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토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국토연구"

Copied!
29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KRIHS

통권 77권 2013년 6월 ISSN 1229-8638

2013 | 0 6 | 통권 77권

국토연구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국 토 연 구

윤재봉·권태정

박태원·천현숙 송향숙 정기호·김재현 배민기·김유리

김재열·이규하 백성준 박진호·김형철 국우각 정의철

최병호·이근재 신세용 김준형 유선종·이석희 이은아·손의영 김설주·황보연 이재민·한상용

이상영 박세훈·김은란

김성연

김경필·이진상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여성친화형 공동주택 계획요소와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금리변화의 지역별 경제 영향 분석: 다지역 CGE모형 접근 도시공원 서비스의 형평성 평가를 고려한 도시공원 확충방안 : 충북 청주시를 대상으로

산업단지 구조고도화사업에서의 공원·녹지시설 설치에 관한 연구

도로유형별 자동차 운전자의 응시영역 추출 분석 및 활용방안 한국 도로자본의 최적수준과 사회적 기여

고연령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변화 결정요인 분석 : 55세 이상 자가점유 가구를 중심으로

경상남도 지역공공투자정책의 성과분석과 균형발전정책에 대한 함의

하우스푸어 문제의 진단과 대응방안

주택연금 계약특성이 월지급금에 미치는 영향 역세권 기반 도시철도의 역별 수요추정

Asymmetric Effects of Oil Prices on Highway Travel Demand in Korea

일본 주택임대관리회사의 특성 분석과 시사점 문화클러스터를 활용한 도시문화전략의 가능성과 한계 : 광주광역시 대인예술시장 사례

전문가 인식 조사를 통한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 종합건설업체를 중심으로

수도권 및 동남권의 생산구조와 생산기술 비교분석

(2)

편집위원회

위원장 / 박재길 부원장 (국토연구원 / jgpark@krihs.re.kr) 박삼옥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 parkso@snu.ac.kr) 위 원 / 강현수 교수 (중부대학교 / hskang@joongbu.ac.kr)

김대종 연구위원 (국토연구원 / djkim@krihs.re.kr) 김동주 선임연구위원 (국토연구원 / djukim@krihs.re.kr) 김정호 교수 (KDI 국제정책대학원 / jhkim@kdischool.ac.kr) 김종원 선임연구위원 (국토연구원 / cwkim@krihs.re.kr) 김태진 교수 (한국교통대학교 / tjkim@chungju.ac.kr) 김홍배 교수 (한양대학교 / hokim@hanyang.ac.kr) 박환용 교수 (가천대학교 / hwanpark@gachon.ac.kr) 안홍기 연구위원 (국토연구원 / hkahn@krihs.re.kr) 옥동석 교수 (인천대학교 / dsock@incheon.ac.kr) 유재윤 선임연구위원 (국토연구원 / jyyu@krihs.re.kr) 윤대식 교수 (영남대학교 / dsyun@yu.ac.kr) 이상준 선임연구위원 (국토연구원 / sjlee@krihs.re.kr) 이승재 교수 (서울시립대학교 / sjlee@uos.ac.kr) 이정록 교수 (전남대학교 / jrlee@chonnam.ac.kr) 임동순 교수 (동의대학교 / dslim@deu.ac.kr) 정성훈 교수 (강원대학교 / shjung@kangwon.ac.kr) 정진규 연구위원 (국토연구원 / jkchung@krihs.re.kr) 채미옥 선임연구위원 (국토연구원 / mochae@krihs.re.kr) 천현숙 연구위원 (국토연구원 / hschun@krihs.re.kr)

Peter Batey Professor (Univ. of Liverpool / P.W.J.Batey@liverpool.ac.uk)

Roberta Capello Onward Full Professor (Politecnico di Milano / Roberta.Capelllo@polimi.it)

Roger R. Stough Professor of Public Policy (George Mason Univ. / rstough@gmu.edu) (가나다, 알파벳 순) 간 사 / 이판식 출판문헌팀장 (국토연구원 / pslee@krihs.re.kr)

(3)

국토연구

2013. 6 통권 제77권

윤재봉 권태정

박태원 천현숙 송향숙 정기호 김재현 배민기 김유리

김재열 이규하 백성준 박진호 김형철 국우각 정의철

최병호 이근재 신세용 김준형 유선종 이석희 이은아 손의영 김설주 황보연 이재민 한상용 이상영 박세훈 김은란

김성연

김경필 이진상 3

17

35 49

67

83 103 119

137

155 175 189

205 227 241

261

277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여성친화형 공동주택 계획요소와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금리변화의 지역별 경제 영향 분석: 다지역 CGE모형 접근 도시공원 서비스의 형평성 평가를 고려한 도시공원 확충방안 : 충북 청주시를 대상으로

산업단지 구조고도화사업에서의 공원˙녹지시설 설치에 관한 연구

도로유형별 자동차 운전자의 응시영역 추출 분석 및 활용방안 한국 도로자본의 최적수준과 사회적 기여

고연령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변화 결정요인 분석 : 55세 이상 자가점유 가구를 중심으로

경상남도 지역공공투자정책의 성과분석과 균형발전정책에 대한 함의

하우스푸어 문제의 진단과 대응방안

주택연금 계약특성이 월지급금에 미치는 영향 역세권 기반 도시철도의 역별 수요추정

Asymmetric Effects of Oil Prices on Highway Travel Demand in Korea 일본 주택임대관리회사의 특성 분석과 시사점

문화클러스터를 활용한 도시문화전략의 가능성과 한계 : 광주광역시 대인예술시장 사례

전문가 인식 조사를 통한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 종합건설업체를 중심으로

수도권 및 동남권의 생산구조와 생산기술 비교분석

(4)
(5)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을 중심으로

Effectiveness on Storm Water Management of Green City Planning Elements : Focusing on Multipurpose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국토연구 제77권(2013. 6): pp3~16

목 차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1. 기존 방재대책 한계점 및 선행연구 검토

2.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 도출: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

3.관련 법률 및 사례 분석

III. 대상지 선정 현황 분석

IV.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분석

1.시나리오의 작성

2.분석모형 선정: 도시유출해석모형 3.SWMM의 입력자료 구성

4.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분석 결과

V. 결론 윤재봉

Yoon Jaebong 동아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조경학과 석사(제1저자) M.S., Dept. of Urban Planning and Landscape,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Primary Author) (spokesman@donga.ac.kr)

※ 본 논문은 윤재봉. 2013.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도시설계요소 효과분석 - 부산광역시 감전1 침수위험지구를 중심으 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하여 작성하였으며, 정부(국토교통부)가 출연하고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 원에서 위탁시행한 2011년도 첨단도시개발사업(11첨단도시G09)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권태정

Kwon Taejung

동아대학교 도시계획학과 조교수(교신저자) Assistant Prof., Dept. of Urban Planning, Dong-A Univ.(Corresponding Author) (edankwon@dau.ac.kr)

(6)

I.

