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구결자 ‘’와 ‘’가 나타내는 형태적 구성에 대하여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구결자 ‘’와 ‘’가 나타내는 형태적 구성에 대하여 ‒"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구결자 ‘’와 ‘’가 나타내는 형태적 구성에 대하여

‒ 분포와 기능이 겹치는 ‘’와 ‘’를 중심으로 ‒*

1) 문 현 수**

❙국문초록❙

본고에서는 자토석독구결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구결자인 ‘’와 ‘’가 표기하는 형태적 구성에 대해서 분 석해 보았다. ‘’와 ‘’는 모두 [리]라는 음가를 지니는 구결자로서, ‘’는 기원적으로 동명사어미 ‘‒’과 계 사 ‘‒‒’의 결합형으로서 선어말어미로 쓰이고, ‘’는 동명사어미 ‘‒’과 의존명사 ‘’의 결합형으로 분석되 어 왔다. 그러나 ‘’와 ‘’, ‘’와 ‘’처럼 분포와 기능이 겹치는 듯한 ‘’와 ‘’도 발견 된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분포가 겹치는 ‘’와 ‘’가 어떠한 형태적 구성을 표기한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 ‘’와 ‘’는 선행 연구와 같이 형태 분석할 수 있지만, ‘’는 주격조사 ‘‒’가 포함되는 경우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분포가 겹치는 ‘’와 ‘’의 경우에도 ‘’는 동명사어미 ‘‒’과 주격조사 ‘‒’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는 동명사어미 ‘‒’과 의존명사 ‘’의 결합형으로 일관되게 분석할 수 있었다. 이 는 결과적으로 ‘’와 ‘’가 철저하게 형태적으로 변별되어 쓰이는 구결자라는 것을 의미한다.

[주제어] 석독구결, 구결자, 형태 분석, 주격 조사, 계사, 의존명사, ,

❘목 차❘

Ⅰ. 머리말

Ⅱ. ‘’와 ‘’의 분포와 기능

Ⅲ. 분포가 겹치는 ‘’와 ‘’의 형태적 분석

Ⅳ. 맺음말

Ⅰ. 머리말

자토석독구결에서 ‘’와 ‘’는 굉장히 빈번하게 쓰이는 구결자이다. 이들이 모두 [리]라는 음가를 지니는 구결자라는 점에 대해서는 현재 대부분의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1)’와 ‘’가 동일한 음가를 지니지만

*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5B5A01036274)

**숭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박사후연구원 / punglim@gmail.com

(2)

이들의 쓰임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다는 점 또한 선행 연구에서 지적된 바 있다(이승재 1995, 남풍현 1997, 이병기 1998 등). 이는 ‘’가 대체로 선어말어미의 위치에 쓰이는 반면 ‘’는 명사형어미의 위치에 쓰이는 등 그 분포에 있어서 차이가 나기 때문이었다. 이에서 더 나아가 선어말어미로 쓰인 ‘’는 기원적으로 동명 사어미 ‘‒ㅭ’과 계사 ‘‒이‒’의 결합형이고(이승재 1995, 백두현 1997), 명사형어미로 쓰이는 ‘’는 동명사어미

‘‒ㅭ’과 의존명사 ‘이’의 결합형으로 분석 가능하다는 의견 또한 개진된 바 있다(이승재 1995, 남풍현 1997, 이병기 1998).

하지만 모든 ‘’와 ‘’가 과연 이렇게 일률적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

’와 ‘’, ‘’와 ‘’처럼 분포가 겹치는 것처럼 보이는 예들도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포의 중첩은 ‘’와 ‘’가 변별적인 형태적인 구성을 표기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이 들은 동일한 형태 구성을 표기한 것인가? 아니면 변별적인 형태적 구성을 표기한 것인가? 만약 ‘’와 ‘’가 서로 별개의 형태적 구성을 표시하는 구결자라면 이들은 어떻게 분석될 수 있는 것인가?

이러한 질문은 구결자 ‘’와 ‘’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높이는 것은 물론, 자토석독구결에서 왜 동일한 음가를 표시하는 두 개의 구결자가 존재하는가와 같은 구결자의 문자적 특성에 대해서도 이해를 높일 수 있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Ⅱ. ‘’와 ‘’의 분포와 기능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아래에서는 우선 구결자 ‘’와 ‘’의 분포와 기능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1. ‘’의 분포와 기능

’는 널리 알려져 있다시피 선어말어미 ‘‒ 리 ‒’를 표기하는 데 주로 이용된다.

(1) ㄱ. 云何 {於}一切 衆生 中 第一{爲} 大 爲 勝 爲 最勝 爲 妙 爲 極妙 爲 上 爲 無上 爲 無等 爲 無等等 {爲}(어떻게 (하여야) 一切 衆生 가운데 第一이 되며 大 가 되며 勝이 되며 最勝이 되며 妙가 되며 極妙가 되며 上이 되며 無上이 되며 無等이 되며 無等等이 되겠습니까?) <화엄14, 02:07-09>

ㄴ. 若 常 {於}諸 佛 信奉 則 能 戒 持 學處 修

(만약 항상 모든 부처님을 信奉한다면 곧 能히 戒를 지니고 學處를 닦고 할 것이며) <화엄14,

1)의 음가에 대해서는 [](심재기 1975), [] 또는 [](이동림 1982), [] 내지 [](김두찬 1995; 김두찬 1997), [](이장 1996)로 추정된 바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논의에서는 남풍현·심재기(1976)에 따라 []의 음가를 지니는 것으로 인정하 고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3)

10:10>

ㄷ. 若 諸 佛 授記 所 {爲} 則 一切 佛 其 前 現(만약 모든 부처 님의 授記하심을 받으면 곧 一切 佛이 그 앞에 나타나실 것이며) <화엄14, 12:15>

