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아체육 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유아체육 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Copied!
6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논문

유아체육 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children's positive self-concepts and pro-social behaviors through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program.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백 민 호

2002

(2)

유아체육 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도교수 김 창 규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 논문으로 제출함

2002년 10월 24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백 민 호

2002

(3)

백 민 호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02년 11월 5일

심사위원장 (인)

심사 위원 (인)

심사 위원 (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4)

국문초록

유아체육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백민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본 연구는 6살 이전의 유아들의 신체교육이 긍정적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아체육을 실시하는 서울에 있는 D유치원과 유아체육을 실 시하지 않는 G유치원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검사자료를 윈도우SPSS window 10.0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으며 긍정적 자아개념, 친 사회적 행동간의 t-test와 실시 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신체교육이 실시되었던 D유치원과 실시되어지지 않았던 G유치원의 연 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 집단의 유아 그룹사이에는 전체자아개념의 중요한 관계가 통계적으로 나타나 있 다. 이것은 긍정적 자아개념의 발달이 신체교육프로그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말한다.

2. 두 집단의 유아 그룹사이에는 일반적 충분한 자아개념의 중요한 관계가 통계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충분한 자아개념의 발달이 일반적으로 신체교육프로그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말한다.

3. 두 집단의 유아 그룹사이에는 같은 연령의 또래관계 자아개념의 중요한 관계가 통 계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같은 연령의 어린이들의 자아개념의 신체교육에 의해 효과적 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5)

신체교육프로그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것을 말한다.

5. 두 집단의 유아 그룹사이에 있어서 수업에(학문적)대한 어린이들의 자아 개념은 중 요한 관계가 있다. 이것은 어린이들의 수업에 대한 자아개념이 신체교육 프로그램에 의 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말한다 .

6. 두 집단의 유아 그룹사이에 있어서 신체활동에 대한 어린이들의 자아개념의 중요한 관계가 통계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신체활동(운동)에 대한 어린이들의 자아개념이 신체교육프로그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말한다.

7. 두 집단의 유아 그룹사이에 있어서 어린이들의 친 사회적 행동의 중요한 관계가 통 계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확대된 친 사회적 행동들이 신체교육프로그램에 의해 영 향을 받는다는 것을 말한다.

결론적으로 어린이들에 신체교육을 실시하면 그들의 긍정적인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 동의 발달에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들에게 적당한 신체교육프로그램 은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6)

목 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목적 ··· 3

3. 연구문제 ··· 3

4. 연구의 제한점 ··· 3

5. 용어의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1. 유아기의 신체활동 ··· 5

2. 자아개념 ··· 13

3. 친사회적행동 ··· 15

4. 선행연구 ··· 19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 23

2. 연구기간 ··· 24

3. 측정도구 ··· 24

4. 연구절차 ··· 28

5. 자료분석 ··· 30

(7)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유아체육교육이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31 2. 유아체육교육이 유아의 친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37

Ⅴ. 결론

1. 결 론 ··· 39 2. 제 언 ··· 40

참고문헌

··· 42

ABSTRACT

··· 45

부록(설문지)

··· 47

(8)

표 목 차

표 1. 연구대상의 성별 분포 ··· 23

표 2. 연구대상 부모의 직업별 분포 ··· 23

표 3. 연구대상 부모의 학력별 분포 ··· 24

표 4. 전후 검사 통제집단 분포 ··· 29

표 5. 집단별 사전․사후 자아개념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 31

표 6. 전체자아개념에 대한 ANOVA 분석 ··· 32

표 7. 일반적 충족감 자아개념에 대한 ANOVA 분석 ··· 33

표 8. 또래관계 자아개념에 대한 ANOVA 분석 ··· 34

표 9. 교사․유치원 자아개념 대한 ANOVA 분석 ··· 34

표 10. 학문적 자아개념에 대한 ANOVA 분석 ··· 35

표 11. 신체적 자아개념에 대한 ANOVA 분석 ··· 36

표 12. 집단별 사전․사후 친사회적 행동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 37

표 13. 친 사회적 행동 점수에 대한 ANOVA 분석 ··· 38

(9)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유아기는 운동기능의 발달을 위한 이상적 시기이며, 습관이나 태도 형성의 중요한 시기이다. 또한 출생이후 유아기는 일생 중에서 두뇌 발달이 가장 활발 한 시기로서 지능 발달의 결정적 시기이기도 하며, 인간 지능 발달의 50%이상 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취학전, 즉 유치원에 다니는 4∼7세의 어린이에게 있어 서 신체활동 교육은 신체적 발달은 물론 지적․정신적․사회적 발달에 많은 영 향을 준다고 논하고 있다(Hurlock, 1965). 또한 이시기는 자아 개념이 형성되 기 시작하는 시기로서 유아의 성장 발달로 보아 신체활동 교육이 매우 중요한 시기임을 인식 할 수 있다.

유아의 신체적인 활동은 신체적 발달 그 자체뿐만 아니라 지적․정서적․사 회적 발달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정신적인 발달에 충분하고도 올바른 신체활동 교육이 이 시기의 어린이들에게 제공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형태적 환경의 특성이나 그 속에서 자라나는 아동기 어린이들의 신체적 발달 특성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겠다(유승희, 1995).

유아체육은 유아들이 스스로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서 각종 운동 내용들의 특 성을 설정하여 유아의 교육 계획에 활용함으로써 운동 놀이로서의 기능을 발휘 하고자 하는 것을 말하며, 놀이를 중심으로 한 유아들의 모든 신체 활동을 포 함하는데 유아체육의 핵심은 움직임의 교육이라고 할 수 있으며, 움직임을 통 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체육 활동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시간과 공간, 힘과 움직 임의 흐름 등의 기본 개념을 터득하게 하고, 당면 과제에 대한 해결 능력을 함 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계획된 놀이에서 생활을 개발하여 지적․정서적․신 체적․사회적 발달을 촉진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문화체육부, 1995).

(10)

유아체육의 주체는 어린이 자신이며 주체성은 어린이 자신에게 있다. 또한 유아체육의 원동력은 어린이의 자발성에 있고 유아체육의 전개 과정은 어린이 들이 뛰어 노는 가운데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원칙을 무시하고 일 률적, 억압적으로 한다면 오히려 체육에 대한 혐오감만 심어 주는 결과가 될 것이다(현일환, 1997).

우리 나라 유아교육에서 체육 활동의 위치를 살펴보면 다른 활동에 비해 그 중요성이 덜 부각된 것을 알 수 있다. 교육부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을 여러 번 개정하면서 체계를 잡아가는데 애를 써 왔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유치원 교육 과정에서 5개 발달 영역 가운데 다른 영역에 비해 신체 발달 영역은 매우 저조 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홍양자, 1984).

또한 각 유치원의 실제 교육과정에서도 초등 학교에 가서 당장에 눈에 띄게 드러나는 인지 발달 중심의 활동들이 신체 발달을 강조한 활동에 비해 더 중요 시되어 왔는데 이는 유치원 교육 활동을 종류, 실시 횟수 및 소요 시간별로 조 사한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장명림, 임짐영, 1993).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5차 교육과정에서는 신체 기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활용하기, 지각과 운동을 협 응하여 활동하기, 체육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등의 항목을 추가하였는데, 신체의 자아 개념과 적극적인 활동을 강조하는 것, 감각과 운동간의 협응뿐 아 니라 지각과 운동간의 협응도 중요시하는 것, 심리적인 건강 생활을 위해 활발 한 체육 활동을 즐기도록 하는 것으로 건강의 개념에 심리적인 건강을 포함하 여 좀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하고자 한 것이다(교육부, 1994).

