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 논문으로 제출함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 논문으로 제출함"

Copied!
7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부모(父母)의 양육태도(養育態度)와 아동화(兒童畵)의 상관성(相觀性)에 관한 연구(硏究)

지도교수 권 여 현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 논문으로 제출함

2002년 6월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미술교육전공

안 유 신

(2)

- 목 차 -

국문초록...ⅴ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1

2. 연구의 목적...3

3. 연구의 내용...4

4. 연구문제 및 가설...5

5. 용어의 정의...6

6. 연구의 제한점...6

Ⅱ. 이론적 배경 ...7

1. 부모의 양육태도(

養育態度)

이론...7

2. 아동미술의 심리적 행동적 표현유형의 연구...9

1)발달심리학적(發達 心理學的) 관점 2)정신분석학적(精神 分析學的) 관점 3. 아동화의 표현 내용에 의한 심리분석 통계분류...16

Ⅲ. 연구 방법 ...24

1. 연구 대상...24

2. 검사 도구...25

3. 연구 절차...27

(3)

4. 자료처리 통계방법...28

Ⅳ. 결과 및 해석 ...29

1. 부모의 양육태도(

養育態度)

및 양육상황과 아동의 성격 및 행 동과의 관계...29

2. 부모의 양육태도(

養育態度)

와 아동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특징 과 의 연관성...30

3. 거부적 양육태도(

養育態度) 집단 아동의 개인별 그림분석...34

4. 논의...43

Ⅴ. 결론 및 제언 ...44

1. 아동미술에 대한 부모의 바람직한 양육태도...44

2. 미술교사의 지도 방안 (학습 지도안)...45

참고 문헌...50

부록 1. 설문지...53

2. 아동화의 표현내용에 의한 심리분석 연구...60

영문초록...64

(4)

표 목 차

<표Ⅰ-1> 아사리“무조건테스트” ...23

<표Ⅱ-1> 질문지 활용사항 ...24

<표Ⅲ-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질문지 구성 내용 ...26

<표Ⅳ-1>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성격적 행동적 특징 분석...29

<표Ⅳ-2>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성격 및 행동과 그림분석과 의 상관성...31

<표Ⅳ-3>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성격 및 행동과의 관계와 그림 분석과의 상관성...32

<표Ⅴ-1> 1차 본시 학습지도안(1/3) ...50

<표Ⅴ-2> 2차 본시 학습지도안(2/3) ...51

<표Ⅴ-3> 3차 본시 학습지도안(3/3) ...52

<도-1>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8

(5)

그림 목차

그림[Ⅰ-1] 수용적 양육태도 집단의 대표적인 그림...34

그림[Ⅰ-2] 거부적 양육태도 집단의 대표적인 그림...35

그림[Ⅱ-1] 거부적 양육태도 집단 아동의 개인별 그림 분석 ...36

그림[Ⅲ-1] 동일, 7세 (남)...37

그림[Ⅳ-1], [Ⅳ-2] 동일, 6세 (남)...38

그림[Ⅴ-1], [Ⅴ-2] 동일, 7세 (남)...39

그림[Ⅵ-1], [Ⅵ-2] 동일, 7세 (남)...40

그림[Ⅶ-1], [Ⅶ-2] 동일, 6세 (남)...41

그림[Ⅷ-1], [Ⅷ-2] 동일, 7세 (남)...42

(6)

국문초록

가정은 인간의 발달과 사회성 및 정서를 포함한 성격 형성에 결정적인 역 할을 하는 심리적 과정을 포함한 인적환경이다.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는 아동의 교육에 긍정적 영향을 주기도 하며,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그러므로 유아기에 있어서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와 양육상황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이후 급속한 산 업발달과 경제성장과 더불어 여성의사회진출이 증가되었고, 이에 따라 맞 벌이 부부가 늘어가고 있다. 요즈음 우리사회에서 문제시 되고있는 것 중 의 하나가 젊은 부부의 이혼율의 증가이다. 이는 곧 가정이 본래의 기능 을 다하지 못하여 자녀의 사회적 부적응, 불안, 비행성 등 반사회적 행동 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아동기의 중요한 시기에 부모와 의 상호교감과 정서적 안정을 찾지 못하는 아동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적 측면에서 아동의 전 영역의 발달에 있어서 가정과 부모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가정환경요 인중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에 따른 아동의 성격과 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아동집단을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養育態度)와 거부적 양육 태도(養育態度)집단으로 크게 구분하여 그에 따른 아동의 성격 및 행동을 살펴보았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별 아동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주제 및 색채, 형태 등과 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와 아동화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아 동의 그림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아동기의그림과 관련되는 인적환경을 밝 힘으로써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보다나은 아동의 성장 과 더불어 미술교육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문제(硏究問題)는 다음과 같 다.

1.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 는 아동의 성격 및 행동과 연관성이 있는 가?

2.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 가 아동의 성격 및 행동에 영향을 준다면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성격 및 행동의 연관성(硏官性)은 아동의 그림

(7)

(주제, 색채, 형태)과 상관성이 있는가?

본 연구의 표집 대상은 서울시내 강북에 소재 하고있는 3개의 아동미술교 육기관 의 취학 전 아동(5,6,7세 100명)을 대상으로 표집 하였으며, 실제 연구에 분석된 대상자수는 남자 50명, 여자 38명 전체 88명과 그들의 부 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지 와 학 부모용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 검사 질문지 교사용 아동의 성격 및 행동검 사 질문지이다. 아동용 질문지는 아동에게 자기 보고식 질문지로 부모에 대하여 경험하는 온정과 사랑 공격성과 적대감 무시와 무관심 및 미분화 된 거부에 대하여 아동의 생각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학부모용 질문지는 1998년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 동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와 본 연구자가 직접 여러 선생님들의 의견을 모아 작성하였다.

교사용 아동의 성격 및 행동검사 질문지는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情 緖的 不適應 行動)을 측정하는 것으로써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판별도구 는 아켄바(Achenbach,1978)가 제작한 아동의 행동에 관한 질문지와 퀘이 (Quay,1972)가 제작한 정서적 부적응 행동(情緖的 不適應 行動)용 질문지 를 참고로 제작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성격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그림 에 있어서도 공통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 수용적(受容的) 양육태도 집단의 아동의 성격 및 행동과 그림 분석

①온순하고 다정다감하며, 그림에서 따뜻한 계열의 색을 많이 사용한다.

②밝고 명랑하며, 그림에서 색채사용이 자유롭다.

③의욕적이며, 높은 사회성을 띄며, 그림에서 일반적이고 다양한 주제표현 이 관찰된다.

④교사의 말을 잘 따르며, 그림에서 안정감 있는 구도와 전체적인 분위기 가 밝으며, 인물의 표현이 자연스러우며, 얼굴표정도 밝고 명랑하다.

(8)

* 거부적(拒否的) 양육태도 집단의 아동의 성격 및 행동과 그림 분석

①친구들과 잘 다투고 어울리지 못하며, 그림에서 검정색, 회색을 선호한 다.

②친구를 잘 때리는 등 공격적이고, 그림에서 보라색, 남색의 어두운 색만 을 고집한다.

③교사에게 “싫다”는 말을 잘 하며 그림의 주제도 전쟁, 대포, 권총 등이 관찰된다.

④반항적이거나 내성적이고, 그림에서 인물의 표현이 미약하다.

⑤매사에 의욕이 없다. 그림 전체가 어둡고 뾰족하거나 각(角)이진 형태가 관찰된다.

연구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受容的)일수록 아동의 성격적 행동 적 반응은 긍정적이며, 거부적(拒否的)일수록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 다.

그러나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受容的)이라고 해서 반드시 그림을 잘 그리는 것은 아니었으며, 다만 그림에서 나타나는 색채, 형태, 주제에 수 용집단에서의 공통적인 특징들이 발견되었고, 부모의 미술교육에 대한 관 심이 높을수록 아동의 미술활동도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거부적(拒否的)이라고 해서 반드시 그림을 못 그 리는 것은 아니었다. 본문의 「거부적(拒否的) 양육태도 집단 아동의 개인 별 그림분석 37, 42p」에서 보듯이 그림의 표현력이 뛰어나고 개성이 있 는 훌륭한 그림이 있었다.

다만 그림에서 나타나는 색채, 형태, 주제에 있어 거부적(拒否的) 양육태 도 집단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그림의 특징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말하고자하는 것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아동이 그림을 잘 그리느냐 못 그리느냐에 초점을 둔 것이 아니다.

