 집단이 등장. = 엘리트들이 관리하는 중앙정부 혹은

첫째, 문항제작자는 그 문항으로 검사하려고 하는 교과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둘째, 문항제작자는 피험자 집단의 특성을

집단 규모가 집단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 준다.. 응집성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