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自我尊重感 및 學業成績과의 關係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自我尊重感 및 學業成績과의 關係"

Copied!
6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碩士學位論文

中學生이 知覺한

父母-子女간 意思疏通과

自我尊重感 및 學業成績과의 關係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相談心理專攻

金 玉 姬

2001

(2)
(3)

碩士學位論文

中學生이 知覺한

父母-子女간 意思疏通과

自我尊重感 및 學業成績과의 關係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相談心理專攻

金 玉 姬

2001

(4)

中學生이 知覺한

父母-子女간 意思疏通과

自我尊重感 및 學業成績과의 關係

指 導 敎 授 李 起 宗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請求論文으로 提出함

2001年 12月 日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相談心理專攻

金 玉 姬

2001

(5)

金 玉 姬 의

碩士學位 請求論文을 認准함

2001年 12月 日

審査委員長 인

審 査 委 員 인

審 査 委 員 인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6)

목 차

국문요약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

6

1. 의사 소통 ···6

2. 자아 존중감 ···17

3. 학업 성적 ···20

4. 관련 선행 연구 고찰 ···22

Ⅲ. 연구 방법 ···

27

1. 연구 대상 ···27

2. 검사 도구 ···27

3. 측정 도구의 신뢰성 분석 ···30

4. 자료 분석 ···31

Ⅳ. 결과 및 해석 ···

32

1. 연구 대상의 특성 ···32

2.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33

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과의 관계 ···34

4.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과의 관계 ···36

Ⅴ. 논의 및 결론 ···

37

1. 논의 ···37

2. 결론 ···39

참고문헌 ···41

ABSTRACT ···48

부록 ···51

(7)

표 목 차

표1 자아 존중감 문항 분석표 ···29

표2 청소년용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척도 신뢰도 ···31

표3 연구 대상의 자아 존중감과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학업 성적의 평균과 표준 편차 ···32

표4 자아 존중감과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의 상관 관계 ···33

표5 자아 존중감과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의 상관 관계 ···34

표6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과의 상관 관계 ···35

표7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과의 상관 관계 ···35

표8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과의 상관 관계 ···36

(8)

국 문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 및 학업 성적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을 높이고 학업 성적을 높이기 위한 바람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의 중 요성을 인식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넷째,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다섯째,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Y 중학교 1학년 15개 반 학생 4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척도 검사 도구로는 1982년 Barnes 와 Olson이 개발한 PACI(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를 국내에서 김윤희(1989)가 번안한 것을 질문지로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개방형 (10문

(9)

항)과 폐쇄형(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5점 척도로서 각각 10-50점의 범 위로 나타나며 총점은 폐쇄형을 역산하여 20-100점 범위로 나타난다.

자아 존중감 측정 도구로는 Coopersmith(1967)의 아동용 자아 존중감 측 정 도구를 차경숙(1997)이 번안하여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총 58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5점 평점 척도를 4점 평점 척도로 바꾸어 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학업 성적은 교사 제작의 지필, 수행, 실기 평가로 이루어 진 2001학년도 제 1학기 말 고사(중간 고사와 학기 말 고사의 평균 성적 )12개 전 교과목(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 술, 영어, 한문, 컴퓨터)의 총점 평균을 뜻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표집 대상자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검사법 요강의 채점 결과에 따라 채점한 후 그 결과를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 및 학업 성적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단순 상관 계수를 산출, 적용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은 상관

(10)

관계가 어머니보다는 낮지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정 환경은 기본적인 사회 단위이고, 개인이 처음으로 경험을 습득하는 곳으로서 그 중에서 부모의 양육 태도는 자녀의 인성과 지적 발달에 중요 한 영향력을 미친다. 부모의 자녀 양육 태도는 비언어적 요소이지만 부모 가 가지는 태도는 언어로 표출되어지므로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 어떠한 의사 소통을 하는가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언어는 그의 생각을 움직이며 그의 생각은 그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졌다. 누구든지 말을 들으면 마음이 움직이 지 않는 사람은 없다. 칭찬이나 비판을 받으면 즉각 마음은 그 말대로 움 직인다. 부모는 말로 자녀를 변화시킬 수 있다. 부모와 자녀 사이의 벽을 허물 수 있는 유일한 무기는 자녀의 마음을 알아주는 진심 어린 말이다.

그러나 부모들은 자신도 모르게 자녀와 전혀 통하지 않는 벽을 쌓는 말을 하고 있다. 부모-자녀간의 바람직한 의사 소통이 Pygmalion 효과나 자기 충족적 예언과 같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보며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은 바람직한 부모와의 의사 소통에서 영향을 준다고 본다.

또한 청소년기는 자기 자신을 얼마나 가치 있고 높이 평가하느냐의 자아 존중감 개념이 중요한 시기이다. 그 개념은 사회적 행동과 역할을 결정하 는 중심 특성이며 개인의 성격 발달과 환경 적응 및 긍정적 자아 실현의

(12)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자아 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평가적 태도나 가치 판단 또는 각 개개인이 자신에게 부여하는 가치로 정의되며 개인의 적응 및 건강한 성격 발달과 자아 실현에 중요한 요소로서 인간의 행동, 감정, 동기, 성취 및 인간 관계 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영향을 미친다.

자신을 한 인간으로서 존중한다는 것은 자기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가 치로운 인간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높은 자아 존중감을 가질수록 사회에 잘 적응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이와 같이 한 개인의 사회 적 행동의 역할을 결정하는 중심 특성인 자아 존중감은 사회적 환경내의 주요 인물들의 반영적 평가에 의해 생성된다.

한 개인이 사회와 밀접한 상호 의존적 관계임을 볼 때 가정에서의 경험 은 인격 형성과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이때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 치는 것은 부모의 역할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신체적 변화와 함께 정서적 불안정감, 감정의 동요, 반항심, 때로는 죄악감, 부정감, 수치감 등이 따라 일어나게 되어 있어서 매우 혼란스런 시기로 정체감 위기를 맞게 된다. 또한 현대 사회의 가족 형태가 핵가족화 되면서 가족 기능의 저하와 개인주의적 사고의 확산이 청 소년들의 삶을 크게 위협하고 있으며 그들의 정신적 혼란과 불안을 가중시 키고 있다. 이 때 부모의 통제와 자녀의 독립 욕구는 수시로 대립되어 심 각한 문제를 유발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이 단절 되며 불일치가 심화되는 것이다. Bernstein(1971)은 부모와 자녀가 제한적

(13)

인 의사 소통을 하게 되면 자녀는 비구두적인 의사 표시와 비형식적인 화 법을 배우게 되어 일상 생활이나 학교에서 성공적인 경험을 하기 어렵게 되고 따라서 학업에 실패하고 행동 장애도 유발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처 럼 한 개인의 성격과 행동 양식의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모 는 청소년 자녀의 조력자 또는 사랑의 대상자로서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 해야 하며 부모-자녀의 관계는 가장 기본적이고 친밀하며 지속적인 상호 작용을 하는 인간 관계로 어떤 사회적 관계보다 인간의 행동 양식을 학습 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이러한 부모-자녀 관계의 상호 작용은 의사 소통을 통해서 직접적인 영 향을 주고 받으며 그 속에 내포된 의미와 행동 양식을 내면화하여 발달시 켜 나가기 때문에 부모의 대화하는 방식이나 태도, 내용 등은 중요한 의미 를 갖는다. 또한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으로써 자녀가 자기 행동에 대한 반응을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실제의 자아와 기대하는 자아 사이의 부조화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매개체가 된다.

