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2 조화파동(Harmonic Waves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2 조화파동(Harmonic Waves ) "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hap 2 . The Mathematics of Wave Motion

1-차원 진행파(1-

dimensional propagating waves

)

이동하는 파는 위치와 시간의 함수로 나타낸다. 만일 끈(string) 위에서 x축을 따라 움직이는 파 가 있다면 그 파의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이동하는 파의 함수 표기법:   f x t( , ) (2.1) 0

tt를 내포하지 않는 함수가 되며 이때 정지한 파(stationary wave)의 모양을 그릴 수 있 고, 그 모습(profile)이 시간과 공간을 따라 그대로 움직인다.

Stationary function: ( , ) |x t t0f x( , 0) f x( ) (2.2)

2.1 상대운동( Relative motion )에 의한 파동의 분석

끈에서 파동(disturbance)은 2-차원으로 일어나지만 변수가 하나인 방향으로 진행하므로 1-차원 파(one dimensional wave)라 하고, 호수에서 평면적으로 진행하는 파의 파동은 3-차원 이지만 진행은 2-차원에서 일어나므로 2-차원 파(two dimensional wave)라 한다.

공간에서 진행하는 파를 기술하기 위하여 상대운동을 1-차원에서 분석하고 이것을 3-차원으로 확장하도록 하자.

S: 정지 기준좌표 계(Stationary reference frame)

'

S : S계에 대해 v의 속력으로 움직이는 상대좌 표 계(Relatively moving reference frame) 정지좌표 S계에서 S'계를 바라다 보았을 때 S'

계는 파의 속력 vx축을 따라 우측 그림과 같 이 이동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t시간 동안 S'

계는 S계에 대해 vt만큼 이동할 것이다.

정지좌표 S계에서 속력 v v( 0)x축을 따라 이동하는 1-차원 파를 표시하면

( , )x t f x vt( )

   (2.3)

( , )x t f t( x v/ )

   (2.4)

위와 같은 방법으로 x방향으로 진행하는 파는 다음과 같다.

( , )x t f x vt( )

   (2.5)

( , )x t f t( x v/ )

   (2.6)

'

S 계는 파와 같은 속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파는 정지한 파로 보이며, S'계에서 파의 모습은 수식 (2.2)의 t가 없는 파형으로 변환된다. 이와 달리 S 계에서는 파가 v의 속력으로 움직이는 것이 관측되지만 그 파의 모습(profile)은 S'계의 정지한 파와 같다.

'

S 계에서의 파의 표시:   f x( ') (2.7)

'

S 계와 S계 사이의 좌표에 대한 Galilean transformation: x' x vt (2.8)

여기서 S'계가 S계에 대해 움직이는 속력 v는 일정.

(2)

1-차원 파동 방정식의 유도

(2.8)을 편미분:     x' x v t (2.9)

위의 미분은 다음의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a) t는 일정할 때 x x'의 변화율: '

( x )t 1 '

x x

x

     

(2.10)

(b) x가 일정(고정)할 때 x'의 시간에 대한 증가율(속력): ' ( x )x

t v

  

(2.11)

(2.7)을 xt로 각각 편미분(partial derivative)하고 (2.10)과 (2.11)을 적용한다.

( ') '

( )

t '

f x x f

x x x x

   

 

    (2.12)

( ') '

( )

x '

f x x f

t x t v x

      

    (2.13)

(2.12)를 (2.13)에 대입하면

( )x v( )t

t x

 

 

    (2.14)

(2.3)의 1-차원 파동함수(wave function)에 대한 공간과 시간의 일차 미분은 (2.14)의 관계에 있 다. 2차 미분에 의한 파동 미분방정식을 얻으려면 (2.12)와 (2.13)을 xt로 다시 편미분한다.

이때 미분 결과에 (2.10)과 (2.11)을 적용한다.

