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第37回 韓經硏 포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第37回 韓經硏 포럼"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5. 9. 29(木)

주 제 : 고유가 전망과 에너지 정책방향 연 사 : 방기열 원장 (에너지경제연구원)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FORUM

第37回 韓經硏 포럼

(2)

고유가 전망과 에너지정책방향

2005. 9. 29

원장 방 기 열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경연 포럼

(3)

Ⅰ. 국내외 에너지수급과 시장여건변화

Ⅱ. 유가상승의 원인과 전망

Ⅲ. 고유가 대응 에너지 정책과제

Ⅳ. 결 어

차 례

(4)

I. 국내외 에너지수급과 시장여건변화

(5)

I-1. 국내 에너지 수급전망

(단위: 백만TOE)

에너지 수요전망

• 연평균 수요증가율 전망 : 2.2% (‘04~‘20)

• 2020년까지 1억 TOE 수요 증가 예상

- 현 수요 대비 41% 증가

• 석유비중 감소, 전력 • 가스 비중 증가

12 .9 % 24 .0 % 45 .6%

1 2.2%

2 3.3%

4 6.9%

14 .5 % 20 .5 % 45 .7 %

15 .4%

20 .1%

44 .7%

석유 석탄 LNG 원자력 신재생·기타

221.1

263.6

288.4

312.0

한국의 에너지 위상

(‘04년)

• 에너지소비 세계 10위

• 석유소비 세계 7위

• 원유수입 세계 3위

- 원유 중동의존도 : 78%

Germany Italy

India

Korea 5%

USA 25%

Japan 10%

Others 47%

국가별 석유수입 비중

(6)

자료: BP Statistics, 2004

60.9%

87.7%

25.2%

26.8%

자급율

1,045 31 845

169 생 산

1,715 963

124 630

소 비

석탄

가스 석유

구 분

한· 중ᆞ일 에너지수급현황 (단위: mtoe)

에너지 수요전망

(‘02~‘20)

• 세계 수요증가율 전망 : 1.9%

• BRICs의 급속한 수요증가

- 중국 석유수입 증가율 : 7.3%

• 동북아지역의 수급 불균형

- 역외 에너지의존도 심화

세계 원유ᆞ천연가스 매장량 및 생산량

세계 에너지 매장 특징

• 화석연료의 유한성

- 세계 가채년수 : 석유 41년, 가스 67년, 석탄 192년 - 탐사 기술발달로 가채매장량 증대 기대

• 러시아, 카스피해의 전략적 중요성 증대

- 러시아 원유 및 천연가스 생산량 : 세계1-2위

- 카스피해 : 제2의 중동 (추정매장량 2,600억배럴)

천연가스 원유

노르웨이 알제리 캐나다 미국 러시아 생산량

자료: BP Statistics, 2004

UAE 중국

쿠웨이트 5위

사우디 이란

UAE 4위

카타르 미국

이라크 3위

이란 러시아

이란 2위

러시아 사우디

사우디 1위

매장량 생산량

매장량 순위

I-2. 세계 에너지 수급전망

(7)

위협요인 정책방향 정책 환경 변화

열린정책체계

이해관계갈등 정책참여요구

시민사회

에너지저소비형

고유가 파동 에너지시장불안

국제시장

지속가능형

국제환경규제 기후변화협약

국제협약

해외자원개발

에너지안보위협 자원확보경쟁

국가간 경쟁

I-3. 에너지 시장여건 변화

(8)

II. 유가상승의 원인과 전망

(9)

• 유가는 최근 사상 최고수준 기록

- WTI(8.30일) : $69.84, Dubai(9.1일) : $59.45 - 최근 WTI-Dubai 가격차 : $8~$11 수준

- 연초 대비(1월 첫주) 원유가격 상승율

• WTI : 55%, Dubai : 70%

• 최근 시장의 특징

- 미국 허리케인 katrina 여파 - 연말 수급차질 우려감 심화

- 투기자금 매수세 다시 증가추세

- IEA의 전략비축유 방출 발표(9.2일)에 따라 유 가는 하락세(Dubai : $57.59, 9월 5일)

※ 200만 b/d, 30일간 방출

국제 유가 재 상승

II-1. 최근 유가상승 추이

20 30 40 50 60 70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1주 8-2주 8-3주 8-4주

