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Study on Strategy for Activation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Study on Strategy for Activation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모바일 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연구

A Study on Strategy for Activation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1)

김태훈*ㆍ황정래**ㆍ이상훈***ㆍ나준엽****

Kim, Tae Hoon⋅Hwang, Jung Rae⋅Lee, Sang Hoon⋅Na, Jun Yeop

要 旨

최근에 공간정보의 활용 분야가 도시계획, 시설물 관리, 교통서비스 등의 활용 서비스에서 환경오염, 자원확보, u-City 등의 새로운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공간정보 활용의 중 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공간정보기반 구축 및 관련 정책 개발의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있는 모바일 공간정보분야 에 대한 현황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으로서 공공부문의 역할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 모바일 공간정보기반 구축방안 및 활성화를 위한 단계적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핵심용어 : 모바일, 공간정보, 활성화, 정책

Abstract

The application area of spatial information such as urban planing, facility management, traffic service are expanded to new service area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securing resources, u-City. In particular, the increased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in mobile environment based on smart phone, a mobile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nd related strategy suggestions to provide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derived strategy suggestions to foster the next generation strategic industry and proposed the role of puclic sector, the development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the construction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the stepwise strategies.

Keywords : Mobile, Spatial Information, Activation, Strategy

1. 서 론

최근 기존의 공간정보가 활용되던 토지정보, 도시계 , 건물 및 시설물 정보, 자원관리, 교통․물류 등의 분 야와 함께, 전 세계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인 지구온 난화, 환경오염, 자원확보 등에 대해 공간정보의 활용 이 나날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의 글로벌 메이저 업체 및 국내의 다음, 네이버 등 포 털 업체가 적극적으로 공간정보분야에 진출하면서 공 간정보산업의 대중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기존 웹기 반의 공간정보서비스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공간정보 활용의 중요성 및 시장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Figure 1 및 Table 1 참조).

(출처: 동양종합금융증권 리서치센터)

Figure 1. Estimated domestic smartphone sales

2012년 4월 12일 접수, 2012년 6월 1일 채택

* 교신저자ㆍ정회원ㆍ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수석연구원(kth@kict.re.kr)

** 정회원ㆍ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수석연구원(jrhwang@kict.re.kr)

*** 정회원ㆍ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수석연구원(sanghoon@kict.re.kr)

**** 정회원ㆍ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수석연구원(naz@kict.re.kr)

연구논문 http://dx.doi.org/10.7319/kogsis.2012.20.2.039

(2)

Table 1. LBS domestic market

(단위: 억원)

구분 ‘08 ‘10 ‘12 ‘15

산업규모

추정예산 4,560 8,500 16,899 47,371 출처: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KAIT)의 보고서, 2009

이에 우리나라는 차세대 공간정보 서비스(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실감형 대용량 공간정보, 사용자 맞춤형 공간정보 등)의 발전․확산에 따라 국토해양부에서 2009 ‘공간정보산업 진흥법’을 제정하고, 2010년 ‘제4차 국가공간정보 기본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국민 모두가 공간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R&D 연구 및 정책연구 등을 수행중 에 있다. 또한 디지털국토를 실현할 수 있는 정보통신 기술과 NGIS 기본계획 및 관련 연구개발을 통해 핵심 공간정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 으나, 모바일 공간정보 환경에서의 다양한 사용자 맞춤 형 공간정보 서비스를 위한 공간정보기반(SDI: Spatial Data Infrastructure)과 관련기술의 표준화 및 정부의 정책지원 등은 실질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또한 기존에 수행된 기본공간정보 및 모바일 공간정 보정책 관련연구를 살펴보면 국내의 국가공간정보기반 활용성 강화를 위해 처방적 NSDI로 발전시켜 나아가 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고(2008, 김은형), 홍상기와 안 종욱(2006)은 기본지리정보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바 있으며, 공간정보의 활용 활성화를 위한 국 가지리정보유통망 프레임워크의 정비와 기능 개선 제 (신동빈 등, 2007) 및 IT기술과 서비스의 융합을 통 한 모바일 GIS 발전방향(2010, 김상봉)을 제시한 바 있 . 모바일 공간정보 기술 관련 연구로는 상하수도 유 지관리업무를 위한 모바일 시스템 구축(2004, 이현직 ) 및 모바일 GIS를 이용한 GIS 데이터 갱신방법을 연구한 바 있으며(2007, 전재용과 조기성), RIA(Rich Internet Application)를 기반으로 모바일 환경에서도 데스크톱 환경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안(2009, 이재일)과 무선 네트워 크를 이용한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동기화를 통한 최 신의 공간 데이터 제공 시스템 개발(2009, 김홍기) 등 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정책 및 기술개발 관련 연 구를 조사․분석한 결과에서도 모바일 공간정보 활성화 를 위한 거시적 정책방향 정립 및 세부추진 전략설정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모바일 공간정보의 정의 및 추 진사항을 조사하고, 모바일 공간정보 앱/웹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파악하며,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공간정 보 서비스, 모바일 공간정보 SDI 구축방안, 모바일 공 간정보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추진전략 등 활성화 방안 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모바일 공간정보의 정의 및 국내외 추진현황 분석