부모의 양육태도별 그림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아동의 정서적, 심리적, 성 격적, 행동을 연구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受容的)일수록 아동 이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아동의 전 영역에 있어 교육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부모의 역할 및 양육태도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9)

Ⅰ. 서 론

가정은 인간형성의 장으로서 가장 중요한 환경이다. 특히 인간의 발달과 사회성, 정서를 포함한 성격 형성은 부모가 자녀를 양육할 때 갖게 되는 양육태도(養育態度)에 의해 결정되어진다고 볼 때, 부모의 양육태도(養育 態度)는 더욱 큰 의미를 갖는다.

본 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 내용, 연구 문제 및 가설, 용 어의 정의, 연구의 제한점 등을 살펴볼 것이다.

1. 연구의 필요성

핵가족화와 여성의 사회진출의 급속한 증가 등으로 부모 역할에 어려움이 있지만, 자녀 양육을 통한 부모의 역할은 가족관계의 기본이 되고 자녀와 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인간 형성은 유전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볼 때, 교육에 있어서 환경은 대단히 중요하다. 개체에 영향을 미치는 환 경으로는 가정 환경, 학교 환경, 사회환경을 들 수가 있다. 이 가운데 가 정은 인간이 태어나 최초로 경험하는 가장 기초적 단위의 사회 환경이며 가족 구성원과의 생활을 통하여 인간관계를 배우는 곳이다. 또한 가정은 인간의 발달과 사회성 및 정서성을 포함한 성격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하 는 심리적 과정의 인적 환경이다. 이러한 인적 환경은 부모가 자녀를 양 육할 때 갖게 되는 양육태도(養育態度)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고 할 수 있 다.

양육하는 자의 가치관이나 태도, 지도방식은 때때로 아동의 미술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하며,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유아기는 인간의 발달과정 중 가장 역동적이며 급속한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로서 인간발달의 기초적이고 결정적인 시기이다.

아동은 태어나면서 부모를 접하게 되며 특히 어머니는 아동과의 매일 매 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도 담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아동이

(10)

초기에 가정에서 접하는 어머니의 지도방식은 아동의 전반적인 영역 발달 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성인이 될 때까지 부모에게 보호를 받으면서 성장하고 생활하므로 부모의 인격적인 행동과 부모가 자녀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교육관 및 그가 성장하고 있는 가정환경에 따라 일련의 과정에 중요한 영 향을 받는다. 아동의 발달은 유전적인 기초와 아동이 자라난 외부 환경과 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 발달과 경제 성장은 가정 환경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리하여 가정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거나 약화되어 자 녀의 사회적부적응, 불안, 비행성 등 반사회적 행동이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가정이 핵가족화 되면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요즘 젊은 부부들의 이혼율의 증가는 아동의 중요한 시기에 부모와의 상호 교 감과 정서적 안정을 찾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한국의 현대 가정은 원만하지 못한 가정이 점차 늘어감에 따라 어린 아동이 어머 니의 보살핌을 받지 못하고 할머니 또는 할아버지 외에 기타의 양육환경 에서 성장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부부간의 다툼이나 그 밖의 스트레스 로 자녀에게 대하는 태도가 부정적인 사례도 찾아볼 수 있었다.

우리 나라에서 부모와 자녀에 관련된 연구가 시작된 것은 1960년대 경부 터이다. 부모의 양육 환경 또는 양육상황에 따른 아동교육에 관한 연구는 모두 가정학이나 유아교육, 교육심리학과에서는 이루어졌지만 미술교육에 서는 아동의 미술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환경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 어 진 바 가 없었다.

아동교육에 있어 지식중심의 교육도 중요하겠지만 아동의 정의적 교육도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가정이나 유아미술교육 기관에서의 세심한 배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 환경 요인 중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에 따른 아동의 성격과 행동을 살펴보고 대상 아동의 집단을 부모의 수용적 양육 태도(養育態度)와 거부적 양육태도(養育態度)로 크게 구분하여 그에 따른 아동의 성격 및 행동을 살펴본 후 아동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주제 및 색

(11)

채 형태 등과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 度)및 양육 상황이 아동의 그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아동의 그림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함이다. 또한 아동기의 그림과 관련되는 인적환경 을 밝힘으로써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보다 나은 아동의 성장과 더불어 미술활동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2. 연구 목적

이상과 같은 취지에 입각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미술에 영향을 주는 인적 환경을 밝혀내고 바람직한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를 이끌 수 있 는 교육적 시사점을 찾아 아동미술교육 발전에 중요한 자료를 얻기 위함 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 여러 학자들이 연구한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 이론을 살펴보고 교육적 가치를 탐구한다.

나. 서울시내 유치원 및 유아미술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질문지를 통하여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 및 양육상황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연 구한다.

다.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는 아동의 성격 및 행동과 어떠한 연관성 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아동의 그림과의 상관성을 밝혀낸다.

라. 아동미술교육에서 부모 양육태도(養育態度)의 중요성을 탐구한다.

마. 부모의 바람직한 양육태도(養育態度)를 이끌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 을 연구한다.

바. 아동 미술에 영향을 주는 인적 환경의 가치를 인식하고 바람직한 교 사의 지도 방안을 모색한다.

(12)

3. 연구 내용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아동의 가정환경 중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 및 양육상황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아동이 처한 인 적 환경과 아동미술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아동미술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자 다음과 같이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가. 아동의 성격 및 행동 에 영향을 주는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에 관한 문헌을 연구한다.

나. 아동용 설문지와 학부모용 설문지를 작성하여 각 아동의 부모의 양육 태도(養育態度)및 양육상황을 측정한다.

다.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를 수용적-거부적 양육태도(養育態度)로 구분하여 이 두 집단간 의 아동의 성격적 행동적 특징을 연구한다.

(집단간 비교실험)

라.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와 관련된 아동의 성격 및 행동과 아동화 에 나타난 주제 및 색채 형태와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마. 몇몇의 정서적 부적응아(不適應兒)를 대상으로 개별적 그림분석을 한 다.(개별 분석실험)

바. 아동의 성장발달과 바람직한 미술교육을 위한 부모의 양육태도(養育 態度)를 이끌 수 있는 지도방안을 모색한다.

사. 현대 가정의 성격변화로 아동미술교육기관의 교사들의 역할 또한 중 요하다. 따라서 미술교사는 아동에게 어떤 자세로 교육에 임해야하는 지 바람직한 교육 지도방안을 모색한다.

(13)

4. 연구 문제 및 가설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의 중요성을 규명하기 위한 아동의 인적 환경 에 따른 성격 및 행동적 특징과 아동화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정 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는 아동의 성격 및 행동과 연관성이 있는 가?

나.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 가 아동의 성격 및 행동에 영향을 준다면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와 아동의 성격 및 행동의 연관성은 아동 의 그림(주제, 색채, 형태)과 상관성이 있는가?

※ 가설

가.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는 아동의 성격 및 행동과 연관성이 있을 것이다.

나.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와 아동의 성격 및 행동의 연관성은 아동 화에 나타난 주제, 색채, 형태와 상관성이 있을 것이다.

5. 용어의 정의

본 연구에 사용된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14)

가. 양육태도

양육태도(養育態度)란 부모가 자식을 대하는 언어, 행동, 표정, 마음 쓰 임 등 포괄적인 행동양식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러너(Rohner,1984)의 연구를 참조하여 수용적 양육태도(養育態度)와 거부적 양육태도(養育態 度) 2가지로 제한하여 정의하였다.

수용적 양육태도(養育態度)는 부모가 아동에게 입맞추기, 포옹하기, 귀여 워하기, 칭찬하기, 찬사하기, 좋은 점 말하기 등 육체적, 언어적인 양육 태도(養育態度)로 사랑과 애정을 보이는 행동이 포함된다.

거부적 양육태도(養育態度)는 부모가 아동에게 육체적, 언어적으로 상처 를 주는 것(공격성),부모가 아동에게 화를 내거나 분노를 느끼게 하는 것 (적대감),부모가 아동에 대하여 관심이 없거나 그들에게 최소한의 관심을 기울이는 것(무시, 무관심)등을 말하며, 부모가 그들로부터 온정을 철회 하거나 “사랑하지 않는다”고 아동이 느끼는 것도 포함된다.

