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선시대 전통머리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조선시대 전통머리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18.12.10 심사기간_2019.01.01-16 게재확정일_2019.01.23

조선시대 전통머리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A study on Desig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Hairstyles in the Joseon Dynasty

우미옥, 창신대학교 미용예술학과 교수 / 박선이(교신저자), 창신대학교 미용예술학과 교수 Woo, Mi Ock_Dept. of Cosmetology, Changshin University /

Park, Sun Yi(Corresponding author)_Dept. of Cosmetology, Changshin University

차례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어여머리 2.2. 쪽머리 2.3. 트레머리 2.4. 새앙머리

3. 전통머리 실용화 디자인 작품 제작 3.1. 어여머리 실용화 디자인 3.2. 쪽머리 실용화 디자인 3.3. 트레머리 실용화 디자인 3.4. 새앙머리 실용화 디자인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2)

조선시대 전통머리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A study on Desig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Hairstyles in the Joseon Dynasty

우미옥, 창신대학교 미용예술학과 교수 / 박선이(교신저자), 창신대학교 미용예술학과 교수 Woo, Mi Ock_Dept. of Cosmetology, Changshin University /

Park, Sun Yi(Corresponding author)_Dept. of Cosmetology, Changshin University

요약 본 연구는 전통머리의 실용화 디자인을 위한 작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조선시대 머리모양 중 어여머리, 쪽머리, 트레머리, 새앙머리의 형태를 분석하고 디자인을 개발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분석대상 4점은 형태의 특징에 따라 후두부 중심 2점, 비대칭 1점, 대칭 1점을 선정하여 형태의 특징, 기법, 색상 등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어 여머리는 머리모양이 과장되며 대칭적 구조로서 왕관 형태 이미지를 모티브로 주조색조 Light Grayish Tone, 보조색 Light Tone, 강조색 Vivid Tone으로 가체의 전체 모양을 구성하여대칭과 균형을 유지하면서 화관처럼 착용하므로 쓰고 벗기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둘째, 쪽머리는 네이프 포인트 지점을 강조한 형태로 꽃이 줄기를 타고 올라가는 이미지로 주조색 Soft Tone, 보조색 Dull Tone, 강조색 Vivid Tone으로 가체의 전체 모양을 구성하여 앞장식이 없는 단순한 형태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염색을 하여 탈부착이 용이하게 집게 형태로 제작하였다. 셋째, 트레머리는 앞중심 모양이 과장되고 비대칭적 구조로 좌우 비대칭 형태에 맞게 볼륨 감과 화려함을 살려서 주조색 Grayish Tone, 보조색 Light Tone으로 그라데이션하고 강조색으로는 검정색을 사용하여 풍성하고 세련된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트레머리의 비대칭형의 특징은 유지하면서 가볍고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넷째, 새앙머리는 백 포인트 부분을 강조한 형태로 두상의 비례에 맞게 네가닥 땋기 한 것 을 접어서 고정하고 주조색 Soft Tone, 보조색 Bright Tone, 강조색조 Vivid Tone으로 댕기의 움직임을 율동 감 있게 표현하고자 금박 색실에 철사를 끼워 바람에 날리는 모양으로 표현했으며, 짧은 머리에 사용될 경우 중 심부에 핀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용이 하도록 제작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form of wig hairstyle, hairstyle held with a hairpin, hairstyle in a bun, and hairstyle up to two locks out of hairstyles of the Joseon Dynasty, and produced the works by developing designs, in order to produce the works for the commercialization design of traditional hairstyles. After selecting two styles focusing on the back of the head, one asymmetric style, and one symmetric style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orm, the characteristics of form, technique, and color were analyzed. First, regarding the wig hairstyle, the whole shape of wig was composed of light grayish tone, light tone, and vivid tone with the motif of crown shape, Second, regarding the hairstyle held with a hairpin, the whole shape of wig was composed of soft tone(dominant color), dull tone, and vivid tone with the image of a flower creeping up a stem in the form of emphasizing the nape point. Third, regarding the hairstyle in a bun, in order to emphasize the volume and fanciness suitable for its asymmetric structure and exaggerated front-central shape, it was gradated with grayish tone, light tone, and black color for the expression of an ampule and sophisticated image. Fourth, regarding the hairstyle up to two locks, as a shape emphasizing the back point part, the four braids were folded and fixed suitable for the proportion of head. To rhythmically express the movement of a ribbon with the use of soft tone(dominant color), bright tone(secondary color), and vivid tone(highlight color), the shape of blowing off was expressed by putting a wire in gilt colored thread.

