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9월 속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9월 속보"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조생종 생산량 전년보다 6~8% 증가 전망

통권 제269호 2008년 9월 16일 발행(격주간∙비매품) 등록번호 서울 다 05672(1996.10.17) 발행∙편집인/최정섭 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쇄/(주)문원사

농업관측정보센터 www.krei.re.kr

2 0 0 8 년 9월 속보

농업관측

산지 쌀 가격 8월 하순 공매 이후 하락세로 전환

�수확기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던 산지 쌀 가격은 8월 하순 정부 공매 이후 하락세로 반전됨.

�산지 쌀 가격은 9월 5일 현재 16만 1,520원/80kg으로 전년 동기대비 6.8%, 수확기대비

7.5% 높은 수준임.

쌀 소비 감소율 둔화

�2008양곡연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전년 동기대비 1.7% 감소하여 전년의 2.4%보다 둔화

된 것으로 나타남. 이는 곡물가공품 가격 상승을 포함한 물가 상승으로 쌀에 대한 대체 소비가 늘어났기 때문임.

�전년 11월부터 7월까지 소매업체 평균 쌀 판매가격은 전년 동기대비 5.9% 상승한 4만 3,066원

/20kg으로 나타남.

2008년 조생종 생산량 전년보다 증가한 45만 9천~46만 8천톤 전망

�농업관측정보센터 벼 표본농가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조생종 면적은 9만 5천ha로 추정됨.

�일조량이 풍부하고 집중호우 등의 피해가 없어 금년 조생종 단수는 전년보다 5~7% 증가한

483~492kg/10a으로 예상됨.

�재배 면적과 단수의 증가로 금년 조생종 생산량은 45만 9천~46만 8천톤으로 추정됨. 이는 전년

생산량보다 5.5~7.5% 증가한 수준임.

(2)

2

■ 8월 하순 공매 이후 산지 쌀 가격 하락세로 전환

�9월 5일 현재 산지 쌀 가격은 16만 1,520원/80kg으로 전년 동기대비 6.8% 상승하였다. 이는 수확기 가격대비 7.5% 높은 수준이다. 7월과 8월 초 공매에도 산지 쌀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나 8월 하순 2차례의 공매 후 산지 쌀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되었다.

�9월 5일 현재 산지 벼 가격은 5만 6,099원/40kg으로 전년 동기대비 11.7% 상승하였다.

표 1. 전국 쌀 평균 가격

단위: 원/정곡80kg, 원/조곡40kg

자료: 통계청.

산지정곡가격 산지조곡가격 소비자가격

2007양곡연도

수확기(11~12월) 146,688 47,254 176,145

8월 151,703 - 179,265

9월 5일 151,268 50,206 179,513

2008양곡연도

수확기(11~12월) 150,251 48,546 180,817

8월 162,029 - 188,079

9월 5일 161,520 56,099 189,383

등락률(%) (9월 5일 기준)

전월대비 -0.3 - 0.7

전년 동기대비 6.8 11.7 5.5

수확기대비 7.5 15.6 4.7

자료: 통계청.

그림 1. 전국 평균 산지 정곡가격 추이

(3)

2008년 9월 수확기 속보

3

■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75.6kg으로 전년대비 1.7% 줄어들 전망

�2007년 11월~2008년 6월까지 1인당 1일 쌀 평균 소비량은 전년 동기대비 1.7% 감소한 209.2g이 다. 2008양곡연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75.6kg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쌀 소비 감소율이 전년의 2.4%보다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곡물가공품 가격 상승을 포함한 물가 상승으로 쌀에 대한 대체소비가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소매업체 평균 쌀 가격 전년보다 5.9% 상승

�2007년 11월~2008년 7월까지 소매업체 평균 쌀 가격은 4만 3,066원/20kg으로 전년 동기대비 5.9%

높다. 소매업체 중 쌀 판매량이 가장 많은 할인점의 쌀 가격은 4만 2,423원/20kg으로 가장 낮다.

표 3. 소매업체별 쌀 판매가격 추이

단위: 원/20kg

주: 쌀 판매가격은 물량가중한 가격임.

