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교 컨설팅의 원리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학교 컨설팅의 원리 분석"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7, Vol. 25, No. 1, pp. 25~50

학교 컨설팅의 원리 분석

진 동 섭(서울대학교)*

김 효 정(서울대학교)**

요 약

이 논문은 기존의 학교 컨설팅 원리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원리로서의 완결성을 보 다 높이는 한편, 실천 지침으로서의 가치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 컨설팅의 원리로 제시된 것으로는 전문성의 원리, 독립성의 원리, 자문성의 원리, 일시성의 원리, 교육성의 원리, 자발성의 원리 등이 있다. 이러한 학교 컨설팅의 원리는 이론적으로는 학교 컨설팅의 본질을 규정하고, 실제적으로는 학교 컨설팅의 계획․실행․평가의 준거로 활용된다. 그런 데 기존의 원리들은 학교 컨설팅 목적과의 관련성이 부족하고, 개념적으로 모호하고, 학교 현장 고려가 부족한 면이 있다. 그리고 상호 간의 논리적 혹은 구조적 관계성이 결여된 것 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학교 컨설팅 원리 각각의 의미를 보다 명료 화․구체화하였고, 일부는 용어를 수정했다. 그리고 원리들 간의 관계에 관한 아이디어도 제시했다. 이 논문은 학교 컨설팅이라는 새로운 과제의 학문적 기반을 다지고 실천적 지침 으로서의 성격을 명확히 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주제어] 학교 컨설팅, 컨설팅, 학교 컨설팅의 원리

Ⅰ. 서 론

우리나라 교직 사회에는 2000년을 전후하여 학교 컨설팅(school consulting)에 관한 학문적․실제적 관심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다.1) 학문적 측면에서 ‘학교 컨설팅’이라는 활동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연구 대상이 된 것은 한국교육개발원 최상근 등(2000)의

*『2단계 BK21 역량기반 교육혁신 연구 사업단』 참여 교수임.

**『2단계 BK21 역량기반 교육혁신 연구 사업단』 참여 대학원생임.

1) 학교 컨설팅에 관한 이론적․실제적 관심의 전개 과정은 진동섭(2006) 참조.

(2)

연구원들에 의해서였다. 이후 학문적 관심의 기초는 진동섭(2003)이 간행한 “학교 컨설 팅”에 의해서 마련되었으며, 연구 기관, 대학원, 그리고 학교 현장 등에서 학문적 작업 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실제적 측면에서는 시․도 교육청과 시․군․구 교육청을 주축 으로 하여, ‘학교 컨설팅’, ‘수업 컨설팅’, ‘학생 생활 지도 컨설팅’, ‘컨설팅 학교 평가’

등과 같은 다양한 명칭의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학문적․실제적 영역에서

‘컨설팅’이라는 용어가 새롭게 확산되는 근저에는 컨설팅의 효과성에 대한 기대가 깔려 있다고 보인다. 의료, 법률, 경영 등에서 효과성이 드러나고 있는 컨설팅이 학교와 학교 구성원의 변화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것이다.

학교 현장에서 학교 컨설팅의 필요한 이유로는 학교의 역할과 기능 변화를 요구하는 사회적 변화, 학교 개혁의 실패, 학교 지원을 위한 새로운 흐름의 태동 등을 들 수 있다 (진동섭, 2003: 18-26).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학교 컨설팅은 기존 교육개혁 관행을 변화 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제로서 구안되었다. 학교 컨설팅이 이 취지에 부합하는 접근 방 법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우선 이론적 기반이 공고해져야 한다. 그리고 학교 컨설팅 활동이 본래의 취지와 목적에 합당하게 계획되고 시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학문적․실 제적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 연구자들의 인식이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 터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을 학문적 현실과 실제적 현실 두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 컨설팅의 개념적․이론적 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원리 분석이 필요하다. 현 재 학교 컨설팅은 학문적 관심이 태동하여 확산되어 가는 과정에 있다. 따라서, 아직은 소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연구 기관이나 대학원,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진 학교 컨설팅에 관한 연구도 많이 누적된 편은 아니다.2) 학교 컨설팅의 원리는 학교 컨설팅의 규범적 지향을 명확히 하여, 그 개념적․이념적 기반을 확립하는 기초가 된다. 때문에 학교 컨설팅 원리 분석은 학교 컨설팅에 관한 연구의 확산 과정에서 반드 시 필요하다.

둘째, 학교 컨설팅의 실천적 기반을 확립하기 위하여 원리 분석이 필요하다. 학교 컨 설팅이 시행되는 모습을 살펴보면, 학교 구성원들이 학교 컨설팅에 관한 정확한 정보나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학교 컨설팅에 참여한다(진동섭, 2006). 그리고, 앞서 살펴본 학 교 컨설팅 유례(類例)들의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컨설팅’이라는 하나의 현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의미가 혼재되어 쓰이고 있다. 또, 컨설팅의 본래 취지를 심각하게 위반하여, 학교 컨설팅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것이 옳은지 의심스러운 활동도 있다(진동섭 외, 2006: 377-378).3) 원리는 이러한 실제 활동의 계획․실행․평가 준거로서 기능하게 된다.

2) 진동섭(2006)에 따르면, 학교 컨설팅과 관련된 기존 연구 보고서는 5편, 관련 학회지는 2편이 있다. 보다 구체적인 학문적 연구 현황은 진동섭(2006) 참조.

3) 명칭은 ‘컨설팅’이지만, 학교 컨설팅의 본래 취지를 지키지 못 하고 있는 모습의 예는 진동 섭․홍창남(2006)의 연구에 제시되어 있다. 의뢰인의 자발성은 고려하지 않고, 교육청에서 추

(3)

따라서, 현재 규범적 수준에서 제시된 원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준거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요컨대,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적․실천적 측면에서 학교 컨설팅 원리들을 비판적으 로 분석하여 원리로서의 완결성을 높이고, 실천 지침으로서의 가치를 높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컨설팅의 원리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정리한다.

둘째, 선행 연구에 제시된 학교 컨설팅의 원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분석한다.

셋째, 기존 원리의 한계를 보완하여 학교 컨설팅의 원리를 새롭게 논의한다.

Ⅱ. 선행 문헌 분석

기존의 학교 컨설팅 원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분석을 위한 기준이 필요 하다. 분석 기준 모색은 학교 컨설팅이 대두된 배경에 관한 고찰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대두 배경에는 학교 컨설팅의 목적과 특징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원리는 실행 주체인 학교 컨설팅 주요 관련자의 성격, 관련자들 간의 관계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이 절에서는 학교 컨설팅의 대두 배경과 주요 관련자를 살펴본 후, 학교 컨설팅의 원리에 관한 선행 연구를 개관하였다.4)

1. 학교 컨설팅의 대두 배경

진동섭(2003)은 우리나라 학교 교육에 대한 우려와 불만을 개관한 후, 학교 컨설팅은 학교 교육의 위기와 개혁에 대한 반성에서 탐색되었음을 밝히고 있다(진동섭, 2003: 17).

그리고 구체적인 배경으로 학교의 역할과 기능 변화를 요구하는 사회 변화, 학교 개혁 의 실패, 새로운 학교 지원 흐름의 태동 등을 들고 있다(진동섭, 2003: 19-26).

학교 컨설팅의 대두 배경은 자연스럽게 학교 컨설팅의 목적과 특징에 관한 논의로 연

천 또는 지정하도록 하는 컨설팅 사례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 외에도 학교 컨설턴트의 선발 및 교육에 있어서 방법적 전문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내용적 전문성만 강조되고 있다는 점,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가 함께 성장하는 학습성에 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것 등을 추가 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4) 학교 컨설팅의 원리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학교 컨설팅과 경영 컨설팅의 공통점과 차이점, 학 교 컨설팅의 개념, 특성, 과업, 과정 등에 관한 이론적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면 관계상 논의와 직접 관련된 학교 컨설팅의 대두 배경, 주요 관련자,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원 리에 초점을 두어 언급하고자 한다. 추가적인 내용은 진동섭(2003)의 31-128과 진동섭․홍창남 (2006)의 378-383 참조.

