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第20回 韓經硏 포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第20回 韓經硏 포럼"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3. 11. 12(水)

주 제 : 한국경제의 당면과제 연 사 : 박병원 차관보(재정경제부)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FORUM

第20回 韓經硏 포럼

(2)

한국경제의 당면과제



2003. 11. 12

재 정 경 제 부

차 관 보

박 병 원

(3)

Ⅰ. 경제발전이란 무엇인가?

1. 경제성장 = 자본축적 = 생산성 향상

ㅇ 나라에 따라 1인당 소득 수준이 300~30,000불로 100배 이상 차이 - 물적 자본의 축적 : 도로, 통신, 항만, 공장, 기계, 수송기계 - 인적 자본의 축적 : 기술, 기능, 정보, 자식, 경영 know-how ㅇ (산업화 시대 : 물적자본) → (정보화 시대 : 인적 자본)

- 건설, 건축, 설비투자 뿐 아니라 교육․훈련, 연구 개발도 투자 2. 경제 발전

ㅇ 국민을 보다 자유롭게 하는 것, 선택의 폭을 넓혀 주는 것 - 소득 수준의 향상은 물적 제약에서 자유롭게 하고 소비에 있어서

선택의 폭을 확대

- 경제 정책이 단기적 목표에 집착하되 「선택의 폭」을 좁혀서는 안돼 ㅇ 소득수준 10,000불 → 20,000불

- 양적 성장만으로는 불가 : 고부가가치화를 통해서만 실현 가능 - 다양화․고급화를 위한「선택의 폭」확대가 병행되어야 - 평균주의를 극복하고 각자 다른 삶의 가치를 추구하는 풍토가

정착되어야 모든 면에서 같아지고자 하는 「시기심」버려야 가능 3. 자본축적의 방법

ㅇ 뒤떨어져 있을 때는 남의 힘을 빌려서 압축성장 가능 → 기술․자본의 외국의존

- 특히 제조업의 경우「후발자의 이익」명백 : 기계에 기술 imbedded - IT산업 등 첨단기술 산업에 도달하면 어차피 의존 불가능 ㅇ 자력갱생 노선의 실패 : 중국, 인도, 북한 대부분의 구 공산권

(4)

Ⅱ. 한국경제의 핵심과제

1. 투 자 활성 화

ㅇ 단기적으로 경기회복과 고용 창출을 위해서는 물론, 중장기적 인 성 장잠재력 확충 차원에서도 투자부진이 가장 중요한 문제 - 최초의 투자부진이 경기순환상의 문제가 아니라 secular trend

일 가능성

① 총저축률과 총투자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

81~90 91~97 98~02 03.1/4

․총저축률(%) 33.0 35.4 33.7 26.0

․총투자율(%) 31.2 37.0 25.9 26.1

② 특히 GDP대비 설비투자 비중이 14%대(‘97~’97년 평균)에서 11%대(외환위기 이후 5년 평균)로 하락

0.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91 93 95 97 99 01 03.1/4

-40.0 -20.0 0.0 20.0 40.0

설비투자 비중(좌) 설비투자 증가율(우)

③ 주요 선진국들이 소득 1만불에서 2만불로 가는 과정과 비교해 볼 때 우리의 설비투자 증가가 미흡한 상황

<1인당 국민소득 : 1만불 → 2만불 기간(한국은 95~02년) 비교>

(연평균, %) 미 국 영 국 독 일 일 본 싱가폴 한 국

․경제성장률 3.2 2.4 2.3 3.4 9.3 5.5

․설비투자증가율 4.8 4.5 4.1 8.8 10.8 3.1

(5)

④ 투자부진으로 생산능력증가율이 낮아져 이런 추세가 지속될 경우 중장기적인 성장잠재력 확충이 불가능

71~80 81~90 91~00 01~02 03.1/4

․생산능력증가율(%) 15.6 8.2 6.4 3.6 2.6

⑤ 외국인 직접투자도 99년을 정점으로 하여 감소 추세 - 금년1/4분기에는 작년동기대비 절반 수준에 불과

(신고기준) 98 99 00 01 02 03.1/4 2/4

․FDI(억불) 88.5 155.4 152.2 112.9 91.0 11.1 15.5

․(전년대비증감) (27.0) (75.6) (△2.1) (△25.8) (△19.4) (△48.4) (△41.1)

