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Ⅴ. 논의 및 결론

2. 결론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 소통과 자아 존중감간에는 상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 소통과 학업 성적간에는 상관 관 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간에는 상관 관계가 있음을 나 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 부모와의 의사 소통이 개방적이면 자아 존중감이 높고, 폐쇄적이면 자아 존중감이 낮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부모와의 의사 소통이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특히 부모 중 에 자녀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이 더욱 자녀에게 영

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아 존중감이 높은 학생이 학업 성적 도 높음을 통해서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해도 지나침 이 없음을 보인다.

본 연구를 토대로 추후의 연구를 위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이 서울시에 있는 중학교 1개교 한 학년을 대상으 로 하였기에 조사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무리가 있으며 다른 지역의 중학교 에 확대해서 연구할 경우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게 될지는 후속 연구에서 좀 더 밝혀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이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적에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부모와의 의사 소통 이 개방적으로 될 수 있도록 부모와 자녀 사이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강소영(1999). 중학생의 사회성 측정지위에 따른 대인 관계성향 및 자아 존중감의 차이.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공태수(1998).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에 따른 창의성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한국 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미경(1992).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에 관 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연(1987). 부모의 아동평가,자아 존중감,양육 태도와 아동의 자아존 중감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경원(1998).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김경화(1989). 부모-자녀 간의 의사 소통과 청소년의 문제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명자(1978). 여학생의 자아 개념과 가정 환경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 회지16-4.

김순택(1982). 교육심리학. 서울:중앙적성연구소.

김양숙(1995).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및 내외통제성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윤희(1989). 부부관계 부모-자녀 의사 소통 가족 기능과 청소년 자 녀 비행과의 관계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진희(1988). 부모 청소년간 의사 소통과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춘례(1992). 자아 존중감에 따른 통제소재와 학업 성취의 관계. 숙명 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희화(1998).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발달: 환경변인 및 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희화·김경연(1996). 한국 아동의 자아 존중감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 학회지.

김희화·김경연(1998). 개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이 청소년의 자아존 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민영환(1998). 부모의 양육 태도, 아동의 자아 개념 및 학업 성취에 관 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민하영(1991). 청소년 비행정도와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금남(2000).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에 대한 지각 차이 연구. 서울대학 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연호(1980). 인간 관계론. 박영사

석현양(1983). 가정의 의사전달 형태가 청소년의 자아 개념에 미치는 영 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화희(1989). 어머니의 자아 존중감 및 양육 태도가 학동기 자녀의 자 아 존중감 과의 관계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송경자(1997). 학업 성취가 학생의 자아 개념 및 학교생활 태도에 미치 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인섭(1998). 인간의 자아 개념 탐구. 서울: 학지사.

신세호·임선하(1983). 창의적 수업모형. 서울: 한국교육 개발원.

신수정(1994). 부모-자녀간의 의사 소통이 아동의 자아 개념에 미치는 영향(전사춘기 자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윤정(1997).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 태도와 내외통 제성에 관한 연구. 한국 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형숙(1999). 자아 존중감이 중학생의 학업 성적에 미치는 효과. 경상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운현선(1983). 모의자아 개념 및 양육 태도와 학동기 자녀의 자아 개념 간의 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미정(1986). 아버지의 자아 존중감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아 존중감 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장도현(1984). 부모의 양육행동이 자녀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범모·이성진(1979). 학업 성취의 요인. 서울: 교육출판사.

정은영(1997). 인지적 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직장여성의 자기존중감에 미 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차경숙(1997).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 태도 및 언어 통제 유형이 아동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 학위 논문.

최선자(1989). 자아 존중감이 실제학업 성적과 기대학업 성적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재복(1990). 부모 아동의 자아 존중감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경성 대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lexander, J. F.(1973). Defensive and Supportive Communication in Normal and Deviant Families, The Jounal of Genetic Psychology, 40,223-231.

Baumeister, R. F. & Tice, D. M.(1985). Self-esteem and responses to success and failure: Subsequent perform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53,450-467.

Barns, H.& Olson,D.H.(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flex Model, Child Development, 56,438-447.