서론

최근 우리나라의 기후변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 며,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국내 도시계획 관련 학계 및 정부는 지속가능개발 개념을 바탕으로 생태도시, 녹색도시 등 이상기후에 대처하기 위한 연 구를 활발히 진행해왔다. 하지만 현재까지 진행된 도 시계획 분야의 대처는 이상기후의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 도시개발로 인해 교란된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된 반면, 기후변화로 인 해 이미 직면하고 있는 대형화된 자연재해에 대한 고 려는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최근 대형화된 자연재해의 일례로 2010년 9월에 는 서울지역 집중 폭우로 인해 국가 상징거리인 세종 로가 침수되었으며, 실종 2명을 포함하여 3명의 인명 피해와 약 5,700가구 1만 3,900명의 이재민이 발생 하였다. 그리고 2011년 7월에는 수도권 지역의 기록 적인 폭우로 인해 우면산 산사태가 발생하였으며, 이 는 사망 16명과 580여 채 주택 침수로 이어지기도 하 였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최근의 대형화된 폭우 관련 자연재해 이후에도 국내의 방재대책은 방재시 설의 개선˙확충 등 과거 구조적 대책 중심으로 진행 되었으며, 폭우를 대비한 도시공간구조 개편 및 생태

˙녹색도시 연구 결과의 연계˙활용 등 도시계획 관 련 비구조적 대책 마련은 미흡하였다. 대형화된 폭우 에 대비한 하수관거 설계빈도 조정 등 구조적 대책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으나 평상시에는 용량의 상당 부분이 활용되지 않는 등 경제적 비효율성이 대두될 수 있으며, 특정 하수관거 개선˙확충 후에도 다른 관

련 수방시설 설계빈도1)의 한계 또는 운영 미숙2) 등으 로 인하여 새롭게 개선˙확충된 방재시설물의 제 기 능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방 재시설물 외에도 생태˙녹색도시 연구와의 연계 속 에서 도시의 모든 구성요소가 종합적으로 대응함으 로써 방재시설의 부담을 완화하고 대형화된 폭우에 대응하기 위한 역할을 분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후변화 대응 관련 도시계획 분야의 핵심 연구대상인 생태˙녹색도시의 계획요 소를 폭우 관련 도시 방재적 측면에서 평가하여 핵 심계획요소를 도출하고, 폭우 시 해당 계획요소의 폭 우 관련 방재시설 부담 완화 측면의 효과를 규명하고 자 한다. 효과 규명을 위해 본 논문은 EPA- SWMM 을 활용하여 부산광역시 낙동강변에 위치한 폭우관 련 재해위험지구를 대상으로 도출된 녹색도시 계획 요소의 방재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폭우 란 부산광역시 최대 하수관거 설계빈도에 해당하는 강우로 가정하였다. 본 논문은 향후 폭우재해로부터 안전한 도시조성을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 도입가 능성 검토를 넘어 비구조적 방재대책으로서의 녹색 도시연구 연계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I.

이론적 고찰

1. 기존 방재대책 한계점 및 선행연구 검토

도시지역은 지역 내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대 즉, 토지피복의 변화로 인하여 첨두유출량이 급격히

1) 국내 도시 대부분의 하수관거 설계빈도는 10년 빈도(75mm/h)를 기준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수관거를 제외한 수방시설 역시 5~30년 빈도 설계기준으로 설치되어 있음(전병훈. 2012: 10).

2) 2012년 7월 1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시티에는 하루 231mm의 집중호우가 쏟아지면서 침수가 발생하였음. 부산시가 일대 저 지대의 침수를 예방하기 위해 올림픽공원 지하에 설치한 우수저류조가 제 역할을 못하였는데, 낙엽 등 각종 이물질이 우수저류조의 입구를 막아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음(박주영. 2012).

(7)

증가할 뿐 아니라 첨두유출량 도달시간이 단축되어 침수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곽현구(2007: 1) 에 의하면 도시지역의 침수는 토지이용으로 인한 토 지피복의 변화와 더불어 강우 규모가 배수시스템의 용량을 초과하거나, 하천수위의 상승으로 관로 내에 역류가 발생함으로써 우수 배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폭우 관련 방재대책은 구조적 방법과 비구조적 방법으로 구분되며, 국내의 기존 방재대책 은 주로 침수피해로부터 인간의 정주공간을 보호하 는 구조적 방법에 크게 의존해왔다(권태정 외. 2012:

10). 기존의 구조적 방법은 특히, 하천변 제방시설과 같이 외수침수로부터 도시지역을 보호하기 위한 방 재시설과 하수관거 확충 등 유출수의 신속한 배수를 통해 내수침수로부터 도시지역을 보호하기 위한 방 재 단일목적의 구조물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도시화 로 인해 도시지역의 첨두유출량과 첨두유출량 도달 시간 관련 지표가 악화되었으나, 지표에

서 우수를 침투˙지연시키는 우수관리 시스템을 갖추는 데 상대적으로 소홀하 였으며, 재해위험지역 또는 하천˙해안 변에 인접하여 주거지역이 밀집되어 조 성되는 등 방재적 관점을 고려한 토지 이용이 미흡한 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심우배 외. 2010: 16). 이에 따라 최근 들 어 통합적 수자원 관리(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의 일환 으로 통합적 홍수 관리(Integrated Flood Management: IFM)의 필요성이 대두되 고 있으며, 이는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극한 홍수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하 여 토지이용 및 총괄적 수자원 관리와의 연계 등 비구조적 통합적 대응방안의 중요 성을 강조하고 있다(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09).

한편, 도시지역의 침수 완화 관련 선행연구는 대 부분 설계강우량을 초과하는 폭우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방재 단일목적 시설물의 위치 및 용량의 최 적화에 대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일부 연구 에서 도시계획시설 측면에서의 방재방안 도입의 필 요성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도입시설에 대한 효과 분 석에 소홀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표 1> 참조). 또 한 최근 토목 및 환경 분야에서는 도시의 물 순환 건 전화와 비점오염원 관리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기 법인 LID(Low Impact Development)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LID는 지표면 유출수를 저류

˙침투˙증발 목적의 설계기법을 통해 개발 이전의 자연적인 수문학적 특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지하수 함양 촉진을 목적으로 한다. LID는 주로 미국의 환 경청(EPA)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이와 유사한 기법으로는 영국의 지속가능배수시스템(Sustainable

연구자 연구 내용

진영길(2003) 도시지역의 홍수피해 원인 분석을 통하여 내수침수의 대책 으로 배수계통 시설의 충분한 시설용량 확보를 제시함 박지현(2008) 저류지 위치별 홍수조절능력 평가에 의하여 하류에 비해 중

류에 설치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규명함

엄문섭(2008) 저류지 등의 기존 구조적 대책 외 우수유출저감시설과 더불어 도시계획시설 측면에서의 방재방안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함 이상엽(2008) SWMM을 활용하여 지하저류조의 용량과 최적의 위치를 선

