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비만남성의 유산소성운동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비만남성의 유산소성운동이"

Copied!
4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논문

비만남성의 유산소성운동이

BMI, WHR, 체지방률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운동처방 및 재활 전공

김 철 수

2 0 0 1

(2)

김철수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01년 월 일

심사위원장_____________인 심사위원_____________인 심사위원_____________인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3)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가설 ···3

4. 연구의 제한점 ···3

5. 용어의 정리 ···4

Ⅱ. 이론적 배경 ···5

1. 유산소 운동 ···5

2. 비만의 개념 ···10

Ⅲ. 연구 방법 ···16

1. 연구 대상 ···16

2. 실험절차 ···16

3. 측정도구 및 측정방법 ···19

4. 자료의 처리 ···21

Ⅳ. 결과 및 논의 ···22

1. 유산소 운동전·후 신체질량지수(BMI)의 변화 ···22

2. 유산소 운동전·후 WHR의 변화 ···24

3. 유산소 운동전·후 체지방률의 변화 ···26

(4)

Ⅴ. 결론 및 제언 ···31

1. 결 론 ···31

2. 제 언 ···31

참 고 문 헌 ···32

ABSTRACTS ···36

(5)

표 목 차

표 1. 피험자의 신체적 특징 ···16

표 2. 실험절차 ···17

표 3. 측정도구 ···18

표 4. 일일운동 프로그램 ···19

표 5. 집단간 사전 및 사후 BMI에 대한 독립 t-test결과 ···22

표 6. 집단별 사전·사후 BMI의 종속 t-test결과 ···23

표 7. 집단간 사전 및 사후 WHR에 대한 독립 t-test결과 ···25

표 8. 집단별 사전·사후 WHR에 대한 종속 t-test결과 ···25

표 9. 집단별 사전 및 사후 체지방률에 대한 독립 t-test결과 ···27

표 10. 집단별 사전·사후 체지방률의 종속 t-test결과 ···27

(6)

그 림 목 차

그림 1. 유산소운동 전·후의 그룹별 BMI의 변화 ···24 그림 2. 유산소운동 전·후의 그룹별 WHR의 변화 ···26 그림 3. 유산소운동 전·후의 그룹별 체지방률의 변화 ···28

(7)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인간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 여러 가지 고도로 발달된 문화의 영향을 받고자 한다. 현대사회는 발달된 과학문명의 혜택으로 산 업의 자동화, 기계화로 좌업시간이 증가되어 운동량의 감소뿐만 아니라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식생활 문화가 개선되어 고칼로리로 인한 여분의 에너지가 지방의 형태로 체내에 축적되는 비마자의 출현률이 급격하게 증대되고 있다(차상우, 1997). 현재 유전성 질환, 내분비질환, 신경의학적 이상 없이 과식과 운동부족에 의한 단순비만자들이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김영설, 1990). 비만은 신체가 함유하고 있는 지방질이 정상 보다 높은 것을 말하며, 신체 활동에 의해서 소비된 칼로리보다도 음식물 로 섭취한 칼로리 쪽이 많을 경우 여분의 칼로리가 지방조직으로 변하여 체내에 저장되는 것이라 정의한다(최건식 등, 1994).

과거 성인에게서만 볼 수 있었던 비만 현상이 현재는 아동이나 청소년 들로 확산되는 경향이 있어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과로한 스트레스까지 가세하여 청소년기에 생기는 비만은 성년까지 이어져 각종 성인병인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심혈관질환 등으로 나타나 며 이러한 성인병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정부에서는 국민의 건강과 체력 향상을 위해 사회체육진흥에 깊은 관심 을 가지고 있게 되었다.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비만의 치료방안으로 식이요법과 운동요 법의 병행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많은 사람들은 식이요법의 중요성만을

(8)

강조하고 운동 요법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지속적인 운동이 정상 체 중자나 비만자에게 일관성은 없지만 체지방을 감소시킨다라고 보고하였 고(Pacy et al., 1986), Leon 등의 연구에 따르면 비만 남성(n=38)을 대상 으로 11주 동안 하루에 90분 걷기를 실시한 결과, 평균 5.9kg의 체지방 감소와 0.2kg의 무지방 조직의 증가가 있었으며, 체지방률은 23.3%에서 17.4%로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한다(Leon et al., 1979).

그러나 비만 해결과 예방적 차원에서 실시하는 운동은 체지방을 감소 시킬 수 있는 운동지속시간, 운동강도, 운동빈도 등을 고려하여 처방이 이루어져야 한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운동을 통해서 체력과 저항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이다. 운동에 의한 자극, 체내의 생리, 생화학적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계속적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신체의 불안전 시기 때나 힘든 일을 할 때 혹은 다양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에 현재 기능이 급격하게 변화됨을 방지하며 나아가 안전적으로 환경에 적 응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따라서 건강관리 핵심은 바로 운동이 적용되 어야 한다는 것이다. 운동효과의 인식으로 사람들은 운동을 시작하나 단 지 건강유지 지향만을 목적으로 하는 운동이라면 그 운동은 지속성이 떨 어지고 만다.

지금까지 성인병에 대한 연구는 심장질환 위험요소의 규명과 같이 예 방적 차원에서 연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또 많은 연구에서 정상인을 대항 으로 운동 프로그램 실행 후 생리적 요소로 조사하는 것으로 치료적 효 과를 규명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성인병 환자의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의 연구나 신체활동 부족에 따른 직접적인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황수관 등, 1990). 따라서, 건강 증진을 위한 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이 비만인자에 게 있어 체형, 체지방,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을 통하여 임상적으로 검증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다.

(9)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비만자를 대상으로 유산소성운동을 12주간 실 시하였을 때 신체질량지수(BMI), 요위와 둔위의 비율(WHR), 체지방율 (%Body fat)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임상적으로 알아보아 스포츠센 터 등의 건강관리에 필요한 프로그램 제작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연구의 가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 다.

(1) 12주간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이 신체질량지수(BMI)를 낮추는 효과 가 있을 것이다.

(2) 12주간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이 요위와 둔위의 비율(WHR)을 낮추 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3) 12주간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이 체지방율(%Body fat)을 낮추는 효 과가 있을 것이다.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1) 피험자는 수원시에 거주하는 40대 전후의 비만인 남성을 대상으로

(10)

하였다.