6.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가.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조사, 비교 분석, 현장연구 등 다양한 방법 가운데 설문지에 의한 조사연구 방법에만 의 존 하였기 때문에 각 아동의 가정환경 요인중 부모의 양육태도를 확정 지어 다루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나. 본 연구의 대상 표집 이 서울시 강북지역에 소제한 아동미술 교육 기 관으로 국한되어 있으므로 연구 결과를 전국적으로 일반화하여 해석 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15)

Ⅱ. 이론적 배경

1.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

아동들의 인성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미치는 요인은 부모 자식간에 있어서 애정관계라고 할 수 있다. 또 부모와 자식간의 관계는 애정관계일 뿐만이 아니라 권위 복종관계이기도 하다. 아동은 부모의 애정에 의해서 보호받고 또 그것에 의존함으로써 안정감도 얻게 된다.

부모-자녀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이론화하기 시작한 것은 1910년대 에 프로이드(S. Freud)가 정신분석학을 발전시키면서부터였고 그 후 아들 프로이드(A. Freud)가 자기 아버지의 이론을 더욱 발전시켜 체계화하였 다.

부모-자녀관계 연구에 관심을 쏟게 한 역사적인 동인을 간단히 개관하면 크게 세 가지 흐름을 지적할 수 있다.1)

첫째는, 프로이드(Freud) 학파에 의한 초기경험의 중요성의 강조를 들 수 있다.

둘째는, 1930년대의 아동발달 연구자들이 지적 발달과 신체적 발달 사이 의 관계규명에 관심을 두다가 성격 발달 문제로 관심을 돌리고 나아가 부 모-자녀 관계에 관심을 두었다.

셋째는, 1921년 미국의 정신위생운동으로 가정에서 부모의 거부와 과보호 가 불량화의 원인으로 문제시되었다. 이 연구로 인하여 부모가 자녀를 어 떻게 다루느냐의 태도와 방법의 연구에 관심을 쏟게 된 계기가 되었다.

1930년대 말의 미국의 대표적인 연구자로서 사이몬(Symonds)을 들 수 있 다.

1965년에 시어스(Sears)는 부모의 교육방법, 양육태도(養育態度),양육상 황, 양육조건 등이 어린이의 인성발달에 기초적인 역할을 한다고 하였고, 쉴리반(Sullivan)도 인성발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의 영향이 라고 하였다.

1) 김재은, 「아동의 심리진단」,교육과학사, 1988.

(16)

현대에 와서 우리 나라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관한 연구”가 1980년대에 있었으며, 그밖에도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등의 논문들이 발표되면 서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있다.

이와 같이 볼 때,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역사는 비교적 최근 의 일이다. 1910년대의 프로이드(Freud)학파가 출생 후 어린이의 수유방 법, 대, 소변 가리기 등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라 아동의 성격과 행동이 달라진다고 주장한 이래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의 연구는 사이몬 (Symonds)에 이르러 과학적으로 체계화됨을 알 수 있다.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를 체계화한 사이몬(Symonds)은 자녀를 수용하 고 사랑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수용과 거부형으로 구분하고, 부모의 생각 대로 자녀를 지배하려 하느냐 자녀에 복종하려 하느냐에 따라서 지배와 복종형으로 배분한 다음 각 유형사이에 익애 방임 무시 잔인 등을 가 미시켜 < 도-1 > 과 같이 직교좌표로써 나타내었다.

지배

잔인 익애

거부 수용

무시 방임

복종

<도-1>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출처:P.M.Symonds.(1949)the dynam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N.Y:breau of publication.Teacherscollege,Colombia

2) 정양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논문, 2001년.

(17)

University),p.125.

발드윈(Baldwin,1955)은 30개 척도로 된 부모행동 평정 척도(父母行動 評定 尺度,fels parent behavior rating scales)를 실시한 결과 가정분 위기를 민주적(民主的)가정, 전제적(專制的)가정, 익애형(溺愛形)가정, 거부적(拒否的)가정 등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어린이의 성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민주적(民主的)가정 : 민주적 가정은 활동적 경쟁적 진취적 공격적이 고 통솔력 창의력 건설의욕 호기심 계획성이 많으며 잔인성 불복종 성 비 협조성의 경향이 많다.

전제적(專制的)가정 : 전제적인 가정에서 자라나는 어린이는 바르고 책임 감도 강하나 반항적 불복종 공격적 지배적인 경향이 많으며, 겁이 없 고 고집이 센 편이다.

익애형(溺愛形)가정: 창의력이 결여되고 열등한 사회적 지위를 감수하며, 근육의 활동이 서투르게 되는 경향이 있다. 내성적 비사교적으로 되며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집단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주성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거부적(拒否的)가정: 부모에게 무시당하는 어린이는 애정과 소속의 욕구 가 저지되어 심한 욕구불만에 빠지게 되며, 그 결과 거부성 투쟁성 열 등성 반항성 비진실성 등이 많아진다. 항상 부모나 교사를 난처하게 만 들고 가정의 불만을 사회에서 찾으려고 방황하다가 불량행동 문제행동을 하게 된다.

2. 아동미술의 심리적 행동적(心理的 行動的)표현유형의 연구

1)발달 심리학적(發達 心理學的) 관점

켈로그(R.Kellogg)는 어린이의 미술표현이 가지는 독특한 ‘내적인 논리

‘즉, 형태발달의 특수한 기법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유명하다. 예 컨대 그는 주로 2~4세 어린이의 10만 매 이상의 ’낙서‘를 분석하고, 여기 서 20개의 `기본 패턴’을 추출하였다.

(18)

켈로그에 의하면, 처음 점찍기 (1)로부터 시작해서 자연대상을 알아볼 만 한 상징적, 도식적 형태로 표하기까지에는 묘화 능력의 순차적인 전개의 증거가 뚜렷하다는 것이다.

20개의기본낙서패턴을 조합(組合,combine) 또는 결합(結合,agglomerate) 해서 6개의 기본 디자인(형상) 즉 십자, 사각형, 원, 비정형적 형상, 대 각 교차선 등을 산출시키며, 이후 곧 자연대상을 어렴풋이 알아볼 수 있 는 상징적 표현 (올챙이식 표현)이 시작된다는 것이다.

요컨대, 켈로그는 어린이의 회화적인 표현들은 근본적으로 근육 운동적 반영으로 나타난 초기의 단순한 낙서 적인 기본 디자인들로부터, 필요한 요소들의 결합 추가되어 점점 복잡한 형태로 ‘진화’한다고 보고있다.3) 발달심리학적 연구가 지금까지 제시하고 있는 아동미술 표현발달의 주요 특징은 대체로 다음의 다섯 가지 항목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어린이의 미적 표현은 나이에 따라 다른 특징을 드러낸다. 다시 말하면, 나이가 들어감에 따른 자연적인 성숙(또는 학습) 과 표현발달이 비교적 뚜렷하게 일반적 발달경향을 드러냄으로써, 발달의 어떤‘법칙성 (法則性)’같은 것을 찾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같은 연령의 아 동은 대개 같은 상징(象徵)을 거의 같은 방식으로 표현함을 발견할 수 있 다.

둘째, 어린이의 미적 표현에 있어서 복잡성의 정도는 어린이가 성숙함에 따라 높아진다. 즉, 어렸을 때에는 단순하게 표현하다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점 복잡한 형태로 발전한다. 이것이 일부 심리학자들에게는 어린 이가 나이가 들어 지능이 발달하고, 그래서 대상의 세밀한 부분까지 이해 할 수 있다고 보는 단서가 된다.

셋째,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그림 전체의 유기적인 성격이 증진된다. 이 것을 아이스너(Eisner)는 ‘응집성(凝集性)’ 또는 게슈탈트 특질에 대한 감각(Sense of Cohesiveness or Gestalt Quality)이 발전되는 것으로 말 하고 있다.4) 유치원 어린이가 도화지위에 여러 가지 사물을 산만하게 늘 어놓고 있는데 반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는 질서 정연하게 통일된

3) R. Kellogg, Analyzing Children's Art<California : Nationnal Press Books, 1970>,p.15.

4) Eisner, Educating Artistic Vision <New York : Macmillan pub, Co,Inc.>.1972.

(19)

공간을 보여주고 있는 것을 말한다.

말하자면, 사물과 사물간의 ‘관계(官階)’를 보는 눈이 발달해서 전체적인 통일성이 증진되는 것이다.