․해외투자(억불) 58.3 50.7 59.6 62.8 59.9 10.2 -

․(전년대비증감) (△1.9) (△13.0) (17.6) (5.4) (△4.6) (△7.3) - - 특히, 제조업 분야는 ‘01년부터 해외투자가 외국인 직접투자를

이미 초과하여 산업공동화 현상도 우려

(신고기준) 98 99 00 01 02 03.1/4 2/4

․제조업분야FDI(억불) 57.4 71.3 66.5 30.9 24.3 2.2 8.5

․제조업분야 해외투자(억불) 28.5 27.7 17.9 46.3 28.9 6.4 -

ㅇ 기업투자의 활성화를 통한 내수 회복과 성장잠재력의 확충이 당면한 최대의 현안

- 이를 위해서는 북핵문제의 해결, 노사관계의 안정 등을 통해 국내․외 기 업 의 투자의욕을 회복시키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며

- 우리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Global Standard에 입각한 구조개혁과 국제화를 추진함으로써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임

(6)

2. 고용문제의 심각성

ㅇ 고용 확대․유지와 보다 고소득의 일자리 창출이 경제정책의 궁극적 목표

- 실업자는 물질적 생활만이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황폐화

- 우리나라는 심각한 실업 겪은 적 없어 : 98년에도 실업율 7.0%

(현재 취업자 2,240만, 실업자 76만, 실업율 3.3%, 청년실업율 7.5%)

ㅇ 투자 → 성장 → 고용의 장기적 추세

70년대 80년대 90년대 01~02 - 성장의 고용탄성치 0.48 0.33 0.26 0.50 - 성장 1% 당 고용창출(만명) 5.6 5.0 4.7 9.4

ㅇ 92년 ~ 2002년 간의 고용창출(만명)

- 농림어업 △60, 제조업 △74, 서비스업 기타 448 - 임시․일용직의 비율 : 90년 45.8% → 02년 51.6%

ㅇ 5% 성장으로 25만정도 일자리 매년 창출해야 실업증가 방지 가능 - 일자리를 마련해주지 못하면서「분배개선」은 너무나 어려운 일 - 성장, 고용창출 없는 분배개선은 조세부담증가 → 투자의욕 저하

- 경제는 자본과 노동이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나누어 가지는 과정

→ 결국은 상대적 희소성이 값을 결정(시장원리)

→ 투자, 성장을 통해서 일자리 창출되면서 임금도 상승(역사증명) (성장율이 높을 때 분배구조 개선, 성장률 낮으면 악화)

(7)

<노사관계에 있어서의 Global Standard 도입 :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ㅇ 최근 노조에 의한 시장왜곡

- 주주, 채권자, 소비자, 하청기업 근로자의 몫을 빼앗고 후세대의 고용을 빼앗아서 자신의 이익을 취하는 강성노조

- 창출된 부가가치는 근로자(임금), 주주, 채권자(예금자), 소비자 (가격안정), 미래(R&D)와 설비투자로 경쟁력강화, 실업자와 다음 세대를 위한 고용창출 간에 적절히 배분되어야

ㅇ 노조조직율의 변화(90 → 01년)

- 한국(18.4→12.0) 미국(16.1→13.5) 일본(25.2→20.7) 프랑스(9.8→8.0) 독일(37.5→24.2)

- 지식정보화 시대에 들어 연봉제 확산 → 산업화 시대의 유물로 서의 노조

․ 지식, 기술, 기능, 정보의 차별화 vs, 단순반복적인 육체노동 - 세계화로 인한 무한경쟁 → 노사대립보다 국가간 경쟁이 더 심각

ㅇ 노동시장의 유연성 : 해고의 융통성

- 정규직 근로자의 과보호 → 투자기피, 고용기피, 정규직기피 - 실업율(02) : 한국 3.1 / 미 5.8, 영 3.1 / 독 9.8, EU 8.3

- 정리해고 요건 : ①긴박한 경영상의 필요 ②해고회피 노력

③ 합리적, 공정한 해고 대상자 선정 ④ 근로자대표에게 60일전 사전통지와 성실협의

(8)