(2) 실험기간 중 피험자 식사 및 수면시간을 통제하지 못하였다.

(3) 피험자 각 개인의 유전적 특성, 체격조건, 운동경력을 고려하지는 못하였다.

(4) 실험기간 중 유산소 운동 연습 이외의 신체 활동을 완전히 통제하 지 못하였다.

(5) 유산소 운동을 3개 종목(트레드밀, 고정식자전거, 스텝퍼)으로 제한 하였다.

5. 용어의 정리

요위와 둔위의 비율(WHR)

비만의 정도를 결정하는 또 다른 간단한 방법은 허리둘레와 둔부둘레의 비율(WHR ; waist to hip ratio)를 이용한 것이다. 정상범위는 남자의 경 우 0.8∼0.95, 여자의 경우 0.7∼0.85이고, 성인병 등 위험율이 증가할 수 있 는 범위는 남자가 0.95, 여자가 0.85이상이다.

(11)

Ⅱ. 이론적 배경

1. 유산소 운동

1) 유산소 운동의 개요

운동수행이 요구되는 대부분의 에너지 공급에 유산소성 대사로서 이루 어질 수 있는 운동을 말한다. 그러므로 유산소 운동은 대체로 강도가 낮 고 오랜 시간동안 지속할 수 있는 한편 그 동작은 율동적 성격이 강하다.

유산소 운동은 30대 이후 연령증가에 따른 노화현상을 지연시키는 효과 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인체의 지방 소비를 촉진시켜 고지혈증을 예방하고 비만해소를 하는 데 큰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규칙적으로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면 결과적으로 성인병 혹은 운동부족병의 대부분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예방의학적인 면에서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특히, 유산소 운동을 통해서 최대산 소섭취량이 증가하고 전신 지구력이 강해지면 활기찬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유산소 운동의 원리를 잘 이해해야 자신에 알맞은 운동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규칙적인 운동습 관을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2) 에너지 시스템 과정

①Glucose+2ATP----호기성분해(02)--->6CO2 + 6H2O + 40ATP

②Free Fatty Acid---호기성분해(02)--->CO2 + H2O + ATP

(12)

유산소란 산소의 사용을 의미한다.

유산소 에너지과정은 지방과 탄수화물 분해 과정에 산소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한다. 탄수화물 한 분자는 산소를 사용하지 않 으면 3개의 ATP의 젖산을 생성할 수 있으나 산소를 사용해서 분해할 경 우 39개 ATP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유산소 운동은 가볍고 느리고 힘이 들지 않으며 효율적인 것이다. 근육세포에서 탄수화 물이 산소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물 그리고 에너지를 생산한다.

3) 운동의 특성

유산소 운동시에는 대체로 관절이 잘 움직이며 근육의 펌프작용이 잘 되어 심장에 정맥혈이 원활하게 환류되어 순환이 잘 된다. ATP의 분해 에 의하여 방출된 에너지는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다른 분자를 활성화시 킨다. 계속적인 산소의 공급에 의존하는 에너지 생성반응을 산소성이라고 한다. 에너지는 이 고에너지 결합체가 안정상태에서 벗어나 분해가 될 때 생성된다. 즉, ATP는 ADP와 유리 인산염으로 분해되면서 약 7∼12kcal 의 유용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때 생성된 에너지로 인체가 일을 수행하 는데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TP는 분해될 때 에너지 가 방출되므로 ATP가 근세포 내에서 제한적 용량으로 이용되고 있음은 그리 어려운 예측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활동을 위해서 다시 ATP가 재합성되어야만 하는데 이때에도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이 에 너지를 공급하는 방법은 산소의 유무에 따라서 유산소성 에너지 시스템 과 무산소성 시스템으로 나뉜다. 무산소성 시스템은 분해와 함께 젖산과 에너지를 생성하며, 유산소성 에너지 시스템은 산소의 결합으로 에너지,

(13)

물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생성되며 이렇게 하여 에너지를 재합성하게 된 다. 그러나 건강을 유지하는 입장에서 볼 때 유산소성 운동이 뛰어나게 좋은 이유는 심장과 혈관에 무리하지 않은 자극을 주며 운동효과, 지속 력, 지방의 소비, 안정성이 높으며 젖산축적이 적다.

4) 유산소 운동의 효과

(1) 유산소 운동의 장점과 단점

유산소 운동의 장점과 단점은 대표적인 운동 종목으로 수영과 조깅을 통해서 알아볼 수 있다.

조깅은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할 수 있으며 자기 몸에 맞는 기준을 지키기 쉽고 특별한 시설이 없어도 되며 심장 등에 부담과 조절이 용이 한 반면 다리에 부담이 강하고 무릎과 하지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 으며 때로는 급성 심장사와 열사병에 걸리기 쉽고 상반신의 단련과 재미와 즐거움이 적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영 종목의 경우 몸의 일부에 강한 힘을 주는 곳이 없으며 심장에 적당한 자극과 유연성의 단련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하반신 의 단련이 적고 시설과 계절 등 운동에 제한을 받으며 귓병, 눈병에 걸리기 쉬우며 기분 좋을 때도 있고 힘들 때도 있다.

(2) 유산소 운동으로 인한 인체의 기능적 변화

유산소 운동으로 인한 인체의 기능적 변화를 보면 크게 순환계, 근육 계, 기타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순환계적으로 보았을 때 심장의 크기와 용적, 혈류량, 총헤모글로빈, 일

(14)

회박출량, 최대산소 소비량, 조직의 산소 이용능력이 증가하며 안정시 심 박수와 최대화운동 중 심박수 혈압(고혈압일 때) 감소하게 하며 근육계의 변화로는 미토콘드리아 수와 크기, 마이오글로빈 저항 능력, 트리글 리세라이드 저항 능력, 인산화 과정, 근섬유의 크기 등이 증가한다.

기타적인 부분을 보면 뼈, 건, 인대 충실도, HDL-C 등이 증가하며 반면 체중, 체지방, 총콜레스테롤, LHL-C은 감소하게 한다.