정함

최우정(2008) SWMM을 활용하여 문산배수펌프장 배수유역의 우수관거 조정 및 재설계, 저류지 설치에 대한 효과를 분석함

박지은(2012)

MOUSE모형을 활용하여 관거의 증설과 저류공간 설치에 따 른 침수개선 효과를 비교분석하여 관거의 증설만으로는 침 수 저감에 한계가 있음을 주장함

이상은(2012)

저류시설 용량 산정과 더불어 녹지의 물순환 기능 개선, 침 투설비의 설치 등 소규모 저감방안을 통하여 유출저감이 가 능하며 공간계획상의 적용을 위한 규제 및 가이드라인 필요 성을 제시함

채희창(2012)

XP-SWMM을 활용한 저류지의 위치변경에 따른 유출량 저 감효과를 분석하여 위치에 따라 우수유출 저감효과의 차이가 큼을 분석함

표 1 _ 도시지역 침수 완화 관련 선행연구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5

(8)

Urban Drainage Systems: SUDS), 호주의 빗물관리 도시설계(Water Sensitive Urban Design: WSUD) 등 을 들 수 있다(신상영 외. 2012: 68). LID 주요 요소 로는 생태저류시설, 식생체류장지, 식생사면, 생태식 생수로, 옥상녹화, 투수성 포장 등이 있다. LID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각 계획요소에 대한 효과분석을 실 시하고 있으나, 옥상녹화와 투수성 포장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표 2> 참조), 투수성 포장 의 경우 집중 강우 시 첨두유출량 감소 및 첨두유출 량 도달시간 지연효과에 대한 의문과 한계가 지속적 으로 제기되고 있다.3)

2.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 도출 :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

최근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연구가 방재 단일목적 시 설물 중심에 초점이 맞추어져 진행됨에 따른 한계점 을 인식하고 도시계획 차원의 접근 필요성을 바탕으 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은 폭우재해 완화 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폭우

재해 완화를 위한 도시계획˙설계요 소 관련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 하였다. 대표적인 관련 연구로는 심우 배 외(2010), 권태정 외(2012), 신상영 외(2012)가 있으며, 권태정 외(2012)의 연구에서 심우배 외(2010)의 연구를 선 행연구로 포함함으로써 본 논문에서는 권태정 외(2012)와 신상영 외(2012)의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갈음하였다. 신 상영 외(2012)는 도시계획˙설계에 대 한 개념 및 이론검토를 바탕으로 폭우 재해 저감을 위한 현행 국내˙외 제도 및 사례를 분 석하여 최종 49개의 관련 요소를 도출하였고, 계획 영역별(입지 및 토지이용, 기반시설, 단지조성, 건축 물) 구분을 통하여 방재를 고려한 도시설계요소 인 벤토리를 구축하였다. 권태정 외(2012)의 연구는 관 련 법률 및 수립지침, 선행연구, 국내˙외 사례분석 을 통하여 관련 도시계획˙설계요소 42개를도출하 였다. 권태정 외(2012)의 연구는 도출된 도시계획˙

설계요소를 공간적 위계별(광역, 도시, 지구˙단지, 건축물<필지>) 및 재난위험함수의 변수로 구분하여 matrix를 구축하였다. 재난위험함수란 Exposure, Vulnerability, Hazard를 변수 Risk = function(Hazard

×Exposure×Vulnerability)로 표현되며, 이는 자연 재해로 인한 위험(Risk)은 자연재해의 빈도와 규모 등 자연재해 자체에 대한 요인(Hazard)과 재해에 대 한 인명˙재산의 노출(Exposure), 도시 사회 구성요 소 각각이 지니는 취약성(Vulnerability)에 따라 결정 됨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공간위계별 구분을 통하 여 대상지에 접목 가능한 계획요소의 도출이 용이한 권태정 외(2012) 연구의 matrix를 바탕으로 신상영

3) 이재응 외(2001), 김병훈(2001)의 연구에서는 공극의 막힘으로 인한 투수성 포장의 효과 감소를 예상하고 있으며, 이정민 외(2011) 의 연구에서는 사용조사에 의하여 5년 경과 후 대부분의 침투능력이 폐쇄되고 있다고 지적함.

연구자 연구 내용

김현수(2002) 시범설치사업 및 SWMM을 활용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하여 침 투통, 침투측구, 침투트렌치, 투수성 포장의 효과를 증명함 장수철(2006) 옥상녹화 도입비율별(25%, 75%, 100%) 시나리오 분석을 통하

여 옥상녹화의 우수유출저감효과를 증명함

배상원(2011) 침투도랑, 식생수로, 측구형 침투시설, 도심형 인공습지를 도입한 시 나리오 분석을 통하여 첨두유출량 및 총 유출량 저감효과를 증명함

송창준(2011)

XP-SWMM을 활용한 옥상녹화 시나리오 분석을 통하여 옥상 녹화의 홍수량 감소 효과와 배수시스템 보완 측면의 대응책으로 서 효과를 증명함

조은영(2012) SWMM을 활용한 옥상녹화 및 투수성 포장의 시나리오 분석 을 통하여 투수성 포장의 도입이 약 48% 더 효과적임을 증명함 표 2 _ LID기법의 유출량 저감효과 관련 선행연구

(9)

외(2012)의 계획요소를 matrix에 추가하는 방법으로 계획요소를 종합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종합된 matrix <표 3>을 바탕 으로 부산시 자연재해위험지구의 공간적 위계인 지 구˙단지와 건축물(필지)에 해당하는 계획요소를 우 선 선정하였다. 그 다음, 토지이용 등을 활용하여 재 해에 대한 근본적인 노출을 줄이고자 하는 중요한 계 획요소이나 특정 시설의 우수유출 저감효과를 증명 하기 어려운 Exposure 측면의 계획요소를 제외하고 재해로부터 안전한 도시 건설을 위한 방재적 노력을 대표하는 Vulnerability 측면, 자연재해 빈도와 그 자 체를 의미하는 생태˙녹색도시 계획요소와 연계 가 능한 Hazard 측면 간의 공통적인 계획요소를 본 논문 은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로 정의 하였다(<그림 1> 참조). 그 결과로 분석 대상지에 적 용 가능한 총 11개의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표 4>

참조).

도출된 11개의 계획요소를 포괄하는 대표적인 시 설로는 빗물이용시설, 투수성 포장, 옥상녹화가 있으 나 옥상녹화의 경우 선행연구를 통하여 그 효율성이 입증되었으며(장수철. 2006; 송창준. 2011; 조은영.