2.1 모바일 공간정보 정의

모바일 공간정보는 스마트폰, PDA 등 휴대용 단말 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공간과 관련된 자료를 수 집, 저장, 분석, 출력, 활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 인프라 및 컴퓨터 응용 시스템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자면 지 형공간에 관한 모든 정보를 모바일 기기 혹은 연계 서 버에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적인 제약 없이 공간 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이동 중에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말한다. 이러 한 모바일 공간정보는 GIS 기술, Mobile 하드웨어기술, GPS, 무선통신기술이 통합된 정보기술의 집합체로서 기존의 데스크탑 GIS에서 제공하던 기존정보시스템에 대한 클라이언트로서의 역할을 휴대정보기기를 통해 수행하는 것으로서, 시간적․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업무의 수행시간, 장소의 독립성, 이용편의성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수준높은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 모바일 GIS 플랫폼이 필수적이다. 모바일 GIS 플랫 폼은 모바일 단말기(휴대폰, PDA, UMPC, 스마트폰 )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 기반의 주변 위치검색, 공간분석, 정보조회 등의 기능을 사용 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OGC에서 제시한 지도표준 서비스(Web Feature Service(WFS), Web Map Service(WMS), Open Location Service(OpenLS))를 준수하고, 다양한 모바 일 GIS 서비스에서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Open API로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 분야 에서 손쉽게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한 단말 응용프로그램 개발 시 모바일 GIS 플랫폼의 WFS, WMS와 연동할 수 있는 컴포넌트를 제공함으로 써, 별도의 모바일 단말 소프트웨어없이 개발할 수 있 도록 지원하기도 한다.

2.2 국내외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 현황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GIS 업체 중 하나인 미국의 ESRI에서는 스마트폰용 모바일 엔진 플랫폼을 개발 중에 있다.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위한 모바일 서

(3)

Figure 2. ESRI smartphone mobile engine

Figure 3.Example of mobile service in the foreign public sector(SpotCrime-Crime prevention/safety field)

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우선 아이폰과 아이패드 에 적용하기 위해 iOS에서 구현을 하고 그 다음에 안 드로이드 프로요 OS에서의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미국 및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의 정부 및 지자 체에서는 보안 및 방범안전, 민원, 교통 및 물류, 문화 관광 등의 분야에서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용 애플 리케이션 개발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배포함으로써 도 시경쟁력 강화 및 시민의 생활편의성 향상에 힘쓰고 있 . 다음 Figure 3은 유럽 및 북미지역의 도시별 범죄사 건 기록 데이터를 시민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사례이다.

국내에서는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사업 중 일부로서 모바일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위치기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활용지원 부분을 개발하였는데, 다음 Figure 4와 같이 스마트폰 환경을 고려한 응용프로그램 작성 지원환경 구성을 위한 기본기능 개발 및 스마트폰 용 지도활용 공통모듈 배포체계를 구축한 바 있으며, Figure 5와 같이 인허가 가능지역 진단서비스, 뚜벅이 안전길 안내서비스 등 시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다양한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를 구축한 사례가 있는데, 특히 기존의 웹서비스를 모바일 포털 등으로 옮겨와 제공하는 사례

Figure 4. Smartphone support function using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Figure 5. Example of mobile service using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도 많았으며, 주요 공공기관에서 특정 서비스를 위해 모 바일 공간정보 DB 및 서비스를 구축한 사례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서울시에서는 Figure 6과 같이 8대 분야 42개 서비스 분야(교통, 취업, 문화, 시설예약, 세금납부, 위치정보, 참여, 시정정도 등)에 대해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포털 m.Seoul 702서비스를 개발하여 시민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2010년 3월 기준으로 방문 자수 53만명, 페이지뷰 500만건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Figure 6. m.Seoul 702 service