(USD/bbl)

WTI Brent Dubai

<국제유가 추이>

(10)

• 고유가 불구, BRICs, OECD 석유소비 증가 추세 유지

- BRICs 국가, 경제급성장으로 석유소비 증가추세 지속 - OECD, 소득향상에 의한 가격탄력성 둔화

• 산유국 원유 공급능력 취약

- OPEC 잉여생산능력 150만 b/d에 불과 (적정능력 : 300만 b/d) - 중동 산유국, 재원부족과 상류부문 국유화 고수로 유전투자 부진

• 정제설비 부족으로 석유제품 수급차질 우려

- 북미, 유럽지역 성수기 석유제품 수급 차질 에 대한 불안감 - 환경규제 강화, 투자제약 요인으로 작용

실물수급 요인

• 중동정세 불안 확대

- 이란 강경 보수파 집권 및 이라크 정세 최근 악화 사태 등

• 투기자본의 원유선물 시장으로 추가 유입

-선물 순매입 포지션 증가, 유가 상승의 가속화

투기 및 심리요인

국제유가 상승요인

II-2. 국제유가 상승요인

(11)

• OPEC 잉여생산의 여분이 부족하면, 원유가격은 상승 추이

원유가격과 잉여생산 관계

II-3. 국제유가 상승요인

(12)

• 6월초 이후 Nymex시장에서 투기자본의 원유선물 순매수 꾸준히 증가

- 8월 중순 현재 약 4만건 계약(4천만 배럴 상당) 기록

Nymax 원유선물 추이

- 4 0 - 2 0 0 2 0 4 0 6 0 8 0 1 0 0

040817 040831 040914 040928 041012 041026 041109 041123 041207 041221 050104 050118 050201 050215 050301 050315 050329 050412 050426 050510 050524 050607 050621 050705 050719 050802 050816

(천 계약 )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USD/bbl)

N y m ex 순매수(좌 측) N y m ex -W TI(우측 )

II-4. Nymax 원유선물 시장

(13)

고유가

하반기

$58-$65 변동 (연평균 $53.0)

기준전망

하반기

$54 - $59 변동 (연평균 $50.6)

100

0

35

2 5 30

1 5 20

3 0 15

3 0

지정학적 요인

선물시장 투기요인

세계 석유수요

시장 완충기능

KEEI/OMS모형, 에너지경제연구원

※ 해외전문기관 전망(’05.7)

- 영국 Center for Global Energy Studies : $ 53.5/b

‘05년 Dubai 가격 전망

2005 2005

0.58%p -0.96%p

고유가

0.50%p -0.83%p

기준전망

무역수지 소비자 물가

경제성장률

• 경제성장 0.83%p 둔화 (기준전망 )

석유수요의 꾸준한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는 현 수준 유지

• 경제성장 0.96%p 둔화 [고유가]

지정학적 리스크 악화로 석유공급 위축, 선물시장 투기거래 급증

경제 파급 영향

II-5. 유가전망과 경제파급영향

(14)

• 과거에 비해 영향력은 감소되었으나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

II-6. 고유가 파급영향

현 두바이 실질유가는 80 년의 70%

(80.11) $85.98(05.9) $59.4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0.83%p 0.50%p

0.60%p 0.10%p

고유가 파급효과 비교

소비자물가

국내총생산

0.55%p 0.40%p

GDP

대비

석유수입비중(%) 발전량중

석유발전비중(%)

1

차에너지원중

석유비중(%)

1980

1980 1990 1990 2004 2004

61.1

53.8

45.6 9.0

2.5

4.4 78.7

17.6 4.8

석유비중 추이

(15)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II-6. 고유가 파급영향

1975

1975 2000 2000

생산비중(%)

34.8

48.4

6.0 4.3 4.7 3.5 3.7

10.7

2.0

5.4 서비스산업

화학산업 석유제품 전기전자 수송기계

산업구조 변화

조선·자동차· IT 제조업은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미미

철강·석유화학 등 에너지다소비업

이나 중소기업은 원가에 압력가중

산업부문별 영향

• 고유가 영향은 과거보다 약화되었으나, 가격 전가가 어려운 중소기업 부담 증가

(16)

