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Study on Adolescent Legitimate Drug Abuse and<br /> Social Medical Approach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Study on Adolescent Legitimate Drug Abuse and<br /> Social Medical Approach"

Copied!
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bstract : There are many issues concerning adolescent but the most important issues is drug abuse because the seriousness of drug abuse goes beyond legal reasons and threatens their health as well. There are many programs that deal with adolescent drug abuse but they seem to show some limitations. This is why adolescent drug abuse is increasing nowadays.

Social medicine is a part of medical science that studies and educates social, cultural aspects by combining social science and human studies. It differentiates itself from other bio-medical model in that it focuses on adolescent' promotion of health through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To use for adolescent drug abuse program development, we researched on legitimate drug abuse, high-risk group, addiction, and program conditions of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high-risk group was 74.3%, drug abuse and addiction was 29.7%, however only 34.6% of the subjects experienced the program. Also, many factors that has to do with the change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and the relationship with program host showed negative response.

With this in mind, we want to break away from the limitation of short-termed, fragmentary pro- grams and proceed to a more professional and long lasting intervention through trust, respect, and intimacy between adolescent and curer to improve drug abuse treatment and prevention.

[Key words] adolescent, drug abuse, drug abuse program, social medicine

청소년의 합법적 약물의 남용실태와 사회의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안산 새샛별약국, 건국대학교병원 약제부

a

A Study on Adolescent Legitimate Drug Abuse and Social Medical Approach

Choi, Jae Yun and Lee, Kwang Seup

a

Ansan Saesaetbeoul Pharmacy

Starplaza 1F, 583, Seongpo-dong, Sangnok-gu, Ansan-si, Gyeonggi-do, 426-040, Korea Dept. of Pharmacy of KunKook University Hospital

a

4-12, Hwayang-dong, Gwangjin-gu, Seoul, 143-729, Korea

회원학술보고

투고일자 2011. 1. 31; 심사완료일자 2011. 2. 18; 게재확정일자 2011. 2. 19

(2)

우리에게‘러미라’ 라고 많이 알려져 있는‘덱스트 로메트로판(Dextrometropan)’ 은 진해거담제이며, 소 위 ‘ S정 ’이 라 고 불 리 는 '카 리 소 프 로 돌 (Carisoprodol)'은 근골격계 질환 치료제이다. 이들 은 치료 용량에서는 쾌감, 도취감, 환각작용 등이 나 타나지 않으나, 다량을 한꺼번에 복용하면 환각증상 을 일으키고 정신장애 ∙ 호흡장애도 유발한다. 장기 복용 시에는 위와 간 등에 심각한 손상을 입혀 사망 에 이를 수도 있다. 보건복지부는 이 약물의 오∙남 용을 우려하여 처방전에 의해서만 투약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오∙남용이 계속 문제화되자, 2003년 7월 30일‘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을 개정하여 이 두 약물을 마약류(향정신성의약품)로 지정하였다.

이와 같이 최근에 남용되는 약물은 약국이나 병원에 서 처방받아 쉽게 구할 수 있는 감기약, 진통제 등이 다. 이러한 약물은 마약법이나 향정신의약품관리법 에 저촉되지도 않는다. 물론 이러한 약물의 정확한 복용법에 의한 올바른 사용은 질병의 치료에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상용량의 수십 배나 되는 과량사용 시에는 마약과 유사한 효과가 나타나기 때 문에 오∙남용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는 실 정이다.

비단 청소년의 문제는 한두 가지는 아니겠지만 그 중 약물남용의 심각성은 법률적인 문제를 떠나서라 도 건강에 위협을 가하는 문제이기에 더더욱 중요하 다고 할 수 있다. 일찍이 건강의 개념은 1948년 세계 보건기구(WHO)의 헌장에서‘건강이라 함은 단순히 질병이 없고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 라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안녕(安寧)의 완전한 상 태를 의미하는 것’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1) 약물남용 은 개인적으로 신체적, 정신적 위해를 끼치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적 안녕에까지 해악을 끼치는 것으로 그 심각성은 크다 할 수 있다. 2)

청소년기는 급속한 신체와 인지 발달이 일어나는 시기일 뿐 아니라 집단에의 소속을 통해 자기의 정체 감을 파악하는 성숙이 일어나는 시기다. 청소년기에 있어서 약물은 일단 시작하게 되면 벗어나기 힘들고 더욱 깊이 중독 상태에 빠지게 되며, 3) 남용자의 정신 과 육체를 황폐화 시키는 것은 물론 각종 범죄를 유 발시킴으로써 사회에 직접적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더욱이 성장 발달 단계에 있는 청소년의 경우 그 발 달적 특성 때문에 이로 인한 지불 비용은 클 수밖에 없는 것이다. 4)

그러나 지금까지 약물남용 예방이나 치료에 대한 접근은 고작 학교에서의 강의식 예방교육이나 시설 이나 기관에서의 예방 프로그램, 정신병원이나 보호 감호소, 소년원, 교도소 등 사후 치료 재활 프로그램 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접근 방식에 의한 청소년에 대한 약물남용 프로그램은 여 러 면에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의 약 물남용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는 약물남용예방교육이 약물남용 예방에 큰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들 발표를 하고 있지만 실제 청소년의 약물 남용은 점차 늘어만 가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청소년기본법에서 정의하 고 있는 24세까지의 청소년 중에서 대학생을 대상으 로 누구나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합법적 약물의 남용 실태를 조사하고, 사회의학 이론을 바탕으로 청소년 약물남용에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청 소년의 약물남용을 예방∙치료하고 그들이 사회구성 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건강한 정신과 건강한 신체로 사회체계의 평형과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자 세를 가질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Ⅰ. 이론적 배경

1. 청소년 약물남용

1) 용어의 정의

일반적으로“약물” 이란 특수한 방법으로 생리적 기

능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이라고 정의한다. 그러

나 우리가 흔히 약물이라고 일컫는 것은 다양한 종류

의 약물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정상적인 용도의

약품도 약물이라는 단어로 포괄적으로 사용하고 있

다. 이에 비해 환각이나 의존성을 발휘하는 약물은

주로“마약류” 라는 용어로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정

의에는 마약, 대마 및 향정신성의약품을 총괄하여 부

르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보고에 의하면

마약류는“약물사용에 대한 욕구가 강제적일 정도로

(3)

강하고, 사용약물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금 단현상 등이 나타나며, 개인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회에도 해를 끼치는 약물” 로 정의되고 있다. 5)

“합법적 약물” 이라 함은 법률에 의거 허가된 약국 이나 병원에서 불법적이지 아니한 정당한 방법으로 구입할 수 있는 의약품을 일컫는 용어로 구입방법에 따라“일반의약품” 과“전문의약품” 으로 나눌 수 있 다. “일반의약품” 이라 함은 약사법 제2조 4항의 규 정에 해당되는 의약품으로써 의사나 치과의사의 처 방 없이 약사가 임의로 판매할 수 있는 의약품을 말 하며, “전문의약품” 이라 함은 약사법 제2조 10항의 규정에 해당되는 의약품으로써 의사나 치과의사의

