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hapter 07. 공간과 경계 Ⅱ 2014 Space Design Seminar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Chapter 07. 공간과 경계 Ⅱ 2014 Space Design Seminar1"

Copied!
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hapter 07. 공간과 경계 Ⅱ

2014 Space Design Seminar1

가천대학교 실내건축학과 담당 Prof. 안은희

(2)

현대공간의 경계의미

“우리는 경계를 만들고 경계는 우리를 만든다.”

(3)

1. 경계 재정의

1) 파사드의 해체

- 주택에서 프라이버시는 ‘깊이’를 통해서 얻어진다고 생각하기 쉽다. 공적인 공간에서 멀리 떨어져 깊이를 가질수록 그 공간의 내밀성이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적 접근에서 내부와 외부 사이에 놓인 것이 파사드이다.

- Y. Tsukamoto & M. Kaijima, 깊이가 없는 집 : 이 작품에서는 물리적 의미의 ‘깊이’가 해체된다. ‘사적인 창’은 외부와 접촉할 수 있는 경계공간으로, 이 창을 통해 가장 내밀한 공간이 가장 공적인 공간인 ‘모든 사람을 위한 공간’이 된다. 내부로의 ‘깊이’와는 상관없이 둘러싸고 있는 경계의 성격에 따라 사적인 성격과 공적인 성격이 결정되고 있다.

<Yoshiharu Tsukamoto & Momoyo Kaijima, 깊이가 없는 집>

(4)

- Ushida & Findlay, Soft and Hairy House : 이 주택은 현관을 들어서며 정면으로 욕실 문을 마주하게 되는데, 욕실의 벽이 내부와 외부가 만나는 경계면이 된다. 깊이를 가지지 않는데도 이 집의 욕실은 다른 어떤 공간보다 사적인 공간이 되었다.

- 사적 공간의 내밀성은 현대건축에서 더 이상 깊이로 생기지 않는다. 사적인 공간을 만들기 위해 내부의 깊이를 보장해 주었던 파사드의 역할은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었다.

(5)

1. 경계 재정의

1) 파사드의 해체

경계의 성격에 따라 내밀성이 얻어진다.

사적 공간을 만들기 위해 내부의 깊이를 보장해 주었던 파사드의 역할은 해체되고 있다.

(6)

- 내부와 외부, 프라이버시와 공공성의 생성은 물리적 배치나 분리가 아니라 경계면의 상황적 교차로 설명될 수 있다.

- Giovanni Battista Aleotti, 파르마의 파네스(Farnese) 극장 : 한쪽 끝에는 무대를, 반대편에는 관람석을 갖춘 정방형의 목조구조물과 그 사이에 무대 막과 함께 정교하게 틀 지워진 개구부(프로세니움)를 냈다. 바로 이것이 무대를 조명하고 관람석을 어둡게 함으로써, 관중들이 어둠 속에서 가상적인

‘제4의 벽’을 통해 등장인물들을 혼자서 엿보고 있다고 확신시키는 환상을 가능하게 했다.

<Giovanni Battista Aleotti, Teatro Farnese, 파르마>

프로세니움

제 4 의 벽

(7)

1. 경계 재정의

2) 경계 생성의 메커니즘

- 극장이라는 물리적인 비차별적 연속 공간 속에서 관객들은 스크린 너머의 외부와 그것을 바라보는 개개인의 내부를 차별화시키는 메커니즘을 접하게 된다. 즉,내부 공간은 외부를 담게 되고, 역으로 내부화된 외부는 내부성을 강화시킨다.

제 4의 벽 (스크린) 내부화 된

외부공간

(8)

- 스크린, 외부공간의 내부화; 현대의 스크린은 프로세니움과 마찬가지로 그 너머로 펼쳐지는 사건과의 접촉을 통해, 보여지는 공간과 바라보는 공간 사이의 분절과 차별화를 형성한다. 동시에 바라보는 공간을 사적 공간으로 전환시킨다.

(9)

1. 경계 재정의

2) 경계 생성의 메커니즘

- 스크린, 내부공간의 외부화: Krzysztof Wodiczko의 ‘이방인의 지팡이(Alien Staff)’와 ‘말-문(Porte-Parole)’. 소형 모니터와 스피커가 부착된 막대기로서 이방인들의 삶의 흔적이 기록되어 있어서 호기심을 안고 다가오는 사람들에게 이방인 자신의 역사를 보여준다. → 스크린이라는 경계 생성 메커니즘은 내부를 향해서는 공적인 공간을 사적화시키는 동시에 그 방향이 외부를 향할 때는 역으로 사에서 공을 지향하게 된다.

<Krzysztof Wodiczko, Alien Staff >

(10)

- 프로세니움은 차별화되지 않은 동일한 공간에서 존재론적인 불연속면을 만드는 메커니즘(아날로그)을 생성하고, 스크린은 불연속적인 공간에서 존재론적 연속성을 만드는 메커니즘(디지털)을 생성한다.

