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적층형 도시가로공간의 실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적층형 도시가로공간의 실험"

Copied!
7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강. 입체가로

(2)

입체가로의 개념

입체가로 개념의 의미

도시에 거주하는 것을 ‘집에 거주하기’가 아니라, 생활공간의 확장에 따른 ‘마을에 거 주하기’라고 생각하게 됨

도시공간과 단위주거 공간간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형성과 장소성 있는 풍요로운 생 활공간 형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

일반적인 입체가로

중고층 주거동에서 사용해오던 복도나 계단실의 조합방식을 변형하여 다양한 방식 으로 이동공간을 처리해 줌

거주자들이 집합주택에서도 복도나 계단실들을 이용하면서 과거 주택가 골목길에서 나 느낄 수 있었던 접지성, 공간의 개방감, 장소성 등을 느낄 수 있게 한 것

저층집합주택에서 시작된 ‘집합주택에서의 접지성’ 시도의 연장선상에서 볼 수 있음 주거 내에서의 장소성 확보와 주택, 도시와의 도시적 맥락을 조성하는 측면

에서 ‘주택’을 적층화하는게 아니라 ‘마을’을 적층화한다는 관점에서 출발

1.적층형 도시가로공간의 실험

(3)

1.적층형 도시가로공간의 실험

집합주택에서의 입체가로

다양한 복도, 계단 등의 조합방식을 통해 접지성을 추구하면서 자연스러운 이웃과의 교류증진, 이웃과 함께 생활하는 다양한 공간적 체험이 가능한 가로공간 구현을 위해서 입체가로라는 계획기법이 적용되고 있음

주거동 내 통로공간에서의 가로성 확보와 함께 유기적인 공간연계를 통한

‘公’적 생활공간의 창출을 의도함

현재의 집합주택을 독립성과 집합성을 모두 갖춘 도시 속의 주거공간으로 재편해 나아가기 위한 의미있는 대안이라고 보여짐

(4)

카사이크린타운(葛西クリンタウン) 4-9동

(5)

카사이크린타운(葛西クリンタウン) 4-9동

대규모 단지 내에서도 입체가로를 이용한 리빙엑세스 개념이 적용된 것은 1개동으로 남북측의 판상형 주거동인 4-9동임

4-9동은 8층 높이의 복도식 판상형 주거동에 격층으로 복도가 걸려있는데, 복층인

단위주거의 거실을 공용공간인 복도에 향하도록 한 개방형 리빙엑세스 방식을 주도공단이 선구적으로 시도한 사례임

전체 주거동 구성을 보면 총 32호의 단위주거는 전체가 복층형으로 되어있고, 입체가로는 3, 5, 7층에 격층으로 걸려있음

(6)

카사이크린타운(葛西クリンタウン) 4-9동

1층은 가로 직출입 방식으로 되어 전체 주호가 가로에 완전히 개방되어 있으나 1층이라는 위치 때문에 가로에서의 시각적 차단을 위해서 가로로부터 층계를 몇 계단 올라야 집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거나, 가로에 면한 거실 앞 부분에 자그마한 전용화단을 마련하여 주어서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고 시각적으로도 차단해주는 효과를 보고 있음

(7)

카사이크린타운(葛西クリンタウン) 4-9동

1층의 직출입형 단위주거들을 지나 주거동 측면의 계단실을 따라 올라가면 3층의 복도로 들어서게 됨 3층 높이에 걸린 공용복도를 걸으면, 집집마다 집 앞과 창틀에 각양각색의 화분들이 가지런히 놓여져 있고 집 앞에 세워진 자전거들이 만들어내는 생활모습이 복층형인 단위주거의 2층의 돌출된 발코니와 어우러져 한적한 골목길을 지나가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듬

주도공단에서 처음 리빙엑세스 개념을 적용하면서 거주자들의 프라이버시와 개방성 확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실공간과 연접한 복도 바닥 높이를 거실보다 500-600mm 낮추고, 창 앞에도 식물을 키울 수 있는 화단을 설치, 거실공간이 복도로부터 시각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했음

2 층 높이로 트인 공용복도는 개방적임

2층 높이로 개방되어있는 복도의 공간감도 한 몫을 함 내부 거실공간도 2층 높이까지 보이드 처리되 개방감을 주고 있고, 2층 개실에서 공중가로로 열린 발코니로의 출입을 통해 공중가로를 이용하는 이웃과 교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8)

카사이크린타운(葛西クリンタウン) 4-9동

(9)

카사이크린타운(葛西クリンタウン) 4-9동

(10)

카사이크린타운(葛西クリンタウン) 4-9동

(11)

오사카부영(大阪府營) 히가시오사카(東大阪) 요시다주택(吉田住宅)