넷째, 어린이는 자신에게 흥미 있고 의미 있는 것을 그림이나 조각에서 과장하여 표현한다. 이것은 3-4세부터 초등학교 저학년에 이르기까지 나 타나는 발달의 특징인데, 어린이가 대상을 감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것은 크기와 위치에 있어서 커다랗게 중앙에, 그리고 강렬한 색채로 표현한다.

아동미술의 특징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이러한 감정적이고 주관적인 의식 의 표현이며 이러한 특징은 미술사에서 후기인상파의 반 고호, 고갱 표현 주의의 수틴 등의 열정적인 표현이 관람자를 매료시키는 점에서 예술의 중요한 표현은 바로 이러한 감정과 주관적인 가치의 부여에서도 찾을 수 있다.

다섯째, 형태, 색채, 구도 등은 어린이의 개성 및 사회성 발달과 관련이 깊다. 성격심리를 연구하는 사람들에 의하면 어린이는 형태, 색채, 구도 등을 우연히 아무렇게나 구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환경에 대한 감정 과 일정한 규칙에 의해서 구사한다. 따라서 아동화를 보고 어느 정도 성 격을 추정해 낼 수 있게 된다.

그러면, 발달론적(發達論的) 관점이 아동의 미술교육에서 갖는 시사점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것은 다음과 같은 점들이다.

첫째는, 어린이 미술에 대한 ‘맥락(脈絡)적’이해의 태도이다. 즉, 어느 주어진 한 시기 나름대로의 단편적인 이해가 아니라 하나의 긴 발달과정 속에서, 발전과 진보의 흐름 속에서 한순간 한순간의 표현특징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하는 관점이다.

이점은 확실히 어린이의 마음 세계, 어른과 비견할 수 없는 어린이 나름 대로의 독특한 인간존재로서의 내면세계를 ‘인정’하고 ‘탐구’하는 연구태 도를 낳게 했다. 어린이의 미적 표현이 한 순간에 그 의미를 다 하는 그 런 닫힌 의미가 아니라 미래를 향해 열려있는 진행적, 형성적, 개방적 존 재로 해석 이해되게끔 된 것은 일차적으로는 특히 로웬펠트, 켈로그 등의 이러한 발달 심리학적인 접근의 연구 결과들에 기인한다고 평가해야 할 것이다.

(20)

둘째는 어린이 미술표현의 특성에 대한 인식이다. 어린이의 미술표현은 어른과 공통되는 본질 및 상당히 유사한 표현 방식과 더불어 또 그에 못 지 않게 확실히 어른과는 구분되는 독특한 표현 방식을 가진다.

어린이들 나름대로의 표현 특성이 인정되고 그 어린이 나름대로의 특수 성, 고유성이 인정된다는 것은 어린이의 인간적 존재가 인정되고 이해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었음을 말해 주는 것으로서 이는 교육학적으로 중 요한 의의로 평가된다.

셋째는 기술적 연구 방식의 발달이다.

어린이의 미적 표현 형태의 발달을 면밀히 보고하기 위하여 어린이의 표 현과 행동, 언어를 통해 의식 세계를 면밀히 관찰하고, 기술하고, 보고하 는 일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것은 아동 미술의 이해방식에 잠재하는 가능성, 아동의 의식 내면에 숨 어있는 의미를 존중하는 태도이다. 특히 근래에 들어서 로웬펠트, 켈로 그, 아른하임 등의 접근은 이점을 더욱 뚜렷이 드러내고 있다.

2) 정신분석학적(精神分析學的) 관점

정신분석학을 배경으로 어린이의 미술(지각, 표현)과 아동의 정서, 성격, 문제행동 등을 관련지어 연구함으로써 아동미술의 이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아동미술연구로는 알슐러(Alschuler)와 해트윅(Hattwick) 나움버그(M.Naunburg),맥코버(K.Machover),아사리아시쓰 등의 연구를 들 수 있다. 알슐러와 하트비크는 아동화의 색채, 형상, 요소의 배치 등의 디자인 특성이 어린이의 정서 및 성격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150명의 유아의 행동 특징과 색채 성호를 분석한 연구에서, 그는 따뜻한 색을 즐겨 쓰는 어린이들은 자유로운 정서행동을 하며, 부드럽고 정감 있 는 대인관계를 보이는 데 반해, 찬색을 즐겨 쓰는 어린이는 따뜻한 색을 즐겨 쓰는 어린이에 비해 스스로 행동에 억제와 자제를 가하는 경향이 있 고, 또 검정 색을 선호하는 어린이는 정서행동에 결핍을 보여 주는 경향 이 있다고 보고 있다.5)

5) R. H. Alschuler and L. A. Hattwick, "Easel Painting as an Index of Personality in Preschool Children", (Toronto: Xerox College Publishing,1966). 취학전 아동에 있어서 성격지표로서의 미술활동(토론토: 제

(21)

또한 유아 88명의 자유화에서 나타난 색채 선호에 대한 분석에서 이들은 4세 6개월부터 5세에 걸쳐 따뜻한 색(충동, 감정)의 선호 경향에서 찬색 (질서, 억제)의 선호 경향으로 바뀌고 있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에 대해 3,4세의 자유분방한 자기중심적 행동에서 가족, 이웃, 친구, 학교 친구 및 교사들과 어울리는 통제된 행동으로 전환되는 시기이기 때문이라고 해 석하고 있다.

이들에 의하면, 그림에서 어린이는 정서적 경험과 적응, 행동방식을 그대로 표 출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색채에 있어서 빨강 색을 좋아하는 어린이의 경우 신 체기능이 왕성하고 자유롭게 느낀 데로 반응하지만, 거칠고 혐오감을 주는 방식 으로 채색할 경우는 억제된 적대감과 공격 심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청색을 좋아하는 어린이는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통제하고 주위의 질서 에 잘 적응한다. 그러나 날카롭고 혐오감 있게 채색할 경우 억제된 불안을 나타 내는 것이라고 한다.

그림에 나타난 형상의 배치도 의식 속에 자리잡고 있는 표출되지 아니한 욕구를 암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형상이 화면의 왼쪽으로 치우칠 경우, 그것 은 강박적 행동경향을 암시하며 충동적 반응에 의한 직접적 만족을 추구하는 성 향을 내포한다.

주제가 되는 형상의 크기에 있어서도, 적절한 크기를 그릴 때에는 원만하고 지 적이며 조직적이고 안정된 성격 및 행동경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지나치게 작게 그리는 어린이는 열등감, 불안, 자기억제 등의 성격 및 행동성향을 암시한다는 것이다.

나움버그는 ‘어린이와 세계’(1928) ‘자유미술 표현연구’(1947) 등의 여러 사례 연구에서 정신분석학적 미술요법을 제시하였다. 그는 어린이의 미술은 행동 이 면의 무의식 및 욕구와의 밀접한 관련을 보여 주고 있다는 것인데 6) 그에 의하 면, 어린이나 학교의 엄격한 통제와 제한 밑에서 억압된 경험을 표출케 함으로 써 미술은 하나의 ‘해방의 형태’로서 봉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교 육적으로 활용하면, 즉 어린이의 억압된 긴장을 완화하고, 또 언어로 조리 있게

록스대학 출판사,1966)

6) M, Naumburg, An Introduction to Art Therapy, Studies of the Free Expreesion of Behavior Problem, Children and Adolescents as a Means of Diagnosis and Therapy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 1973).

나움버그, 아동과 청소년의 행동문제진단과 치료수단으로서의 자유화표현에 대 한 연구 (뉴욕 콜롬비아대학교, 사범대학, 1973)

(22)

표현하지 못하는 마음속의 의미들을 의사 소통할 기회를 주면, 그것은 어린이의 정신건강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림에 나타난 인물의 체형과 아동 자신의 체형은 긴밀한 상관이 있다는 것이며, 이는 심리학적으로나 사회일반에서 통용되는 관념이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직접적 관련근거 외에도 ‘상징적’관련을 들고 있다. 즉 그림에 나타난 파이프, 총, 지팡이, 단추, 모자, 두발, 코, 손, 발등이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 며, 아동이 그린 인물화의 얼굴, 목, 수족, 의복, 기타 부분의 표현 등을 체계 화된 분석기준으로 분석하여, 성격을 분석하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을 것 같다.

정신의 기능, 즉 모든 인간의 제작물로 나타나는 창작물은 그 표현자의 정신내 용과 대응되는 관계가 있다고 보며, 이것은 증명 가능하다.