처방에 의한 조제에 의해서만이 투약할 수 있는 의약 품을 말한다. 6)

본 연구에서의“약물남용군” 은 1997년 김경빈이 개발한“한국형 청소년 약물중독 선별검사표 2형”

도구를 사용하여 총 12점 중 0.5-2.5점에 해당하는 집단을 말하며, “약물중독군” 은 같은 도구를 사용하 여 3점 이상(mild 3.0-5.5, moderate 6.0-8.5, severe 9.0-12.0)에 해당하는 집단을 말한다. 또한

“고위험군” 은“청소년 약물사용 고위험군의 선별검 사표”도구를 사용하여 총 100점 중 32점 이상으로 약물사용의 위험성이 있는 집단을 말한다. 7)

계열별 성별

중학교 인문계 상업계 공업계 소년원

약물 명수 담배 본드 부탄가스

니스 신나 벤젠 러미라 지놀타 에스정 라식스 프링가 프링가올

각성제 진통제 신경안정제

대마초 히로뽕 아편제 코카인

204 30.4 18.6 2.9 1.0 2.0 1.5 0.0 1.0 0.0 0.0 0.5 0.0 0.0 2.0 15.2 0.0 0.0 0.0 0.0 0.0

188 52.1 17.6 0.0 0.0 0.0 0.0 0.0 1.6 0.0 0.0 0.0 0.0 0.0 2.7 23.9

1.6 0.0 0.0 0.0 0.0

209 80.4 47.4 3.3 1.9 1.9 1.0 0.5 0.5 0.0 0.0 0.0 0.0 0.0 3.8 20.1

1.0 0.5 0.5 0.0 0.0

228 82.0 20.6 0.4 0.0 0.0 0.0 0.0 0.4 0.0 0.4 0.4 0.4 0.4 11.4 47.8 2.2 0.4 0.4 0.0 0.0

162 91.4 60.9 2.6 3.1 1.9 2.5 1.2 1.2 0.0 0.0 1.2 0.0 0.0 1.2 19.1 2.5 1.9 1.9 1.2 1.9

156 94.9 60.9 2.6 3.2 1.3 0.6 0.0 1.3 0.0 0.0 16.0 0.0 0.0 4.5 45.5

0.0 0.6 0.6 0.0 0.0

276 80.1 58.3 2.5 1.8 1.1 0.7 0.4 4.0 0.0 0.4 0.4 0.0 0.0 7.6 29.3

1.1 0.0 0.0 0.0 0.4

230 86.5 55.7 2.6 0.9 1.7 0.0 0.4 0.0 0.0 0.0 7.0 0.0 0.4 5.2 43.0

2.6 0.0 0.0 0.0 0.4

50 100.0 100.0 96.0 68.0 74.0 8.0 40.0 20.0 6.0 6.0 6.0 2.0 2.0 6.0 16.0 6.0 22.0 22.0 2.0 2.0

50 96.0 96.0 66.0 62.0 56.0 18.0 24.0 24.0 8.0 8.0 14.0 4.0 4.0 14.0 70.0 16.0 12.0 12.0 0.0 0.0

Table 1. 계열별∙성별 약물사용 경험(%)

13)

(4)

2) 청소년 약물남용 실태

청소년의 약물남용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 요인들 이 있다. 이 중“호기심” 과“동료와 어울리기 위해 서” , 그리고“구입이 용이해서” 와 같은 이유로 약물 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한두 번 또는 두세 번 사용해 본 것은 그런대로 긍정적으로 보여 질 수도 있다. 하지만“반항” 이나“도피” , “도전”그 리고“자아의식의 결핍”등으로 사용된 것이라면 이 는 부정적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예후가 좋지 않다. 8) 청소년의 약물남용은 여러 가지 면에서 성인의 약 물남용에 비하여 위험요소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로는 첫째, 청소년은 신체적 발육이 완전히 끝나 지 않은 상태이므로 남용하고 있는 약물에 의해서 신 체조직 특히 골수, 뇌, 간, 신장 등의 손상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며, 둘째는 약물에 중독된 청소년은 더 공격적이고 역동적이어서 판단력이 쉽게 마비되어 위험하고, 때로는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위협하는 과 격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셋째는 성 인기로 들어가면 마약과 같은 더욱 강력한 약물의 남 용 및 의존으로 될 수 있다는 점이다. 9) 약물남용과 비행경험에서도 각종 약물사용 경험자들이 비경험자 들에 비해 비행경험도가 높아 흡연의 경우 약 4배, 음주의 경우 약 6배, 본드의 경우 약 3배의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비행경험자들의 약물사용경험도가 대마의 경우 4.3배, 본드의 경우 7.4배 정도 높게 나 타나고 있다.

10)

이러한 약물남용의 또 하나의 중요한 문제점은 약 물사용 경험이 점점 낮은 연령대로 가고 있다는 것이 다. 약물의 최초 사용 시기는 중학교 때가 52.4%로 월등히 높았지만, 초등학교 때도 21.5%나 되며, 11) 초 등학생에 대한 연구에서도 음주경험이 있는 학생은 33.7%로 조사되었고, 흡연경험이 10.8%, 가스흡입 2.3%, 신나 흡입도 1.3%로 조사되었다. 12) 보통 약물

남용자의 경우 처음에는 비교적 관대한 음주문화와 구입하기 쉬운 술이나 담배에서 시작하여 점차 더욱 중독성이 강하고 불법적인 약물의 사용으로 발전하 므로 음주와 흡연은 기타 향정신성의약품의 남용으 로 이어지는 연결고리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Table 1은 일반적으로 조사되고 있는 고등학교까 지의 계열별, 성별, 약물별 청소년의 약물남용 실태 이고, Fig. 1은 청소년 약물남용의 심화단계를 나타 낸 것이다.

3) 약물남용 프로그램 현황

약물남용 예방은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약물남용 개념은 크게 광의와 협의의 개념으로 나누

어질 수 있다. 광의의 약물남용 예방 프로그램은 관

련 교육, 훈련, 치료, 연구를 모두 포함한 전 과정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 협의의 약물남용

예방은 약물남용 교육프로그램이나 약물에 관한 정

보 제공 프로그램으로 정의된다. 15) 예방활동과 프로

그램을 조직하는 개념들은 일반적으로 미국의 국립

약물남용연구소(NIDA: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의 견해에 따르고 있다. NIDA(1991)에

의하면 약물남용 예방의 개념은 청소년에게 약물과

그 사용에 관한 지식, 조언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

라 Fig. 2와 같이 정보, 교육, 대안, 개입, 치료, 재활

등 모든 영역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약물남용

부터 예방과 치료 및 재활까지 프로그램의 연속선상

에서 정의하고 있다. 이 도표는 약물남용자의 상태나

남용단계에 따라 치료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정보프로그램은 약물을 사용하지

않거나 한두 번 경험이 있는 청소년에게 바람직하며,

이들에게 약물에 대한 지식을 강화할 수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약물을 시험 삼아 해보았던 청소년뿐만

아니라 가끔 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적합하며, 주로

Fig. 1 청소년의 약물남용의 심화단계

14)

(5)

이들의 대인 관계기법 강화와 자아강화에 유용하다.