중심어

조선시대 전통머리 실용화 디자인

ABSTRACT Keyword

the Joseon Dynasty period Traditional head Commercialization Design

본 논문은 2017 창신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 과제임(과제 번호 창신 2017-교내-49).

(3)

1. 서론

1.2. 연구 배경 및 목적

문화컨텐츠는 각 국의 위상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되기도 하여 국가경쟁력의 제고와 직결되 어 현대사회는 문화산업을 통해 국가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각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그 나라의 고유한 전통성과 세계적인 보편성을 융합하여 어떻게 만들어서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을 찾아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문화체육관광부의 중점추진정책으로 전통 문화 콘텐츠의 생활화, 산업화, 세계화를 통하여 고용 및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가이미지를 고양시키고자하는 목적에서1) 전통문화를 브랜드화하는 한스타일(HANSTYLE)이 네이밍되어 다양한 방법으로 모색되고 있다.

한스타일은 우리 문화의 원류로서 대표성과 상징성을 띄며, 생활화, 산업화, 세계화가 가능한 한글, 한식, 한복, 한옥, 한국음악(국악)등의 전통문화를 브랜드화2) 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적 고유한 전통 문화를 발굴하여 경쟁력 있는 한국의 고부가가치의 상품으로 세계시장에서 한국 의 브랜드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방법들로 한국인들의 감성을 이끌어 내어 아름다움으로 분출 시켜 한국적 이미지를 차별화하여 세계인들에게 알리고 그들에게 한국의 미를 이해시키며 공 감대를 형성하여 세계시장에서 한국의 문화코드를 상품화시켜나가는 것이3) 필요하다.

이러한 정책과 더불어 2010년 중반부터 활성화 바람이 불고 있는 패션한복의 열풍은 한복에 대한 관심을 집중시키고, 그간 특별한 행사용으로 입던 것을 문화 체험용 의상으로 확대되어 한복의 대중화와 한복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한복 착용자에 대하여 박물관이나 고궁을 무료 입장할 수 있는 혜택을 주는 등 한복문화체험 교육 및 프로그램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를 타고 대여용 패션한복이 늘어나면서 정형성과 다양성, 과시성, 혼합성 등의 특성을 띠며 스타일 면에서 기존의 전통 한복과 차별을 두고4) 편리하고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서양식 드레스를 접목한 현대적인 스타일로 젊은 층의 관심을 끌어내어 한복을 젊고 유다 양한 이미지로 변화시켜서 관광산업과도 접목되어 국내외 관광객이 한복차림으로 다니는 모 습을 많이 볼 수 있을 정도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전통머리도 한복과 함께 연출된다면 소비자의 만족도와 미용산업도 발전 될 것으로 기대된다. 헤어스타일은 그 시대의 흐름이나 문화적 배경 또는 복식의 형태에 영향을 받으며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기 때문 에 이러한 한복의 활성화와 더불어 전통머리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화 발전되어야 한다.

전통머리는 현대의 헤어스타일에 비해 형태는 무겁고 부조화스러우며 착용하기에도 불편하여 현대화로 재해석되어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디자인이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전통머리라는 용어는 그동안 고전머리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예로부터 대를 거쳐 가면서 발전한 고유한 것을 전통이라 하며 전통문양, 전통복식 등으로 표현함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통머리로 용어를 정리하고자 한다.

세계패션명품의 공통적인 특징은 전통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이를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과 패션트렌드에 맞게 단순하고 간결하게 변형시킨 것으로 볼 때5), 전통머리도 특징을 살리되 간결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제작하여 대중화에 기여할 시점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조선시대 여성의 전통머리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배효정(2013)은 조선시대 여인의 머리 형태를 모티브로 한 기능경기대회 업스타일 과제 개발에서는 업스타일 한가지로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으며, 조미영(2004)은 조선후기 여성의 머리 형태 재현에 의한 현대 업스타일에 관한연구에서는 작품을 고증하여 재현에 중심을 두고 업스타일을 디자인하였으 며, 김신아(2010)는 조선시대 문헌속의 여인들의 머리모양과 김진숙, 도주연(2011)은 드라 마에 표현된 조선시대 고전머리를 고증, 조성옥(2013)은 조선시대 기녀 트레머리를 재현에서 는 모두 그시대의 머리모양을 고증하여 재현만 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머리 형태를 분석하여

1) 전통문화포털 http://han-style.com 2) 전통문화포털, op. cit.,

3) 소황옥, 「한복 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한복행사에 관한 제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9, 11(3), p.143.

