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아동화의 표현(表現) 내용에 의한 심리분석(心理分析) 통계분류

아동미술의 표현내용이 성격, 심리분석의 대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것 은 1940년을 전후해서이다.

그림에 나타난 형태나 내용 구성 등의 특징에서 그림을 그린 사람의 심 리적 특성 심리적 문제에 관한 확증을 찾으려고 여러 임상 심리학자들이 애써 왔다.

그 중에서도 데스퍼어트(Despert)는 아동의 여러 가지 놀이 과정과 마찬 가지로 아동화도 어린이의 성격진단에 유용하다는 것을 크게 강조하였다.

초기의 아동화 연구에서는 “어린이는 그가 본 것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가 알고 있는 것을 그린다”고 믿어 왔다. 이와 같은 논쟁에 대해서 뤼 께(Luquet)는 “8~9세까지의 아동은 본질적으로 사실적 의도에서 그림을 그리지만, 처음에는 어떤 인물이나 사물에 대해서 알고 있는 바를 그리려 고 하며, 그런 뒤에야 보는 바를 그리게 된다는 것”을 증명함으로 결론지 어졌다.

그러나 현재는 이 가설이 바뀌어져서 “어린이는 그가 본 것이나 아는 것 을 그리는 것이 아닌, 그가 느끼는 것을 그린다”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논쟁 속에서도 아동화가 어린이의 사고와 느낌, 공포와 욕구, 희망과 좌 절 등의 내적 세계를 외부적으로 표현해 준다는 데는 의견의 일치를 보아 왔다.

어린이의 자유로운 표현활동을 매개로 하는 투사적 방법으로서의 아동화 는 언어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데서 오는 곤란을 극복할 수 있고, 비 구조 화된 반응을 탐색하는 것이므로 다양하고 자유로운 반응을 파악할 수 있 다는 이점이 있다.

그것은 미술표현을 통하여 아동을 발달 적인 관점에서 관찰하고 각기 연 령에 따른 표현의 내용변화를 탐색해서 얻은 결과 속에 나타난 어린이들 의 정신적 구조를 이해하려는 시도로서 의의가 있다. 즉, 이와 같은 접근 태도는 아동 한 사람의 독자적인 체제(獨自的인體制,unique

organization system)를 이해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아동의 그림 속 표현양식과 아동의 심리적인 특징간에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관계들이 성립될 수 있다고 보았다.7)

그림은 언어의 표징이다. 아동은 단순한 인물이나 물체를 단편적으로 그 리는 데서부터 시작해서, 배경도 첨가해가면서 점차적으로 풍부한 그림을 만들어 간다. 마찬가지로 언어생활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접속어가 첨부 되어 가면서 더욱 언어가 풍부해 진다. 즉, 시기적으로 보아서 아동의 그 림과 언어 사이에는 공통된 요소가 많다. 그러므로 아동의 그림은 아동 언어의 대용이라 할 수 있다.

그림은 아동이 획득한 개념과 생활경험을 표현한 것이다. 그림과 개념 사 이에도 많은 병행관계가 있다. 어린이들이 갖게되는 개념이란 처음에는 막연하고도 미분화된 개념을 갖는 시기에서 점차 그 개념의 내용이 명료 하고 뚜렷한 한계를 갖는 시기로 발달해 간다.

아동의 개념이란, 처음에는 개괄적으로 획득되어지고, 내용이 구별되어지 는 것은 그 다음 단계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개념이 처음에는 논리적으로 보아서 포괄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경험 부족으로 인해서 분석하고 총합하는 능력이 부족함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따라서, 말하자면 아동화는 아동의 생활 경험 의 깊이와 그 폭, 그리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림은 자아상(自我相,self-image)의 표현이다. 아동의 그림은 아동이 갖 는 심상과 관계가 깊다. 단순한 심상에서부터 시작해서 복잡한 심상에로 발달하며, 우연한 결합에서부터 창조적인 결합이란 경로를 거쳐 자연스럽 게 발달하는 것이다. 어린이들이 그림을 그리려고 할 때는 우선 머리 속 에서 그림의 원형(元型,genotype)을 만들어낸다. 예를 들면, 어떤 대상이 나 모델을 보았다고 하더라도 어린이들은 그것을 단순히 그대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고, 일단 자기 머릿속에서 이를 동화(同化,assimilation)해서

7) 김재은, 「아동의 심리진단」, 교육과학사, 1988, p,28.

가시적인 심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이다. 어린이들의 정신은 간단한 반사 작용에 의해서, 눈에 비친 대로의 대상을 그리는 것이 아니다. 어린이 자 신의 눈에 비친 물체나 인물은 일단 뇌에 전달되어 마음속에 일종의 심상 이란 것을 형성한다. 이때에 머릿속에는 ‘막연한 형’만 있고 내용이 없 는 가시적 공상이 성립되는 것이다. 만일 어린이에게 어떤 신체적 장해나 심리적 발달 장해가 있으면, 다분히 그 이미지는 내 외의 자극이 되어 그

“막연한 형”에 어떤 굴곡을 만들게 되고 또 그것이 그 어린이의 독자적인 심상이 되어 화면에 나타난다.