대안 프로그램은 간헐적으로 혹은 빈번하게 약물을 사용하는 청소년들에게 적절하며, 이들에게 약물보 다 즐겁고, 보상적이고, 수용 받을 수 있는 대안을 제 공해 약물남용을 막으려는 것이다. 개입 프로그램은 이미 약물남용이 생활화되어 가고 있는 청소년에게 매우 필요하며, 그들을 원조 또는 지지하여 약물남용 을 예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인간의 의사소통, 경험의 공유, 감정이입적 청취 등을 통하여 청소년이 개인적 혹은 가족적 문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 다. 치료 프로그램은 이미 남용자가 된 사람의 행동 변화를 도와서 약물남용과 그로 인한 치명적 결과를 막으려는 것이며, 재활 프로그램은 약물을 끊은 사람 의 생활을 지지하는 장기적 활동을 말한다. 16)

우리나라는‘한국의 마약류퇴치 10개년 종합계획’

과 교육청의‘1995년 학교보건자료’및 국무총리 행 정조정실에서 마련한‘청소년 약물남용 예방대책’ 에 서부터 청소년 약물남용예방을 위한 기본 틀은 미약 하나마 갖추기 시작하였으나 어느 하나 효과가 있다 고 자부할 만한 프로그램은 나오지 않고 있으며, 특히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일회성이거나 홍 보적 수준이 대부분이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이 나 전문가는 턱없이 모자라는 실정이다.(Table 2)

4) 전통적 모델의 한계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청소년에 대한 약물남용 프로그램은 여러 면에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1960년대 약물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초점을 두는 정보제공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약물 남용 원인이 되는 다양한 요인들을 무시하고 정보제 공이 행동변화를 일으킬 것이라는 단순한 가정에 기 초를 두고 있으며 프로그램에 노출된 후에 오히려 약 물 시도가 늘어날 수 있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 학교 현장이나 약물예방 프로그램에 거의 모두 활용되고 있다. 이 후 약물사용을 증가시키는 개인적 결함을 극복하기 위해 심리 사회적 발달에 초점을 두 어 자존감, 개인적 통찰 및 자기인식을 향상시키는데 노력을 기울인 정서중심 프로그램 역시 부적절한 상 담기술 등 방법론적 문제와 연구 설계의 결함을 가지 고 있어 실질적인 약물남용을 감소시키는데 비효과 적이며 원인을 개인의 심리적인 문제로 한정하고 있 고 경험적 게임 활동에 치중하고 있어 약물남용과 관 련된 요인에는 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과 Jessor & Jessor의 문

제행동이론에 토대를 두고 있는 생활기술훈련 프로

그램은 약물을 사용하도록 하는 사회적 압력에 저항

할 수 있도록 약물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저항기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여러 가지 문제

Fig. 2 NIDA 약물남용 프로그램 연속선

(6)

상황을 다룰 수 있는 생활기술을 발달시켜 대처기술 을 익힐 수 있는 강점이 있으나 여전히 단기성, 단발 성 집단방식의 수동적인 참여와 일방적인 프로그램 의 진행으로 약물남용 예방효과는 감소될 수밖에 없 다. 17) 약물에 중독된 청소년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도 소년원, 보호관찰소, 학교 등에서 의뢰된 청소년들을 위한 집단치료, 단체 활동,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주 를 이루고 있으며, 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해독 프 로그램, 입원치료 프로그램, 외래치료 프로그램 역시 질병 모델인 생의학적 모델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 고 있어 약물남용 청소년은 증가할 수밖에 없는 것이 다. 이렇듯 전통적 약물남용의 치료방법은 심리, 유 전적 다양성을 강조하는 면에서는 장점을 가지나 약

물남용의 시작의 계기와 지속과정에서 차지하는 대 인관계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대부분의 전통적 약물치료자들 은 병리적 모델에 기초하여 약물남용을 점진적인 질 병으로 보고 있었던 것이다. 약물남용을 유전적, 심 리적 차원에서 분석하며, 약물남용자의 대인관계 문 제는 약물의 원인이 아닌 것으로 본다. 이러한 전통 적 약물치료 방법은 첫째, 약물남용자의 심리적 측면 만을 너무 강조한 반면 사회적 측면을 간과하고 있다 는 것과 둘째, 약물남용자의 병리와 약물에 대한 인 식과 태도에 너무 집중하여 가족, 문화적인 다양성이 포함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 셋째, 약물남용자가 절제 에 따르는 대인관계와 심리적 문제로 계속 고통을 받 프로그램

청소년건강교실 (면목사회복지관)

사랑의 교실 (서울 YMCA)

희망교실

(서울시립동부 아동상담소) 기쁜우리교실

(태화장안사회복지관) 다복쑥 프로그램

(청소년약물오남용 예방전화상담소) 햇살교실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캠프 프로그램

청소년건강교실 (새동래병원) 소년원 프로그램

대상

유해화학물질관리법위반, 보호관찰처분

유해화학물질관리법위반, 보호관찰처분

보호관찰소 위탁

약물초기 청소년

5~8명 소그룹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위반 청소년

병원에 입원 경험이 있는 부모의 자녀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위반 입원환자 약물 통제가 힘든 청소년

내용

집단치료프로그램 약물정보 대인관계기술 의사소통기술 집단치료프로그램 체율활동프로그램 시청각교육

1단계: 집단상담, 체육활동, 심리검사 2단계: 집단상담, 체육활동, 진로지도, 자원활동 3단계: 집단상담, 개별상담

12주 프로그램 문제인식 및 문제해결 12주 프로그램 집단상담 약물남용 인식 긍정적인 자아상 사회적응 손상된 자아치료 약물 및 약물중독 교육 일반적인 생활경험 집단사회사업적 개입모형 조직적, 폐쇄적 구조

Table 2. 청소년 약물남용 프로그램

분류

상담 프로그램

약물중독 청소년 프로그램

(7)

으며 이것이 재발의 요인이 되어 문제가 되는 것을 설명하지 못하고 넷째, 약물남용으로 인한 대인관계, 자기존중, 친구와 가족의 유대 재형성 등이 취약하여 소외감과 낙망을 가져온다는 한계 때문에 성공적 회 복이 어려운 접근이라 할 수 있다. 18) 즉 전통적 약물 남용의 치료방법은 심리, 유전적 다양성을 강조하는 면에서는 장점을 가지나 약물남용의 시작의 계기와 지속과정에서 차지하는 대인관계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지 못한 한계를 보이고 있다. 19)

2. 약물남용 예방의 선진국 모델

20)

1987년 개최된‘약물남용과 불법거래에 관한 국제 회의 선언’ (Declar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rug Abuse and Illicit Trafficking)에서는 약물남용과 약물의 불법거래를 방지하기 위한 국제적 조치들을 규정하고 교육을 통 한 예방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21) 여기에서 UN은 약물남용 교육에 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국가적 차원과 지역 및 국제적인 차원에서 광범위하 면서도 구체적으로 지침사항을 권고하고 있다. 이러 한 원칙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각국에서는 약물남용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1) 미국

미국은 약물남용 예방교육전략의 일환으로 1980년 대에 미국 NIJ(National Institute of Justice)의 주도로 시작된 DARE(Drug Abuse Resistance Education)과 SPECDA(School Program to Educate and Control Drug Abuse)의 두 개 프로 그램은 지방의 일선경찰관들이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약물의 약물남용 예방교육을 실시하는 것 으로 이 프로그램 실시 결과 이 프로그램을 교육받은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약물을 덜 사용하 였다고 한다. 이 프로그램은 약물예방 초기 또래집단 의 압력이 증가되기 시작할 때 핵심적인 커리큘럼의 도입을 권고하고 있다.