2012), 투수성 포장의 경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한

구분 광역 도시 지구˙단지 건축물(필지)

Exposure 보존˙관리용 지(지역) 설정

토지이용 관련 제도를 통한 취약 지역 관리

하천(유역) 및 해안 관리

지구 / 단지 내 기능˙시설물 입 지 관리

지반고 승고

입체적 용도˙기능 관리

Vulnerability 하천 방재기능 강화

공공시설˙용지 내 방재기능 부여

방재기능을 고려한 공원˙녹지 확충

도시 해안˙하천 방재기능 강화

빗물관리시스템 도입(저류˙우수 이용)

지하수위 및 지하 투수층 관리

방재 관련 제도 강화˙도입

비상대응체계 확립

도로의 방재기능 강화

지구 / 단지 내 녹지율 제고 및 생 태면적 확보

인공포장 불투수성 최소화

지구(단지) 내 우수 저류 기능 강화

옥상정원 도입

우수저류시설 도입

중수로 활용

Hazards

개발 영향 최 소화

자연생태 건전 성 제고

녹색˙대중교통 중심 교통체계 확립

녹지 확보 및 네트워크화

생태계 복원

신재생에너지 활용 및 에너지 효 율화

자원순환을 고려한 우수 관리˙

활용

자전거˙보행자 중심 네트워크 구현

친환경 토지 이용

교통정온화 기법 도입

기존 지형을 고려한 단지개발

녹지율 제고

대중교통시설과 보행네트워크 연계

바람길, 열섬 등 미기후 적극 고려

보행친화적인 거리 조성

빗물 관리˙활용

자연에너지 및 자원순환을 고려한 주택˙시설계획

자연에너지 이용률 제고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

빗물 저류˙활용 시설 도입

신재생에너지를 고려 한 건축 계획

에너지 저감형 주택 건 축 계획

옥상정원˙벽면녹화 표 3 _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도출된 폭우재해 완화 및 녹색도시 관련 계획요소

그림 1 _ 본 논문에서의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개념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7

(10)

국형 폭우의 경우 실질적인 효과에 대한 의문과 한계 가 제시되어오는 바 본 논문에서는 빗물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3. 관련 법률 및 사례 분석

빗물이용시설은 강우 발생 시 빗물을 하수관거로 유 입시키지 않고 빗물저류조에 임시 저류시킴으로써 내수침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지붕 면적 1,000m2 이상의 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 및 공 공청사를 신축(증축˙개축˙재축 포함)하는 경우 빗 물이용시설을 설치 및 운영해야 하며, 빗물저류조의

용량은 지붕 빗물 집수면적에 0.05m를 곱한 규모 이 상이 되어야 한다. 부산광역시는 위의 시설물 외에도 시설물을 신축(증축˙개축˙재축 포함)하는 경우 빗 물이용시설 설치를 권고할 수 있으며, 설치하는 자에 게 1천만 원 이내에서 90%까지 예산의 범위에서 지 원할 수 있다. 빗물이용시설은 크게 집수시설, 초기빗 물처리시설, 저류시설, 수처리시설, 송수˙배수시설 로 구성된다(환경부. 2010: 14). 이러한 빗물이용시 설의 선진사례로는 일본의 스미다구와 국내의 전주 월드컵경기장 등을 들 수 있다.

도시 대부분이 해수면보다 낮은 지역으로 이루어 진 일본의 도쿄도 스미다구는 빗물이용의 대표적인 사례지로서 스미다구청은 일본에서 빗물이용을 하 게 된 13번째 공공기관이다. 5천m2의 집수면적과 저 류용량 1천m3의 지하저장 탱크를 가지고 있으며, 저 류된 빗물은 주로 화장실 용수로 사용된다. 또한, 스 미다구에는 빗물을 이용하기 위한 6개의 로지손이 있으며, 가정집의 지붕면을 통해 내려온 빗물을 집 근처 지하 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 시에 수동펌프를 이용해 손쉽게 빗물을 이용할 수 있다. 과거에는 소 방용수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로지손은 빗물이용시설을 소규 모의 개별 건축물마다 설치하였다는 점에서 스미다 구청과 같은 공공청사 및 종합운동장을 활용한 사례 와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전주시 덕진구 반월동에 위치한 전주 월드컵경 기장은 지붕면과 그라운드를 통해 집수한 빗물을 조경용수와 소방용수로 이용하고 있다. 지붕면 1만 3,650m2, 그라운드 1만 912m2를 통해 집수된 빗물 은 저류, 처리, 급수 그리고 배수의 과정을 거쳐 이 용된다. 빗물은 지하에 설치된 철근 콘크리트조에 2,090m3의 용량으로 저류되며, 해당 사례지는 주경 기장 및 보조경기장 잔디살수 용수로 연간 4천만 원 정도의 경제적 효과를 보고 있다(환경부. 2010: 157-

구분 지구˙단지 건축물(필지)

Vulnerability

지구 / 단지 내 녹지 율 제고 및 생태면 적 확보

인공포장 불투수성 최소화

지구(단지) 내 우수 저류 기능 강화

옥상정원 도입

우수저류시설 도입

중수로 활용

Hazard

녹지율 제고

빗물 관리˙활용

자연에너지 및 자원 순환을 고려한 우수 관리˙활용

빗물 저류˙활용 시 설 도입

옥상정원˙벽면녹

대표적인 시설 계획요소

빗물이용시설

지구(단지) 내 우수저류기능 강화

빗물 관리˙활용

우수저류시설 도입

중수로 활용

빗물 저류˙활용 시설 도입 투수성 포장

인공포장 불투수성 최소화

자연에너지 및 자원순환을 고려한 우수 관리˙활용

옥상녹화

지구/단지 내 녹지율 제고 및 생태면적 확보

녹지율 제고

옥상정원 도입

옥상정원˙벽면녹화

표 4 _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와 도입시설(대상지 공간적 위계를 바탕으로 도출)

(11)

158; 과학기술부. 2004: 26).

빗물이용시설은 법률 및 사례검토에서 보듯이 저 류시설에 빗물을 저류함으로써 첨두유출량 저감 및 첨두유출 도달시간의 지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김갑수(2003: 7-11)에 의하면 빗물이용은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켜 지역물순환시스템의 재생, 지반침하 방지, 정원의 빗물 함양, 도시의 열섬화 방 지대책 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III.

대상지 선정 및 현황 분석

낙동강 인근에 위치한 부산광역시의 저지대 공입지 역인 대상지는 ‘가’등급 침수위험지구로서 총면적 84만m2다. 인근에 위치한 하천의 하상경사가 불규 칙하고 완만함에 따라 홍수량 배제능력이 부족하여 배수펌프장을 가동하여도 상류 측의 수위저감 효과 가 작은 특성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간선하수도의 통 수능력이 저하되고 집중호우 시 도로 및 공장지역의 침수가 빈번히 발생되어 2006년에 자연재해위험지 구로 지정되었다.

대상지는 대부분(81.75%) 경사도 1° 미만의 지형 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지형적 특성상 주 변지역으로부터 흘러들어온 우수가 다른 지역으로 배수되지 못하고 대상지 내에 저류하는 시간이 증 가함에 따라 침수가 발생할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 은 지역이다. 대상지 내 표고는 94.88%(7,994m2)가 0~5m 미만을 차지하고 있으며, 0m 미만 지역 또한 3.07%(2만 5,750m2)를 차지하고 있다.