정신 분석학적 배경을 가지고 어린이 미술을 이해하고자 하는 접근이 미 술교육 및 아동미술의 올바른 이해와 지도를 위하여 주는 시사점은 첫째 인간의 심리 또는 정신세계의 이해에 있어서, 의식의 세계에 대립되는 무 의식의 세계를 인정 또는 전제함으로써, 어린이의 미술표현이 보다 폭넓 은 심리, 정신세계의 표출임을 확실히 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일상적, 고정적 관념으로서의 ‘생각’의 범주를 훨씬 뛰어넘어 보다 먼 근 원, 즉 보다 원초적이고 잠재적이며, 기능적 지적 ‘조작’ 이전의 의식 세계까지도 포함하는 ‘초월적’성격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은 내가 의식하고 있지 못한 ‘과거’와 연결되고 있고, ‘나의 의식’은 ‘집합 무의식’과도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이 미술표현을 통해 나타나고 또 그것 은 해석 가능하다는 점이다.

둘째는 실증 과학적 입장이 구체적 물량적인 척도를 동원하여 인간(아동) 을 밖으로부터 이해하려는 데 반하여, 인간을 내면으로부터 이해하려는 또 다른 태도와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듯 안과 밖의 상합(相合)을 요하는 교육 및 아동의 이해에 있어, 외 면성 즉 기계화가 가속화되는 현대사회에서 정신분석학적 접근은 보다 내 면적 성격을 강화하는 효과를 줌으로써 어린이 및 그의 미술을 이해함에 있어서 ‘내면적 존재 방식’이 결정적으로 중요함을 미술교육에 재인식시 켰다고 볼 수 있다.

셋째는 실증과학에 입각하고 있는 합리주의적(合理主義的) 인간(아동)이 해의 한계를 반증적(反證的)으로 제시했다는 점이다. 근본적으로 정신분 석학적 접근을 놀이, 꿈, 상상 등과 미적 표현을 동일시하고 있는데, 이

(23)

러한 정신세계는 논리와 합리가 미치지 못하는 세계이며, 바로 이러한 세 계에 창조와 아동의 독특한 특성이 존재한다는 것이고, 아동미술은 그러 한 특성을 잘 표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는 인격의 통합성(統合成) 에 대한 이해를 촉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의 인격상승은 성숙 이전의 미성숙의 시대, 의식 이전 의 무의식의 시대에 있어서의 사고와 의지적 행동 이전의 감정과 태도 및 동기와 한 맥락으로 이어진 전체적, 통합적인 본연을 뚜렷이 보여 주고 있다는 점이다.

인간의 성격은 양립되고 분리된 기능으로 존재 또는 작용하지 않고 하나 로 존재하고 작용하며, 따라서 보다 근원적인 것 즉 무의식적인 것을 해 방하고 교정함으로써 분열되고 왜곡된 ‘균형’을 바로 잡는다고 보는 바로 그 점에서, 인격은 근본적으로 통합적인 것임을 재인식하게 하고 있다.

다섯째는 왜곡(歪曲)된 인성(人城)과 행동성향은 모태에서부터 6,7세에 이르는 아동초기에 형성, 고착된다는 점이다. 이점은 다시 말하면, 올바 른 아동교육의 중요성을 명시하는 것으로서, 특히 우리의 사회, 문화, 교 육 환경이 전형적으로 가지는 기존 권위 및 질서 본위의 ‘억압적 성격’과 는 반대로 새로이 태어나 자라는 어린이와 청소년 본위의 조장적(助長的) 성격으로 대전환 되어야 함을 말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아동 미술의 활동은 단순한 기술의 습득이나 획일적 지식의 이해가 아니라 인 간이 지녀야할 자기정체성과 올바른 양식을 발견케 하는 인간형성의 교육 이기 때문에 아동작품의 평가는 작품의 우열보다 그 내용에 담겨 있는 상 징적 의미를 통찰하고 아동의 심성(心性)을 이해하려는 측면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미술교육자는 아동에 대한 이해의 태도를 지녀야 하며 이러한 바탕 위에 다각적(多角的)인 학습 지도방법을 선택해야 된다고 본다.

(24)

3. 아동화의 표현(表現) 내용에 의한 심리분석(心理分析) 통계분류

아동미술의 표현내용이 성격, 심리분석의 대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것 은 1940년을 전후해서이다.

그림에 나타난 형태나 내용 구성 등의 특징에서 그림을 그린 사람의 심 리적 특성 심리적 문제에 관한 확증을 찾으려고 여러 임상 심리학자들이 애써 왔다.

그 중에서도 데스퍼어트(Despert)는 아동의 여러 가지 놀이 과정과 마찬 가지로 아동화도 어린이의 성격진단에 유용하다는 것을 크게 강조하였다.

초기의 아동화 연구에서는 “어린이는 그가 본 것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가 알고 있는 것을 그린다”고 믿어 왔다. 이와 같은 논쟁에 대해서 뤼 께(Luquet)는 “8~9세까지의 아동은 본질적으로 사실적 의도에서 그림을 그리지만, 처음에는 어떤 인물이나 사물에 대해서 알고 있는 바를 그리려 고 하며, 그런 뒤에야 보는 바를 그리게 된다는 것”을 증명함으로 결론지 어졌다.

그러나 현재는 이 가설이 바뀌어져서 “어린이는 그가 본 것이나 아는 것 을 그리는 것이 아닌, 그가 느끼는 것을 그린다”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논쟁 속에서도 아동화가 어린이의 사고와 느낌, 공포와 욕구, 희망과 좌 절 등의 내적 세계를 외부적으로 표현해 준다는 데는 의견의 일치를 보아 왔다.

어린이의 자유로운 표현활동을 매개로 하는 투사적 방법으로서의 아동화 는 언어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데서 오는 곤란을 극복할 수 있고, 비 구조 화된 반응을 탐색하는 것이므로 다양하고 자유로운 반응을 파악할 수 있 다는 이점이 있다.

그것은 미술표현을 통하여 아동을 발달 적인 관점에서 관찰하고 각기 연 령에 따른 표현의 내용변화를 탐색해서 얻은 결과 속에 나타난 어린이들 의 정신적 구조를 이해하려는 시도로서 의의가 있다. 즉, 이와 같은 접근 태도는 아동 한 사람의 독자적인 체제(獨自的인體制,unique

(25)

organization system)를 이해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아동의 그림 속 표현양식과 아동의 심리적인 특징간에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관계들이 성립될 수 있다고 보았다.7)

그림은 언어의 표징이다. 아동은 단순한 인물이나 물체를 단편적으로 그 리는 데서부터 시작해서, 배경도 첨가해가면서 점차적으로 풍부한 그림을 만들어 간다. 마찬가지로 언어생활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접속어가 첨부 되어 가면서 더욱 언어가 풍부해 진다. 즉, 시기적으로 보아서 아동의 그 림과 언어 사이에는 공통된 요소가 많다. 그러므로 아동의 그림은 아동 언어의 대용이라 할 수 있다.

그림은 아동이 획득한 개념과 생활경험을 표현한 것이다. 그림과 개념 사 이에도 많은 병행관계가 있다. 어린이들이 갖게되는 개념이란 처음에는 막연하고도 미분화된 개념을 갖는 시기에서 점차 그 개념의 내용이 명료 하고 뚜렷한 한계를 갖는 시기로 발달해 간다.

아동의 개념이란, 처음에는 개괄적으로 획득되어지고, 내용이 구별되어지 는 것은 그 다음 단계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개념이 처음에는 논리적으로 보아서 포괄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경험 부족으로 인해서 분석하고 총합하는 능력이 부족함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따라서, 말하자면 아동화는 아동의 생활 경험 의 깊이와 그 폭, 그리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림은 자아상(自我相,self-image)의 표현이다. 아동의 그림은 아동이 갖 는 심상과 관계가 깊다. 단순한 심상에서부터 시작해서 복잡한 심상에로 발달하며, 우연한 결합에서부터 창조적인 결합이란 경로를 거쳐 자연스럽 게 발달하는 것이다. 어린이들이 그림을 그리려고 할 때는 우선 머리 속 에서 그림의 원형(元型,genotype)을 만들어낸다. 예를 들면, 어떤 대상이 나 모델을 보았다고 하더라도 어린이들은 그것을 단순히 그대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고, 일단 자기 머릿속에서 이를 동화(同化,assimilation)해서

7) 김재은, 「아동의 심리진단」, 교육과학사, 1988, p,28.