ㅇ Global Standard에 안맞는 노사관계 법제와 행태가 국내외 투자 저해요인

① 파업장소 : 선진국에서는 사업장 내에서 쟁의행위를 하는 예는 거의 없음

(우리 구 노동쟁의 조정법 : 사업장 내에서만 쟁의행위)

② 파업기간 중 대체근로 : 당해 사업과 관련 없는 자의 대체근로 금지 (선진국에서는 일시적인 대체근로 허용은 대항권 차원에서 용인)

③ 근로자 파견 : 26개 업종, 1년+1년으로 제한

(영미 제한 없음 : 독불 1년~2년 제한, 직종제한은 없음)

④ 근로자 경영참가 : 상시고용 30인 이상이면 노사협의회 설치 의무화 (유럽은 광범위한 공동결정권 허용)

(우리 법원은「합의」를 「협의」로 해석)

⑤ 노사교섭체계 : 기업별 교섭 (미국 기업별, 유럽 산별 또는 중앙교섭이 주종이었으나 기업별 교섭으로 전환하려는 추세) (산별, 중앙교섭에 따른 임금수준, 근로 조건에 맞추지 못하는

기업은 구조조정 당할 수밖에 없어)

⑥ 노조전임자 급여 : 06년부터 부당노동행위로 금지(지금까지 관행으로 지금)

(선진국 : 전임자 급여는 관행으로 허용 : 노조에 대한 경비보조는 부당노동행위)

⑦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노사관계법을 지키려는 의지가 노사정 모두에게 결여

(정리해고, 파업 기간 중 임금지급, 구속자 석방, 해고자 복직 등을 내세운 파업, 직장점거, 물리력을 사용하는 쟁의에 대해 서도 무방비)

(9)

3. 미래성장 동력원의 발굴

ㅇ 주력제조업의 한계 (철강, 석유화학, 자동차, 조선, 반도체, IT, 통신) - 대부분 전세계적인 공급과잉과 과당경쟁

- 중국의 급속한 추격으로 5년내 한계 봉착 : 베끼기 가장 쉬운게 제조업, 중국의 엄청난 이공계 기술인력

- 중국의 강점 : 방대한 FDI 유입(기술수반), 풍부한 기술인력 ㅇ 6T 첨단산업 : IT, BT, ET, ST, NT, CT

→ 10대 성장동력산업 : 디지털 TV/방송, 디스플레이, 지능형 로봇, 미래형 자동차,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이동통신, 지능형 홈네트워크, 디지탈 콘텐츠/SW Solution, 차세대 전지, 바이오신약/장기

ㅇ 우리나라의 기술수준 평가(02년 최고기술수준 = 100)

- 일본 90.8(미국 94.9) : 한국 72.1 : 중국 51.7(한국대비 72(99년 70.7)) - 39개 소분류별

․ 주력산업 : 자동차, 조선, 철강재료, 섬유, 전자 : 73.1

․ 신 산 업 : IT(73.9), ET, ST, BT, NT : 66.5 - 99년 대비

․ catch up : 조선, 통신, 전자, 자동차, 소성가공

․ lagged behind : 세라믹 재료, 환경설비, 생명공학, 열/표면처리 - 소재/핵심요소기술 70.0

설계기술 73.7 제조/공정기술 77.9 제품기술 75.5

- 한일간 기술격차 4.27년, 한중간 기술격차 3.76년

(10)

ㅇ 6T 및 10대 성장동력산업 선정의 문제점 - 나머지 분야의 소외감 : 사양산업은 없다

주력산업의 marginal lead 유지 중요 - 정밀화학, 합성의약, 기계(IT와 순망호치 관계)

의료기기, 광응용기기, 환경-에너지산업, 산업디자인, SI

- 일본과 협력의 중요성 : 부품소재, 핵심기술이 중국으로 직행하기 전에 유치 (FDI의 중요성)

-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확보가 최대의 과제

․ IMF의 최대의 해악은 기업, 개인 모두 short-sighted

ㅇ 서비스산업의 고부가가치화(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개발)의 중요성 - 성장, 고용의 원천 : GDP 비중 53%(미국 74.4%)

