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외국어교육의 방향 2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외국어교육의 방향 2"

Copied!
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2 어휘

다음 밑줄 친 말을 영어로 옮겨 보자.

그는 런던에서 겨울을 보냈다.

그들은 강가에서 고기를 잡았다.

영어: 명사와 동사의 호환

vs. 한국어: 명사와 동사의 엄격한 구분.

한국어와 영어의 인지적 차이

(2)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2 어휘

[예] ‘사랑하다’의 경우: 한, 영, 일 모두 타동사

한국어 나는 그 사람을 사랑해요.

영어 I love him/her.

일본어 私はその人を愛しています。

(3)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2 어휘

[예] ‘좋아하다’의 경우: 한, 영, 일의 차이

영어 I like him/her. -

일본어 - 私はその人が好きです。

한국어 나는 그 사람을 좋아해요. 나는 그 사람이 좋아요.

영어권 화자: ‘like’가 한국어나 일본어처럼 형용사로 사용되는 것에 의아 일본어권 화자: ‘好きだ’가 타동사로 사용되는 한국어와 영어의 구문에 의아

(4)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3 발음

 언어의 여러 영역 중 가장 인체공학(ergonomics)의 성격이 강한 발음의 경우도 인지와 연결됨.

 외국어 음성 습득에서 겪는 어려움은 크게 두 가지 ① 조음적 장애(articulatory difficulty):

해당 음성의 부재 ② 음운적 장애(phonological difficulty):

변이음의 경우

(5)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3 발음

 언어의 여러 영역 중 가장 인체공학(ergonomics)의

성격이 강한 발음의 경우도 인지와 연결됨.

(6)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3 발음

[예] 무성폐쇄음(무기음과 유기음): 한국어 vs. 영어

/p/ /t/ /k/

p p

h

t t

h

k k

h

/p/ /p

h

/ /t/ /t

h

/ /k/ /k

h

/

| | | | | |

p p

h

t t

h

k k

h

(7)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3 발음

두 언어에서 무기음(/p t k/)과 유기음(/ph th kh/) 이 모두 존재하는가?

변이음도 평상시에 잘 사용하는 소리인가?

그렇다면 왜 영어권 화자는 이 두 종류의 소리를 잘

구분하여 발음하지 못할까? (예: 갈비 vs. 칼국수)

(8)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3 발음

음운적 장애란 음운의 차이에 따른 발음의 어려움을 말한다. 이 를 Sapir(1933/1946)의 ‘심리적(정신적) 실재로서의 음운 (psychological reality of phonemes)’라는 말을 적용하여 다시 말하면 위의 경우 두 언어권 사이에는 심리적(정신적) 차원의 말 소리의 수가 다른 것이다. 즉, 영어권 화자들이 한국어의 두 종류 의 무성폐쇄음을 온전히 발음하지 못하는 것은 영어권 화자의 경 우 한국어 화자와는 달리 머릿속에 한 종류의 무성폐쇄음만 존재 하기 때문이다. 정신적 차원의 말소리 수와 실제 발화되는 말소 리 수와 다르다. 따라서 영어권 화자가 겪는 이러한 어려움은 심 리 적 또 는 정 신 적 인 것 으 로 음 운 적 장 애 (phonological difficulty)가 된다.

(9)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3 발음

한국어의 된소리 경우를 예로 보자. 영어의 경우 ‘sport, sky, stop’과 같이 /s/ 다음의 /p t k/가 한국어의 된소리와 비슷하게 발음되며, 프랑스어, 일본어, 중국어 등에서 한국어의 된소리와 비슷한 소리를 실제로 많이 듣게 된다. 즉, 그들도 일상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발음하는 소리임에도 불구하고 발음하기 어려운 것 은 바로 정신적 요인, 즉 음운적 장애 때문이다. 그들에게는 그러 한 소리들이 의미 있는 소리가 된다는 것이 낯설다.

(10)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3 발음

[예] 영어 ‘pleasure’에 나타나는 마찰음으로서의 [ʒ]

‘bus’의 모음 [ʌ]

⇒ 이 경우 대체로 모어의 다른 소리로 대체 예: [ʒ] → [ㅈ]

[ʌ] → [ㅓ]

[f] → [ㅍ] / [ㅎ]으로 발음

(11)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3 발음

뇌 안의 모든 정보와 지식은 신경세포 간의 연결성(synapse)을 통해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시냅스의 유연성이 높은 어린 시절(=결정적 시기)에는 경험을 기반으로 자주 쓰는 신경세포는 살아남고, 쓰지 않는 세포는 사라진다. 찰흙같이 구조적으로 '말랑말랑'한 뇌가 경험을 통해 그 경험을 가능하게 한 특정 환 경 에 최 적 화 된 다 는 것 이 다 . ' 경 험 ' 의 역 할 은 결 정 적 시기(10~12세)가 끝나고도 계속된다. 어린 뇌에서 경험은 단순히 '온-오프'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시냅스는 쓰면 살아남고(On), 쓰지 않으면 없어진다(Off).