요시다 주택은 단순한 2호 1계단실 조합방식을 기본으로 하지만 계단실에서 양쪽 2호의 단위주거 배면으로 복도가 연장되어 있다는 것이 통상의 계단실형과 다를 뿐임

변화요소 3가지 중 첫째는 2호 단위의 복도를 수 개의 브리지로 연결하여 서로 다른 계단실 라인을 연결하는 것임

둘째는 1층부터 연속되던 계단실을 중간에서 끊어 계단실만으로 동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 셋째는 끊어진 계단실 대신에 근처 복도에 다른 계단을 설치하여 상하층을 연결하는 것임

가끔 2호 정도를 들어내어 복도 중간에 휴게공간을 설치하는 변화가 추가됨 층수변화를 별개로 하고 동선시스템만을 본다면 복잡하지 않은 개념임

(12)

오사카부영(大阪府營) 히가시오사카(東大阪) 요시다주택(吉田住宅)

(13)

오사카부영(大阪府營) 히가시오사카(東大阪) 요시다주택(吉田住宅)

일반적으로 ‘입체가로’라는 계획요소를 사용할 경우에 얻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집합주택 주거동 내에서의 접지성 내지 가로성 확보를 통한 풍부한 생활공간의 구현임

입체가로를 설치함으로써 얻고자 하는 이러한 효과들은 뒤집어 생각하면 집합주택의 적층이라는 특수한 조건을 상정할 경우에만 성립가능한 개념이라고도 볼 수 있음

(14)

오사카부영(大阪府營) 히가시오사카(東大阪) 요시다주택(吉田住宅)

‘입체가로를 걷기에는 어느 정도까지의 적층이 효과적일까’

요시다 주택은 설계자의 계획의도 대로 물론 자신의 집을 가기 위해서 그 많은 계단과 복도를 다 거쳐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단 방문객의 입장에서는 주거동 입면에 얽히고 설켜있는 계단과 복도를 쳐다보면 다소 그 기세에 눌리는 것도 사실임

그 느낌의 연장인지 모르지만 층마다 계단을 돌아 올라가면서 받는 인상은 자연스러운 공간의 변화보다고층 주거동의 높이에서 위압감마저 느껴지는 것을 부인할 수 없음

(15)

오사카부영(大阪府營) 히가시오사카(東大阪) 요시다주택(吉田住宅)

(16)

오사카부영(大阪府營) 히가시오사카(東大阪) 요시다주택(吉田住宅)

(17)

오사카부영(大阪府營) 히가시오사카(東大阪) 요시다주택(吉田住宅)

(18)

오사카부영(大阪府營) 히가시오사카(東大阪) 요시다주택(吉田住宅)

(19)

오사카부영(大阪府營) 히가시오사카(東大阪) 요시다주택(吉田住宅)

(20)

이바라끼현영(茨城縣營) 마쯔시로(松代) 아파트

(21)

이바라끼현영(茨城縣營) 마쯔시로(松代) 아파트

이바라끼현영 마쯔시로 아파트는 1993년 5월 준공된 지상 6층의 중층 중정형 아파트단지임

6층 집합주택은 3층 계단실형 집합주택을 2단으로 쌓고, 4층에 전체 주동을 loop형으로 순환하는 공중복도를 설치해서 거주자 이외의 다른 방문자들도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는 공용통로로

사용하도록 구성됨

4층의 공중복도는 단지 진입부의 대규모 계단실을 통해서도 접근할 수 있고 4층까지 직접 연결되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서도 올라갈 수 있음

열린 ㅁ자형으로 배치된 주거동을 감고 있는 공중복도는 6층 건물의 4층 부분에 설치되어

보행로서의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4층의 open space에 설계된 집회소, 아담한 휴게공간, 놀이공간 등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주거동 곳곳이 생활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이용되도록 하고 있음

(22)

이바라끼현영(茨城縣營) 마쯔시로(松代) 아파트

이 복도는 기본적으로 중정을 향하기는 하지만, 중간중간 단위주거의 전후면을 번갈아 방향을 바꾸면서 걸려있음

걷다보면 다른 집의 현관을 지나기도 하고, 또 한껏 정성스레 꾸며진 화단 앞을 지나기도 하고, 빨래가 널린 발코니 앞을 지나기도 하고, 모퉁이를 돌면 놀이공간과 마주치기도 함

한쪽 구퉁이에 무성하게 자라난 잡풀들과 벽을 타고 올라간 넝쿨들을 보면서 복도를 따라 쭉 걸으면 복도폭이 다소 넓은 듯하게 느껴지면서, 집집마다 내놓은 화분, 야외 탁자들을 보고 있으면 이곳이 4층 복도라는 것을 잠시 잊게 됨