또한 오늘날 우리 나라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청소년기의 대부분을 학교 라는 집단 내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이 집단 내에서의 성취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를 학업 성취라고 부르고 있다. 신세호(1983)는 학업 성취란 학교가 설계 제공하는 교수 학습 과정을 통해 얻어진 교육 목표의 달성도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는 환경 변인을 비롯하여 학습자 변인, 수업 변인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들 각 변인들은 서로 연관성을 가지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학업 성취

(14)

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환경 변인 가운데서도 가정의 심리적 환경의 하위 개념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이 자녀의 학업 성취에 영향 을 미치고 있는 변인으로 보았다.

최근 들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 유형과 자아 존중 감과의 관계, 아동의 자아 개념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자아 존중감이 중학 생의 학업 성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각각 별 개의 연구로 이루어져 왔고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중 학생의 자아 존중감 및 학업 성적과의 관계를 동시에 같이 연구한 논문은 아직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중학 생의 자아 존중감 및 학업 성적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 소통이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을 높이고 학업 성적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아보는데 있다.

(15)

2. 연구 문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 였다.

(1)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은 어떤 관 계가 있는가?

(2)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은 어떤 관 계가 있는가?

(3)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4)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5)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16)

Ⅱ. 이론적 배경

1. 의사 소통

(1) 의사 소통의 개념

모든 사회의 기본적인 요소는 인간이며 인간의 사회화 과정에 있어서 필 수적인 것은 의사 소통이다. 또한 최초의 사회화 작용이 일어나는 곳은 가 정으로 의사 소통이 최초로 행해지는 곳이라 말할 수 있으며 이때 가장 가 까이에서 의사 소통하는 부모는 최초의 communicators 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화 과정에 있어 의사 소통에 관한 개념은 학자에 따라 다양하 게 정의되고 있다.

Cooly(1902)는 의사 소통을 통해 인간 관계가 성립되고 또 발달한다고 하였고, Paloucci(1966)는 의사 소통은 인간 관계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이 고 기본적인 것으로 가족원들 사이에 공유하고 있는 경험과 의미의 수준을 창조하는 정보 체계며 모방된 교환물이며 그것은 의사 결정과 결정 수행에 필수적인 것이라고 하였다(신수정, 1994).

Gail & M.T. Myers(1973)는 의사 소통은 개인의 인간성을 발전시키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자극과 반응, 수신자와 송신자, 메시지, 기호화 과정, 해독 과정, 피드백, 자각, 자기 표현 등으로 구성된 인간 관계 의 매개체이며 과거, 현재, 미래를 거쳐 계속되는 것이라 하였다. 또한 의

(17)

사 소통은 대인 관계에서 순환적인 과정을 통하여 지속되므로 상호간에 영 향을 주고 받으며 태도, 생각, 사상, 느낌 등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언어적, 비언어적 방법으로 전달된다고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다.

박연호(1980)는 의사 소통은 생각, 의견 또는 감정의 교환을 통해 공통적 이해를 이룩하고 수용자의 의식이나 태도 또는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게 하 는 일련의 행동으로 상호간의 공통적 이해가 중심이 된다고 하였다.

Deacon & Firebaugh(1981)는 의사 소통은 가정이나 공장 관리에 있어 필수적이며 효과적인 의사 소통은 효과적인 문제 해결과 의사 결정에 선행 하며 공헌한다고 말했다.

의사 소통이란 둘 이상의 사람들 사이에 생각, 의견 또는 감정의 교환을 통해 공통적 이해를 이룩하고 의식이나 태도,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게 하 는 일련의 행동으로써 상호간의 공통적 이해가 중심이 된다(민하영, 1991).

우리는 타인과의 교류에서 매 순간 언어적·비언어적인 의사 소통을 하 면서 살아간다. 그러나 의사 소통 과정 중에 상대방의 의도를 잘못 받아들 여 오해가 생기기도 하고 그러한 오해가 커져서 서로를 적대시하기도 한 다. 의사 소통의 기능은 내용의 전달과 두 사람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의 표현 기능으로 볼 수 있다.

즉 의사 소통은 사람들간에 감정, 태도, 사실, 믿음, 생각을 전달하는 과 정으로 상호 대화를 통해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서로를 이해하는 모든 수 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을 부모와 자녀 사이의 상호 작용에서 감정, 느낌, 생각, 태도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상호간

(18)

의 공통적 이해를 도모하는 상호 반향적 과정이라 정의할 수 있다. 자녀는 부모와의 의사 소통을 통해 상호간의 공통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 를 바탕으로 자신의 가치를 부모에게 표현하고, 자신의 의사를 왜곡됨이 없이 전달하므로 내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 나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의사 소통을 통한 부모와의 경험 공유를 통해 상호 관 계 확립 혹은 관계 확인에 자신감 및 안정감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러한 이유에서 자녀와 부모와의 의사 소통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리하여 Barnes & Olson(1982), Bienevenu(1970)등 많은 연구자들이 의사 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의사 소통의 다양한 측면들을 측정하기 위 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2) 부모-자녀 의사 소통의 중요성

인간은 의사 소통을 통하여 서로 공통된 의미를 조성하고 서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 생활을 영위해 나간다. 특히 가정에서의 의사 소통은 가족간의 감정을 정화시켜 주고 서로의 정보 교환과 이해를 가능케 하며 자녀의 사회화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Olson, Sprenkle 과 Russell(1979)은 의사 소통이 가족의 변화하는 욕구 와 감정을 공유하는데 유용한 기제라고 말한다. 긍정적인 의사 소통은 가 족의 응집성과 적응성을 촉진시키는 반면 부정적인 의사 소통은 가족의 응 집성과 적응적 수준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족 체계의 능력을 억제한다고 주장한다.

(19)

Barnes 와 Olson(1982)의 연구에 의하면 기능적인 가족에서는 가족원들 이 분명한 의사 소통 망을 성립하고 유지하는 방법을 발전시켜 나가며 상 호 의사 소통을 통하여 긍정적 피드백을 주고 받는다. 반면에 역기능적인 의사 소통을 하는 가족들은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나 긍정적인 반응을 하 지 않으며 새로운 상황에 적절히 행동할 수 있는 기술 및 능력이 부족하다 고 말한다.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이 청소년기 자녀의 역할 조망과 자아 정체감 형성, 도덕성 발달, 자녀의 인성이나 행동 발달 및 성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리고 자녀의 청소년기 시기에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에 대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 되어지기 때문에 청소년기 자녀와 부모와의 의사 소통이 특히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민하영, 1991).

