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방법

5. 자료분석

본 연구의 자료 처리 방법은 검사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시킨 후 윈도우용 SPSS windows 10.0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1) 유아체육 교육과 긍정적 자아개념, 유아체육 교육과 친 사회적 행동간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사용하였다.

2) 실험 처치(유아체육 교육)의 순수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석(

one - way ANOVA)을 사용하였다.

Ⅳ. 연구결과 및 논의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집단의 사전 검사 결과를 비교한 바, 실험 집

일반적 충족감에 대한 질문 중에서 유아들은 노래를 부를 때, 네가 처음으로

〈표 8〉 또래관계 자아개념에 대한 ANOVA 분석

학문적 자아개념에 대한 질문 중에서 유아들은 “네가 처음으로∼하면”, “하나,

〈표 11〉 신체적 자아개념에 대한 ANOVA 분석

다섯 가지 하위요인 가운데 교사-유치원에 대한 자아개념(F=1.57)만이 통계

없다. 〈표 12〉에서 두 집단의 사후 친 사회적 행동의 평균점수를 살펴보면

V. 결 론 및 제 언

1. 결 론

본 연구는 만 6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기에 중요한 유아체육 교육을 통하여 유아들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가를 연구하기 위하여 서울시 강북 관내 D․G 유치원을 대상으로 유아체육 교육을 실시하는 유아(D)와 실시하지 않는 유아(G)의 자아개념 및 친 사회적 행동을 분석한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 집단의 유아 그룹사이에는 전체자아개념의 중요한 관계가 통계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긍정적 자아개념의 발달이 신체교육프로그램에 의해 영향 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2. 두 집단의 유아 그룹사이에는 일반적 충분한 자아개념의 중요한 관계가 통계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충분한 자아개념의 발달이 일반적으로 신체교 육프로그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3. 두 집단의 유아 그룹사이에는 같은 연령의 또래관계 자아개념의 중요한 관계가 통계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같은 연령의 어린이들의 자아개념이 신체교육에 의해 효과적으로 영향을 받는 다고 할 수 있다.

4. 두 집단의 유아 그룹사이에는 교사와 유치원에 관한 어린이들의 자아개념 의 중요한 관련은 통계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이것은 교사와 유치원에 대한 어린이 자아개념이 신체교육프로그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 수 있 다.

5. 두 집단의 유아 그룹사이에 있어서 수업에(학문적)대한 어린이들의 자아 개념의 중요한 관계가 통계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어린이들의 수업에 대 한 자아개념이 신체교육 프로그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6. 두 집단의 유아 그룹사이에 있어서 신체활동에 대한 어린이들의 자아개념 의 중요한 관계가 통계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신체활동(운동)에 대한 어린 이들의 자아개념이 신체교육프로그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7. 두 집단의 유아 그룹사이에 있어서 어린이들의 친 사회적 행동의 중요한 관계가 통계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확대된 친 사회적 행동들이 신체교육 프로그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유아기의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적용 한 유아체육 활동은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제 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 회수는 총 24주로 연구문제를 규명할 정도는 되지 만 활동의 완성도 면이나 지속성 면에서 충분한 분량이라고 할 수는 없다. 따 라서 유아체육교육을 좀 더 오랜 기간 실시하여 결과를 알아보는 후속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일선 유아체육 지도자는 유아체육의 필요성을 재 인식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한다고 생각된다.

교육부에는 유아체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육 및 유아관련 학과의 커리큘럼 을 확대 운영해 주길 바라며 유아체육 사업의 전개 및 예산 확보를 마련하여

유아체육 교육수준을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 고 문 헌

강상조 (1986). 유아체육. 사회체육 프로그램시리즈. 한국사회체육 진흥회.

교육부 (1992). 제6차 유치원 과정 해설. 18-19.

김덕륜 (1984). 유아신체적성 증진을 위한 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서울 YMCA.

김인자 (1982). 적응심리 : 변화하는 세계에서의 개인성장. 서울: 정음사.

김재봉 (1986). 3, 4, 5세 유아의 자아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 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류정숙 (1993). 긍정적 자아개념 활동을 통한 유아의 친 사회적 행동증진에 관 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문교부 (1984). 신체발달 영역. 한국행동과학연구소, 19-21.

문화체육부 (1995). 취학전 아동의 체격 및 체력육성을 위한 체육놀이 프로그램 개발, 대전 : 충남대출판국, 20-65.

박길준 (1997). 성장단계별 신체의 발육발달론. 16-18.

방희선 (1987). 무용활동과 자아성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용헌 (1984). 사회적 행동과 학습. 교육과학신서 3. 서울: 교육출판사.

박호선 (1993). 협동적 교육과정에 기초한 놀이지도. 동문사.

이기숙 (1986).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서울: 창지사.

이경영 (1990). 유아 사회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형설출판사.

이숙재 (1990).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이지연 (1990). 대근육 활동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 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 영 (1982). 유아를 위한 창의적 동작교육. 서울: 교문사, 54-56.

이혜영 (1994). 유아기의 체격과 체력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 학원

이점숙 (1985). 아동의 친 사회적 행동의 발달경향과 훈련효과에 관한연구. 석 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승희 (1995). 유치원 체육활동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 학원

윤애희 (1987). 공놀이 활동이 유아의 지각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조선화 (1988). 미만아동과 표준체중 아동의 건강 통제와 성격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주리분 (1982). 유아의 자아개념과 가정환경 변인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중앙 대학교 대학원

전국교육대학 체육 연구회 (1987). 체육과 교수법과 교재연구. 서울: 교육출판 사.

장주호 (1992).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사회체육운동의 역할. 경희대체육과학논총.

16-17.

장명림 (1984). 5-6세 아동의 체력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 대학원

최혜순 (1992). 유아 사회성발달과 교육. 서울: 학문사.

하지원 (1993). 아동의 스포츠 참가와 사회성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홍대식 (1986). 사회심리학. 서울: 박영사.

홍지원 (1994). 신체활동 중심교육이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행동 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홍양자 (1984). 5-6세 아동의 체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생활과학 연구원 논총 제33집.

현일환 (1997). 학교 운영실태에서 본 유아체육에 대한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황덕호 (1992). 유아체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국민서관

Bar - Tal, D. (1976). Persocial behavior : Theory and research, N. Y. : John Wiley & Sons.

Bonanno , D. & Dougherty, N. J. (1979). Contemporary approaches to the teaching of physical education. Mineapois : Burgess publishing Company, 50.

Bryan, J. H. & Midlarsky, E. (1969). Training charity in childr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 408-15.

Burton, E. C. (1980). Physical activities for the developing child. Springfield, Illinois : Charles, C Thomas.

Combs, A. W. and snygg, D. (1959). Individual behavior : A perceptual approach to behavior. N. Y : Harper & Brothers, 126-28.

Gallahue, D. L. (1982). Developmental movent experience for children. New York : John wiley & Sons, : 6-7

Hurlock, E. B. (1965). Child Devilopment. New York : McGraw-Hill Book Co., Inc., p. 442-463.

ABSTRACT

The Effects on children's positive self-concepts and pro-social Behaviors through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program.

Baek, min ho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Kookmi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physical education for 6-years old children may increase positive self-concepts and pro-social behaviors.

I analyse the children's positive self-concepts and pro-social behaviors in the G and L kindergarten in Inchon The physical education is being practiced in the G kindergarten and not in the L kindergart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of the total self-concepts between the two children group(P<. 05>. It means that the development of positive self-concepts are influenced by physical education programs.

2.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of the gennerally satisfactory self-concepts between the two children groups(P<. 05>. It means that the development of satisfactory self-concepts are generally influenced by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