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스마트도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스마트도시"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41

스마트도시

스마트도시라는 용어는 20세기 후반 학계와 정책기관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아직까지 누구나 동의할 만한 수준 의 개념으로 구체화되진 않았으며, 주로 미래도시(future cities)에 대한 논의에서 자주 언급된다(Chourabi et al. 2012; Joss 2015; Neirotti et al. 2014). 스마트도시는 일반명사 ‘도시’에 ‘똑똑한(smart)’이라는 형용사가 붙어서, 도시라는 대상(object) 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수단’에 초점을 맞춘 개념이다(DBIS 2013). 국내·외 다수 학자들 은 그 ‘수단’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등을 포함한 최신 정보통신기 술(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을 주로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도시 논의를 이끌어가고 있 는 유럽연합(EU)과 일부 민간기업, 학자들은 스마트한 수단의 범주에 정보통신기술 외에 보다 효과적인 정책 집행을 위 한 ‘제도(주로 거버넌스를 의미함)’나 혁신성을 담보하기 위한 ‘인적자원(human resource)’ 등을 포함하고 있다.

스마트도시의 본원적 개념은 목표보다 수단에서 출발하였지만, 스마트도시를 추진하고 있는 세계 각 도시들의 실 질적인 정책 목표를 살펴보면, 삶의 질을 제고하고, 온실가스를 감축하며, 도시 경쟁력을 제고하는 등 지속가능한 도 시(sustainable city)에서 논의되던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스마트도시의 초점은 정보통신기술, 제도, 인적자원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를 보다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에 있다. Moir et al.(2014)의 구글스칼라(Google Scholar) 키워드분석 결과를 보면, 최근 미 래도시(future cities) 논의에서 ‘지속가능한 도시(sustainable cities)’는 급격히 감소한 반면 ‘스마트도시’가 급격히 상승 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지속가능한 도시라는 목적이 희석된 것이라기 보다는 이를 현실화시키기 위한 전략적 수단 으로 화두가 옮겨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는 스마트도시라는 용어 대신 유비쿼터스 도시(Ubiquitous City: u City)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 2008년 관련법의 제정과 함께 u City는 정보통신기술 기반 도시인프라와 효율적인 정보 이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에 초점을 맞추어, 신도시의 개발전략으로 추진되어 왔다(이상호, 임윤택 2014). 최근 기존 도시들에 u City정책을 확대하여 적용 하는 과정에서 스마트도시로 법제명과 용어를 수정하고 있으며, 정책의 범위도 함께 확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인천 송도가 대표적인 스마트도시로, 바르셀로나, 싱가포르, 암스테르담, 코펜하겐, 글래스고 등과 함께 세계적인 스마트도 시 목록에 항상 거론되고 있다. 최근 사용자 수요와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리빙랩(living lab) 방식의 스마트도시 개발 이 부산과 세종시에서 진행 중이다.

이성원│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sungwon@krihs.re.kr)

참고문헌

이상호, 임윤택. 2014. 유시티와 스마트도시 비교를 통한 유시티 해외진출 전략. 국토계획 49권, 4호: 243-252.

Chourabi, H., Nam, T., Walker, S., Gil-Garcia, J. R., Mellouli, S., Nahon, K., Pardo, T. A. and Scholl, H. J. 2012. Understanding smart cities: An integrative framework 45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Hawaii: IEEE.

DBIS. 2013. Smart Cities: Background paper. London: DBIS. BIS-13-1209.

Joss, S. 2015. Smart cities: From concept to practice. International Ecocities Initiative February. https://www.westminster.ac.uk/sites/default/

files/Smart-cities-from-concept-to-practice.pdf.

Moir, E., Moonen, T. and Clark, G. 2014. What Are Future Cities?: Origins, Meanings and Uses. London: Future Cities Catapult, Government Office for Science.

Neirotti, P., De Marco, A., Cagliano, A. C., Mangano, G., and Scorrano, F. 2014. Current trends in Smart City initiatives: Some stylised facts.

Cities 38: 25-36. doi:10.1016/j.cities.2013.12.010.

용어풀이 217

참조

관련 문서

때문에 소설일반에 대한 이론이 미흡함으로써 문학 이론 혹은 비평 이론으로서 한계를 지닌다... 후기로 올수록 신비평가들은 지나친 사실성, 작품의 객관성만을 탐구함으로

여성 긴급호출 시 관내 CCTV를 통해 즉시 현장상황ㆍ위치 파악 하여 경찰 등과 공조체계 운영.. 스마트도시 통합운영센터와 경찰 등의 실시간 공조가 빠짐없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이러한 변화 속에 보다 효과적인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의식 수준과 관심 분야를 면밀히 파악하고, 다른 국가의 경우와 비교하 는 것이 의미를

EU 집행위원회 농업총국은 현재 CAP 단순화를 위한 행동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현재까지의 EU CAP의 단순화 관련 논의와 제도 정비

우리나라와 EU간 통상 문제는 주로 해마다 개최하는 한-EU 경제공동위원회에서 다루고 있다.. EU는 국제 기준에 따라 지역화

이와 같은 개혁은 궁극적으로 EU의 농업을 보다 경쟁력 있고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이끌 것이라고 EU 스스로 평가하고 있 는데, 이는 농업생산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

❍ 우리나라는 통계 및 데이터에 근거한 정책 환경 조성을 위해 2008년부터 정 책과 통계를 연계하는 ‘통계기반정책평가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가 자체적인

보다 시장지향적이고 경쟁력 있는 사업환경 조성을 촉진하기 위해, 영국 정 부는 농촌개발정책 프로그램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주요 정책 목표를 다음 과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