(1)은 선어말어미 ‘‒[겨]’, ‘‒[]’, ‘‒[시]’에 후행하는 선어말어미 ‘‒ 리 ‒’를 표기한 ‘’의 예를 제 시한 것이다. 이러한 ‘’의 기능은 중세국어의 추측법 선어말어미 ‘‒ 리 ‒’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2) ㄱ. {是} {爲} 十 種 無盡法 能 一切 世間 作 所 悉 得 究竟 令 無盡大藏(이를 일컬어 열 가지의 무진법이 능히 일체 세간의 지은 바 로 하여금 다 능히 究竟하게 하는 무진대장이라 하는 것이다.) <화소35, 26:19-20>

ㄴ. 若 其 願力 自在 得 普 諸 趣 隨 而 身 現 則 能 衆 {爲} 說法 時

 音聲 類 隨 難 思議(만약 그 願力에 대해 自在를 얻어서 널리 모든 갈래를 좇아 몸을 나타내면, 곧 能히 衆生을 위해 說法하는 때에 音聲이 部類를 좇아 나 타나되 어렵게야 思議할 것[음성]일 것이며) <화엄14, 13:13-14>

ㄷ. 世尊 希有難量 是 金光明經(“세존이시여, 希有하여 헤아리기 어려운 것이십니 다, 이 金光明經은.) <금광03, 13:20>

그런데 ‘‒‒’는 추측법의 선어말어미로 분석할 수 없는 경우도 존재한다. (2)의 ‘‒‒’는 백두현(1997)에서 선어말어미가 동명사어미 ‘‒ㅭ’과 계사 ‘‒이‒’의 융합형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2)의 ‘‒‒’가 고대국 어의 일반적인 선어말어미 통합순서와는 다른 통합순서를 보이는 것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출되었다.2) 이승 재(1995)에서도 석독구결에서 동명사어미 ‘‒’에 계사 ‘‒‒’가 통합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를

‘‒ㅭ’와 ‘‒이‒’의 융합형으로 보았다.

그런데 (2)의 ‘‒‒’에 대한 현대어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때의 ‘’에는 구체적인 대상을 지칭하는 언어

2) 참고로 고대국어 선어말어미 배열순서는 아래와 같다.

‒‒ ‒/‒ ‒/‒ ‒() ‒‒

‒‒ ‒/‒ ‒‒ ‒‒

‒‒ ‒‒ ‒‒

‒[]‒/[]의 배열순서:言<금광03, 15:04>

‒/[]‒[]/[]의 배열순서:登<구인상, 11:07>

※ 단, 선어말어미 사이에 ‒‒가 개재하면 선어말어미 배열순서가 바뀜.

) 無極<구인상, 11:08>, 참조) 有<구인상, 14:19>

‒[]/[]‒[]의 배열순서:不<화소35, 10:19>

‒[]‒[]의 배열순서:誦持<금광03, 09:16>

‒[]‒[]의 배열순서:如<화소35, 09:12>

‒[]‒[]의 배열순서:開士{}<구인상, 11:21>

‒[]‒[]의 배열순서:大師子吼<구인상, 11:22>

‒[]‒/[]의 배열순서:作<화소35, 16:14>

‒/[]‒[]의 배열순서:捨<화소35, 10:11>

‒[]‒[ ]의 배열순서:獻乎理音如<헌화가>

‒[]‒[]의 배열순서:無<화소35, 11:03>

(4)

형식이 포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에 선행하는 대상법 선어말어미 ‘‒오‒’의 존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때 상정할 수 있는 언어 형식으로는 의존명사 ‘이’가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2)의 ‘‒‒’는 동명사 어미 ‘‒ㅭ’, 의존명사 ‘이’, 계사 ‘‒이‒’의 결합형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3) ㄱ. 第二 發心 譬 大地 一切 (法)事持 如 故 是 名 尸 波羅蜜因 (第二 發心은 비유하면 大地가 一切 法이니 事이니 하는 것을지니는 것과 같은 까닭으로 이것을 일컬어 尸波羅蜜因이라 하며) <금광03, 02:01-02>

ㄴ. 四者 {於}聲聞 緣覺{之} 地 過(넷째, 聲聞이니 緣覺이니 하는 것의지위를 넘으며,) <금광03, 03:02-03>

하지만 석독구결에서는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의존명사 없이 동명사어미 ‘‒’만으로도 구체적인 대 상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2)의 ‘‒‒’는 의존명사 이 없이 동명사어미 ‘‒ㅭ’과 계사 ‘‒이‒’가 직접 결합한 구성을 표기한 것일 수도 있다(이병기 1998).

(4) ㄱ. 乃 至 聲聞 緣覺功德 具足 聞(내지 성문이니 연각이니 하는 이가공덕 갖추어진 것을 들으며,) <화소35, 15:06-07>

ㄴ. 則 彼 所行 與 等 無 諸 天 世人能 知 莫

(곧 저의 행한 것은 함께 하여서 대적할 이 없어 모든 天이니 世人이니 하는 이가 能히 알 이 없다.) <화엄14, 14:08>

한편 (4)는 주어 명사구의 끝에 위치하는 ‘’의 예이므로 선어말어미를 표기한 것으로는 분석할 수 없다. 이때의 ‘’는 ‘‒ㅭ’과 의존명사 ‘이’의 결합형, 혹은 ‘‒ㅭ’과 주격조사 ‘‒이’의 결합형, 혹은 ‘‒ㅭ’과 의존명사

‘이’, 주격조사 ‘‒이’의 결합형일 가능성이 모두 존재한다.