(4)

2.3 현황분석 및 문제점 파악

기존 공공 및 민간부문의 공간정보 앱/웹 현황을 국내 외적으로 살펴본 결과 일단 공공부문에 있어서 국내에 서는 공공기관이 직접적인 공간정보 웹/앱 개발을 추진 하고 있었으며, 유가정보, 교통정보, 여행정보, 위치정보 등의 내용에 대해 모바일 웹을 통한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에서는 공공주최하에 웹/앱 개발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공공부문 웹/앱 개발의 민간 개발을 장려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공공기관 및 자치단 체의 오픈 API가 다양하게 개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민간부문에 있어서는 국외에서는 단순한 위치정보제 공보다는 LBS(Location Based Service)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결합한 형태의 LBSNS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의 개발이 주를 이 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커뮤니케이션 및 게임적 요소를 가미하여 흥미를 이끌어 내고 있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국내에서는 국외와 마찬가지로 LBSNS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는 상황으로, 게임, 광고, 이벤트 등 상업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사업 수익성을 창출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모바일 앱의 행태로 제작되어 앱스토 어를 통해 제공 중이었으나 최근 일부 앱의 경우 이용 자의 동의 없이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등 사생활 침해 우려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황분석 결과 정책적 측면에서의 주 문제점 은 공공부문의 경우 단발적인 모바일 정책으로 인해 빠 르게 변화하는 모바일 시장 환경 및 사회적 수요를 반 영하기 미흡하고, 개인위치정보 및 개인정보 관련 보호 정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부문에 있어서 는 대기업의 강자독식적 정책(불공정 계약, 인력흡수 )으로 인한 중소기업의 발전 저해되고 있는 상황으로 분석되었다.

개발환경적 측면에서 공공부문의 경우 대부분 성과 위주, 전시적 성격의 일회성 앱/웹 개발이 이루어져 이 용자의 니즈(Needs)를 만족시킬 수 없어 외면당하고 있었으며, 특히 모바일 앱/웹 서비스의 비표준화는 모 바일 서비스 활성화 및 세계시장 주도권 확보를 저해하 는 요인중 하나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기관에서 구축한 DB를 폐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것과, 오픈 API의 부 족은 모바일 앱/웹 발전의 큰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산업부문의 경우 해외 앱/웹의 단순 한 모방 및 번역으로 개발하는 등 창의성 부족으로 인 해 국제경쟁력이 저하되는 상황이었으며, 폭증하는 인 력수요 대비 국내 개발자 공급은 수요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 및 신생기업 의 인력난이 심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3. 모바일 공간정보 활성화 정책 방안

이러한 상황을 조사․분석한 결과 모바일 공간정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변화하는 시장환경과 사회적 수요를 사전에 대비한 중장기적 전략을 수립하 고, 개인 사생활 침해문제와 관련한 그 개방수준과 보 호수준을 명확한 기준으로 규제해야 하며, 중소기업의 다양한 개발을 재정적, 정책적으로 지원함과 동시에 대 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을 도모할 수 있는 전략적 정책 수립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또한 현재까지 개발된 앱/

웹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 및 관리를 수행해야 하며, 특 히 정부를 비롯한 공공부문에서는 관련분야의 국제표준 및 공공 공간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공 오픈 API 의 개발을 추진하고, 국가공간정보 전문인력 양성사업에

‘앱개발자 과정’ 확산 및 온라인 교육지원․ 정보공유를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 등의 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추진해야 할 공공분야의 단기적, 중장기적 역할들은 다음의 Table 2와 같다.

이 중 우선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있는 공공부문의 주요 세 가지 역할로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 모 바일 공간정보 SDI 구축, 모바일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 한 단계별 추진전략 수립을 들 수 있다.