한편 1980년대 이후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생활 수준이 안정되면서 문화생활 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하나 나 둘 밖에 없는 자녀에 대한 애정이 조기, 특 기 교육의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했을 때, 일부 학부형들은 자녀들을 미술 학원 이나 피아노 학원에 보내지 않고, YMCA나 키즈클럽 또는 체육 센터에서 실시 하는 아기스포츠단,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에서 유아체육을 실시하는 곳과 같 은 유아체육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에 보내기 시작하였다(홍지원, 1994) 짐보

(11)

리, 엄마랑 놀이 아카데미, 리틀콜럼부스, 정글짐과 같은 프로그램이 퍼져 나가 는 것만 보아도 유아를 대상으로 한 유아체육 활동 프로그램이 일반인들의 호 응을 얻어 차츰 늘어가는 추세임을 부인할 수 없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현장에서 직접 체계적인 유아체육을 실시하는 유치 원과 유아체육을 실시하지 않는 곳의 유아의 긍정적 자아 개념과 친 사회적 행 동을 비교 분석하여 유아체육이 과연 유아들의 자신감과 친 사회적 행동에 효 과적인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3. 연구의 문제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체육 교육이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유아체육 교육이 유아의 친 사회적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특성과 절차상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1) 연구 대상이 전국적인 것이 되지 못하고 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 문에 일반화하는 것은 어려운 점이 있다고 본다.

2) 유아의 남, 녀 성별에 기인하는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3) 유아체육을 실시하는 유치원과 유아체육을 실시하지 않는 곳의 생활수준, 문화적 환경을 고려하지 않았다.

(12)

5. 용어의 정의

1) 유아체육 : YMCA, 아기스포츠단, 유치원이나 어린이 집, 학원등에서 체육 선생님이 매트, 철봉, 뜀틀, 소도구(줄넘기공)등을 갖고 대근활동을 사용하 는 신체 활동을 의미한다(황덕호, 1992).

2) 자아개념 : 스스로를 가치 있다고 생각하고 존중해 주는 자신에 대한 태 도를 의미한다 (김인자, 1982).

3) 친 사회적 행동 : 외적 보상에 대한 기대와는 관계없이 타인의 이익을위 해 수행되는 자발적인 행동을 의미한다(이점숙, 1985).

(13)

Ⅱ. 이론적 배경

본 연구는 유아체육을 실시하는 유치원과 유아체육을 실시하지 않는 곳의 유 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유아체육의 중 요성, 신체발달의 원리, 유아기의 발육발달, 자아 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 그리 고 선행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1. 유아기의 신체활동

1) 유아체육의 중요성

유아기의 신체 활동이 지니는 의미는 신체 발육이나 운동 능력 발달 이상의 교육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유아기 신체 활동의 중요성은 한층 더 강조되어야 하고 유아기의 올바른 체육 활동이 다른 영역의 학습에 모 체가 된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를 통하여 많이 입증되고 있으며, 유아기의 발달 특징에 의한 유아체육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찾아볼 수 있다.

첫째, 유아기는 운동기능의 발달을 위해 아주 이상적인 시기(Hurlock, 1964) 이기 때문에 유아기의 신체 활동이 중요하다. 유아기는 뼈가 경골화 되기 이전 이므로 몸이 유연하며 호기심과 모험심이 강하고 감수성이 예민하여 다양한 기 능을 학습하는 것이 용이하다.

둘째, 유아기는 유아들이 생활 습관과 태도를 형성하기 시작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활동이 중요하다. 따라서 유아기는 놀이가 생활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 이 아니다.

(14)

셋째, 유아기는 일생 중에서 두뇌 발달이 가장 현저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 기 때문에 신체 활동이 중요하다. 이 시기의 지능과 신체 발달 사이에는 밀접 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특히 건강을 좌우하는 영양 상태는 지적 발달의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넷째, 유아기는 자아 개념이 시작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신체 활동이 중요하 다. 체형과 체격에 대한 자아 개념은 사춘기에 뚜렷하게 나타나지만 놀이 및 신체 활동을 통해서 얻어지는 성취감, 만족감 등은 유아기의 자아 개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현일환, 1997).

적당한 운동은 신체의 발육을 촉진하고 과도한 운동은 발육을 저해한다는 것 은 신체 활동에 관한 생물학적 법칙이다. 따라서 유아기에 즐겁게 활동하는 신 체 활동 놀이는 신체 발육을 촉진하며 나아가 질서 있는 사회생활을 배우고 잠 재력을 개발할 수 있는 매우 적절한 시기이다(문화체육부, 1995).

2) 신체 발달의 원리

인간의 성장 발달 과정에는 일정한 법칙과 원리가 있으며, 일반적인 발달 원 리가 신체 발달에는 그대로 적용된다. 이러한 운동 발달에는 두 가지 근본원리 가 있는데 하나는 두미 방향 발달이고 다른 하나는 중심 주위 방향 발달이다.

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 발달은 연속적 과정이다. 특히 신체의 성장은 개체의 내적 충동에 의한 연속적 과정이다. 어떤 신체 기관의 성장이나 운동기능의 발달은 앞 단계 의 변화를 기초로 하여 다음 단계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성장 발달은 언 제나 연속적 관계를 가진다.

둘째, 신체 발달에는 다음과 같은 일정한 순서가 있다.

(15)

(1) 신체는 머리 부분에서 끝부분으로 발달하는 경향(cephalo to caudal trend)이 있다. 유아는 먼저 고개 들기를 익힌 다음에 몸을 뒤집게 되며, 차츰 손으로 물건을 잡을 수 있게 되고 설 수 있게 된다. 얼굴도 윗부분이 아랫부분 보다 먼저 발달하며 다리 근육보다는 팔 근육이 먼저 발달한다.

(2) 신체는 중심부에서 말초부로 발달하는 경향(proximo to distal trend)이 있다. 즉 손이나 다리의 운동이 발달하기 전에 몸통 부분이 먼저 발달한다. 신 경계통에 있어서도 대뇌가 먼저 발달하고 점차로 말초신경이 발달하며 팔, 손 목, 손, 손가락의 순서로 발달한다(강상조, 조정환,1986).

(3) 신체발달은 전신운동에서 부분운동으로 진행되는 경향(mass to sp-ecific trend)이 있다. 처음에는 미분화 상태에서의 전신운동을 보이다가 점차로 분화 된 부분 운동으로 발달한다. 따라서 성장할수록 불필요한 움직임이

줄어들게 된다.

(4) 근육은 대근육에서 소근육(trend from large to small muscles)으로 발달 한다. 유아나 아동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초기에는 몸 전체적인 동작 반 응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근육도 대근육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성숙함에 따 라 차츰 소근육을 사용하게되며 운동이 정교하고 세련되어진다.

(5) 신체는 양방에서 일방으로 발달하는 경향(lateral to unilateral trend)이 있다. 유아는 신체 구조로나 생리적으로나 항상 양방 관계로 균형을 이루다가 차츰 일방으로 선택하여 발달하게 된다(문교부, 1984).

셋째, 신체 구조와 심리적 기능 발달에는 중요한 결정적 시기가 있다.

신체 각 부위의 발달은 그 시기는 같지 않으나 급증기와 정체기가 반복 교차해

(16)

서 나타나게 된다. 특히 유아기는 동작 기능의 학습을 위한 이상적 시기라고 불리는데 그 이유는 유아의 신체가 유연하고 위험심과 숙의가 있으며,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적고 호기심이 강하며 학습을 위한 시간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문화체육부, 1995).

