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9. 처짐각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9. 처짐각법"

Copied!
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예)

9차 부정정 구조물

(9th-order statically indeterminate system)

1 자유절점변위(1자유도) 구조물

(first-order geometrically indeterminate system)

변위일치법을 이용한 해석시 9개의 부정정력을 구 해야 하나 구조물의 변형상태를 한 절점 자유도  에 의해 표현하고 이를 통해 절점 모멘트를 구할 수 있다면 단지 1개의 식을 통해 해석이 가능하다.

 

 

  

9. 처짐각법

9.1. 개요

∎ 응력법(변위일치법) : 부정정력을 미지변수로 둔다

∎ 변위법(처짐각법, 모멘트 분배법) : 축방향 변위 및 축력을 무시하고 자유절점변위 (처짐, 처짐각)을 미지변수로 하여 절점모멘트 를 계산한다. 부정정차수가 높고 자유절점변위 수가 낮은 구조물의 해석에 유용하게 적용된 다.

9.2. 처짐각법의 개념

∎ 처짐각 방정식 : 절점 에서의 자유도 만이 미지변위이며 각 절점에서의 모멘 트를 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    부재 의 절점 에 생기는 모멘트

(2)

A B C

 

① ②

q δ

1

δ

2



∎ 절점 평형방정식 : 절점 에서의 평형 조건식을 이용하여 를 구하고 이를 이용 하여 각 절점 모멘트를 구한다.

   →  →      

∎ ,  : 절점 모멘트와 하중을 고려하여 를 완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를 찾는다.

9.3. 처짐각 방정식

■ 개념

아래 구조물의 경우 절점 ① 과 ②로 구성된 부재는 인접한 부재들의 휨 강성에 따라 절점에서 제한된 회전변형(탄성회전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속되어 있다.

=

P

A B C

MBC MCB MBA

MBC

MBC

MBA MBC MCB









(3)

이때 부재 ①-② 만 고려할 경우 양단을 고정시킨 상태를 기본시스템으로 둔다.

(기하학적 정정)

① ②

q

δ

1

δ

2

M

2

M

1

=

q M

20

M

10

+

δ

1

M

21

M

11

+

δ

2

M

12

M

22

즉,   

 

§  및 를 알면 절점모멘트  과  를 구할 수 있다.

§ 는 를 발생시키는 절점 에서의 모멘트이다

§ 는 주어진 하중에 의해, 는 부재의 휨강성에 의해 결정된다.

(4)

정역학적 정정 시스템 (Statically determinate)

(부정정력 : , 기지수 :  )

기하학적 정정 시스템 (Geometrically determinate)

(부정정변위 :  , 기지수 : )

x1=1

x2=1

δ10

δ20

δ11 δ21

δ12 δ22

M10 M20

M21

M22 M11

M12 x1=1

x2=1

■ 처짐각 방정식의 유도

아래 그림의 절점모멘트 및 부재단 회전각(절점 변위를 고려한 변형 후 부재축 방 향에 대한 절점회전각)  방향을 +로 정의, 하나의 구조 시스템은 두 개의 절점을 갖는 여러 개의 부재로 분할되고  에 대한 각각의 방정식이 유도되므로 모든 절 점에 동일한 부호 규약을 적용함으로 계산이 용이해 진다. 절점변위가 없는 경우 부재단 회전각는 절점 회전각(변형 전 부재축 방향에 대한 회전각) 와 동일하 다.

M1

δ1

M2 δ2

 

: 절점모멘트

  : 부재단 회전각

  : 절점회전각

(9.3.1a) (9.3.2a)

(9.3.1b) (9.3.2b)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5a)

(9.3.5b) (9.3.1a), (9.3.1b)를 ,  에 대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또는

(9.3.3a)

(9.3.3b)

(9.3.3a), (9.3.3b)와 (9.3.2a), (9.3.2b)의 계수비교

 

    



  

 

(9.3.4a~c)

 

    

 

  



(9.3.4d~f)

단위하중법에 의해

식 (9.3.2a~b)의 계수 중 를 제외하고 모두 와 로 표현되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6)

■ 절점변위 ∆ 가 발생할 경우, 부재회전각 가 발생하며 부재단회전각 는 절점회 전각 에 이를 고려한 값으로 계산된다.