고용 비중 61%(미국 78.2%) - 대외 의존적 경제체질 개선을 위해서도 시급

․ 수입유발계수 : 제조업 0.357, 서비스업 113

․ 수출비율 : 제조업 35%, 서비스업 8.4%

․ 경기변동기 변동폭(확장기 성장률) : 제조업 2.5~23.4%

서비스업 7.2%~12.4%

- 무역수지 만성흑자와 무역외수지 만성 적자 : ‘02 38 → ’02 75억불

․특히 여행수지 (02년 37.7억불 적자)중 교육(02년 14.1억불), 지불 90.7억불

- DDA 협상에서 농업, 서비스업에 개방압력 집중

- 기업지원 서비스업의 낙후, 비능율은 경제전체에 큰 부담 예) 금융업낙후, 물류비 비중 : 한국 12.5%, 미국 7.3%, 일본 6.1%

(11)

4. 농업의 구조조정 불가피 : 경제전체의 발목을 잡고있어 ㅇ 시장과 경쟁을 전제로 하는 대응책으로 경쟁력 높여야 ㅇ 피할 수 없는 경쟁 : 눈에 안 보이는 경쟁

- 식량자급이 안되는 나라가 일부 품목을 수입제한해도 무위 : 입으로 들어가는 모든 것은 서로 경쟁관계

- 호주 양털과 사우디 원유도 경쟁, 경쟁을 피할 수 있다고 착각 - 약팀과 승수를 쌓는 것은 자신을 속이는 짓 : 평가전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프랑스(Hidink)

- 경쟁이 없는 상태에서 경쟁력 키우기? : 제조업과 농업, 서비스업 (→우리 모두 의지가 약한 인간이라는 현실)

ㅇ 식량작물은 근본적으로 경쟁력이 없음 :

특히 곡물, 식량작물의 한계(아열대 작물, 냉대작물)

- 농산물 국내외 가격격차 : 대개 5~10배, 환율 절상되면 더 커져 ㅇ 쌀 : 공급과잉과 수요감소

(1인당 쌀 소비 : 90년 119.6kg → 01년 88.0kg)는 자초위난 - 쌀 재고 1,318만석/3600만석 : 산지미가 5%하락, 수매가 올리는

것이 무슨 의미

- 주정용(타피오카) : 사료용(5~10%, 옥수수) : 원조비용 : 대북지원 - UR과 DDA : 10년 허송세월, 나아가서 문제 심화시킨 정책이 문제

․ WTO(94년) 이후 쌀값 인상 : 한국 26.4%, 일본 △10.3%, 대만 0%

․ 일본 : 95년 4%에서 00년 8%로 가던 중 99년 6.8에서 관세화 00년 7.2, 01년 7.6, 02년 8.0

․ 대만 : 02년 WTO 가입, 8% MMA, 03년 관세화, 8%유지

(12)

- 440% 관세화(10년간 10% 삭감)와 4% MMA(관세율 5%) : 피할 수 없는 수입, 관세화로 가도 그 시점의 수입 의무는 그대로 계속

* UR 당시의 modality : 86~88기준 선진국 6년간 36%(최소 15%) 개도국 10년간 24%(최소 10%) 허용보조(AMS) : 선진국 6년간 20%, 개도국 10년간 13.3%

* 우리의 경우 쌀 5년 1% → 매년 0.25%p, 99년, 00년 2% → 매년 0.5 → 04년 4%

ㅇ 식량 안보론의 허구

․전세계적인 공물 공급과잉과 장기적인 가격하락추세

․농업기술 보급(종자개량, 기술발전)

․자본의 투입과 농업 생산성 향상

․방대한 휴경지와 개간 가능 농지 존재

․축산물 소비(밀의 21%, 잡곡류69%, 옥수수 74%가 사료)

․구공산국가의 증산능력 / 생명공학의 잠재력

- 수출능력이 식량안보 : 양곡자급 29.7%(2000), 사료용 제외 55.6%

ㅇ 단기간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작목에 역량을 모아야 - 수출하는 농산물 : 과일, 채소, 꽃, 돼지고기(소 vs 돼지, 닭)

․ 토지집약적 농업과 기술․자본집약적 농업

- 쌀, 소 중심의 농정, 다른 작목은 방치 → 수세적 농정에서 공격적 농정으로 (기술․자본 집약적 농업 : 도시 자본은 물론 외자유치까지 해야)