DARE와 SPECDA 프로젝트는 약물남용 예방교육 의 최신의 핵심교육과정을 사용한다. 교육과목은 알 코올, 담배, 약물 및 그 사용의 결과에 대한 사실적인

정보, 자아인식 및 자기존중심의 향상, 위험의 평가 와 결정기술, 약물사용을 부추기는 매스컴과 또래집 단의 인식 및 대처방법, 또래집단의 압력을 거부하는 기술, 약물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대책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경찰관들은 적극적 이고 비응징적인 수단을 사용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경찰관들에 대하여 호감을 가지고 있으며, 법에 대한 존중심도 향상된다.

2) 영국

영국의 약물남용 자문위원회(The Advisory Council on the Misuse of Drugs)는 약물남용문 제를 조사하고 그것에 대처하는 방법에 관하여 장관 에게 자문하기 위한 임무를 가지고 1971년 약물남용 법(The Misuse of Drugs Act 1971)에 의하여 설립 되었다. 이 자문위원회의 실무위원회는 1991년 예방 문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소집되어 전체 위원회의 재 가를 받아 학교에서의 약물남용 예방교육에 관한 보 고서를 작성하였다. 이 실무위원회의 첫 번째 권한은 약물남용에 관여된 사람들의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약물남용과 연관된 해악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문을 하는 것으로 약물남용 예방교육을 위한 국가전략의 수립과 국가차원에서의 활동을 제안하고 있다.

영국의 약물남용 예방교육의 원칙은 학생들이 약 물남용에 관한 지식과 이해를 습득할 기회를 제공하 며, 학생들이 약물남용을 회피하는데 필요한 지식, 태도 및 기술을 얻을 기회를 제공하고, 약물남용과 관련된 학교문제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 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 조치로 청소년들의 약물복용 시기를 늦추고 약물을 남용하는 청소년의 비율을 최 소화하며 약물을 경험하거나 남용하려는 사람을 하 지 못하도록 설득하는 것과 약물을 남용하거나 약물 남용에 관하여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이를 극복하 기 위한 도움을 찾게 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3) 독일

독일의 약물사용 예방활동의 법적인 배경으로 중요

한 것은 아동 및 청소년원조법(Kinder und

Jugendhilfegesetz)이다. 아동 및 청소년원조법에

교육적 아동 및 청소년 보호를 수용한 것은 독일 청

(8)

소년원조의 예방적 성격을 잘 나타내고 있다. 예방활 동의 목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1990년 연방 정부에 의해 의결된 국가약물퇴치계획(Nationaler Rauschgift-becaempfungsplan: NRP)이 있다.

이 계획은 약물퇴치에서 예방활동에 대해 새로운 가 치를 부여했다. 처음으로 예방활동이 약물정책에서 하나의 독립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약물중독예방활동의 실천분야로 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부모들의 약물사용이 청소년들에게 모범이 될 수 있으므로 예방활동의 일차적 대상으로 꼽고 있 으며 학교는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약물주제 들이 모든 학교 유형의 다양한 커리큘럼에 포함되어 있다. 연방건강교육센터는 학년별 수업교재와 교사 를 위한 자료를 발간하고 교사양성과정에 약물중독 예방을 포함시키고 있다. 약물상담교사는 학교에서 예방방안의 조정과 조직, 동료교사들, 학부모들 및 학생들에게 약물에 대한 정보 전달, 약물사용 청소년 의 상담 및 업무를 하고 있다. 약물중독예방활동의 방안으로는 약물에 대한 위협적인 정보의 전달, 약물 관련 지식의 계몽방안, 청소년 개인의 능력증진 방 안, 건강한 삶의 건강촉진방안, 다양한 체험을 통한 기능적 대체방안, 적절한 원조를 통한 피해최소방안 에 역점을 두고 있다. 22)

4)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는 수년전부터 약물에 대하여 비범죄 화정책을 시행해 왔다. 최근 네덜란드가 취하고 있는 약물정책은 일부 약물의 합법화 추진, 약물남용자에 대한 원조 제공, 그리고 예방 측면을 들 수 있는데 가 장 큰 중점은 바로 약물예방과 약물남용 예방교육으 로 많은 약물예방프로그램이 학교수업, 청소년관련 업무, 청소년원조시설에서 실시되고 있다. 이 프로그 램에는 계몽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약물중독자와 스

스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동참할 수 있는가도 논해지고 있다. 그래서 점차 학교, 청소년 단체, 가정규칙에는 어떤 소비가 허용되고 어떤 것이 허용되지 않는가를 명시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약물남용 예방교육은 첫째, 청소년들의 능력발전을 더 강력하게 지원하고 둘째, 사회적 분위 기의 영향을 인식하게 만드는 것을 받아들인다는 것 에 근거한다. 이때 우선되는 것은 인격의 발전이다.

사회적 영향에 대하여 인식하는 것은 대중매체의 영 향, 광고가 가지는 약물 친화적 정보에 대항할 수 있 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방프로그램에는 사춘기의 성 숙, 자아감의 확대, 자기만의 감정과의 관계, 친구와 의 우정관계, 부모와 가족과의 관계 개선 및 약물소 비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3. 사회의학적 접근

사회의학이란 사회과학, 인문과학의 연계를 통하여 의학이 가지고 있는 사회, 문화적 측면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의학의 한 영역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1)

여러 학문 분야에 걸치는(inter-disciplinary) 기 초과학에 바탕을 둔다. 사회의학이 필요한 이유는 첫 째, 의료와 의학 자체가 생물학적인 독립된 영역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면에서 사회와 깊이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둘째, 많은 현대 의료 의 문제들이 매우 특수한 사회, 문화적 특징을 가진 집단들의 문제로 특화되어 가기 때문이다. 셋째, 사 회가 급변함에 따라 의료와 의학이 만나게 되는 문제 들 역시 급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문 제들은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전, 문화의 변화, 경제 적 상황의 변동, 사회의 공유된 가치관의 변화 등과 연관된다. 23)

다시 말해 사회의학이란 의학과 사회학이 만나는

주1) 비록 사회와 의학 사이의 연계를 지적한 최초의 인물은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은 독일 의사 Rudolf Virchow를 사회의학의 창시자로 생각한다.