(26)

가시적인 심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이다. 어린이들의 정신은 간단한 반사 작용에 의해서, 눈에 비친 대로의 대상을 그리는 것이 아니다. 어린이 자 신의 눈에 비친 물체나 인물은 일단 뇌에 전달되어 마음속에 일종의 심상 이란 것을 형성한다. 이때에 머릿속에는 ‘막연한 형’만 있고 내용이 없 는 가시적 공상이 성립되는 것이다. 만일 어린이에게 어떤 신체적 장해나 심리적 발달 장해가 있으면, 다분히 그 이미지는 내 외의 자극이 되어 그

“막연한 형”에 어떤 굴곡을 만들게 되고 또 그것이 그 어린이의 독자적인 심상이 되어 화면에 나타난다.

아동의 그림은 아동의 욕구(欲求)의 표현이다. - 아동의 그림 속에는 여 러 가지 욕구불만의 모습이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더구나 최초의 욕구가 강하면 강할수록, 또 그 욕구충족을 방해하고 있는 장애물의 힘이 강하면 강할수록, 아동들은 심리적 긴장을 강화해 간다. 이 강화된 긴장이 그림 에서는 팔과 손가락의 운동을 통해서 하나의 생리적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아동의 이와 같은 심리적 긴장이나 욕구불만은 대체 로 그의 생육사(生育史)와 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의 관계를 이해함으로 써 그 해서방법을 잘 파악할 수가 있겠지만 그림에 나타나는 아동의 욕구 는 대체로 크게 여섯 가지의 기본적인 욕구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1)애 정의 욕구 (2)독립의 욕구 (3)승인의 욕구 (4)소속의 욕구 (5)성숙의 욕 구 (6)영양 및 물질에 대한 욕구들이다. 또한 그 욕구를 중심적(中心的) 욕구와 주변적(周邊的) 욕구로 나눌 수도 있는데, 전자는 어느 정도 고정 된 욕구이고, 후자는 일시적인 것으로 습관화되어 있지 않은 욕구를 말한 다.

이와 같은 욕구가 이상한 방향으로 작용할 때, 그것이 나타나는 형태는 다음 몇 가지 경우로 나눌 수가 있다. (1)고차적(高次的)인 인격적 욕구 가 해체될 경우 (2)욕구층간의 분열이 생길 때 (3)욕구가 고정되어질 때 (4) 욕구가 나쁜 버릇으로 변화해 갈 때 등 이런 경우 아동의 그림 속에 는 그와 같은 비정상적 욕구의 활동이 잘 나타나게 된다고 한다.

그림은 환경에 대한 인간의 태도 표현이다.- 그림이 아동의 창조적인 사 고나 욕구의 표현인 것처럼, 아동의 그림 속에는 어린이가 환경에서부터 받는 심리적 압력과 같은 여러 가지 억압상태로 표현되어 진다. 가정에서

(27)

일어나는 여러 가지 심리적 사건 예컨대, 가족원간의 복잡한 인간관계나 부모의 훈육방법, 가족원간의 감정의 교류 같은 것이 반영되어 그림의 내 용과 표현형식이 달라지게 된다고 한다.

이와 같이 환경에서 받는 압력을 호소하기 위해서 아이들은 그림 속에 각 기 독자적인 표현을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림은 성격특징의 투사(投射)이다 - 아동화 연구자들은 최근에 와서야 아동화가 아동의 욕구, 정서, 성격의 투사라는 점에 생각이 미치게 되었 다. 그런데 이점에 대해서 문제가 되는 것은, 그 그림 속에 표현된 내용 에서 과연 어떻게 개인성을 이해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에 관한 근 거로서 클라게스(Klages)의 이론에 의하면 성격이란 것은 소재 구조 및 질의 세 가지 특성 군으로 나누어진다는 것이다. 성격의 소재란 사물을 기억하고 파악하는 심적 특성을 말하고, 성격의 구조란 감동성(感動成) 의지 개인적 표현력 등의 특성으로 나누어지며, 이 세 가지 특성간에는 서로 깊은 관계가 있다고 한다. 성격의 질은 인간의 관심 또 충동탄력의 총체를 의미한다고 했다. 이 충동탄력이란 의욕의 방향을 지시하는 특성 군이라고 보았던 것인데 그림의 심리학적 의미에 관해서 직접 견해를 표 명한 사람 중에는 레빈슈타인(Levinstein.1904), 뤼께(Luquet.1927), 엥 (Eng,1931), 쇼(Shaw.1934), 울프(Wolff.1943), 리드(Lead. 1943), 로웬 펠드(LoWenfeld.1947)등의 많은 학자들을 들 수 있다. 이밖에도 알슈울 러 해트윅 두 사람의 저서(1947)는 이 방면의 문제해결에 많은 시사를 던져주는 연구들이다. 이들에 의하면 아동의 그림이란 충동의 기능, 감 정, 애정의 욕구, 자기 표출의 수준, 여러 가지 욕구불만 등을 표현한다 고 했다.

즉 그림을 그린다고 하는 창조적 작업을 통해서, 그 속에 숨겨져 있는 어 린아이들의 진실한 감정을 발견할 수 있다고 했으며, 이와 같은 어린아이 들의 감정생활의 성질이나 정도를 이해하는 단서는 선이나 형태보다는 색 채 면에서 더욱 그 특수한 가치가 있다고 했다. 그리고 선이나 형태에는 (1)아동이 보존하고 있는 에너지,(2)아동이 사용한 통제력의 정도,(3)그 통제력이 작용한 방향 등이 나타난다고 했다. 기타 공간의 사용법 공간 의 형 등도 성격표현과 관계가 있다고 보았다.

그림은 무의식적(無意識的) 세계의 투사이다. - 아동의 정신적 세계를 모

(28)

두 외부에서만 직접 관찰할 수 없으므로, 나타나지 않는 면 즉 숨겨져 있 는 정신세계는 적절한 추출방법이 동원되지 않으면 결코 이해할 수가 없 는 것이다.

그런데, 이 문제와 관련해서 오울포트(Allport,1937)는 정신분석학을 비 판한 대목에서, 인간의 내부적 갈등이란 것이 개인(Personality)의 발달 을 방해하고 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이론이지만, 지나치게 무의식을 강조하는 것은 정당치 않다고 강조하면서, 사실상 대부분의 갈등은 의식 적인 것이라고 보았다. 또 행동이라는 것도 의식에 나타나는 것을 거부당 할 때 갈등으로 변질하게 된다고 했다.

이 충동은 여러 가지 병적 행동의 원인이 됨으로 승화에 의해서 목표를 바꾸어야만 건강한 성격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오울포트는 나타난 정신세 계와 나타나지 않는 정신세계를 얼마나 확연하게 구분할 수 있겠느냐는 것에 문제가 있다고 했다.

머레이(Murray)도 행동을 '나타나 있는 행동과 나타나지 않는 행동'으로 구분하고, 이와 같은 세계를 지배하는 힘을 욕구(need) 라고 했다. 그는 이 욕구를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는데 (1) 객관화된 욕구 (2) 반 객관화 된 욕구 (3) 주관화된 욕구로 구분했다. 이 중에서 나중 두 가지를 잠재 적 욕구라고 했으며, 이들이 바로 숨겨져 있는 세계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숨겨져 있는 세계가 그림 속에 잘 투사되어 진다고 보는 것이다.

그림의 해석이 보편성이나 타당성이 적다는 반증도 있지만, 인간의 동기 나 욕구라는 것이 개성적이듯이 그 표현방법도 개성적이다. 따라서 그림 을 통해서 성격진단을 시도하는 것에는, 이와 같은 개성적인 특징을 찾아 내려는 의도가 뚜렷이 숨어 있다.

결국, 어린이가 그리는 그림은 어린이의 놀이나 언어와 마찬가지로 어린 이의 감정 욕구 세계관, 자아상등을 찾게 해줄 실마리를 보여준다는 점 을 말해 주는데 이러한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대의 많은 아동심리학자들이 거의 일치해서 인정하고 있다. 아동화를 단순히 기술면의 성장이나 지각 의 구조나 지능의 정도나 기억 내용의 변용이라는 관점에서 뿐 아니라, 좀더 심층심리의 세계까지 파고 들어가서 들여다보고, 이해하려는 노력도 기울여지고 있다.