아동의 그림은 아동의 욕구(欲求)의 표현이다. - 아동의 그림 속에는 여 러 가지 욕구불만의 모습이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더구나 최초의 욕구가 강하면 강할수록, 또 그 욕구충족을 방해하고 있는 장애물의 힘이 강하면 강할수록, 아동들은 심리적 긴장을 강화해 간다. 이 강화된 긴장이 그림 에서는 팔과 손가락의 운동을 통해서 하나의 생리적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아동의 이와 같은 심리적 긴장이나 욕구불만은 대체 로 그의 생육사(生育史)와 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의 관계를 이해함으로 써 그 해서방법을 잘 파악할 수가 있겠지만 그림에 나타나는 아동의 욕구 는 대체로 크게 여섯 가지의 기본적인 욕구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1)애 정의 욕구 (2)독립의 욕구 (3)승인의 욕구 (4)소속의 욕구 (5)성숙의 욕 구 (6)영양 및 물질에 대한 욕구들이다. 또한 그 욕구를 중심적(中心的) 욕구와 주변적(周邊的) 욕구로 나눌 수도 있는데, 전자는 어느 정도 고정 된 욕구이고, 후자는 일시적인 것으로 습관화되어 있지 않은 욕구를 말한 다.

이와 같은 욕구가 이상한 방향으로 작용할 때, 그것이 나타나는 형태는 다음 몇 가지 경우로 나눌 수가 있다. (1)고차적(高次的)인 인격적 욕구 가 해체될 경우 (2)욕구층간의 분열이 생길 때 (3)욕구가 고정되어질 때 (4) 욕구가 나쁜 버릇으로 변화해 갈 때 등 이런 경우 아동의 그림 속에 는 그와 같은 비정상적 욕구의 활동이 잘 나타나게 된다고 한다.

그림은 환경에 대한 인간의 태도 표현이다.- 그림이 아동의 창조적인 사 고나 욕구의 표현인 것처럼, 아동의 그림 속에는 어린이가 환경에서부터 받는 심리적 압력과 같은 여러 가지 억압상태로 표현되어 진다. 가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심리적 사건 예컨대, 가족원간의 복잡한 인간관계나 부모의 훈육방법, 가족원간의 감정의 교류 같은 것이 반영되어 그림의 내 용과 표현형식이 달라지게 된다고 한다.

이와 같이 환경에서 받는 압력을 호소하기 위해서 아이들은 그림 속에 각 기 독자적인 표현을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림은 성격특징의 투사(投射)이다 - 아동화 연구자들은 최근에 와서야 아동화가 아동의 욕구, 정서, 성격의 투사라는 점에 생각이 미치게 되었 다. 그런데 이점에 대해서 문제가 되는 것은, 그 그림 속에 표현된 내용 에서 과연 어떻게 개인성을 이해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에 관한 근 거로서 클라게스(Klages)의 이론에 의하면 성격이란 것은 소재 구조 및 질의 세 가지 특성 군으로 나누어진다는 것이다. 성격의 소재란 사물을 기억하고 파악하는 심적 특성을 말하고, 성격의 구조란 감동성(感動成) 의지 개인적 표현력 등의 특성으로 나누어지며, 이 세 가지 특성간에는 서로 깊은 관계가 있다고 한다. 성격의 질은 인간의 관심 또 충동탄력의 총체를 의미한다고 했다. 이 충동탄력이란 의욕의 방향을 지시하는 특성 군이라고 보았던 것인데 그림의 심리학적 의미에 관해서 직접 견해를 표 명한 사람 중에는 레빈슈타인(Levinstein.1904), 뤼께(Luquet.1927), 엥 (Eng,1931), 쇼(Shaw.1934), 울프(Wolff.1943), 리드(Lead. 1943), 로웬 펠드(LoWenfeld.1947)등의 많은 학자들을 들 수 있다. 이밖에도 알슈울 러 해트윅 두 사람의 저서(1947)는 이 방면의 문제해결에 많은 시사를 던져주는 연구들이다. 이들에 의하면 아동의 그림이란 충동의 기능, 감 정, 애정의 욕구, 자기 표출의 수준, 여러 가지 욕구불만 등을 표현한다 고 했다.

즉 그림을 그린다고 하는 창조적 작업을 통해서, 그 속에 숨겨져 있는 어 린아이들의 진실한 감정을 발견할 수 있다고 했으며, 이와 같은 어린아이 들의 감정생활의 성질이나 정도를 이해하는 단서는 선이나 형태보다는 색 채 면에서 더욱 그 특수한 가치가 있다고 했다. 그리고 선이나 형태에는 (1)아동이 보존하고 있는 에너지,(2)아동이 사용한 통제력의 정도,(3)그 통제력이 작용한 방향 등이 나타난다고 했다. 기타 공간의 사용법 공간 의 형 등도 성격표현과 관계가 있다고 보았다.

그림은 무의식적(無意識的) 세계의 투사이다. - 아동의 정신적 세계를 모

두 외부에서만 직접 관찰할 수 없으므로, 나타나지 않는 면 즉 숨겨져 있 는 정신세계는 적절한 추출방법이 동원되지 않으면 결코 이해할 수가 없 는 것이다.

그런데, 이 문제와 관련해서 오울포트(Allport,1937)는 정신분석학을 비 판한 대목에서, 인간의 내부적 갈등이란 것이 개인(Personality)의 발달 을 방해하고 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이론이지만, 지나치게 무의식을 강조하는 것은 정당치 않다고 강조하면서, 사실상 대부분의 갈등은 의식 적인 것이라고 보았다. 또 행동이라는 것도 의식에 나타나는 것을 거부당 할 때 갈등으로 변질하게 된다고 했다.

이 충동은 여러 가지 병적 행동의 원인이 됨으로 승화에 의해서 목표를 바꾸어야만 건강한 성격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오울포트는 나타난 정신세

이 충동은 여러 가지 병적 행동의 원인이 됨으로 승화에 의해서 목표를 바꾸어야만 건강한 성격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오울포트는 나타난 정신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