Virchow는 19세기의 위대한 병리학자 중 하나이며 세포수준에서의 질병의 이해에 대한 많은 기여로 매우 유명한 사람이다. 그는 또한 질병의 사회적 기원에 대한 날카로운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데 1848년 베를린의 왕립 챠리트 병원에서 의사로 근무하면서 프로시아 실레지아 지역에서 발병한 Typus 를 조사하면서 전염병의 창궐에 있어서 빈곤, 교육, 민주주의의 부족 같은 사회적 요인들이 핵심요소라고 규명하였다. 또 Virchow는 질병이 사회적인 원인으로부터 도출되는 것이라면 건강하지 못함에 대한 책임은 정치체계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Matthew R. Anderson, Lanny Smith, and Victor W. Sidal(2005), "What is Social Medicine?", Monthly Review Vol.56, No.8.

(9)

학문분야를 말하는 것으로 의료사회학과도 연관된 개념이다. 의료사회학은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 관련 된 현상에 대해 사회학의 이론과 개념화 및 방법론을 적용하는 사회학의 한 분야이다. 하나의 전문분야로 의료사회학은 건강과 질병을 사회적∙문화적∙행동 주의적 맥락에서 접근하는 지식체계를 포함한다. 의 료사회학의 주제에 포함되는 내용은 다양한 인구집 단간의 질병의 분포와 관련된 이론적 기술과 설명, 건강을 유지∙증진 또는 회복하거나 질병과 장애 및 의료제공자나 조직에 대처하기 위해 개인이 취하는 행동이나 활동, 의료직업 또는 전문직과 조직 및 재 정 그리고 의료 서비스 전달, 사회제도로서의 의료와 다른 사회제도의 관계, 건강과 질병 및 장애와 관련 된 문화적 가치와 사회적 반응, 그리고 질병의 병인 학, 특히 기능 및 정서관련 장애와 현재 스트레스 관 련 질병이라고 불리는 질환에 있어서 사회적 요소들 의 역 할 등 이 다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Committee on Certification in Medical Sociology, 1986)

의료사회학의 이러한 성격은 역사적으로 공중보건 및 정치와 연계되어 있던 사회의학의 발전과 관련되 어 있다. 19세기 초 유럽에서 사회의학의 개념에 포 함되는 기본적인 내용은 의료사회학의 주요한 주제 들과 같이 특정인구집단의 건강과 그들의 사회적 지 위에 의해서 결정되는 생활조건과의 관계, 건강에 나 쁜 영향을 미치는 그리고 일반적인 안녕을 저해하거 나 증진시키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었다.

사회적 환경과 의료와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이러한 노력은 의료사회학과 공중보건 그리고 사회복지에 개념적인 틀을 제공하고 있다. 24)

의학은 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인적, 물적 자원을 이용하여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과 목적 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무엇이 인간의 건강상태를 결정하는가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은 생물학적 설명 과는 다르다. 1800년대의 대부분의 의사는 환자를 치료하고 의학기술을 개선하는데 일차적인 관심이 있었다. 루이 파스퇴르, 로버트 코흐 및 다른 세균학 연구가 성공을 거두었고, 이는 내과학, 마취학, 병리 학, 면역학 그리고 외과 기술에서 엄청난 진전과 함 께 질병의 병인론 개념으로 이어졌다. 그로 인해 의

사는 전적으로 정확한 과학적 실험에 기반을 둔 임상 의학에만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의료는 모든 질병은 특정 원인을 가지고 있 으며, 따라서 치료는 생의학적 틀 안에서 그 원인을 제거하거나 통제함으로써 가장 잘 이루어진다는 신 념하에 이루어져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아마비나 천연두 같 은 대부분의 감염병은 박멸되었거나 크게 감소하였 다. 특히 산업화된 나라에서 이러한 상황은 질병의 양상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오래도록 지속되고 치료 불가능한 것으로 정의되는 만성질환은 전염병 을 대신하여 건강에 가장 큰 위협이 되었다. 의사는 질병의 단일 원인을 훨씬 넘어선‘전 인간(whole person)'의 건강문제를 다루도록 요구되었다. 즉 생 물학적 원인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복수 요인을 사회 심리학적 요인들에서 찾게 되었으며 치료받는 사람 의 행태적 특성에 관해서 관심을 갖게 되었다. 25)

약물남용에서의 사회의학적 접근은 의사-환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치료목적을 달성하는 기본적인 기술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약물남용 청소년과 의사간 의 바람직한 관계가 창출될 수 있을 것이며, 청소년 과 의사간의 정보의 교환을 촉진시켜 전문가로서의 의사들은 적절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필요한 것이다. 의사는 약물남용 청소년들과의 커뮤 니케이션을 통하여 의사와 남용자가 함께 남용의 치 료에 대해 결정하는 상황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전 통적으로 이상적인 의사와 남용 청소년 간의 커뮤니 케이션은 의사가 진찰하고 이에 대한 치료 방법을 공 동으로 결정을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6)

커뮤니케이션은 우리말로‘의사소통’ 으로 번역하

여 사용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을 문자 그대로 해석

하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생물개체가 다른 개체와

지식, 정보, 감정 등을 공유하는 행동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그 의미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

로 의미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

다. 즉, 조직체나 사회집단에 형성되는 두 명 이상의

관계 당사자들 간에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방법을 통

해서 쌍방이 의사와 감정을 전달하고 반응을 주고 받

아들이는 과정을 말한다. 그러므로 커뮤니케이션은

성원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켜 주는 중요한 역할을

(10)

하는 매개체로서 인적 사회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이다. 27)

약물남용 청소년의 치료와 건강을 유지시키기 위한 사회의학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은 의료 커뮤니케이션 을 포함한 헬스 커뮤니케이션이다.

주2)

이는 메시지의 전략적 설계와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적절한 이용을 통한 건강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28) 헬스 커뮤니케 이션의 핵심 목적은 개인과 공동체에 영향을 주는 것 이다. 이는 개인이나 조직 및 공중들에게 중요한 건강 이슈에 관한‘정보를 제공하고’ , ‘영향력을 행사하 며’ , ‘동기를 부여하는’기술 및 방법을 말한다. 29) 일 반적으로 헬스 커뮤니케이션은 다양한 물리적 및 사 회적 맥락에서 사람들의 건강관련 행위에 영향을 미 치는 기능을 지칭하는 것으로 첫째, 정보 제공과 관련 된다는 것이다. 이는 환자와 의사간의 치료방향에 대 한 협상 과정에서 의사는 환자에 대한 질병 정보와 치 료 선호에 대해 정확히 알고 이해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환자는 특정 치료가 어떤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가 수반되는지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 헬스 커뮤 니케이션은 의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의 제한요소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대안적인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제공 할 수 있는 것이 다. 둘째로 또 하나의 기능은 설득이다. 청소년들의 흡연이나 음주를 방지하기 위하여, 남용 약물의 폐해 를 전달하기 위하여, 다른 대안적인 사회 문화로의 대 체를 위한 효과적인 메시지 개발은 헬스 커뮤니케이 션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다. 30)

사회의학에서의 약물남용은 약물과 개인의 문제, 그리고 환경의 상호작용의 결여에서 오는 불건강한 행동으로 보는 것이다. 청소년의 약물남용에의 사회 의학의 적용은 첫째, 개인적 행동과 생활방식의 선택 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현대사회의 많은 질병들이 부적절한 생활방식과 음식, 알코올 ∙ 담배 등 약물 의 광범위한 남용과 같은‘행동적 요소'와 연관되어

있으며 두 번째로는 사회 환경, 특히 다른 사람들과 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으로 여러 상황에서의 스트레 스에 노출된 사람이 질병에 더 잘 걸리고 건강하지 못할 것이고 또한 청소년의 경우 학업, 이성과의 교 제, 또래관계, 가족의 문제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비행과 약물남용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셋째로는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환경적 영 향에 의한다는 것이다.