(12)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3 발음

하지만 ‘사과=apple’이라는 발음과 의미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좀 더 구체적 방법이 필요하다. ‘사과’를 볼 때 ‘apple’이라는 발음을 만들어내야 하는 수많은 시각·청각·언어 신경세포 간의 연결성이 적절한 수준으로 바뀌어야 한다. 어떤 수준이 '적절한' 수준일까?

뇌는 이 문제를 반복된 시도와 실패를 통해 얻게 된다.

Apple이라는 정답을 구현하기 위해서 뇌는 우선 수많은

‘실패작’을 만든다. 실패작과 정답의 오차를 기반으로 신경세포 간의 연결성을 변형하면 점차 정답에 가까운 답을 낼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김대식 2013].

(13)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3 발음

① 말소리에 대한 새로운 인지 영역의 개척

= 지금까지 모국어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던 음성 영역 을 새롭게 사용

= 새로운 음성 영역과 조음기관의 연결의 자동화 작업

(모어에서의 자동화 작업과는 다른 작업)

(14)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3 발음

이 자동화 작업은 우리가 자주 다녀 익숙하던 길 바로 곁에 새로 운 길을 내야 하는 매우 불편한 작업이며, 우리에게는 더 이상 필요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용하지 않아 잡초로 우거진 땅을 새롭게 개 간하여 농작물이 자라게 해야 하는 일과 같다. 따라서 이 일은 익숙 하지 않은 귀찮은 작업일 뿐만 아니라 그렇게 되기까지에는 많은 시간이 걸리는 일이다. 한국어교육에서 문자 교육은 잘 되지만 발 음교육이 잘 되지 않는 이유는 바로 그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영역 이 쉽게 자동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가 수업 중에 여러 가지 방 법을 이용하여 한국어 발음을 가르치는 것은 바로 이 문자와 음성 영역의 자동화 작업이라 할 것이다.[허용 2013]

(15)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3 발음

② 모어 말소리 영역의 분할

- 모어보다 더 많은 수의 모음을 가진 외국어 습득의 경 우 모어 음성 영역의 세분화 작업

[예] 일본어/중국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습득

일본어의 /ㅗ/ 모음 영역을 나누어 /ㅗ/와 /ㅓ/로 세분화

 중국어 화자의 경우 /ㅗ/와 /ㅜ/ 영역 구분이 필요

(16)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3 발음

시냅스 연결 작업은 인지적 속성의 문제

결국 외국어 습득이란 초급에서는 모국어와 목표어를 1:1로 치환하는 작업이 주가 되고 고급으로 갈수록 새 로운 인지의 습득

올바른 외국어교육이 단순히 교수방법상의 문제를 넘

어 대조언어학, 언어보편성, 언어유형론, 더 나아가 인

지언어학적 접근 등이 필요

(17)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3 보편성과 유표성을 통한 외국어교육 2.3.1 보편성

- Greenberg(1963, 1966) 이후 언어 유형에 따른 구조의존성 연구

함의적 보편성: X의 특질을 가지고 있으면 Y의 특질도 가 질 수 있는 가능성 관련 보편성

비함의적 보편성: 다른 특질과의 연관성이 없는 보편성

절대적 보편성: 반드시 그러함(예외 없음)

보편적 경향: 대체로 그러함(예외 있음)

(18)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3 보편성과 유표성을 통한 외국어교육 2.3.1 보편성

[예] 최숙희·김양순 역(2001)

함의성

절대성 함의적 보편성 비함의적 보편성 절대적 보편성

(예외 없음) 예) If VSO ⇒ 전치사 자음과 모음 보편적 경향

(예외 있음)

예) If SOV ⇒ 후치사 (예외: 페르시아 어)

비자음(nasal

consonants)

(19)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3 보편성과 유표성을 통한 외국어교육 2.3.1 보편성

집합적 보편성: ‘If p, then q’

계층적 보편성: ‘If p, then anything preceding c (a > b > c > d > e)’

[예1]집합적 보편성: 어순과 전치사와의 관계(WALS, 95)

① OV & 후치사 472

② OV & 전치사 14

③ VO & 후치사 42

④ VO & 전치사 456

⑤ 기타(위 네 유형에 속하지 않음) 158

합 1,142

(20)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3 보편성과 유표성을 통한 외국어교육 2.3.1 보편성

[예2] 계층적 보편성:

명사구 관계절의 계층성(최숙희·김양순 역, 2001) 1) 주어(SUB)인 경우

The dog that bit the man....