(4)

결된다. 학교 컨설팅은 일선 학교 교원의 자발적 참여를 존중하는 활동, 학교를 개혁의 대상이 아닌 지원의 대상으로 보는 활동, 그리고 일선 학교와 학교 구성원들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지는 활동으로서의 특징을 가진다(진동섭, 2003). 이 특징은 학교 컨설팅 이 론의 초기 단계에 제시된 것이기 때문에 규범적 차원에서 규정된 특징에 가깝다. 그간 16개 시․도에서 실제로 이루어진 여러 가지 형태의 학교 컨설팅 활동들은 다양한 교원 인적 자원의 발굴과 집단화, 학교 컨설턴트 및 학교 컨설팅 관련 집단들의 네트워킹 형 성, 교사들의 자발적 전문성 향상 의지와 노력 확인, 자조자강(自助自强)과 개방적 교사 문화 형성의 가능성 확인, 교육행정 기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새로운 각성 등의 특징 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진동섭, 2006).

여기에서 진동섭(2003)의 연구에서 제시한 학교 컨설팅의 원리가 학교 컨설팅의 대두 배경, 목적 및 특징과 긴밀하게 연결되는지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문제 제기는

‘학교 컨설팅의 대두 배경을 통해, 학교 컨설팅의 목적과 특징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기존 원리가 이를 타당하게 반영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바꾸어 볼 수 있을 것이다.

2. 학교 컨설팅의 주요 관련자

컨설팅이 의뢰인과 컨설턴트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의되듯이, 학교 컨설팅 역시 주요 관련자를 중심으로 그 개념과 특징이 정의된다. 단위 학교 구성원을 개혁의 주체로 보 느냐, 대상으로 보느냐에 따라서 학교 개혁의 접근법이 달라지는데, 학교 컨설팅에서 주 요 관련자를 어떤 성격으로 규정하느냐에 따라서 원리도 달라진다. 따라서 기존 원리 분석에 앞서 주요 관련자의 개념 및 성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그림 1] 참조).

[그림 1] 학교 컨설팅의 주요 관련자 자료: 진동섭(2003: 62)의 내용을 수정․보완함.5)

(5)

가. 의뢰인

의뢰인은 다른 사람에게 일을 맡긴 사람을 말한다. 의료 분야의 주된 의뢰인은 의사 이고, 경영 분야에서 주된 의뢰인은 경영자라는 것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의뢰자 문제 는 ‘누가 문제 해결이나 수행 성과의 향상에 실질적인 책임을 지고 있는가’와 직결된다.

학교 컨설팅 의뢰인은 학교와 학교 구성원으로서, 개인 수준, 팀 수준, 그리고 조직 수준에서 모두 의뢰할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의뢰인은 단위 학교의 교원이다. 더 나아 가 교사 소집단, 학부모, 행정 직원, 사립학교 재단 관리자, 단위 학교 전체, 교육 전문 직, 시․군․구 교육청 및 시․도 교육청, 교육인적자원부도 학교 컨설팅 의뢰인이 될 수 있다. 최근의 이론적․실제적 논의에서 학교 컨설팅의 의뢰인을 교사 중심으로 논의 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는 학교 컨설팅의 의뢰인이 교사에 한정된다는 뜻이 아니라, 학 교 개혁의 핵심 주도자가 교사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모습이다.6)

나. 학교 컨설턴트

학교 컨설턴트는 의뢰인의 과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또는 경험을 갖춘 전문가를 말한다. 학교 컨설턴트는 컨설팅이 의뢰된 과제를 매개로 하여 의뢰인과 만나 며, 과제에 대한 간접 책임을 진다.7) 컨설턴트의 전문성은 내용적 전문성과 방법적 전 문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전자는 학교와 학교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 자 체에 관한 지식, 기술, 경험을 의미하고, 후자는 문제 해결 과정, 절차, 도구에 관한 지 식, 기술, 경험을 의미한다. 잠재적 학교 컨설턴트 자원으로는 학교 현장의 우수한 교원 을 들 수 있다. 학교 컨설턴트의 전문성은 의뢰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에서 나 오기 때문에, 교원, 교육 전문직, 교육행정가 뿐만 아니라 학교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 할 수 있는 교육 이론가, 교육 이외 분야 전문가 등도 학교 컨설턴트가 될 수 있다.

5) 학교 컨설팅 관리자의 개념 및 역할이 구체적으로 논의된 선행 연구는 없으나, 학교 컨설팅에 관한 공개 강좌 등에서 학교 컨설팅 관리자가 꾸준히 제시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컨설팅 관리자를 포함하여 학교 컨설팅의 주요 관련자를 논의하였다.

6) 학교 컨설팅의 주된 의뢰인으로 교사가 논의되는 맥락은 교육개혁 확산 연구의 동향에서도 나 타난다. 교육개혁 확산 연구에서는 주로 응답자를 학교 행정직 종사자보다는 교사에 초점을 두고 있다(Rogers, 2003). 학교 컨설팅이 학교 현장에 자리잡아감에 따라 그 의뢰인 역시 다양 해질 것이라 예상해 볼 수 있으나, 단위 학교 변화와 학교 개혁에 있어서 교사의 위치를 생각 할 때 학교 컨설팅 의뢰자로서의 교사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것이라 생각해 볼 수 있다.

7) 학교 컨설턴트가 의뢰된 과제에 대하여 ‘간접 책임’을 진다는 것이 학교 컨설턴트가 가지는 책 임이 적다거나 책임 회피가 가능하다는 뜻은 아니다. 해당 컨설팅을 선택함으로써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의뢰인에게 있으나, 학교 컨설턴트 역시 컨설팅의 질에 대한 책임감은 가져야 한 다. ‘학교 컨설턴트의 간접 책임’을 통해 강조하고자 하는 바는 ‘의뢰인의 직접 책임’과 ‘의뢰인 의 주도적인 역할’이다.

(6)

다. 학교 컨설팅 관리자

학교 컨설팅 관리자는 학교 컨설팅의 전반적인 과정을 관장하고, 원활한 학교 컨설팅 진행을 지원하는 전문가이다.8)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의뢰인은 학교 컨설팅 관리 자에게 학교 컨설팅을 의뢰하며, 학교 컨설턴트는 학교 컨설팅 관리자를 통해 의뢰인을 만난다.9) 의뢰인이 자신의 문제를 잘 해결해 줄 수 있는 컨설턴트를 구할 수 있다면 가 장 좋지만, 그런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단위 학교, 소지구 혹은 대지구 내 에서 학교 컨설팅을 관장하고, 총괄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학교 컨설팅 관리자의 역할로 는 학교 컨설팅 여건 조성,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 연결 및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현 재 단위 학교 교수학습 지원 담당 교사, 지역 교육청 내 교수 학습 지원 담당 부서, 수 업 컨설팅 추진 위원회 등이 학교 컨설팅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기존의 학교 컨설팅 원리

학교 컨설팅이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된지 3년여 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관련 문 헌은 매우 드물다. 그렇기 때문에 “원리”에 관한 문헌은 더 적을 수밖에 없다. 학교 컨 설팅 원리를 다룬 문헌은 4편 정도에 불과하다(홍창남 2002; 진동섭 2003; 진동섭․김도 기 2005; 김도기, 2005). 진동섭의 저서(2003)와 홍창남의 논문(2002)은 각각 학교 컨설팅 과 학교경영컨설팅의 원리를 정리했고, 진동섭x김도기(2005)와 김도기(2005)의 논문은 학 교 컨설팅을 장학에 적용한 컨설팅 장학의 원리를 다루었다. 이 절에서는 이들에 의해 제시된 학교 컨설팅 원리들을 정리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가. 학교 컨설팅의 원리

학교 컨설팅의 원리가 최초로 문헌에 소개된 것은 2003년 진동섭의 저서에 의해서였 다. 그는 학교 컨설팅의 원리로 전문성의 원리, 독립성의 원리, 자문성의 원리, 일시성의 원리, 교육성의 원리, 그리고 자발성의 원리를 제시하였다(진동섭, 2003: 81-88). 교육행

8) 학교 컨설팅 관리는 한 명이 할 수도 있고, 다수로 구성된 팀이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논 의의 용이성을 위하여 학교 컨설팅 관리팀의 경우를 포함하여 학교 컨설팅 관리자라 칭한다.

