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소아에서 발생한 개방성 경골 골절의 치료 결과에 대한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소아에서 발생한 개방성 경골 골절의 치료 결과에 대한 분석"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경골은 해부학적 구조상 피부의 바로 하부에 위치하고 내측부의 연부조직 및 골막이 두껍지 않아 손상시 개방성 골절이 되기 쉽 다. 또한 혈액 공급도 원활하지 않아 지연유합, 불유합, 골수염 등 의 합병증이 흔해서,1) 개방성 골절 발생시 합병증의 발생률이 증 가하게 된다. 개방성 경골 골절은 골절 자체 외에도 피부, 근육, 골막, 신경 및 혈관 개방창의 감염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지니 고 있다.

소아에서의 개방성 골절은 연부조직 치유 능력이 우수하고, 골

소아에서 발생한 개방성 경골 골절의 치료 결과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reatment Outcomes for Open Fractures of the Tibia in Children

박종혁 • 김정렬 • 함동훈 • 이형석 • 신성진*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형외과학교실, 임상의학연구소,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목적: 소아에서 발생한 개방성 경골 골절에서 Gustilo-Anderson 분류와 치료 방법에 따른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2007년 6월까지 개방성 경골 골절로 치료받았던 15세 이하의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35예 를 대상으로 후향성 연구를 하였으며, Gustilo-Anderson 분류에 따라 세 군(I, II, III형)으로 분류하였다. 이 환자들에 대하여 골의 유합 기 간 및 선열, 각형성 및 하지 부동에 대해 방사선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동반손상 및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기능적 결과는 Karlstrom-Olerud의 방법을 이용하여 판정하였다.

결과: 평균 유합 기간은 제 I형이 11.35±3.08주, 제 II형이 10.50±2.20주, 제 III형이 21.62±7.19주였다. I형, II형의 평균 유합 기간은 III 형과 비교하여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2). 지연 유합은 II형에서 1예, III형에서 3예가 관찰되었고, 합병증으로는 불유합이 2예, 부정 유합 2예, 골수염 1예로 모두 III형에서만 관찰되었다. Karlstrom-Olerud에 따른 기능적 결과는 I, II, III형에서 모두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 였으며, 치료 방법에 따른 치료 결과에서도 세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29).

결론: 소아에서 발생한 개방성 경골 골절에서 연부 조직의 손상 정도가 심한 III형에서 보다 많은 합병증이 발생되었다. 하지만, 성인과 비 교하여 우수한 골의 재형성 능력 및 치유 능력으로 인하여 만족할 만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경골, 개방성 골절, 소아

막의 골 형성 능력이 좋으며, 골유합 기간이 짧으며,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료 결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2) 일부 저자 들은 그들의 연구에서 심부 감염, 불유합, 구획 증후군과 같은 합 병증의 발생률이 성인에서와 비슷하다고 보고하였으며,3-5) 다른 저자들은 같은 소아에서도 연령이 어릴수록 그 결과가 양호하다 고 보고하였다.6) 이와 같이 소아의 개방성 경골 골절 치료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연구에 따른 결과가 달리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Kang 등7)과 Yoon 등8)의 연구만이 치료 결과를 보고 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발생한 경골 개방성 골절에서 치료 방 법에 따른 치료 결과와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1998년 6월부터 2007년 6월까지 개방성 경골 골절에 대해 유연성 접수일 2009년 12월 16일 게재확정일 2010년 5월 10일

교신저자 김정렬

전북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 634-18,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형외과학교실 TEL 063-250-1767, FAX 063-271-6538

E-mail jrkeem@chonbuk.ac.kr

Copyrights © 2010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대한정형외과학회지:제 45권 제 6호 2010

(2)

골수강내 금속정 또는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5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남, 녀 모두에서 수상 당시 성장판이 아직 닫히지 않은 15세 이전의 나이를 기준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8.1세(4-15)였고, 남자가 18 명, 여자가 17명이었다.