- 경계를 만드는 메커니즘은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동시에 갖는다는 점에서 불연속성을 갖는 파사드를 대체할 수 있는 기제가 된다.

(11)

2. 인터페이스로의 전환

1) 인터페이스의 개념

- 인터페이스(interface) : 오늘날 건축가가 당면한 공간은 폴 비릴리오(Paul Virilio)가 지적하고 있듯이, 질량과 에너지, 그리고 새로운 차원으로서 정보를 포함하는 유동적인 물질과 이들의 질적 변화를 위한 촉매로서의 ‘주체와 공간’, 그리고 지능적 사물(intelligent object)의 등장에 따른

‘공간과 공간’간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포괄하는 관 계 망 (network) 으 로 볼 수 있 을 것 이 다 . 스 티 브 오스본(Steve Osborne)은 현대의 디자인이란 인간과 기술 사이에서 커뮤니케이션과 이해가 발생하는 장소, 즉 인터페이스 그 차제의 디자인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오늘날 공간을 디자인한다는 것은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술과 인간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 있는 삶을 담는 공간으로 형상화하고 구체화하는 것이다.

(12)

- 인터페이스 공간/인터페이스에 의한 공간 : 인터페이스 공간(space of interface)이 디자인이 개입함으로써 인간과 기술이 만나는 이용자 중심의 공간이라면, 인터페이스에 의한 공간(space by interface)은 그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되는 관계와 상호작용의 공간이다.

(13)

2. 인터페이스로의 전환

2) 파사드 vs 인터페이스

- 파사드가 내부와 외부의 물리적인 연속성과 단절을 만드는 장치라면, 인터페이스는 프라이버시와 공공성의 보이지 않는 힘의 경계면으로서, 양방향적인 연속성을 유지하게 한다.

- 이 토 토 요 , 바 람 의 알 (Egg of Wind) : 이 건 축 물 은 인터페이스의 정의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외부환경의 정보를 디지털화할 뿐 아니라 이 정보를 내외부 경계면에 떠다니도록 함으로써 내외부 간의 동질성과 연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때 내부를 형성하는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열쇠는 연속성과 동질성, 그리고 동시성 속 차별성을 만드는 것이다.

<Toyo Ito, Egg of Wind>

(14)

- MVRDV, 우트레히트(Utrecht)의 2세대 주택 : 연속성을 토대로 장소 또는 공간을 차별화 하는 불연속 지점을 만들어낸 사 례 이 다 . 하 나 의 연 속 적 인 볼 륨 안 에 2 세 대 구 성 원 의 요구사항을 해석하여 구성하였다. 그 결과 외벽 면은 경계를 만들어내는 힘의 궤적이다. 이 궤적이 만들어내는 단면 형상은 거주공간의 인터페이스로서의 역할을 하고, 그 결과 불규칙한 경계를 통해 두 세대는 서로의 존재를 인식하고 소통하게 된다.

이러한 단면형상의 조직을 통한 내외부 공간의 경계 조절 메카니즘(인터페이스) 방식은 위계적인 ‘깊이’로 구성하는 것과는 다른 공간구성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15)

2. 인터페이스로의 전환

2) 파사드 vs 인터페이스

“우리는 건물을 만들고 건물은 우리를 만든다.” (윈스턴 처칠)

(16)

현대주거의 경계의미

“현대주거에서 내부와 외부의 이분법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17)

1. 현대주거에서 인터페이스 개념의 적용

1) 내부와 외부의 상관적 경계로서의 인터페이스

- ‘프라이버시=내부공간, 공공성=외부공간’ 개념은 공간간의 상황적인 맥락의 형성에 따른 공간성의 차이로 전환된다.

프라이버시는 내부공간을 통해서 확보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내부화를 통해서 획득된다.

- 가즈요 세지마, Villa of The Forest : 평면을 보면 두 겹의 원통형 벽면이 사용되었는데, 평면상으로는 둘러 쌓인 안쪽의 원통형 공간이 내밀하고 고립된 사적 공간인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창공으로 열린 동시에 바깥을 감싸며 열려 있다. 이 공간은 사적이면서도 개방적인 공간으로 마치 내부화된 망원경(interior as a telescope)처럼 열린 하늘을 내부화하고 있다. 이 작품의 건물 안에서 내부와 외부는 나뉘어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인터페이스라는 경계면의 생성으로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있다.

(18)

- 프라이버시가 이처럼 내부화를 통해 사적인 영역이 된 외부라고 가정한다면, 공공성은 프라이버시화한 모든 것이 외부로 표출되고, 그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 이처럼 현대 건축공간에서 프라이버시와 공공성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동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는 건축이 내외부와 상관적인 관계를 맺으며 존재하게 하는 경계면이 된다.

(19)

프라이버시가 내부화를 통해 사적인 영역이 된 외부라고 가정한다면,

1. 현대주거에서 인터페이스 개념의 적용

1) 내부와 외부의 상관적 경계로서의 인터페이스

<Kazuyo Sejima, Villa of The Forest>

(20)

강화하는 경향이 보인다.