9) 김도기(2005)의 연구에서는 컨설팅 장학의 주체로 컨설팅 장학 관리자를 제시한다. 학교 조직 과 교직 사회의 특성상, 공개적으로 도움을 주고 받는 문화가 정착되어 있지 않고(김병찬, 1995; 강영삼, 1998; Lortie, 1975), 의뢰인과 장학요원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고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관리자 역할이 추가된 것이다. 컨설팅 장학 관리자는 의뢰인과 장학요원 사이를 연결 해 줄 뿐만 아니라, 컨설팅 장학 전반을 관장하고 지원한다. 학교 컨설팅에서도 학교 컨설팅 관리자가 중요한 주체이다.

(7)

정의 원리를 구안할 때, 교육행정과 일반 행정의 공통점을 고려하고 동시에 교육을 위 한 행정이라는 점에서 그 특수성을 고려하는 것과 같이, 학교 컨설팅의 원리를 구안할 때는 경영 컨설팅의 특성과 함께 학교 조직의 특수성이 고려되었다(진동섭, 2003: 81).

일반 컨설팅에서는 학자마다 컨설팅 초점을 다른 데 두고 특성을 규정한다.

Gallessich(1981: 10-12)가 컨설팅의 초점을 ‘사람’에 두고 컨설턴트의 역할을 중심으로 컨설팅의 특성을 기술했다면, Kubr(1996: 4-7)는 초점을 ‘조직’에 두었다. 초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컨설팅의 특성은 다르게 규정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컨설팅이 전문적 활동, 일시적 활동, 자문적 활동, 독립적 활동, 그리고 영리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는 대체적으로 견해의 일치를 보이고 있다.10)

진동섭(2003)이 제시한 학교 컨설팅의 원리 중에서 전문성의 원리, 일시성의 원리, 자 문성의 원리, 독립성의 원리에는 경영 컨설팅의 성격이 반영되었다. 그런데 두 가지 점 에서 학교 조직의 특수성이 반영되었다. 첫째, 영리적 활동으로서 특성은 학교 컨설팅의 원리에서 제외되었다. 학교 컨설팅은 교육이라는 공익적 활동을 수행하는 학교 조직에 서 그 구성원들의 문제와 과제 해결을 돕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활동이 개인이나 사적 조직에 의해 영리적 목적으로 운영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따라서 학교 컨설팅의 원리에서 영리성을 제외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둘째, 경영 컨설팅과는 달리 자 발성의 원리와 교육성의 원리가 추가되었다. 이 두 원리는 학교 컨설팅과 경영 컨설팅 의 차별성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 안에는 ‘교원들의 자발적․자조적(自助的)인 전문성 개발’이라는 학교 컨설팅의 본질에 대한 지향이 담겨 있다고 생각 한다. 이상과 같은 과 정을 거쳐 구안된 학교 컨설팅의 6개 원리를 간단하게 요약x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전문성의 원리는 학교 컨설턴트가 갖추어야 하는 전문성에 관한 원리이다. 이 원리에 서는 학교 컨설턴트의 실제적 전문성을 강조한다.

▪독립성의 원리는 학교 컨설턴트와 의뢰인의 관계에 관한 원리로서, 학교 컨설턴트가 의뢰인과 상급자-하급자 관계에 놓여 있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자문성의 원리는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의 권한 및 책임에 관한 원리인데, 여기에서 는 컨설턴트가 의뢰인을 대신하여 과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는 것이 강조된다.

▪일시성의 원리는 의뢰된 문제가 해결되면 컨설팅 관계는 종료되어야 함을 규정하는

10) 학교 컨설팅의 원리를 구안하는 과정에서는 일반 컨설팅 활동의 성격이 고려되었다. 그 구체 적인 내용을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Kubr, 1996).

①컨설팅은 경영과 사업에 관한 실제적인 문제들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제공한다 (전문적 활동). ②컨설턴트는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기간 동안 문제 해결에 전념하지만, 일단 작업이 완료되면 고객 조직을 떠난다(일시적 활동). ③예외적인 경우도 있으나, 컨설턴트가 고객 조직을 직접 경영하거나 경영자를 대신하여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리지 않는다(자문적 활동). ④컨설턴트는 일을 할 때 편견 없이 일해야 한다(독립적 활동). ⑤컨설팅은 고객과 컨 설턴트 양자의 기준에 따라 재정적으로도 실현 가능하고 상업적으로도 이익이 나는 활동이어 야 한다(영리적 활동).

(8)

원리이다.

▪교육성의 원리는 학교 컨설턴트와 의뢰인이 교육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 는데, 학교 컨설팅 과정이 의뢰인의 교육 과정이어야 함을 강조한다.

▪자발성의 원리는 학교 컨설팅은 의뢰인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컨설턴트에게 도움을 요청함으로써 시작된다는 원리이다.

나. 컨설팅 장학의 원리

컨설팅 장학은 학교 컨설팅의 의미와 원리를 장학에 적용한 개념이다. 따라서 컨설팅 장학의 원리는 장학의 원리 및 학교 컨설팅의 원리와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컨설팅 장학은 기존 장학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되는 새로운 장학의 형 태이다(김도기, 2005: 5). 기존 장학과의 차이는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으나, 이 논문에 서는 원리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장학의 원리, 특히 교내 자율 장학의 원리로 는 학교 중심성, 협력성, 다양성, 계속성, 자율성, 자기 발전성 등이 제시되었다(이윤식, 1999). 컨설팅 장학의 원리와 장학 원리의 차이는 계속성의 원리와 일시성의 원리에 있 다(진동섭 외, 2004: 15). 교내 자율 장학은 학교장을 책임자로 하여 전체 계획이 수립․

실시된다는 점에서 계속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컨설팅 장학은 장학요원이 의뢰인의 과 제 해결을 한정된 시간에 지원하고, 동일한 과제에 대해서는 컨설팅 장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점에서 일시성이 요구된다.

학교 컨설팅과의 관련성을 생각해 보면, 컨설팅 장학은 교사 전문성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대표적 활동인 장학을 개선하기 위하여 학교 컨설팅의 의미와 원리를 장학에 접목 시킨 활동이다. 이런 이유로 컨설팅 장학의 원리로 제시된 것들은 학교 컨설팅의 원리 와 다르지 않다. 즉, 자발성의 원리, 전문성의 원리, 자문성의 원리, 독립성의 원리, 일시 성의 원리, 교육성의 원리가 제시되었다(진동섭 외, 2005: 10-12). 차이가 있다면, 학교 컨설팅의 원리가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술된 반면, 컨설팅 장학 의 원리는 의뢰인과 장학요원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다는 점이다.

