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디 콘 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디 콘 대"

Copied!
3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전학

11주. 대전의 향교

지털 텐츠

(2)

1 . 향 교 란 ?

2 . 향 교 의 건 물 구 성 3 . 대 전 의 향 교

- 회덕향교와 진잠향교 -

(3)

1. 향교 (鄕校) 란?

• 고려 & 조선시기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 기 위하여 정부가 설립한 [官學] 중등교육 기관

• 공자를 위시한 성현에 대한 [제사]와 인재 양성을 위한 [강학]이라는 두 가지 기본 목 표를 가지고 설립 운영

• 그 외에도 사회교육과 교화의 차원에서 막 중한 임무를 수행

(4)

1) 문묘

(文廟)

선현봉사

(先賢奉祀, 祭享)

• 배우는 사람들로 하여금 공자를 비롯한 유교를 빛내고 발전시킨 성현들의 훌륭한 덕을 기리고, 그 위업을 물려받기 위함

• 향교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기능은 문묘 향사(享祀)의 기능으로 공자 이하 중국의 聖賢, 聖哲 및 우리나라 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배향하는 것

(5)

2) 강학 (講學)

• 조선시대 유학교육 기관

• 중앙에 문과를 준비하는 고등교육기관인

<成均館>

• 문과 예비시험인 생원과 진사시를 준비하 는 초,중등교육기관에 해당하는 <四學>과 지방에 <향교>를 官學으로 육성

• 지방의 私學으로는 <서원書院>과 <서당

>이 있었음

(6)

.

(소과)

생진과 성균관

(대과)

진사 생원

문과

<Career map>

<조선시대학교제도>

사학

동학 서학 남학 중학

(한성부)

(府.牧.郡.縣)

향교

지방 중앙

성균관

서 원 서 원 서원 서 원

<사학>

<관학>

- 5 -

(7)

3) 교화 (敎化)

• 향교는 지방의 풍속을 바로잡고 각종 의례 의 보급 및 전파 등을 통하여 유교적 이념 에 입각한 지역사회의 교화에 많은 역할을 하였음

• 문묘제례 이외에 향음주례(鄕飮酒禮), 향사 례(鄕射禮), 양노안(養老宴), 투호례(投壺禮) 등 향촌교화를 위한 각종 의식이 치러지는 장소가 되기도 함

(8)

2. 향교의 건물 구성

• 대성전(大成殿)

• 명륜당(明倫堂)

• 동무(東廡) 서무(西廡)

• 동재(東齋) 서재(西齋)

• 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

• 기타건물 - 계성사, 전사청, 장판각, 교직 사 등

(9)

1) 대성전 (大成殿)

동래향교 대성전

(10)

1) 대성전(大成殿)

동래향교 대성전 익산향교 대성전

(11)

1) 대성전(大成殿)

• <大成至聖文宣王孔夫子>의 성훈과 유덕을 추모하여 봉사하는 문묘

• 공자의 위패를 정위(正位)에 배치하고, 4聖 10哲의 先聖 위패를 배향하여 제사를 지내 는 제사건축

• 전면 중앙부에 반드시 <大成殿>이라는 현 판이 걸리고, 성균관에는 <聖廟>라는 현판 이 더 걸린다.

(12)

2) 명륜당 (明倫堂)

진잠향교 명륜당

(13)

2) 명륜당 (明倫堂)

• <明倫>이란? ➡ “군자의 학문을 明倫이라 하고, 학문을 배우고 인간사회의 윤리를 밝 힌다.”→ 이를 닦고 수양하는 집을 明倫堂 이라 함

• 맹자 등문공편에 “학교를 세워 교육을 행 함은 모두 人倫을 밝히는 것이다.” 유래

• 五倫을 강학하던 강당으로 공자가 만년에 제자들에게 강학하였던 행단(杏壇)에서 비 롯

(14)

3) 동무 (東廡) 서무 (西廡)

전주향교 서무

(15)

3) 동무 (東廡) 서무 (西廡)

• <대성전>의 좌우 또는 전면 좌우에 <대성 전>과 직각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

• <대성전>의 좌향에 따라 좌측에 배치된 건 물을 <동무>, 우측에 배치된 건물을 <서무

>라 함

• 무에는 공자의 제자 및 우리나라의 先賢(東 方 18현)을 奉祀하고 있는데, [大設位], [ 中設位], [小設位] 등 설정방법에 따라 동, 서 양무의 설립이 결정됨

(16)

4) 동재 (東齋) 와 서재 (西齋)

직산향교 동재

(17)

4) 동재 (東齋) 와 서재 (西齋)

• 유생들의 기숙과 학문연마를 위하여 마련 한 곳

• 명륜당 전면 혹은 후면의 좌우에 서로 대 칭되게 배치

• <동재>는 양반의 자제가 <서재>는 양민의 자제가 거처하는 장소로 통용되었으나, 향 교의 기능이 쇠퇴하면서 규모가 줄거나 없 어지게 됨

(18)

.