대상지의 면적 중 76.01%(63만 8,505.10m2)는 전용공업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준공업지역은 14만 7,022.62m2(17.5%), 제2종 일반주거지역은 5만 4,472.28m2(6.48%)로 대상지 면적 중 93.52%가 공업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상지의 가운데로 흐 르는 하천의 일부 초지를 제외한 대부분은 시가화건

조지역으로 불투수 포장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통 계청의 SGIS의 센서스지도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용 도를 분석한 결과 대상지의 총 1,445개 건축물 중 80.35%(1,161개)가 공업시설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 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단독주택이 10.8%(156개) 로 구성되어 있다. 대상지는 200m2 미만 면적의 건축 물이 891개(61.66%)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300m2 이상 500m2 미만의 건축물 189개(13.08%)로 구성 되어 있다.

IV.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분석

1. 시나리오의 작성

우수유출 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시나리오의 작성을 위하여 빗물이용시설의 도입기준을 앞서 검토한 「물 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거, 공공 청사 등의 신축 등에 따른 설치기준인 1천m2 이상을 적용하였다. 분산형 빗물관리시스템은 연간 발생하 는 강수에 대하여 상시 사용하기 때문에 연간이용일 수가 매우 높으며, 제어가 간단한 특징을 가진다. 이 와 더불어 분산형 빗물관리시스템은 집중형 빗물관 리시스템에 비해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낮을 뿐만 아 니라 문제 발생 시 다른 지역이나 도시에 미치는 영 향이 매우 미미하여 위험관리에 안정적인 특징을 가 진다(곽동근. 2010: 66). 따라서 본 논문은 위와 같은 특성에 기초하여 분산형 빗물이용시설과 집중형 빗 물이용시설로 구분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분 산형 빗물이용시설은 조건에 부합하는 건축물을 대 상으로 개별적인 빗물이용시설을 도입하는 것을 가 정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집중형 빗물이용시설은 분산형 빗물이용시설과 같은 용량으로 관거 본선 합류지점의 상˙중˙하류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9

(12)

로 구분하여 각각의 지점에 총 3개의 중규모 빗물이 용시설을 설치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ArcMap을 활용하여 도출한 결과, 건축물 면적 1천m2 이상의 건축물은 총 53개소이며, 시나리오별 로 각각의 소유역에 적용한 빗물이용시설의 면적은

<표 5>와 같다.

2. 분석모형 선정: 도시유출해석모형

도시유역의 침수해석을 위해 필요한 해석기법에는 도시유출해석모형이 있다. 산지 및 농경지 유역에 대 한 유추 해석의 기본개념과 달리 도시 지역의 유출 해석은 일반적으로 강우 손실률의 감소 및 강우 분 배 경로의 변화, 유역 수문 시스템의 민감한 반응 등 의 주요 특성을 갖는다. 도시유출해석모형은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강우로부터 유출에 이르기까지 일 련의 과정에 포함된 모든 물리적 현상을 정량화, 모

그림 2 _ 분산형 빗물이용시설 도입 건축물 그림 3 _ 집중형 빗물이용시설 도입 소유역

구분 소유역 도입 면적(m2)

분산형 빗물이용시설

s2 1,006.88

s3 11,679.37

s7 2,740.61

s9 5,812.55

s10 6,692.94

s11 16,741.88

s13 4,991.55

s14 17,324.00

s17 2,183.03

s18 8,271.56

s20 2,242.72

s21 12,834.17 s22 10,585.92

합계 103,107.18

집중형 빗물이용시설

s9 27,932.35 s13 39,057.43 s18 36,117.40

합계 103,107.18

표 5 _ 시나리오별 빗물이용시설 도입 면적

(13)

형화하려는 시도의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그동안 우리나라에 소개되어 비교적 그 적용성이 인정된 모 형으로는 합리식, STORM, RRL, ILLUDAS, SWMM 등이 있다.

합리식 방법(Rational Method)은 도시유역이 갖 는 수문특성을 고려하여 유역의 첨두 홍수량을 결 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Mulvany(1850)에 의하여 처음 제안되었다. 그러나 합리식은 몇 가지 가정상 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첨두 홍수량의 계산만 을 목적으로 하므로 시간에 따른 유출량의 변화 성 향 및 유출용적 등의 수문양을 계산하기에는 한계 를 가진다(송창준. 2011: 33-34). STORM(Storage, Treatment, Overflow, Runoff Model) 모형은 단일 또 는 연속적인 강우로부터 나타나는 도시유역의 유출 량과 수질분석이 가능하도록 미국공병단에서 1976 년 개발한 모형이다. 도시 유역으로부터의 유출량과 오염물질은 합산되어 처리시설로 운반되거나 일시 적인 저류시설로 유입되며, 범람하는 양은 유출량 및 처리/저류 시설 용량에 좌우된다는 기본개념을 바탕 으로 한다. 하지만 STORM 모형은 계산 시간 간격이 1시간으로 고정됨에 따라 1시간 이상의 큰 도달시간 을 갖는 대상 유역에 대한 사용은 제한되고 있다(김 문모˙이종태. 2005: 24).

RRL 방법(Rord Research Laboratory Method) 은 도시 배수망설계를 위하여 1962년 영국에서 고 안된 방법으로 ILLUDAS모형 개발의 기초가 된 방 법이다. 도시 지역의 불투수 지역만이 유출에 기 여한다는 기본가정을 가지며, 대상유역에 대하 여 등도달시간 - 집수면적 곡선을 작성하고 여기 에 각 양의 강우 강도를 적용하여 각 소유역의 시 간별 유출량을 합산함으로써 유입구에 대한 유입 수문곡선을 합성하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이다. 그 러나 전체 유역을 동일하게 취급함으로써 유역 내 불투수 지역의 분포현황은 유출량 산정에 포함되

지 않는다. 즉, RRL 방법은 유역 내 불투수 지역의 분 포 현황 및 관로 내에서의 저류효과를 고려하지 못 한다는 한계점이 있다(김문모˙이종태. 2005: 24).

ILLUDAS(Illinois Urban Drainage Area Similater) 모 형은 RRL 모형을 개선하여 그 적용범위를 넓힌 모형 이다. 이 방법은 RRL 모형에서 무시되었던 투수지역 을 고려한다(곽현구. 2007: 11). ILLUDAS 모형은 우 리나라에도 소개되어 1980년대 이후 두 차례 정도 개 정된 모형이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 사용된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은 1971년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와 Metcalf&Eddy 회사가 Florida 대학 및 W.R.E(Water Resources Engineers)와의 공 동연구로 개발하였다. 1988년 Huber와 Dicjinson에 의해 보완되어 도시유역 내에서 강우사상으로 발생 하는 유출량과 오염물질에 대한 지표면 및 지표하 흐 름, 배수관망에서의 유출량추적, 저류량 산정, 오염 물질의 처리와 비용계산 등의 모의가 가능한 종합적 인 모형이다(송창준. 2011: 35). SWMM은 <그림 4>

와 같은 블록의 형태로 구성되며, 126개의 보조 프로 그램들로 구성된다.