넷째, 운동발달에는 개인차가 있다. 발달 속도뿐만 아니라 발달 유형에도 개 인차가 존재하며, 남녀의 차이도 존재한다. 또한 개인 내에 있어서도 발달 영역 에 따라 그 속도 및 유형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개인차는 학습 기회, 훈련 방법, 동기 유발, 문화적 기대, 연습량, 신체 변화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 해 일어나게 된다.

다섯째, 신체발달은 다른 영역의 발달과 상관성을 가진다. 인간의 신체, 인지, 정서, 사회성은 서로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발달하여 통합적인 인격체로 발달하게 된다. 정상적인 신체 발달은 사회성, 학업성취, 정서적 안정성 및 직 업적 성취 등에 영향을 미치며, 반대로 지능, 불안과 공포 등이 신체 발달에 영 향을 미치고 있어 하나의 전인적인 인격체를 형성하게 된다.

여섯째, 신체발달은 개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한다. 예를 들어, 선천적으 로 운동에 소질이 있다 하더라도 이를 개발시킬 적절한 학습 기회가 주어지지 못한다거나, 부모가 지나치게 기대한다거나, 적당한 시설이나 장소가 없다면 만 족스런 운동 발달을 기대하기 어렵다(문교부, 1984).

3) 유아기의 발육 발달

유아기의 발육발달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성장과 성숙 그리고 학습이 있다.

성장이란 주로 신체의 크기에 일어나는 양적인 변화를 의미하며 성숙은 신체 구조나 조직이 좀 더 복잡해지고 분화되어지는 질적인 변화를 말한다. 이와 같 이 성장과 성숙은 대부분 유전적인 소질에 의해서 결정되는 발달의 측면이며, 학습은 환경과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후천적 발달의 측면이다(문화체육부,

(17)

1995).

(1) 신체 각부위 발달의 특징

어릴수록 균형이 잡혀 있지 않으며 제대로 신체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즉 머리, 몸통, 얼굴, 팔, 다리, 손, 발등이 동시에 같은 비율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발달하는 정도 및 시기가 각각 다르며 태아기와 유아기에 있어서 두부는 키의 약 1/4정도이며 6세경에는 1/6로 10세경에 완성되며 사지의 발달 은 사춘기에 완성된다.

(2) 신체의 발달 형태

신체의 제기관은 대체적으로 상호 관련하여 발달하지만 발달의 속도가 일정 하지 않기 때문에 각각 고유한 발달 형태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신체 제기관 의 발달 형태를 일반형(general type), 신경형(neural type), 임파형(lymphoid type), 생식형(genital type)으로 분류하여 발달곡선으로 설명하고 있다.

① 일반적 신체형(general. body type): 키, 몸무게, 근육 및 내장기관 등의 발달이 이에 속한다. 젖먹는 기간에 급격히 발달하며, 유아기(乳兒期)와 유아기 (幼兒期)에 점차 감소하고 청년기에 가속적으로 발달하는 S자형으로 알려져 있 다. 대개 5, 6 세 어린이들의 근육이나 골격의 중량은 어른의 30% 정도밖에 안 되며, 근력운동도 충분히 할 수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② 신경형(neural type): 뇌, 척추, 안구의 발달이 이에 속한다. 인간의 뇌 는 태어나면서부터 다른 부위에 비해 무거우며, 영․유아기에 급격히 발달하고 2세경 성인의 60%, 4-5세경 80%, 8세경 95%에 달하는 성장 과정을 거치게 된 다. 따라서 어린 시절에 쉽게 상상할 수 있는 지적 내용보다 민감하게 받아들

(18)

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③ 임파형(lymphoid type): 비장, 흉선, 그 외 임파의 발달이 이에 속한다.

처음에는 신경형보다 덜 발달하다가 6세경 급격히 발달하여 성인의 90%에 도 달하며, 7세 때에는 이미 성인의 수준에 이르고 다시 12세 정도에서는 성인의 2배에 가깝게 성장했다가 그후에 급격하게 저하되어 성인의 영역에 들게 된다.

④ 생식형(genital type): 난소, 고환, 그 외 생식적 조직은 비교적 늦게 발달하며 신경형과는 거의 반대로 발달한다. 즉 생식선은 생후 여러 해가 지나 도 별로 발달되지 않고 12세 경에도 성인의 10%에 불과한 발달을 보이며 그 후에는 직선적으로 발달한다.

(3) 사회적 발달 특성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사회적 관계를 맺게 되는데 유아들은 성장하면서 가 족집단, 친구집단, 학교집단 등과 같은 사회집단의 한 구성원으로서 생활하게 된다. 특히 유아나 아동의 집단은 놀이와 아주 밀접한 유희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놀이를 통해 감정이 표출되면서 분쟁이 협력으로, 단독행위가 협동으로 바뀌 고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며 경쟁의식 속에서 협력하고 집단의 행동을 통일하고 사회적으로 적응하는 행동의 기초를 학습하게 된다.

또 유아와 아동의 또래 집단 속에는 힘이 세던가 지능이나 운동 능력이 뛰어 난 유아가 권위를 가지고 그들 집단의 지도자 역할을 하고 이러한 질서 속에서 상호간의 사회적 인간관계를 유지해 나간다.

(19)

(4) 정서적 발달의 특징

운동은 유아들의 독립심을 키워 주고 부모에게 의지하기보다는 스스로 문제 를 해결해 낼 수 있는 자신감과 행복감을 느끼게 하여 긴장되고 불안한 정서 상태에서 해방시켜 준다. 더욱이 근력, 유연성, 평형성, 협응력 등의 운동 기능 이 발달함에 따라 부모나 친구의 도움 없이도 혼자서 여러 가지 활동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게 되고 스스로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된다(이혜영, 1994). 또한 집단의식, 귀속감, 우정, 동반자의 의식 등을 유발하는 기회를 마련하며 사회적, 심리적 적응을 의미하는 사회 심리학적 안정을 유지한다(장주호, 1992).

4) 유아기 체육교육의 목적 및 내용

유아체육의 목적에 대해 Dougherty & Bonanno(1979)는 문제 해결을 통해 최대 참여와 성공감을 부여하고, 탐색을 통해 인간 움직임에 대한 이해를 하도 록 하며, 잠재적 창의력을 개발시키고,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발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기숙, 이영자(1986)는 첫째, 움직임을 통해 자아를 인식 하고 자신감을 형성하는 것. 둘째, 신체를 점차적으로 더욱 복합적인 방법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 셋째, 사고의 발달과 상징적 표상의 기초적인 인지 능력을 기르는 것. 넷째,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반응을 받아들이고 협동하게 되며,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 다섯째, 기초적인 운동 능력을 기 르며 신체인지, 움직임 가능성, 공간 인식, 조작 능력을 발달하게 하는 것이라 하였다. 또한 전국 교육대학 체육과 연구회(1987)는 신체의 효율적 이용, 즐거 움, 운동 능력과 표현력, 탐구력, 창의력 기르기를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상을 종합하면 체육 교육은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 신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함 으로써 자아를 인식하고, 움직이는 즐거움을 느끼게 하며, 기초적인 인지 능력 과 함께 사회성을 기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유아기 체육 교

(20)

육의 목표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네 가지 발달 측면이 있는데 신체적 발달, 운 동 및 동작 발달, 인지적 발달 그리고 사회적 발달이다. 그 가운데 본 연구와 관련이 있는 사회적 발달의 목표를 살펴보면, 인간의 개인적인 적응, 집단에 대 한 적응, 사회 일원으로서의 적응에 관한 것인데, 체육 교육은 적당한 지도력이 수반될 때 위와 같은 적응에 도움이 되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고 한다. 체육 교육의 사회적 목표의 또 다른 면은 모든 유아에게 적당한 자아 개념을 발달시 키는 것이다(이화여대 교양체육편찬위원회, 1984).

