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정 환경은 기본적인 사회 단위이고, 개인이 처음으로 경험을 습득하는 곳으로서 그 중에서 부모의 양육 태도는 자녀의 인성과 지적 발달에 중요 한 영향력을 미친다. 부모의 자녀 양육 태도는 비언어적 요소이지만 부모 가 가지는 태도는 언어로 표출되어지므로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 어떠한 의사 소통을 하는가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언어는 그의 생각을 움직이며 그의 생각은 그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졌다. 누구든지 말을 들으면 마음이 움직이 지 않는 사람은 없다. 칭찬이나 비판을 받으면 즉각 마음은 그 말대로 움 직인다. 부모는 말로 자녀를 변화시킬 수 있다. 부모와 자녀 사이의 벽을 허물 수 있는 유일한 무기는 자녀의 마음을 알아주는 진심 어린 말이다.

그러나 부모들은 자신도 모르게 자녀와 전혀 통하지 않는 벽을 쌓는 말을 하고 있다. 부모-자녀간의 바람직한 의사 소통이 Pygmalion 효과나 자기 충족적 예언과 같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보며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은 바람직한 부모와의 의사 소통에서 영향을 준다고 본다.

또한 청소년기는 자기 자신을 얼마나 가치 있고 높이 평가하느냐의 자아 존중감 개념이 중요한 시기이다. 그 개념은 사회적 행동과 역할을 결정하 는 중심 특성이며 개인의 성격 발달과 환경 적응 및 긍정적 자아 실현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자아 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평가적 태도나 가치 판단 또는 각 개개인이 자신에게 부여하는 가치로 정의되며 개인의 적응 및 건강한 성격 발달과 자아 실현에 중요한 요소로서 인간의 행동, 감정, 동기, 성취 및 인간 관계 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영향을 미친다.

자신을 한 인간으로서 존중한다는 것은 자기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가 치로운 인간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높은 자아 존중감을 가질수록 사회에 잘 적응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이와 같이 한 개인의 사회 적 행동의 역할을 결정하는 중심 특성인 자아 존중감은 사회적 환경내의 주요 인물들의 반영적 평가에 의해 생성된다.

한 개인이 사회와 밀접한 상호 의존적 관계임을 볼 때 가정에서의 경험 은 인격 형성과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이때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 치는 것은 부모의 역할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신체적 변화와 함께 정서적 불안정감, 감정의 동요, 반항심, 때로는 죄악감, 부정감, 수치감 등이 따라 일어나게 되어 있어서 매우 혼란스런 시기로 정체감 위기를 맞게 된다. 또한 현대 사회의 가족 형태가 핵가족화 되면서 가족 기능의 저하와 개인주의적 사고의 확산이 청 소년들의 삶을 크게 위협하고 있으며 그들의 정신적 혼란과 불안을 가중시 키고 있다. 이 때 부모의 통제와 자녀의 독립 욕구는 수시로 대립되어 심 각한 문제를 유발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이 단절 되며 불일치가 심화되는 것이다. Bernstein(1971)은 부모와 자녀가 제한적

인 의사 소통을 하게 되면 자녀는 비구두적인 의사 표시와 비형식적인 화 법을 배우게 되어 일상 생활이나 학교에서 성공적인 경험을 하기 어렵게 되고 따라서 학업에 실패하고 행동 장애도 유발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처 럼 한 개인의 성격과 행동 양식의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모 는 청소년 자녀의 조력자 또는 사랑의 대상자로서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 해야 하며 부모-자녀의 관계는 가장 기본적이고 친밀하며 지속적인 상호 작용을 하는 인간 관계로 어떤 사회적 관계보다 인간의 행동 양식을 학습 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이러한 부모-자녀 관계의 상호 작용은 의사 소통을 통해서 직접적인 영 향을 주고 받으며 그 속에 내포된 의미와 행동 양식을 내면화하여 발달시 켜 나가기 때문에 부모의 대화하는 방식이나 태도, 내용 등은 중요한 의미 를 갖는다. 또한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으로써 자녀가 자기 행동에 대한 반응을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실제의 자아와 기대하는 자아 사이의 부조화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매개체가 된다.

또한 오늘날 우리 나라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청소년기의 대부분을 학교 라는 집단 내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이 집단 내에서의 성취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를 학업 성취라고 부르고 있다. 신세호(1983)는 학업 성취란 학교가 설계 제공하는 교수 학습 과정을 통해 얻어진 교육 목표의 달성도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는 환경 변인을 비롯하여 학습자 변인, 수업 변인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들 각 변인들은 서로 연관성을 가지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학업 성취

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환경 변인 가운데서도 가정의 심리적 환경의 하위 개념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이 자녀의 학업 성취에 영향 을 미치고 있는 변인으로 보았다.

최근 들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 유형과 자아 존중 감과의 관계, 아동의 자아 개념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자아 존중감이 중학 생의 학업 성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각각 별 개의 연구로 이루어져 왔고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중 학생의 자아 존중감 및 학업 성적과의 관계를 동시에 같이 연구한 논문은 아직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중학 생의 자아 존중감 및 학업 성적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 소통이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을 높이고 학업 성적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아보는데 있다.

2. 연구 문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 였다.

(1)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은 어떤 관 계가 있는가?

(2)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은 어떤 관 계가 있는가?

(3)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4)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5)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