개발 초기에는 Receiving Water 블록을 포함하여 5개의 실행블록이 있었으나, 1981년 이후 Receiving Water 블록은 SWMM모형에서 제외되었다. SWMM 모형은 전체적으로 4개의 실행블록과 5개의 보조블 록, 하나의 Executive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그림 4 _ SWMM의 기본구조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11

(14)

각의 블록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SWMM을 구동하는 과정에서는 Executive 블록과 하나 혹은 두 개 이상의 실행블록이 함께 실행된다.

SWMM은 유출 해석의 경우 비선형 저류 방정식 에 의해 강우와 융설, 지표면 유출에 대한 고려가 가능 하며, 침투량 산정에는 Horton식 또는 Green-Ampt 식을 사용한다. 초기연산이 수행되는 RUNOFF 블록 에는 비선형 저류방정식이 적용되며, TRANSPORT 블록에서는 kinematic 방정식을 사용하여 하수 시스 템의 유량과 오염물질 추적 및 침투 계산이 가능하 다. EXTRAN 블록에서는 dynamic 방정식과 연속 방정식을 사용한다(김문모˙이종태. 2005: 24-25).

EPA-SWMM 5는 업데이트를 통해 LID 모듈을 추가 함으로써, LID 관련 요소의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모의 가능한 기법은 크게 식생저류장치(Bio-Retention Cell), 침투트렌치(Infiltration Trench), 공극성 포장 (Porous Pavement), 우수통(Rain Barrel), 식생도랑 (Vegetative Swale)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분석 대 상지에 도입된 빗물이용시설의 평가에 적용이 용이 한 EPA-SWMM 5를 분석모형으로 선정하였다.

3. SWMM의 입력자료 구성

대상지의 관거 특성 관련 입력자료를 구축하기 위하 여 하수관망도, 토지이용 등을 바탕으로 전체 배수유 역을 22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였고, 관망의 연결 및 흐름 방향을 고려하여 관망을 단순화하였다. 단순화 된 관망도를 바탕으로 속성정보를 추출하여 소유역, 노드 그리고 링크와 관련된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분할된 소유역에 대하여 대상지의 토지피복 현황 을 바탕으로 불투수면적비를 적용하였으며, 지표면 조도계수의 경우, 불투수면에는 Ordinary concrete lining 값인 0.013, 투수면에는 Grass short 값인 0.15 을 적용하였다. 지면저류량은 불투수면은 0.30, 투수

면은 1.00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입하는 빗물이용시설에 따른 매개 변수 값들은 선행연구(조은영. 2012: 65-67; 주재 승. 2012: 67-69) 검토를 통하여 도출된 값을 바탕 으로 적용하였으며, 그 값에 대한 내용은 <표 6>과 같 다. 위와 같은 입력자료를 바탕으로 구축된 하수관망 도는 <그림 5>와 같다.

레이어 변수 단위 변수값

저류층 height inch 또는 mm 50

암거층

drain coefficient 계수 12.7 drain exponent 지수 0.5 drain offset height inch 또는 mm 800 표 6 _ LID Control에 적용한 빗물이용시설 관련 변수

그림 5 _ 대상지의 SWMM 구축

(15)

4.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의 우수유출 저감 효과 분석 결과

본 논문은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의 도입 에 따른 대상지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하여 3개의 시 나리오를 작성하여 시나리오별 우수유출저감 효과 를 분석하였다.

1)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의 미도입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이 도입되지 않은 현재의 시가화 상태를 반영하는 첫 번째 시나리오의 경우 총 유출량은 15만 792.13m3(분석 대상지 내 총 강우량: 17만 1,957.05m3)이며, 유출률은 87.69%로 분석되었다.

2)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의 설치에 따른 우수유출 저감효과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의 설치에 따른 우 수유출 저감효과 분석 결과 분산형 빗물이용시설의 초기유출시점은 54분으로 빗물이용시설의 미도입 (44분)과 집중형 빗물이용시설(44분)보다 10분의 지 연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두유출시점의 경 우 빗물이용시설 도입에 따라 미도입 시나리오(566 분)에 비하여 136~139분의 지연효과가 나타났다. 첨 두유출량의 경우 집중형 빗물이용시설은 23.02m3, 분산형 빗물이용시설은 100.05m3의 감소효과가 나 타났다. 총 유출량은 미도입(15만 792.13m3)에 비하 여 2만 2,254.16~7만 9,529.83m3가 감소되었으며, 분산형 빗물이용시설이 집중형 빗물이용시설보다 5만 7,275.71m3(유출률: 33.31%) 더 감소시키는 효 과가 나타났다(<표 7> 참조).

이와 같은 효과는 빗물이용시설 도입의 경우, 첨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13 그림 6 _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 미도입 시나리오의 유출곡선

3.50

3.00

2.50

2.00 1.50

1.00

0.50

0.00

0 300 600 900 1,200 1,500 1,800 2,100 2,400

Runoff(CMS)

time(min)

그림 7 _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 미도입 시나리오의 유출량 및 유출률

유출량(mA3m2) 유출률(%)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

150.79

87.69

그림 8 _ 빗물이용시설 도입에 따른 유출곡선의 변화

0 300 600 900 1,200 1,500 1,800 2,100 2,400 3.50

3.00

2.50

2.00

1.50

1.00

0.50

0.00

Runoff(CMS)

time(min)

빗물이용시설 미도입 분산형 빗물이용시설 집중형 빗물이용시설

그림 9 _ 빗물이용시설 도입에 따른 유출량 및 유출률의 변화

유출량(mA3m2) 유출률

빗물이용시설 미도입 분산형 빗물이용시설 집중형 빗물이용시설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

150.79

87.69

71.26 41.44

128.54

74.75

(16)

두유출량의 강도와 첨두유출량의 도달시간을 지연 시켜 폭우재해로부터의 도시지역 안정성을 확보하 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V.

결론

본 논문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증가로 기존 방재 단일목적 시설물 중심의 방재대책의 한계점을 인 식하고 녹색도시 계획요소와의 연계 필요성을 강조하 며, 설계빈도 이상의 강우와 관련된 재해의 완화 측면 에서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하나인 빗물이용시설의 효 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빗물이용시설의 효과분석을 위 하여 도시유출해석모형 중의 하나인 EPA-SWMM을 분석모형으로 선정하였다. EPA-SWMM을 활용하여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의 방재효과를 분석 한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산형 빗물이용시설이 집중형 빗물이용시 설에 비하여 첨두유출량(77.03m3) 및 총유출량(5만 7,275.71m3), 유출률(33.31%) 등의 감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수유출감소효과 측면만 을 고려한다면, 향후 녹색도시의 조성을 위하여 개 별건축물(공공청사, 종합운동장 등 포함)에 빗물이 용시설 설치를 유도하는 경우 폭우를 고려한 저류용 량까지를 산출하여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같은 접근방법은 대규모 빗물이용˙