(3) 유산소 운동으로 오는 신체의 변화

유산소성 에너지 시스템 운동은 ATP를 재합성하는데 공헌하지만 그 상대적 역할은 운동의 양식 트레이닝의 단계 그리고 운동 수행자의 음식 섭취에 따라 결정된다. 운동 중 에너지 시스템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위 해 운동은 최대 강도로 단시간에 하는 경우와 최대화 강도로 비교적 장 시간 행하는 운동으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훈련효과는 연령과 체력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동일 연령층 내에 서는 체력이 약한 사람이 빠른 발전을 보이고 체력수준이 높을수록 발전 속도가 더디고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훈련의 효과는 초기 의 체력수준이 훈련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발전단계에 맞추어 운동의 질과 양이 적절히 조절될 필요가 있다.

4)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의 작성

스스로 하는 운동이라도 신체에 대해서는 운동이 하나의 스트레스이다.

사실 운동 중에 생기는 체내 여러 가지 생리 현상 변화도 운동스트레스 에 대항하여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적절한 스트레스는 신체를 활성화시키고 장기적인 이점을 가져오지만 그렇지 못

(15)

한 경우 고통과 사고가 유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운동프로그램 치료 및 예방의학적 처치도 마찬가지로 항상 주의 깊게 처방되고 행해져야 한다.

(1) 운동의 양

실제로 체중조절을 하는데 에너지 섭취를 터무니없이 줄일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데도 한계가 있다. 오히려 무리 한 체중조절은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 의학적으로 하루에 운동으로 소 비하는 에너지량이 1000kcal를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2) 운동의 강도

운동의 강도가 높을수록 지방보다는 탄수화물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고 운동의 강도가 낮을수록 지방이용률이 높아진다. 제치지방량을 줄이는 것 이 바람직한 체중조절의 방법이므로 운동의 강도는 너무 높지 않아야 한 다. 운동의 강도는 최대 산소섭취량(VO₂max)의 백분율(%)로 표시한다.

운동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도 충분한 과부하 수준의 강도 를 찾는 일이 급선무이다.

(3) 운동의 빈도와 시간

운동을 하면 할수록 체중조절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운동을 중지하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거나 오히려 퇴보하게 된다. 따라서 운동을 규칙적 으로 지속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운동시간은 하루에 최소한 30분 이상 으로 하되 운동시간은 강도가 높으면 비교적 짧게 하고 강도가 낮은 경 우에는 길게 해야 한다.

(4)운동의 종목

심폐지구력 개선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유산소 운동이 사용되며, 이에 는 유산소 인터벌 트레이닝 쿠퍼의 에어로빅 프로그램, 에어로빅 댄스, 조깅과 달리기 걷기 프로그램, 순환 훈련 등이 사용되고 있다.

(16)

2. 비만의 개념

1) 비만의 정의

비만이란 일반적으로 음식물로 섭취된 에너지량이 신체활동을 통해 소 비된 에너지량을 초과한 경우에 여분의 에너지가 피하 등의 지방조직에 체지방으로 침착됨으로써 일어나는 체중의 이상 증가 현상이다. 비만은 과체중과는 다른 것으로써 지방량과 근육량의 상대적인 비율로 판정되는 개념이다.(류부걸과 백원담,1995). 비만은 그 자체가 성인병일 뿐만 아니 라 다른 성인병을 유발하는 주요원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비만의 원인은 과식과 운동부족 이외에 유전적, 외상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내분비적, 그리고 환경적인 여러 요인을 들 수 있으나 운동부족이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보건·체육측면에서 볼 때 비만자는 정상인데 비하여 신체활동에 소 극적이라 할 수 있으며 비만은 용모손상(disfigyrement), 불편(discomfor t), 질병(disease), 비능률(dissability), 사망 등의 5D문제를 유발한다(문화 체육부, 1995). 결국 비만이 되는 원인은 다양한 요인이 복잡하게 관여하 고 있겠으나 비만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호르몬에 이상이 있어 포만 중추 가 인식을 못한 결과 많은 음식 섭취로 비만이 유발하기도 하며(최영길, 1995), 부모가 모두 비만인 경우(73%), 양부모 중 한쪽이 비만인 경우(4 1%), 부모 모두 비만인 경우(9%)에 따라 발생빈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유 전적 요인도 함께 작용한다(Gem, 1985).

또한 시상하부질환이나 뇌하수체 ACTH 분비선종이나 부신피질 종양,

(17)

그리고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장기복용, 성장호르몬의 결핍, 인슐린 과잉 분비, 갑상선 기능저하로 인한 기초대사량의 저하로 비만이 되는 내분비 대사장애요인(石川, 1993), 만복감의 혈당치 상승, 인슐린 과잉분비, 뇌 내 의 아미노 구조의 활성, 호르몬의 활성 스트레스의 해소 등으로 인한 식 습관 요인(현송자, 1991)등이 있다.

오늘날 비만 인구의 비율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소아들의 발 육 가속현상으로 우리 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모든 나라에서 동일한 현 상이 일어나고 있다. 영국은 초등학교 학생의 30%가 비만이라 할 정도로 선직국에서도 비만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안호상 외 4명, 1996). 또한 비만은 체력의 저하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여러 성 인병의 원인이며 성인이 된 이후에 나타나는 신체적 장애는 발육·발달 과정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성인 비만과 직결되는 청소년 비만에 대한 대 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문화체육부, 1995).

비만은 평균수명을 감소시키며, 삶의 질을 위협하는 심각한 건강 문제 이다. 비만인 사람들은 관상동맥성 심장질환 , 고질혈증, 고혈압, 당뇨병 폐동맥폐쇄질환, 골관절염, 및 각종 암에 대한 높은 위험성을 지니고 있 다. 체중초과인 사람들은 정상체중인 사람들 보다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병들에 대해 걸릴 가능성이 각각 2.9배, 2.1배, 2.9배 정도 더 높다(Nat institude of Health, 1985). 비만은 또한 다른 기준이 되는 관상동맥성질 환 위험인자들과는 상관없이 확산중인 관상동맥성질환의 위험성을 증가 시킨다(Hubert et al., 1983). 더구나 허리와 둔부의 비율(W/H Ratio)로서 지방의 분포로 남녀 모두에게 있어서 심혈관질환 당뇨병을 추정할 수 있 다(Larsson et al., 1884). 상체비만(Androd Obesity)은 남자에게 더 전형 적으로 나타나며, 심혈관질환의 위험과 관련이 있다. 반면에 여자에게 있

(18)

어서 더 일반적인 하체비만은 심혈관질환의 위험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 로 보고 되었다(Krotkiewski et al., 1883). 이것은 인슐린 감수와 복부 및 둔부에 있는 지방조직의 지방동원의 차이점들이 중요한 인자들로 가정되 어진다.