(5) 花上 皆 量 無 國土 有 一一國土 佛 及 大衆

 今 {如} 異 無(꽃 위에 모두 한량 없는 국토가 있는데, 국토 하나하나마다 부처니 대중이니 하는 이가 있으시되, 지금과 같이 다름이 없으시며) <구인상, 02:04-06>

(6) 一 非 異 非 故 名 續諦(한 가지[一]가 아니며 다른 것[異]도 아니어서, 그러므로 일컬어 續諦라 하는 것이며,) <구인상, 14:08>

(6') (是 如 第)三心 說 羼提波羅蜜因(이와 같이 第三 心을 일러 羼提波羅蜜因이라 하는 것이며) <금광03, 02:04>

(5)는 주격조사 ‘‒이’ 앞에 쓰인 ‘’의 예이다. 이때의 ‘’는 ‘‒ㅭ’과 의존명사 ‘이’의 결합형으로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구역인왕경󰡕은 (6)의 ‘’와 (6')의 ‘’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5)

중복표기가 빈번하게 등장하는 문헌이다. 이와 같은 명명구문에서는 일반적으로는 (6')와 같이 ‘’가 쓰 이지만, 󰡔구역인왕경󰡕에서는 (6)의 ‘’와 같이 ‘’에 계사 ‘‒이‒’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계사 ‘‒‒’가 덧붙는 구성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중복 표기를 고려하면, (5)의 ‘‒’의 ‘‒’에도 의존명사 ‘이’ 뿐만 아니라 주격조사 ‘‒이’도 함께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7) ㄱ. 當 能 隨 樂 愛味 一切 心識 制伏 又 能 實 如 苦性 覺了

(반드시 능히 좇아 즐거움을 애미하는 일체의 심식(心識)을 굴복 시키고, 또 능히 실상과 같이 괴로움의 본성[苦性]을 깨닫고 할 것인 것이다” 할 것이며,)

<유가20, 08:15-16>

ㄴ. <유가20, 06:05> 云何 彼 正 修行 轉{令}

(“어떻게 하면 그로 (하여금) 바로 수행하여서 전(轉)하게 할 것인 것인가?” 하시는 까닭으로,)

’에 계사 ‘‒‒’가 후행하는 예는 (7ㄱ)처럼 다른 문헌에서도 종종 관찰된다. (7ㄱ)의 ‘’과 (7 ㄴ)의 ‘’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이때의 ‘’는 ‘‒‒’가 없어도 동명사형어미 ‘‒’이 후행할 수 있으 므로, (7ㄱ)의 ‘’도계사 ‘‒이‒’를 포함하는 ‘’와 계사 ‘‒‒’의중복표기로 보는 데 큰 문제가 없을 것이 다. 이처럼 ‘’는 계사를 포함하고 있음에도 ‘‒‒’가 후행하는 예가 적지 않음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5) 의 ‘’도 이와 마찬가지로 ‘’에 주격조사 ‘‒이’가 포함되었음에도 주격조사 ‘‒’가 덧붙은 중복표기로 보 고자 한다.

(8) ㄱ. 若 有 菩薩 初 發心 誓 求 當 佛菩提 證

(만약 있다, 菩薩이 비로소 發心하여 맹세하며 구하여서 반드시 부처님의 菩提를 證得하고자 하는 것이.) <화엄14, 09:04>

ㄴ. 又 光明 放 妙莊嚴(또 光明을 낸다, 묘한 莊嚴이니 하는 것이.)

<화엄14, 16:06>

ㄷ. 若 有 正 法 隨法行 修(만약 있다. 올바로 법수법행(法隨法行)을 닦는 이가.)

<유가20, 06:03-04>

한편 (8)과 같이 ‘’는 ‘’와 함께 도치구문의 끝요소에 등장하기도 한다. 이때 ‘’는 [‒ㅭ+ 의존명사

‘이’+조사 ‘‒여’], 혹은 [‘‒ㅭ’+(의존명사 ‘이’)+조사 ‘‒이여’]로 분석하거나(황선엽·이전경·하귀녀 외 2009), [‘‒ㅭ’+계사 ‘‒이‒’+어미 ‘‒여’]로 분석하고 있다(이병기 1998).

(9) 廣 十方 一切 地獄 現 受 當 受 無窮無盡

一切 衆生 及 等 一 痛切 五體投地 世間 大慈悲父 歸依

(6)

(널리 十方의 一切 地獄에서 현재에 (苦를) 받는 이이니 미래에 (苦를) 받 을 이이니하는 이의 無窮無盡한 一切 衆生에게 이르기까지 동등하게 한가지로 痛切하며 五體 投地하여서 世間에서의 大慈悲父이신 이에게 歸依할 것이다.) <자비04, 17:03-05>

또한 ‘’는 (9)처럼 나열구성에도 쓰인 예가 있다. 그러나 이는 유일례로서 일반적이지는 않다. 이때의

‘’는 ‘‒ㅭ’과 의존명사 ‘이’의 결합형으로 분석할 수 있다.

2. ‘’의 분포와 기능

’는 기본적으로 (10)처럼 ‘‒ㅭ’과 의존명사 ‘이’의 결합형으로 분석할 수 있는 예가 많다.

(10) ㄱ. 未來 幾 如來 幾 聲聞 辟支佛 幾 衆生有(미래에 는 얼마만큼의 여래니 얼마만큼의 성문 벽지불이니 얼마만큼의 중생이니 하는 이가 있으며)

<화소35, 07:17-18>

ㄴ. 謂 非 二諦 一(말하는 것이 아니다, 二諦가 하나이다 한다.)

<구인상, 15:05_1>

그러나 이때 (10ㄱ)처럼 ‘’가 주어 위치에 쓰일 경우 여기에 주격조사 ‘‒이’가 포함되어 있는지는 확실치 않다.