요컨대, 원리의 측면에서 컨설팅 장학은 기존 장학과는 차이가 있으나, 학교 컨설팅과 의 차이는 부각되지 않는다. 김도기(2005)의 연구에서 컨설팅 장학의 개념, 원리, 절차에 관한 이론적 정교화 노력이 이루어졌으나, 일반적으로 학교 컨설팅의 개념, 원리, 절차 와 대동소이한 것이 사실이다.

(9)

Ⅲ. 원리 분석의 기준과 틀

학교 컨설팅의 원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원리로서의 완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논의되어야 하는데, 논의가 결여된 부분은 없는가’라는 내용 측면의 접근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앞에서 살펴본 학교 컨설팅의 대두 배경과 주요 관련자는 학교 컨설팅의 원리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하는 준거 내용이 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이 ‘이 내용을 어떤 측면에서 분석할 것인가’ 하는 기준이다. 이 절에서는 학교 컨설 팅 원리 분석의 기준과 그에 기초한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1. 원리 분석의 기준

학교 컨설팅 원리 분석의 기준을 탐색함에 있어서 가지게 되는 질문은 ‘학교 컨설팅 의 이론적 측면과 실제적 측면에서 원리가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원리가 가지는 의 미에 비추어 볼 때, 원리가 갖추어야 하는 조건은 무엇인가’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질 문을 실마리로 하여 원리 분석 기준을 모색하였다.

첫째, 원리는 학문적 영역과 실천적 영역에서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것이 도출된 취지와 배경에 부합해야만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도구, 수단,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목적과 합치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의미를 갖지 못 한 다. 학교 컨설팅의 원리는 학교 컨설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이다. 따라서, 학교 컨설팅의 원리는 학교 컨설팅의 문제 의식 및 목적과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

둘째, 원리는 연구자와 실천가 간 의사 소통의 도구가 되기 때문에, 그 의미와 진술 방식이 명료해야만 한다. 앞서 연구의 필요성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학교 현장에서는 학교 컨설팅의 성격에 관한 정확한 이해가 결여된 상황에서 실천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 고 있다. ‘컨설팅’이라고 동일하게 명명하고 있으나, 구체적 활동의 의미와 내용은 다르 다. 학교 컨설팅이 학교 현장에서 자리 잡아 가는 과정 중에 구현되는 모습이 다양할 수는 있다. 중요한 것은 다양성 속에는 ‘컨설팅’의 본질이 공유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 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자가 제시한 학교 컨설팅의 본질이 실천가에게 명확하게 이해되 어야 하며, 마찬가지로 실천가의 피드백이 연구자에게 이해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에서 공통의 언어 역할을 하는 것이 원리이기 때문에 원리는 그 의미와 진술 이 명료해야 한다.

셋째, 원리는 이론적 작업에 터하여 구안되었다 하더라도, 실제 활동을 위한 지침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적용 가능성이 중요하다. 교육행정 주요 원리의 역할이 교육행정 활동의 수행 방향 및 평가 기준 제시 측면에서 논의되듯이(신철순, 1988), 원

(10)

리는 계획․실행․평가에 있어 준거의 역할을 한다(진동섭, 2003: 81). 특히, 학교 컨설 팅은 학교 개혁의 방향을 제시하는 규범적 접근 방법임과 동시에, 실천적 과제의 성격 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진동섭, 2006). 따라서, 학교 컨설팅의 원리에서는 ‘실제 학교 현 장에서 구현될 가능성이 있는가’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원리의 의미와 원리가 갖추어야 하는 조건은 본 연구의 필요성인 학 교 컨설팅의 개념적․이론적 기반 구축과 실천적 기반 구축과 닿아 있다. 학교 컨설팅 이 개념적․이론적 기반과 실천적 기반을 다지기 위해서는 ①학교 컨설팅의 원리가 학 교 컨설팅 목적과 합치되어야 하며, ②그 의미와 진술이 명료해야 하며, ③현장 적용 가 능성이 높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컨설팅 원리 분석의 기준으로 타당성, 명료성, 현실 적합성을 설정하였다. 개념적으로, 학교 컨설팅 원리 분석의 기준으로 타 당성, 명료성, 현장 적합성 이외에도 다른 원리 분석 기준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앞서 제시한 연구의 필요성에 비추어 보았을 때, 전술한 세 가지 원리가 타 당하다고 판단되어 이들에 제한하고자 한다.

가. 타당성

타당성(妥當性, validity)은 학교 컨설팅 목적 달성과의 관련성을 뜻한다. ‘타당’의 사 전상 의미는 ‘일의 이치로 보아 옳다’인데(국립국어연구원, 1999), 이는 논의되는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다양하게 사용된다.11) 타당성을 중요한 개념으로 하는 검사 도구를 예로 하여 살펴보면 타당성은 ‘도구가 목적 달성면에서 제 기능을 수행하는가’를 뜻한다(박종 렬 외, 2003: 147). 이는 판단 및 측정 방법에 따라 구인 타당도, 내용 타당도, 공인 타당 도, 예언 타당도, 업무 관련 타당도 등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타당’의 판단 준거가 ‘목 적’에 있다는 것은 공통적이다. 따라서 타당성은 합목적성과 상통한다. 따라서, 학교 컨 설팅 원리 분석 기준으로서의 타당성은 ‘원리가 학교 컨설팅의 취지와 목적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가’를 뜻한다. 학교 컨설팅의 대두 배경에 담긴 문제 의식과 목적을 담아 내지 못 하는 원리라면, 그것은 원리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나. 명료성

명료성(明瞭性, clearness)은 학교 컨설팅 원리의 개념과 의미가 뚜렷하고 분명한 정도 이다. 명료성의 반대는 모호성(模糊性, ambiguity)인데, 이는 말이나 태도가 흐리터분하

11) validity는 타당도 혹은 타당성으로 번역된다. 특정 학문에서는 타당도와 타당성을 구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논의가 있으나(이혁규, 2004: 176), 본 연구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고 일반 적으로 논의되는 타당도와 타당성의 의미를 사용한다.

(11)

여 불분명한 것을 뜻한다(국립국어연구원, 1999). 어떤 상황이나 현상이 모호할 경우, 동 일한 상황이나 현상에 대해 다수의 지각 방식이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Feldman, 1989:

5), 규범적으로나 실천적으로 올바른 방향 제시를 할 수 없게 된다. 명료성은 의미의 명 료성과 진술의 명료성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컨설팅의 원 리 각각에 담긴 의미의 명료성, 그리고 그 의미가 진술된 방식의 명료성 측면에서 원리 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학교 컨설팅의 의미가 불분명하고 모호하게 진술되면, 학 교 컨설팅에 관한 계획과 실행은 물론, 학문적 논의가 생산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다. 현장 적합성

현장 적합성(現場 適合性, goodness of fit to school)은 학교 컨설팅 원리에서의 취지 가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정도를 뜻한다. 적합(適合)하다는 것은 ‘알맞게 들어맞다’는 뜻이다(국립국어연구원, 1999). 학교 컨설팅의 원리 분석 기준으로서의 현장 적합성은 사실적 실효성(feasibility), 즉 어떤 정책․사업이 채택되어 진행될 수 있는 가능성의 정 도와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박호숙, 2003: 69-70). 현장 적합성을 고려하지 않고 제시된 원리는 학교 현장에서 실천적 지침으로 활용 되기 어렵다. 새로운 정책이나 아이디어가 시행될 때에는 소수를 대상으로 모의 실시, 혹은 시범 실시가 이루어지고, 첨예하게 대 립되는 문제일수록 전문가 협의회, 워크샵 등을 통해 다양한 교육 관계자의 의견을 반 영한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며, 관련 이론에 기초하여 구안된 모형이나 아이디어가 다소간 이상적인 성격을 가질 수 밖에 없다는 한계를 극복 하기 위한 것이다. 학교 컨설팅의 원리 역시 학교 조직 구성원의 역할 및 특성, 교육행 정 조직 위계 속에서 단위 학교와 교사가 가지는 위상, 학교 컨설팅 주요 관련자들 간 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현장에 적합해야 한다. 학교 컨설팅의 원리가 현장에 적합하지 않으면 그 본래 목적을 실현하기 어렵다.