미국인들이 다이어트 및 운동지침서들을 사기 위해 약 5천만 달러, 다 이어트약을 사는데 약 2억달러, 그리고 드링트로 약 60억 달러를 매년 쓰 고 있다(Reed, 1981)는 사실이 증명하듯이, 체중조절은 성인들에 있어 심 각한 문제이다. 그러나 비만과의 전쟁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많 은 사람들이 과식과 운동부족의 비합리적인 형태의 생활을 하기 때문이 다.

신속하고 쉽게 체중을 감소시키는 노력을 시도함에 있어서, 많은 사람 들은 일시적인 다이어트나 일시적인 효과가 있는 운동기구에 현혹된다.

따라서 여러분들은 운동전문가로서 다이어트와 운동에 관한 과학적이며 건전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

신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그 구성요소를 정량 적으로 밝히거나 그 상대적 비율울 말한다.이 인체구성은 나이, 성 식이 요법 운동과 같은 여러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한상철, 1995)

신체구성은 체지방 제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체구성은 신체 활동과 유의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신체구성과 체중조절에 관한 지식은 스포츠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적절하게 필요로 하고 있다.

2) 비만의 유형

비만의 두가지 유형은 증식형 비만(hyperplastic)과 비대형 비만 (hypertrophic)이다. 한 가설에 의하면 성이 지니고 있는 지방세포의 대부 분이 성장기 동안에 결정된다. 지방세포수는 생후 1년과 사춘기 기간에

(19)

급속히 증가한다. 지방세포의 수는 성년기 동안에는 비교적 변화하지 않 는다(Sims, 1974). 따라서 지방세포의 수적인 측면에서 볼 때 개인의 비 만에 대한 잠재성은 청소년기 후반에 결정된다. 증식형 비만은 지방세포 의 비정상적인 수로 인해 특징지어 진다. 정상적인 체중을 가진 250억 ∼ 300억개의 지방세포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비만인 사람은 420억 1060억 개의 지방세포를 가지고 있다(Hirsch, 1971). 지방세포수의 증식의 한 가 설은 의문시되어 왔는데, 왜냐하면 지방세포수와 크기의 증가가 심각한 체중과잉은 성인들에 의해서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비대형 비만은 기존의 지방세포의 크기의 증가와 주로 관련이 있다. 지 방세포의 크기는 청소년기 동안에 증가하며,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des) 가 세포에서 과잉지방의 형태로 측적될 때 계속해서 성장한다. 비만인의 지방세포는 정상인의 지방세포보다 평균 40%정도 더 큰 것으로 보고 있 다(Hirsch, 1971).

다이어트와 운동은 성인에게 있어서 지방세포의 수를 감소시키지는 못 하지만 크기를 감소시키는 데에는 효과적이다(Hirsch, 1971). 아마도 비만 을 예방하는 핵심은 특히 청소년기와 사춘기 동안에 엄격한 식이섭취와 에너지 소비량을 조절하며, 운동을 하는 것이다. 이것이 새로운 지방세포 의 증식을 막고 기존 지방세포의 크기를 통제해 줄 것이다.

3) 체지방

비만(obesity)의 기준은 단지 과다체중이 아닌 체중에 비례한 지방의 양, 즉 체지방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체지방 과대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Bray, 1979). 즉, 비만이란 지방세포의 비대와 지방세포 수의 증가에 의 한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이 두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지방세포의 크기와 수는 성인으로 성장하면서 약 4∼5

(20)

배까지 증가한다(Hirsch, 1975). 지방세포의 수는 정상 체중인 사람이 약 300∼500억 개이며 비만자의 경우 약 600∼1000억 개로 지방세포의 수가 2배정도 많다(Knittle, 1972).

(1) 체지방율의 판정

체지방률(% fat)은 체중에 대한 지방의 백분율을 나타낸 것이므로 그 측정결과에 의해 인체의 지방량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남자의 경우 체지방량이 전체 체중의 25% 이상, 그리고 여자의 경우 32%이상일 때를 비만이라고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평가 기준은 남성은 21∼24%에서 여성은 25∼31%에서부터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비만은 남성의 경우 20∼25%에서 그리고 여성의 경우 30%에서 시작된 다는 미국대학스포츠의학회(ACSM)의 지침을 따른 것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국민체력센터에서는 남자의 경우 15∼20%를 정상 체중, 21∼25%

를 경계성 비만, 25%이상을 비만으로 판정하며, 여자의 경우 20∼25%를 정상체중, 26∼30%를 경계성 비만, 30%이상을 비만으로 판정하고 있다.

(2)체질량 지수

체질령 지수(Body mass index : BMI)는 널리 사용되는 비만 판정 방 법 중 하나로 체중(kg)을 신장(cm)의 제곱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체질량지수( BMI) = 체중( kg) 신장( m) ²

산출된 체질량 지수의 수치가 25이하일 때는 정상 25∼29 사이이면 과 체중 그리고 30 이상일 경우에는 비만으로 정의한다.

(21)

(3) 배둘레 엉덩이 둘레비(waist hip ratio : WHR)

둘레에 의한 체지방 분포의 지표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배둘레 엉덩이 둘레비(waist hip ratio : WHR), 배둘레 넙다리(waist thigh ratio : WTR), 배둘레 위팔비(waist arm ratio : WAR), 위팔 넙다리비(arm thigh rario : ART)등이 있다. Evans등은 WHR을 지표로 하여 지방분포 를 간편히 나타내어, WHR이 높은 비만자를 상반신 비만, WHR이 낮은 비만자를 하만신 비만으로 분류하였으며 상반신 비만은 하반신 비만에 비하여 대사 이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WHR에 따른 질 병의 위험도를 보면 남자 0.95이하 여자 .80이하일 경우 질병의 위험도는 매우 낮고 남자 0.96∼0.99, 여자 0.81∼0.84일 때 낮은 편에 속하며 남자 1.0이상 여자 0.85이상일 경우 높다고 할 수 있다(Hoeger at al., 1998).