III. 고유가 대응 에너지정책

(17)

III-1. 고유가 대책 기본방향

 자율적 에너지절약 참여 유도

은행, 백화점 및 에너지다소비업종 대상

1. 범 국민 소비절약 분위기 확산 1. 범 국민 소비절약 분위기 확산

 경계단계(Warning System)부터 의무적 절약대책 시행

영업 및 조명시간 단축, 승용차 5부제, 절약대책 의무 수립 추진 등

 에너지절약, 소비행태 개선을 위한 범국민운동 전개

2. 수급악화시 의무적 수요억제 조치 추진 2. 수급악화시 의무적 수요억제 조치 추진

 저소득층, 장애인, 사회복지시설, 농어민 지원확대

 에너지저소비형 체제, 공급안정 방안 등 중장기 정책의 지속 추진

3. 소외계층 지원 및 중장기 정책 지속 추진

3. 소외계층 지원 및 중장기 정책 지속 추진

(18)

에너지 저소비형 사회 에너지 효율 제고

공급안정성 확보

해외자원개발 및 자원외교 강화

지속가능 에너지확대

신 • 재생 에너지 개발 및 이용 고유가 대응

정책

III-2. 고유가 대응 3대 장기 정책과제

(19)

에너지 효율 국제 비교

• 에너지原단위의 절대적 수치는 선진국에 비해 높은 편

에너지 原 단위

에너지 原 단위 1인당 에너지 소비량 1인당 에너지 소비량 에너지 原 단위 (TOE/

$) = 총에너지소비 (TOE) / 총부가가치 (GDP)

에너지 原 단위 (TOE/

$) = 총에너지소비 (TOE) / 총부가가치 (GDP)

한국

한국 일본일본 미국미국 한국한국 일본일본 미국미국

0.35

0.11

0.22 4.28

4.05

7.84

III-3. 에너지효율 개선정책(국제비교)

(20)

III-3. 에너지효율 개선정책(현황 1)

대형 주택 및 대형 가전제품 사용 증가 등으로 에너지 소비 증가 추세

중형차 이상 선호 및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 감소로 에너지 소비 증가

가정 ᆞ상업부문

수송부문

(21)

•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반면 부가가치 창출 저조

• 산업내 비교시 한국이 일본보다 에너지효율적 산업 다수

III-3. 에너지효율 개선정책(현황 2)

제조업 비중(%)

29.7

한국한국

25.9

다소비산업비중(%)

일본

일본

16.8 19.8

미국

미국

23.5 14.1

업종 업종

철강

(빌레트)

철강

(빌레트)

금속

(조강)

금속

(조강)

석유화학

(에틸렌)

석유화학

(에틸렌)

요업

(클링커)

요업

(클링커)

에너지 원단위

(Mcal/톤)

에너지 원단위

(Mcal/톤)

한국 일본 한국

(일본=100)

420

kWh/

515

kWh/

3,057 3,028 4,425 4,800

779 654

82

101 92

119

산업부문

(22)

에너지 효율 제고

• 산업구조의 고도화

- 정보, 통신 및 서비스 등 고부가가치 산업 증대 - 상품가치의 제고

• 에너지 다소비형 생활양식 개선

- 대중교통시스템 강화, 중대형 주택선호개선 등

효율

• 소비자 기기선택 합리화를 위한 에너지효 율

관리 시책 강화

• 신기술 차량보급, 수송체계 개선 등 수송 에너지 절약 기반 확충

• 자발적 협약 등을 통한 부가가치 및 에너지 효율 제고

에너지정책 산업정책

III-3. 에너지효율 개선정책

30.1

27 25.9

32.5 33.8

'95 '97 '99 '01 '03

에너지 다소비업종 비중 (%)

0.00 0.05 0.10 0.15 0.20 0.25 0.30 0.35 0.40

Energy Intensity (toe/1000$)

한 국 일 본 미 국 독 일 이 태 리 영 국

2to e 4toe 6toe 8toe

'80 '90

'95 '00 '04

에너지 원단위 추이 국제 비교

(23)

신•재생 에너지 보급 확대

• 화석연료와 비교하여 경제성 미약

- 발전계통한계가격: 50.48원/kWh,

풍력: 107원/kWh, 태양광: 716원/kWh(03년)