(11) ㄱ. 一 衆會 乃 至 不可說不可說 衆會念(한 衆會니 내지 不可

說不可說의 衆會니 하는 것을 念하며) <화소35, 20:20-21:01>

ㄴ. 能 捨人 見 當 願 衆生 永 得 三惡道 苦 捨離(能히 버리 는사람을 보는 경우에는 반드시 원하기를 衆生은 영원히 능히 三惡道의 苦를 버리소서 (할 것이며)) <화엄14, 07:07>

ㄷ. 佛子 {此} 菩薩 年盛 色美 衆 相 具足 名華 上服

而 以 身 嚴(불자야, 이 보살은 나이가 젊고 용모가 아름답고 많은 相이 갖추어지고 하여 훌륭한 꽃이니 좋은 의복이니 하는 것으로써 몸을 장식하여)

<화소35, 11:06-07>

ㄹ. 及 以 一切 聲聞 緣覺 動 不能 所(및 一切 聲聞이니 緣覺이니 하는 이가 흔들어 대지 못할 것이다.) <화엄14, 08:18>

ㅁ. {於}法 及 僧 亦 {是} 如 至誠 供養 而

發心(法이니 및 僧이니 하는 것에도 이와 같이 하여 至誠으로 供養하고자 發心하는 것이며) <화엄14, 09:17>

(7)

(12) ㄱ. 十方 一切 諸 妓樂 鐘 鼓 琴 瑟一 類 非(十方의 一 切 모든 妓樂인 鐘이니 북이니 가야금이니 거문고이니 하는 것은한 부류가 아니구나!)

<화엄14, 15:24>

ㄴ. 一一國土 中 一一佛 及 大衆各各 般若波羅蜜 說

(각 國土 가운데 있는 하나하나의 부처니 대중이니 하는 이마다각각 般若波羅蜜을 말씀하시고 있다) <구인상, 02:06-07>

ㄷ. 十八梵天 六欲 諸 天亦 八萬種 音樂 作 聲 三千

動(十八梵天이니 六欲의 모든 하늘이니 하는 것도또한 八萬 種의 音樂을 지으시어 소리로 삼천세계를 진동시키는데) <구인상, 03:04-06>

‘’는 (11)처럼 격조사 ‘‒’, ‘‒’, ‘‒’, ‘‒’, ‘‒’ 등이 후행하기도 하며, (12)처럼 보조사 ‘‒’,

‘‒’, ‘‒’ 등도 후행한다. 이때의 ‘’는 ‘‒ㅭ’과 의존명사 ‘이’의 결합형으로 분석할 수 있다.

(13) ㄱ. 云何 聞正法圓滿(어떤 것을 문정법원만이라고 하는가?) <유가20, 04:06>

ㄴ. 世尊 一切 菩薩 云何 佛果 護 云何 十地 行 護 因 緣(“世尊이시여, 一切 菩薩은 어떠한 것을 佛果를 지키며, 어떠한 것을 十地 의 行을 지킬 因緣이라고 하겠습니까?”) <구인상, 03:22-23>

ㄷ. 第一義 中 世諦 有 不(第一義의 가운데에 世諦가 있다 고 하겠습니까, (그렇지) 않은 것입니까?) <구인상, 14:18_2>

또한 (13)처럼 ‘’에는 의문첨사가 후행하기도 하는데, 이때의 ‘’도 ‘‒ㅭ’과 의존명사 ‘이’의 결합형으로 분석할 수 있다.

(14) ㄱ. 少 方便 以 一切 法 了 自然 明達他 由[三] 悟 不

(조그마한 方便으로써 一切 法을 알되, 自然히 명확하게 아는 것이지 남으로 말미암아 깨 닫지 않으며,) <화소35, 19:10-11>

ㄴ. 而 此 罪人 初 改悔 無 今日 得 出 俄 頃

 復 還 展轉輪迴 痛苦 知 不(이 죄인은 애초부터 회개함 이 없는 까닭으로 오늘에 능히 나가게 되었지만, 잠깐 사이에 다시 도로 거듭 윤회하여서 고 통스러운 것을 알지 못하니) <자비04, 21:12-14>

’는 (14)처럼 ‘’와 결합하여 연결어미로서 쓰이는 예들도 빈번하게 관찰된다. 이 경우의 ‘’도 기원적 으로는 ‘‒ㅭ’과 의존명사 ‘이’의 결합형으로 분석하는 데 문제가 없다.

(8)

(15) ㄱ. 若 己 {輟}[捨] 人 施 則 窮苦 夭命(만약 자기를 버리고 남에게 보시한다면 곤궁하여서 요절할 것이거늘) <화소35, 10:06-07>

ㄱ'. 他 引 {於}己信{令}{爲} 不 利養 恭敬 稱譽 爲

 不(남을 이끌어 자기를 믿게 하려고 하지 않고, 이양(利養)이 니 공경이니 칭찬[稱譽]이니 하는 것을 위하려고 하지 않고 하는 것이다.) <유가20, 04:18-19>

ㄴ. {此} 菩薩 四天王衆天 … 色究竟天 聞(이 보살은 사천왕중천 이니 … 색구경천이니 하는 이의 것을 들으며,) <화소35, 14:06-15:01>

ㄴ'. 謂 長夜 數習 彼 與 共居 增上力 故 或 復 樂 二 第

 與 共住(말하자면 긴 밤에 자주 익혀서 그와 더불어 함께 머무는 증상력으로 (말미암아 그러)하고, 혹 또한 즐겨 두 번째 이와 더불어 함께 머물고 하며 하 는,) <유가20, 26:12-14>

ㄷ. 若 信樂 得 心 淸淨 則 增上 最勝心 得(만약 信樂을 얻어서 마음이 淸淨하면 곧 增上과 最勝心을 얻을 것이며) <화엄14, 11:08>‘

ㄷ'. <유가20, 04:20-21> 謂 有餘依涅槃界 及 無餘依涅槃界 依止(즉 유여 의열반계와 무여의열반계를 의지한 것이다.)