2 2

2 2

( ) ( ) '

t '

f x f

x x x x x x x

 

      

  

       (2.15)

2 2 2

2 2

2 2 2

( ) ( ) '

x '

f x f f

v v v

t t x x t x t x

 

            

        (2.16)

(2.15)를 (2.16)에 대입하면

2 2

2 2 2

1

x v t

 

  

  (2.17)

(2.17)은 1-차원 미분 파동방정식(1-dimensional differential wave equation)이다. 이것을 3- 차원 미분 파동방정식으로 확장하면

2 2

2 2

1 v t

 

(2.18)

여기서 2은 Laplacian operator로 직각좌표에서는

2 2 2

2

2 2 2

x y z

  

     

  

모든 진행파(traveling wave or propagating wave)는 (2.17) 또는 (2.18)을 만족하여야 하며, 식 이 성립하지 않으면 그 파는 진행파가 아니다. (2.17)의 일반해(general solution)는 다음과 같다.

1 ( ) 2 ( )

C f x vt C g x vt

     (2.19)

여기서 C1C2는 상수(constant)

1 ( )

C f x vt는 오른쪽, C g x vt2 (  )는 왼쪽으로 이동하는 파이다. 자연현상은 오른쪽과 왼쪽으로 진행하는 파가 동시에 일어나며 만나는 곳에서는 겹치기(superposition)가 일어난다.

(3)

※ 미분연습: 다음을 미분함으로써 위에 적용된 일반적인 미분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예 1)  sin 'x , x'ax22라 하자. ( )x x에 대해 미분하라. 여기서 a는 상수이다.

2 2

(sin ') '

cos ' ( 2) 2 cos( 2)

'

d d x dx d

x ax ax ax

dx dx dx dx

(예 2) ( , )x t sin(ax2bxt2ct2)이고 xt에 대하여 각각 편미분하라. 여기서 a b c, ,

상수이다.

2 2

'

xaxbxtct 이라 하면  sin 'x

2 2 2 2

(sin ') '

( ) cos ' ( 2 ) (2 ) cos( 2 )

t '

x x

x ax bxt ct ax bt ax bxt ct

x x x x

   

       

   

2 2 2 2

(sin ') '

( ) cos ' ( 2 ) ( 4 ) cos( 2 )

x '

x x

x ax bxt ct bx ct ax bxt ct

t x t t

           

   

2.2 조화파동( Harmonic Waves )

Sine 또는 cosine으로 표시되는 파들은 연산하면 다시 sine 이나 cosine으로 표시되며 이러한 파 들을 sinusoidal waves 또는 조화파동(harmonic waves)이라 한다. 따라서 조화파동은 sine 또는 cosine인 주기함수이다.

간단한 형태의 조화파동: ( , )x tAsin(kxt) (2.20) A: 진폭(Amplitude)

k: 각 파수(Angular wave number)

: 각 진동수(Angular frequency)

주기함수(periodic function)의 표기법

(a) 주기함수에서 공간주기(spatial period)는 (파장: wavelength)로 표기한다.

( , )x t (x , )t

   (2.21)

(b) 주기함수에서 시간주기(temporal period)는 또는 T로 표기한다.

( , )x t ( ,x t )

   (2.22)

조화파동에 나타나는 값들의 관계식

조화파동을 ( , )x tAsin(kxt)라 하면, 이것은 주기함수이므로

( , )x t Asin(kx t) Asin[(kx t) 2 ]

       (2.23)

(a) 공간주기(spatial period) 의 적용

sin( ) sin[ ( ) ] sin[( ) ]

A kxtA k x  tA kxtk (2.24)

(2.23)과 (2.24)를 비교하면,

2 2

k  k

    , 단위: [rad / m] (2.25)

k는 단위길이당 있는 파수에 원의 각을 나타내는 2 radian을 곱한 양이다.

(4)

(b) 시간주기(temporal period)  의 적용

sin( ) sin[ ( )] sin[( ) ]

A kxtA kx t A kxt  (2.26)

(2.23)과 (2.26)을 비교하면,

2 2

  

    , 단위: [s] (2.27)

(c) 주파수(frequency): 1초 동안에 진동하는 파의 수이며 주기의 역수.

f 1

 , 단위: [1/ sHz :Hertz] (2.28)

(d) 파수(wave number): 단위길이당의 파의 수이며 파장의 역수.