• 신•재생 에너지 보급 비중이 낮음

- 2004년 기준, 1차 에너지 수요 대비 2.3% 수준 (수력 제외하면 1.8%)

•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도 및 지원책 강화

- 발전전력의 차액지원액 규모 확대 - 지원대상범위, 저리융자 확대

• 대규모 소요재원의 확보방안 강구

- 2004-2011년까지 지원자금 9조원 소요예상

도시개발사업과 연계한 신•재생 에너지 보급사업 적극 추진

추진과제 현 황

50

75 70

50 50 50

35 선진국과의 신·재생 에너지 기술수준 비교 (%)

국가별 신·재생에너지의 비중 (%)

III-4. 신재생에너지 확대정책

2.3(1.8) 3.1 3.1

4.5 7.0

11.1

한국 일본 독일 미국 프랑스 덴마크

(24)

해외자원개발 진출 확대

• 1981년부터 해외자원개발사업 추진,개발성과는 경쟁국에 비해 열세

- 우리나라 원유 자주개발률은 2004년 3.8% , 일본은 10-15%대 유지

• 대규모 초기 투자자금, 투자회임기간의 장기성 및 높은 위험부담 등으로 민간투자 부진

- 석유공사, SK(주) 등 4개 기업이 석유개발 투자의 78.2% 차지

현 황

• 세제금융 지원확충을 위한 재원확보 방안 강구

• 대형 자원개발사업 참여 기반 구축을 위한 자원외교 강화

- 주요 부존지역 공관에 자원관 파견

• 해외자원개발사업 역량 강화

- 석유개발 전문기업 육성과 유전개발펀드 도입 검토 중

추진과제

III-5. 해외자원개발 정책

(25)

정책효과 (2011년)

• 에너지소비절감 - 29.6백만 TOE

• 이산화탄소 배출감소 - 23.8백만 TC

• 에너지소비절감 - 7.81백만 TOE

• 이산화탄소 배출감소 - 4.7백만 TC

에너지 공급 안정성 제고

• 국제수지 개선

해외자원개발 해외자원개발 신• 재생 에너지보급

신• 재생 에너지보급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

목표

석 유 천연가스

0.30

0.25 0.20

0.30 0.40

2003 2011

에너지원단위 2.1

5.0

0.0 2.0 4.0 6.0

2003 2011

보급율(%)

14.0

23.0

3.0 3.6 0.0 5.0 10.0 15.0 20.0 25.0

2003 2011 2003 2011

자주개발율(%)

효과

III-6. 정책효과

(26)

IV. 결어

• 범 정부적 재원확보 방안 강구

- 에너지효율개선, 신재생에너지 및 해외자원개발 확대를 위한 대규모 소요재원

• 고유가 대비 상시체제 구축

- 에너지 조기 경보 체제(EWS)의 운영 - 인접국과 공동대응체계 구축

• 에너지문제의 국가적 Agenda화

- 범 정부차원의 유기적 협력체제 강화

- 에너지기본법 상정과 국가 에너지자문위원회 구성 예정

• 수송부문의 절약정책 강화

- 산업 및 가정 ᆞ상업용에 대한 석유소비절감 대책은 한계 - 소비증가율이 높은 수송용 휘발유, 경유부문에 정책 집중

※고연비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조기보급, 차세대 성장동력인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

참조

관련 문서

쓰레기로 뒤범벅이 되어 생명의 지속성이 위협받고 있는 우리나라 바다와 강과 호수 및 저수지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산과 들과 흙을 뒤덮고 있는

맺음말

투자 및 소비 증가 금리상승, 주가 저평가.

주주자 본주의를 신봉하는 영미식 모델에서 재벌문제의 해결은 난망합니다... 겪었던 제조업의 경쟁력

- 카드채 카드채, , 내수부문 내수부문 中 中企여신 企여신 부실 부실 증가 증가 등 등 불안요인이 불안요인이 있으나 있으나

유엔기후변화협약 (UNFCCC)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의 간섭에 의한 기후변화가 식량 생산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하지 않을 수준으로 온실가스

[r]

상법, 증권거래법, 외감법, 각종 세법, 공인회계사법 형사범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민사소송의 대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