文宣王

(空廡)

동국18현 대성전 승차

<5성+공문10철+송조6현+동국18현 =39위>

중국 94현 埋安

<동.서무 : 空廡>

<東廡> <西廡> <東廡>

<西廡>

<孔門10哲> <孔門10哲>

<宋朝6賢> <宋朝6賢>

<五聖>

<5성+공문10철+송조6현 = 21위>

<大成殿> <大成殿>

冉 耕 宰 予

卜 商

程 顥 顓孫師

朴世采 宋時烈 鄭夢周 鄭汝昌 李彦迪 金麟厚 成 渾 趙 憲

崔致遠 薛 聰

安 裕

言 偃

端木賜

趙光祖 金宏弼

金長生 金 集 李 滉

邵 雍

宋浚吉

文宣王

閔 損

冉 雍

張 載 仲 由 冉 求

朱 熹

程 頤 周敦頤 冉 耕

宰 予

端木賜

冉 雍 閔 損

冉 求

仲 由 言 偃

卜 商 顓孫師

程 顥 周敦頤

程 頤 邵 雍

張 載 朱 熹

李 珥

(空廡)

<孔門10哲> <孔門10哲>

<宋朝6賢>

<宋朝6賢>

<東國18賢> <宋朝六賢>

동서무

<중국94현+동국18현=112위>

133위 39위

성균관대성전위패봉안의 변천

(19)

.

(56현)

(5성+공문10철+송조6현=21위)

(56현)

<東廡>

<西廡>

(1949년)

조선시대 1949 1953

1 2 3

대설위 중설위 소설위

133위 39위 27위

현재

+5성

+송조2현(정자.주자) +동국18현

+5성 +공문10철 +송조 6현 +동국18현

5 4 3 2

1 133위 39위

23위 25위 27위

(강릉향교 136위)

(空廡) (空廡)

(5성+공문10철+송조6현=21위) (5성+송조4현+동국18현=27위)

*송조4현:주돈이.정호.정이.주희

(5성+송조2현+동국18현=25위)

<동.서무 : 동국18현> <동.서무 : 없음>

<동.서무: 중국94현+동국18현=112위>

<東廡>

<東廡>

<西廡> <西廡>

(안동향교.예안향교 등) (대구향교.함양향교 등) (성균관대성전을 비롯 다수)

<縣學>

25위 39위

133위 39위 27위 25위

(20)

.

<6품 이상>

鹿醢

韭菹 菁菹 芹菹

兎醢 筍菹 魚醢

簠稻

簠粱 簋黍

簋稷

形鹽 魚鱐

乾棗 栗黃 榛子

菱仁 芡仁 鹿脯

幣篚

羊腥 豕腥

(左8籩) (右8豆)

8籩8豆 향교

象尊 象尊

山罍 山罍 (尊所)

犧尊

犧尊 醴齊(初獻)

盎齊(亞獻)

淸酒 (終獻) 明水

明水

玄酒

(尊所) 醓醢

鄕校 釋奠大祭 陳設圖

(21)

.

迎神禮 (영신례)

奠幣禮 (전폐례)

初獻禮 (초헌례)

亞獻禮 (아헌례)

終獻禮 分獻禮

飮福禮 (음복례)

徹籩豆 (철변두)

送神禮 (송신례)

望瘞禮 (망예례)

ㅇ鞠躬四拜

<初獻官>

ㅇ三上香 ㅇ獻幣 (五聖位)

<初獻官>

ㅇ尊所(監爵) 醴齊(犧尊) ㅇ獻爵 ㅇ讀祝 ㅇ配位尊所 ㅇ配位獻爵

<亞獻官>

ㅇ尊所(監爵) 盎齊(象尊) ㅇ獻爵 - ㅇ配位尊所 ㅇ配位獻爵

<終獻官>

ㅇ尊所(監爵) 淸酒(山罍) ㅇ獻爵 - ㅇ配位尊所 ㅇ配位獻爵

<分獻官>

ㅇ從享位

<初獻官>

ㅇ飮福 (罍福酒) ㅇ受胙

ㅇ獻官四拜

<大祝>

ㅇ徹籩豆

<在位者>

ㅇ鞠躬四拜

<初獻官>

ㅇ望瘞

ㅇ禮畢

凝安之樂 (軒架)