(22)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심혈관계 질환 등의 과거병력이 없는 자들이고, BMI가 26.4kg/m2 이상이 비만(양점홍 외, 1999; 일본비만학회, 1996)인 성인 40대 남성 20명을 선발하였다. 이들은 운동군과 비운동군 각각 10명 씩 두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들의 신체적 특성은 <표 1>와 같다. 선 정시 체중감량을 위해 수원의 H스포츠 센타의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20명으로 하였다.

표 1. 피험자의 신체적 특성 변인

집단

나이 신장 체중(kg) BMI

Mean SD Mean SD Mean SD Mean SD

운동군(N=10) 44.1 2.23 170.9 4.58 74 8.87 27.7 2.84 비운동군(N=10) 44.1 2.38 171.5 8.35 80 14.94 27.3 3.48

2. 실험절차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피험자들의 신체적 특성을 측정하고 12주 동안 피험자 전원에게 흡연, 음주는 물론 각종 영양제, 보충제 및 약물 복용을 금지시켰으며 운동과 식생활의 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생활하는 운동군과 비운동군으로 분류하여 실험 실시하였다. 12주간의 유산소 운동 이 35∼45세 비만남성의 BMI, WHR, %Body fat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23)

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실험절차는 <표 2>과 같다.

표 2. 실험절차

피험자 선정 : 체지방 20∼30%인 사람의 운동군(10명), 비운 동군(10명)으로 무선 분류

사전검사 : BMI, WHR, %Body fat 측정

운동실시 : 1회 45분간 유산소운동을 VO2max 40-60%의 운 동강도로 주 3회로 스포츠센터 기재실, 운동실, 측정평가 실험 실에서 12주간 실시

사후검사 : BMI, WHR, %Body fat 측정

(1) 유산소운동의 운동강도 결정방법

유산소운동의 운동강도 결정방법은 심박수 방법으로 하였으며, 대상자 의 평소 운동 경험을 감안하여 피험자(10명)의 심박수가 최대 심박수 (220-나이)의 40∼60%되는 트레드밀, 고정식자전거, 스텝퍼 각각의 속도 및 강도 조절기를 통하여 조절하면서 초시계를 이용하여 촉진법을 통해 1주일 마다 운동강도를 재설정하였다.

(2) 유산소성의 프로그램

유산소성운동프로그램의 목적은 체지방률을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최 대하 운동강도로 지속시간을 길게 하고 지루함을 경감하기 위해 트레드 밀에서 걷기와 달리기, 고정식 자전거 타기, 스텝퍼를 각각 15분씩 총 45 분 동안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1주일에 한번씩 운동강도를 촉진법을 통해

(24)

재설정하였으며, 이렇게 맞추어진 운동강도에 대한 트레드밀 속도, 고정 식 자전거의 저항값, 스텝퍼의 빠르기 조절을 통해 운동강도를 일관되게 하였다. 12주간 주당 3회 실시하였으며, 일일 운동프로그램은 <표 3>와 같다.

표 3. 일일 운동프로그램

준비운동 유산소운동 정리운동

운 동 종 류

트레드밀 걷기 스트레칭

운동시작전에 운동동 기부여를 할 수 있도 록 하며, 건강상태등 을 유심히 관찰한다.

트레드밀(걷기) 고정식자전거타기 스텝퍼

트레드밀 걷기 스트레칭

운 동 강 도

트레드밀걷기

(VO2max의 20-30%) 천천히 그러나 충분 히 실시하며 특히, 무리하지 않게 주의 하여 실시한다.

VO2max의 40%-60%

로 하며, 심박수와 더 불어 운동 중 주관적 강도를 참고로 운동강 도 결정

트레드밀 걷기 ( V O2 m a x 의 20-3 0%) 근 육 의 뭉침과 피로를 경감할 수 있도 록 가볍게 실시 한다.

도 주당 3회 주당3회 주당3회

시 간

총10분(트레드밀 걷 기 5분+스트레칭 5 분)

총45분(트레드밀15분+

자 전 거 1 5 분 + 스 텝 퍼 15분)

총10분(트레드밀 걷기 5분+스트레 칭 5분)

(25)

3. 측정도구 및 측정방법

1) 측정도구

표 4. 측정도구

측정기구 모델명 제조회사 측정내용

체중계 TBF - 202 TANITA 체중

측정

신장계 TBF - 202 TANITA 신장

측정 체지방률 Bioelectrial Impedance

Fatness Analyzer

Gill -Woo Trading Co(korea)

체지방 측정 타이머 Track stas7

Jewels NEVER(Swiss) 시간 측정

2) 측정 방법

(1) BMI(body mass index)

신체질량지수(BMI)는 신장에 대한 체중의 비율로 체중(kg)을 신장(m) 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표현된다(한국체육과학연구원, 1998). 신체질량 지수는 체지방율을 추정하는데 도움을 주지는 못하지만 측정이 용이하고 계산이 쉬울 뿐만 아니라 수중체중법과 상관관계가 높아 유용성이 매우 높다. 신장과 체중을 측정한 값을 다음 공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신체질량지수(BMI) = 체중(kg)/신장(m2)

(26)

신장과 체중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신장 측정(height)

검사자는 신장계 위에 맨발로 서서 발의 앞 끝을 30∼40°가량 벌리고 엉덩이와 뒤꿈치 등이 신장계에 닿도록 하고 시선은 전방 15°위를 보도 록 하고 발바닥 면에서 머리끝(상)까지의 수직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말한 다.

② 체중측정(weight)

먼저 체중계를 0점에 점검한 후 검사자는 팬티만 입고 체중계 중앙 발 모양이 있는 위치에 조용히 올라가서 자리잡고 안정된 상태에서 측정하 였으며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2) WHR(Waist Hip Ratio)

WHR은 요위와 둔위의 비율을 의미하며, 비만정도를 결정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허리둘레와 둔부둘레의 비율을 이용한 것이다. 허리와 엉덩이 둘레의 비율로 다음의 공식에 의해서 산출하였다(한국체육과학연구 원,1998).

