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젊은 여성의 비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젊은 여성의 비만"

Copied!
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내과학회지: 제 79 권 부록 2 호 2010 □

임상강좌

-S 470 -

젊은 여성의 비만

이화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성 연 아

Table 1. 한국인의 체질량지수에 의한 비만 유병률

연령 (세) 비만 유병률 (%)

여자 남자 전체

전체 성인 19~29 30~39 40~49

26.5 14.1 17.0 27.3

35.6 31.0 38.2 41.1

31.0 23.0 28.0 34.4

Table 2. 한국인의 중심비만 유병률

연령 (세) 중심비만 유병률 (%)

여자 남자 전체

전체 성인 19~29 30~39 40~49 50~59

24.9 9.1 15.0 20.9 34.9

25.6 16.1 23.6 26.0 33.5

25.3 12.8 19.5 23.5 34.2 여성의 비만은 심혈관질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은 남성

과 유사하다. 그러나 젊은 여성의 비만은 남성과 달리 임신, 출산과 연관되어 생식과 관련된 질환이나 일부 호르몬 의존 종양 등의 질환 위험을 증가시키며 생식기관의 발달과 기능 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본 강의에서는 임상강좌의 주제에 맞추어 젊은 여성의 비만이 남성과 달리 가지고 있는 주요 임상 문제에 관해 다루고자 한다.

한국여성의 비만 유병률

2008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결과에 의하면 체질량지수 25 kg/m2이상의 비만 유병률은 20대 여성 14.1%, 30대 여성 17%, 40대 여성 27.7% 이었다(표 1)1). 여성은 20대와 30대에 비만의 유병률이 남성에 비해 현격하게 낮으나 남성과 달리 40대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허리둘레를 기준한 중심 비만 의 유병률은 20대 여성의 9.1%, 30대 여성의 15.0%, 40대 여성의 20.9%, 50대 여성의 34.9%로, 폐경 이후로 예상되는 50대 이후에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표 2).

젊은 여성에게 비만의 중요성

여성에서 비만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고혈압, 인슐린 저항 성, 이상지혈증, 만성 염증지표의 증가 등의 심혈관질환의 위험 요인과 수면무호흡의 위험을 증가 시킨다. 특히 여성에 서는 배란장애 및 불임과 연관된 다낭난소증후군, 자궁내막 암, 유방암, 대장암 및 신장암 등의 악성 종양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그 예로 미국의 Nurses’

Health study 연국 결과를 보면 체중 증가는 유방암의 위험을 16%까지 증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3).

젊은 여성에게 비만이 문제가 되는 중요한 부분은 배란, 임신 및 출산가 관련된 생식기능의 변화이다. 비만한 여성은 신경내분비계의 변화와 함께 난소의 배란 기능이 저하되어 임신 가능성이 감소된다. 사춘기 이전부터 비만하다면 가임 시기에는 더욱 영향을 미치게 되어 무배란과 안드로겐 을 증가시키게 된다.

비만한 여성들은 사회적 압박으로 인해 남성에 비해 우울 증의 성향이 더 높고 폭식증, 신경성식욕부진 등 식이 장애 의 위험도 높다.

(2)

- 성연아. 젊은 여성의 비만 -

-S 471 - Table 3. 여성의 비만과 생식기능의 변화

부인과 임신과 수정

조발 사춘기 비기능 자궁출혈 뇨실금

희발월경/만성 무배란 성욕 감소

다낭난소증후군 증가

임신율 감소

유산 및 조산 위험의 증가 불임시술 성공률 감소

젊은 여성의 비만과 생식관련 변화

1. 비만과 고안드로겐증

여성에서 체중 및 지방세포의 증가는 인슐린의 농도증가 를 통하여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을 감소시킨다. 성호르몬결 합글로불린의 감소는 생물학적 활성이 높은 유리 테스토스 테론이 증가하며 표적장기로 테스토스테론의 운반이 감소되 며 이로 인해 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이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테스토스테론의 증가에 의해 조모증, 여드름, 남성형 탈모 등의 임상적 고안드로겐증이 생기며 이는 중심비만을 더 악 화시킬 수 있겠다.

2. 생식질환과 비만

여성에서 배란, 월경 등의 생식작용은 각종 신경전달물질, 시상하부, 뇌하수체, 난소 및 자궁 등 여러 기관이 관여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비만은 이러한 여성의 생리 작용을 억제하 여 배란과 임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등 생식기능의 변화가 올 수 있다(표 3)4).

3. 임신과 비만

비만한 임신부는 임신부 본인과 태아에게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며 많은 여성에서 임신 중 체중증가 자체가 비만 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비만 여성의 40~50%가 출산이 체중 증가의 시작점일 수 있다.