2) 직접 목적어(DO)인 경우

The man that the dog bit ....

3) 간접 목적어(IO)인 경우

The girl that I wrote a letter to ....

4) 전치사의 목적어(OP; obj. of preposition)인 경우

The house that I talked to you about ....

(21)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3 보편성과 유표성을 통한 외국어교육 2.3.1 보편성

[예2] 계층적 보편성:

명사구 관계절의 계층성(최숙희·김양순 역, 2001) 5) 속격(GEN)인 경우

The family whose house I like ....

6) 비교급의 목적어(OCOMP; obj. of comparative)인 경우

The woman that I am taller than ....

이러한 것은 외국어교육 현장에서 매우 유

용한 정보가 된다.

(22)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3 보편성과 유표성을 통한 외국어교육 2.3.2 유표성

<유표성 정도와 학습 난이도의 상관관계>

L1 L2 유표성 정도 학습난이도

문법 항목 α β α < β 어렵다

문법 항목 α β α > β 어렵지 않다

(23)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3 보편성과 유표성을 통한 외국어교육 2.3.2 유표성

<유표성 정도와 학습 난이도의 상관관계>

예: 명사구 관계절

태국어: SUB > DO > IO > OP

영어: SUB > DO > IO > OP > GEN > OCOMP

↳ 이 두 가지가 더 배우기 어렵다.

(24)

외국어교육에서의 언어학

3

① 위의 내용들 모두가 한국어교사의 몫은 아니다.

② 그러나 ‘한국어교사들이 한국어를 모른다.’는 말을 들어서는 안 된다.

③ 영양사와 요리사의 협업 = 이론 연구자와 한국

어교사의 협업

(25)

외국어교육에 대한 인지적 접근, 보편성, 유표성

4 주요 개념 및 용어

(26)

1 참고문헌

김대식(2013), “남보다 빨리 잘 실패하는 것이 성공의 비밀”, 조선일보 <김대식 의 브레인 스토리>, 2013. 6. 11.

연재훈(2011), 「한국어 구문 유형론」, 태학사.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한국어의 가치”, <임마누엘 칼럼>, 중앙일보 2015, 10.

10.

최숙희·김양숙 역(2001), 「제2언어 통사론 습득」, 도서출판 동인.

허용(2008), “한국어교육에서의 대조언어학과 보편문법의 필요성 연구”, 「이중언 어학」, 이중언어학회.

허용(201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대한 언어학적 접근”, 「언어와 문화」,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허용(2013), “외국어 발음습득과 음운지식에 대한 연구”, 「언어와 문화」, 한국언 어문화교육학회.

허용(2014), “외국어교육 개선 방향 연구: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히라코 요시오 저(김한식·김나영 역)(2007), 「번역의 원리: 이문화를 어떻게 번역 할 것인가」, 한국외대 출판부.

(27)

1 참고문헌

Greenberg, J. H. (1963). Some universals of grammar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order of meaningful elements.

In J. H. Greenberg (Ed.), Universals of language (pp. 73- 113). Cambridge, MA: MIT Press.

Sapir, E.(1933) “La réalité psychologique des phonèmes”, Journal de Psycholgie Normale et Patholgique 30, 247-65: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phonemes”, In D.

Mandelbaum(ed.)(1949), Selected Writing of Edward Sapir, 46-6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8)

14주차.

언어학과 외국어교육

(29)

1) 한국어교육을 포함한 외국어교육에서 인지적 접 근의 필요성에 대해 말해 보자.

2) 한국어교육을 포함한 외국어교육에서 보편성과 유 표성의 필요성에 대해 말해 보자.

4 형성평가

참조

관련 문서

다음 중에서 영어의 “Argument is War”라는 은유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기 어려운 표현은.. ① He attacked every weak point in

이와 같은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인지적 유연성 수준에 따른 집단별 성취목표지향성 의 차이에 대한 결과는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인지적 유연성이 성취목표지향성에 영향

정점별 표층퇴적물 강열감량의 차이... 정점별 표층퇴적물

• 요양기관은 피보험자에게 요양급여를 제공한 후 의료비 의 일부를 피보험자에게 본인일부부담금으로 청구하면 모든

▪ 중세 한국어와 현대 한국어의 격조사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

그는 진실을 공고히 하고, 엄격한 분석을 통해 객관화하여 스스로 가르침에 엄격하였다...

고대 한국어 문법의 면모를 이해할 수 있다 ... 고대 한국어의 문법이라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 ▪ 현대 한국어와 고대 한국어 격조사의

1) 고구려어 어휘는 중세 한국어와 대응되는 예가 적고 신라어와 백제어의 어휘가 대부분 중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