2. 원리 분석의 틀

진동섭(2003)이 제시한 6개의 학교 컨설팅 원리는 후속된 학문적․실제적 관심의 기 준 및 규범이 되는 최초의 원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그러나 학교 컨설팅 이론 을 심화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실제 운영의 기준을 보다 엄밀하게 제시하기 위 해서는 기존의 학교 컨설팅 원리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학교 컨설 팅 원리에 관한 논의는 크게 두 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다. 하나는 앞서 살펴본 원리 분 석의 기준에 비추어, 각각의 원리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

(12)

는 원리들 간의 논리적․구조적 관계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교 컨설팅의 원리를 타당성, 명료성, 현장 적합성에 비추어 분석하고자 한다. 6개 원 리를 이 3가지 기준으로 분석할 때, 분석의 틀은 아래 표와 같이 제시해 볼 수 있다.

학교 컨설팅의 원리 분석 기준

자발성 전문성 자문성 일시성 독립성 교육성

타당성 명료성 현장적합성

<표 1> 학교 컨설팅 원리 분석의 틀

후속되는 분석에서는 위의 분석 틀에 비추어 논의를 전개하되, 분석 기준 충족 여부 가 자명한 경우 자세한 언급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분석 기준에 비추어 보았을 때 수정 이 필요한 부분에 초점을 두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Ⅳ. 분석과 논의

학교 컨설팅의 기존 원리에는 학교 컨설팅 목적에 합치되지 못 한 면, 의미와 기술 방식이 명료하지 못 한 면, 그리고 현장 적합성을 고려하지 못 한 면 등이 있었다. 아래 에서는 기존 원리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기술하고, 타당성, 명료성, 현장 적합 성 측면에서 수정․보완하였다. 그리고 원리들 간 관계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1. 자발성의 원리

자발성의 원리는 학교 컨설팅의 시작은 의뢰인의 자발성에 기초해야 한다는 원리이 다. 학교 컨설팅을 위한 최초의 접촉은 학교 컨설턴트, 의뢰인, 그리고 학교 컨설팅 관 리자 어느 쪽에서도 시작할 수 있는데, 최초 접촉 형태가 어떠하든지, 학교 컨설팅은 의 뢰인의 의뢰로부터 시작된다. 이 원리는 교원의 자발적인 참여가 학교 개혁 성패의 관 건이라는 학교 컨설팅의 기본 신념을 생각할 때(진동섭, 2003: 17), 학교 컨설팅의 목적 에 타당하게 부합된다. 그런데, 자발성의 원리를 실천하고자 할 때, 컨설팅 현장인 교직 사회의 현실과 충돌하는 면은 없는지, 공적 조직이라는 학교 조직의 특성이 자발성의 원리에 영향을 미치는 측면은 없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12) 따라서

(13)

자발성 원리의 현장 적합성에 대해서는 보완이 필요하다.

현장 적합성 측면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것이 고안된(contrived) 자발성이다. 자발성의 사전적 의미는 ‘남의 교시(敎示)나 영향에 의하지 아니하고, 자기 내부의 원인과 힘에 의하여 사고나 행위가 이루어지는 특성’이다(국립국어연구원, 1999). 이에 따르면, 학교 컨설팅을 받아야겠다는 생각부터 의뢰인 스스로 하는 것이 진정한 자발성이다. 그러나 학교 구성원들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도움을 청하거나 받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필 요한 경우 학교 컨설턴트가 적극적으로 컨설팅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의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의뢰된 학교 컨설팅은 “고안된 자발성”에 의한 것이다.13)

고안된 자발성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하는 것은 학교 교육의 공공성과 책무성이다. 경 영 컨설팅의 경우, 기업의 이익 창출이라는 사적 측면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학교 컨설 팅은 다르다. 학교는 공공성과 책무성을 가지는 공적 조직이다. 개인 조직의 이익 창출 을 위한 컨설팅 의뢰는 선택의 문제이지만, 책무성을 가지는 공적 조직의 경우에는 변 화와 발전을 위한 컨설팅 의뢰가 어느 정도 의무적이다. 즉, 학교 조직의 개선 노력은 단위 학교가 선택할 과제가 아니라, 학교 조직이 당연히 해야만 하는 의무인 것이다.

단, 고안된 자발성이 기존의 지도․감독이나 지시를 합리화하는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의뢰인을 바라보는 관점에 있어서 지도․감독과 고안된 자발성 사이에는 큰 차이 가 있다. 고안된 자발성은 기본적으로 교원 전문성 개발에 관한 결핍 모델이 아닌, 성장 모델을 전제로 하며,14) 자율적 판단 능력을 가진 전문가로서의 교원의 정체성을 존중한 다. 학교 컨설턴트와 학교 컨설팅 관리자는 의뢰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전문가 대 전문 가라는 동등한 입장에서 의뢰를 ‘권유’하며, 의뢰 여부 결정권은 의뢰인에게 있다.

2. 전문성의 원리

전문성의 원리는 학교 컨설팅이 전문성을 갖춘 학교 컨설턴트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

12) 이에 대해서 진동섭(2003)도 교원이 컨설팅에 대해 가지는 욕구가 다른 조직 구성원에 비해 높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컨설턴트가 학교나 교원에게 먼저 접근해야 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진동섭, 2003: 87). 그러나 학교 현장의 구체적인 상황과 관련하여 논 의되지 않았다.

13) 고안된 자발성에서 ‘고안된(contrived)’은 Hargreaves가 교사 문화와 관련하여 논의한 contrived collegiality에서 그 시사점을 얻을 것이다(Hargreaves, 1994: 186-211). 고안된 관계 의 특징으로는 행정적 규제, 필수, 실행 지향, 시공간의 고정, 예측 가능성 등을 들 수 있다.

14) 교원 능력 개발에 대한 접근법은 흔히 결핍 모델과 성장 모델로 구분된다(Eraut, 1978; Alkin, 1992). 결핍 모델은 부족한 부분의 보완에 주안점을 둔 훈련 관점이다. 이에 비해 성장 모델 은 가르치는 일이 복잡하고 다면적인 활동임을 전제로 하여, 교원이 동료와 협동하여 스스로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데 주안점을 둔다. 고안된 자발성에 의해 컨설팅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도, 그 기본적인 접근은 성장 모델을 전제로 한다.

(14)

다는 원리이다. 진동섭(2003)에서는 학교 컨설턴트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형식적 전문성 과 실제적 전문성(2003: 82), 방법적 전문성과 내용적 전문성(2003: 54-55)을 논의하고 있 다. 그 동안 학교와 학교 구성원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다양한 활동들이 실제 과제 해결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었다. 이것은 학교 컨설팅의 본질적인 문제 의식의 하나였다. 따라서 전문성이 원리는 학교 컨설팅의 원리로 타당한 것이다.