(23)

이바라끼현영(茨城縣營) 마쯔시로(松代) 아파트

(24)

이바라끼현영(茨城縣營) 마쯔시로(松代) 아파트

(25)

이바라끼현영(茨城縣營) 마쯔시로(松代) 아파트

(26)

Golden Gateway

*Golden Gateway 설계 : 피샤/프리드만 건설연차 : 1980 주호수 : 50

1950년대 샌프란스스코의 재개발국은 샌프란시스코의 중심부의 황폐한 지역을 뒤에 골던게이트 센터로써 알려지는 주택지역으로 개발할 것을 목적으로한 디자인

컴페티션을 실시하고 울스타를 포함한 몇사람의 건축가를 지명하여 2400호의주택을 설계를 의뢰했음

일등을 차지한 울스타에의해 당선안은 몇 개의 프라자를 두고 도로에 따라서 저층주택이 붙어 달린 고층주택을 주체로한 고층․저층의 복합적이었음

(27)

Golden Gateway

(28)

Golden Gateway

고층에 비하여 이 저층 계획안은 다음의 장점을 가지고 있음

양호한 일조환경이 얻을 수 있고 샌프란시스코의 스카이라인보다 좋은 스케일을 갖고 있음 저층안의 건축적 스케일은 계획지의 북쪽과 서쪽에 현재 있는 스케일에 조화하고 언덕이나 주변지에서는 건물에서의 전망을 방해하는 일이 없음

탑상주호와 같은 파노라마적 전망은 얻어지지 않으나 각주호는 전용의 출입구를 가지며 녹음이 풍부한 정원을 공유할 수 있음

고층빌딩건설에 비해 주변주민의 동의를 얻기가 쉬움

(29)

Golden Gateway

도로에 따라 1층, 즉 상업시설을 배치하는데 가장 적합한 부분을 주차장으로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 도로에 변하여 무창벽이 솟아오르지 않게 되어 도로에 인간적인 공간을 형성할 수 있었음

(30)

Golden Gateway

(31)

Golden Gateway

(32)

Golden Gateway

(33)

Golden Gateway

(34)

Golden Gateway

(35)

Golden Gateway

(36)

Golden Gateway

(37)

Golden Gateway

(38)

Golden Gateway

(39)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England

(40)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England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 건축가 : J.Darbourne,

G Darke

건축주 : London Borough of Islington

설계년도 :1966년

주거단지·환경 배경

Islington은 북부 런던의 한 지역임

재개발이 필요한 건물이 19세기에 생겼고 기존 고층 주택들은 이 지역을 두 개의 시행지구로 나누었음

약간 경사진 대지, 도시 지역에 펼쳐 있는 녹지대와 운하가 서쪽 경계를 이루며, 두 개의 간선 도로·북쪽에는 St.Paul Road와 동쪽에 Essex Road가 있음

건축가의 콘셉트는 Lillington Street 주택 단지의 경험으로 설계했음

(41)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England

주택 건물

아파트 형태와 건물 구성의 종류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모든 아파트는 단독 주택 성격을 띄도록 했고, 가족이 같이사는 아파트는 메조네트형으로(60%) 30㎡의 정원이 있고 1실 아파트는 (40%) 위층의 지붕보행로에서 접근하도록 되어 있음

건물은 주로 4~5층이며, 보행로 위에 세워진 2~3층의 짧은 건물도 있어서 중정이 동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건물 외벽 및 정원담은 밝은 벽돌, 1층 부엌 부근에 조금 튀어나오고, 어두운 석면 치장이 특색임

(42)

좁고 굽은 도로가 단지로 향하는 길이고, 4~5층 건물 밑에 지하 차고가 있고 끝에 몇 개의 주차장이 있음 1층의 보행로는 응급 차량이 통과할 수 있으며(주차장과 주택의 최고 거리 : 50㎡), 버스 정거장이 Essex Road에 있음

교통·주차

연속되는 보행 시스템이 공지와 연결됨

노인들의 확장된 주거 공간으로서의 지붕 보행로는 램프, 엘리베이터 계단을 통하여 접근됨

대지의 굴곡을 강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지 구성, 즉 깊게 파거나, 담을 치거나 다양한 놀이터를 위한 식목을 했음

단지에 연결된 녹지대는 북쪽 운하를 따라 연속됨 보행로·공지

학교 옆 중앙에 위치한 공공 집회장, 노인정, 상점, 선술집, 교회, Essex Roads는 쇼핑 상가임

공공시설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England

(43)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England

(44)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England

(45)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England

(46)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England

(47)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England

(48)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England

(49)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England

(50)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England

(51)