Table 2. Role of the Public sector for mobile spatial information activation

구분 단기 중장기

기술

VR, AR, 소셜미디어 와의 연계기술 개발

∙ 복잡한 인터페이스 간 략화

∙ 위치정확도 개선

∙ 실내외 공간정보 연계 서비스를 위한 기술 개

∙ 공간정보 속성DB에 대한 품질 개선

∙ 오픈 플랫폼 개발

인프

∙ 국가차원의 모바일 공 간정보플랫폼 및 인프 라 구축

∙ 오픈 API의 개발 및 적극적 홍보

∙ 공간정보 통합 서비스 (포털) 및 관리(전담기 구)

∙ 공공기관 위치데이터 오픈

표준 API나 DB, 플랫폼 등 의 표준화 시급

∙ 모바일 공간정보 관련 분야의 국내외 표준화 (서비스 포함)

법/

제도

∙ 공공 및 민간분야의 접근과 호환성을 위한 개방관련 제도 개선

∙ 개인정보 보호관련 법 제도 개선

∙ 공간정보 서비스 활성 화를 위한 로드맵 수립

∙ 개인정보 보호 관련법 률 지속 개선

∙ 수익정책 확립

∙ 모바일 공간정보 전문 인력 양성

∙ 품질인증 제도 도입

(5)

분류 적용업무 서비스 모델

도로/ 교통

∙ 물류․택배

∙ 도로․교통시설물 점검

∙ 화물차량 운행지원

∙ 도로표지판 현지조사

∙ 가로등 관리

∙ 가로수 관리

GIS 및 GPS 시스템 기반의 실시간 무선 교 통정보서비스

∙ 버스정보시스템/ ITS

∙ 실시간 무선 화물 추 적․조회

∙ 도로․교통안전시설물 현장점검

건강/ 의료

∙ 진료기록 관리

∙ 전자처방서비스

∙ 긴급 의료지원 서비스

∙ 의료행정지원 서비스

∙ 병원회진지원서비스

∙ 원격의료서비스

언론/ 출판

∙ 현장 취재기록의 긴급 원격 문서전송 서비스

∙ 원격 자료 검색 서비

∙ 현장취재 지원서비스

eBook 서비스

∙ 모바일 투표, 여론조사 서비스

문화/ 관광

∙ 관광지 정보제공

∙ 숙박시설 정보제공

∙ 농촌 체험 및 알리미 정보 제공

∙ 자치단체 홍보

∙ 골프장 공략정보 서비

∙ 등산 관광가이드 서비

∙ 모바일 관광정보서비

교육

∙ 대학의 종합정보 제공

∙ 수강신청, 성적조회, 증명서 발급

∙ 모바일 캠퍼스

∙ 모바일 도서관시스템

∙ 모바일 학사관리시스

행정

∙ 주․정차, 법규위반 단

∙ 현장에서 처리하는 자 치행정업무 서비스

∙ 새주소업무

∙ 도로명판 및 건물번호 판점검

∙ 모바일 행정서비스

∙ 주정차 단속시스템

∙ 체납관리시스템

∙ 농수산물 가격조사

∙ 소비자물가 조사

소방/ 방재

∙ 재해정보 모바일 서비

∙ 하천수위관리

∙ 모바일 재해정보 제공 서비스

∙ 모바일 소방관제시스

시설

∙ 정전/배전관리

∙ 계량기 검침

∙ 모바일 시설물 위치 및 이력정보서비스

관리 ∙ 시설물 관련정보 현장 제공

∙ 스마트폰 기반 상수도 검침

주택 ∙ 매물시세 및 상권분석 정보관리

∙ 모바일 부동산정보제 공 서비스

건설

∙ 준공검사/공사관리

∙ 견적서

∙ 건설현장 상황 즉시 전송

∙ 모바일 건설설계 및 시 공 지원 서비스

∙ 지반정보 실시간 자료 획득 시스템

환경

∙ 수질조사

∙ 야생동물관리

∙ 산불감시

∙ 오염원정보 추적

∙ 모바일 환경정보 제공 서비스

∙ 산불감시 모니터링 및 정보제공

군사

∙ 부대이동 경로

∙ 작전수행

∙ 작계 지역내 진지구축 이력관리

∙ 최적보급경로 설정

∙ 전사자/부상자의 신원 확인

∙ 스마트폰 및 PDA를 이용한 출입자관리 시 스템

해양/

항공

∙ 선박, 비행기 이동 모 니터링

∙ 해양연구 자료취득

∙ 위성항법시스템

∙ 모바일 해양정보 제공 서비스

3.1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

모바일 공간정보의 상용화 및 사업화를 위해서는 다 Table 3과 같이 다양한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모 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도로/교통, 소방/방재, 행 ,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의 온라인성격의 서 비스를 모바일 분야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국가공간정 보와최신 IT기술과의 결합은 현재의 수동적인 공공서 비스를 능동적이며 지능적인 서비스로 한단계 발전시 킬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Table 3.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odel