전문성 중에서 형식적 전문성이 아니라 실제적 전문성을 강조한 것도 올바른 판단으로 보인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는 많은 내용적 전문성을 갖춘 사람들이 있고, 컨설팅 경험 및 연수 프로그램 등을 통해 방법적 전문성 역시 구축해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장 적합성도 충족시키고 있다. 그런데, 학교 컨설턴트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전문직의 기본 요건의 하나인 ‘윤리 의식’에 관한 언급은 없었다. 이 경우, ‘학교 컨설턴트는 수단과 방 법을 가리지 않고 의뢰된 과제만 해결하면 되는가’ 혹은 ‘의뢰된 과제가 비교육적일 경 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의 불명료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학교 컨설턴트의 전문성을 두 측면으로 나누어 재정의할 수 있다. 하나는 컨설턴트가 실제적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학교 컨설턴트가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윤리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성의 원리에서 말하는 전문성의 첫 번째 측면은 ‘실제적 전문성’이다. 형식적 전 문성이 컨설턴트가 가지고 있는 자격증, 직위, 소속된 기관의 위상에 수반하는 것이라 면, 실제적 전문성은 실제적으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에 기반을 둔 것이다. 학교 컨설팅은 이러한 실제적 전문성을 갖춘 컨설턴트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실제적 전문 성’은 학교와 관련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원들이 학교 컨설턴트로 활동 할 수 있도록 열어 놓는다는 의미를 가진다. 즉, 실제적 전문성은 학교 컨설턴트 풀 (pool)의 개방성(openness)과 관련된다. 따라서, 과제 해결 능력만 갖추고 있다면 학력, 경력, 학교 조직 내 위치와 무관하게, 현장 교원, 장학사 및 연구사, 대학 교수, 연구원,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모두 학교 컨설턴트가 될 수 있다.

전문성의 두 번째 측면은 ‘윤리 의식’이다. 학교 컨설턴트는 ‘컨설턴트’라는 전문 직업 세계에서 요구되는 여러 가지 윤리 규범을 지켜야만 한다. 즉, 학교 컨설턴트는 의뢰인 의 이익을 보호해야 하며 의뢰인이 컨설턴트의 성실성에 전적으로 의지할 수 있도록 행 동해야 한다. 이러한 윤리 규범에는 의뢰인의 이익 존중, 공평성과 객관성, 기밀 유지, 보다 넓은 차원의 교육적 이익과 윤리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보다 넓은 차원 의 교육적 이익과 윤리’는 불법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식적인 교육적 통념이나 학교 컨 설턴트의 개인 견해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못 한 의뢰에 관한 것이다. 경영 컨설팅에서 는 고객의 행동의 윤리성을 컨설턴트가 스스로 판단하도록 하고 있다(Kubr, 1996: 194).

의뢰인에게 상업적 기준과 윤리적 기준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15)

경영 컨설턴트에게도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와 같은 윤리적 과제는 학교 컨설턴트의 경우 보다 심각하게 다루어질 수 밖에 없다. 학교 컨설팅 수행 과정에서 부닥치게 되는 교육적 판단은 전적으로 전문가인 학교 컨설턴트가 가지는 윤리 의식에 달려 있다.

3. 자문성의 원리

자문성의 원리는 학교 컨설턴트가 의뢰인을 대신하여 교육 활동을 전개하거나 학교를 경영하지 않아야 하며, 결과에 대한 최종 책임이 의뢰인에게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 문성의 원리에서는 학교 컨설팅의 궁극적인 책임이 의뢰인에게 있음을 강조한다. 학교 개혁은 일차적으로 교원들을 포함한 학교 구성원의 일이자, 책임이라는 학교 컨설팅의 기본 입장(2003: 18)과 컨설팅을 선택함으로써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의뢰인에게 있다는 자문성의 원리(2003: 84)는 타당하게 연결된다. 그런데, 그 의미 측면에서 볼 때, 의뢰인 의 책임과 권한 문제를 경영 컨설팅 입장에서 기술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 컨설팅에서 자문성의 원리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뜻하는지 모호한 점이 있다. 그리고 교사들이 주로 교실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다양한 역할과 직무를 수행해야 하는 근무 여건을 고려할 때, 컨설턴트가 의뢰인 스스로 과제를 해결하도록 조언자․지도자로서의 역할만 수행하 도록 규정하는 원리의 현실 적합성에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 아래에서는 자문성 의 원리에서 명료성과 현장 적합성을 보완하여 새롭게 논의하고자 한다.

자문성을 보다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협의의 자문성과 광의의 자문성으로 나누어 생 각해 볼 필요가 있다. 협의로 접근할 경우, 자문성의 원리는 학교 컨설팅에서의 권한과 책임 관계를 규정하며, 광의로 접근할 경우, 의뢰인의 주체 의식과 학습을 강조한다.

우선 자문성의 원리에 비추어 볼 때, 첫째, 학교 컨설팅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은 의뢰 인에게 있다. 컨설팅은 본질적으로 직접 지도의 성격이 아닌, 자문의 성격을 가진다. 자 문성의 원리에 비추어 보면, 학교 컨설턴트는 의뢰인의 과제를 자신이 도맡아서 해결해 줄 것이라는 인상을 주어서는 안 된다. 과제 해결을 위해 함께 노력하고 있는 컨설턴트 가 있다는 것이 의뢰인에게는 정서적 위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컨설팅에 대한 의뢰인 자신의 결정과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은 스스로에게 있다는 것을 주지시킬 필요가 있다.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는 의뢰인과 그 과제에 관한 전문성을 가진 학교 컨설 턴트가 만날 때, 이들 간에 일방적인 지도 관계 혹은 지시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의뢰 과제에 관해서 두 주체 사이에는 수준차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학교 컨설 팅은 의뢰에서부터 해결 방안의 수용 여부까지 주요 결정권은 의뢰인에게 있으며, 책임 역시 의뢰인에게 있다. 이러한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의 권한과 책임 관계는 다른 여 타의 학교 지원 활동과 학교 컨설팅을 구별 짓는 중요한 특징이다.

(16)

둘째, 자문성의 원리에서는 해결 방안 실행 단계에서 의뢰인의 주체 의식과 학습을 강조한다. 학교 컨설턴트는 지시적 역할에서부터 비지시적 역할까지 다양하게 수행한다.

지시적 역할에서 컨설턴트는 리더십을 가지고 활동을 주도하며, 비지시적 역할에서는 의뢰인에게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Lippitt & Lippitt, 1979: 31).

이 원리의 현장 적합성은 학교 컨설턴트의 지시적․비지시적 역할과 관련하여 명확하 게 할 수 있다. 이 역할들은 개념적으로는 구별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상호 간에 배타적 으로 활용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과제의 성격이나 의뢰인의 상황에 따라 컨설턴트의 역할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자문성에서의 강조점은 ‘학교 현장 상황이 어떠하든지 의뢰 인이 모든 것을 스스로 직접 해야 한다’에 있는 것이 아니라, 컨설팅에 대한 의뢰인의 주체 의식에 있다. 의뢰인이 ‘내 문제’라는 의식을 가질 때만이 의뢰된 과제는 보다 잘 해결될 수 있으며, 실행 과정 자체가 학교 컨설팅 과정을 체험하는 학습(learning by doing)이 될 수 있다. 성인 학습자는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한다(Webb & Norton, 1999: 369-370).