Marquess Road, Islington London/England

(52)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53)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이 단지는 각각의 수목형주거가 모연 숲을 형성하고 있고 중심에서 Hellmont 문화관이 있어 사회생활의 중심역할을 함

단지 내 보행데크는 분산된 소규모 상가와 산책길, 도서관, 주차장 등이 계획되어 있고

주변의 여러시설과 유기적으로 잘 연결되어 있고 수목형 주거의 아래로는 전차/자동차 등이 지나가는 길로 도시 인프라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

(54)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수목형 주거는 나무의 기둥에 해당하는 육각의 콘크리트 기단부와 수목의 상단에 해당하는 3층으로 된 주택으로 구성되는데 1층은 조망이 아래로 향하는 길가의 집이고, 2층은 창문이 위아래로 향하는 천상의 집, 3층은 유리창이 많은 온실로서 다락의 집이라 불림

1층에는 현관과 부엌 및 식당, 화장실 등이 있고, 2,3층에는 수납 등의 최소공간을 제외하고 모두 개방된 자유로운 공간으로 연결됨

(55)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56)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57)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58)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59)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60)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61)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62)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63)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64)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65)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66)

Pole Dwellings(P.Blom, 1982-1984)

(67)

Riverbend

*Riverbend

Design : Davis B

Location : East 138th, 142th st.

Harlem River Drive, and Fifth Avenue

Prehistory

녹지위의 고층 이데올로기가 60년대 들어서면서 점차 쇠퇴해 가기 시작

전후 일반화되어진 어바니즘에 대한 강력한 비판이 이미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고 있었는데, 이는 대중적인 논의와 이론적 논의 두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었음

(68)

Riverbend

(69)

2층 마다 반복되는 콘크리트 데크 위에 타운 하우스를 적재하고 있음

다소간의 레벨의 변화나 전용 오픈 스페이스를 에워싸는 벽 등을 사용함으로써 가로로부터 현관에 이르기까지의 전 범위의 공간이 활기를 얻도록 되어 있음

이 하우징 전체의 전유영역을 강조하도록 적층 주거의 주동군이 공공의 놀이터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음

지상의 공공도로로부터는 직접 출입이 불가능하지만 각 타운 하우스부터는 건너 갈 수 있고 출입도 가능함

각각의 거주자는 공공의 놀이터를 내려다 보는 보행자 회랑에 면해 있는 2층의 타운 하우스를 소유하는 것임

특성 : 공중가로/정통 슬래브 블록의 출발

Riverbend

(70)

이 프로젝트는 이전의 고층 아파트가 freestanding tower였던데 비해 연결되어져 있고 한층 높이의 대규모 프라자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었음

이 사례는 이전의 경우에 비하여 상당히 고밀도로 되어 있고 건폐율을 최소화한다는 이상을 역전시켜버린 것이였음 외부개방복도(external gallery)는 각 단위주택을 소위

yard라고 불리우는 현관부분의 포치와 같은 공간을 통하여 단위주택을 연결하고 있는데 이는 1855년에 Workingmen's Home에서도 사용된 적은 있지만 일반적인 사용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함

공중가로의 개념은 유럽에서 온 것이었는데 이 프로젝트를 설계한 브로디는 영국에서 이러한 경함을 한 바 있는

사람이었고 이런 움직임은 물론 팀텐의 주장에 근거한 것임 녹지위의 고층 개념에 대한 변화/저층 주거단지 구성에 대한 반전

Riverbend

(71)

Riverbend

(72)

Riverbend

(73)

Riverbend

(74)

Riverbend

참조

관련 문서

*단어 사이의 공통성과

1) 자립 형태소 (free morpheme) - 자립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 - 자립 형태소에

“다의어”의 특징은, 하나의 어휘가 몇 개의 상이한 개념을 표현하고 상.. 이한

• 디지털 시스템은 프로그래밍으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어서 규격이나 사양의 변경에 쉽게 대응할 수 있어서 기능 구현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고 개발기간을

아토피는 다른 질환도 동반할 수 있으며, 부정적인 성격의 원인이 될 수 있음.. 유아기 아토피에 걸렸을 경우

 모집단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 개의 집락으로 구분한 후 무작위 추출로 일부 집락을 추출... 서울시를 먼저 동단위로 구 분하여 집락을 구성하고 구성된 전체 동

71) 강제채혈의 경우 주사를 잘못 놓은 경우 등 극히 이례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강훼손의 위험이 통상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강제채뇨(삽관을 함으로

충남대학교가 요구하는 학력수준에 미달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모집인원에 상관없이 선발하지 않을 수 있음 4... 주관: 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