- 희망없는 작목(쌀, 마늘)에 넣은 돈은 사라진다. 수출까지도 가능한 대표선수를 키워야

ㅇ 한-칠레 FTA의 문제 : 사과, 포도(46%), 배(관세율 50%), 2004년에는 모두 45%

- DDA 타결이후 (또는 5년 후) 협상을 개시하여 그후 10년간 관세 철폐

(13)

ㅇ 영세소농 구조 탈피와 지역별 주산단지화가 최우선 과제 - 경영 mind 필요, 시장 지배력 행사 가능

ㅇ 농업만으로는 농촌경제 문제(소득) 절대 해결 못한다.

- 농공단지 만으로는 안된다

- 농업, 비농업 가리지 않고 국내외에서 투자를 유치해야 - 주5일 근무제의 시행으로 휴양, 레저, 스포츠 산업의 여건이 호전

- 민박, 관광농원 수준의 attraction으로는 너무 약해

- 골프장, 테니스장, 수영장, 눈썰매장, 낚시터, 전시공간, 공연장 등을 갖춘 complex를 만들어야

ㅇ 향후 농촌경제의 최대 문제는 농지가 하락 : 토지수요 창출 시급 - 농지이용․소유 규제를 완화해야 농촌에 투자유치가 가능

(돈, 땅, 사람 중에서 농촌이 가진 것은 땅 뿐)

- 투자가 될 듯 싶으면 지가를 올리는 폐습 시정되어야

→ 지자체, 농민단체가 토지제공을 미끼로 투자유치 주체가 돼야 - 시장을 믿어라, 무분별한 개발은 규제 때문에 생긴다.

(계획 개발과 규제는 다른 것 : 규제는 무분별한 개발의 위치를 바꿀 수 있을 뿐 막지는 못했다)

ㅇ 농민의 이익만을 생각하고 다른 문제는 다른 사람에게 맡겨라 - 농민, 농정 당국이 왜 식량안보, 자연환경보호를 내세워?

- 과거에 식량증산이 국익에 부합했던 때가 있었다.

(값이 떨어지는 것 열심히 생산하는 것은 「경제」가 아니다)

(14)

Ⅲ. 「동북아 경제 중심」구상의 의의

ㅇ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시급

- 가장 빠른 방법은 FDI 유치 : 기술, 자본 + Know-how, 영업 network, 일감(demand)

․우리끼리는 안되거나 시간이 너무 걸리는 경우

- 70년대 후반부터 제조업 개방, 외자유치 → 세계 최강의 제조업 실현 - 농업, 대부분의 서비스업 미개방, 경쟁의 자극 부재 → 낙후

→ DDA에서 개방해야

- ‘동북아’ 구상은 이런 의미에서 외국인 투자유치의 노력을 제조업 중심에서 지식기반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으로 그 지평을 확대하고자 하는 것

- 낙후된 사업지원 서비스업의 구조조정, 경쟁력 강화 없이는 첨단기술산업(제조업)의 FDI 유치로 한계

ㅇ 다국적 기업의 아시아 지역본부 유치

- 물류본부(DC) + 마케팅 본부, 금융본부, 디자인, 제품 개발, R&D Center, PM Center

- 관광, 레저, 스포츠, 교육, 의료 산업에서도 손님 빼앗기는 사태 시정되어야

- 싱가폴은 외국대학(원) 유치 노력, 우리는 비영리법인만 허용

* INSEAD, Wharton, Chicago Buisiness School, Johns Hopkins 의과대학 유치

ㅇ 서비스 산업 FDI 유치전략의 차이점

․ 제조업의 경우 : 기계가 들어옴 : 공장 등 공간마련, 세제/금융 지원으로 충분

․ 고급 서비스업 : 고급 전문인력이 들어오므로 공간마련 만으로는 안돼

․ 서비스 산업에서의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해서는 기업경영

(15)

ㅇ 사업환경 개선

- 노동법 관계 : 외국인 투자 유치의 가장 큰 장애 요인이 전투적 노조와 과격한 노사분규, 노사 협의의 대상이 아닌 것, 경영자가 해결할 수 없는 것을 내세워 분규를 일으키는 풍조