저류시설(오프라인 저류지 등)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녹색도시 계획요소 중 하나인 빗 물이용시설의 폭우재해 관련 방재효과가 본 논문의 도시유출해석모형분석을 통하 여 간접적으로 입증됨에 따라 기후변화 관 련 방재적 측면의 안전도시 조성 노력과 녹색도시 조성 노력 간의 연계 기반을 조 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녹색도시 요소인 빗물이용시설이 첨두유출량 감 소와 첨두유출 도달시간의 단축에 기여함과 동시에 설계빈도 이상의 강우 시 기존 방재대책의 부담을 덜 어주고 배수시스템의 운영 미숙과 같은 만약의 사태 발생 시 그 피해규모를 줄이는 데도 일정 부분 기여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녹색도시라는 현재 도 시계획의 큰 축과 폭우재해로부터 안전한 도시 건설 은 같은 축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녹색도 시 건설을 위한 빗물이용시설의 설치에 있어 우수유 출 저감효과를 고려한 배치 및 용량을 설정함으로써 녹색도시와 폭우재해로부터 안전한 도시 건설 노력 간의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의 폭 우재해 관련 방재효과를 증명하였지만, 시나리오가 다양하지 못하고, 분석 대상 지역이 1개 지역으로 국 한되어 빗물이용시설의 방재효과를 정량화하거나 일반화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지닌다. 따라서 향후 연 구에서는 빗물이용시설(특히, 분산형 빗물이용시설) 의 방재효과를 다양한 시나리오와 지형 등 지역여건 을 고려하여 검증해 봄으로써 최적의 배치기법 및 적 정 저류용량 등을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

구분 빗물이용시설

미도입

분산형 빗물이용시설

집중형 빗물이용시설

초기 유출시점(min) 44 54 44

첨두 유출시점 (min) 566 705 702

첨두 유출량 (m3) 183.92 83.87 160.90 총 유출량(m3) 150,792.13 71,262.30 128,538.01

유출률(%) 87.69 41.44 74.75

표 7 _ 빗물이용시설 도입에 따른 우수유출 저감효과

(17)

참고문헌 ● ● ● ● ●

과학기술부. 2004. 우수 저류 및 활용 기술 개발. 경기 : 과학 기술부.

곽동근. 2010. “분산형 빗물관리시스템의 이˙치수 효과 및 설계방 법에 대한 연구 - 수원지역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 사학위 논문.

곽현구. 2007. “도시지역의 내배수시스템을 고려한 침수해석”. 충 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권태정˙김회경˙오세경˙윤갑식˙윤재봉. 2012. 폭우재해 관련 지속가능성 개념정립 및 토지이용 관련 기술 개 발. 부산 : 동아대학교.

김갑수. 2003. 빗물이용을 통한 도시침수 저감 및 수돗물 절약방안.

서울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문모˙이종태. 2005. “도시 유출 모형의 특성 및 활용방안”.

대한토목학회지 제53권 제9호. pp21-27.

김병훈. 2001. “투수성 포장의 우수유출 저감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현수. 2002. “인천 침수피해지역의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효 과”. 인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주영. 2012. “[부산˙울산˙경남] 첨단도시 센텀시티 도로 침수 를 막아라”. 조선일보. 7월 17일자.

박지은. 2012. “인천교 매립지 지역의 침수피해 저감을 위한 저류 시설 활용방안”. 인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지현. 2008. “도시유역의 저류지에 의한 홍수조절능력에 관한 연 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배상원. 2011. “SWMM5를 이용한 저영향개발의 홍수저감효과 분 석: 장재천 유역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송창준. 2011.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배수시스템 취약성 분석과 대응방안으로서 LID 기법 적용성 평가–굴포천 유역을 대상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신상영˙이석민˙박창열˙손은정. 2012. 폭우재해 저감 도시 설계기술 개발. 서울 : 서울연구원.

심우배˙김걸˙지승희˙김학열. 2010. 기후변화에 안전한 재 해통합대응 도시 구축방안연구(II). 경기 : 국토연구원.

엄문섭. 2008. “신도시 건설 시 도시방재 방안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윤재봉. 2013.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도시설계요소 효과분석 - 부산광역시 감전1 침수위험지구를 중심으로”. 동아대 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상엽. 2008. “도시지역 침수저감을 위한 지하저류조의 최적설 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상은. 2012. “상습침수지역 우수유출 저감계획 및 설계–강서구 화곡동 자연재해 위험지구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이재응˙여운광˙심재현˙강태호. 2001. “투수성 포장재를 사 용한 호우 시 우수유출 저감효과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1권 제6-B호. pp645-654.

이정민˙현경학˙최종수˙박용부˙이윤상˙이유진˙공영산.

2011. LID기술을 이용한 홍수저감 효과분석. 경기 : 한 국토지주택공사.

장수철. 2006. “옥상녹화시스템의 우수유출효과분석”. 서울시립대 학교 석사학위 논문.

전병훈. 2012. 5. 30.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설 정˙운영”. 소방방재청. 2012년 지방자치단체 자연재 해 담당공무원 실무교육 - 우수저류시설 설치사업, 방 재성능목표 설정˙운영, 지구단위홍수방어기준 적용.

서울 : 코엑스.

조은영. 2012. “SWMM-LID 모형을 활용한 도시소유역 LID영향 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주재승. 2012. “공업지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분석 및 SWMM 활용 LID적용 효과 분석 연구”. 부산대학교 석 사학위 논문.

진영길. 2003. “도시화로 인한 상습침수지역 원인분석 및 저감 대 책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채희창. 2012. “XP-SWMM을 이용한 도시지역에서 우수저류지 의 최적위치”.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최우정. 2008. “도시저지대 침수방지를 위한 내배수체계 및 펌프운 영 개선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환경부. 2010. 빗물이용시설 설치˙관리 가이드북. 세종 : 환경부.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09. Intergrated Flood Management Concept Paper. WMO-No.1047.

Switzerland :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 논문 접수일: 2013. 1. 21

• 심사 시작일: 2013. 2. 5

• 심사 완료일: 2013. 3. 12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15

(18)

Abstract

Effectiveness on Storm Water Management of Green City Planning Elements : Focusing on Multipurpose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Keywords: Climate Change, Natural Disaster, Stormwater Retention, Rain Water Utilization Facilities

This study attempts (1) to find effective urban design elements in consideration of both heavy rainfall hazard mitigation and green city planning and (2)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in the field, a natural disaster-prone urban district in Busan, Korea. The analytical matrix considering previous green city planning research and ICPP’s three factors of disaster risk suggests three main urban design elements that can be used against heavy-rainfall natural disaster, which elements include green roof, permeable urban surface, and rain water utilization facility. Rain water utilization facility is, however, introduced alone to the field analysis given that its effectiveness has not been fully t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field analysis using EPA-SWMM reveals the possible role of rain water utilization facilities in reducing the amount of the peak flow reduction as well as in expanding the runoff flow time. The analysis also suggests that a better result is expected when rain water utilization facilities with small- to-medium capacity are introduced in a dispersed way. The analytical results help guiding municipal governments’ hazard mitigation efforts in consideration of green city planning and also promoting future studies to make connections between green city and hazard resilient city planning efforts.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 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주제어: 기후변화, 자연재해, 빗물저류, 빗물이용시설