수상의 원인은 보행자 사고가 33예로 가장 많았고, 탑승자 사 고 1예, 낙상이 1예였다. 수상 당시의 단순 방사선 사진을 통하 여 골절의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연부조직 손상에 대한 평가는 수술장에서 변연 절제술시에 평가되었다. 개방성 골절의 분류는 Gustilo-Anderson 분류1)를 사용하였고, I형이 15예(43%), II형이 8 예(23%), III형이 12예(34%)였으며, III형에서는 IIIA형이 4예, IIIB 형이 5예, IIIC형이 3예였다. 수술적 치료 방법은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경우가 26예, 유연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우가 9 예였다. 개방성 골절의 Gustilo type IIIB형 이상에서는 유연성 골 수강내 금속정을 사용하기가 힘들고, 본 연구에서도 IIIB형 이상 의 골절에서는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 방법에 따 른 결과 분석은 I, II, IIIA형에서만 시행하였다. 외고정 장치를 이 용한 군(n=18)에서 Gustilo type 1형은 8예, II형은 7예, 그리고 IIIA 형은 3예였다. 유연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군(n=9)에서의 type I형은 7예, II 형은 1예, 그리고 IIIA형은 1예였다. 추가적으로 골절부위의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해 Winquist 등9)의 분류를 이용 하였으며 피질골이 50% 이상의 접촉이 있는 안정성 골절인 1형 과 2형이 각각 19예, 13예였으며, 3형은 3예였다(Table 1).

2. 연구 방법

의무 기록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단순 방사선 사진 및 치료 결과와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Gustilo-Anderson분류1)에 따라 I, II, III형의 세 개의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수술적 치료 방법에 따라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군과 유연성 골수강내 금속정 을 이용한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각 군간의 골유합 기간 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불유합, 부정유합 그리고 골수염 등의 합 병증 및 수술 후 기능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골유합은 방사선학적으로 단순 방사선 사진상 전후면 및 측면 촬영에서 골절부 주위의 3면 이상에서 가골의 형성을 확인하고, 임상적으로 전 체중 부하시에 통증이 없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지연 유합은 치료 후 16주 경과 후에도 불완전한 치유를 보이는 경우,5) 불유합은 고정 후 6개월이 경과했어도 방사선학적, 임상적 치유가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 경우로 하였다.5,10) 부정유합은 소 아 골절 치료 후 허용되는 각 범위 이상의 각형성이 있는 경우로 기준을 정하였다.3,4) 골절부위의 배열은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을 통해 평가하였다. 핀 주위 감염, 골수염의 발생에 대해서도 조사 하였고, 과성장은 18개월 이상의 추시를 통한 방사선 검사(scano- gram)상 1.5 cm 이상의 차이가 보이는 경우로 하였다.

치료 후 기능적 결과에 대해서는 Karlstrom-Olerud 기준11)인 통

Table 1. Patients’ Data and Results

No. Age/

Sex Grade Winquist

type Tx. Union (wks)

Complica-

tions Outcome

1 4/M I I EF 13 Excellent

2 7/M I I EF 16 Overgrowth Good 3 9/F I II EF 11 Excellent

4 14/M I I EF 16 Good

5 7/F I I EF 7 Excellent 6 6/F I II EF 12 Excellent 7 11/M I II EF 12 Excellent

8 8/F I I EF 12 Excellent

9 9/M I I CRIF 10 Excellent 10 7/M I I CRIF 6 Excellent 11 10/F I II CRIF 11 Excellent

12 14/F I I CRIF 15 Good

13 9/F I I CRIF 8 Excellent 14 5/F I II CRIF 10 Excellent 15 14/M I I CRIF 13 Excellent

16 7/F II I EF 11 Excellent

17 7/M II Il EF 12 Excellent

18 8/F II II CRIF 7 Excellent

19 8/M II I EF 10 Excellent

20 11/M II I EF 13 Good

21 5/M II II EF 10 Excellent 22 7/M II I EF 8 Excellent

23 15/M II I EF 24 Good

24 12/M IIIA II EF 14 Excellent 25 8/M IIIA I EF 7 Overgrowth Good 26 7/F IIIA III EF 15 Excellent 27 15/F IIIA I CRIF 16 Rotation

deformity Good

28 9/M IIIB I EF 24 Good

29 5/M IIIB I EF 9 Excellent 30 4/F IIIB II EF 13 Excellent 31 9/F IIIB III EF 28 Nonunion Good

32 7/F IIIB II EF 20 Good

33 8/F IIIC II EF 28 Anterior angulation

Good

34 5/M IIIC III EF 67 Infected nonunion

Fair

35 3/F IIIC II EF 16 Excellent CRIF,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lexible IM nail); EF, External fixation.