그림은 정신 신체의 병리적 징후의 표현일 수도 있다. - 욕구불만에 의 해서 일어나는 행동메커니즘은 (1)공격적 반응 (2)도피적 반응 (3)퇴행반

(29)

응 (4)방어적 반응 (5)보상반응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이와 같은 반응 기 제가 극도로 습관화되면 이것이 심한 심리적 갈등으로 발전하며, 여기서 더 나아가 여러 가지 신체적 증상까지도 수반하게 된다. 아동의 경우 문 젯거리 행동이란 이와 같은 반응기제가 습관화되어서 나타나게 되는 경우 가 매우 많다. 그래서 그림의 분석에 있어서 이와 같은 문제행동을 탐색 해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자는 앞서 언급한 미술표현에 의한 아동화의 분석적 관점에 준거 하여 기존 연구의 임상적 통계와 미술표현의 심리적 성격적 연구를 수집 검토하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추시 연구(追諡 硏究)를 하 였는바 과제화<주제: 자유주제>를 통해 아동미술의 표현 내용<선, 색채, 주제관계 묘사 등>을 관찰하여 아동의 성격적, 행동적, 정서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비교하여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하여 내용별로 기술하였다.

※ 주조색에 의한 심리적 특성

유아의 색채에 대한 반응은 비교적 예민하다. 유아가 색을 알게 되는 과 정은 여러 가지 경험을 통해 인지되어 가지만 그 중에서도 먹는 것과는 아주 밀접하다. 먹는 데서부터 자동차의 색깔, 농촌과 도시의 색깔까지 차츰 인식하게 된다. 렘케(Lembke), 리이드(H.Read), 나폴리(Napoli), 아슐러(AlschulerRH), 블레이크(W Blake), 하프윅(Hittwick,LK.) 여사 등이 아동화에 나타난 색채를 심리학적으로 연구한 내용 중에서 색깔에 대한 심리적 및 행동적 반응은 다음과 같다.

① 빨간색을 좋아하는 아동

애정이 풍부하며 비교적 자유행동파, 바로 반응이 있는 아동, 활동적이고 의욕 적이며 적극적인 아동, 사선이나 횡선, 그리고 방사선을 끼적거리기로 그을 때 는 불만, 반항, 공격심의 투영이 된다. 빨간색을 넓은 필치로 수직이나 수평 하 게 무거운 느낌으로 그렸거나 폭 넓은 터치로 다른 색 위에 겹칠 하면 적대감, 적의, 자기주장 등을 나타낸다.

② 주황색을 좋아하는 아동

강력한 구애의 상징, 의존심이 강하고 어리광이 심한 아동, 주위 환경에 잘 적 응하며 명랑한 아동, 소심하고 겁이 많은 아동, 그리고 강한 감정표현을 회피하 거나 도피하고 공상적 놀이를 즐긴다.

③노란색을 좋아하는 아동

의존심, 애정욕구, 적극성이 좋다. 어리광을 잘 부린다. 특히 여자가 남성에 대

(30)

한 애정의 질투심, 또는 여아가 아빠에 대한 애정을 요구하는 경향이 짙을 때, 때로는 애정이 충족한 상태를 그대로 지속하고 싶은 심리와 상응한다. 대체로 애정욕구의 도가 주황만큼 강렬하지는 못하나 구애와 의존심, 유아적 원의 상징 이나 어른이 이 색을 즐기면 독립심이 약하며 애정에 메마른 사람이 즐긴다.

④파란색을 좋아하는 아동

그림물감을 집중적으로 청색의 덩어리로 그리고 예민하고 긴장된 필치로 그리는 경우는 주위와 잘 어울리지 못하는 아동 즉, 주위와 잘 조화되지 않는 아동이 다.

선으로 이용하거나 형으로 쓰는 경우는 명랑하며 주위에 잘 적응하여 순종하며 아주 밝은 청색(하늘색)은 순응의 심리와 상응한다. 그러므로 이 색을 즐겨 쓰 는 아동은 타이르는 말을 고분고분 잘 듣는 형이다. 그러나 짙고 어두운 청색의 경우는 불만이 있으면서도 복종하는 상태이다.

⑤녹색을 좋아하는 아동

자기감정을 강하게 표현하지 않고 참을성이 많으며 온순한 아동, 감정을 자제하 며 친구들과 잘 어울리며 적응성이 강한 편의 아동, 감정의 결여로 도피적 경향 이 농후하며 엄한 가정에서 자란 아동의 경우가 많다.

⑥황토색을 좋아하는 아동

아동상태에 머무르고자 하는 욕구가 많으며 가정에서 놀이나 행동에 제한을 많 이 받는 아동 특히 이 색은 물질을 가지고 싶어할 때 이색을 즐겨 쓰므로 오래 계속되면 충족시켜주어야 한다. 화면 전체에 사용될 때는 가정의 궁핍과 상응되 나, 색채란 우리들의 식성이 변하는 것처럼 수시의 이변을 가져올 수도 있으므 로 속단은 금물이며 신중한 검토와 주의를 요한다.

⑦보라색을 즐기는 아동

붉은 보라, 남보라도 같이 본다. 이색을 고립적으로 많이 쓰는 아동은 행동에 제한을 많이 당해 불안해하는 경우가 많으며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한다. 본 인의 상처 그리고 상대방에게 가해한 부상 등에도 표출된다.

⑧검정 색을 좋아하는 아동

감정적 행동의 부족, 억압 속에서 불안과 공포의 압박을 느끼는 아동, 주위의 강한 간섭으로 고독해지거나 공격적으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등, 특히 어 머니의 지나친 간섭이나 꾸중, 잔소리 등이 가장 민감하게 반영되며 모든 감정 을 감추어 덮어 버리고 싶은 무의식적 심리의 욕구라고 할 수 있다.

⑨흰색을 좋아하는 아동

외부에 대한 경계심, 뜻했던 일에 대한 실패감, 더럽혔던 일에 대한 후회 등이 결백한 심정으로 되돌아가고픈 마음으로 흰색이 많이 표출되는 것이다.

⑩회색을 좋아하는 아동

대인관계가 원만치 않으며 경계심이 강하고 열등감을 많이 갖고 있으며 가정에

(31)

서 억압당하는 느낌을 만성적으로 갖고 있는 아동은 아주 밝은 회색은 흰색과 같은 상징이 나타나고 그 외의 회색은 전부 검정에 가까운 의미로 표출되나 검 정이 급성 적인데 비해 회색은 만성적인 불안감과 대응한다.

아사리(1960)의 ‘무조건 테스트‘ 에 나타난 색채의 심리적 의미를 보면 다음<표Ⅰ-1>과 같다.

(아사리 ‘무조건 테스트’표Ⅰ-1)

그밖에 아동화의 표현내용 분석을 통한 성격 및 행동의 분류는 부록을 참 조.

번 호 색 심리적 생리적 의미

1 흑 적 어머니의 꾸중 부재 사망 교사 2 흑 황 아버지의 꾸중 부재 사망 교사 3 흑 갈 극도의 애정부족 도벽

4 흑 청 체념 의타심 5 흑 녹 반목 확대 계모

6 흑 자 어머니의 병적 히스테리 7 흑 백 공포심

8 적 청 질투 선망 9 적 녹 성적 관심 10 청 등 불결 우둔 11 청 황 근심

12 자 백 상해 실패감 가해 죄악감 13 자 적 출혈 월경

14 자 황 질병 상해시 고독감

(32)

Ⅲ.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토대로 실험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1. 문헌연구(文獻硏究)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관련 분야의 제반 문헌 자료와 선 행연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2. 질문식 자료조사 실험연구(實驗硏究)

실험연구나 실행연구의 기초연구로서 질문지에 의한 조사연구 방법을 채 택하였다.

가.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서울시 강북을 소재로 하고있는 3개 아동미술 교육기관 취학 (就學)전 아동 (5 6 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에 대한 응답이 불성 실하거나 누락된 12명의아동을 제외한 총 88명을 표집 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지의 배부 및 회수, 활용사항은 <표Ⅱ-1>과 같다.

(표 Ⅱ-1)질문지 배부 및 회수, 활용사항

구분대상 배부 부수 회수 부수 회 수 율 활용 부수

교 사 100 92 92% 88부

어머니 100 58 58% 58부

아 동 100 88 88% 88부

(33)

나. 검사 도구

1)(아동이 지각한)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 검사

이 검사지 는 아동들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 한 질문지로 러너(Rohner,1984)에 의하여 제작된 질문지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였다.