4. 한시성의 원리

일시성의 원리는 학교 컨설팅이 정해진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일시적 활동임을 규정 하고, 과제가 해결되면 학교 컨설팅 관계는 종료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원리이다. 이는

‘학교 교육 주체들의 역량 강화’라는 학교 컨설팅의 목적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또한 기간을 정함으로써 의뢰인과 컨설턴트의 참여와 책임 의식을 강조한다는 점에서도 타당 하다. 진동섭(2003)은 컨설팅의 목적은 의뢰인이 컨설턴트의 도움을 더 이상 필요로 하 지 않도록 만드는 것에 있다고 언급하면서, 일시성의 원리가 가지는 의의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추가되어야 하는 것은 진술 방식의 명료성과 관련된 논의이다. ‘일시’는 ‘일 회성’이 아닌, ‘한정된 시간’을 뜻한다. 즉, 의뢰된 과제가 해결되면 학교 컨설팅은 종료 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의뢰인이 학교 컨설턴트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었을 때 학교 컨설팅은 성공적으로 종료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일시성이 컨설팅 기 간의 단기성, 혹은 의뢰인과 컨설턴트 관계의 불안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 받을 여지가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일시’는 과제 해결 시간의 한시성을 뜻하는 것으로서, 일회 혹은 단기간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의뢰 과제에 따라 해결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 질 수도 있으며,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가 새로운 과제를 가지고 반복하여 만날 수도 있다. 그러나 일시성의 원리의 본래 뜻은 이러하지만, 오해의 여지가 있기 때문에 ‘과제 해결 시간의 제한’에 초점을 두어 원리의 명칭을 다시 붙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취지를 보다 명료하게 진술하기 위하여, ‘한시성의 원리’를 제안한다. 한시성의

(17)

원리가 학교 컨설턴트와 의뢰인에게 가지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컨설턴트에게 현재의 의뢰인은 미래의 잠재적 고객이다. 컨설턴트는 정해 진 기간 동안 전문성과 함께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함으로써 컨설팅의 성과를 높이고, 이러한 노력을 통해 미래의 고객을 확보한다. 둘째, 의뢰인 측면에서 볼 때, 컨설팅이 한시적으로 시행되기 때문에 의뢰인은 단순한 과제 해결 만이 아니라, 과제 해결을 위 한 전문적인 능력 향상에 더 집중하게 된다. 의뢰인이 학교 컨설턴트로부터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목적은 궁극적으로 학교 컨설턴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서이다.

이상의 내용에 비추어 볼 때, 성공적인 컨설팅은 학교 컨설팅 초기 단계에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가 합의한 기간에 컨설팅이 종료되는 것이다. 정해진 기간 이후에도 의뢰 인이 동일한 과제에 관하여 지속적으로 도움을 받아야 한다면 그 컨설팅은 성공적이지 못 한 것이다. 주의하여야 할 점은 한시성의 원리가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의 관계가 피상적이고 일회적이라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5. 독립성의 원리

독립성의 원리는 학교 컨설팅과 관련해서 학교 컨설턴트, 의뢰인, 학교 컨설팅 관리자 의 관계를 규정한 원리로서, 진동섭(2003)은 학교 컨설턴트의 독립성에 초점을 두어 독 립성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학교 컨설턴트가 의뢰인과의 관계에서 독립성과 객 관성을 유지해야 함과 동시에, 학교의 행정 체계로부터 자유롭게 활동하면서 성과를 보 여주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학교 컨설팅 성과와의 관련성을 생각할 때 독립성의 원리는 타당성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학교 컨설팅에서는 경영 컨설팅과는 다른 국면에서 독립성이 논의된다. 따라 서, 학교 조직 특성과 학교 컨설팅 주체 측면에서 보다 심층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 가 있다. 첫째, 주요 관련자로 학교 컨설팅 관리자가 추가되었기 때문에 학교 컨설턴트, 의뢰인, 학교 컨설팅 관리자의 3자 관계를 중심으로 독립성의 의미가 명료해 져야 한다.

둘째,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적용 모습과 관련하여 학교 컨설턴트가 학교 조직 내에서 가지는 위치 뿐만 아니라, 의뢰인이 학교 조직 내에서 가지는 위치도 충분히 고려하여 원리의 현장 적합성을 논의해야 한다. 경영 컨설팅의 경우, ‘독립성’의 초점이 컨설턴트 에 있다. 그렇지만, 학교 컨설팅의 경우 학교 조직의 특성상 학교 컨설턴트와 의뢰인 양 자 모두에 초점을 맞추어 독립성이 논의되어야 한다. 명료성과 현장 적합성을 고려하여, 학교 컨설턴트와 의뢰인 두 측면에서 독립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 컨설턴트 측면에서 본 독립성의 원리는 학교 컨설턴트가 고용 관계에서 오는 종 속적 관계로부터 독립적이어야 하며, 그와 함께 학교 컨설팅을 관리하는 위치에 있는

(18)

학교 컨설팅 관리자로부터 독립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첫째, 좁은 의미에서 학교 컨설턴트의 독립성은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 사이의 관계 와 관련된 것이다([그림 2] 학교 컨설턴트의 독립성 (1)). 학교 컨설턴트는 컨설팅 계약 을 기초로 의뢰인과 고용 관계를 맺게 된다. 고용에 의한 종속적 관계는 학교 컨설턴트 의 활동에 공식적․비공식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학교 컨설턴트는 이 고용 관계에 서 오는 영향력에서 벗어나 컨설턴트로서의 전문성에 기초하여 일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학교 컨설팅 관리가 상급 교육행정 기관이나 학교 행정가에 의해 이루어지더라 도 컨설턴트는 관리 주체로부터 독립적이어야 한다([그림 2] 학교 컨설턴트의 독립성 (2)). 학교 컨설턴트와 학교 컨설팅 관리자의 관계는 직접 책임 관계는 아니다. 그러나 학교 컨설턴트는 학교 컨설팅 관리자가 통괄하는 조직에 소속되며, 컨설팅 진행 과정에 서 학교 컨설팅 관리자와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된다. 학교 조직의 경우, 학교 컨설팅을 권유하고 관리하는 주체가 상급 교육행정 기관이나, 조직 내 상급자일 가능성이 크다.

학교 컨설턴트는 학교 컨설팅 관리자로부터 부당한 영향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 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림 2] 학교 컨설턴트의 독립성

의뢰인 측면에서 본 독립성의 원리는 의뢰인이 학교 조직 내에서 가지는 위치에서 독 립적이어야 하며, 그와 함께 학교 컨설팅을 권유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학교 컨설팅 관리자로부터 독립적어야 한다는 것이다.

첫째, 의뢰인은 학교 컨설턴트와의 관계에서 있어서 ‘의뢰인 대 학교 컨설턴트’ 이외 의 다른 관계에서 자유로워야 한다([그림 3] 의뢰인의 독립성 (1)). 컨설턴트가 될 수 있 는 구성원은 매우 다양한데, 기존에 장학 지도를 담당해 온 ‘선배 교사’나 ‘관리자’가 컨 설턴트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 때, 의뢰인은 수평적 위치에서 컨설팅을 의뢰하는 주체

(19)

가 아니라 지도를 받아야 하는 ‘후배 교사’ 혹은 ‘하급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의뢰인 은 ‘후배 교사’나 ‘하급자’라는 학교 조직 내 위치가 아닌, ‘도움을 필요로 하는 전문가’

로 규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독립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의뢰인과 컨설턴트의 관계가 종 속 관계, 상하 관계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실효성 있는 컨설팅이 되기 어렵다.

둘째, 학교 컨설팅 권유가 교육행정 기관이나 학교 행정가와 같은 학교 컨설팅 관리 자에 의해 이루어지더라도 의뢰인은 권유 주체로부터 독립적이어야 한다([그림 3] 의뢰 인의 독립성(2)). 앞서 살펴본 자발성의 원리나 자문성의 원리에서 알 수 있듯이 학교 컨설팅의 주체는 의뢰인이며, 책임 역시 궁극적으로 의뢰인이 진다. 따라서 학교 컨설팅 관리자는 학교 컨설팅이 잘 이루어지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쳐야지 교육행정의 위계 속에서 의뢰인을 통제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그림 3] 의뢰인의 독립성

‘독립성의 원리’에서 강조하는 독립성이 학교 컨설턴트 혹은 의뢰인이 학교 조직 내부 의 구성원이어서는 안 된다는 뜻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학교 컨설턴트는 자 신의 전문성에 입각하여 객관적인 조언을 할 수 있도록, 그리고 의뢰인도 자신의 필요 성 해결을 위한 자유로운 컨설팅 의뢰를 할 수 있도록 부당한 영향력에서 상호 간에 자 유로워야 함으로 강조하는 것이다.