(3)

증, 활동 범위, 피부 상태, 변형, 근 위축, 슬관절과 족관절의 관절 운동 범위 등의 항목을 종합하여, 우수(excellent), 양호(good), 보 통(fair), 불량(poor)으로 구분하였고, 각 군별로 그 결과를 비교하 였다.

3. 치료 방법

저자들은 응급실에서 초기 치료로 부목 고정과 경험적 정맥내 항 생제를 투여했으며, 응급 수술을 원칙으로 하여 수술실에서 창 상 세척과 변연 절제술을 시행한 후 정복을 시도하였다. Gustilo-

Anderson 분류1) I, II, IIIA 형처럼 연부 조직 손상이 심하지 않고, 개방성 골절 부위 창상 오염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유연성 골 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도수 정복술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으 며, 연부조직 손상의 정도가 심하여 일차적 처치로 창상 관리가 힘든 경우나, 또는 심한 골절의 전위 및 분쇄를 동반한 IIIB, IIIC 형에서는 단순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정복술을 시행하였다. 특히, 유연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해 정복한 경우는 수술 후 석고 고정을 추가로 실시하였으며 방사선학적으로 관찰을 하면서 유 합정도에 따라서 부분 체중부하를 시작하였다. 술 후 치료는 개

Figure 1. (A) A 15-year-old female sustained open fracture of the tibia and fibula in Gustilo-Anderson type IIIA combined with brain injury. (B) At 4 weeks later,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flexible intramedullary nail was performed. (C) Rotational deformity (40 degrees of external rotation) occurred at the 6-month follow up. (D) Deformity correction with external fixator was performed. (E) The photograph and radiograph at the last follow up show complete bony union and correction of rotational deformity.

(4)

방성 창상으로부터 배양한 균에 맞게 항생제를 변경하여 사용하 였고, 일차 봉합으로 치료하지 못한 개방성 창상에 대해서는 지 연 봉합을 통해 치료하였다.

4. 통계 방법

통계학적인 방법은 각 군의 평균 골유합 기간, 기능적 결과와 수술적 방법에 따른 기능적 결과에 대해 기본적으로 SPSS 12.0 (SPSS, Chicago, IL)을 사용하였으며, Kruskal-Wallis test, Inde- pendent T-test, Pearson Chi-squared test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 였으며, p-value가 0.05 미만인 경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결 과

1. 골유합 기간

평균 골 유합 기간은 14.97±8.62주였으며, I형의 평균 유합 기간 은 11.35±3.08주, II형은 10.50±2.20주, III형은 21.62±7.19주였다.

각 군에 따른 평균 유합 기간의 차이는 있었으나(Kruskal-Wallis test, p=0.005), I형과 II형에서는 평균 유합 기간이 각각 11.35±

3.08주, 10.50±2.20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Independent T test, p=0.49). 특히, I형, II형의 평균 유합 기간 (11.61±3.82주)은 III형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Independent T test, p=0.02). 수술방법에 따른 유합 기간의 상관관계 는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군에서 평균 유합 기간은 12.39±3.94주였 고, 유연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사용한 군에서는 평균 10.67±3.46 주였으며, 골 유합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Mann-Whitney test, p=0.29).

2. 합병증

지연 유합은 4예(11.4%)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1예는 II형, 2 예는 IIIB형, 1예는 IIIC형에서 보였다. 이들의 평균 유합 기간은 23.20±3.26주였다. IIIC형에서 지연 유합을 보인 1예는 최종 추시 관찰에서 약 20o의 전방 각형성을 보였다. 지연 유합을 보인 4예 는 모두 외고정 장치로 치료 받은 경우였고, 골 유합을 얻기 위하 여 다른 이차적인 처치를 시행하지 않고 추시 관찰하여 골 유합 을 얻을 수 있었다.