ㄹ. <화소35, 10:18-19> 我 今 衰老 身 重疾 嬰 煢獨 嬴頓

 死 將 久 不(나는 지금은 노쇠하여 몸은 중병에 걸렸으며 외롭고 지치고 하니 죽는 것은 장차 오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는 (15)처럼 그 용법과 기능을 알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쓰인다. 특히 (15ㄱ-ㄷ)과 (15ㄱ'- ㄷ')을 비교하면 ‘’가 없어도 문장을 이루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점과 (15ㄹ)의 ‘將’의 경우 ‘’ 를 제외한 구성마저도 형태적 분석이 쉽지 않다는 점은 ‘’의 형태적 분석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3. 소결

앞서 살펴본 ‘’와 ‘’의 대략적인 분포와 기능은 아래와 같다.

<표 1> ‘’와 ‘’의 분포와 기능

‘’ ‘’

① 선어말어미 ‒‒

② 동명사어미와 계사의 통합구성 ‒‒

③ 주어 명사구의 끝요소 ‒

④ 도치구문의 끝요소 ‒

⑤ 나열구문의 ‒

① 동명사어미와 의존명사의 통합구성 ‒

② 연결어미의 ‒

③ 정체를 알 수 없는

(己//最勝心/將)

(9)

이처럼 대체적으로 ‘’와 ‘’는 그 쓰임이 분명히 구분되는 경우도 많지만, 주어 명사구의 끝요소로 쓰인

‒’와 동명사어미와 의존명사의 통합구성 ‘‒’, 도치구문이나 나열구문의 ‘‒’와 연결어미의 ‘‒’처럼 그 분포와 쓰임이 유사한 경우도 관찰이 된다. 아래에서는 이들에 대해 그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형태적 구성에 대해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Ⅲ. 분포가 겹치는 ‘’와 ‘’의 형태적 분석

1. ‘‒’와 ‘‒’

‒’와 ‘‒’는 동일하게 주어 명사구의 끝 요소를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와 ‘‒’는 [‘‒ㅭ’+의 존명사 ‘이’], 혹은 [‘‒ㅭ’+(의존명사 ‘이’)+주격조사 ‘‒이’]일 가능성이 모두 있다.

(16) ㄱ. 云何 十方 諸 如來 一切 菩薩文字 離 不 而 諸 法相

 行(“어찌 十方의 모든 如來이니 一切 菩薩이니 하는 이가文字를 여의지 않고 모든 法相에 行하신다 합니까?”) <구인상, 15:21-22>

ㄴ. {此} 法 說 時 量 無 天子 及 諸 大衆有(이 법을 말 씀하실 때에 한량없는 天子니 (및) 모든 대중이니 하는 이가 있었으니,) <구인상, 14:14-15>

그러나 ‘‒’는 ‘‒’, ‘‒’, ‘‒’와 같이 다른 격조사와 함께 쓰이는 일이 없이 항상 주어 명사구에 만 쓰이는 반면, ‘‒’는 ‘‒’, ‘‒’, ‘‒’와 같이 다른 격조사와 함께 쓰이는 일이 매우 많다. 이처럼

‒’와 ‘‒’가 격조사의 결합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와 달리 ‘‒’는 주격조사 ‘‒이’를 포함하고 있기에 발생한 현상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5) 花上 皆 量 無 國土 有 一一國土 佛 及 大衆

 今 {如} 異 無(꽃 위에 모두 한량 없는 국토가 있는데, 국토 하나하나마다 부처니 대중이니 하는 이가 있으시되, 지금과 같이 다름이 없으시며) <구인상, 02:04-06>

앞서 살펴보았듯이 ‘‒’는 (5)처럼 중첩표기로서 주격조사 ‘‒’가 후행하는 ‘‒’가 쓰이는 예가 석독구결에 존재하는 반면에, ‘‒’는 ‘’처럼 주격조사 ‘‒’가 후행하는 예가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석독구결의 현 토자가 [‘‒ㅭ’+의존명사 ‘이’+주격조사 ‘‒이’] 구성을 표기하는 데 구결자 ‘’를 이용하지 않고 구결자 ‘’를 일관되 게 사용하였기에 나타난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추정이 옳다면, (16ㄱ)의 ‘‒’는 [‘‒ㅭ’+(의존명사

‘이’)+주격조사 ‘‒이’], (16ㄴ)의 ‘‒’는 [‘‒ㅭ’+의존명사 ‘이’]라는 별개의 구성을 표기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10)

2. ‘‒’와 ‘‒’

분포가 겹치는 연결어미 ‘‒’와 ‘‒’에 대한 논의에 앞서 우선 도치구문에 쓰인 ‘‒’의 분석을 자 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17) ㄱ. 若 有 菩薩 初 發心 誓 求 當 佛菩提 證

(만약 있다, 菩薩이 비로소 發心하여 맹세하며 구하여서 반드시 부처님의 菩提를 證得하고자 하는 것이.) <화엄14, 09:04>

ㄴ. 又 光明 放 妙莊嚴(또 光明을 낸다, 묘한 莊嚴이니 하는 것이.)