WHR= 허리 둘레(cm)/엉덩이 둘레(cm)

(3) 생체전기저항 분석법에 의한 체지방률(%fat)측정

생체전기저항 방법은 인체가 전기를 전도할 수 있는 체액을 세포 내외 에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인체에 무해한 고주파 수 (500∼

800KHZ)를 전도시키면 지방이 많은 사람이 적은 사람에 비하여 전기 저 항이 크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체지방율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27)

(한국체육과학연구원, 1998).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다음의 지침을 준 수하였다.

① 검사전 4시간 동안 식음료를 금한다.

② 검사전 12시간 동안 운동을 금한다.

③ 검사전 30분 전에 배뇨한다.

④ 검사전 48시간 동안 음주를 금한다.

⑤ 검사전 7일 동안 이뇨제 복용을 금한다.

측정 당시 몸에 있는 귀금속을 완전히 제거한 후 간편한 복장차림으로 측정하였다.

4. 자료의 처리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Window용 SPSS 10.0를 이용하였으며 실험 결 과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항목별 유의 차에 대해서 집단간 에는 독립 t-test를 집단내 변화는 종속 t-test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 다. 유의수준(α)은 .01로 하였다.

(28)

Ⅳ. 결과 및 논의

12주 간의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이 비만 남성의 신체질량지수(BMI), 요 위와 둔위의 비율(WHR), 체지방율(%Body fat)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 기 위해 수행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산소 운동전·후 신체질량지수(BMI)의 변화

신체질량지수(BMI)는 비만도를 나타내는 가장 측정방법이 간편하고, 수중체중에 의한 비만판정과도 상관이 매우 높은 지수이다.

12주간의 유산소운동 전·후 신체질량지수(BMI)에 집단간 및 집단 내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5>,<표 6> 및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동일 집단 내에서 유산소운동 전·후 신체질량지수 (BMI)의 변화를 조사하였을 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두 집단간 평균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5. 집단간 사전 및 사후 BMI 대한 독립 t-test 결과

Group Mean Std. D t df p

Pre

운동군 27.7 2.84

-.122 18 .904

비운동군 27.5 3.48

Post

운동군 26.4 2.52

3.23 18 .751

비운동군 26.9 3.20

각각의 집단별로는 운동군과 비운동군 두 집단모두에서 BMI가 감소하

(29)

였다. 특히, 운동군에서는 27.7±2.84였던 BMI가 12주 후에는 26.4±2.52 로 낮아져 매우 의의 있는 차이(P<.01)가 나타났다. 한편, 비운동군에서 도 사전검사 때의 BMI가 27.3±3.48이었던 것이 12주 후에 26.9±3.20으 로 낮아져 의의 있는(P<.01)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 운동군이라고 는 하지만 임상적인 실험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인간의 식생활과 수 면시간 등의 완벽한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나타난 것으로 생 각되며, 운동군에서 더욱 의의 있는 차이가 난 것으로 유산소 운동의 효 과를 설명할 수 있다.

표 6. 집단내 사전·사후 BMI의 종속 t-test결과

Mean Std. D t df p

운동군

Pre 27.7 2.84

9.147 9 .000

Post 26.4 2.52

비운동군

Pre 27.3 3.48

3.983 9 .003

Post 26.9 3.20

(그림 1)에서 보는바와 같이 운동군과 비운동군 모두 12주 후에 BMI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운동군에서는 BMI의 감소경향이 두드러 진 것을 볼 수 있다. BMI는 수중체중에 의한 비만판정과 상관이 매우 높 으면서, 측정이 간편한 방법으로 이러한 결과는 유산소 운동을 계속해서 꾸준히 실천할 경우 비만을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 편, BMI의 단점은 체지방량과 제지방량을 구분할 수 없고 단지 신장과 체중만으로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비운동군의 BMI 감소를 설명하는 데는 불충분하다고 할 수 있으며, 임상실험인 것을 감안할 때 BMI가 감

(30)

소하였다는 것은 체중의 감소를 의미하고 식사통제 등의 가외변수가 작 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2. 유산소 운동전·후 WHR의 변화

요위와 둔위의 비율(WHR)은 비만도를 나타내는 측정방법이 간편하고, 둘레 측정만으로도 가장 건강에 위험하다는 복부비만의 정도를 나타내 주는 비율이다. 특히, 남자의 정상범위는 0.8-0.95 이다. 0.95이상이 되면 성인병 등의 위험율이 증가할 수 있는 범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비 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복부의 둘레 감소할 수 있도로 조깅 등의 유산소 운동을 통하여 복부의 지방을 제거해 줌으로써 복내 복강압력을 줄일수 있으며, 특히 복부에 있는 주요 장기의 혈액순환이나 각종 성인병의 유발 위험도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12주간의 유산소운동 전·후 요위와 둔위의 비율(WHR)의 집단간 및 집단내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7>,<표 8> 및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동일 집단 내에서 유산소운동 전·후 요위와 둔위의

(31)

비율(WHR)의 변화를 조사하였을 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두 집 단간 평균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7. 집단간 사전 및 사후 WHR의 독립 t-test 결과

Group Mean Std. D t df p

Pre

운동군 .97 .07

-.693 18 .497

비운동군 .95 .05

Post

운동군 .95 .06

-.410 18 .687

비운동군 .94 .05

각각의 집단별로는 운동군과 비운동군 두 집단모두에서 WHR이 감소 하였다. 특히, 운동군에서는 .97±.08였던 WHR이 12주 후에는 .94±.06으 로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비운동 군에서도 사전검사 때의 WHR이 .95±.05이었던 것이 12주 후에 .94±.04 으로 낮아졌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두 집단 모두 집단 내에서의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군에 서 WHR이 낮아지는 경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8. 집단내 사전·사후 WHR의 종속 t-test결과

Mean Std. D t df p

운동군

Pre .97 .08

1.257 9 .234

Post .94 .06

비운동군

Pre .95 .05

2.252 9 .051

Post .95 .04

(32)

(그림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운동군과 비운동군 모두 12주 후에 WHR 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운동군에서는 WHR의 감소경향이 두 드러진 것을 볼 수 있다. WHR은 복부비만을 나타내주는 비율로서 이 수 치가 높으면 성인병의 유발 확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어 유산소운동으로 복부의 지방을 산화시켜 이 수치를 낮춰어 줌으로써 성인병예방에 효과 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12주간 유산소운동을 통해서 통계적으 로 의의는 없었으나 평균치의 감소가 비운동군보다 운동군이 두드러지는 경향을 나타냄으로써 유산소운동의 WHR을 낮추는데 기여한 것으로 생 각된다.