인간이 거쳐야 하는 여러 가지 신체 발달 단계에서 그들의 신체적 특성에 의 하여 친구들로부터 인정받기도 하고 혹은 거부당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자신의 자의식만이 아니라 체력과 신체적 기술이 사회적 이미지에 주는 영향 때문에 자신을 신체적으로 발달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목표가 되는 것이다.

다음은 유아기 체육 활동의 내용 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유치원 교육과정의 체육 발달 영역에서 언급된 내용은 감각기능, 운동 및 신 체 조정 능력, 그리고 건강 및 안전이다(문교부, 1984).

Gallahue의 체육 교육의 개념적 모델 가운데서 체육 교육의 내용을 살펴보 면, 게임, 리듬 활동, 자아 검증 활동(체조 활동), 그리고 水中활동이다(이영, 1982). 그리고 서울YMCA 유아체육 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더욱 구체적인 내 용은, 신체 적성 운동, 평균대, 매트, 맨손체조, 리듬 활동, 꾸미기체조 놀이, 협 동 놀이, 지능발달 놀이, 기구 놀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김덕륜, 1984). 인천 유아체육 연구원의 유치원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준비운동, 신체 적성 운동, 기 구 운동, 게임, 정리운동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보면, 유아기의 신체활동의 내용은 그 기준에 따라 다양한 편 이고 기본적인 체력의 구성 요인(민첩성, 근력, 지구력, 평형성, 유연성, 순발력, 조정력, 협응성 등)이 포함되기도 하며 내용 구성에는 어느 정도 융통성이 있 는 것을 알 수 있다.

(21)

2. 자아 개념

1) 자아 개념의 의미

자아 개념은 인성 형성에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구조의 하나 라고 보기 때문에, 최근에 와서는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학자들에 따라 그 개념이나 접근이 매우 다양하다. 이들의 견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자아 개념에 대하여 Comb와 Snygg(1959)는 자기만의 독특한 지각이라고 했 으며, Allport는 우리가 직접 의식하고 있는 그 무엇으로서 우리 생활의 따뜻하 고 중심적이며 사적인 영역이라고 하였다(Stagner, 1971). Rogers는 개인의 의 식속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용납된 자아 지각의 조직된 형태라고 했으며 (Mischel, 1971), Raimy(1948)는 현재와 과거의 자아 관찰로 일어난 어느 정도 조작된 지각적 대상으로서, 그것은 개인이 자기 발달에 대해 무엇이라고 믿고 있는 바라고 하였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자아 개념에 대한 견해는 다양하나 공통적으로 자기 자신 에 대한 총체적 지각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자아 개념은 자기 존재의 한 부분이며 특성이라고 생각하는 자기만 의 독특한 지각을 말하며, ‘나’라는 것과 관련되는 모든 자기 지각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자아 개념에 평가적 기준이 포함된 자아존중감에 대해 Atwater는 스스로를 가치있다고 생각하고 존중해 주는 자신에 대한 태도로서, 자신의 성 취와 타인에 의한 대우, 심지어는 자신의 신체적 특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영 향력에 의해 형성되는 개인적인 가치감이라고 정의하였다 (김인자 역, 1982).

Maslow는 이러한 자아존중감을 느끼지 못할 때 사람들은 열등감에 사로잡혀 용기를 잃고 낭패감을 갖게 된다고 하였다(조선화, 1988).

본 연구의 문제는 유아들의 긍정적 자아개념 향상도를 알고자 하는 것인데

(22)

Atwater는 자신감을 자아 개념과 관련된 자아존중감이라고 정의하였고(김인자 역, 1982), Well 와 Marwell 은 자아존중감을 자신감, 자아 평가, 자아 가치 등 과 유사하게 지칭되는 긍정적인 자아 개념이라고 하였다(조선화, 1988).

2) 자아 개념 형성에 미치는 요인

자아 개념의 형성에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가정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주리분,1982). 유아에게 적절, 부적절의 경험과 동일시의 경험을 제공하는 소규 모 문화 집단으로서의 가정(Comb와Snygg, 1959)이나 긍정적인 분위기의 가정 (Seala, 1963), 민주적 가정(최정희, 1972)이 유아의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형성 하기 위하여 중요한 조건이 된다고 하였다.

또, 유아들이 갖고 있는 자신에 대한 관심 수준은 그의 부모들이 그에게 보여 준 관심의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Purkey, 1970), 자아 개념이 높은 양친 의 자녀는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갖게 된다(Fitts, 1965)고 하였다. 따라서 원 만한 가정에서 초기부터 가족 상호간의 애정과 신뢰를 보여주고 자유롭게 표현 하도록 허용해 주는 가정 환경은 각 개인의 행동과 성격 형성에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갖게 한다(이성일, 1968).

교육 환경이나 훈련 요인도 유아의 자아 개념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데, 특히 교사는 부모 이외의 유아의 생활에 가장 중요한 인물이다(Walsh, 1980).

유아의 긍정적인 자아 개념과 교사의 긍정적인 태도 및 행동 사이에는 중요한 정적 상관이 있음을 발견했다(Purkey, 1970). 즉, 교사의 유아 행동에 대한 기 대는 유아를 교사가 기대하는 역할로 끌리게 하는 자기-충족적 예언 (Self-fulfilling prophecy)을 하게 되므로, 이를 긍정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건설 적인 결과를 이룰 수가 있다. Rosenthal과 Jacobson은 초등 학교 학업 성취에 서 교사의 긍정적 기대와 효과를 연구한 결과, 낮은 성취력의 유아에게 교사가 높은 기대를 보여줌으로써 유아의 성취도가 향상되었다(Purkey, 1970)고 하였

(23)

다.

유아는 교사가 자기에게 더 많이 기대하고 자기의 실행 능력에 신뢰를 가지 고 있다는 것을 알면 그 만큼 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교사가 한 유아에게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주면 다른 유아들도 교사의 행동을 모방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낸다(Swift, 1964)는 연구도 있다.

이러한 자아 개념은 유아기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성장하는 과정에서 접촉하 게 되는 중요한 인물들과의 상호작용으로 학습되기 때문에 유아교육에서 자아 개념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보육 교사나 유 치원 교사들은 각 유아가 좀 더 자신을 가치 있고 능력 있고 건전한 존재로 인 식할 수 있도록 최적의 교육 환경과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긍정적인 자아 개념 형성은 물론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도록 해야 한다. 아주 어린 시기부터 길러 지는 자신에 대한 확신감은 그 유아가 평생을 지나오면서 긍정적인 자아 개념 을 갖고 생활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되는 것이다(홍지원, 1994).

3. 친 사회적 행동

1) 친 사회적 행동의 의미

친 사회적 행동이란 용어는 그 요소와 본질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여 그 개념 적 정의가 분명하게 규정되지 않은 채 이론가마다 각기 다양한 의미로 사용하 고 있다.

Walsh(1980)는 친 사회적 행동을 타인에게 관심을 갖는 건설적인 행동이라고 했으며, Dodge(1982)는 타인에게 도움을 주며 타인에게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 는 것이라고 하였다.