<화엄14, 16:06>

도치 구문에 쓰이는 ‘‒’는 (17)처럼 항상 주어 명사구에만 쓰이는 것이 특징이다.3) 앞서 언급했듯이 이때의 ‘‒’는 [‘‒ㅭ’+의존명사 ‘이’+조사 ‘‒여’], 혹은 [‘‒ㅭ’+(의존명사 ‘이’)+조사 ‘‒이여’]의 결합형으로 분 석하거나(황선엽·이전경·하귀녀 외 2009), [‘‒ㅭ’+계사 ‘‒이‒’+어미 ‘‒여’]로 분석해 왔다(이병기 1998). 이 처럼 ‘‒’의 분석에 차이를 보이는 것은 ‘’가 정확히 어떠한 문법 형태소를 표기한 것인지에 대해 다르 게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치구문에 등장하는 ‘‒’가 항상 주어 명사구에만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하면, ‘‒’는 [‘‒ㅭ’+(의존명사 ‘이’)+주격조사 ‘‒이’+조사 ‘‒여’]를 표기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18) ㄱ. 或 有 國土 法 知 不 {於}彼 {爲} 妙法藏 說

(혹 있다, 國土가 法과 같지 않은 것이. 거기에는 (중생을) 위해 묘한 法藏을 이를 것이며)

<화엄14, 14:16>

ㄴ. 敬禮 譬喩 無 深無相義 說(“敬禮합니다, 譬 喩할 바 없으시어 深無相義를 說하신 것을.) <금광03, 13:04>

이러한 분석 가능성은 (18)의 예를 통해서도 한층 지지될 수 있다. (18ㄱ)도 (17)과 마찬가지로 주어 명사 구가 도치된 구문이라고 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가 아니라 ‘‒’가 쓰이고 있다. 이때의 ‘’는 의 존명사 ‘’와 ‘이’의 결합형 ‘디’를 표기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이때의 ‘이’는 주격조사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18ㄴ)의 ‘’를 통해서 한층 강화될 수 있다. (18ㄴ)에서는 다른 도치 구문과는 달리 목적어 명사구가 도치되어 있는데, 이때에는 조사 ‘‒’ 앞에 목적격조사 ‘‒’이 분명히 현토되어 있다. 따라 서 도치 구문의 ‘/’는 계사에 후행하는 어미나 조사 ‘‒이여’의 일부를 표기한 것이 아니라 격조사에 후행 하는 보조사 ‘‒여’를 표기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러므로 (17)의 ‘‒’의 ‘‒’에도 주격조사 ‘‒이’가 있다 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반면에 ‘‒’는 도치구문에서 쓰이는 일 없이 언제나 연결어미로만 쓰인다. 이때 ‘‒’는 동명사어미 3) 이러한 분포적 특징은 구결학회 월례강독회에서 이루어진 안대현 선생님과의 논의 과정을 통해 알게 된 것이다.

(11)

‘‒ㅭ’과 의존명사 ‘이’, 그리고 조사 ‘‒여’의 결합으로 볼 수 있으며, 의존명사 ‘이’와 조사 ‘‒여’ 사이에는 주격 조사 ‘‒이’가 개재한다고 보기 어렵다. ‘‒’는 연결어미 ‘‒’와 분포와 기능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 기 때문이다.

(19) ㄱ. {此} 菩薩 深智慧 {有} 實相 了知 廣 衆生 {爲}[三] 諸 法 演說

 一切 諸 佛 經典 違 不一 品 法 乃 至 不可說不 可說 品 法 說(이 보살은 깊은 지혜를 지녀서 實相을 了知하여 널리 중생을 위하여 모든 법을 연설하되 일체 모든 부처의 경전에 어긋나지 않으니, 한 품의 법이니 내지 不可說不可說의 품의 법이니 하는 것을 말하며,) <화소35, 24:18-25:01>

ㄱ'. 是 如 十種 能熟解脫慧 成熟 法先 說 所 如 漸次 能

解脫 圓滿{令}(이와 같은 열 가지를 능숙해탈혜의 성숙(에 대한) 법이라고 하 는 것이니,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점차로 능히 해탈을 원만하게 한다.) <유가20, 07:14-16>

ㄴ. 有爲 迴向而 著 不{故}(유위에 회향하나집착하지 않는 까닭 이며,) <화소35, 26:15-16>

ㄴ'. 菩薩 成佛 未 時 菩提 {以} 煩惱 {爲} 菩薩 成佛

 時 煩惱 以 菩提 {爲}(菩薩이 成佛하지 않은 때에 菩提를 써 煩惱 삼지만 菩薩이 成佛한 때에 煩惱를 써 菩提 삼는다.) <구인상, 15:18-19>

‒’는 크게 배경 상황 제시, 설명, 부연이라는 순접의 의미와 대립 또는 양보라는 역접의 의미를 모두 보이는 연결어미라고 할 수 있는데, (19)의 ‘‒’와 ‘‒’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도 동일하게 순접과 역접의 의미를 지닌다(김지오 2012). 이를 고려하면 ‘‒’는 ‘‒ㅭ’과 조사 ‘‒여’ 사이에 의존명사 ‘이’ 가 개재함으로써 새로이 만들어진 연결어미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는 [‘‒ㅭ’+(의존명사 ‘이’)+주격조사 ‘‒이’+조사 ‘‒여’], ‒는 [‘‒ㅭ’+의존명사 ‘이’+

조사 ‘‒여’]라는 각기 다른 형태적 구성을 표기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9) 廣 十方 一切 地獄 現 受當 受 無窮無盡 一切 衆生 及 等 一 痛切 五體投地 世間 大慈悲父 歸依

(널리 十方의 一切 地獄에서 현재에 (苦를) 받는 이이니미래에 (苦를) 받을 이이니하는 이의 無窮無盡한 一切 衆生에게 이르기까지 동등하게 한가지로 痛切하며 五體投地하여서 世間에서 의 大慈悲父이신 이에게 歸依할 것이다.) <자비04, 17:03-05>

하지만 앞서 살펴보았듯이 (9)의 나열구문에 쓰인 ‘‒’는 [‘‒ㅭ’+의존명사 ‘이’+조사 ‘‒여’]로 분석할 수 있으므로 ‘‒’를 [‘‒ㅭ’+(의존명사 ‘이’)+주격조사 ‘‒이’+조사 ‘‒여’]로 분석하는 것에 대한 반례로서 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유일례라는 점에서 예외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

(12)