明安之樂 (登歌)

成安之樂 (登歌)

成安之樂 (軒架)

成安之樂

(軒架) - 娛安之樂

(登歌)

凝安之樂

(軒架) -

烈文之舞 烈文之舞 烈文之舞 昭武之舞 昭武之舞 - - - -

獻茶禮 (헌다례)

(여성유도회)

<석전의례절차>

文舞退.武舞進 軒架作舒安之樂

(在位者及學生皆四拜)

(在位者及學生皆四拜) (可瘞 置土半坎)

孔紀二五六十五年歲次甲午 月 日 成均館長 徐正淇 敢昭告于 大成至聖文宣王 伏以

道冠百代 萬世之師 玆値上丁 精禋時宜 謹以 牲幣醴齊 粢盛庶品 式陳明薦 以 先師兗國復聖公 郕國宗聖公 沂國述聖公 鄒國亞聖公 配

孔門十哲 宋朝六賢 韓國十八賢 從 尙

祝文

문묘행사의례의 종류(國朝五禮儀) 구분 행 사 의 식

京中 1.享文宣王視學儀 2.酌獻文宣王視學儀 3.王世子酌獻文宣王入學儀 4.王世子釋奠文宣王儀 5.有司釋奠文宣王儀 6.文宣王朔望奠儀

7.文宣王先告事由及移還安祭儀 州縣 8.主縣釋奠文宣王儀

9.主縣文宣王先告事由及移還安祭儀

<文廟儀禮>

1.視學儀 2.入學儀 3.告由儀 4.釋奠儀

<釋奠>

1.親臨釋奠 2.王世子釋奠 3.有司釋奠

(22)

 대덕구 읍내동에 위치 문화재자료 제5호

 임진왜란 때 손실

-> 선조 중건 -> 순조 중수

 중국5성(공자〮안자〮증자〮자사〮맹자), 송조4현(주돈이〮정 〮정이〮주희), 한국18현(설총〮최치원〮안향〮정몽주〮김굉 〮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김인후〮이이〮성혼〮김장생

〮조헌〮김집송시열송준길〮박세채)의 위패 배향

대전의 향교

1) 회덕향교

(23)

회덕향교 전경

(24)

회덕향교 대성전

(25)

회덕향교 대성전 내부

(26)

회덕향교 명륜당

(27)

회덕향교 석전대제

(28)

 유성구 교촌동에 위치 문화재자료 제6호

 태종때 창건 임진왜란, 정유재란 때 손실

->1980년대 까지도 중수, 보수가 이루어짐

 중국5성(공자〮안자〮증자〮자사〮맹자), 송조6현(주돈이〮정호〮정 〮주희〮장재 〮소옹), 한국18현(설총〮최치원〮안향〮정몽주〮김굉 〮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김인후〮이이〮성혼〮김장생〮조헌

김집송시열송준길〮박세채)의 위패 배향

대전의 향교

2) 진잠향교

(29)

 진잠향교 외삼문

(30)

 진잠향교 명륜당

(31)

 진잠향교 대성전

(32)

 진잠향교 대성전 한국18현 위패

(33)

 진잠향교 석전대제

(34)

Thank You !

The End

참조

관련 문서

병변이 대장 점막에 국한 구강에서 항문까지 전 위장관 점막아래 장벽 전체까지

아이디어 스케치를 참고하고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디 자인을 완성한다 .... 우리가 만든

 그렇기 때문에 기업들은 브랜드를 상징하는 이미지를 디 자인하는데

다른 교육기관의 성격이 강한 서원들과 달리 송시열 개인이 직접 만든 공간이기 때문에!. 사시사철 계절의 변화가 보이는 풍경을

따라서 울타리나 담, 문과 같은 것은 조형물 이 아니고 다른 시설물로 취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실들을 통해 볼 때 회덕현의 중심지는 계족 산성 안에 있다가 고려 중기 이후 산 아래쪽 어디로 내 려왔으며, 풍수가 읍치의 조영에 중요한 역할을 하던 조

내부유동에서의 속도분포로부터 평균속도를, 온도분포로부터 평균온도를

문화(culture)란 특정 사회가 공유하며 한 세대와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가치, 행동양식, 태도 등을 통칭 제도 institution 관습 custom 의식 ritual 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