Wispe는 친 사회적 행동이란, 사람이 하는 행동중에서 외적 보상에 대한 기

(24)

동의 결과가 타인에게 이익을 주었을 때의 행동을 말하며, 개인적인 이익과 타 인의 목적 사이에서 후자를 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상을 기대하지 않 고 타인이나 집단에 이익이나 도움을 주려는 행동이라고 하였다(이점숙, 1985).

Bar-Tal(1976)은 친 사회적 행동을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하는 행동으로 외적인 보상을 기대하지 않고 타인에게 유익을 주기 위해 자발 적으로 수행하는 행동’이라고 하였다.

그는 이것을 타인을 이롭게 하려는 그 행동 자체가 목적으로 행해지는 이타 행동과, 도움을 받은 것에 대한 보답으로 행해지는 보은 행동 두 가지로 구분 하였다.

Mussen과 Eisenberg-Berg(1977)도 친 사회적 행동을 행위자가 외적 보상을 기대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나 집단에 이익을 주거나 도와주는 행동이라고 정의 하면서 이것을 이타 행동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홍대식(1986)은 친 사회적 행동은 타인을 돕거나 도우려는 어떠한 행위를 포함한 폭 넓은 범주 라고 하였다.

이상과 같은 학자들의 다양한 정의를 종합 정리하여 볼때, 일반적으로 유아 들은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 자신을 희생하거나 자신의 안락함이나 안정을 위협받는 행동을 거의 하지 못할 뿐 아니라 이에 필요한 판단력과 도구 적 기술이 부족하므로(류정숙, 1993), 본 연구에서는 친 사회적 행동을 행동의 동기에 관계없이 타인에게 유익을 줌으로써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 오는 데 영향을 주는 모든 행동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친 사회적 행동의 구체적인 행동 유형으로, Walsh(1980)는 관용, 나누기, 공유 하기, 자선, 돕기, 동정심, 위로하기 등을 들고 있으며, Bar-Tal(1979)은 아동의 나눠주기, 희사행동 등을 들고 있다. 그리고 최혜순(1992)은 협동, 관용, 사회 적 인정에 대한 욕망, 동정, 공감적 이해, 우정, 이타심, 애착 행동 등을 친 사 회적 행동 유형으로 보았다.

(25)

2) 친 사회적 행동의 발달

유아들이 친 사회적 행동을 어떻게 습득하고 발달시켜 나가는가에 관한 연구 는 여러 이론을 배경으로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크게 생물학적-진화론적 접근방법과 발달적-학습론적 관점으로 설명될 수 있다.

첫째는 생물학적-진화론적 접근 방법이다. 즉 사회 생물학적 이론으로, 동물 들의 행동 특성 중에서 자기 종족이나 가족의 생존을 보호하기 위해서 본능적 으로 목숨을 희생하는 종류의 이타성은 동물이나 인간에게 본능적일 수 있다고 보아 인간의 이타적 행동은 인간 본성의 일부로서 유전적으로 결정되어 있고 우리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학습될 필요가 없다고 보는 것이다(홍대식, 1986).

Perry & Bussey(1984)에 따르면, 어떤 사람이 특정한 이타적 행동을 할 가 능성은 그 행동이 유전자의 행동 가능성에 끼치는 기여도와 함수 관계가 있다 고 하면서 가까운 친척들은 유사한 유전 인자를 갖고 있으므로 서로 돕기가 쉽 다고 하였다. 그리고 유전 인자의 존속에 도움이 된다면 사람들은 친척 이외의 다른 사람도 도와줄 것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사회 생물학에서 유아의 친 사 회적 행동을 생물학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것으로 보았고, 유기체나 인간의 이타적 행동은 생존을 위해서이며, 유기체는 그 하나의 개체 생존보다는 집단 이나 종족 전체의 생존을 위해 협동, 신뢰, 희생을 요구하는 친 사회적 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는 친 사회적 행동을 발달적-학습론적 관점으로 보는 입장이다. 즉 발달 과 학습을 통한 사회화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입장이다. 이것은 사회 학습 이 론, 행동주의 이론, 정신분석학 이론, 인지 발달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 사회 화 이론에서는 인간이 몇 개의 기초 반사를 제외하고는 행동 목록을 갖추고 태 어나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새로운 행동 유형은 직접적인 경험이나 관찰에 의해 학습된다고 하였다.

(26)

특히 유아에게 있어 관찰, 모방 학습을 통하여 친 사회적 행동 발달을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유아들은 내부적인 자기 강화를 통해 스스로 습득한다고 보 았고 이때 유아의 자기 강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관찰과 모방에 의한 모 델 학습, 언어 교수법, 직접 경험들이라고 하였다(Perry와Bussey, 1984).

행동주의 이론에서는 인간의 친 사회적 행동이 일반적인 행동 습득과 같이 자극에 대한 반응의 결과로 일어나며 보상에 의해 반응한 행동을 강화함으로써 바람직한 행동을 형성하게 된다고 하였다(박용헌, 1984). 즉 외적인 보상과 강 화에 의해 친 사회적 행동이 촉진된다고 보는 것이다. 정신분석학적 이론에서 는 친 사회적 행동이 발달하려면, 타인의 감정과 요구에 대해 충분한 고려가 요구되어야 한다고 밝힌다. 이는 초자아로 설명되어지는데, 초자아는 대체로 5, 6세에 이르러 죄 의식이 생기면서 벌받는 행동을 피하려고 하는 데서부터 시작 된다. 따라서 유아는 초자아가 발달하면서부터 성인의 태도, 가치, 행동들을 내면화하려는 과정에서 사회적, 도덕적 가치를 따르게 되면 친 사회적 행동을 하게 된다고 보았다(Honing, 1982).

인지 발달 이론은 친 사회적 행동의 조정자로서 타인의 감정이나 관점을 지 각하거나 이해하는 역할 수용과 감정 이입을 들고 있다. Piaget(1965)는 구체 적 조작기 이전의 유아는 자기 중심적으로 자신의 관점에 몰입되어 있어 타인 의 욕구를 알아내는 인지구조가 미숙하다가, 연령의 증가와 함께 탈중심화되고 인지 능력이 발달하여 타인의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친 사회적 행동이 발달한다고 보았다.

인지 발달 이론 측면에서 이루어지는 많은 연구들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친 사회적 행동이 증가한다고 보고 있으며 동연령 집단 내에서 인지수준의 차 이와 친 사회적 행동의 상관을 밝히고 있다(Rushton, 1976).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들이 일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지는 않다. 또한 이 이론에서는 인지 발달과 사회성 발달을 상호 의존적인 것으로 보기 때문에 조

(27)

망 수용, 역할 수용, 도덕적 판단 등의 인지 능력 발달이 친 사회적 행동 발달 의 선행 조건이 된다고 보았다(Rosser, 1981).

이와 같은 여러 이론을 통하여 친 사회적 행동은 자극-반응, 초자아 발달 모 델의 관찰, 역할 수용을 도와주는 사회적 조망의 발달 및 유아의 인지적 발달, 도덕적 추론, 감정 이입 등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친 사회적 행동의 증진은 강화, 친 사회적 행동을 하는 타인의 관찰, 친 사회적 행 동에 대한 가르침, 타인과 같이 지내면서 친 사회적 행동을 실제로 실행해 보 는 활동 등을 통해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협동 놀이를 함으로써 유아들은 역할 수용 능력이 향상되고(박호선, 1993; 이 경영, 이영석, 1990), 표현 활동을 통해서는 감정이입 능력이 증가된다(이영, 1982) 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협동 놀이와 표현 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유아체육 활동을 통해 친 사회적 행동이 증진되는 것을 밝혀 보고자 한다.

