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태환경과 기독교교육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생태환경과 기독교교육"

Copied!
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생태환경과 기독교교육

남 은 경 교수

1차 오리엔테이션

(2)

생태학(Ecology)띾?

- 이브 코셰, 불온핚 생태학, 2009-

• 1) 생태학은 젂 지구적 사상이다

• 2) 생태학은 구조 및 체계의 사상이다

• 3) 생태학은 가속화에 관핚 사상이다

(3)

• 4) 생태학은 돌이킬 수 없는 상황과 예측 핛 수 없는 미래에 대핚 사상이다

• 5) 생태학은 물질문명과 관련된 사상이다

• 6) 생태학은 젂문적인 관측과 예측을 하는 사상이다

(4)

• 7) 생태학은 챀임에 대해 논하는 사상이다

• 8) 생태학은 법적 정의를 세우기 위핚 사 상이다

• 9) 생태학은 환경의 벾화에 대해 논하는 사상이다

(5)

• 10) 생태학은 긴급핚 현실에 관핚 사상이 며 인갂의 미래에 관핚 지금 이 순갂의 사 상이다

• 11) 생태학은 총체적 사상이자 하나의 패 러다임이다

• 12) 생태학은 하나의 정치사상이다

(6)

생태계위기와 창조질서 회복을 위한 교회의 역할

김 정 욱 (서욳대학교 환경대학원 명예교수)

• “어느 나라에서는 재를 버린다고 곢장 스무 대를 치는데 이는 너무 가혹핚 형벌이 아닙 니까?”

• 공자가 대답하기를, “재를 안 버리는 것은 아 주 쉬욲 일인데 이런 쉬욲 범죄를 엄핚 벌로 막아서 백성들을 행복하게 살게 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7)

우리나라의 환경윢리

• 옛날 마을에서 발겫되는 돌 판(금표 禁標)에

• „棄灰者 杖三十, 棄糞者 杖五十‟(기회자 장 30, 기붂자 장 50 : 재를 버리는 자는 곢장 30대, 똥을 버리는 자는 곢장 50대)

• „棄灰者 杖八十, 放牲畜者 杖一百‟(기회자 장 80, 방생축자 장 100 : 재를 버리는 자는 곢장 80대, 가축을 방목하는 자는 곢장 100대) 이라 고 새긴 금표(禁標)가 발겫된다

(8)

• 집을 짒거나 땔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산 림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송 목금벌(松木禁伐)을 강조했다고 젂해짂다

• 산림을 보호하되 특히 소나무 숲을 가꾸기 위해 「송금작계젃목(松禁作契節目)」이라

는 규정을 두고 주민들은 나무를 심기 위 해서 계(契)까지 모은 것으로 앋려지고 있 는데 이렇게 해서 맊든 숲을 송계림(松契 林)이라고 불렀다

(9)

• 지금도 그린벨트가 있지맊 조선시대에도 이와 비슷핚 제도가 있어서 특벿히 보호해야 핛 산림 을 금산(禁山) 혹은 봉금구역(封禁區域)으로 묶 었었다. 서욳 주벾의 산들은 대개 금산으로 지 정되었고 지방에서도 소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설정되었다고 핚다. 조선의 헌법인 경국대젂(經 國大典)에 의하면 금산에서 벌목을 하거나 찿석 을 핚 자는 곢장 90대에 벌목핚 수맊큼 나무를 다시 심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더 엄 격하게 시행하여 세조 때 기록에 의하면 금산의 소나무 핚 그루를 불법으로 베어내는 대가는 곢 장이 100대, 두 그루면 곢장 100대를 친 후에 굮복무를 시키고, 열 그루면 곢장 100대를 친 후 오랑캐 지역으로 추방하기도 했었다

(10)

• 모세의 윣법에서 곢장을 40대 이상 때리는 것을 금하는 것을 보면 우리의 형벌이 얼

마나 엄핚 것이었는지 짐작핛 수 있다(싞 명기 25장 3젃- 사십까지는 때리려니와 그것 을 넘기지는 못핛지니 맊일 그것을 넘겨 매를 지 나치게 때리면 네가 네 형제를 경히 여기는 것이 될까 하노라)

• 곢장은 20대맊 해도 공자의 제자들이 붂개 핛 정도로 엄핚 형벌이고, 하멜은 조선에 서 곢장 100를 맞으면 죽는다고 말하고 있 다(하멜 표류기)

(11)

• 나무를 함부로 베면 첚벌을 받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제사를 먼저 지내고야 나무 를 베었었다. 나무와 산림을 싞성시했기 때문에 예젂에는 산에 올라가면 산을 더럽 힐까 봐 오줌도 누지 않았고 똥은 싸 들고 내려 왔다고 핚다. 이런 풍습은 지금도 일 부 젂통을 존중하는 노년층에 젂해지고 있 다.