3.2 모바일 공간정보 SDI 구축

또한 모바일 공간정보의 정착을 위해서는 기존에 구 축된 공간정보 및 신규구축될 공간정보를 모바일에 특 화되어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현재 정부는 국가공간정보 SDI의 효율적 구축 및 활 용을 위하여 2006년 국가공간정보체계 시범연구(국토 해양부)를 수행한 바 있으며, 2009년부터 본격적인 ‘국 가공간정보통합체계사업’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지속적 으로 추진 중에 있다.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의 사업목표 시스템은 다음 Figure 7과 같으며, 공간정보인프라(국가공간통합DB)

(출처 :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홈페이지(http://www.nsdi.go.kr)) Figure 7. Configuration of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system

(6)

Figure 8. DB configuration of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

는 Figure 8과 같이 크게 기본공간정보, 임상도, 연안정 보도, 문화재보존지도, 기타 지형지물, 메타데이터로 구 성되어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 2차 시범사업과 2010년도 확산사업을 통해 전국 기본공간정보와 기타 지형지물의 구축을 완료하였으며, 현재 지자체가 보유 하고 있는 지적, 용도지역지도, 도로, 새주소 레이어의 현행화를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를 통해 취합된 공간정보는 데이터의 품질문제로 인해 모바일 서비스 에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데이터의 재정비 및 스타일링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 . 특히 다음 Figure 9와 같은 도형데이터의 불일치, 누락, 속성정보 오기 등은 데이터 품질향상과 관련해서 받드시 수정보완해야 될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를 위해서는 별도의 추가 보완 작업을 거쳐 공간데이터의 품질을 확보해야 하며, 다음 Figure 10과 같은 품질확보를 위한 프로세

Figure 9. Examples of national spatial data error

Figure 10. Key process of spatial data quality management

Figure 11. Level definition of tile image for mobile spatial infomation services

스가 동시에 선행되어야 한다. 주요 프로세스는 데이터 의 품질관리 프로세스 정의, 품질지표 및 업무규칙 도 출, 품질관리체계 구축방안 수립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표준화된 방법으로 모바일 환경의 공간정보를 구축해야 하고,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사실상의 표준으 로 활용되는 OGC 표준(WMS, WFS, WPS, OpenLS 등)으로의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매쉬업 및 OpenAPI 등의 서비스 제공을 수행해야 한다.

상세한 제안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기반 타일 이미지 사이즈는 128*128pixel로 정의한다. 둘째, 각 확대/축소 레벨은 디렉토리로 구성하며, X축 타일과 Y축 타일은 이의 서브디렉토리로 구성한다. 셋째, 확대 /축소 레벨은 다음 Figure 12와 같이 0-18 레벨로 정의 하여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해야 한다.

이렇게 구축된 모바일 공간정보 인프라는 모바일 클 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위치기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Open Location Service(OpenLS)를 통해 제공될 수 있 . OpenLS에서는 경량화 양식(XLS)을 적용한 디렉토 리서비스를 제공하며, 모바일 GPS 지원 단말의 정보에 서비스를 접근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구축․운영중에 있다.

3.3 모바일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추진 전략 수립

빠르게 변화하는 모바일 및 공간정보 환경에 대응하 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모바일 공간정보 기술발전 활성 화를 위한 Life Cycle을 Figure 12와 같이 도출하였다.

1단계에서는 모바일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기초계획 을 수립하고, 2단계에서는 모바일 공간정보 기술발전을 위한 표준화를 추진하며, 3단계에서는 모바일 공간정보 인프라구축 및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4 단계에서는 모바일 공간정보 기술발전을 위한 활성화 방

(7)

Figure 12. Life cycle for the activation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Figure 13. Annual action plan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안을 마련하고 마지막 5단계에서는 미래지향적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를 발굴하는 것으로 모바일 공간정보 기 술발전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Life Cycle을 완성하였다.

또한 모바일 공간정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다음 Figure 13과 같이 세부적인 연차별 실행계획을 제시하 였다. 특히 공공정보 개방과 같은 국가적 정보화 이슈 를 반영하기 위하여 국가공간정보의 공공자원화 및 연 차별 실행과제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질적인 형태의 모바일 공간정보를 손쉽게 상호운영하기 위하여 표준 화전략 수립도 포함하였다.