1) 임신부의 비만에 의한 합병증

비만은 자연 유산의 비율을 증가시켜 비만하지 않은 여성 의 자연 유산율은 11%인데 비해 비만한 여성은 15%이다5). 비만한 임신부는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병, 자간전증, 혈전정맥염의 위험이 증가하고 분만과정에도 지장을 초래하 여 자궁촉진제 투여에 의한 유도 분만의 빈도가 증가하고 분만 제2기의 지연, 견갑난산, 제왕절개 수술의 빈도가 증가 한다. 제왕절개 수술시에도 출혈량, 수술시간 지연 및 수술 후 감염의 빈도가 증가한다. 이러한 합병증들은 임신 중 과

다한 체중의 증가보다 임신 전 비만과 관련이 높다. 비만한 임신부는 고지혈증의 빈도가 증가하므로 프로스타글란딘의 분비가 감소하고 peroxidase생산이 증가하여 고혈압이 생길 수 있으며 임신성고혈압은 태반의 혈류를 감소시켜 태아에 나쁜 영향을 준다. 태아 및 신생아에 미치는 영향에는 임신 말기 태아사망 위험, 신경과 결손 등의 선천성 기형, 거대아, 태아곤란증, 태변착색 등의 위험이 증가한다.

2) 비만에 대한 임신의 영향

임신 중 체중증가는 임신부의 건강 및 태아 발달을 유지 하기 위한 생리현상으로 자궁내용물, 유방, 혈장량 및 세포 외액의 증가 및 새로운 지방 및 단백질의 축적 때문이다. 대 개 임신과 출산 후 이로 인한 체중증가는 평균 0.5~5 kg 정 도이나 14~30%의 출산여성이 5 kg 이상 체중이 증가한다.

출산 후 체중 증가는 임신 중 체중증가 정도, 임신 전 체중, 인종, 출산력, 모유수유 등과 관련이 있다. 임신 중 권장되는 수준 이상의 체중 증가는 출산 후 체중 증가로 이어질 가능 성이 많고 흑인이 다른 인종에 비해 출산 후 체중증가 비율 이 높으며, 모유수유를 하지 않는 여성이 출산 후 체중이 지 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임신 중 적절한 체 중 증가 정도는 임신 전 체중을 기준으로 저체중 12.5~18 kg, 정상체중 11.5~16 kg, 과체중 7~11.5 kg, 비만 6 kg 미만이다.

여성의 비만과 악성종양

젊은 여성의 비만과 악성종양의 발생이 직접 관련이 있다 는 역학 증거는 아직 없으나 젊은 여성의 비만이 관리되지 않고 지속될 경우 폐경후 일부 악성 종양의 위험을 증가시 킨다고 보고되어 있다. 폐경기 한국 여성(40~64세) 170,481 명에서 체질량지수 30 kg/m2 이상인 여성은 기준 군(체질량 지수 21.0~22.9 kg/m2)보다 전체 암 발생위험이 23% 더 높았 다6). 암 발생 부위별로는 대장암은 118%, 자궁내막암은 195%, 신장암 161%, 유방암 86%가 더 높았다. 체질량지수가 1 kg/m2 증가할 때 암 발생 위험은 대장암 1.05배, 유방암 1.07배, 자 궁내막암 1.13배, 신장암 1.08배 높았다.

REFERENCES

1)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 2008

2) Azarbad L, Gonder-Frederick L. Obesity in Women. Psychiatr Clin N Am 33:423-440, 2010

3) Huang Z, Hankinson SE, Colditz GA. Dual effects of weight and weight gain on breast cancer risk. JAMA 278:1407-1412, 1997

(3)

- 대한내과학회지: 제 79 권 부록 2 호 2010 -

-S 472 - 4) Lash MM, Armstrong A. Impact of obesity on women’s health.

Fertil Steril 91:1712-1716, 2009

5) Lee CY, Koren G. Maternal obesity: Effects on pregnancy and the role of pre-conception counseling. J Obstet Gynaecol

30:101-106, 2010

6) Song YM, Sung J, Ha M. Obesity and risk of cancer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J Clin Oncol 26:3395-3402, 2008

참조

관련 문서

장외파생상품은 금리ㆍ환율ㆍ에너지ㆍ자원ㆍ신용 등의 위험을 헤지하는 데에 그

불행히도 우리나라의 경우 근로시간의 유연성이 크게 부족한 것 으로 나타나고 있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더욱 저해하고 있는 것 으로 추정된다... 여성의

또한 정부 차원에서도 여성의 창업, 고학력 여성의 경력개발 등을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하고 국민들의 인식 전환을 위한 홍보도 다양한

• 결과적으로 1990년대 초반부터 대부분의 여성이 산후에도 여전히 근로.. • 그러나 그 이후에도 여성의 단시간

[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effect of music therapy on middle-aged women's depression, stress, and ego-resilience. Ten middle-aged women were randomly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난임 여성의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난임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난임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 써 난임 여성의 삶의 질을

감소, 어린이집의 확대, 여성의 학력 증가로 인한 취업의 욕 구 증가, 여성의 자아실현 욕구 증대 및 사회적, 경제적 활 동에 대한 인식 제고, 경제적 기대 충족을 위한 맞벌이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