청소년기 자녀를 둔 가정에서는 부모의 책임과 역할에 새로운 이해와 재 조정이 필요하다. 청소년 초기는 청소년들이 부모로부터 독립하고 자율성 을 획득하려는 욕구로 인해 부모와 갈등이 증가하고 세대 차이로 인해 부 모-자녀 관계가 소원해지기 쉬운 시기이므로 부모-자녀간의 상호 작용 방 식이 중요해진다. 즉 자녀가 부모에게 자유롭게 의사 표현을 하고 부모로 부터 감정 이입적이고 지지적인 반응을 받는 개방적 의사 소통은 청소년기 부모-자녀 관계의 발전과 청소년의 비행 행동을 예방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청소년기에 들어서면서 부모에 대한 자녀의 태도는 기존의 애착 및 의존 적 태도에서 벗어나 갈등 및 긴장 관계로 전환되어진다. 이는 청소년기 자

(20)

녀의 발달 과업과 연계된 자연스런 관계 변화로 이 시기가 되면 기존 관계 의 붕괴로 인해 상호 작용 패턴과 역할의 재조정 및 부모-자녀 관계의 새 로운 방향 모색이 요구되어진다. 이러한 요구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선 상호간의 의사 소통을 통한 공통적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권위적이고 훈계적인 의사 소통 양식에서 벗어나 자녀를 완전히 독립된 인 격체로 존중하면서 개방적이며 감정 이입적이고 지지적인 의사 소통을 하 려는 전환 노력이 뒷받침되어야할 것이다. 이러한 전환 노력을 통해서만이 부모-자녀간의 긴장이나 갈등 관계를 해소할 수 있고 부모-자녀간의 단결 과 애착을 도모할 수 있으며 청소년기 자녀의 성공적인 발달 과업 완수 및 바람직한 사회적 적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Gordon(1975)은 부모-자녀간에 효과적인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지 못하 고 갈등이 생기는 것은 대부분의 부모들이 장애적인 언어 표현을 많이 하 고 과거 답습적 자녀 양육 방법과 성인 중심적 인간관으로 자녀를 대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부모-자녀 상호간 의사 소통에 공통적인 이해 가 이루어지도록 하려면 부모가 자녀를 독립적인 인격체로 존중하면서 개 방적이고 지지적인 의사 소통을 하도록 노력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Kennedy(1971)는 청소년의 자율성과 책임감을 순조롭게 발달시키려면 부모가 자녀를 믿고 신뢰한다는 것을 표현하고 감정적 지지를 보내며 자녀 의 능력이나 독창성을 인정해주고 부모 스스로도 자기 태도에 확신을 가지 고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Foley(1974)는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이 기능적으로 되려면 부모가 개

(21)

방, 공감, 지지, 긍정, 동등성의 자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경청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부모들이 청소년기 자녀와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자주 가지고 공 감하면서 경청한다면 세대 차이에서 오는 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김 진희 1988), 나아가 사춘기 자녀들의 행동 특성을 바람직하게 통제하기 위 해서는 대화의 기술을 개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3) 부모-자녀 의사 소통 유형

의사 소통 유형의 개념은 전달된 메시지의 내용에 관한 것이라기보다는 메시지의 전달 방식이나 전달 과정에 관한 것이다. 즉 상호간의 밀접한 감 정 교류와 개인의 생각이나 관심 등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 작용의 전달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자녀는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급격한 신체적 성장 및 성적 성숙을 하게 되고 독립에의 강한 요구를 지니게 된다. 이때 부모의 통제와 자녀의 독립 욕구는 수시로 대립되어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부모- 자녀간의 의사 소통이 단절되며 불일치가 심화되는 것이다.

Gordon(1975)은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유형을 I-message와 You- message로 구분하였다. I-message는 자녀의 행동에 대해 부모 자신이 어 떻게 느끼는지를 전달함으로써 부모의 느낌과 입장을 알려주고 자녀로 하 여금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해주는 유형이며 You-message 는 명령, 경고, 설교 등으로 자녀를 비난하거나 평가하는 형태의 의사 소통

(22)

유형을 말한다.

Eric Berne은 대화의 교류 패턴을 상보적 교류, 교차적 교류, 이면적 교 류로 분류하였다. 상보적 교류는 기대한 대로 반응이 오는 것으로 상호 교 류가 잘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교차적 교류는 예상 이외의 반응이 되돌 아오는 경우처럼 기대에 맞지 않은 반응이 교차할 때 보여지는 교류다. 이 면적 교류란 표면적으로는 합리적인 교류를 행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 주된 의도가 숨겨져 있는 교류를 말한다. 따라서 건전한 인간 관계에서는 직접 적이고 솔직하고 개방적인 상보 교류가 이루어진다고 하였다(김양숙, 1995 에서 재인용).

Barnes 와 Olson(1982)은 부모와 청소년 자녀간의 의사 소통 유형을 순 환 모형에 기초하여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이 기능적인 수준이 되도록 도 와주는 개방형 의사 소통과 문제형 의사 소통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개방 형 의사 소통은 부모와 청소년 자녀간의 상호 작용에서 억압받지 않고 자 유롭게 감정을 표현하는 의사 소통을 말하며 문제형 의사 소통은 의사 소 통을 주저하고 주제 선택에 조심하며 의사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 는 폐쇄형 의사 소통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애정이 바탕이 되어 부모가 자녀에게 보 다 관심을 갖고 대할 때, 그리고 서로간의 의사 소통 및 대화가 왜곡이나 방해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자녀는 부모를 더욱 따르고 통합감을 느 끼게 됨을 볼 수 있으며, 나아가 이것이 청소년 비행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23)

Olim(1970)에 의하면 사회적, 교육적 결손으로 이어지는 행동은 아동의 초기에 형성되어지는바 주로 언어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았다. 특히 아동의 사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매개체는 어머니로서 대부분의 학습은 어머 니와 아동간의 상호 의사 소통 작용이라는 맥락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설명 하고 있다.

아동의 사고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서의 언어에 관하여는 여러 학 자들에 의하여 주장되어 왔다. Vygotsky(1962)는 사고 발달은 언어에 의해 결정되어지며 특히 아동의 지적 발달의 과정은 부모와 자녀간의 발화나 몸 짓을 통한 대화로부터 시작된다고 보았으며 부모의 역할에 따라 아동은 주 의를 기울어야 할 중요한 내용이 무엇이며 어떻게 정보를 전달하는지 등을 학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특별히 어머니의 언어는 아동의 정신적 과정 의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고 말한다.

Bernstein(1971)은 가족의 사회적 상호 작용의 관계를 지위 지향적 가족 과 인성 지향적 가족의 두 가지 유형의 가족 통제 방식에 의하여 설명하였 으며 가정에서 사용하는 통제와 양육 방침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결 정한다고 보았다. 지위 지향적 가족은 아동의 사회화가 역할 기대에 의해 통제되어지며 개인의 의도나 동기에 대한 언어적 탐색을 허용하거나 장려 하지 못하게 되며 부모와 자녀와의 상호 작용의 기회가 적다. 그러나 인성 지향적 가정의 역할 체계는 각 개인의 특성이 고려되고 의사 결정에 있어 서도 지위나 역할 기대보다는 각 개인의 자유로운 의사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두 가지 사회적 관계의 맥락에 의해 어법도 달라진다. 지위 지향

(24)

적 가족 체계에서는 제한적 어법이 주로 쓰이며 인성 지향적 가족 체계에 서는 정교한 어법이 주로 사용된다. 제한된 어법은 구문의 융통성이 없고 구문의 형식이 짧고 제한되어 있고 단순하며 정확한 의미의 개념화나 차별 화가 요구될 때 세부 사항을 정확히 설명할 수 없다. 그리고 화자의 의도 와 감정 표현이 정확하게 드러나 있지 않다.