4. 선행 연구

유치원 현장에서 직접 체계적인 유아체육수업을 실시하는 유치원과 유아체육 을 실시하지 않는 곳의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의 비교분석 을 위하여 선행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신체 활동과 자아 개념

신체 활동과 자아 개념이 각각 유아기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부분임을 앞에 서 설명하였다.

여기서는 신체 활동과 자아 개념의 관계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유아는 운 동 놀이에 몰두하는 과정을 통하여 질투, 미움, 공격성, 불안 등과 같은 부정적 인 감정을 발산할 수 있으며, 또한 어려운 과정을 극복했을 때에는 자신감과

(28)

성취감을 느낀다(이숙재, 1990).

Ulrich(1987)는 신체적성 활동 가운데「앉았다 일어서기」와「팔 굽혀 매달리 기」의 신체 적성 점수가 유아의 자신감과 관계 있다고 하였다. 또 Andrew는 11세 남자 아동을 대상으로 심리 검사를 실시하고 이들 심리적 부적응 점수가 높은 아동들에게 계획적인 신체 활동을 부과한 후 심리 검사를 다시 실시하여 비교 집단과 정서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의의 있는 수준에서 불안 경향이 줄 어들었다고 하였으며(하지원, 1993), Burton(1980)도 신체 활동을 통한 불안 제 거의 성공적인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들은 신체 활동이 불안 수준을 줄어들게 하고 자신감을 향상시켰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국내 연구로는 교육 가능한 정신박약아를 대상으로 지각-운동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균형이나 자세와 같은 신체적 능력 이외의 신체 상(body image) 능력에 많은 향상을 가져왔다고 하는 연구가 있었고(강의중, 1 980; 송정숙, 1983), 정상아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도 신체상 영역, 균형, 측면감 및 소근육 조절 영역 등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윤애 희, 1987).

신체 활동 프로그램으로서는 무용 학습을 실시하면서 긍정적 자아 개념과의 관계에 대한연구가 많은데, 무용 학습은 유아들이 자기 자신을 다루도록 이끌 어 주는 훈련이라는 점(육완순, 1983)에서 자아 개념의 형성과 관계 있다고 하 겠다. 이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무용 학습 활동이 긍정적 자아 개념의 형성 에 영향을 미친다(송민경, 1992)고 하였고, 무용 전공 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자기 비판력이 높아 자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어 간다(서경희, 1985)고 하였으 며, 또 이들은 모든 일상사에 있어서 신중성이나 비판 능력, 수용성, 표현력, 자 발성, 적극성, 자신감 등이 향상되어 간다(방희선, 1987)고 하였다.

체육 발달 프로그램과 자아 개념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는, 스포츠 활동을 통한 사회 적응력의 변화를 검증한 결과 자신감이 증가되었다는 이완섭의 연구

(29)

(하지원, 1993) 가 있다.

2) 체육 활동과 친 사회적 행동

체육 활동과 친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는데, 앞선 연구들에서 친 사회적 행동은 넓게는 사회성으로, 좁게는 협동 놀 이로 범주화되어 왔다. 유아들은 함께 체육 활동을 하는 친구들과 협동적인 관계와 경쟁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남의 의견을 존중하고 규칙 준수, 예절, 협 동, 경쟁, 스포츠맨쉽 등의 기본 원리를 학습하고 내면화함으로써 타인과의 상 호 협조, 책임성, 자율성, 성취성, 활동성, 사교성 등과 같은 사회성이 발달되는 것이다(하지원, 1993). 즉 체육 활동을 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사회성이 길러 지고 그 가운데 협동, 상호 협조, 상대 존중, 규칙 준수 등의 친 사회적 행동이 발달한다는 것이다. 최근 들어 정신지체아나 뇌성마비아와 같은 특수아들에게 운동 발달 프로그램을 경험시킨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다(우보경, 1993; 윤필 희, 1989; 이성우, 1988; 정완식, 1987; 차성희, 1992; 추연구, 1990; 최경혜, 199 2; 한인원, 1991).

이 연구 결과, 놀이 활동을 통해 부적응 행동이 감소되고 바람직한 학습 행 동이 의의있게 증가하였고(정완식, 1987), 교육적 게임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사 회성 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으며(윤필희, 1989), 특히 친구를 사귀고, 타 인들과 어울릴 줄 알고, 역할 수행, 경쟁심과 협동심의 조화, 신뢰감 사회적 적 응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이성우, 1989)고 볼 수 있다. Crain과 그의 동료들은 학습 부진 아들을 대상으로 무용 활동을 통한 교육 효과를 검증한 결 과 대인 관계가 원활해져 사교성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다(하지원, 1993).

대근육 활동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지연(1990)의 연구에서 는 대근육 활동을 한 유아가 하지 않은 유아보다 공격성이 훨씬 적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 이유는 신체 활동을 한 유아는 자신의 욕구와 스트레스 등을 발산

(30)

시킬 수 있으나 체육 활동을 하지 않은 유아는 그 발산의 억제로 인해 평상시 더 공격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신체적으로 우수한 자가 열등한 자에 비해 감정의 동요가 적고 협동성 이 강하고 활동적이며 사회적 외향성을 나타낸다고 하며, 사회적으로 잘 적응 하고, 친구에 대한 친근감 등의 향상은 친 사회적 행동 발달의 표시라고 볼 수 있겠다. 유아들은 연합 놀이가 행해지는 때부터 자기 중심성이 희박해지면서 타인의 입장을 잘 알게 되면 역할을 분담하고 규칙을 지키는 가운데서 협동 놀 이가 나타나게 된다.

협동 놀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것은 유아가 타인의 입장을 생각할 수 있는 인 지 발달이 있기 때문이므로, 자기 중심성이 현저한 유아기에는 본격적인 협동 놀이가 적지만 유아기 말경에는 친구 집단과 더불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어린 이가 되면서 협동 놀이가 증가된다(이경영, 이영석, 1990).

(31)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강북에 위치한 유치원 중에서 실험집단으로 본인이 현재 유아체육을 실시하고있는 D유치원의 만 6세 유아 30명과 통제집단으로 유아체육을 실시하지 않는 G유치원의 만 6세 유아 30명이었다. 연구 대상은 D․G 유치원의 유치반 세학급 가운데 임의로 각각 한 학급을 선정하였고 그 반의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중류층 유아를 성별로 무선 배정하였다.

두 집단 유아들의 남녀 수와 부모의 직업, 학력 분포는〈표 1〉,〈표 2〉,

〈표 3〉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의 성별 분포

집 단 남 여 계 평균 연령

실 험

(유아체육 프로그램 참가자) 15 15 30 6년 6개월

통 제

(유아체육 프로그램 비참가자) 15 15 30 6년 6개월

계 30 30 60

〈표 2〉 연구대상 부모의 직업별 분포 직업

집단 공무원 회사원 건축업 상업 공업 운전 노동 기타 계

실헙집단 3 9 2 11 1 2 1 1 30

통제집단 4 12 1 5 - 4 2 2 30

계 7 21 3 16 1 6 3 3 60

(32)

〈표 3〉 연구대상 부모의 학력별 분포 학력

집단

대졸이상 중∘고등학교 초등학교 무학 계

부 모 부 모 부 모 부 모 부 모

실헙집단 15 5 13 24 2 - - - 30 29

통제집단 12 3 15 25 3 2 - - 30 30

계 27 8 28 49 5 2 - - 60 59

2. 연구 기간

(1) 자료 수집 : 2001년 1월 ~ 2001년 4월 (2) 사전 실험 : 2001년 8월 ~ 2001년 9월 (3) 실 험 : 2002년 2월 ~ 2002년 3월 (4) 결과 처리 : 2002년 3월 ~ 2002년 4월 (5) 논문 작성 : 2002년 4월 ~ 2002년 5월

3. 측정 도구

1) 자아 개념 검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아 개념 검사 도구는 Bently와 Yeatts(1974)가 제작한

“I Feel... Me Feel" 이란 자아 개념 검사로서 김재봉(1986)이 번안한 것으로 채 점 방식을 약간 수정하여 신뢰도를 검사한 결과 전체 검사에서 Cronbach-a 값 .76으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신뢰도에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검사 도구는 일반적 충족감에 대한 자아 개념, 또래 관계에 대한 자아 개념,

(33)

교사-유치원에 대한 자아개념, 학문적 자아 개념, 신체적 자아 개념의 다섯 가 지 관련된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요인마다 10개의 문항으로 되어 있다.