 1

, 단위: [1/ m] (2.29)

(e) 각 파수(angular wave number): 단위길이당 파장의 수를 각으로 표시한 양.

k 2

  단위: [rad / m] (2.30)

(f) 각 주파수 (angular frequency): 주파수를 각으로 나타낸 것.

2 f, 단위: [rad / s] (2.31)

(g) 파의 진행속도

vf, 단위: [m / s] (2.32)

파동에 관련된 수들의 요약

f 1

 , 2 f, 2

k

  , vf, h

p, Ehf (2.33)

여기서 hPlanck constant.

진행하는 조화파동의 여러 표기법

( , )x t Asin(kx t) Asin (k x vt)

     (2.34)

( , ) sin2 ( ) sin 2 (x t)

x t Ax ft A

  

  

    (2.35)

( , ) sin 2 ( ) sin 2 (x )

x t A x ft A f t

       v (2.36)

위상과 위상속도(Phase and Phase velocity)

일반적인 조화파동의 표기법: ( , )x ty x t( , ) Asin(kx t ) (2.37)

위상(phase): sine 이나 cosine 함수 내의 전체변수(argument)를 위상이라 한다. 즉

kx t

   , 단위: [rad] (2.38)

: 초기위상 또는 시작 각(initial phase or epoch angle)

위상속도(파의 속도) vf 의 증명: (2.32)를 증명하기 위하여 위상 kx t constant

지점이 시간의 변화에 어떻게 움직여 가는지를 관찰한다.

constant

kx t  : 2

0 2 /

dx f

kdx dt v f

dt k

 

 

         (2.39)

(5)

2.3 벡터의 복소수( Complex ) 표기법

x축은 실수 y축은 허수좌표(imaginary coordinate)로 나타내어 표기 하고 이를 이용하여 벡터들을 연산한다.

복소수 평면에서 수의 표기: z x iy (2.40)

이것을 극 좌표(polar coordinates)로 나타내면

cos

xr (2.41)

sin

yr(2.42)

(cos sin )

zr i (2.43)

Euler formula: ei cosisin and ei cosisin (2.44) (2.43)은 오일러 공식에 의해 극 좌표로 다음과 같이 전환된다.

zrei (2.45)

는 복소수 z의 위상 각(phase angle)이라 하고, rz의 크기(magnitude) 또는 동경 (modulus)이라 하며 복소수의 값이다.

| | ( *)1/ 2

r z zz (2.46)

여기서 z*는 z의 공액 복소수(complex conjugate)이다.

* i

z   x iy re (2.47)

극 좌표로 벡터를 표시하면 곱과 나누기를 계산하기가 대단히 편리해 진다.

(예) z1r e1 i1, z2r e2 i2

두 수의 곱: z z1 2r r e1 2 i( 1 2), 두 수의 나누기: 1 1

2 2

1 2

( )

z r i

z r e

 

(2.40)의 실수부분과 허수부분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자주 사용한다.

Re( ) Im( )

zzi z (2.48)

실수(real) 부분의 표기법: 1

Re( ) ( *)

z  2 zz (2.49)

허수(imaginary) 부분의 표기법: 1

Im( ) ( *)

z 2 z z

i  (2.50)

극 좌표로 표시된 조화파동의 형태는 두 조화파동 즉 sine과 cosine이 동시에 존재하므로 조건에 맞는 것을 골라 사용한다. 이때 위에 소개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Re ( )zrcos, Im( )zrsin (2.51)

(a) 실수부분(real part)을 사용한 조화파동의 형태

( )

( , )r t Re[Aei k r  t ] Re[Aei] Acos(kr t )

        (2.52)

(b) 허수부분(imaginary part)을 사용한 조화파동의 형태

( )

( , )r t Im[Aei k r  t ] Im[Aei] Asin(kr t )

        (2.53)

(6)

2.4 3 -차원 파동방정식( 3 - Dimensional Wave Equations )

파의 종류

(a) 종파(longitudinal wave): 진행방향(wave vector 방향)으로 진동하며 진행하는 파.

(예) 음파 및 지진파

(b) 횡파(transverse wave): 진행하는 방향에 수직으로 진동하는 파.