자료: 링크아즈텍.

표 2. 1인당 연간 쌀 소비량 추정

단위: g, kg

주: 2008양곡연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

2006양곡연도 (A)

2007양곡연도 (B)

2008양곡연도 (C)

증감률(%)

B/A C/B

1인당 1일 쌀 소비량 218.5 212.8 209.2

-2.4 -1.7

1인당 연간 쌀 소비량 78.8 76.9 75.6

2007양곡연도 판매가격 (06.11~07.07)

2008양곡연도 판매가격 (07.11~08.07)

‘08 /‘07 등락률(%)

전국 40,669 43,066 5.9

백화점 42,128 44,336 5.2

할인점 40,055 42,423 5.9

슈퍼 42,851 45,233 5.6

일반식품점 44,889 45,562 1.5

(4)

4

「쌀 관측」10월 속보 예고 (예정일자: 2008.10.15)

내용: 가격동향/전망, 소비동향/전망, 산지유통업체 거래동향/매입계획량, 수급동향/전망

이「쌀 관측보」는 인터넷(http://www.krei.re.kr, http://aglook.krei.re.kr)을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쌀 관측보」와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신 분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에서「질문응답」을 선택한 후「글쓰기」를 이용하여 의견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krei.re.kr TEL: 02)3299-4174 FAX: 02)964-5631

담당자: 김태훈(taehun@krei.re.kr), 최익창(cic@krei.re.kr), 박미성(mspark@krei.re.kr), 승준호(jhseung@krei.re.kr)

이「쌀 관측」은 농림수산식품부 지원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가 쌀 관련 가격, 재고 통계자료를 수집∙분석한 후, 농업과 통계 전문가들의 자문하에 작성한 것입니다. 전망 결과는 앞으로 기상과 수급여건의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2008년 조생종 생산량 전년보다 증가한 45만 9천~46만 8천톤 전망

�농업관측정보센터 벼 표본농가 1,601호를 대상으로 2008년산 품종별 벼 재배면적을 조사한 결과, 조생종 면적은 9만 5천ha로 추정되었다.

�금년 7~8월에는 전년에 비해 일조량이 많았고 집중호우나 태풍의 피해가 거의 없어 조생종 생육상황이 전년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금년 조생종 단수는 전년보다 5~7% 증가한 483~492kg/10a으로 예상된다.

�조생종 재배면적은 9만 5천ha이고 단수는 483~492kg/10a로 가정하면 금년 조생종 생산량은 45만 9천~46만 8천톤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년 생산량보다 5.5~7.5% 증가한 수준이다.

�금년 조생종 생산량이 전년보다 크게 증가하여 추석 수요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여분의 물량은 향후 쌀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표 4. 2008년산 조생종 생산량 전망

주: 조생종 재배면적은 농가 조사치, 단수는 지역 모니터 조사치, 조생종 생산량은 쌀 관측팀 추정치임.

면적(천ha) 단수(kg/10a) 생산량(천톤)

조생종 95 483~492 459~468

참조

관련 문서

- 카자흐스탄의 외교는 국제문제를 포함한 많은 문제들에 대한 포괄적 타협점을 찾 는데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카자흐스탄은 평화유지 이니셔티브를

o 수출관세에 보다 의존하는 방식이 일견 수입제한에 대한 관세화 규율방식과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수출관세 조치를 제약하는 실체적 규율이 없다는

- 이는 국내 휘발유 소비 증가 및 정유공장 내의 휘발유 생산 장치를 포함한 주요 프로젝트 이행이

이는 언제든 가능하며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빨리 시작

[r]

따라서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면 최적의 소비 및 미래 투자 기회가 줄어들지만 투자자들은 경제적 불확실성 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주식에 대한 수익률의 상승을 통해

관리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31) 월별자료를 사용하여 콜금리와 물가수준 간의 상관관계를 구해 본 결과, 콜금리 변수가

( ) 서는 중대한 경영상 어려움 판단이 문제되는데 이는 ‘ ’ 기업 내부정보를 파악하고 있는 기업가도 예측할 수 없는 것으로 기업성쇠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