(20) ㄱ. 大悲水 以 今日 阿鼻地獄 等及 餘 地獄 等 苦

現 受 一切 衆生 罪垢 洗除 得 清淨 令(大悲水를 써서 今 日의 阿鼻地獄 같은 것이니 및 다른 地獄 같은 것이니 하는 데에서의 苦를 현재 받는 一切 衆生의 罪垢를 洗除하시어서 능히 清淨하게 하시며) <자비04, 18:13-15>

ㄴ. 眞義 得 說思議可 不 度量可 不(眞義를 얻어 說하는 것이라 思議함직한 것이 아니며 度量함직한 것이 아니니) <구인상, 11:23-24>

(9)의 나열구문에서 ‘‒’가 쓰인 것은 석독구결에서는 ‘’와 같은 연쇄가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4)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나열 구문에서는 (20ㄱ)의 ‘‒’처럼 동명사어미 ‘‒’만을 이용하지 선어말어미 ‘‒‒’나 동명사어미 ‘‒’이 쓰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9)의 경우 내용상 현재시제와 미 래시제를 적극적으로 나타낼 필요가 있다. 현재시제를 선어말어미 ‘‒‒’를 이용하여 ‘‒’로 표기한 것은 (20ㄴ)처럼 ‘’와 같은 형식이 일반적으로 쓰이므로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반면에 미래시제의 경우 ‘‒’와 같이 나타내기에는 석독구결에서 ‘’와 같은 연쇄는 쓰이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 서 현토자는 ‘’ 대신에 ‘’ 내지 ‘’를 선택할 필요가 있는데, ‘‒’는 앞서 살펴보았듯이 모든 예에서 연결어미로만 쓰인다는 점에서 해독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부득이하게 ‘‒’를 선택하였을 것이다.

이처럼 연결어미와 나열구문의 ‘‒’를 예외적인 용법으로 간주한다면, ‘‒’는 [‘‒ㅭ’+(의존명사 ‘이’)+

주격조사 ‘‒이’+조사 ‘‒여’], ‒는 [‘‒ㅭ’+의존명사 ‘이’+조사 ‘‒여’]처럼 서로 변별적인 형태적 구성을 표기하 였다고 일반화할 수 있을 것이다.

Ⅳ. 맺음말

앞선 논의를 정리하여 구결자 ‘’와 ‘’의 분포와 기능을 다시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의 분포와 기능>

① 선어말어미 ‘‒‒

② 동명사어미와 계사의 통합구성 ‘‒‒’[‘‒ㅭ’+(의존명사 ‘이’)+계사 ‘‒이‒’]

③ 동명사어미와 주격조사의 통합구성 ‘‒’[‘‒ㅭ’+(의존명사 ‘이’)+주격조사 ‘‒이’]

④ 도치구문의 끝요소 ‘‒’[‘‒ㅭ’+의존명사 ‘이’+주격조사 ‘‒이’+조사 ‘‒여’]

[⑤ 나열구문의 ‘‒’[‘‒ㅭ’+의존명사 ‘이’+조사 ‘‒여’] = 예외적인 쓰임]

4)이승재(1995)에서는 석독구결에서 동명사어미 ‒과 계사 ‒‒’, 동명사어미 ‒과 의존명사 가 분리되어 표기된 적이 없음을 지적한 바 있다. 그런데 이외에도 석독구결에서는 동명사어미 ‒과 주격조사 ‒의 연쇄도 쓰이지 않는 점도 특기 할 만하다.

(13)

<‘’의 분포와 기능>

① 동명사어미와 의존명사의 통합구성 ‒[‘‒ㅭ’+의존명사 ‘이’]

② 연결어미의 ‒[‘‒ㅭ’+의존명사 ‘이’+조사 ‘‒여’]

[③ 정체를 알 수 없는 ‘’:己//最勝心, 將 = 예외적인 쓰임]

요컨대 ‘’와 ‘’의 예외적인 쓰임을 제외하면 이들은 주격조사 ‘‒이’ 내지 계사 ‘‒이‒’를 포함하는지 여부 와 관련하여 구분되어 쓰이는 구결자이며, 따라서 의존명사 ‘이’의 포함 유무는 이들의 변별적인 쓰임에 크게 관계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와 ‘’가 음운적이 아니라 철저하게 형태적으로 변별되어 쓰이는 구결자 라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구결자는 표음적인 기능이 우선시되는 문자라는 인식이 강했다. 그러나 ‘’와

’처럼 형태적인 변별에 중점을 둔 구결자들도 분명히 존재하므로, 앞으로는 형태적 변별이라는 측면에서 구결자 체계를 전체적으로 다시 자세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參考文獻>

김두찬, 「舊譯仁王經 口訣 機能體系」, 󰡔소곡 남풍현 선생 회갑기념논총󰡕, 태학사, 1995.

김두찬, 「구역인왕경 구결 해독 시고」, 󰡔口訣硏究󰡕 2, 口訣學會, 1997.

김성주, 「주본화엄경 권제14의 현대역에 대하여」, 󰡔口訣學會 제46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口訣學會, 2013.

김지오, 「釋讀口訣에 나타난 ‘‒은여/을여’에 대하여」, 󰡔동악어문학󰡕 58, 동악어문학회, 2012.

남풍현, 「高麗時代 釋讀口訣의 자와 자의 原字에 대하여」, 󰡔語文學論叢(淸凡陳泰夏敎授 啓七頌壽紀念)󰡕, 1997, 太學社.

남풍현, 󰡔國語史를 위한 口訣硏究󰡕, 1999, 태학사.

남풍현·심재기, 「󰡔舊譯仁王經󰡕의 口訣硏究(其一), 󰡔東洋學󰡕 6,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76.

박진호, 「고대국어문법」,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3󰡕, 국립국어연구원, 1998.

백두현, 「고려 시대 석독구결에 나타난 선어말어미의 계열관계와 통합관계」, 󰡔口訣硏究󰡕2, 口訣學會, 1997.