4) 이재영, 「대여용 패션한복의 스타일 특성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18(5), p.447.

5) 소황옥(2007), op. cit., p.1429.

(4)

재현 또는 머리모양의 특징을 모티브로 하여 업스타일화하거나 기능경기대회 작품으로 재현하였 기 때문에 전통머리를 컨텐츠로써 활용한 현대에서 착용가능한 디자인 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전통머리모양을 어떠한 방식으로 계승, 발전시켜 활용할 것인 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소통 가능한 문화 컨텐츠로써 가치를 파악하여 전통머리의 편리성 과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디자인하고 제작하여 전통 문화 자원으로써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연구의 범위는 조선시대 여성의 머리모양 중 후두부 2점, 대칭 1점, 비대칭 1점으로 총 머리모 양 4점을 선정하여 선행연구와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문헌을 근거로 하여 조선시대 머리모양의 특징을 분석하여 실제 사람에게 벗고 쓰기에 편리하고 착용이 가능 한 가발 형태로 제작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17년 6월부터 10월까지 어여머리, 쪽머리, 트레 머리, 새앙머리의 작품을 선행연구를 고찰 한 후 재현하였으며, 2018년 4월부터 6월 까지는 실용화 작품을 제작하였다. 두상의 포인트 지점에 따라 형태를 분석하고 디자인의 요소를 적용 하였으며, 디자인 원리에 따라 조화(harmony), 대칭(symmetry), 비대칭(asymmertry), 비례 (proportion), 대비(contrast), 반복(repetiton), 점이(gradation), 강조(emphasis)로 구분하 였으며, 색상은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으로 표현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어여머리

어여머리는 예장 시 머리에 어염족두리를 쓰고 그 위에 다래로 된 머리를 얹어 옥판과 화잠으 로 장식하였고, 큰머리에 버금가는 예장용 머리로서 궁중이나 반가(班家)의 부녀자들이 주로 하였다.6) 그리고 얹은머리의 일종으로 어염머리, 어여미, 어유미라고도 하였고, 대수머리 다 음으로 잘 꾸며진 머리모양으로 대례용으로 착용할 수 있는 기회가 흔하지 않지만 어여머리는 소례용으로 수시로 사용할 수 있는 화려한 머리였다.7) 처음에는 궁중의 왕비, 공주, 옹주와 지체 높은 지밀상궁 및 당상관 이상 반가 부녀들에게만 허용되었으나, 정조 12년 가체신금절 목 가운데 어유미와 거두미는 명부가 항시 착용하는 것이나 일반백성들이 집에서 혼인할 때 착용하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8)고 하였다.

어여머리의 형태는 앞가르마를 타고 쪽을 찌고 가르마 위에 어염족두리를 쓴 다음 가체(加髢) 로 땋아 만든 커다란 다래를 어염족두리 위에서 양 귓가와 목덜미 위에 둘러 얹고, 머리 위와 양옆에 화려한 떨잠을 꽂고 후두에는 붉은 댕기 등으로 장식하였다.9) 그리고 임미지, 박은준 (2011)은 어여머리가 두상의 윗부분이 과장되고 대칭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10)고 하였고, 이은주(2012)의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고전머리모양의 쪽을 활용된 얹은 머리모양의 어여머 리를 재현하여 제작하였다.11)

이와 같이 어여머리는 쪽을 찌고 어염족두리를 가체로 커다란 다래를 만들어 그 위에 화려한 떨잠을 꽂고 후두에는 붉은 댕기 등으로 장식하는 형태이며, 크고 화려한 머리모양으로서 궁중 양식이고 일반인의 예장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아 지금의 예식에서도 실용 가능한 머리모양 으로 보여진다.

6) 김문자, 『한국복식사』, 교문사, 2015, p.236.

7) 손복심, 「우리나라 업스타일의 변천과정과 재현에 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p.57.

8) 가체신금절목, 『정조실록』, 26권, 정조 12년 10월 3일 辛卯 5번째 기사(다리 얹은 것을 금지하는 일에 관해 비변사에서 절목을 올리다).

9) 이영숙, 「조선시대 여성 두발 양식의 사회 문화적 형태 분석과 현대적 응용」,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p.25.