반면 정교한 어법은 의사 소통이 개인화 된 어법으로 특별한 상황, 주제, 또는 대상에 따라 구체적으로 구별되고 정확하게 설명되는 어법을 의미한 다. 또한 문법과 어순이 정확하며 언어가 가지는 세밀하고 미묘한 의미까 지 분별하고 논리적인 관계가 강조되는 형식의 어법이다. 이 어법은 보다 광범위하면서 복합적인 사고의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인지적인 내용과 정 의적인 내용의 구분을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인성 지향적 언어 통제 유 형의 특징으로는 아동의 관점, 의도, 특성을 중요시하는 정교한 어법을 사 용하며 부모 및 성인과의 긴밀한 상호 의존적 관계를 형성하여 부모가 아 동들 개개의 성격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아동의 사회화를 도울 뿐 아니라 아동 역시 부모를 사회화시킬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Bernstein(1971)은 사회적 통제 방식을 명령적인 방식과 호소에 의한 방 식으로 구분하고 다시 후자를 지위 지향적 호소와 인성 지향적 호소로 나 누어 설명하고 있다. 각각의 사회적 통제 방식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가) 명령적 방식

아동의 역할을 규율에 기준을 두고 주로 일방적으로 반항, 포기, 또는 수 용을 요구하는 방식으로서 조용히 해, 내버려 둬, 가서 자 등과 같은 제한

(25)

적 어법이 주로 사용된다.

(나) 호소에 의한 방식

아동의 통제에 있어 언어적으로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통제하는 방 법으로서 이러한 통제는 의사 소통에 있어서 상호간의 관계를 허용하는 방 식이다. 이 방식은 다시 크게 지위 지향적 호소와 인성 지향적 호소로 나 누어진다.

1) 지위 지향적 호소

규제된 아동의 행동을 특별하거나 일반적인 지위의 기준 또는 규칙에 놓 고 판단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지금쯤은 네가 그것을 해 놓았어야지(나이에 따른 지위 규칙)

*남자는 우는 게 아니야(성에 따른 지위 규칙)

*아빠에게 그런 식으로 말하면 안돼(나이에 따른 관계 규칙) 2) 인성 지향적 호소

이 통제 방식은 공식적인 지위 역할에서가 아니라 아동 자신을 한 개인 으로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위 지향적 호소와 뚜렷이 구분된다. 따라 서 이러한 통제 방식에서는 한 개인 또는 개인과 개인의 상호 작용적인 사 회적 관계를 중요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에 의해 훈육을 받는 아동과 지위 지향적 방식에 의해 통제를 받는 아동의 행동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 을 것이라 본다.

다시 요약하면 가족의 형태가 지위 지향적 가족 형태와 인성 지향적 가 족 형태로 나누어지는바 지위 지향적 가족 형태에서는 사회적 지위에 따라

(26)

아동의 행동을 통제하며 체벌이나 위협 등을 통해 부모의 지시에 복종하도 록 강요한다. 결국 이러한 유형의 통제에서는 부모가 자녀의 개인으로서의 특성보다는 가족 또는 사회 규범이나 아동의 지위 규범을 강조하는 지위 지향적 언어 통제 유형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반면 인성 지향적 가족 형태는 아동이 처해 있는 사회적, 형식적 지위나 역할보다는 개인의 동기, 의도, 성향 등에 초점을 맞추므로 아동이 대인 관 계의 맥락 속에서 규칙을 배울 수 있도록 하고 아동 스스로 이러한 규칙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성 지향적 언어 통제 유형을 주로 사용한다. 즉 인성적 통제 유형은 자녀에게 규칙을 선택할 수 있는 상황과 그 상황에 대 한 새로운 선택에 필요한 설명을 제공해준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언어 통제 유형을 사용하는 부모의 자녀는 높은 자아 존중감을 갖게 될 것이다.

Bernstein(1971)의 이론에 비추어 볼 때 사회 경제적 지위 등 사회학적 특징들은 그것이 아동의 행동 발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보다는 사람 들의 생활 태도, 행동 유형 등에 영향을 주며 이것은 다시 아동에 대한 부 모의 양육 태도 및 행동 특히 육아시 어머니의 언어 통제 유형에 영향을 줌으로써 아동의 행동 특성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아동은 부모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자기 자신의 가족 역할 체계를 형성하고 그 가족 특유의 언어 양식을 학습하여 초기의 지적, 사회적 기초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아동은 인지적, 사회적 특성에 있어서 다양한 의사 소통 양상의 개인차를 보이게 된다.

(27)

2. 자아 존중감

자아 존중감은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자신에 대한 평가적· 감정적 태도 를 의미한다. 여기서 평가는 대상의 유용성과 도구적 가치에 근거를 둔 인 지적 반응인 반면, 감정은 평가의 크기나 방향과는 무관하게 개인의 실제 적 가치에 근거하여 자기 자신을 수용, 만족, 선호하는 반응이다(Wells &

Marwell, 1976). 여러 학자들의 자아 존중감에 대한 정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 James(1890)는 한 개인의 자아 존중감을 다음과 같은 공식으 로 나타낼 수 있다고 보았다(송인섭, 1998에서 재인용).

자아 존중감 〓 성공/욕구

자아 존중감은 성공과 욕구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즉 높은 자 아 존중감을 가진 사람은 성공 정도가 자신의 욕구에 비해 큰 경우이고, 낮은 자아 존중감을 가진 사람은 성공 정도가 자신의 욕구에 비해 작은 경 우라고 할 수 있다. Coopersmith(1967)는 자아 존중감에 관하여 개인이 자 기 자신에게 하는 평가를 말한다고 했다. 즉 자아 존중감이란 자기 자신을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것을 나타내며, 개인이 자기 자신을 능력 있고, 의의 있고 성공적이라고 믿는 정도를 말한다. 요컨데, 자아 존중감은 개인이 자 신에 대해 갖는 태도 속에 나타나는 자신에 대한 가치의 판단이다.

Brisset(1972)에 따르면 자아 존중감은 기본적인 심리적 과정, 즉 자아 평가의 과정과 자아 가치의 과정을 포함한다. 각각은 서로 보상적인 의미 를 가지며 자아 가치는 자아 평가보다 인간 존재에 있어 좀 더 기본적이

(28)

다. 자아 평가라는 의미에서 보면 자아 존중감은 한 사람 자신의 중요성에 관한 판단이라고 말 할 수 있다.