백두현, 「고려 시대 구결의 문자체계와 통시적 변천」, 󰡔석독구결의 문자체계와 기능󰡕, 한국문화사, 2005.

심재기, 「󰡔舊譯仁王經󰡕 上 口訣에 대하여」, 󰡔美術資料󰡕 18, 국립중앙박물관, 1975.

안대현, 「󰡔華嚴經疏󰡕 卷35 석독구결의 현대어역」, 󰡔口訣學會 제46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口訣學會, 2013.

이건식, 「高麗時代 釋讀口訣의 助詞에 대한 硏究」, 1996, 檀國大學校 박사학위논문.

이동림, 󰡔舊譯仁王經󰡕의 口訣 解讀을 위하여」, 󰡔東國大學校 論文集󰡕 21, 동국대 대학원, 1982.

이병기, 「선어말어미 ‘‒리’의 기원」, 󰡔口訣硏究󰡕 4, 口訣學會, 1998.

이병기, 「한국어 미래성 표현의 역사적 연구」, 2006,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승재, 「동명사 어미의 역사적 변화: ‘구역인왕경’과 ‘화엄경’의 구결을 중심으로」, 󰡔국어사와 차자표기(소곡

(14)

남풍현 선생 회갑기념 논총)󰡕, 태학사, 1995.

이용, 「󰡔합부금광명경󰡕 권3 석독구결의 현대어역」, 󰡔口訣學會 제46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口訣學會, 2013.

이장희,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에 대하여」, 󰡔문학과 언어󰡕 17, 文學과 言語硏究會, 1996.

장경준, 󰡔󰡔瑜伽師地論󰡕 點吐釋讀口訣의 解讀 方法 硏究󰡕, 2007, 태학사.

장경준, 「󰡔유가사지론󰡕 권20 석독구결의 현대어역」, 󰡔口訣學會 제46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口訣學會, 2013.

장경준·오민석·문현수·허인영, 󰡔󰡔유가사지론󰡕 권20의 석독구결 역주󰡕, 2015, 역락.

황선엽, 「≪舊譯仁王經(上)≫의 역주에 대하여」, 󰡔口訣學會 제46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口訣學會, 2013.

황선엽·이전경·하귀녀 외, 󰡔석독구결사전󰡕, 2009, 박문사.

* 이 논문은 2020년 2월 20일에 투고되어, 2020년 4월 3일까지 심사위원이 심사하고,

2020년 4월 7일에 편집위원회에서 게재가 결정되었음.

(15)

❙Abstract❙

On Some Morphological Constructions Represented by Kugyol Characters [ri] and [ri]

‒ Focusing on [ri] and [ri] that Overlap Distribution and Function ‑

5)Moon, Hyun-soo*

In the article, Some morphological constructions represented by Kugyol Characters [ri] and [ri] were analyzed. Most scholars agree that both [ri] and [ri] have the same phonetic value.

And they also agree that [ri] is a grammaticalized form of gerund ending ‒[lʔ] and copula ‒

[i], and [ri] is a grammaticalized form of gerund ending ‒[lʔ] and bound noun [i]. However, it seems like that [ri] and [ri] have the same distribution and grammatical function, for example, in [kyə.ri.yə] and [kyə.ri.yə], and in [yə.ho.ri] and [yə.ho.ri].

We have morphologically analyzed all of [ri] and [ri]. As a result, in most cases, [ri] and [ri] have been analyzed as in the preceding study. However, in case of [ri],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cases where nominative marker ‒[i] is included. Particularly, in case of [ri] and [ri]

having the same distribution, it is constantly analyzed that [ri] is a grammaticalized form of gerund ending ‒[lʔ] and nominative marker ‒[i], and [ri] is a grammaticalized form of gerund ending ‒[lʔ] and bound noun [i]. Consequentially, it means that [ri] and [ri] are morphologically distinguished Kugyol Characters.

[Key Words] Seokdok kugyol, Kugyol Characters, morphological analysis, nominative marker, copula, bound noun, [ri], [ri]

* Post-doc.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Soongsil University

(16)

참조

관련 문서

ITUC에 상응하는 국제경영자단체로는 유일하게 “국제사용자기구(IO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Employers)”가 있으나 잘 알려져 있지 않다.. 24) 자본이동 자유화

- 일본 국민들의 환경보호 의식이 고조되고 에너지 절약상품을 사용하면 전 기료를 줄일 수 있어 장기적으로는 경제적이라는 인식이 보편화되면서 가 전제품

이는 한색 계열의 구심적 심리를 나타내는 주조색을 많이 쓴 경우 조명의 역량성 , 에서는 강열하고 시원하며 현대적인 감성을 나타내는 어휘를 많이 선택하였고 시

TBT협정 부속서 3에서 회원국들이 기술규정 및 표준에 대하여 통보의무가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 중국의 WTO 가입을 위한 협상 시 기존 회원국들 로부터 가장

Digital Holography는 복원과정을 거칠 때, 이미 지의 초점을 보정할 수 가 있는데, 이는 Digital Holography 만의 물체의 Amplitude 와 Phase, 두 정보를

세포 내 대사가 특이적으로 항진되거나 계속적인 성장,증식 및 분화가 일어나는 세포들에서는 아미노산 수송체들의 기능이 상승되어 단백질 합성을 위한 아미노산 공

따라서 낮에는 뜨거운 태양열 을 기체 분자들이 흡수해주고 밤에는 분자들이 보관한 열이 주변으로 퍼져서 밤이나 낮이나 기온 차 이가 그리 크지

미국의 회사밥상 이사는 회사에 대하여 주의의무와 선관의무를 부담한다. 이사 가 이러한 의무를 위반하여 회사에 발생하면 이사는 회사에 대하여 손해배상책임 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