4. 결 론

현재 국내 공간정보관련 시장현황은 쇠퇴하고 있으 며 관련 업계 등 산업기반이 기존에 비해 많이 취약해 진 상황이다. 이는 NGIS 1, 2, 3차 기본계획을 통해 대 규모 DB구축사업과 시스템개발로 산업 활성화를 이룩

하였으나, 후속적인 사업모델 개발의 실패와 민간산업 육성의 미흡으로 인한 결과이다. 때문에 급성장하는 스 마트폰 시장을 기반으로 기존에 구축된 국가 NSDI의 활용성을 제고하고, 다시 국내 공간정보산업을 부흥시 킬 수 있도록 산학연관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 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모바일 공간정보 추진현 황을 살펴보았으며,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으로는 활성화를 위한 공공 부문의 역할을 도출하였으며,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과, 모바일 공간정보인프라(MSID) 구축 방안 및 활성화를 위한 단계적 추진전략도 제시하였다. 모바일 공간정보는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있 는 경쟁력 있는 아이템으로서 국토해양부 및 방송통신 위원회를 비롯한 다양한 공공부문의 지원을 밑바탕으 로 전자, 통신 업체등과의 연계를 통해 시장활성화 및 해외수출까지 추진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 첨단도시기술개발사업 - 지능 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과제의 연구비지원(06국토정 보B01)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참고 문헌

1. 국토해양부, 2010,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2. 국토해양부, 2010,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표준인터페 이스 규격“.

3. 국토해양부, 2011, 공공부문 모바일 공간정보 활용 활 성화 지원방안 연구.

4. 김상봉, 2010, “3차원기술 현황 및 모바일 GIS발전 방 향”, 2010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집, pp.320-344.

5. 김은형, 2008, “The Prescriptive NSDI Model,” 한국 GIS학회지, 제16권 제4호, pp.499-511.

6. 김홍기, 2009, “모바일 환경에서 필드 업데이트를 지원 하는 시공간 데이터의 양방향 동기화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지, 제14권 제4호, pp.

909-916.

7. 신동빈, 김동한, 박시영, 안종욱, 2007, “활용활성화를 위한 국가지리정보유통망 고도화 방안 연구”, 한국지형 공간정보학회지, 제15권 제4호, pp.21-29.

8. 이재일, 2009, “모바일 환경을 위한 RIA 기반 공간 데이 터 서비스",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지, 제11권 제4호, pp.56-64.

9. 이현직, 박기석, 유지호, 2004, "상하수도 유지관리업무

(8)

를 위한 모바일 시스템 구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2권 제3호, pp.69-78

10. 전재용, 조기성, 2007, “모바일 GIS를 이용한 Point 및 Line형 데이터 갱신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 보학회지, 제15권 제3호, pp.3-10.

11. 홍상기, 안종욱, 2006, “기본지리정보 활용 활성화방안 연구”, 2006 RS/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41-258.

12.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홈페이지, 2012, http://www.nsdi.go.kr.

수치

Figure 1. Estimated domestic smartphone sales
Figure 3. Example of mobile service in the foreign public  sector(SpotCrime-Crime prevention/safety field)
Table 2. Role of the Public sector for mobile spatial  information activation  구분 단기 중장기 기술 ∙ VR, AR, 소셜미디어와의  연계기술  개발 ∙ 복잡한  인터페이스  간 략화 ∙ 위치정확도  개선  ∙ 실내외  공간정보  연계서비스를 위한 기술 개발∙ 공간정보 속성 DB에 대한  품질  개선 ∙ 오픈  플랫폼 개발  인프 라 ∙ 국가차원의  모바일  공간정보플랫폼  및  인프라  구
Table 3.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odel
+3

참조

관련 문서

유아가 현재 가지고 있는 지식과 경험에 기초하여 새로운 개념과 기술을 획득하고 다양한 경험을 통합할 수 있도 록 내용을 선정한다.. 교육내용은 탐구할 가치가

● 중소기업이 ①「중소기업기본법」의 규정에 따른 중소기업 외의 기업과 합병하는 경우 ②유예 기간 중에 있는 기업과 합병 ③독립성기준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r]

[r]

z 변수계수를 갖는 선형미분 방정식을 풀이하는 표준적인 방법인 변수계수를 갖는 선형미분 방정식을 풀이하는 표준적인 방법인 power series method (멱급수

특히 본 과정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사회 문제를 분석하고, 모바일 솔루션을 개발하 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특히 본 과정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사회 문제를 분석하고, 모바일 솔루션을 개발하 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인간의 행동에 대한 지식 을 활용하여 우리는 간호팀의 각 구성원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개발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부 서와 간호직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