청소년기는 영∙유아기, 아동기의 종결과 성인기 사이의 변화기로서 한 인간이 생물학적∙심리적∙

사회적으로 매우 급격한 변화와 함께 빠른 속도로 성 숙하는 시기로 인격의 완성을 기하고 사회인으로서 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 시 기에서의 정체감 대 역할 혼란의 위기에서 청소년들 은 감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거나, 반항, 방황의 길을 겪게 될 수 있어 비행이나 약물남용에 빠지기 쉽게 된다. 이러한 시기의 청소년의 약물남용에 대한 사회 심리적인 요구에 의사가 의학적인 판단만을 강조하 는 것은 소통을 위한 관계를 가로 막는다. 또한 이들 의 비의학적 진술이나 혹은 중요하게 판단되지 않는 증상 호소에 대답을 피하고 주제를 바꾸는 것은‘서 로서로’의사소통하는 상호주관성을 포기하는 것이 다. 이러한 호소가 객관적으로 의미 있는 것이 아니 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일방적으로 무시할 것이 아 니라 설득이 필요하며 상대방의 의학적 상식의 부재 로 인한 대화의 혼선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더 명료한 해결책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러 한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Cassell(1985)이 설명한대 로 첫째, 상호간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둘째, 행위의 근거를 알려주며 셋째로는 의사와 환자의 관계를 더 욱 강화시킬 수 있으며 약물남용 청소년에게도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31)

청소년의 약물남용의 치료에서 가장 핵심은 환자와 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적극적인 참여의 유도이다.

주2) 건강과 질병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인간 경험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다른 어떠한 인간 형상도 건강과 질병만큼 본질적이지 않고 그 무엇도 더 본능적으로 우리의 열망과 연결되는 것은 없으며, 우리를 자신의 한계와 직면하는 것도 없다. 더욱이 이러한 본질적인 경험의 역학관계, 특히 그것이 신체, 정신 그리고 사회에서 서로 커뮤니케이션적인 관계로 얽혀있다는 점에서 헬스 커뮤니케이션은 학문적 탐구에서 가장 복잡하고 도전적이며 잠재적 으로 보상받을 가치가 있는 분야인 것이다. Brashers, D. E., Babrow, A. S.(1996), Theorizing health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tudies, 47. pp. 243-251

(11)

이는 남용자와 의사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관계 형성으로 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치료과정을 협력하 는 상호-참여 모델이다. 이 모델은 사람들 사이에서 누구나 동등함이 바람직하다는 가정에 기초를 두고 있는 모형으로 민주주의적 사회구조에 토대를 두고 있다. 의사-환자 상호간에 영향을 주는 이 모델은 의 사나 남용자 모두에게 동등한 힘을 가지고 상호 의존 적이며 서로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활동에 참 여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32)

약물남용에 대한 사회의학의 접근은 신체적, 정신 적 건강과 함께 사회 환경을 규명하는 일이다. 사회 환경은 규범을 형성하고 특정한 사회적 통제의 유형 을 강화함으로써 또는 어떤 행동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적 기회를 제공하거나 제한함으로써, 스트레스 를 경감함으로써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사회 환경은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이는 행동수준에서 정 서적 지지를 포함하는 사회적 지지의 제공, 건강행동 을 둘러싼 구성원들의 행동에 직접적인 사회적 영향, 사회적 참여와 애착, 자원과 물질적 재화로 이끌며 이러한 행동적 과정은 직접적인 생리적 스트레스나 약물남용과 같은 건강 유해행동으로 나타난다.

청소년에게 있어서 지역사회는 인간형성의 장이며, 지역사회의 교육적 기능은 가정과 학교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지역사회에 산재해 있는 모든 인적, 물적, 문화적 자원은 청소년을 위한 교육적 자원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지역사회의 교육적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서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기대할 수 있 게 된다. 33) 일반적으로 지역사회 내에서 청소년 문제 와 연관되는 기관은 유관 행정기관, 학교, 사회복지 관, 병의원, 보건소, 정신보건센터, 민간사회단체 및 종교시설의 상담실, 보호관찰소, 소년원 등 아주 다 양하고 숫자상으로도 상당히 많이 산재되어 있다. 청 소년의 약물남용에서 이러한 지역사회기관들이 상호 간의 연계 및 교류는 첫째, 청소년의 약물사용 요인 이 개인, 가정, 학교, 사회 환경적 요인들이 포함된 복합적 문제라는 점에서 관련된 기관들과 집단의 협 조가 필요하기 때문이며 둘째, 지역사회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자원을 동원함으로써 효율적인 대응을 추진하는 것이 가능하며 셋째, 약물남용 문제는 앞에 서도 밝혔듯이 여러 전문직의 통합적 개입이 필요하

며 의료전문가를 포함한 지역사회 내 여러 전문가들 이 함께 책임이 나누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집단적 성과는 효율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34)

지역사회 중심의 약물남용 예방은 전략적으로 예방 정책의 개발 및 예방활동의 제도적 기반 조성, 예방 교육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약물남용 예방정책의 개발 과 제도적 기반 조성의 목표는 개인이나 집단이 예방 을 위한 노력이나 의지로만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전 제로 지역사회의 현행 정책이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 으며, 의지가 있더라도 그것을 가능케 하는 좋은 정 책과 시설 및 기반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면 지속적인 실천을 이끌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예방을 위한 교 육은 지역사회 전체의 건강과 약물에 대한 관심을 높 여서 이에 대한 여론을 통해 건전한 예방정책의 수립 과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35)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자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전술한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A 대학교에서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 여 조사하였다. 총 234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14 부를 회수(회수율 91.5%)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0년 11월 1일부터 2010년 11월 30일까지 실시 하였다.

2. 설문 문항의 구성 및 측정

본 조사에서 청소년 약물사용 고위험군의 선별검사

를 위하여 김경빈(1997)이 개발한 청소년 약물사용

고위험군의 선별검사 표를 사용하였다. 이 선별검사

표에는 약물사용 청소년들의 반응과 비사용 청소년의

반응을 종합 비교 종합하여 6개 부분의 7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개 부분에 대한 소절단점과 전체

의 대절단점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약물남용 청소년의

중독 정도를 파악하고, 프로그램 종결 후 약물남용의

정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1993년 김경빈에 의

해 만들어진 한국형 약물중독 선별검사표 1형과

(12)

1994년 김봉수 등에 의해 만들어진 한국형 청소년 약 물중독 예비연구 Ⅱ 등을 뼈대로 하여, 1994년 발표 된 미국정신의학회의 진단기준 제4판(DSM-Ⅳ)의 물 질장애 의존 진단기준 등 3가지를 참조하고, 자신의 임상 경험을 가미하여 1994년 김경빈이 개발한 한국 형 청소년 약물중독 선별검사표 2형을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약물남용 실태조사를 위하여 2003년 식 품의약품안전청의 용역 의뢰를 받아 권경희 등 (2004)이 수행한 남용약물실태조사 보고서에 수록 되어 있고 김선영 36) 이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의 실 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설문지에는 조사자의 인구사화학적 특성 8문항과 남용 약물 별 사용 현황 10문항과 청소년이 합법적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약물 10가지로 선정하여 구성하였다.