Rosenberg(1965)에 의하면 자아 존중감은 하나의 특별한 객체인 자아에 대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로 정의된다. 즉 자아 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아 존중감 수준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능력이나 힘, 좋은 자질에 주목하고 그것을 강조하는 반면, 자아 존중감 수준이 낮은 사람은 자신의 결함이나 약점, 좋지 못한 자질에 주목하고 그것을 강조한다(Baumeister & Tice, 1985).

Rogers(1951)는 자아 존중감이란 정서적 행동적 요소를 가진 자기 태도 라고 하였고, 김희화 와 김경연(1996)은 자아 존중감을 자신이 지각한 자신 의 여러 가지 속성에 대한 감정적 태도라고 정의하였다.

Coopersmith(1967)는 자아 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자기 스스로를 가치있 고 중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그리고 적어도 자기 나이 또래와 자기 정 도의 교육 수준에 있는 다른 사람보다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가 하 는 행동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다. 새로운 과업을 즐기며 자신이 하는 모든 일은 일반적으로 높은 질의 것이며 자기가 하는 것은 가치 있고 장래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반면에 부정적 자아 존중감을 가 진 사람의 특징은 자기 스스로를 중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자 기의 생각과 능력에 확신이 없으며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과업이 자신의 것보다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사건을 좋아하지 않으며 기존의 것과 안전한 배경에 집착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보았다. 또한 그는 자아 존중감

(29)

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요인으로 두 가지 요인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첫째는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개인이 받는 존중과 수용 및 관 심의 정도이며, 둘째는 개인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경험으로서, 여기에는 개인이 성취하여온 객관적인 지위와 사회적 위치가 포함된다고 하였다. 여 기에서 중요한 타인은 어릴 때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낸 사람을 말하며 주 로, 부모들이 자녀들의 자아 존중감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Mead(1934)는 자아 존중감을 형성하는 과정은 주위 사람들, 부모, 교사, 동료와 같은 중요한 타인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달되며 중요한 타인이 자신을 중요하고 가치 있게 평가하는 것을 지각할 때 자아 존중감은 높아 지며 열등하게 평가 할 때 자아 존중감은 낮아진다고 하였다.

정은영(1997)은 주변의 의미 있는 존재들이 보여주는 긍정적인 관심과 신뢰를 받는 개인은 자신의 능력이나 가치감에 대한 긍정적인 상을 형성하 게 되며 좋은 자아 존중감을 가지게 된다고 한다. 이외에도 학교 생활 만 족도나 학업 성적도 자아 존중감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김희화, 1998).

본 연구에서는 Coopersmith(1967)의 자아 존중감의 정의에 기초하여 중 학생의 자아 존중감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자한다. Coopersmith(1967)의 정 의를 살펴보면 자아 존중감이란 각 개인이 자신에 대해 내리는 평가를 의 미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신을 인정하거나 부인하는 태도를 나타내주 며 또한 자신을 유능하고, 중요하며, 성공적이고 가치 있다고 믿는 정도를 나타내 준다. 다시 요약하면 자아 존중감이란 자신이 얼마만큼 가치 있는 지에 대하여 내리는 개인적인 판단이라고 볼 수 있다.

(30)

또한 Coopersmith(1967)는 자아 존중감을 정의하는데 있어 몇 가지 특징 을 부연해서 설명하고 있다. 첫째, 자아 존중감은 그 평가에 있어서 세부적 이거나 일시적 변화이기보다는 비교적 지속적인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자아 존중감은 다양한 경험이나 성, 연령, 그 외 다른 역할 규정 조 건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학교, 가족, 친구들, 자기 자신, 일반 사회적 활동들과 같은 다양한 환경을 포함한다. 그는 청년기 전 아동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가족의 경험이나 환경이 자아 존중감 발달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보고 있으며 특별히 부모의 영향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자아 평가라는 용어는 자신의 행동, 능력, 또한 속성 등을 자신의 기 준이나 가치 척도에 따라서 심사하는 판단 과정이며 따라서 다른 태도, 경 향 또는 성향과 마찬가지로 의식적일 수도 있고 무의식적일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3. 학업 성적

학업 성적이란 일정 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학교 학습의 결과로서 나타난 교육 목표의 달성도를 의미한다. 학습의 성과가 누적된 단순한 결과가 아 니라 이러한 결과를 가져오는 과정으로 본다면 인지적 측면 외에 많은 요 인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정범모(1979)는 학업 성적의 요인을 교육 풍토, 문화, 가정 환경, 학급의 사회적 환경 등의 환경 요인과 선행 학습 및 일반 능력, 정의적 특성, 학습

(31)

방법 등 학습자 요인, 그리고 수업 체제, 평가 체제, 학습 진단 구성, 교사 행동 등의 수업 요인 등 세 가지 큰 요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고 하였 다. 또한 학습자 특성과 학습 과제의 성질을 최대한 고려한 적절한 수업 내지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최대의 학업 성취도를 보이게 될 것이나, 그렇 지 않고 학습자의 특성만을 고려하고 학습 과제의 성질을 고려하지 않거나 거꾸로 학습 과제의 변인을 문제삼지 않는다면 학업 성취도는 낮게 될 것 이라고 하였다.

김순택(1982)은 학교 학습에 관련된 가장 좋은 요인을 학습자, 학습 과 제, 수업으로 구분하였다. 다시 말하면 학습자가 보이는 학업 성취도는 학 습자가 가진 특성, 학습 과제의 종류와 성질 그리고 교사가 벌이는 수업 방식간에 일어나는 상호 작용이라 할 수 있다.

신세호(1983)는 학업 성취란 학교가 설계, 제공하는 교수-학습 과정을 통해 얻어진 교육 목표의 달성도를 의미한다고 했다.

Woodruff(1951)는 학습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능력, 동기, 성취도, 준비성 등을 1차 요인으로 보았고 개인적, 사회적 적응, 기성 습관이나 편 견, 건강과 에너지 등을 2차 요인으로, 그리고 교사와 학교 생활, 양친과 가정 환경, 학교 설비와 환경, 지역 사회 환경 등을 기타 요인으로 보았다 (양윤정, 1997에서 재인용).

학생이 수년에 걸쳐 대부분의 학습 과제에서 자기가 적합하다는 평가를 외부에서도 받고 자기 자신도 그렇게 판단하면 그는 결국 일반적인 긍정적 인 자아 개념을 발달시킬 것이다. 이에 반해 대부분의 학습 과제에서 실패

(32)

하고 계속해서 부적합의 판정을 자기 자신이나 외부에서 받으면 그는 결국 부정적 자아 개념을 발달시킬 것이다.

교사는 학생들의 학력을 높이기 위한 계획, 실천, 반성, 피이드 백을 통 해 점진적으로 학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가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학생들 의 개인차에 의해 성취되는 학업 성적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처럼 학업 성취에 미치는 요인은 개인의 능력에 의해서만 결정되기보 다는 개인에게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에 의해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4. 관련 선행 연구 고찰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은 가족 기능 수행에 있어 빠뜨릴 수 없는 요인 이며 청소년기 자녀의 역할 조망과 자아 정체감 형성, 도덕성 발달 등 자 녀의 인성이나 행동 발달 및 성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아 존중감을 고양시키는 요인들을 취급한 국내외 연구들을 보면 대체 로 부모의 애정적, 자율적 태도가 아동의 높은 자아 존중감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김경연, 1987; 장도현, 1984; 이미정, 1986).