아동들에게 실시하는 자기보고(報告)식 질문지로 부모에 대하여 경험하 는 온정과 사랑, 공격성과 적대감, 무시와 무관심 및 미분화된 거부에 대 하여 아동의 생각을 반영하도록 되어있다. 러너(Rohner,1984)의 아동용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태도에 관한 질문지(child PARQ)는 4가지 영역 총 60문항으로 구성되어있는 4점 척도의 리커트 타입(Likert-type)이다. 즉 온정/사랑 차원의 20문항, 공격/적대감 차원의 15문항, 무시/무관심 차원 의 15문항, 미분화된 거부 차원의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 내용은 서명석(1988)이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와 귀인성향(歸仁性向)과의 관계”에서 사용된 내용과 같이 각 영역을 잘 반영하는 문항으로서 각 영역에서 6-10문항씩 추출하여 28문항 에 미술교육에 대한 부모의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7문항을 추가로 하여 총 35문항을 사용하였다.

피험자가 취학전의 아동이기 때문에 내용의 이해면 에서 난해할 수가 있 기 때문에 교사가 각 문항을 읽어주고 답하는 방식으로 하여 그 문항이 일상 생활에서 자기 자신과 관련된 정도에 따라 “거의 같음”“대체로 같 음”“대체로 다름”“전혀 다름”에 V표를 하도록 되어있다.

채점 방식은 수용과 관련된 온정/사랑(1-10번) 영역의 10문항을 채점하여 점수가 높은 집단부터 상, 중, 하 3집단으로 구분하였고, 거부와 관련된 공격성/적대감(11-16번), 무시/무관심(17-22번), 미분화된 거부(23-28 번) 영역의 18문항을 채점하여 점수가 높은 집단부터 각각 상, 중, 하 3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질문지의 문항 구성은 <표Ⅲ-1>와 같다.

(34)

표 <Ⅲ-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질문지 구성 내용

2) (학부모 용)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 검사 질문지

학부모용 질문지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情緖的 不 適應 行動)에 관한 연구”8)에서 사용한 것과 연구자가 직접 여러 선생님 들의 의견을 모아 작성하였다.

3) (교사용) 아동의 성격 및 행동 검사 질문지

아동의 성격 및 행동을 측정하는 질문지의 내용에서는 아동의 정서적 부 적응 행동(情緖的 不適應 行動)을 측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정서적 부적 응 행동(情緖的 不適應 行動)의 판별도구로 아켄바(Achenbach,1978)가 제작한 아동행동에 관한 질문지(child behavior checkist)와 퀘이 (Quay,1972)가 제작한 정서적 부적응(情緖的 不適應 行動)용 질문지를 참 고로 하였으며 또한 정서적 부적응 유형을 선정하는데 있어 연구자가 근 무하면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아동의 부적응 행동 사례를 모집하여 분석 검토한 후 가장 출현 빈도가 많고 문제시되는 행동들을 선정하여 정서적 8) 박수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논문. 1998년.

영역 내 용 문 항 수 문 항 번 호

수용 온정/사랑 10 1,2,3,4,5

6,7,8,9.10 거부

공격성/적대감 무시/무관심 미분화된 거부

6 6 6

11,12,13,14,15,16 17,18,19,20,21,22 23,24,25,26,27,28 미술

교육에 대한 태도

작품에 대한 평가

작품의 보관 7 29,30,31,32

33,34,35

(35)

부적응(情緖的 不適應 行動)의 유형 분류에 참고하였다.

다. 연구 절차

본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아동용 검사 도구의 적절성과 검사에 필요한 구 체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2001년 11월 성북구 석관동에 위치한 W유치원 에서 미술반 아동(5,6,7세)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자가 읽어주고 아동들은 이에 대한 답을 구성해내는 방식으로 소요시간은 약 40-50분간이었다. 예비조사에서 사용한 질문지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 집단과 부정적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한계성이 인정되어 본 검사에서 사용한 질문지는 다시 새로 제작하여 2002년 2월15일부터 2월21일까지 각 반 담임 교사의 도움을 받아 자유 선 택활동시간에 개별적(個別的)으로 실시하였다.

교사용 질문지는 각 아동의 담임교사가 일정시간 동안 기록하도록 하였 고, 부모용 질문지는 가정에 보내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부모용 설문지와 아동용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양육태도에 따른 각 아동의 성격 및 행동을 교사용 질문지를 통하여 파악 한 후 이들의 그림을 분석하는데는 “아동미술의 이해평가 및 심리 분석 에 관한 연구”9)논문을 참고로 하여 색채에 의한 심리적 행동과의 관계, 표현 내용에 의한 의미분석 등을 분석하였다.

9) 「아동미술의 이해평가 및 심리분석에 관한 연구」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 사학위논문. 1997년

(36)

라. 자료처리 및 통계방법

수집된 자료를 통해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수된 질문지 중 무성의한 반응을 보인 것은 제외시키고 컴퓨터의 SPSS/PC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구체적인 자료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 사용된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 질문지를 점수 화하여 수용 -거부 양육태도(養育態度)요인별로 각각 G1(높은),G2(중간),G3(낮은)로 나누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 태도(養育態度)에 따른 아동의 성격 및 행동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一元變量分析,One-way ANOVA)을 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성격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衆多回歸分析,Stepwise Mutiple Regression)을 하였다.

Ⅳ.결과 및 해석

본 장에서는 앞에서 제시한 연구 방법에 따라 추진해 온 부모의 양육태도 (養育態度)및 양육상황에 따른 아동의 성격적 행동적 특징과 아동미술과 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 가설을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1. 부모의 양육태도 와 아동의 성격 및 행동과의 관계

가설 (가)의 검증 결과

<가설 가>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는 아동의 성격 및 행동과 연관성이 있을 것이다.

(37)

가설 (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Ⅳ-1) 와 같 다.

부모의 양육태도(養育態度)와 아동의 성격적 행동적 특징 분석(Ⅳ-1)

표(Ⅳ-1) 에 의하면 부모의 양육태도중 수용 요인이 높은 집단일수록 아 동의 성격적 행동적 특징은 자유롭고 밝으며, 상냥하고 의욕적이며, 애정 적이고 친구들과 협동을 잘 하며 높은 사회성을 보인다.

요인별로 보았을 때 특히 무시/무관심 이 통계적으로 가장 의미 있는 차 이가 있었고 온정/사랑, 미분화된 거부, 공격성/적대감 순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온정/사랑에서는 온정/ 사랑이 높은 G1 이 밝고 긍정적

양육태도 요 인 성격-행동적 특성

수용적 태도

온정/

사랑

자유롭고 밝은 성격

상냥하며 의욕적인 경향이 있다.

애정적이며 친구들과 협동하며 성숙한 사회성을 보인다.

거부적 태도

공격성/

적대감

무시/

무관심

미분화된 거부

다른 아이들과 잘 어울리지 못한다.

가만히 앉아있지 못하고 산만하거나, 한가지에 오래 집중하지 못한다.

고집이 세고 신경질 적이다.

무례한 행동을 한다.

싸움을 잘 하며 친구들을 잘 괴롭힌다.

사람들에게 공격적이다.

선생님말씀에 대들고 싫다는 말을 잘한다.

참조

관련 문서

 신생물 문제를 가진 아동 간호를 위해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다..  가족 중심적인 암환아 간호를 위해 비판적 사고를

▣뇌하수체 후엽 질환.. 중증 또는 만성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가 짂 아동 또는 청소년은 갑상선 호르몬 대치단계가 너무 빠르면 부작용을 경 험핛 확률이

임플란트와 치조골 사이의 양호한 골유착은 임플란트 성공에 있어 필수적 인 조건이다. 2 ) Rat ne r 등에 의하면 표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By gender, when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receptive-refusal attitude, it had an effect on boys' all maladaptive behavior such as withering

소규모 그룹지도란 종래의 교사와 학생의 1: 1개인 지도에서 벗어나 3~8명까지의 아동의 집단 원리를 바탕으로 그룹 구성원간의 협동 정신과 상호 작용을 통하여 가창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언어 및 인지적 특성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정의 및 언어특성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인지적 특성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문제행동간의 관련성을 파악한 결과 어머니의 , 과보호와 아동의 문제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다

15)오경란,&lt;국악놀이를 통한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연구(의왕시 저소득층 아동을 중심으로&gt;,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2006),p.16... 아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