Bernstein, B. A.(1971). Class, codes and control(Vol.1): Theoretical studies towards sociology of languag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Bernstein.b.& Henderson(1973). Social Class Differences in the relevance of language to Socialization, In Brazil Bernstein(ed.), Class. codes and control (Vol.20: Applied Studies towards

a Sociology of Languag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Bienevenu & McClain(1970).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Home Economic.

Brisset, D.(1972). Toward a clarification of self-esteem. Psychiatry, 35, 255-263.

Combs.A.W.(1964). The personal approach to good teaching, Education leadership, 21,369-377.

Cooly,C.H.(1902). Human Nature and the Social Order. New York;

Scribners.(1909), Social Organization, New York;

Scribners.

Coopersmith,S.(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Freeman.

Deacon. R. E. & E.M. Firebaugh(1981). Family Resource Management, Boston: Allyn and Bacon, Inc.

Foley.V.D.(1974). An Introduction to family theory, New York: Grune &

Steatton.

Gail E. Myres & M.T. Myers(1973). The Dynamics of Human Communication: A Laboratory Approach, New York, McGraw-Hill,Inc.

Gordon, Tomas.(1975).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The Tested new

way to raise responsible children. New American Library.

Kennedy, C. E.(1971). Patterns of parent-student Communication:

Journal of Home Economics, 63,513.

Mead, G. H.(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2) The Philosophy of the Present(ed.). A.E. Murphy with prefactory remarks by J. Deway, Cicago: Open Court.

Maccoby, E. E. (1980). Social development: Psychological growth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Olson,D.H Sprenkle, D.H.& Russell, C.S.(1979). Circo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Types, and Clinical Application, Family process(8),3-28.

Olim, E. G. (1970). Aternal language styles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In F Williams (ed.). Language and poverty: perspectives on a theme (pp.212-228).

Chicago: Markham Publishing Company.

Paloucci, B. (1966). Home Management a Family Resource, paper Presented Annual Spring Weekend, College of Home Economics, Pennsylvania State Univ. April.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Rogers, C.R.(1951). Client-Centered Therapy. Boston: Houghton-Mifflin.

Sears, R.R.(1970). Relation of early socialization experiences to self-concept and gender role in middle childhood,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41, No.2, 267-289.

Vygotsky, L S. (1962). Thought and language. Eugenia Hanfmann and Gertrude Vakar, ed. and trans. Cambridge, Mass:

M.I.T. Press.

Wells, L. E., & Marwell, G.(1976). Self-Esteem: Its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Beverly Hills: Sage.

Abstrac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mmunication Standard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Self Esteem and Scholastic Achievement

Kim, Ockhee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Advised by Prof. Rhee, Kijo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consider what relationship the communication standard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has with their self esteem level and scholastic achievement.

The concrete subject of the research is the following.

The first,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andard with father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elf esteem?

The second,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andard with mother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elf esteem?

The third,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andard with father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cholastic achievement?

The fourth,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andard with mother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cholastic achievement?

The fifth,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esteem and scholastic achieve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bove subjects, 459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Youngdeungpo gu Seoul were chosen.

To conduct this study a sample of 459 students were given three types of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employed wer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PACI) , Self Esteem Inventory(SEI) and Final Scholastic Achievement Score of the First Semester.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to investigate research result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Posi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communication standard with father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elf esteem.

The second, Posi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communication standard with mother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elf esteem.

The third, Posi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communication standard with father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cholastic achievement. It was a little lower than those of mother's.

The fourth, Posi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communication standard with mother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cholastic achievement.

The fifth, Posi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their self esteem and scholastic achievement.

This study implies that the open hearted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of great importance. Since the communication standard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a crucial factor influencing the children's self esteem and scholastic achievement, more in-depth study needs to be done.

부 록

부록1 자아 존중감에 관한 질문지

부록2 의사 소통에 관한 질문지(모)

부록3 의사 소통에 관한 질문지(부)

부록1

자아 존중감에 관한 질문지

번호 문항

번호 문항

번호 문항

부록2

의사 소통에 관한 질문지

부록2 <의사 소통(모)>

부록3 <의사 소통(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