불유합은 IIIB형 1예, IIIC형 1예로 총 2예(5.7%)에서 관찰되었으 며 평균 유합 기간은 47.5주(28-67주)였다. IIIB형 환자에서는 자

Figure 2. (A) A 5-year-old male sustained open fracture of the tibia in Gustilo-An- derson type IIIC caused by traffic accident.

(B)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with mono-fixator was performed. (C) However, extensive soft tissue infection and in fected nonunion developed. (D) After resection of infected bone fragment, acute compression and lengthening procedure with Ilizarov apparatus was performed at the proximal tibia. (E) Excellent bone union was observed at the last follow-up.

(5)

가골 이식을 통해 골 유합을 얻었고, IIIC형의 환자는 감염성 불유 합이 발생하여 골 유합 기간이 연장되었다.

부정 유합은 III형에서 2예(5.7%) 관찰되었다. 1예는 IIIA형이었 으며, 뇌의 미만성 축상 손상이 동반되어 수상 후 4주 경 개방성 창상이 치유된 후 유연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해 정복 후 석 고 고정을 하였으나, 추시 관찰 중 약 40o의 외회전 변형이 관찰되 어 절골술 및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술을 시행하였다(Fig. 1).

다른 1예는 IIIC형이었으며 전방 각형성에 대하여 교정술을 실시 할 예정이다.

골수염은 IIIC형 1예(2.9%)에서 발생하였으며, 불유합이 같이 동반되어 있어서 감염된 피질골 절단술 시행 후 급성 단축 및 Ilizarov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골연장술을 시행하여 골유합을 얻 을 수 있었다(Fig. 2). 외고정 장치의 제거가 필요할 정도의 핀 주 위 감염을 보인 예는 없었으며, 1.5 cm 이상의 경골 과성장은 2예 (5.7%)에서 발생하였고, I형이 1예, III형이 1예였으며, 현재 경과 관찰 중이다. 본 연구에서 합병증의 전체적인 발생률은 29%였으 며, III형에서만 64%로 매우 높은 수치를 보였고, I형, II형과 비교 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Independent T test, p=0.04).

 

3. 기능적 평가

기능적 평가의 결과는 Karlstrom-Olerud 기준11)에 따라 우수(ex- cellent)가 23예(66%), 양호(good)가 11예(31%), 보통(fair)이 1예 (3%)였다. I형과 II 형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가 66%로 III형에 비 해 좀 더 나은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Pearson Chi-squared test, p=0.42)(Fig. 3), 수술 방법에 따른 기능 적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earson Chi-squared test, p=0.29) (Fig. 4).

 

고 찰

소아에서 개방성 경골 골절은 성인에서와 마찬가지로 고 에너지 에 의한 손상이며, 불유합, 부정유합 및 골수염 등의 여러 합병증 들이 발생할 수 있다. 치료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의견이 많 지만, 변연 절제술 및 세척술 후에 도수 정복 및 석고 고정술이 전통적인 치료방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는 항생제 및 소 아 마취 기술의 발달로 내고정 또는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수술적 치료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치료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까 지 정립되지 않아서 Jones와 Duncan6)은 성인보다 소아에서 합병증 이 적게 발생하였다고 기술한 반면에, Hope와 Cole, Buckley 등3,5) 은 그들의 연구에서 소아에서도 성인과 비슷하게 구획증후군, 감 염, 지연 유합 등의 합병증을 보인다고 보고하기도 하였다. 저자 들의 연구에서는 지연유합, 부정유합, 불유합, 골수염, 그리고 경 골 과성장 등의 합병증 발생률이 29%를 차지하였으나, 연부조직 손상이 심했던 III형에서만 64%의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이는 골 절 부위 주변의 심한 연부조직 손상으로 골절부위가 외부로 노출 됨으로써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골막의 손상으로 골절 치유 의 제한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다. 또한 소아에서 도 개방성 골절 이후 높은 비율로 합병증들이 발생할 수 있기 때 문에 특히, 연부 손상이 심한 III형에서는 골절의 치료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전체 환자들의 평균 골 유합 기간은 14.97±8.62주였으며, 이는 폐 쇄성 골절의 골 유합 기간이 4-14주로 보고된 것과 비교해 큰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5,16) 하지만 III형에서의 골 유합 기간(21.62±7.19 주)은 이보다 증가된 소견을 보여, 수상 정도가 심할수록 골 유합 기간에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고 연구 결과에서도 이를 확인 하였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개방성 경골 골절의 주된 수술 방법으로 Figure 3. This graph shows distribution of functional outcomes according

to Gustilo-Anderson types. Excellent or good grade was achieved in all cases except one.