      

  

,  : 절점회전각 +  : 부재회전각 +

,  : 부재단회전각 +

      

  

   (9.3.6a)

   (9.3.6b)

식(9.3.2a), (9.3.2b)에 (9.3.6a), (9.3.6b)를 대입하면

(9.3.7a)

(9.3.7b)

(7)

M1 M2

P

 

M10 P M20

① ②

① ②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       

식(9.3.7a), (9.3.7b)에 를 적용하면

(9.3.8a)

(9.3.8b)

, 는 주어진 하중이 기하학적 정정 시스템에 작용할 때의 고정단 모멘트이며, 식 (9.3.4a), (9.3.4d)로부터 구할 수 있으나 이미 계산된 표를 이용하면 계산이 용이하다.

(8)

10KN

A

B

C

12m 5m 5m

 

 



EI = constant 예제 9-1 아래 보의 전단력도와 모멘트도를 구하시오.

1) 예비계산

    



 



 



  



 



 



2) 부재별 처짐각 방정식

⋅부재 

⋅부재 

(9)

A B C

+ + + +

A B C

A B C

2.84 5.68 -5.68 15.91 10KN

2.84 -5.68 -5.68 -15.91 10KN

+

+ 처짐각법

기존부호규정 3) 절점평형 방정식

⋅미지변수 에 대하여

4) 절점모멘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 

(10)

10KN

VA VB VC

2.84

-15.91

14.19 -5.68

+

- -

+ A

B

D C

10kN

(BMD)

-0.71

3.98

-6.02

(SF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 ⓘ

Mk

  

   (9.3.11)

: 절점 ⓝ에 작용하는 모멘트 하중 n 한 절점에 개의 부재가 만날 경우

처짐각방정식 (9.3.8a), (9.3.8b)의 첨자는 부재 ⓝ-ⓘ에 대하여

(9.3.9)

(9.3.10)

로 표현되고 절점 평형방정식은 식(9.3.9)을 풀기 위해 아직 미지수인 ,  에 대하여 각 절점에서의 평형조건을 고려한다.

절점 ⓝ에 대하여 절점 모멘트하중 를 고려하면

식(9.3.9)을 식(9.3.11)에 대입하면

(9.3.12)

(12)

식(9.3.12)은   , 즉 부재회전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  개의 미지 절점 회전각을 포함하고 이 식은 모든 절점 즉,   개의 절점에 대하여 세 워지므로 해를 구할 수 있다.

부재회전각이 발생하여  ≠ 인 경우 해당 부재들에 발생하는 전단력을 포 함한 추가 조건식(전단방정식)이 고려된다.(예제참조)

n 부재의 한 지점에서 모멘트가 “0”인 경우 해당 모멘트는 더 이상 구할 필요가 없 다. 이 경우 이에 대응하는 회전각을 소거하면 계산이 용이해진다.

(9.3.13)

(9.3.14)

(9.3.15)

A B

MBA=0

≠ 

(13)

예) 내부 힌지를 갖는 연속보(개념 설명)

15kN

A E

B C D

2kN/m

20m 10m 10m 10m 10m

1) 예비계산  , ,  , 

2) 부재별 처짐각 방정식

   ,  ,    이므로 부재 , , 에 식(9.3.15) 적용

⋅ 부재 , 부재     

∆,    

E C

B 10m 10m

⋅ 부재  : 식(9.3.15) 사용

(14)

3) 절점 평형 방정식

⋅ 절점 에서 2개의 절점 평형방정식이 세워지나 이때 미지수는 ,  ,

∆ 3개이다. 따라서 추가조건식이 필요하다.

4) 전단방정식

⋅ 3개의 미지수에 대하여 3개의 방정식이 세워졌으므로 , , ∆ 를 구한 후 부재별 처짐각 방정식에 대입하여 각 절점 모멘트를 계산

5) 부재력

  ·   ·  ·

B E C

V

E

 ∆   ∆ 

B



 ∆ 

⋅절점B

C

 ∆ 



⋅절점C

(15)

A

B C

D 20kN/m

20m 20m

BMD?

EI=constant

대칭을 고려하면

 

   

         

9.4. 횡변위가 없는 라멘의 해석

n 하중을 포함한 라멘의 구조시스템이 대칭이거나 횡변위가 구속된 경우 횡변위는 발생하지 않는다.