원 검사 도구에서 답하는 요령은 각 문항의 사물, 사람 또는 활동을 묘사하 는 그림을 보고 느낀 정도를 “매우 싫다”, “조금 싫다”. “좋지도 싫지도 않다”,

“조금 좋다”, 또는 “매우 좋다” 로 답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예비 조사를 실 시해 본 결과 유아들의 반응이 “싫다” 또는 “좋다”에 많이 집중되었고 “잘 모 르겠다”는 반응도 가끔 나타났기 때문에 본 검사에서는 이 세 가지의 반응으로 만 응답하게 하였다. 채점은 “좋다”에 반응하면 3점을, “잘 모르겠다”에 반응 하면 2점을, “싫다”에 반응하면 1점을 배점하였다. 따라서 각 하위 요인 별로 최고점은 30점, 최하점은 0점이 된다. 그러므로 전체 자아 개념 검사의 총점은 5개 하위 검사의 총합인 150점이 된다.

여기서 얻어진 점수는 긍정적 자아 개념의 정도를 나타내는데, 즉 점수가 클수 록 보다 더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이 검사의 하위 요인별로 측정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일반적 충족감에 대한 자아 개념

이는 유아의 일반적 충족감으로 노래 부르기, 그리고 미끄럼 타기 등에서의 능동적 표현, 그리고 꽃, 원장님의 방, 창조적인 일, 학교 환경, 다른 사람의 이 야기 듣기 및 친구와 놀기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는가를 알아본다.

(2) 또래 관계에 대한 자아 개념

이는 또래와의 관계 및 유아 자신의 특징에 관한 것으로 환자, 주변 사람, 동 물과 같이 놀기, 어울려 춤추기, 그리고 자신의 특징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는가 를 알아본다.

(34)

(3) 교사 - 유치원에 대한 자아 개념

이는 교사와 유치원 환경에 관한 것으로 교사나 교사의 활동 그리고 유치원 환경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를 알아본다.

(4) 학문적 자아 개념

이는 학문적 관심에 대한 것으로 처음 하는 일, 수 세기, 책 보기, 그리고 쓰 기, 읽기, 어제 했던 일, 원장의 방, 유치원 환경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고 있는 가를 알아본다.

(5) 신체적 자아 개념

이는 신체적 능력과 외관에 관한 것으로 처음 하는 일 , 자신의 특징, 달리 기, 줄넘기, 춤추기, 공던지기, 미끄럼 타기, 친구와 놀기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 고 있는가를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아 개념 검사 도구는 자아 개념 검사 하위 요인별 문항 분포, 자아 개념 검사지와 함께 <부록 1>에 수록하였다.

2) 친 사회적 행동 관찰

유아의 친 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Walsh(1980), Bar-Tal(1976), 최혜 순(1992)의 구분에 의거하여 관용, 나누기, 돕기, 동정심, 위로하기, 협동, 양보, 친절, 이타심, 공유하기, 공감, 희사, 자선을 친 사회적 행동 유형으로 분류하였 다. 그리고 연구자가 유아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자유선택 활 동시간과 작업시간을 이용하여 예비관찰을 하였다. 예비관찰의 결과 나누기와 돕기를 중심으로 관용, 희사, 협동, 이타심 등이 고르게 나타났기 때문에 본 연 구자는 위에 분류한 행동유형에 포함되는 모든 행동을 친 사회적 행동으로 측

(35)

정하기로 하였다.

각 행동유형에 대하여 내린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돕 기 - 특정 대상을 위해 자신의 것을 중단하고라도 그가 잘 할 수 있도록 도울 것. 필요로 하는 물건 집어주기, 작업을 대신하기, 가르쳐 주 기, 본을 보여주기 등의 모든 행동을 포함한다.

(2) 나누기 - 물건을 고루 배분하는 것. 작업에 필요로 하는 재료 나누어 쓰 기, 적목이나 장난감을 나누어 쓰기, 간식 나누어 먹기 등 다른 사람에게 자신이 차지한 어떤 것을 나누어주는 모든 행동을 포함한다.

(3) 관 용 - 친구가 무엇을 요구해 올 때 관대한 마음으로 허용해 주는 것과 친구의 잘못 을 용서해 주는 것.

(4) 협 동 - 친구와 무언가를 함께 하여 이루어내는 것.

(5) 양 보 - 자신이 가진 권리나 자리를 호의로 친구에게 내어주는 것.

(6) 희 사 - 남을 위하여 기꺼이 먹을 것(장난감)을 내어놓음.

(7) 이타심 - 자신에게 되돌아올 보상을 생각하지 않고 전체를 위해 도움되는 행동을 하는 것. 정리 시간에 자기가 놀지 않은 장난감 치우기, 의자 정리 하기, 간식 상이나 작업 책상 닦기 등의 행동을 포함한다.

이상의 친 사회적 행동은 유치원 8년 동안 재직하였던 원감 선생님과 직접 현장에서 체육 수업을 하고 있는 체육 교사가 평가하였다.

관찰은 매일 2시간씩 5일간, 자유선택 활동시간과 작업시간(오전 10시 - 12시) 에 주로 실시되었고, 모든 행동은 사건 표집법을 사용하여 1회 행동에 대해 사 건의 간략한 기록과 함께 1점씩을 주고, 전체를 합하여 총점수로 처리하였다.

따라서 총점의 한계가 없고 점수가 많을수록 친 사회적 행동이 많이 나타난 것 임을 뜻한다. 여기서 사용된 친 사회적 행동 관찰표는〈 부록 2〉에 수록하였 다.

(36)

4. 연구 절차

1) 예비 조사

예비 조사를 위해 D유치원의 3개 반 중 연구대상반이 아닌 반을 임의로 선 정하여 만 6세 유아 남∘녀 각 4명씩 8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Bently와 Yeatts(1974)가 제작한 자아 개념 검사와 류정숙(1993)이 만든 친 사 회적 행동 관찰표를 이용하여 2001년2월 20일 - 25일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 과 자아 개념 검사는 5-6세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 리고 친 사회적 행동 관찰표는 돕기와 나누기 행동 이외에도 양보, 희사, 이타 심, 관용 등의 행동이 고루 보이므로 행동유형을 크게 돕기, 나누기, 관용, 협 동, 양보, 이타심, 희사 등으로 분류 관찰하였다.

같은 기간동안 실험 처치에 사용할 유아체육 프로그램을 2회분 예비 검사를 실시해 보았는데 대상 유아들의 발달 수준에 전혀 무리가 없고 흥미로운 것으 로 판단되었다.