Figure 4. This graph shows distribution of functional outcomes according to treatment methods such as an external fixator and flexible IM nail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eference between the external fixator and flexible IM nailing.

(6)

는 도수 정복 및 석고 고정술이나 내고정 및 외고정 장치를 이용 한 고정술이 있다.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고정술은 개방성 창상 에 대한 치유 기간 동안 골절부위의 길이와 선열을 유지할 수 있 으며 수술 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심부감 염, 핀 주위감염, 과성장, 재골절 등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을 증가 시키는 단점이 있다.3,12,13) 본 연구에서는, 26예에서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그 중 핀 주위 감염은 보이지 않았 으나, 골수염같은 심부 감염은 1예, 경골 과성장은 2예, 지연 유합 은 4예에서 보였다(Table 1). 비록 외고정 장치를 사용한 군에서 만 이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나, 치료 방법에 따른 합병증 발생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Pearson chi- square test, p=0.12) 아마도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 한 군에서 수상 당시 심한 연부조직이나 골의 손상이 동반된 경 우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유연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치료는 개방성 골절 I형, II형, IIIA형까지 적용될 수 있으며, 가골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골절 부 위의 미세운동이 가능하면서 길이와 정렬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 이 있다. 하지만 수술 중 금속정 삽입시 근위 경골 부위의 성장판 손상 가능성 및 삽입구의 자극, 추후 금속 제거술의 필요성, 회전 변형과 골절부위의 단축의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14,15,17) 본 연구에서도 유연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1예에서 회전변형 이 관찰되었는데, 이 경우는 15세 여아로 분쇄 골절로 인하여 골 편의 접촉을 얻기가 어려웠으며 또한 골수강내 직경이 컸기 때문 에 2개의 유연성 골수강내 금속정으로는 안정성이 부족하여, 수 술 후 석고 고정을 했을지라도, 회전 변형 가능성이 높았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미만성 뇌신경 손상이 동반되어 수술적 처치가 수상 후 4주 연기된 것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따라서 두부 손 상이 있는 환자에서 개방성 골절의 치료는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조기 수술과 수술 후 관리가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며, 만약 두 부 손상으로 인하여 수술이 지연될 경우, 연부조직이 안정된 상 태라면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골유합술(MIPO)을 시행하는 것이 골 절편의 안정성을 높일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의 임상적 의미를 분석하기에 앞서 몇 가 지 제한 소견이 있었는데, 후향적 연구의 특성상 각 집단간의 구 성의 차이, 즉 Gustilo type에 따른 집단간의 나이, 성별 등이 동일 시 되지 않았다는 점과 치료 방법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기에는 증례수가 부족하였다는 점이 통계적 유의성을 판단하기에 제한 점 이었다.

합병증들 중에서 구획증후군은 4%에서 9%의 발생률이 보고되

었지만,5,18) 본 연구에서는 구획증후군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골절

과 관련된 혈관손상에 대해서는 소아의 경우 혈관 자체의 탄력성 이 좋기 때문에 그 비율이 높지 않다고 보고되고 있지만,19) 본 연 구에서는 혈관의 봉합이 필요한 type IIIC에 해당하는 골절의 경 우는 35예 중 3예(8.6%)로, 좀 더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혈관 손상

의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관련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혈관 의 탄력성이 높다 하더라도 고 에너지 손상에 의한 분쇄 골절시 날카로운 골절편에 의한 혈관 손상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감염의 예방은 개방성 창상에 대한 변연절제술, 세심한 창상 세 척, 항생제 투여를 통해 이뤄졌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창상 부위 감염, 핀 주위 감염 등의 표면 감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골 수염은 1예에서만 관찰되어 이전 연구들4,5)보다 그 발생률이 낮음 을 확인하였다.