예) 횡변위가 없는 라멘

1) 예비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2) 부재별 처짐각 방정식

3) 절점 평형방정식

⋅절점 

4) 부재력 계산

(17)

A B

-444.446

444.446

222.223 A B

-444.446

-444.446

222.223

(, 처짐각법) ()

A

B C

D -444.446

-444.446 -444.446

-444.446

222.223 222.223 555.554

()

(18)

1층 라멘 2층 라멘

A

B C

D P

 



    

P2

1

2

P1

A B C

D

E

F

1

2



 



 

    

부호정의

    

부재단 회전각 절점 회전각

부재 회전각

+ + +

+ ++ ++ +

+ + +

부재회전

각     

∆ 

  

  

  

  

미지변수  ,  ,  ∆  , , , , , 

절점 평형

방정식

 

 

층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 횡변위가 있는 라멘의 해석

∎ 라멘구조 시스템이 대칭이 아니고 횡변이 구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횡하중의 작용 없이도 횡변위는 발생할 수 있다.

∎ 횡변위가 있는 경우 부재회전각이 발생하므로 미지변수가 추가되어 이에 대한 추 가방정식(층방정식, 전단방정식)이 요구된다.

n 해석개요

(19)

예제 9-2 아래 라멘 구조물의 를 구하시오.

A

B C

D 300kN

10m 15m

5m

6m

EI=constant

   

    ∆  

1) 예비계산

    



 



   



 



  

횡변위의 방향을 모를 경우 를 로 가정하면 P

B C

a b



   

   

2) 부재별 처짐각 방정식

⋅부재 

(20)

⋅부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3) 절점 평형방정식

⋅절점 

B

MBC

MBA

(9.5.1)

⋅절점 

C MCB

MCD



 

  

    



 

  

    (9.5.2)

4) 전단방정식(층 방정식)

15m

A B

MAB

MBA

VAB VBA

6m

C

MDC

MCD

VDC VCD

D

   

  

    

   

(2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3)

5) ,  계산

식 (8.5.1), (8.5.2), (8.5.3)을 연립하면

A

D

△ △

B C 



6) 모멘트도 작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B C

D -418.07

418.07

279.2

-279.2

-18.2

234.28

627.9

A

B C

D -418.07

-418.07

234.28

-279.2 -279.2

18.2

(, 처짐각법) ()



 

 

 ∆  

 

<예제 9.7- 전산 해석(FEM)결과-변형도(EI=1⋅)>

(24)

 

   



   

    

A B

C D

E F

P

q

12

10m

2

1

BMD?

EI=constant

∎미지변수

, , , , ∆, ∆

    

    

n 횡변위가 있는 2층 라멘 구조물의 해석(개념설명)

1) 예비계산

2) 부재별 처짐각 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절점 평형방정식

절점   4개의 절점평형방정식(

 )

⇒ 6개의 미지변수, 4개의 방정식

(25)

⋅2층에서의

 

부재 에서 2층 전단력 ,  를 와   및  , 로 나타내고

     

⋅1층에서의

 

부재 에서 1층 전단력  ,  를  와   및  ,  로 나타내고

       

⇒ 2개 방정식 추가

A B

C D

P

VCA VDB

A B

C D

E F

P

q

VCE VDF

A B

C D

E F

P

q

VCE VDF

A B

C D

E F

P

q

VCE VDF

q

4) 층방정식

5) ,  계산

6)  작성(+ 모멘트 정의 고려)

참조

관련 문서

•상악 견치는 하악의 견치와 제1소구치를 피개하여 감합하고 교두감합위에서 구치가 전치를 과잉접촉으로부터 보호하고, 하악의 수직, 수평적 피개 관계가 측방운동을 할 때는

*”태양광”,에너지관리공단

[r]

(9.44) shows that the entropy of formation of an ideal binary solution is independent

 authors와 books를 authors의 surname 값과 books의 name 값이 같은 자료를 한 행으로 하여 합친다... 사용예를

• 한 클래스를 처음부터 새로 만들려고 하면 필요한 변수들과 메소드들을 전부 다 새로 만들어야 한다.. • 그러나 상속을 이용하여 기존 클래스로부터 새

– (mouth of a person, the mouth of a river, the mouth of a cave, the mouth of a bottle, etc).. – Structural ambiguity: 구조적 차이에

MeOH(극성 양성자성 용매, 약한 친핵체) 속에서 2-Chloro-3-phenylbutane의 가용매분해 반응.. β-제거 반응의 주생성물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