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방법

3. 측정도구

1) 자아 개념 검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아 개념 검사 도구는 Bently와 Yeatts(1974)가 제작한

“I Feel... Me Feel" 이란 자아 개념 검사로서 김재봉(1986)이 번안한 것으로 채 점 방식을 약간 수정하여 신뢰도를 검사한 결과 전체 검사에서 Cronbach-a 값 .76으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신뢰도에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검사 도구는 일반적 충족감에 대한 자아 개념, 또래 관계에 대한 자아 개념,

교사-유치원에 대한 자아개념, 학문적 자아 개념, 신체적 자아 개념의 다섯 가 지 관련된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요인마다 10개의 문항으로 되어 있다.

원 검사 도구에서 답하는 요령은 각 문항의 사물, 사람 또는 활동을 묘사하 는 그림을 보고 느낀 정도를 “매우 싫다”, “조금 싫다”. “좋지도 싫지도 않다”,

“조금 좋다”, 또는 “매우 좋다” 로 답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예비 조사를 실 시해 본 결과 유아들의 반응이 “싫다” 또는 “좋다”에 많이 집중되었고 “잘 모 르겠다”는 반응도 가끔 나타났기 때문에 본 검사에서는 이 세 가지의 반응으로 만 응답하게 하였다. 채점은 “좋다”에 반응하면 3점을, “잘 모르겠다”에 반응 하면 2점을, “싫다”에 반응하면 1점을 배점하였다. 따라서 각 하위 요인 별로 최고점은 30점, 최하점은 0점이 된다. 그러므로 전체 자아 개념 검사의 총점은 5개 하위 검사의 총합인 150점이 된다.

여기서 얻어진 점수는 긍정적 자아 개념의 정도를 나타내는데, 즉 점수가 클수 록 보다 더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이 검사의 하위 요인별로 측정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일반적 충족감에 대한 자아 개념

이는 유아의 일반적 충족감으로 노래 부르기, 그리고 미끄럼 타기 등에서의 능동적 표현, 그리고 꽃, 원장님의 방, 창조적인 일, 학교 환경, 다른 사람의 이 야기 듣기 및 친구와 놀기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는가를 알아본다.

(2) 또래 관계에 대한 자아 개념

이는 또래와의 관계 및 유아 자신의 특징에 관한 것으로 환자, 주변 사람, 동 물과 같이 놀기, 어울려 춤추기, 그리고 자신의 특징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는가 를 알아본다.

(3) 교사 - 유치원에 대한 자아 개념

이는 교사와 유치원 환경에 관한 것으로 교사나 교사의 활동 그리고 유치원 환경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를 알아본다.

(4) 학문적 자아 개념

이는 학문적 관심에 대한 것으로 처음 하는 일, 수 세기, 책 보기, 그리고 쓰 기, 읽기, 어제 했던 일, 원장의 방, 유치원 환경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고 있는 가를 알아본다.

(5) 신체적 자아 개념

이는 신체적 능력과 외관에 관한 것으로 처음 하는 일 , 자신의 특징, 달리 기, 줄넘기, 춤추기, 공던지기, 미끄럼 타기, 친구와 놀기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 고 있는가를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아 개념 검사 도구는 자아 개념 검사 하위 요인별 문항 분포, 자아 개념 검사지와 함께 <부록 1>에 수록하였다.

2) 친 사회적 행동 관찰

유아의 친 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Walsh(1980), Bar-Tal(1976), 최혜 순(1992)의 구분에 의거하여 관용, 나누기, 돕기, 동정심, 위로하기, 협동, 양보, 친절, 이타심, 공유하기, 공감, 희사, 자선을 친 사회적 행동 유형으로 분류하였 다. 그리고 연구자가 유아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자유선택 활 동시간과 작업시간을 이용하여 예비관찰을 하였다. 예비관찰의 결과 나누기와 돕기를 중심으로 관용, 희사, 협동, 이타심 등이 고르게 나타났기 때문에 본 연 구자는 위에 분류한 행동유형에 포함되는 모든 행동을 친 사회적 행동으로 측

정하기로 하였다.

각 행동유형에 대하여 내린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돕 기 - 특정 대상을 위해 자신의 것을 중단하고라도 그가 잘 할 수 있도록 도울 것. 필요로 하는 물건 집어주기, 작업을 대신하기, 가르쳐 주 기, 본을 보여주기 등의 모든 행동을 포함한다.

(2) 나누기 - 물건을 고루 배분하는 것. 작업에 필요로 하는 재료 나누어 쓰 기, 적목이나 장난감을 나누어 쓰기, 간식 나누어 먹기 등 다른 사람에게 자신이 차지한 어떤 것을 나누어주는 모든 행동을 포함한다.

(3) 관 용 - 친구가 무엇을 요구해 올 때 관대한 마음으로 허용해 주는 것과 친구의 잘못 을 용서해 주는 것.

(4) 협 동 - 친구와 무언가를 함께 하여 이루어내는 것.

(5) 양 보 - 자신이 가진 권리나 자리를 호의로 친구에게 내어주는 것.

(6) 희 사 - 남을 위하여 기꺼이 먹을 것(장난감)을 내어놓음.

(7) 이타심 - 자신에게 되돌아올 보상을 생각하지 않고 전체를 위해 도움되는 행동을 하는 것. 정리 시간에 자기가 놀지 않은 장난감 치우기, 의자 정리 하기, 간식 상이나 작업 책상 닦기 등의 행동을 포함한다.

이상의 친 사회적 행동은 유치원 8년 동안 재직하였던 원감 선생님과 직접 현장에서 체육 수업을 하고 있는 체육 교사가 평가하였다.

관찰은 매일 2시간씩 5일간, 자유선택 활동시간과 작업시간(오전 10시 - 12시) 에 주로 실시되었고, 모든 행동은 사건 표집법을 사용하여 1회 행동에 대해 사 건의 간략한 기록과 함께 1점씩을 주고, 전체를 합하여 총점수로 처리하였다.

따라서 총점의 한계가 없고 점수가 많을수록 친 사회적 행동이 많이 나타난 것 임을 뜻한다. 여기서 사용된 친 사회적 행동 관찰표는〈 부록 2〉에 수록하였 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