경골의 과성장과 조기 성장판 유합에 따른 하지부동은 소아에 서 발생한 골절의 합병증에서만 보이는 특징적인 것이다.4) Buck- ley 등3)은 외고정 장치로 치료한 후에 1-4 cm의 하지부동을 보이 는 4예를 보고하였고, Cullen 등4)은 5예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2예에서 1.5 cm 이상의 경골 과성장에 따른 하지 부동을 보 였다. 부동에 따른 증상이 심하지 않아 보존적 치료 중이며, 이에 대해서는 현재 경과 관찰하여 경골 연장술에 대해 고려 중이다.

기능적 평가에서는 III형 개방성 골절 환자들에서도 1예의 보통 (fair)을 제외한 모두가 만족 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소아에서 발생한 경골 개방성 골절에서도 성인에서와 같이 손상 의 정도가 심할수록 합병증이 많이 발생할 수 있지만, 그에 대한 치료 결과는 성인에 비해 더 좋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결 론

소아에서 발생한 개방성 경골 골절의 분류에서 I, II형에 비해 연부 조직 및 골 손상 정도가 심한 III형에서 많은 합병증들이 발생할 수 있다. 그렇지만, 소아의 경골 개방성 골절에 대한 연부 조직 처치가 충분히 시행되고, 또한 합병증 발생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동반된 다면 우수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Court-Brown C. Rockwood and Green’s fractures in adults.

6th ed. In: Bucholz R, Heckman J, Court-Brown C, ed. Phila- 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2080-146.

2. Bartlett CS 3rd, Weiner LS, Yang EC. Treatment of type II and type III open tibia fractures in children. J Orthop Trauma.

1997;11:357-62.

3. Buckley SL, Smith G, Sponseller PD, Thompson JD, Griffin PP. Open fractures of the tibia in children. J Bone Joint Surg Am. 1990;72:1462-9.

4. Cullen MC, Roy DR, Crawford AH, Assenmacher J, Levy MS, Wen D. Open fracture of the tibia in children. J Bone Joint Surg Am. 1996;78:1039-47.

(7)

5. Hope PG, Cole WG. Open fractures of the tibia in children. J Bone Joint Surg Br. 1992;74:546-53.

6. Jones BG, Duncan RD. Open tibial fractures in children un- der 13 years of age--10 years experience. Injury. 2003;34:776- 80.

7. Kang CN, Kim JH, Kim DW, Gho YD, You JD, Chang J. The results and complications after treatment of open tibia frac- tures in children. J Korean Soc Fract. 1998;11:464-70.

8. Yoon HK, Jeon KP, Oh KH, Jung DE, Km DJ, Kim HL. A clin- ical study of open fractures of the tibia in children. J Korean Soc Fract. 1993;6:289-95.

9. Winquist RA, Hansen ST Jr, Clawson DK. Closed intramedul- lary nailing of femoral fractures. A report of five hundred and twenty cases. J Bone Joint Surg Am. 1984;66:529-39.

10. Rosenthal RE, MacPhail JA, Oritz JE. Non-union in open tibial fractures. J Bone Joint Surg Am. 1977;59:244-8.

11. Karlström G, Olerud S. Ipsilateral fracture of the femur and tibia. J Bone Joint Surg Am. 1977;59:240-3.

12. Myers SH, Spiegel D, Flynn JM. External fixation of high- energy tibia fractures. J Pediatr Orthop. 2007;27:537-9.

13. Tolo VT. External fixation in multiply injured children. Or- thop Clin North Am. 1990;21:393-400.

14. Kubiak EN, Egol KA, Scher D, Wasserman B, Feldman D, Koval KJ. Operative treatment of tibial fractures in children:

are elastic stable intramedullary nails an improvement over external fixation? J Bone Joint Surg Am. 2005;87:1761-8.

15. Sankar WN, Jones KJ, David Horn B, Wells L. Titanium elas- tic nails for pediatric tibial shaft fractures. J Child Orthop.

2007;1:281-6.

16. Shannak AO. Tibial fractures in children: follow-up study. J Pediatr Orthop. 1988;8:306-10.

17. Gordon JE, Gregush RV, Schoenecker PL, Dobbs MB, Luh- mann SJ. Complications after titanium elastic nailing of pedi- atric tibial fractures. J Pediatr Orthop. 2007;27:442-6.

