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4. 선행연구

유치원 현장에서 직접 체계적인 유아체육수업을 실시하는 유치원과 유아체육 을 실시하지 않는 곳의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의 비교분석 을 위하여 선행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신체 활동과 자아 개념

신체 활동과 자아 개념이 각각 유아기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부분임을 앞에 서 설명하였다.

여기서는 신체 활동과 자아 개념의 관계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유아는 운 동 놀이에 몰두하는 과정을 통하여 질투, 미움, 공격성, 불안 등과 같은 부정적 인 감정을 발산할 수 있으며, 또한 어려운 과정을 극복했을 때에는 자신감과

성취감을 느낀다(이숙재, 1990).

Ulrich(1987)는 신체적성 활동 가운데「앉았다 일어서기」와「팔 굽혀 매달리 기」의 신체 적성 점수가 유아의 자신감과 관계 있다고 하였다. 또 Andrew는 11세 남자 아동을 대상으로 심리 검사를 실시하고 이들 심리적 부적응 점수가 높은 아동들에게 계획적인 신체 활동을 부과한 후 심리 검사를 다시 실시하여 비교 집단과 정서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의의 있는 수준에서 불안 경향이 줄 어들었다고 하였으며(하지원, 1993), Burton(1980)도 신체 활동을 통한 불안 제 거의 성공적인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들은 신체 활동이 불안 수준을 줄어들게 하고 자신감을 향상시켰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국내 연구로는 교육 가능한 정신박약아를 대상으로 지각-운동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균형이나 자세와 같은 신체적 능력 이외의 신체 상(body image) 능력에 많은 향상을 가져왔다고 하는 연구가 있었고(강의중, 1 980; 송정숙, 1983), 정상아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도 신체상 영역, 균형, 측면감 및 소근육 조절 영역 등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윤애 희, 1987).

신체 활동 프로그램으로서는 무용 학습을 실시하면서 긍정적 자아 개념과의 관계에 대한연구가 많은데, 무용 학습은 유아들이 자기 자신을 다루도록 이끌 어 주는 훈련이라는 점(육완순, 1983)에서 자아 개념의 형성과 관계 있다고 하 겠다. 이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무용 학습 활동이 긍정적 자아 개념의 형성 에 영향을 미친다(송민경, 1992)고 하였고, 무용 전공 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자기 비판력이 높아 자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어 간다(서경희, 1985)고 하였으 며, 또 이들은 모든 일상사에 있어서 신중성이나 비판 능력, 수용성, 표현력, 자 발성, 적극성, 자신감 등이 향상되어 간다(방희선, 1987)고 하였다.

체육 발달 프로그램과 자아 개념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는, 스포츠 활동을 통한 사회 적응력의 변화를 검증한 결과 자신감이 증가되었다는 이완섭의 연구

(하지원, 1993) 가 있다.

2) 체육 활동과 친 사회적 행동

체육 활동과 친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는데, 앞선 연구들에서 친 사회적 행동은 넓게는 사회성으로, 좁게는 협동 놀 이로 범주화되어 왔다. 유아들은 함께 체육 활동을 하는 친구들과 협동적인 관계와 경쟁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남의 의견을 존중하고 규칙 준수, 예절, 협 동, 경쟁, 스포츠맨쉽 등의 기본 원리를 학습하고 내면화함으로써 타인과의 상 호 협조, 책임성, 자율성, 성취성, 활동성, 사교성 등과 같은 사회성이 발달되는 것이다(하지원, 1993). 즉 체육 활동을 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사회성이 길러 지고 그 가운데 협동, 상호 협조, 상대 존중, 규칙 준수 등의 친 사회적 행동이 발달한다는 것이다. 최근 들어 정신지체아나 뇌성마비아와 같은 특수아들에게 운동 발달 프로그램을 경험시킨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다(우보경, 1993; 윤필 희, 1989; 이성우, 1988; 정완식, 1987; 차성희, 1992; 추연구, 1990; 최경혜, 199 2; 한인원, 1991).

이 연구 결과, 놀이 활동을 통해 부적응 행동이 감소되고 바람직한 학습 행 동이 의의있게 증가하였고(정완식, 1987), 교육적 게임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사 회성 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으며(윤필희, 1989), 특히 친구를 사귀고, 타 인들과 어울릴 줄 알고, 역할 수행, 경쟁심과 협동심의 조화, 신뢰감 사회적 적 응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이성우, 1989)고 볼 수 있다. Crain과 그의 동료들은 학습 부진 아들을 대상으로 무용 활동을 통한 교육 효과를 검증한 결 과 대인 관계가 원활해져 사교성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다(하지원, 1993).

대근육 활동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지연(1990)의 연구에서 는 대근육 활동을 한 유아가 하지 않은 유아보다 공격성이 훨씬 적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 이유는 신체 활동을 한 유아는 자신의 욕구와 스트레스 등을 발산

시킬 수 있으나 체육 활동을 하지 않은 유아는 그 발산의 억제로 인해 평상시 더 공격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신체적으로 우수한 자가 열등한 자에 비해 감정의 동요가 적고 협동성 이 강하고 활동적이며 사회적 외향성을 나타낸다고 하며, 사회적으로 잘 적응 하고, 친구에 대한 친근감 등의 향상은 친 사회적 행동 발달의 표시라고 볼 수 있겠다. 유아들은 연합 놀이가 행해지는 때부터 자기 중심성이 희박해지면서 타인의 입장을 잘 알게 되면 역할을 분담하고 규칙을 지키는 가운데서 협동 놀 이가 나타나게 된다.

협동 놀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것은 유아가 타인의 입장을 생각할 수 있는 인 지 발달이 있기 때문이므로, 자기 중심성이 현저한 유아기에는 본격적인 협동 놀이가 적지만 유아기 말경에는 친구 집단과 더불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어린 이가 되면서 협동 놀이가 증가된다(이경영, 이영석, 199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