- 특구안의 외국인 투자 기업에서는 주휴 무급화(토요는 무급, 일요는 유급?), 월차배제, 생리휴가 무급화, 파견근로제 탄력화 (출입국 관리법을 감안하면 문제될 것 아무 것도 없어)

- 세제지원 :

․ 해외근무수당의 소득공제한도 20% → 40%

․ 소득세출 총 소득의 17% 단일 세율로 과세, 단순화

․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법인세 등 세제감면 혜택 확대

ㅇ 외국인의 생활여건 개선 : 영어가 안통한다 → 교육의 국제화 시급 - 외국인 학교에 대한 규제완화, 정부 지원 강화

- 의료 : 외국인 전용 병원 / 전담 의사 / 약국

- 주거 : 녹지공간, 레저, pastime 여건 갖춘 주거지 조성(전용 단지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 특구 내에서는 외화를 그대로 사용

- 출입국, 영주권 : 법무부 비교적 우호적, 많은 진전 - 외국인 등록 시 10指 지문채취, 전자식으로 개선

- 외국어 방송 : 라디오(digital 방송으로 채널 여유가 생기면) / 외국 방송 재송신 채널 비율 특구에 한해서만 10%→20%

(16)

ㅇ 국제화된 풍부한 전문인력 양성, 공급이 가장 중요

- 외국인들을 위해 하는 것 아니다 : 우리 다음 세대의 고소득 취업 기회 창출을 위한 것 : 국제화된 전문인력 양성 없이는 무의미 - 고급서비스업의 외국인 투자는 이런 인력 availability를 보고 온다

- 현재의 교육으로는 난망

․ 교육의 국제화(원어민 외국어 교사)

․ 교육에 있어서의 대표선수 양성(축구는 대표선수 필요하고 교육은 평준화?)

․ 외국인 학교에 대한 내국인 진학 문제(5%? 3%)

․ 이공계부터 영어강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외국인 학생, 교수를 위한 주거공간 : 97년 98예산에 반영 외환위기로 예산배정 취소 : 다시 재시도)

- 교육이 서비스‘산업’ 이라는 인식 자체가 부재 : 교육도 산업 이고 의료도 산업이다 : 이 분야에서도 교육부와 복지부가 대외 개방에 그치지 말고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해서 앞장서야

ㅇ ‘동북아’ 구상은 ‘특구(경제자유구역)’가 핵심이 아니다 : 공산 국가가 하는 방식이라는 비판

- 나라 전체를, 모든 산업을 개방해야 한다는 것이 정답 : 동북아 구상(S/W)에서도 나라 전체에 적용하려고 무진애를 썼으나

‘나라 전체에 적용’을 주무부처가 도저히 납득을 하지 않는 경우에 부득이 급한 마음에 특구만에서라도 시도해보자는 것 - 월드컵에서 ‘히딩크를 통한 개방’이 불과 1년 반만에 거둔

성과를 보고도 우리 국민의 mindset은 아직도 폐쇄적 : 특히 비경제부처

ㅇ「동북아 경제중심」구상의 핵심은 Global Standard에 적응 → 기업하기 좋은나라 → 국․내외 투자 활성화 → 성장․고용확대

참조

관련 문서

쓰레기로 뒤범벅이 되어 생명의 지속성이 위협받고 있는 우리나라 바다와 강과 호수 및 저수지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산과 들과 흙을 뒤덮고 있는

맺음말

투자 및 소비 증가 금리상승, 주가 저평가.

주주자 본주의를 신봉하는 영미식 모델에서 재벌문제의 해결은 난망합니다... 겪었던 제조업의 경쟁력

- 카드채 카드채, , 내수부문 내수부문 中 中企여신 企여신 부실 부실 증가 증가 등 등 불안요인이 불안요인이 있으나 있으나

유엔기후변화협약 (UNFCCC)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의 간섭에 의한 기후변화가 식량 생산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하지 않을 수준으로 온실가스

상법, 증권거래법, 외감법, 각종 세법, 공인회계사법 형사범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민사소송의 대상임.

•• 세계경기 세계경기 상승세 상승세 둔화로 둔화로 원유수요는 원유수요는 소폭 소폭 감소할 감소할 것으로 것으로 보이고 보이고.. •• 산유국들에 산유국들에 대한 대한 증산압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