6. 학습성의 원리

교육성의 원리는 학교 컨설턴트와 의뢰인이 교육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인데, 여기 에서는 의뢰인의 교육적 경험이 강조된다(진동섭, 2003: 86-87). 의뢰인은 컨설턴트의 의 도적인 행동을 통해 컨설팅 내용과 컨설팅 방법에 관하여 학습하게 된다고 서술하고 있

(20)

다. 교육성의 의미와 개념 자체는 명료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학교 컨설팅 목적에 비추어 보았을 때의 타당성이나 현장 적합성 측면에서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학교 컨설팅의 목적을 고려할 때, 교육성은 학습성으로 대체되는 것이 타당하다. 학교 컨설팅의 목적은 학교 구성원의 자발적이고 자조적(自助的)인 전문성 개발에 있다. 여기 에서의 학교 구성원은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를 모두 포괄하는 말이다. 따라서 학교 컨설팅 과정은 의뢰인에게 학습 과정이 될 뿐만 아니라, 학교 컨설턴트에게도 학습 과 정이 되어야 한다. 특히, 학습이 상호 교환적인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생각할 때, ‘교육’

측면보다는 ‘학습’ 측면이 부각되는 것이 학교 컨설팅의 목적이 비추어 볼 때 더 타당하 다. 그리고 현장에서의 적합성을 생각할 때, 학교 컨설팅 과정에서 ‘교육’ 측면이 강조된 다면 의뢰인은 물론 컨설턴트에게도 부담이 커진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학교 컨설턴트에게는 과제 해결 지원과 의뢰인을 대상으로 한 컨설팅 교육, 의뢰인에게 는 자신의 과제 해결과 컨설팅 전문성 학습이라는 이중의 부담이 지워지는데, 학교의 현실에서 볼 때 쉬운 과제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학습은 일방적인 현상이 아니라 상호 교환적이다. 따라서 컨설팅 과정에서 학습은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 차원에서도 모두 일어난다. 그 구체적인 내용 을 의뢰인 차원과 학교 컨설턴트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의뢰인은 학교 컨설팅을 받는 과정 중에 ①내용 측면에서는 의뢰 과제 해결에 필요한 지식, 기술, 경험을 습득하고, ②방법 측면에서는 학교 컨설팅의 진행 절차와 방법, 학교 컨설턴트의 역할, 태도 및 윤리를 배운다. 내용 측면의 학습은 해결 방안을 모색․선택 하고 이를 실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방법 측면의 학습은 컨설턴트와의 상호 작용을 통 해 이루어진다. 진정한 학교 컨설팅은 ‘의뢰인이 스스로 도울 수 있는 법을 배우도록 하 는 것’이다. 의뢰인은 과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학교 컨설팅 자체에 관한 학습을 하 게 된다. 의뢰인의 학습에 초점을 두는 것은 의뢰인이 컨설턴트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 성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학교 컨설턴트는 의뢰인을 지원해 주는 과정에서 자신의 내용적 전문성과 방법적 전 문성을 심화시킨다. 과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의뢰인과 함께 해결해 나가는 과정 자 체가 학교 컨설턴트에게 창의성을 요구하는 학습 과정이다. 의뢰 과제에 관하여 기존 지식이 있다 할지라도, 의뢰인의 상황에 적합한 해결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내 용을 학습하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적용해야 한다. 즉, 학교 컨설턴트는 학교 컨설팅 과 정 중에 끊임없이 내용적․방법적 측면에서 학습하게 되며, 기존의 경험을 심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의뢰인이 컨설팅을 의뢰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경험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자체가 학교 컨설턴트 자신의 지식과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학습성의 원리에서 강조되는 ‘학습’은 의도적인 ‘교육’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21)

현상이다. 학교 컨설턴트가 의도적으로 가르치거나 의뢰인이 의도적으로 배우려고 하지 않아도 저절로 일어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학교 컨설팅을 통한 학습은 실제 경험을 통 해 이루어지는 학습이기 때문에 그 효과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일방적인 수혜 관 계가 아니라,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 모두가 서로의 학습에 도움을 주고 받는 학습성 의 원리는 학교 컨설팅의 목표이자 궁극적인 방향이라 할 것이다.

7. 원리 사이의 관계

이상에서 기존의 학교 컨설팅 원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새로운 학교 컨설팅의 원 리로서 자발성의 원리, 전문성의 원리, 자문성의 원리, 한시성의 원리, 독립성의 원리, 학습성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추가적으로 ‘각각의 원리는 학교 컨설팅의 어떤 측면을 반영하는가’, ‘각각의 원리들이 동등한 가치를 가지는가’, ‘원리들 간에 충돌하거 나 서로 보완해 주는 면은 없는가’ 등의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의문들은 학교 컨설팅의 원리들 간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진동섭(2003)의 저서에서는 6개 원리를 전문성, 독립성, 자문성, 일시성, 교육성, 자발 성의 순서로 제시하고 있다(진동섭, 2003: 81-88). 그러나 이 순서의 의미에 관한 논의가 없기 때문에 원리들 간의 관계 및 중요도 등을 알 수 없다. 김도기(2005)의 논문에서는 6개 원리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이를 구조적으로 나타내려고 하였다(김도기, 2005:

29-31). 김도기는 컨설팅 장학의 핵심 원리로 자발성과 전문성을 제시하고, 이를 중심으 로 하여 다른 4개 원리들 간의 관계를 기술하고 있다. 이는 원리들 간의 관계를 고려하 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자발성과 전문성이 핵심 원리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 선언적으로 제시되고, 다른 원리들이 기술하고자 하는 컨설팅 장학의 측면에 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는 진동섭․홍창남(2006)의 연구에서 다소 보완되고 있다. 이들은 학교 조직의 특성에 비추어 학교 컨설팅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 했다. 그리고 컨설팅의 개념적 본질에 대한 고찰과 컨설팅의 실제 과정에 대한 통찰을 근거로 하여 자발적 의뢰와 전문적 자문이 학교 컨설팅의 본질임을 밝히고 있다.

이상을 살펴볼 때, 학교 컨설팅 원리들은 원리들 간 관계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고 나열된 상태였으나, 관계에 대한 문제 의식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전 히 자발성과 전문성을 제외한 다른 원리들이 학교 컨설팅의 어떤 측면을 반영하는지, 원리들 간의 상충 관계나 보완 관계는 없는지 등에 관한 논의는 여전히 미흡하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여, 원리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 컨설팅의 핵심이 되는 두 개의 원리는 자발성의 원리와 전문성의 원리이 다. 이 두 원리는 학교 컨설팅 주된 관련자가 하는 활동, 즉 의뢰인의 자발적 의뢰와 함

참조

관련 문서

: 매수기업이 경영권 인수를 전제로 매수 대상의 기업의 주주로부터 주식을 매수하는 것(전체매수 / 부분매수).. 합병ㆍ매수의 형태 2)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 Modified version of PVW : “a particle is in static equilibrium if and only if the virtual work done by the externally applied forces vanishes for all

Forces exerted by a flowing fluid on a pipe bend, enlargement, or contraction in a pipeline may be computed by a application of the impulse-momentum principle...

• Apply the principle of work and energy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point at which the spring is fully compressed and the velocity is zero. The only unknown in

Especially, the Principle of Legal grounds to local legislation by the interpretation of Constitutional law(especially §37 ②) and the provisory clause of Local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