- 공공 공간의 분산, 선택적 공동체의 형성 : 소규모의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공동체 단위를 분화시키거나 모호하게 함(⇒공공공간의 일방성을 약화시킴). 공공공간을 분산시키되 물리적 경계도 모호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점유, 선택적인 접근을 유도함(⇒인접 주호 외에도 다른 주호에도 시각적, 물리적으로 개방하면서 동시에 개별적 선택성을 부여함)

(21)

2. 현대공동주거에서 보이는 경계 설정

1) 현대주거 공동체의 특징

- 과거 전통적 주거공동체의 특성인 위계와 중앙집중 구조, 폐쇄적 속성을 탈피하고 경계의 확장과 개방성, 그리고 비위계적인 분산 구조를 갖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주호 간의 연결방식은 주호 사이에 연합이 일어날 수 있는 공공공간이 배제되어 있거나, 아니면 소규모로 분산되어 있음으로 해서 강제적인 점유 대신 다양한 접근과 선택적 사용을 전제하고 있다.

- 공공공간의 유형 : 필요성 자체가 부정되는 형태 / 기능적 필요로 제한하는 형태(주거 내 공공공간을 사적인 영역으로 인식) / 공공공간을 모호하게 처리함으로써 익명적 의사소통을 만들어내는 형태

<독일, Gubin, Laubenstadt > <프랑스, La Louviere, Focus>

(22)

경계조절과정을 거쳐 공적인 역할을 하며 내부화된다. (⇒외부공간의 내부화 경향이 강화됨)

- 이때 내부화는 깊이가 파괴되고 외부 환경과 내부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최대화된다. 이러한 경계면에서 내부와 외부는 적극적으로 접촉하며상황에 따라 변화 가능한 프라이버시와 공공성을 획득하게 된다.

(23)

2. 현대공동주거에서 보이는 경계 설정

2) 현대주거의 프라이버시와 공공성 경향

- Andre Kempe & Oliver Thill, Living in between : 도시 속에 얇은 켜들이 내부의 정원을 둘러싼 형태로, 도시라는 더 큰 외부에 대해 경계를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계획안이다. 건물은 깊이를 제거한 띠로서 존재하여 최소의 내부를 가지며, 도시라는 외부와 인공적인 외부로 동시에 열려 있다. 특히 내부에 존재하는 인공중정은 건물로 둘러싸인 내부임에도 불구하고 자연적인 외부로 만들어 내부와 외부의 적극적인 관계 형성을 의도하고 있다.

- 가즈요 세지마, Kitagata Apartment : 건물이 대지 주위를 따라 거리의 축과 평행하게 놓여 외부와 적극적인 만남을 시도하고 있다. 107세대가 마치 퍼즐과 같은 입면을 만들고 있는데, 이러한 입면은 평면적인 경계조절과정을 넘어서서 다양한 단면의 결합을 시도한 결과이다.

<Andre Kempe & Oliver Thill, Living in between> <Kazuyo Sejima, Kitagata Apartment>

(24)

물리적으로 격리하거나 대립적으로 구분하여 공간적인 깊이로 치환하는 방식에서 양방향적인 경계조절과정으로 공간을 상관적으로 형성하는 인터페이스로서의 접근법으로 변화될 것이다.

- 상관적인 인터페이스 개념은 양방향적인 힘의 관계로서 내외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적극적인 접촉 개념은 기존의 폐쇄적인 소통에서 벗어나 타자와의 다양한 교류를 통해 새로운 의미의 공간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25)

참고도서

- C. Norberg-Schulz, 김광현 역, <실존, 공간, 건축>, 태림문화사, 1997 - 이진경,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소명출판, 2000

- 베아트리츠 꼴로미냐, 박훈태 역, <프라이버시와 공공성>, 문학과학사, 2000

- 김광현 외, ‘현대주거의 공공 공간의 유형과 공동체 성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ol.18 N0.5, 2002

- 안은희, ‘공간-환상을 통해서 본 현대실내건축의 특이성 연구‘, 경원대 박논, 2007

참조

관련 문서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생산이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사회가 되어야 하며 자본이 더 이상 인간을 기만하고 거짓된

재료들의 배치 기능들의 배치 장소들의 배치 사건들의 배치 건축물의 배치

(플라톤은 예술이 가상을 포기해야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고,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이 가상을 통해서 진리에 도달할 할 수 있다고 믿었음)... 정신건강과

더 이상 점수는 입력되지 않는다..  마지막에

• 건축은 자연환경에 순응하고 자연재해 등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거처를 마련하고 점차 편안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이러한 일치를 뮈라르와 질베르망은 ‘내밀성(intimacy)’이라고 정의한다. 내밀성이란 드러나지 않는 것, 자신만의 고유한 것, 따라서 자신의 내면에 속한 것이다. ②

 Class는 스스로 객체 생성 방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더 이상

그것은 어떤 고상한 곳이나 심오한 곳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표면효과(effet de surface)이며, 그 고유한 차원인 표면과 분리할 수 없는 것이다.’ → 의미라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