3. 유산소 운동전·후 체지방률의 변화

12주간의 유산소운동 전·후 체지방율(%Body fat)에 집단간 및 집 단내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9>,<표 10> 및 (그림 3)에서 보

(33)

는 바와 같다. 동일 집단 내에서 유산소운동 전·후 체지방율 (%Body fat)의 변화를 조사하였을 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두 집단간 평균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9. 집단간 사전·사후 체지방율의 독립 t-test결과

Mean Std. D t df p

Pre

운동군 23.9 2.82

-.170 18 .867

비운동군 23.7 2.33

Post

운동군 21.5 2.75

1.509 18 .149

비운동군 23.1 2.04

각각의 집단별로는 운동군과 비운동군 두 집단모두에서 체지방율이 감 소하였다. 특히, 운동군에서는 23.9±2.82였던 체지방율이 12주 후에는 21.5±2.75로 낮아져 매우 의의 있는 차이(P<.01)가 나타났다. 한편, 비운 동군에서도 사전검사 때의 체지방율이 23.7±2.75이었던 것이 12주 후에 23.1±2.04로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 10. 집단내 사전·사후 체지방율의 종속 t-test결과

Mean Std. D t df p

운동군

Pre 23.8670 2.8187

20.839 9 .000 Post 21.4700 2.7358

비운동군

Pre 23.6700 2.3281

2.874 9 .018

Post 23.1000 2.0450

(34)

(그림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운동군과 비운동군 모두 12주 후에 체지방 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운동군에서는 체지방율의 감소경향 이 두드러진 것을 볼 수 있다. 전기저항법을 이용하여 구한 체지방율은 몸에 전류를 통해 체지방량과 제지방량을 구분하여 체지방률을 구할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이다. 즉, BMI나 WHR에서 잴 수 없는 직접적인 방 법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12주간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체 지방율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났다는 것은 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이 체지방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해 주는 결과라 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12주간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을 주당 3회 45분씩 VO2max의 40-60%의 운동강도로 실시하였을 때 BMI, WHR의 감 소를 보였다. 그러나 비운동집단에서도 감소를 보였기 때문에 유산 소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아도 비만도를 낮출 수 있다는 것으 로 해석되기 쉬우나 체지방율(%Body fat)의 수치를 보면 BMI나 WHR의 감소는 일시적인 생활습관에서 오는 편차였을 것이라 판단

(35)

되며, 결국 전기저항법에 의한 체지방율에서 나타나듯이 12주간 유 산소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 운동군이 체지방을 감소시킨다 는 결과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체중의 감소라든가 복부의 둘레 축소는 일시적인 것일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체지방율을 낮추고 제지방량을 늘리는 것에 대 한 운동효과는 본 연구의 결과로 임상적으로 입증되었다고 생각된 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유산소운동의 효과이다. 즉, 유산소 운동없이 과연 체중을 줄일 수 있는가에 관한 문제들은 식이요법 만으로도 가능할 것이지만, 운동을 함으로써 우리 몸에 필요한 제지 방량의 감소는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체지방 만을 제거하는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비운동 집단에서 BMI와 WHR의 감소경향으로 미루어 볼 때 체중이 감소가 영향을 준 것으 로 생각된다. 그러나 체중의 감소와 함께 근육량 즉, 제지방량의 감 소도 함께 왔다면, 건강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 다.

식이요법만으로 체중을 조절하기 위한 프로그램 연구(ACSM, 1983; Hill, Sparling & Heller, 1987; Wood, Stefanick, Williams&

Haskell, 1991)들에서는 한결같이 지방량과 제지방량이 함께 감소한 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비운동집단의 체중감소는 선행연 구들에서의 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BIA(Body Impedance Analysis)방법으로 체지방율을 측정한 결과가 본연구에 서 운동군에서만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비운동집단 에서는 약간의 평균치만 감소한 것으로 볼 때 식사등의 다른 요인 에 의해 제지방량의 감소와 체지방량의 감소를 동반한 체중손실이

(36)

라고 생각된다.

한편, 미국 스포츠 의학회(1998)는 신체조성에서 체지방율을 낮추 고 제지방량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일일운동시 적어도 30분에서 45분의 운동지속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하였으며, 주당 3회 내지 5회 그리고 운동강도는 VO2max의 40%-80%의 범위에서 실시해야 한다 고 추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의 기준에 맞추어 운동을 실시 하였으며, BIA방법에 의한 체지방율의 유의한(P<.01) 감소를 확인하 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운동프로그램 적용시에 비만인을 대상으 로 하였고 운동 초보자가 많이 있었기 때문에 주당 3일 운동을 실 시하였으나 일일 운동시 45분간의 지속시간을 주면서 지루하지 않 도록 운동형태를 변화시켜줌으로써 초보 비만자들의 운동프로그램 으로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선행연구들 중에 제지방량의 손실이 거의 없이 체지방율만을 줄인 성공적인 연구(Bouchard & Tremblay, 1993; Stefanick, 1993;

Wood, Setanick, Drion et al, 1988)들은 에너지 소비를 최대로 활용 하게 끔하는 운동을 연계시키는 것이라고 한다. 이것은 본 연구에서 같은 유산소운동을 운동형태만 바꾸어 연계시켜 최대한 에너지 소 비를 이끌어 낸 것과 같은 맥락에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식이요법이나 일시적인 절식으로 인한 체중감소나 복 부의 축소는 효과적이지 못하며, 유산소운동을 통해 심폐지구력 등 의 건강관련체력도 증진시키면서 체지방율을 줄여나가는 것이 바람 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운동과 함께 식이요법을 병행하되 칼로 리를 너무 제한 하지만 않는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37)

Ⅴ. 결론 및 제언

1. 결 론

효과적인 비만 해소 운동에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 여 규칙적인 운동에 참가한 경험이 없는 30∼50대 비만 남성들을 대상으 로 12주간 유산소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BMI, WHR, %Body fat 변화와 유산소 운동집단과 비운동 집단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체질량지수(BMI)는 운동군, 비운동군 모두 유의(P<.01)하게 감소 하였다.