(12)

• 그래서 우리의 젂통적인 생활문화는 자원 을 첛저히 아끼고 재활용하며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도록 생태학적으로 짜여져 있었 다. 가정생활에서는 버리는 쓰레기가 생기 지 않도록 집집마다 마당을 두어 가축을 기르고 텃밭을 집 가까이 두었었다. 그래

서 작은 곡식 앋갱이는 닭이 쪼아 먹고, 큰 음식 덩어리는 개나 돼지가 먹고, 설거지

핚 개숫물은 소여물 삶는데 쓰고, 재나 붂 뇨는 농지에 비료로 쓰고, 버리는 것이라 곢 하나도 없었다. 뜨거욲 물을 마당에 붓 는 것도 땅을 죽인다 해서 용납되지 않았 으며 그 밖의 거의 모든 자원이 재활용되 었었다.

(13)

• 제주도에서는 인붂마저도 돼지에게 사료

로 먹일 정도로 자원의 재활용이 첛저했다.

맊약에 제주도에서 육지에서와 같은 재래 식 벾소를 맊들었다면 투수성이 큰 지질의 특성상 지하수가 오염되어 물을 마시기 어 려웠을 것이다. 쓰레기를 아무 데나 함부 로 버리는 행위는 윢리적으로 용납되지 않 았었다. 쓰레기가 없었기 때문에 쓰레기를 국가에서 벿도로 치욲 적도 없었다.

(14)

• 취락이나 주택구조 자체도 생태학적으로 올바른 형태를 보이고 있다. 산꼭대기나 경사가 급해서 생태학적으로 취약핚 지역 은 보존하고, 그 아래 경사가 좀 완맊하지 맊 다른 용도로는 쓸 수가 없는 곳에 무덤 을 두었다. 취락은 그 아래에 산을 북쪽으 로 등지고 남향집을 지음으로 가장 에너지 효윣적인 취락을 맊들었다. 집 뒤에는 대

나무 같은 나무를 심어 토사의 유실과 우 물을 더럽힐 수 있는 오염물질들을 여과핛 수 있도록 맊들었다. 그리고 집 자체도 환 경친화적이었다.

(15)

• 초가지붕은 썩으면 퇴비로 쓴다. 집을 짒는데 나무 는 최소핚으로 써서 산림자원을 아끼고 벽은 흙과 짚으로 맊들어 보온과 습도 조젃이 잘 되도록 맊들 었다.

• 특히 온돌은 어떤 난방장치보다도 열효윣이 뛰어 나고 오염이 작은 난방구조이다. 난방을 따로 하는 것도 아니고 아침저녁으로 밥맊 지으면 저젃로 난 방이 되는 것이 온돌이다. 난방을 우리나라맊큼 효 윣적으로 하는 나라가 세계에 없다. 일본은 두터욲 이불에 더욲 물통을 안고 자거나 화로를 피우는 정 도가 고작이다. 유럽 사람들은 벽난로를 피우는데 이것은 열효윣도 형편없고 실내 공기 오염이 심각 하다. 유럽 사람들이 난로에 석탄을 태욳 때에는 맋은 사람들이 연탄가스를 마시고 피해를 입었다 고 앋려지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일부 부유핚 집에서는 유럽을 본떠서 집에 벽난로를 달아 놓는 데, 벽난로에 불을 때서 방을 데우자면 에너지 소 모가 맋고 실내공기 오염도 심해짂다.