약물남용 프로그램 경험 후 청소년의 약물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상담, 멘토, 건강 등에 대한 만족도 및 욕구 조사는 2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 항의 응답은 5점 리커트 척도로‘매우 그렇다’1점부 터‘전혀 아니다’5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프로 그램 종료 후의 변화에 대하여 부정적인 경향을 보이 는 것이며, 프로그램 진행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에 따른 만족도 조사는 진행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을 묻는 15문항 중 협력형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질문 9개 항목과 통제형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질문 6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의 응답은 마찬가 지로 5점 리커트 척도로서‘전혀 그렇지 않다’1점부 터‘매우 그렇다’5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프로 그램 진행자와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37)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종료 후의 변화에 대한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0.932로 매우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여주었 으며, 프로그램 진행자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신뢰 도는 Cronbach's Alpha=0.684로 척도로 사용하기 에 충분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고위험군 선별검사와 약물중독 선별검사

연구 대상자 중에서 고위험군은 159명으로 74.3%, 약물남용이 38명으로 17.8%, 약물중독이 4명으로 1.9%로 나타났으며, 고위험군과 약물남용과 중독과 의 관계를 살펴보면 고위험군 159명 중에서 약물남 용인 대상자는 36명으로 22.6%를 차지하며 약물중 독을 보이고 있는 대상자도 4명으로 2.5%를 나타내 고 있어 약물남용과 중독을 나타내는 대상자는 모두 40명으로 고위험군 중에서 25.2%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고위험군이 아닌 대상자 55명 중에서는 약물남 용이 2명으로 3.6%를 보이고 있으며, 약물중독은 한

구분

성별

연령

생활수준

학교성적

건강상태

부모와 동거여부

음주여부

흡연여부

24세 미만 24세 이상

부모님과 동거

아버지만 어머니만 부모님과 동거안함

음주함 음주안함

흡연함 흡연안함

백분율(%)

38.3 61.7 90.7 9.3 6.1 84.5

9.4 17.8 66.8 15.4 35.0 58.9 6.1 78.4

2.8 7.5 11.3 68.5 31.5 28.2 71.8

빈도(명)

82 132 194 20 13 180

20 38 143 33 75 126

13 167

6 16 24 146 67 60 153

Table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

명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고위험군인 사람이 약물남용 프로그램에 참 가한 적이 있는 사람은 38.6%에 지나지 않았으며, 고위험군이 아닌 사람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적이 있 는 사람은 23.6%에 지나지 않았다. 약물남용이나 중 독이 아닌 사람은 프로그램에 참가한 적이 있는 사람 은 31.6%이며, 약물남용인 사람은 50.0%, 약물중독 인 사람은 25.0%만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것으로 나 타났다. Table 4, 5는 대상자의 고위험군과 약물중 독 선별검사 결과이며, Table 6은 고위험군과 남용 중독, Table 7, 8은 고위험군과 프로그램 참가, 남용 중독과 프로그램 참가 여부의 교차분석의 결과이다.

3. 연구 대상자의 약물 사용 실태

연구 대상자의 약물복용 실태를 살펴보면 치료와 관계없이 약물을 복용한 적이 있는 응답자 중에서 감 기약, 진통제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고 있으나 각 성제 1.8%, 근육이완제 2.5%, 수면제 5.0%, 비만치 료제 4.3%, 근육강화제 2.2%, 이뇨제 1.8%를 보이 고 있어 오남용의 우려가 있는 약물이 다소 포함되어 있었다. 처음 시작한 연령은 합법적 약물이어서 초등 학교 이전부터 복용을 많은 수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처음 시작 동기로 24.4%가 친구∙선후배가, 처음 사 용목적에서 4.6%가 호기심이나 스트레스 때문이라 고 대답하고 있으며, 최근 사용 목적도 호기심∙스트 레스∙재미 쾌락이라고 답한 사람이 4.2%에 달하고 있다. 약물 구입처는 약국이나 병원이 94.9%로 가장 많으나 전문공급자나 인터넷, 외국여행 등으로 답한

약물

각성제 진통제 감기약 근육이완제

변비약

약물

수면제 비만치료제 근육강화제 이뇨제 발기부전치료제

빈도

14 12 6 5 0

빈도

5 71 130

7 27

Table 9. 연구 대상자의 약물복용 실태(복수응답, 단위:명) 구분

고위험군 아님 고위험군임

빈도(명)

55 159

백분율(%)

25.7 74.3

Table 4. 대상자의 고위험군 선별검사

구분

고위 험군

아니다 고위험군이다

* p<.05

남용중독

53 119 172 아니다

2 36 38

남용 중독

0 4 4

계 p

.002*

55 159 214

Table 6. 대상자의 고위험군과 남용중독과의 교차분석(단위:명)

구분

남용중독 아님

약물남용임 약물중독임

빈도(명)

172

38 4

백분율(%)

80.4 17.8 1.9

Table 5. 대상자의 약물중독 선별검사

구분

고위 험군

아니다 고위험군이다

* p<.05

프로그램 참가

13 61 74 했다

42 97 139

안했다

계 p

.045*

55 158 213

Table 7. 대상자의 고위험군과 약물남용 프로그램 참

여 유무의 교차분석(단위:명)

구분

약물 남용 중독

아니다 남용 중독

* p<.05

프로그램 참가

54 19 1 74 했다

117 19

3 139

안했다

계 p

.090*

171 38 4 213

Table 8. 대상자의 약물남용중독과 프로그램 참여

여부의 교차분석(단위:명)

(14)

사람이 2.5%에 달하였으며, 구입용이성을 묻는 설문 에는 94.9%가‘쉽다’ 라고 대답했다.