Rosenberg(1965)는 사회 계층, 부모의 관심, 종교, 출생 순위와 자아 존 중감과의 관계를 연구했는데 이중 부모의 관심이 자녀의 자아 존중감과 상 당히 관계가 있으며 또한 출생 순위에서 독자가 특히 자아 존중감이 높다 고 보고하고 있다. Sears(1970)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에게 자신이 고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부모의 애정적 태도와 자아 존중감과의 높은 상관 관계를

(33)

보고하면서 부모가 따뜻하고 수용적이었을 때 남아와 여아 모두 높은 자아 존중감을 가진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아동의 자아 존중감과 관련된 연구들은 어머니의 양육 태 도, 성별 그리고 사회 계층이나 교육 수준과의 관계를 보는 것이었다. 즉 어머니가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적대, 통제적인 태도보다는 애정적, 자율 적 태도를 지닐수록 아동은 더 높은 자아 존중감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김춘례(1992)는 학교 자아 존중감, 사회 자아 존중감, 개인 자아 존중감 수준에 따라 학업 성적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다. 김희화 와 김경 연(1998)은 학업 성적은 학업적 자아, 전반적 자아, 교사 관련 자아, 가정적 자아, 친구 관련 자아, 신체 외모 자아와 정적 상관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김명자(1978)는 여학생의 자아 개념과 가정 환경에 관한 연구에서 가정 의 물리적 환경이 좋은 학생이 자아 개념 점수도 높다고 밝혔다. 운현선 (1983)은 사회 경제적 지위와 어머니의 자아 개념과의 관계에서 사회 경제 적 지위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자아 존중감이 높아지며 자녀도 자아 존중감 이 높고 적극적인 행동을 한다고 밝혔다.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은 가족 기능 수행에 중요한 요인으로 지금까지 국내의 연구에서 자아 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김경원, 1998), 자아 존중감 에 미치는 영향(차경숙, 1997), 자아 정체감 형성(권미경, 1992), 학업 성취 (민영한, 1998), 내외 통제성(김양숙, 1995), 문제 행동(김경화, 1989), 비행 청소년(박금남, 2000)에 관한 연구들이 부모와의 의사 소통이 결정적인 영

(34)

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석현양(1983)의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자녀들의 성장 과정에서 자아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중 부모-자녀간의 의사 전달 형태를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는 부모-자녀간의 자유스런 토론적 의사 전달 형태가 자 녀의 자아 개념 형성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Coopersmith(1967)는 수용적이고 애정적이고, 지속적인 관심을 지닌 부 모 사이에서 자란 자녀들이 계속적으로 엄격한 규율을 강조하는 부모 사이 에서 자란 자녀들 보다 좀 더 높은 자아 존중감을 지녔다고 하였다.

손화희(1989)는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아동의 자아 존중감 형성과의 관 계 연구에서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애정적이고 수용적일수록 아동의 자아 존중감은 높아진다고 보고하였다. 즉 부모의 애정적, 수용적인 양육 태도와 민주적인 의사 소통 방식으로 관심을 가지고 자녀를 대하는 가정에서 자라 는 아동은 정서적으로 안정되며 높은 자아 존중감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 다.

Alexander(1973)는 비행 청소년의 가족이 명확하고 의미 있는 의사 소통 을 위한 서로의 강화 능력이 부족하며 가족간 대화는 어느 한 사람에 의해 일방적으로 주도되고 대화 주제가 일치하지 않으며 지지적인 의사 소통보 다 방어적인 의사 소통을 많이 한다고 지적하면서 청소년 비행은 가족 구 성원의 혼동된 의사 소통의 부산물이라고 하였다. 이렇게 볼 때 청소년 비 행이란 부모의 효율성 있는 의사 소통 기술의 부족 혹은 부적절한 사용으 로 특징지어지는 부정적이고 역기능적인 의사 소통 유형과 관련이 있음을

(35)

알 수 있다.

최근 국내 연구들을 살펴보면 최선자(1989)는 자아 존중감이 실제 학업 성적과 기대 학업 성적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아 존중감 상위 학생은 자아 존중감 하위 학생에 비해 학업 성적이 더 우수하다고 했다. 최재복(1990), 공태수(1998)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아 존중감이 높은 아 동이 학업 성적도 높음을 밝혀주고 있다. 송경자(1997)는 초등학생과 중학 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학업 성취가 높은 상위 집단의 자아 개념이 학 업 성취가 낮은 하위 집단의 자아 개념보다 높으며 학업 성취에 따라 학교 생활 태도에 차이가 있음을 밝혀주고 있다. 민영환(1998)은 아동의 자아 개 념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양육 태도의 차원은 아동 들이 수용-거부 차원에서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고 한다. 따라서 부모가 수용적 태도로 아동과 관계성을 맺는 것이 아동의 적응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양윤정(1997)은 학업 성취도가 높은 집단은 학업 성취도가 낮은 집단보다 부모의 양육 태도를 더 애정적으로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기는 하였지만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 는 아니었고 학업 성취도가 낮은 집단이 학업 성취도가 높은 집단보다 부 모의 양육 태도를 거부적, 통제적으로 지각할 것으로 예상하였지만 전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자녀의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환 경 변인으로 부모의 양육 태도 외에 다른 많은 요인이 있음을 말해준다.

왕형숙(1999)은 총체적 자아 존중감과 학교 자아 존중감 수준간에 국어, 영 어, 수학, 사회 과목 모두에서 학업 성적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했다. 그

(36)

는 예체능 교과를 포함한 전 교과를 대상으로 연구한다면 더욱 유용한 결 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인간은 자신에 대 하여 갖는 자아 존중감에 맞게 행동하려고 하는 기본적인 동기와 자아 존 중감에 맞도록 자기를 신장하려는 동기가 있기 때문에 학업 성적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선행 연구들을 고찰한 바에 의하면 높은 학업 성취아는 낮은 학 업 성취아보다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계속 적인 학업 성공은 자아 존중감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것이 밝혀졌 다. 이러한 아동의 자아 존중감 형성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변인으로 부 모의 양육 태도에 관한 연구 결과에서 간접적으로 추론해 본 언어 통제 유 형과 의사 소통 방식을 선정하여 이들에 관한 경험적 자료를 통해서 연구 문제들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37)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학중인 1 학년 15개 반 학생 45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녀간의 성별 차이 는 두지 않고 처리했다.

