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Glycogen synthase kinase-3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Glycogen synthase kinase-3"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 380

■ ♣S-635 ■

Glycogen synthase kinase-3βinhibitor 처치에 따른 류마티스관절염 활막세포에서의 염증매개인자 감소 및 활막세포 증식의 억제효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류마티스내과

*권용진, 김태연, 정수진, 이상원, 박용범, 이수곤, 박민찬

배경: Glycogen synthase kinase (GSK)-3β는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의 하나로 glycogen metabolism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들 어 GSK-3β가 염증반응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GSK-3β inhibitor를 arthritic rodent model에 투여하자 대식세포에서 염증매개물질 의 생성이 감소하였고 이러한 항염증작용은 주로 NF-κB의 억제작용에 의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류마티스관절염의 발병에도 대식세 포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GSK-3β inhibitor가 류마티스관절염에서도 염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아직까지 류마티스관절 염에서 GSK-3β inhibitor의 항염증작용에 대해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방법: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활막으로부터 섬유모세포양 활막세 포를 분리 배양하여 GSK-3β inhibitor (4-benzyl-2-methyl-1,2,4-thiadiazolidine-3,5-dione (TDZD-8))를 각각 0.5 μM, 5 μM 및 50 μM의 농도 로 TNF-α (10 ng/mL)와 함께 또는 TDZD-8 단독으로 투여하였다. 정량적 real-time PCR을 통해 pro-inflammatory cytokines (IL-1β, IL-6), chemokines (CCL2, CCL7), cyclooxygenase (COX)-2,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의 mRNA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고 TDZD-8처치에 따른 활막세포의 증식 억제여부를 MTT assay를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western blot assay를 시행하여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Akt, Bax, Bcl-2 의 억제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TNF-α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 TDZD-8의 투여농도를 증가시킴에 비례하여 MMP-9의 mRNA 발현이 감소 하였다. 그러나 IL-1β, IL-6, CCL2, CCL7과 COX-2의 경우 저용량의 TDZD-8 (0.5 μM)을 처리하였을 때 오히려 TDZD-8을 처리하지 않은 control에 비해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TDZD-8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발현이 용량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TNF-α를 처리한 경우에는 TDZD-8의 투여농도가 증가함에 비례하여 IL-1β, IL-6, CCL2, CCL7, COX-2와 MMP-9의 mRNA발현이 감소하였다. MTT assay 결과 TDZD-8의 투여에 의해 섬유모세포양 활막세포의 증식 억제가 유도되었으며 이러한 억제 효과는 농도와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또한 TDZD-8을 처리한 섬유모세포양 활막세포에서 Akt, Bax와 Bcl-2가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결론: TDZD-8은 류마티스관절염 섬 유모세포양 활막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고농도의 TDZD-8은 다양한 염증매개물질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TDZD-8이 류마 티스관절염의 병인에 관여하여 항염증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류마티스관절염에 대한 새로운 치료로서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 ♣S-636 ■

류마티스관절염 섬유모세포양 활막세포에서 gallic acid 처치의 영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정수진, 김태연, 권용진, 이상원, 박용범, 이수곤, 박민찬

서론: Gallic acid는 포도, 찻잎, 굴 껍질 등에서 발견되는 천연물질로, 항산화작용을 가질 뿐 아니라 세포의 분화를 조절하고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항암작용도 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과정에 nuclear factor-kappaB (NF-κB) pathway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NF- κB는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pathway이므로 gallic acid의 항염증작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allic acid 처치가 류마티스관절염 섬유모세포양 활막세포의 증식 및 염증유발 유전자의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떠한 경로를 통해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무릎관절 치환술을 받은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활막에서 섬유모세포양 활막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gallic acid를 각각 1 μM, 10 μM, 100 μM로 처치한 뒤 MTT assay로 세포의 증식 정도를 비교하였다. 염증유발 유전자의 발현은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TNF-α 자극 여부에 따라 CCL-2, CCL-7, IL-1β, IL-6, cyclo-oxygenase-2 (COX-2), 그리고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의 mRNA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Apoptosis에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이용해 Bcl-2, Bax, p53, pAkt의 표현 정도 를 확인하였고, 관여하는 신호전달체계를 알아보기 위해 NF-κB, AP-1을 EMSA로 확인하고, pERK, p38, JNK를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 다. 결과: TNF-α 자극을 주지 않았을 때, IL-6의 mRNA 발현은 gallic acid의 처치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고, CCL-2, CCL-7, IL-1β, COX-2, MMP-9의 경우 낮은 농도의 gallic acid 처치 시(1 μM)에는 오히려 mRNA 발현이 증가되었다. TNF-α 자극을 준 후에는 gallic acid 처치가 모든 염증유발 유전자들의 발현을 투여 용량에 비례하여 감소시켰고, 류마티스관절염 섬유모세포양 활막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Gallic acid 처치 후 Bcl-2, pAkt, Bax의 발현은 감소하였고, p53은 낮은 농도의 gallic acid 처치 시(1 μM) 표현이 증가되었다가 높은 농도에 서(100 μM)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AP-1, NF-κB, JNK는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gallic acid 처치가 류마티스관절염 섬유모세 포양 활막세포의 증식 및 염증유발 유전자의 mRNA 발현을 억제시키고 apoptosis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과정에 NF-κB 뿐 아니 라 AP-1, JNK가 관여함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gallic acid 투여가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참조

관련 문서

We separated and confirmed gallic acid, ellagic acid, and punicalagin by HPLC and carried out simple in vitro study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almonella..

Green contours represent favorable regions for bulky group substitution while yellow contours represent unfavorable regions for Table 3.. Scatter plot of the actual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대체 근로에 대해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금지규정을 가지 는 나라는 거의 없으며 주요 선진국에서도 대체근 로를 허용하고 있다..

이 법은 가정폭력을 ‘가정구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 라고 정의하고

◦ 사회의 의사결정이 한사람에 의해 결정되는 독재자제도하에서는 집단의사결정을 위해 동의가 요구되는 다른 사회구성원은 존재하지 않아 지불해야하는 의사결정비용이

오디션프로그램(박진영); 공기 반/소리 반의 의미 발성에도 공기와 소리의

✓가장 배쪽에 위치한 부위가 가장 높은 농도의 Spättzle와 Dorsal 단백질 갖게 되는 기울기 를 형성.. Twist는 중배엽 유전자 발현을 활성화시킴. Snail은

결론: 본 48개월간의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보고에서와 일관되게 인슐린저항성이 증 가되어 있는 환자들에서 pioglitazone의 혈당강하효과는 현저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