(예) 빛, 파도, 새끼줄 위에서의 파동

아래 그림에서 파는 z방향으로 진행하고 진동은 z축에 수직인 평면 속에서 일어난다. 이 평면을 진동평면(plane of vibration)이라 하며 이 평면에서만 진동하는 파를 linear or plane polarized wave라 한다.

진동평면의 기운 각은 일정하므로 z축을 따라 이동하는 파는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 , ) x( , )i y( , ) j

E z tE z tE z t (2.54)

3-차원 파의 일반적인 표현: E r t( , )Eoexp[ (i k r t)] (2.55)

평면파(Plane waves)

Wave front: 어떤 주어진 시간에 위상이 같은 점을 연결하는 면.

평면파는 wave front가 평면을 이루는 파로 그 면은 파의 진행방향 과 수직이다. 따라서 어떤 점 ro를 포함하는 면이 평면파 평면이라면 그 평면에 임의의 방향 r로 향하는 rrowave 벡터 k의 내적

은 0이다. 즉 파의 평면은 wave 벡터 k와 수직이다.

평면파의 일반 형태는 r k constant로 모든 평면에 대해

( )r Aeik r

  은 일정하다.

파동 방정식 (a) 평면파 방정식

평면파를 기술하려면 직각좌표(Cartesian coordinates)를 사용한다.

(7)

Laplacian operator:

2 2 2

2

2 2 2

x y z

  

     

   (2.56)

평면파 방정식:

2 2

2 2

1 v t

 

(2.57)

2 2 2 2

2 2 2 2 2

( ) 1

x y z v t

 

      

   

평면 진행파(propagating wave)의 방정식의 일반해(general solution)는 다음과 같다.

1 2

( , )r t C f r( k vt) C g r( k vt)

       (2.58)

여기서 kwave vector k의 단위벡터(unit vector)이다.

(b) 구형파(Spherical waves) 방정식

광원(source)으로부터 구면으로 퍼져나가는 파를 구형파라 한다. 구형파를 기술하려면 구좌표를 사용한다.

구좌표(Spherical coordinates) 표시법: xrsin cos , yrsin sin , zrcos Laplacian operator:

2

2 2

2 2 2 2 2

1 1 1

( ) (sin ) ( )

sin sin

r r r r rr

    

    

   

     (2.59)

※ (2.59)의 유도는 부록 I 을 참조할 것.

구면파는 단지 거리 r에만 의존하고, 에는 등방적(symmetrical)으로 독립(independent)

이므로 각에 의존하는 변화가 없다. 따라서 Laplace 방정식은

2 2

2 2 2

2 2 2 2

1 1 1

( , )r t (r ) (2r r ) (r )

r r r r r r r r

  

    

     (2.60)

2 2 2

2

2 2 2 2 2

1 1 1

(r )

v t r r v t

 

    

   (2.61)

(2.61)의 일반해는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1 2

( , )r t 1[C f r( vt) C g r( vt)]

  r    (2.62)

(8)

앞의 항은 원점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퍼져 나가는(divergent) 파이고 뒤의 항은 구의 원점으로 수 렴하는(convergent) 구형파를 각각 나타낸다.

(예) Harmonic spherical wave: ( , ) Acos( )

r t kr t

  r  or ( , ) Re[A i k r( t)]

r t e

r

 

여기서 A는 소스강도(source strength) 또는 진폭(amplitude)이라 하며, 거리에 따른 진폭의 변 화가 위의 그림에 나타나 있다.

(c) 원통파(Cylindrical waves) 방정식

파가 원통처럼 퍼져나갈 때 이러한 파를 원통파라 하며 원통좌표 (cylindrical coordinates)를 사용하여 기술한다.

원통좌표 표시법: xcos, ysin, zz Laplacian operator:

2 2

2

2 2 2

1 1

( ) ( )

r z

    

   

   

    (2.63)

원통파는 단지 거리 에만 의존하고, z에는 등방적(symmetrical) 으로 독립(independent)이므로 각에 변화가 없다. 따라서 파동방정식은

2

2 2

1 1

( ) ( )

r v t

 

  

   

   (2.64)

이며 해는 Bessel 방정식 형태로 나타난다.