2. 검사 도구

(1)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척도 검사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척도 검사 도구로는 1982년 Barnes 와 Olson 이 개발한 PACI(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를 국내에서 김윤희(1989)가 번안한 것을 질문지로 인용하여 사용하였다. 이 도구의 내 용은 2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 하위 요인인 개방형 의사 소통 유형은 부모-자녀간의 긍정적이고 개방적인 상호 작용을 측정 하기 위한 것이고, 두 번째 하위 요인인 폐쇄형 의사 소통 유형은 세대간 의사 소통에 어느 정도의 어려움과 장애가 있는가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의사 소통에서의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자녀와의 의사 소통에 대한 자신의 지각을 보고하고 자녀는 아버지 및 어

(38)

머니와의 상호 관계 및 의사 소통에 관한 각각의 지각을 보고하는 부모용, 청소년용 두 가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20개의 항목은 개방형 10항목(1, 3, 5, 7, 9, 11, 13, 15, 17, 19)와 폐쇄형 10항목(2, 4, 6, 8, 10, 12, 14, 16, 18, 20)으로 구성되어 있고 5점 척도로서 각각 10-50점의 범위로 나타나며, 총점은 폐쇄형을 역산하여 20-100점 범 위로 나타난다. 개방형은 점수가 높을수록 의사 소통이 원할 함을 의미하 며 폐쇄형은 점수가 낮을수록 의사 소통의 문제가 적음을 의미한다. 전체 점수는 폐쇄형의 점수를 역산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의사 소통이 원할 함을 의미한다.

(2) 자아 존중감 척도 검사

자아 존중감 측정 도구로는 Coopersmith(1967)의 아동용 자아 존중감 측 정 도구를 차경숙(1997)이 번안하여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아 존중감 측정 도구는 일반적 자아 영역, 가정 생활에 관한 자아 영 역, 학교 생활에 관한 자아 영역, 동료 관계에 관한 자아 영역의 4개의 하 위 척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4개의 하위 척도를 나누지 않고 전체 점수를 아동의 자아 존중감 점수로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총 58개 문 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비 검사에서 5점 척도로 하였을 때 무성의한 반 응(보통이다)이 많았으므로 이러한 결점을 보충하기 위하여 리커트 식 4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채점 시 긍정적인 문항의 경우 나와 매우 비슷하다에 ∨ 했으면 4점,

(39)

나와 비슷하다에는 3점, 나와 비슷하지 않다에는 2점, 나와 전혀 비슷하지 않다에는 1점을 주었다. 부정적인 문항의 경우에는 긍정적인 문항과 반대 방향으로 점수를 주어 채점하였으며 점수는 58점에서 232점까지 분포하며 총점이 높을수록 높은 자아 존중감을 나타낸다. 긍정적, 부정적 문항에 따 른 문항 번호는 다음과 같다.

표 1 자아 존중감 문항 분석표

문항 구성 문항수 문항 번호

긍정적 문항 28

1, 2, 4 ,5, 6, 10, 11, 13, 14, 18, 19, 20, 21, 23, 24, 25, 27, 28, 29, 32, 34, 36, 41, 45, 47, 48, 55, 57

부정적 문항 30

3, 7, 8, 9, 12 ,15 ,16 ,17, 22, 26, 30, 31, 33, 35, 37, 38, 39, 40, 42, 43, 44, 46, 49, 50, 51, 52, 53, 54, 56, 58

(3) 학업 성적

본 연구에서의 학업 성적은 교사 제작의 지필, 수행, 실기 평가로 이루 어진 2001학년도 제1학기 말 고사 12개 전 교과목(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영어, 한문, 컴퓨터)의 학업 성적을 뜻 한다. 이것은 개인의 성취 정도를 가장 잘 알 수 있는 개별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40)

같은 학교의 동 학년을 표집한 이유는 학업 성적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함이다.

3. 측정 도구의 신뢰성 분석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아 존중감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oopersmith (1967) 자신이 30명의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5주 간격을 두고 측정한 검 사-재검사 신뢰도가 .88이었으며 5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3년 간격을 두고 측정한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90이었다.

청소년용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다.

Barnes 와 Olson(1982)이 1841 가족을 대상으로 한 신뢰도 검사에서는 개 방형의 경우 Cronbach alpha 값이 .87, 폐쇄형은 .78, 총 척도에서는 .88이 었다. 277가족을 대상으로 한 김윤희(1989)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alpha 값이 개방형은 .82, 폐쇄형은 .72, 총 척도는 .86을 얻었다. 따라서 기 존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본 연구의 질문지 역시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1)

표 2 청소년용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척도 신뢰도 Cronbach's alpha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 전체 개방형 .88(10) .84(10) .89(20) 폐쇄형 .75(10) .72(10) .84(20) 전체 .88(20) .87(20) .92(40)

4. 자료분석

본 연구를 위하여 표집 대상자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자료 검색 과정 및 검사법 요강의 채점 결과에 따라 채점한 후 그 결과를 spss통계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중학 생의 자아 존중감 및 학업 성적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단순 상 관 계수를 산출, 적용하였다.

(42)

Ⅳ. 결과 및 해석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 및 학업 성적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검증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의 특성

연구 대상의 자아 존중감과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학업 성적의 평균과 표준 편차는 표 3 과 같다.

표 3 연구 대상의 자아 존중감과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 학업 성적의 평균과 표준 편차

N M SD

자아 존중감 459 152.47 19.21

의사 소통(부) 459 66.59 14.89

의사 소통(모) 459 69.53 14.01

학업 성적 459 70.55 13.29

표 3의 결과를 보면 의사 소통에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의 평균은

(43)

66.59이고,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의 평균은 69.53이므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이 조금 더 원활함을 알 수 있다.

2.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가.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표 4 와 같다.

표 4 자아 존중감과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의 상관 관계

변 수 자아 존중감 의사 소통(부) 자아 존중감 1.000

의사 소통(부) .540** 1.000

** P<.01

표 4 에서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간에는 r= .540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도 유의 수준 (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나.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44)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표 5 와 같다.

표 5 자아 존중감과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의 상관 관계

변 수 자아 존중감 의사 소통(모) 자아 존중감 1.000

의사 소통(모) .616** 1.000

** P<.01

표 5 에서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간에는 r= .616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도 유의 수준 (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의 표 4 와 표 5 에서 자아 존중감 과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와의 관계가

r= .616(P<.01)로서 아버지와의 관계 r= .540(P<.01)보다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과의 관계

가.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과의 관계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과의 관계를 비교 분

(45)

석한 결과는 표 6 과 같다.

표 6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과의 상관 관계

변 수 의사 소통(부) 학업 성적 의사 소통(부) 1.000

학업 성적 .315** 1.000

** P<.01

표 6 에서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간에는 r= .315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도 유의 수준 (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나.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과의 관계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과의 관계를 비교 분 석한 결과는 표 7 과 같다.

표 7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과의 상관 관계

변 수 의사 소통(모) 학업 성적 의사 소통(모) 1.000

학업 성적 .433** 1.000

** P<.01

(46)

표 7 에서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간에는 r= .433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도 유의 수준 (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의 표 6 과 표 7 에서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과의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와의 관계가 r= .433(P<.01)로서 아버지와의 관계

r= .315(P<.01)보다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과의 관계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표 8 과 같다.

표 8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과의 상관 관계

변 수 자아 존중감 학업 성적

자아 존중감 1.000

학업 성적 .408** 1.000

** P<.01

표 8 에서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간에는 r= .408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도 유의 수준(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

(47)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 및 학업 성적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을 높이고 학업 성적을 높이기 위한 바람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의 중요성을 인식 시키는데 있다. 본 장에서는 연구 문제의 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 고자 한다.