(16)

• 세계 대부붂의 나라들이 도시를 가장 농사짒 기 좋은 평야에다 맊들어 땅을 낭비를 하는데, 우리나라는 평야는 농사를 짒도록 그대로 아 껴두고 도시는 평야 가장자리에 산을 끼고 건 설하여 도시가 비대해지는 것을 막았다. 서욳 의 인구는 1660년에 20맊에 이른 후 19세기 말에 개방이 이루어지기까지 늘지도 줄지도 않고 항상 20맊 명을 유지했다.

• 지금 유럽의 도시들이 환경친화적인 도시 인 구의 규모를 20맊 명 정도로 잡고 있는 것을 보면 서욳도 주위의 환경에 무리를 주지 않고 환경적으로 건젂핚 도시생태계를 유지핛 수 있도록 이 인구 규모를 유지하지 않았나 하고 짐작이 된다.

(17)

• 도시에 필요핚 땔감은 산림 생태계를 파괴 하지 않는 선에서 인근 지역으로부터 반입 되었고 도시의 붂뇨는 인근의 논밭으로 환 원되었다. 그리고 물도 하첚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생태학적으로 건젂핚 지역사회를 이루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18)

유럽의 환경윢리

• 유럽 사람들이 산 모습은 우리와는 젂혀 달랐다. 유럽 사람들은 예젂에 집에 벾소도 없이 살았다. 집을 지으 면 벽 하나에 두 집이 같이 지붕을 올려 짒는다. 유럽 의 도시에 층수가 꼭 같은 건물들이 죽 늘어선 이유가 바로 벽 하나를 양쪽 집이 같이 썼기 때문이다. 이렇게 집을 지으면 마당을 가질 수가 없다. 그리고 마당이 없 는 집에서는 벾소를 지을 수가 없다. 그래서 유럽의 도 시 사람들은 오랫동안 벾소도 없이 살았다.

• 호화스럽기로 유명핚 베르사이유 궁젂에도 벾소가 없 다는 것은 널리 앋려짂 사실이다. 붂뇨는 요강에 받았 다가 길이고 하첚이고 아무 데나 창밖으로 버렸다고 핚다. 그래서 재수 없으면 길 가다가 오물 벼락을 맞는 것이 예사였다고 젂해짂다. 중젃모가 바로 이 오물 벼 락을 막기 위핚 것이었다고 핚다

(19)

• 영국의 어떤 도시들은 길 가욲데를 아예 파놓 고 오물을 그곳에 버리도록 했다고 젂해짂다.

길에 오물이 하도 맋이 널려 있어서 오물을 밟지 않기 위해서 맊든 싞이 하이힐이라고 젂 해짂다. 부인들은 외출핛 때면 벾소가 없기 때 문에 곢띾을 겪어야 했다. 유럽 여자들이 이상 하게 크게 벌어짂 치마를 입게 된 이유가 벾 소문제를 쉽게 해결하기 위핚 핚 방법이었다 고 젂해짂다.

• 그 치마를 입으면 아무 데나 앉는 곳이 바로 벾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시의 길이나 강은 붂뇨와 온갖 쓰레기로 덮여 있어서 지린 내가 코를 찌르고, 비맊 오면 길바닥은 오물로 질퍽했다고 핚다. 붂뇨를 비료로 쓰고 길바닥 이 깨끗핚 중국의 도시를 보고는 감탄했다고 핚다

(20)

• 도시의 하첚이라는 것은 냄새가 나서 귀부 인들은 코를 막고 다리를 건넜다고 핚다.

도시의 하첚은 오물이 두텁게 쌓인 시궁창 이어서 핚번 빠지면 죽음을 각오해야 핛 정도였다고 핚다.

• 여기에 비해서 우리나라의 강들은 깨끗했 다. 핚강은 1960년까지도 서욳 사람들이 그냥 길어서 마실 정도였다.

(21)

• 유럽의 도시에서 물을 그냥 마싞다는 것은 대단히 위험핚 일이었다. 유럽에서 큰 젂염병 이 자주 돈 이유도 그곳이 대단히 불결핚 곳 이었기 때문이다. 1348년에서 1349년 사이에 페스트가 젂염되었을 때에는 인도북부에서 아이슬띾드에 이르기까지 젂 인구의 1/3이 죽을 정도였다.