4. 약물남용 프로그램 현황

연구 대상자 중에서 약물남용 프로그램 참가한 적 이 있는 사람은 74명(34.6%)이었으며, 한 번 밖에

받은 적이 없는 사람은 참가한 사람 중에서 65.2%나 되었다. 진행 장소는 교내가 94.6%, 진행자는 선생 님이 40.5%, 외부인사가 58.1%로 나타났으며, 교육 약물로는 술∙담배∙마약∙본드∙환각제 등이 83.6%를 차지하고 있다. Table 10은 프로그램 종료 후의 연구 대상자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 3.4문항은 역문항 점수

5.5 9.6 5.6 6.9 1.4 4.2 2.8 18.1 4.2 1.4 5.6 0.0 1.4 1.4 1.4 1.4 5.6 2.8 5.6 1.4 1.4 4.2 2.8

매우 그렇다

문항 평균

그렇다 모르겠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Mean ± SD

42.5

24.7 33.8 25.0 1.4 22.2 19.4 27.8 9.7 19.7 29.2 1.4 2.8 1.4 2.8 2.8 19.4 13.9 23.6 8.3 5.6 9.7 6.9

47.9 54.8 43.7 48.6 37.5 44.4 54.2 51.4 55.6 49.3 40.3 25.0 40.3 38.9 38.9 40.3 37.5 41.7 40.3 45.8 37.5 38.9 50.5

0.0 4.1 12.7 11.1 37.5 16.7 16.7 2.8 22.2 21.1 19.4 41.7 36.1 37.5 37.5 36.1 30.6 33.3 25.0 33.3 44.4 40.3 30.9

4.1 6.8 4.2 8.3 22.2 12.5 6.9 0.0 8.3 8.5 5.6 31.9 19.4 20.8 19.4 19.4 6.9 8.3 5.6 11.1 11.1 6.9 8.3

2.55±.78 2.74±.94 2.76±.90 2.89±.99 3.78±.86 3.11±1.03 3.06±.87 3.61±.81 3.21±.89 3.15±.89 2.90±.97 4.04±.80 3.69±.87 3.75±.85 3.71±.86 3.69±.87 3.14±1.00 3.31±.91 3.01±.97 3.44±.85 3.58±.82 3.36±.91 3.36±.84 3.30±.89

내용

1.1 약물 지식 증가

1.2 약물 지식 증가로 약물사용 감소 2.1 약물 태도 변화

2.2 약물 태도 변화로 약물사용 감소 3.1 진행자와 친밀한 관계 유지 3.2 동료와 친밀한 관계 유지 3.3 진행자와 관계는 상호 협력적 3.4 진행자와 관계는 상하관계로 명령적 3.5 진행자와 관계는 동등한 역할 4.1 진행자는 존경심 있는 인물 4.2 진행자는 신뢰할 수 있었다.

4.3 진행자와 지속적 유대관계 5.1 학교와 관계 개선 5.2 선생님과 관계 개선 5.3 친구와 관계 개선 5.4 부모와 관계 개선

6.1 약물에 대한 사회환경 관심 증가 6.2 약물에 대한 사회정책 변화 7.1 약물남용에 도움 7.2 나의 건강 증진

7.3 건강 증진을 위한 활동 병행 7.4 지역사회 자원 연계 진행 7.5 나의 건전한 사회생활 행동변화

Table 10. 연구 대상자의 프로그램 종료 후의 변화(N=72, 단위: 백분율)

(15)

5. 약물남용 프로그램의 커뮤니케이션 타입

Ⅳ. 고찰 및 결론

청소년기의 약물 사용이 반드시 약물남용으로 이어 지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합법적으로 통제를 받는 약물이라면 질병의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기에 약물남용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 비록 합법 적인 약물 사용이 아니더라도 대개 성인기에는 약물 사용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만이 나쁜 예후 로서 심리적, 신체적 의존 패턴으로 이어진다. 청소 년기의 약물 사용은 목적이 있으며 기능적인 행동으 로 볼 수 있다. 약물사용은 실패에 대한 대처나 원하 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대안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발달과정에서 경험하는 긴장이나 불안, 특히 사회적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약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러나 청소년들의 약물시도는 혼자서 하기 보다는 대 부분이 또래들과 함께 사회적 상황에서 하는 경향이 있다. 다행히 본 연구에서는 병원처방에 의하거나 약 국에서 임의로 구할 수 있는 합법적인 약물을 대상으 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처음 사용목적에서 응답자 중 에서 4.6% 정도는 호기심이나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대답하고 있으며, 최근 사용 목적도 호기심∙스트레 스∙재미 쾌락이라고 답한 사람이 4.2% 정도로 비교 적 낮은 수치를 보이고는 있으나 약물 구입처가 약국 이나 병원이 94.9%로 가장 많았으나 전문공급자나

1.4

5.4 1.4 2.7 10.8

6.8 1.4 5.5 16.4

4.1 15.1 9.6 4.1 13.7 13.7

전혀 그렇지않다

문항 평균

그렇지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Mean ± SD

11.0

33.8 2.7 6.8 14.9 12.3 4.1 6.8 26.0

8.2 30.1 16.4 12.3 19.2 15.1

68.5 36.5 64.9 51.4 50.0 58.9 53.4 63.0 49.3 38.4 39.7 54.8 67.1 49.3 57.5

13.7 20.3 20.3 27.0 16.2 12.3 30.1 16.4 6.8 39.7 13.7 15.1 9.6 15.1 8.2

5.5 4.1 10.8 12.2 8.1 9.6 11.0 8.2 1.4 9.6 1.4 4.1 6.8 2.7 5.5

3.10±.72 3.16±.95 3.36±.77 3.39±.89 2.96±1.04 3.05±.96 3.45±.80 3.15±.88 3.49±.90 2.58±.93 3.44±.96 3.12±.93 3.03±.82 2.74±.97 3.23±.98 3.15±.90

문항

1. 약물남용에 대한 치료 희망을 줌 2. 딱딱하고 권위적인 태도를 보임 3. 친절하게 대함

4.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줌 5. 나의 약물사용에 대하여 잘 앎 6. 사소한 의견이나 증세에 귀 기울임 7. 이해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 8. 진심으로 애 써줌

9. 대화하는 과정에서 극단적 표현을 씀 10. 진행자가 주로 대화를 주도 11. 진행자는 까다로운 편임

12. 진행자는 약물 관련 이야기 외에는일절하지 않음 13. 설명하는 내용을 내가 잘 알아듣는지 수시로 확인 14. 상담시간이 길어지는 것에 신경 씀 15. 내용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하는 편

Table 11. 약물남용 프로그램 진행자의 커뮤니케이션 타입(N=73, 단위: 백분율)

* 2,9,10,11,12,14,15는 역문항 점수

참조

관련 문서

운동과 혈압과의 관계를 분석한 많은 연구에서 장기적인 운동은 고혈압의 예방 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를 통해 규칙적인 써키트 웨이트 트레이닝도 고혈압 예방

용어 설명, 욕창 발생, 감염에 대한 기본 정보 교육 여러가지 예방 전략과 선택적 치료에 대해 설명 학습자에 맞춘 유인물 준비.

This study aimed to speculate on the relations between self-resilience, euphoria and social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ediating effects of

사후 만 측정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을 , , 3 차례 반복측정 하고 분석하여 IT -healthcare 프로그램 치매 예방 프로그램이 신체적 건강과

This study shows that the root cause of suicide is based on social and legal exclusion and proposes that suicide prevention measures should be aimed at social cohesion

지역성과 관계성은 광주지역 지상파 TV 채널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근래에 연구되는 격자형 모델은 각 경계범위에서 각기 다른 변수의 영향을 정확 하게 산출하지 못하고 있으나 , 수용모델링을 병행하는 경우 높은 정확도를 추정할

STEAM 교육을 위한 사전 사후 수업협의회 실시 3.. ST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