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 소통에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의 평균이 66.59이고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의 평균이 69.53이므로 아버지보다 어머니와 개방적 의사 소통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부모 중에 특별 히 자녀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머니가 자녀에게 어떠한 대화 형식을 취 하는 가에 따라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나.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를 보면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과의 상관 관계는 r= .540 (p<.01)이며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과의 상관 관계는

(48)

r= .616(p<.01)이다. 이는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가 아버지와의 관계 보다 높은 정적 상관을 보여주고 있다. 즉 자녀에게 있어서 중요한 타인인 어머니로부터 자신의 의도나 동기 등을 강조하는 언 어 표현을 들을 때 자녀는 자신의 행동의 결과를 스스로 올바르게 인지하 고 만족스러운 평가를 내릴 수 있게 된다고 볼 수 있다. 부모와의 의사 소 통과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나 중학생이 부모와의 의사 소통을 개방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자아 존중감은 높게 나타나고 폐쇄적으로 지각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 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에 따른 자아 존중감은 부모와의 의사 소통이 개방적일 때 높았다는 김경원(1998)의 연구와 일치한다.

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간의 관계를 보면 아버지와는 r= .315(p<.01) , 어머니와는 r= .433(p<.01)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부모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과는 상대적으로 낮 은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아버지보다 어머니와 상관 관계 가 높음을 통해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어머니가 자녀들 에게 미치는 영향이 높음을 나타내고 있다.

라.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과의 관계는 r= .408(p<.01)로서 상관 관계 가 있음을 나타내며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아 존중감이 실제 학업 성적과 기대 학업 성적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아 존중감 상위 학생은 자아 존중감

(49)

하위 학생에 비해 학업 성적이 더 우수하다고 한 최선자(1989)의 연구 결 과와 일치하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아 존중감이 높은 아동이 학업 성적 도 높다고 한 최재복(1990), 김춘례(1992), 공태수(1998)의 연구 결과도 일 치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인간은 자신에 대하여 갖는 자아 존중감에 맞게 행동하려고 하는 기본적인 동기와 자아 존중감에 맞도록 자기를 신장하려 는 동기가 있기 때문에 (Combs, 1964) 학업 성적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 던 것으로 해석된다.

2. 결론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간에는 상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간에는 상관 관 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간에는 상관 관계가 있음을 나 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 부모와의 의사 소통이 개방적이면 자아 존중감이 높고, 폐쇄적이면 자아 존중감이 낮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부모와의 의사 소통이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특히 부모 중 에 자녀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이 더욱 자녀에게 영

(50)

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아 존중감이 높은 학생이 학업 성적 도 높음을 통해서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해도 지나침 이 없음을 보인다.

본 연구를 토대로 추후의 연구를 위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이 서울시에 있는 중학교 1개교 한 학년을 대상으 로 하였기에 조사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무리가 있으며 다른 지역의 중학교 에 확대해서 연구할 경우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게 될지는 후속 연구에서 좀 더 밝혀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이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에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부모와의 의사 소통 이 개방적으로 될 수 있도록 부모와 자녀 사이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51)

참고문헌

강소영(1999). 중학생의 사회성 측정지위에 따른 대인 관계성향 및 자아 존중감의 차이.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공태수(1998).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에 따른 창의성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한국 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미경(1992).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에 관 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연(1987). 부모의 아동평가,자아 존중감,양육 태도와 아동의 자아존 중감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경원(1998).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김경화(1989). 부모-자녀 간의 의사 소통과 청소년의 문제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명자(1978). 여학생의 자아 개념과 가정 환경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 회지16-4.

김순택(1982). 교육심리학. 서울:중앙적성연구소.

김양숙(1995).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및 내외통제성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김윤희(1989). 부부관계 부모-자녀 의사 소통 가족 기능과 청소년 자 녀 비행과의 관계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진희(1988). 부모 청소년간 의사 소통과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춘례(1992). 자아 존중감에 따른 통제소재와 학업 성취의 관계. 숙명 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희화(1998).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발달: 환경변인 및 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희화·김경연(1996). 한국 아동의 자아 존중감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 학회지.

김희화·김경연(1998). 개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이 청소년의 자아존 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민영환(1998). 부모의 양육 태도, 아동의 자아 개념 및 학업 성취에 관 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민하영(1991). 청소년 비행정도와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금남(2000).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에 대한 지각 차이 연구. 서울대학 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연호(1980). 인간 관계론. 박영사

석현양(1983). 가정의 의사전달 형태가 청소년의 자아 개념에 미치는 영 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손화희(1989). 어머니의 자아 존중감 및 양육 태도가 학동기 자녀의 자 아 존중감 과의 관계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송경자(1997). 학업 성취가 학생의 자아 개념 및 학교생활 태도에 미치 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인섭(1998). 인간의 자아 개념 탐구. 서울: 학지사.

신세호·임선하(1983). 창의적 수업모형. 서울: 한국교육 개발원.

신수정(1994).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이 아동의 자아 개념에 미치는 영향(전사춘기 자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윤정(1997).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 태도와 내외통 제성에 관한 연구. 한국 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형숙(1999). 자아 존중감이 중학생의 학업 성적에 미치는 효과. 경상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운현선(1983). 모의자아 개념 및 양육 태도와 학동기 자녀의 자아 개념 간의 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미정(1986). 아버지의 자아 존중감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아 존중감 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장도현(1984). 부모의 양육행동이 자녀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범모·이성진(1979). 학업 성취의 요인. 서울: 교육출판사.

정은영(1997). 인지적 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직장여성의 자기존중감에 미 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치

표 2 청소년용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척도 신뢰도 Cronbach's alpha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 전체 개방형 .88(10) .84(10) .89(20) 폐쇄형 .75(10) .72(10) .84(20) 전체 .88(20) .87(20) .92(40) 4
표 7 에서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간에는 r= .433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도 유의 수준 (P&lt;.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참조

관련 문서

Fifth, this survey shows us that higher perception of the marital conflict lowers children‘s social ability and their competence and leadership abilities.. Furthermore, they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variables that may improve children's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hildren's character according to Murphy-Meisgeier Type Indicator

In other words the mother's scholarship who have a lot of conversation time with child in home also influences the father's open communication type and

청소년기,특히 고등학교 시기는 자아 실현의 준비 단계이며,직업관이 형성되어 가는 시기로 자신의 미래에 대한 계획을 수립해 나가는 시기이다.또한 학생들에게

다만 수학 과학 문제 풀이 에 대한 자아 효능감은 실생활 문제 해결이 아닌 기존 평가 방식 내 문제 풀이를 지칭 하였기에 모둠별 프로젝트를 통해 빠른 문제 풀이에

본 연구는 무용학원 및 스포츠클럽의 무용수업에 참여하는 여학생들을 대상 으로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 행동이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 보고

15)오경란,&lt;국악놀이를 통한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연구(의왕시 저소득층 아동을 중심으로&gt;,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2006),p.16... 아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