본 논문은 대형화된 폭우 관련 자연재해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현재 연구된 녹색도시 계획요소를 재난위험함수를 바탕으로 평가하여 투수성포장, 옥상녹화, 빗물이용시설 등 방재기능과 연계 가능 한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그 효과를 중점적으로 검 토할 빗물이용시설 계획요소를 선정하였다. 부산시 낙동강변 자연재해위험지구를 대상으로 EPA- SWMM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빗물저류기능을 고려한 빗물이용시설을 도입할 경우 첨두우수 유출량 저감 및 첨두우수유출 도달 시간 지연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개별 건축 물 중심의 분산형으로 도입˙설치하는 경우는 유역별 집중적으로 도입˙설치하는 것에 비해 그 효 과 측면에서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향후 녹색도시 조성은 물론, 폭 우 관련 자연재해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설 도입과 관련된 지방자치단체 정책방향 설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기후변화시대를 맞이하여 녹색도시와 안전방재도시연 구 간의 연계를 위한 향후 연구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9)

폭우재해 완화를 위한 녹색도시 계획요소의 우수유출 저감효과 17

여성친화형 공동주택 계획요소와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Planning Components and Priority of Women-Friendly Housing Complex

박태원

Park Taewon

광운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부교수(제1저자) Prof., Dept. of Urban Planning & Real Estate, Graduate School of Kwangwoon Univ.

(Primary Author) (realestate@kw.ac.kr)

천현숙

Hyeonsook Chun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Research Fellow,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hchun@krihs.re.kr)

송향숙

Song Hyangsook

광운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박사과정(교신저자) Ph.D. Candidate, Dept. of Urban Planning &

Real Estate, Graduate School of Kwangwoon Univ.

(Corresponding Author) (bdshs@kw.ac.kr)

국토연구 제77권(2013. 6): pp17~34

목 차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의 방법 및 절차

II. 선행연구 검토

1. 연구동향 분석

III. 실증분석

1. 여성친화 구성요소의 탐색적 도출 2.여성친화형 공동주택 계획요소 도출

3.여성친화형 공동주택 계획요소 우선순위 설정

IV. 결론

※ 본 논문은 2012년 국토연구원 협동연구과제인 “저출산 추세에 대응한 주택 및 도시정책 방향 연구” 중 “여성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개념모델 연구: 주택단지 및 근린범위를 중심으로”를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재작성하였음.

(20)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도시공간에서 여성은 전통적으로 사회적 불평등한 대우를 받아왔고, 제한적인 영향력을 가진 사용자의 위치에 머물러 있다. 사회적 관념들과 관습, 유교를 바탕으로 한 가부장제 등은 사회˙문화적 배경이 되 어 여성을 고착화된 공간 사용자로 머물게 하였으 며(송향숙˙박태원. 2011: 53), 여성을 바라보는 시 각이 가족중심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도시 발전과 주거지 개발에 있어서도 여성은 공 간을 이용하는 주체로서 위치에 서지 못하고 오히려 배제된 측면이 있다. 1980년대 후반1)에 이르러서야 여성을 젠더 관점의 평등한 대상으로서 바라보는 논 의가 시작되었으나, 가시적 차원에서의 의미는 미약 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공간의 여성친화적 (women-friendly) 혹은 중립적(gender neutral) 사고 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도시의 경쟁력 향상 및 성 장을 위해서 여성의 역할과 사회 활동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도시 조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부터 지방자치 단체를 중심으로 여성친화도시를 지정하였으며, 지 금까지 남성 위주로 주도되어 왔던 도시공간을 성인 지적 관점의 수직적 관계를 개선하고자 노력하였다.

내용적으로는 도시공간 개선뿐만 아니라 성인지적 교육을 통한 성 주류화의 지향, 여성의 정책 참여를 통한 여성정책의 개선, 조화로운 도심 커뮤니티 구 성 등 다양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 이는 도시의 여성 친화적 공간 변화를 통해 여성의 수평적 공간 지위를 갖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 차원 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단위 주거의 경우, 그 한계성

을 지니고 있다. 이은숙 외(2003)에 의하면 주거 공 간에서 여성은 시공간적 제약을 받는 것으로 설명되 고 있다. 그동안의 단위 주거는 공급자 위주의 계획 으로 외부와의 단절과 분리를 만들어냈으며, 여성의 사회참여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여성을 바라보는 기존 연구들 역시 ‘페미니즘적 도시 연구(Feminism Urban Studies)’가 주를 이루고 있으 며, 도시공간의 사용자로서 느끼는 문제점에 대한 해 결책보다는 여성과 남성의 성차별적인 문제를 도시 공간으로 확대한 거시적 관점의 연구가 중심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 도외시 되어 왔던, 주 거단지의 미시적 실행 연구로서 젠더 중립성을 지향 하기 위해 국내의 대표적 주거유형인 공동주택 단지 를 중심으로 여성이 느끼는 불편한 점과 필요로 하는 시설을 탐색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에 대한 실 증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친화형 공동주택 계획 시 고려할 수 있는 계획요소와 우선순 위를 제안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본 논문의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병 행하였다. 질적연구의 방법으로는 여성친화도시의 개 념과 그에 관련한 선행연구 및 이론을 검토하여 여성 친화도시의 개념을 토대로 주거단지와의 연계적 일관 성을 찾고자 하였다. 양적연구의 방법으로는 공동주택 단지에 거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법(Depth Interview)과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면 접기법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계층분석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통계패

1) 1988년 세계지방자치단체 연합회(IULA)에서 성평등성에 대한 여성선언이 채택되었음.

참조

관련 문서

연구결과 Airbnb의 증가는 인근지역 아파트 가격에 부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부산과 캘리포니아 사례처럼 소음, 쓰레기, 주차위반, 밤 늦은 시간까지 파티

단, 아파트 주민공동시설 사용과 운영방안에 대해서는 실입주 후 관리사무소 및 입주자 대표회의에서 결정하여 운영됨.. • 부대복리시설은 아파트

주택공급신청자의 직계존속(배우자의 직계존속 포함) : 주택공급신청자 또는 주택공급신청자의 배우자와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함께

출입국사실증명서 해외체류기간이 계속하여 90일을 초과한 기간(입국 후 7일 내 동일국가 재출국 시 계속하여 해외에 체류한 것으로 봄) 또는 연간183일을 초과 하여

건물등기부 또는 건축물대장등의 공부상 주택으로 등재되어 있으나 주택이 낡아 사람이 살지 아니하는 폐가이거나 주택이 멸실되었거나 주택이 아닌 다른

아파트 지하주차장

감리자가 확인한 실행공정률이 예정공정률(주채무자가 감리자에게 제출하는 예정공정표상의

보증채권자가 입주자모집공고에서 정한 납부기일전에 납부한 입주금중 납부기일이 보증사고일 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