18. Blick SS, Brumback RJ, Poka A, Burgess AR, Ebraheim NA.

Compartment syndrome in open tibial fractures. J Bone Joint Surg Am. 1986;68:1348-53.

19. Cole WG. Arterial injuries associated with fractures of the lower limbs in childhood. Injury. 1981;12:460-3.

(8)

Analysis of Treatment Outcomes for Open Fractures of the Tibia in Children

Jong-Hyuk Park, M.D., Jung Ryul Kim, M.D., Ph.D., Dong Hun Ham, M.D., Hyung Suk Lee, M.D., and Sung Jin Shin,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Research Institute of Clinical Scienc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Jeju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Jeju, Korea

Purpose: Our objective was to analyze outcomes of treatment for open fractures of the tibia in children according to the clas-

sification of Gustilo-Anderson type.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irty five pediatric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open fractures of the tibia between

June 1998 and June 2007. We followed up over more than 1 year. Fractures were group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Gustilo- Anderson classification (Types I, II, and III). External fixation or flexible intramedullary nailing was used as the surgical method. We analyzed the period required to achieve radiologic bony union, tibial alignment, leg length discrepancy and complications.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the Karlstrom-Olerud method.

Results: Radiologically, bony union was achieved in 11.35±3.08 weeks, 10.50±2.20 weeks, and 21.62±7.19 weeks for types I, II,

and III, respectively. Delayed union occurred in one case of type II and 3 cases of type III fractures. Complications such as nonunion, malunion and osteomyelitis were seen only in type III. Clinical outcomes showed excellent or good results in all cases except one (type III).

Conclusion: Excellent outcomes for open fractures of the tibia in children can be obtained regardless of Gustilo-Anderson type when

adequate procedures are performed.

Key words: tibia, open fracture, children

Received December 16, 2009 Accepted May 10, 2010 Correspondence to: Jung Ryul Kim, M.D., Ph.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634-18, Geumam-dong, Dugjin-gu, Jeonju 561-712, Korea

TEL: +82-63-250-1767 FAX: +82-63-271-6538 E-mail: jrkeem@chonbuk.ac.kr

수치

Table 1. Patients’ Data and Results No. Age/
Figure 1. (A) A 15-year-old female sustained open fracture of the tibia and fibula in Gustilo-Anderson type IIIA combined with brain injury
Figure 2. (A) A 5-year-old male sustained  open fracture of the tibia in  Gustilo-An-derson type IIIC caused by traffic accident
Figure 4. This graph shows distribution of functional outcomes according  to treatment methods such as an external fixator and flexible IM nailing

참조

관련 문서

이는 소아에서 녹농균(pseudomo- nas)이나 수막구균(meningococcus)에 의한 패혈증과 관련이 있다 (Waterhouse-Friderichsen syndrome).. 라) 환자의

그리고 미세먼지 농도가 심한 지역이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지역에 비하여 미 세먼지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미세먼지에 대한 실천으로 이어지는 정도가 더 높은

변혁적 리더는 조직의 구성원들이 조직의 결과에 대한 문제점들에 대하여 보다 큰 인식을 지니도록 하기 위하여 동료,부하,고객들을 규합하고 고무시키는 역할

Pennel 등 36) 은 비구 골절의 임상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골절양상,체중 부하 부위의 손상 정도,치유시의 전위 정도,골반환의 동반 손상 여부,환자의 나

(다만 보청기를 낀다고 해서 모든 소리를 또렷하게 들을 수 있 는 것은 아니에요.) 손상 정도가 심한 경우에도 진동을 통해 박자가 전달되므로 음악을 느낄 수

(다만 보청기를 낀다고 해서 모든 소리를 또렷하게 들을 수 있 는 것은 아니에요.) 손상 정도가 심한 경우에도 진동을 통해 박자가 전달되므로 음악을 느낄 수

(다만 보청기를 낀다고 해서 모든 소리를 또렷하게 들을 수 있 는 것은 아니에요.) 손상 정도가 심한 경우에도 진동을 통해 박자가 전달되므로 음악을 느낄 수

또한 항공사고 등이 발생한 체약국에서 대한민국이 등록국, 운영국, 설계국 또는 제작국이 되는 항공사고 또는 항공기 준사고가 발생한 경우로서 발생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