2) 요위와 둔위의 비율(WHR)은 운동군, 비운동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3) 체지방율(%Body fat)은 운동군에서 유의(P<.01)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유산소 운동은 비만인 남성에게 체지방 율을 감소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 루어져야 할 운동요법이라고 할 수 있다.

2. 제 언

본 연구는 12주간 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이 각종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비만도를 낮추는데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40세 전후의 남성을 대상으로 임상적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하는데 초점 을 맞추었다. 그러나 식사나 일상생활의 통제와 식이요법을 병행하였을 때, 그리고 여성 등의 대상으로 연구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장 체지방율을 측정하는데 정확한 방법인 수중체밀도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후속 연구에서 비교 분석 하는 것이 요구된다.

(38)

참 고 문 헌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1999). 최신운동처방. 21세기문화사.

권영경(1999). 과체중 여성에 댄스스포츠가 체형, 체지방 및 혈압변화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논문.

김설향(1996). 에어로빅스 운동처방. 태근.

김영설(1990). 비만증의 분류 및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김양수(1996). 약이 되는 운동 병이 되는 운동. 한국문헌.

김의수 외 3인(1995). 운동과 성인병. 태근문화사.

김효진(2000). 에어로빅운동이 체력 및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박수현, 유승희(1997). 현대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운동처방. 태근.

박철민(1995). 건강과 운동. 태근문화사.

서상진(1999). 비만도에 따른 최대지방연소를 위한 운동강도 설정에 관 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성동진(1994). 운동처방Ⅱ. 설운출판사.

안애정(1997). 슬링 스트레칭. 삼호미디어.

안창식, 이복식, 강동희(1998). 스포츠의학개론. 웅보출판사.

유승희, 박수연(1990) 운동처방. 태근.

이광무(1993). 유산소성 운동이 비만여고생의 체격, 신체조성 및 혈청지 질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장명래, 이운창(1994). 비만도와 비만의 유형에 따른 혈압, 혈당 그리고 혈청지질 및 단백질, 지단백질과의 관계.

정성림(1999). 운동강도에 따른 혈중지질 및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변화.

(39)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조충현(1997).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체력 운동수행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차상우(1997). 비만 수준별 최대운동이 운동전·후 최대 산소섭취량과 젖산축적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건식, 정영자, 김남익, 황수관(1994). 트레드밀 운동프로그램 적용이 성인비만자의 심폐기능과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 학회지.

한상철(1995). 스포츠영양학. 태근문화사.

황수관(1990). 성인병 예방을 위한 운동처방 프로그램의 개발안. 체육과 학 논총.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Proper and improper weight loss programs. Med. Sci. Sports Exerc.

15:ix-xiii, 1983.

American Heart Associsation(1975). Exercise testing and training of individuals with heart disease of at high risk for its development. A hand book for physicians. Dallas

Asmussen E(1995). Cardiac output during muscular work and its regulation. Physiol Rev.

Astnat PO, SAltin B(1961). Oxygen uptake during the first minutes of muscular exercise. Appl Physiol

Blomqvist CG, Saltin B(1983). Cardiovascular adaptations to physical training. Ann. Rev. Physiol

Bouchard, C., J.P.Despres, and A. Tremblay. Exercise and obesity.

(40)

Obes. Res. 1:113-147, 1993.

Bray GA(1983). The energetics of obesity. Med Sci Sports

Bray GA(1988). Exercise, fitness and health, human Kinetics book. Co.

Cooper KH(1982). The aerobic program for total well-being. Evans and Company, New York

Hill, J. O., P. B. Sparling, T. W. Shields, and P. A. Heller. Effect of exercise and food restriction on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c rate in obese women. Am. J. Clin. Nutr.

46:622-630,1987.

Lamb, D.R.(1978) Physiology of Exercise : Responese and Adaptations. Ner McMillan Publishing co.

Leon AS, Conrad J, Hunninhake DB, Serfass R(1997). Effets of a vigorous walk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of obese young man. Am J Clin Nutr

Pacy PJ, Webster J, Garrow JS(1986). Exercise and obesity. sports Mwd

Pitts GC(1984). Body composition in the rat : interactions of exercise, age, sex, and diet. Am J Physiol

Stefanick, M. L. Exercise and weight control. In: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Vol.21,J.O.Holloszy(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3, pp. 363-396.

Van Itallie TB,(1985). Health implication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Ann. Intern. Med.

Wood, P. D., M. L. Sefanick, D. Drion, et al. Changes in plasma

(41)

lipids and lipoproteins in overweight men during weight loss through dieting as compared with exercise. N. Engl. J. Med.

319:1173-1179,1988.

Wood, P. D., M. L. Stefanick, P. T. Williams, and W. L. Haskell.

The effects on plasma lipoproteins of a Prudent weight reducing diet, with or without exercise, in overweight men and women. N. Engl. J. Med. 325:461-466, 1991.

수치

표 2. 실험절차

참조

관련 문서

알파입자는 매우 낮은 투과력을 가지고 있어서 종이 한 장이나 피부의 표피에 의해 막아진다 얇은 금속도 알파입자를 흡수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방출된

철저한 병력청취와 신체 검 진, 적절한 실험실 검사를 통하여 내분비 고혈압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적절한 고혈압 약물치료 및 수술적 치료를 통

 다음 대화에서 상대방이 기분 나쁘지 않게 거절해 보십시오.. 그분이 한국어를

실험하기전 2번 꺾은 변형 모형이 제일 잘 섞일

모든 것에 대한 하나님의 소유권을 인정하고 , 이러한 순종을 통해 하나님께서 축복해 주실 것을 신뢰하라.. 하나님께서 축복해

• OC곡선은 주어진 샘플링검사법이 로트의 양·불량을 얼마나 잘

위에서 square aperture size 에 따른 Fresnel diffraction patterns 사진이 이것을 잘 보여준다.. Cylindrical wavefront zones 에

혈관이 다쳤을 수도 있으므로 빼지 말고 병원으로 간다... -깨끗한 거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