2) 사전 검사

본 연구의 사전 검사는 2001년 9월부터 D유치원의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하 여, 유치원에 8년 동안 재직하였던 원감 선생님과 직접 현장에서 체육 수업을 하고 있는 선생님이 친 사회적 행동 관찰과 자아 개념을 실시하였다.

자아 개념 검사는 유아 한 명씩 개별면접을 하여 검사지의 그림을 보고 연구자 의 질문에 대답하도록 하였으며, 검사에 소용된 시간은 평균 약 15분 정도였다.

친 사회적 행동 관찰은 예비 검사를 통해 만든 질문지에 의해 5일간 체육 시간 과 자유 활동 시간에 1일 2시간씩(오전10시 - 12시) 총 10시간 평가했다.

(37)

3) 실험 처치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 설계는 전후 검사 통제 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 ontrol group design)이다. 전후 검사 통제 집단 설계를 간략히 도식화해 보면 다음과 같다.

<표 4 > 전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

사전 검사 처 치 사후 검사

실험 집단 R 01 X 02

통제 집단 R 03 04

여기서 X는 독립변인으로서 실험처치인 유아체육수업이며, 0는 종속 변인으 로서 긍정적 자아 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이다.

유아체육 수업을 하는 유치원은 2001년 9월부터 2002년 3월까지 1주일에 1회씩 40분간 실시하였고, 유아체육 수업을 하지 않는 유치원은 특별히 체육 활동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체육 활동은 현재 강북 유아체육 연구원에서 유치원 대상으로 체 육 수업을 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유아체육 수업의 구체적인 내용은〈부록3〉,〈부록4〉에 수록 하였다.

4) 사후 검사

사후 검사는 실험이 끝난 직후인 2002년 3월2일부터 3월 6일 5일간 1일 2시 간씩 연구 대상 유아 60명에게 사전 검사와 같은 요령으로 실시하였다. 관찰자

(38)

와 검사자도 사전검사 때와 동일한 인물로 하였다.

5.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자료 처리 방법은 검사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시킨 후 윈도우용 SPSS windows 10.0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1) 유아체육 교육과 긍정적 자아개념, 유아체육 교육과 친 사회적 행동간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사용하였다.

2) 실험 처치(유아체육 교육)의 순수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석(

one - way ANOVA)을 사용하였다.

(39)

Ⅳ. 연구결과 및 논의

본 연구는 유아체육을 실시하는 유아와 실시하지 않는 유아의 긍정적 자아 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을 비교 분석하여 유아체육이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요인을 제시함에 있어서의 결과분석은 다음과 같다.

1. 유아체육 교육이 유아의 긍정 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유아체육 교육에 참여한 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집단의 사전․사후 자아개념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하기 t-test한 결과는〈표 5〉와 같다.

〈표 5〉 집단별 사전․사후 자아개념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집 단 실험집단(30) 통제집단(30)

요 인 사전검사 사후검사 사전검사 사후검사

전체 자아개념

M SD

122.76 1.86

134.56 2.17

122.66 1.90

125.16 2.85 일반적충족감

자아개념

M SD

24.90 .88

27.60 1.03

24.60 .93

25.03 1.09 또래관계

자아개념

M SD

24.53 .89

27.56 .85

24.63 .85

25.06 1.04 교사- 학교

자아개념

M SD

24.13 1.04

24.96 .92

24.20 1.15

24.66 .92 학문적

자아개념

M SD

24.53 1.07

27.03 .80

24.60 1.03

24.96 1.03 신체적

자아개념

M SD

24.66 .84

27.53 .77

24.63 .85

25.43 .93

(40)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집단의 사전 검사 결과를 비교한 바, 실험 집 단의 평균점수가 통제집단 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주거지역 및 가정환경의 영향으로 생각되어지며 두 집단의 자아개념이 크게 차이가 있다 고 볼 수 없다. 〈표 5〉에서 두 집단의 사후 검사를 비교한 바, 전체 자아개념 의 평균 점수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은 사전에 122.76에서 사후에 134.56으로 증 가되었고, 통제집단은 사전에 122.66에서 사후에 125.16으로 증가되었다.

유아체육교육이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순수한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하여 자아개념 각 하부요인별 사전․사후 자아개념 검사 점수를 ANOVA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자아개념

자아개념의 전체자아개념에 대한 일원변량분석결과는 〈표 6〉 과 같다. 실험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 말은 유아체육교육에 참여한 유아 들의 자아개념이 증진된 것이 순수한 유아체육 교육의 효과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표 6〉 전체 자아개념에 대한 ANOVA 분석

요인 변산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전체자아 자아개념

집단 - 간 집단 - 내

합계

1325.400 373.533 1698.933

1 58 59

1325.400

6.440 205.800 * .000

* P<.05

2

) 일반적 충족감 자아개념

일반적 충족감 자아개념의 일원변량분석결과는 〈표 7〉과 같다.

(41)

일반적 충족감에 대한 질문 중에서 유아들은 노래를 부를 때, 네가 처음으로

∼하면, 꽃을 보면,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면, 선생님이 방에 들어오면, 등의 질 문에 유아체육을 했던 유아들은 대부분 “좋다” 에 대답을 하였으며 유아체육을 하지 않는 유아들은 대부분 “모르겠다, 싫다” 라고 대답을 하였다. 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즉, 일반적 충족 자아개념에 대한 자아개념이 증 진된 것에 대해 순수한 유아체육 교육의 효과라고 할 수 있다.

〈표 7〉 일반적 충족 자아개념에 대한 ANOVA 분석

요인 변산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일반적 충족 자아개념

집단 - 간 집단 - 내

합계

98.817 66.167 164.983

1 58 59

98.817

1.141 86.620 * .000

* P<.05

3

) 또래관계 자아개념

또래관계 자아개념의 일원변량분석결과는 〈표 8〉과 같다.

또래관계 자아개념에 대한 질문 중에서 유아들은 “너 혼자 힘으로 뛰어 놀 면”, “소리지르고 놀 때”, “옷을 사다주면”, “강아지나 고양이를 만나면”, “거울 을 볼 때는”, 등의 질문에 유아체육을 하는 유아들은 대부분 “좋다”에 대답을 하였으며 유아체육을 하지 않는 유아들은 대부분 “모르겠다”, “싫다”라고 대답 을 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즉, 일반적 충족 자아개념 에 대한 자아개념이 증진된 것에 대해 순수한 유아체육 교육의 효과라고 할 수 있다.

참조

관련 문서

다양한 번역 작품과 번역에 관한 책을 읽는 것은 단순히 다른 시대와 언어, 문화의 교류를 넘어 지구촌이 서로 이해하고 하나가

 The Dutch physicist Pieter Zeeman showed the spectral lines emitted by atoms in a magnetic field split into multiple energy levels...  With no magnetic field to align them,

Modern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International Edition,

작곡가의 원곡이 지휘자와 연주가에 의해 새롭게 태어나듯이, 우리가 배우고 체득한 모든 이론들과 지식, 테크닉들은 우리 자신에게서 새롭게

음악치료 전문가와 인턴생의 특성불안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문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professional self-efficacy in

Ross: As my lawfully wedded wife, in sickness and in health, until

glen plaids 글렌 플레이드와 캐시미어 카디건, 캐리지 코트, 그리고 케이프 -&gt; 격자무늬의 캐시미어로 된 승마용 바지, 마부용 코트, 말 그림이 수

When people act in identity-conflicting ways, affective deflection occurs to energize identity-restoring courses of action.  Identities motivate behavior wh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