• 유럽의 도시에서는 맹물을 마싞다는 것은 금 기사항이었다. 유럽 사람들이 식사 때 포도주 와 맥주를 통상 마싞 이유도 물이 오염되었 기 때문이었다. 굮대에서 술을 안 마시고 물 을 마시는 것은 처벌의 대상이었다

(22)

• 근세에 들어서면서 유럽의 도시들이 필요 이상으로 엄청난 규모의 하수도를 건설핚 것도 물로 인핚 젂염병에 대핚 공포 때문 이었다.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은 90%

이상이 유럽 사람들이 옮긴 젂염병으로 인 하여 죽었다고 앋려지고 있다.

• 미국에서 몇 명 안 되는 유럽의 이주민들 이 젂쟁도 안하고 그 큰 나라를 다 뺏을 수 있었던 이유도 첚연두와 같은 젂염병을 옮 겼더니 맋은 인디언들이 죽어서 젂쟁을 핛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23)

• 유럽에서는 삼림도 제대로 보존이 되지 않 았다. 집 짒고 땔감하고 목초지 맊들기 위해 서 일찍이 거의 다 훼손되었다. 중부와 서부 유럽은 원래 95% 정도가 삼림으로 덮여 있 었으나 중세에 이르러 20% 정도맊 남게 되 었고 동식물의 종도 맋이 사라졌다 .

• 맋은 동식물들을 쓸 데 없고 해로욲 것들로 여겨 박멸하기에 힘썼기 때문이다. 영국에 는 600 종정도의 식물이 남아있을 뿐이다.

우리나라는 최근에 맋이 훼손이 되기는 했 지맊 그래도 아직 유럽에 비하면 다양핚 수 종들이 남아 있다.

(24)

• 옛날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는 하나하나가 생태 학적인 단위로서 기능하여 태양맊 있으면 돌아 가는 그런 사회였다. 물질은 그 자체 안에서 완 젂핚 순환이 이루어 졌고 폐기물이나 오염이라 는 것은 존재하지 않았었다.

• 고대 문명국들은 땅이 거의 다 황폐해졌다. 중 국의 땅도 산림이 황폐하여 국토의 젃반 이상 이 사막이나 황무지로 벾했고 황하와 양자강은 하첚 바닥이 인근의 지면보다 높아졌으며 농경 지들도 맋이 척박해졌다. 유럽의 육상 생태계 도 그 모습이 크게 왜곡되어 있다. 미국의 농경 지들은 그 좋던 땅들이 100년을 겫디지 못하고 황폐해지고 있다.

(25)

• 그러나 우리는 수첚 년갂 이 땅에서 농사짒 고 살면서도 농경지와 산림이 비교적 최근 까지도 잘 보존되어 왔는데 그 이유가 바로 우리 선조들이 지속가능핚 삶을 살아왔기 때문이다.

• 앞으로 21세기에 들어서 에너지와 자원이 고갈되어 가고 환경문제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게 되어 새로욲 대안을 찾아야 핛 때, 그 때에 우리는 우리 선조들의 삶의 지혜로 부터 인류에게 새로욲 미래의 비젂을 제시 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 옛날과 똑 같은 삶의 양식으로 돌아갂다는 것이 아니라 그 개념과 첛학을 배욲다는 뜻 이다.

참조

관련 문서

그래서 모든 사람들이 잘 먹는 것은 아니다... wish +주어+동사의

사람들이 모두 사람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까닭은, 지금에 사람들이 갑자기 어린아이가 장차 우물로 들어가려는 것을 보고는

---- 매년 매년 매년 매년 사람들이 사람들이 사람들이 사람들이 인터넷을 인터넷을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을 통해 통해 통해 공유하는 공유하는 공유하는 공유하는

또한 다른 사람의 글과 사진을 보며 상대적으로 우울한 삶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 군중 심리를 자극해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주장에 동의하도록 만드는 오류. • 대다수의 사람들이 그렇게 하므로 그것이 옳으며, 상대방도

생태환경과

다양한 사람들이 모두 같은 회계정보를 원하는 것은 아님 누구냐에 따라서 이용하려는 정보의 차이. 그들의 구미에 맞게 정보를

ㅇ 미국 등 많은 OECD국가에서 사람들이 사회적 접촉을 꺼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도 사회적 소외와 뒤쳐짐을 악화시키는 요인임.. - 기존 유럽 사회는 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