※ Bessel function은 10 장에서 공부.

연습 문제

2.1 ( , )x tf x t( ', )로 표시되는 함수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치환되어 있다. 본문 식 (2.12) 이하에서 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 , )x txt에 대해 각각 편미분하라.

2 2

( , )x t x' 2t

   , x'sin(2x3 )vt

2.2 (a) ( , )x tAsin (k x vt )는 진행파(propagating wave)임을 증명하라. (b) Exponential로 표현되는 아래 두 개의 파의 곱과 합이 각각 진행파가 되는지 판별하라.

1

( )

( , )x t Aeik x vt

  , 2( , )x tAeik x vt( )

2.3 다음 두 파동함수의 (a) 주파수, (b) 파장 (c) 주기 (d) 위상속도 (e) 운동방향을 각각 구하여 라. 여기서 시간 t의 단위는 s, 거리 x의 단위는 m이다.

1 4sin 2 (0.2x 3 )t

   

2

sin(7 3.5 ) 2.5

x t

 

2.4 다음과 같은 파동함수가 있다. t / 2 t3 / 4 일 때 z0에서 파동함수의 진폭은 얼 마인가? 여기서  는 주기이다.

(9)

( , )z t Acos[ (k z vt) ]

   

2.5 복소수의 허수부분이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음을 보여라. 여기서 z  x iy이다.

* 2 z z

i

2.6 Euler 공식을 이용하여 다음을 계산하라.

(a) sin3

(b) cos4

※ 1

sin ( )

2

i i

e e

i

   , 1

cos ( )

2

i i

e e

 

2.7 원점으로부터 두 벡터의 끝 점이 A x y( ,1 1), B x y( ,2 2)에 각각 놓여 있다. 두 점 사이의 거 리를 복소수 평면에서 구하라. A(2,3), B(3, 4)일 때 두 점 사이의 실제거리는 얼마인가?

2.8 SI 단위로 표현된 다음의 파에 대한 속력을 구하여라.

6 14

( , )y t Acos (3 10 y 9 10 t)

     

2.9 다음의 함수에서 A는 상수이다. 이 함수가 파동(wave)을 나타내는가? 이 대답에 대한 너의 합리적인 설명을 부연하라.

( , )y t (y vt A)

  

2.10 다음 중 어떤 것이 진행파를 나타내는 수식 인지를 결정하라.

(a) ( , )y tExp(a y2 2b t2 22abty)

(b) ( , )z tAsin(az2bt2)

(c) ( , ) sin 2 (x t) x t A

a b

   

(d) ( , )x tAcos 2 (2tx)

2.11 Microwave oven에서 사용되는 파의 파장은 10cm이며 파의 속도는 빛의 속도 c이다.

주파수(frequency), 주기(period), 각 파수(angularwave number) 및 각 주파수(angular

frequency)를 각각 구하여라. 그리고 Radio 파의 frequency f 1.5 10 Hz 7 이다. 이에 대한 주기, 각 파수 및 각 주파수를 각각 구하여라.

2.12 주파수가 6 10 Hz 14 인 빛이 있다. (a) 이 빛에 대해 위상 차가 30o인 가장 짧은 거리는 얼 마인가? (b) 한 주어진 점에서 10 s6 동안에 얼마만한 위상변위(phase shift)가 일어나는가? (c) 그 시간 동안에 몇 개의 파가 지나가는가?

2.13 de Broglie의 가설에 의하면 운동하는 모든 입자의 파장은 Planck 상수 h6.63 10 34J s

를 운동량으로 나눈 값이다. 1.0 m / s로 움직이는 6.0 kg의 돌의 파장은 얼마인가?

참조

관련 문서

[r]

자의 길이와 자의 그림자의 길이가 만드는 직각삼각형과 나 무의 높이와 나무의 그림자의 길이가 만드는 직각삼각형이 서로 닮음이므로 다음과

그런데 두 삼각형 ABC, AQC의 모양의 토지는 밑변이 AC”로 공통이고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은

[r]

연립방정식의

y= 에서 x가 분모에 있으므로

최빈값은 자료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구하기 쉽기 때문 에 선호도 조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