10) 임미지, 박은준, 「조선시대 여성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조형원리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1, 5(1), p.357.

11) 이은주 「조선시대 고전머리모양의 기본형으로서 쪽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p.67.

(5)

2.2. 쪽머리

조선후기의 머리모양인 쪽머리는 고려의 풍속을 받아 역사상 가장 오래된 것으로 일명 후계낭 자라고 불리며 최근까지 노년층에서 볼 수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머리양식이다12). 쪽머리 양식은 전국의 부녀가 가체머리의 얹은 법을 없애고 자기 모발로 쪽을 지어 작은 비녀를 꽂았 는데, 이것이 풍속이 되었다.13)

그러나 고려시대 이전까지는 비녀가 없이 뒷머리에 짧게 묶거나 감쌌던 것으로 보이며 낮고 작은 서린 형태였으나, 원의 간섭을 받으면서 궁중의 여인들이 외출할 때 비녀를 한 쪽머리에 족두리를 착용하는 관습이 시작되었고, 그 후 말기로 가면서 궁중과 사대부가를 제외한 일반 부녀자들 사이에서는 낮고, 작게 때로는 두 개를 만들어 작은 비녀를 꽂은 형태로 바뀌었고 신분제도가 폐지되면서 다시 크게 해서 위로 올라가는 형태로 바뀌었다.14) 이러한 쪽머리의 형태는 이마 중심에서 가르마를 타고 양쪽으로 곱게 빗어 넘긴 머리를 뒤에서 한데 모아 묶고, 한 가닥으로 땋아 내린 다음 뒤통수에 낮게 틀어 올려 만든 둥근 쪽을 비녀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쪽진 머리는 초기에는 쪽이 뒤통수에 달려있던 것이 점차 내려와 말기에는 저고리 위에 있었다15).

배효정(2013)의 연구에서 쪽머리는 형태적 위치가 목덜미 부분에 자리하는 모양으로 전두부 에서 머리를 깔끔하게 빗어서 넘기고 후두부 아래쪽 중앙에 하나로 묶은 후 댕기로 한 번 더 감싸고 머리를 땋아서 한 바퀴를 돌려 비녀를 꽂아 고정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 사용되어지는 머리형태로서 앞가르마를 타서 수평적인 균형미와 안정감을 주며, 땋기로 목덜미 위쪽에 매듭 을 주어 강조되어진다16)고 하였고, 이영숙(2014)은 조선시대의 여성 두발 양식을 분석하고 이를 응용하여 쪽머리의 단아한 이미지와 네이프(Nape)에 포인트를 줌으로써 안정적이고 차 분하며 품위 있어 보이는 머리모양으로 현대적인 업스타일에 적용하여 제작하였다.17)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볼 때, 쪽머리는 머리를 깔끔하게 빗어서 넘기고 후두부 아래쪽 중앙에 묶은 후 댕기로 감싸고 머리를 땋아서 돌려 비녀를 꽂아 고정하는 형태이며, 현재까지 사용되 기도 하는 머리모양으로서 목덜미 위쪽에 매듭을 주어 강조한 심플한 형태로 현대적인 업스타 일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2.3. 트레머리

트레머리는 얹은머리의 일종으로 삼국시대 이래 우리나라 부녀의 기본 머리로 조선후기의 쪽 머리가 많이 사용되기 전까지 부녀자의 가장 보편적인 헤어스타일이었으나 명나라 궁궐양식 의 수식을 본받은 가체로 인해 거대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가체 형태의 트레머리는 만드는 방법과 모양이 차이가 나며, 여성 인물화를 통해 보더라도 기녀들의 머리 형태는 다른 고계와 구분 지어진다. 즉 밑머리나 딴머리, 가체머리의 변화된 과정을 살펴보면 같은 고계이면서도 기녀들은 머리위에 올린 형식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구나 가체금지령 이후에 사족의 여인들이나 여염집 여인들은 쪽머리·족두리를 쓴 것이 분명하게 보여지지만 기녀계층에서만 큼은 그런 면을 찾아볼 수 없어 더욱 그 형태18)가 돋보인다.

이와 같은 내용들을 보면, 사대부 여성들이나 평민여성들에게는 가체금지령이 잘 지켜진 것으 로 보이나 기녀들의 경우 가체금지령 이후에 오히려 머리모양이 화려해지고 크기 또한 비대해 졌으며19), 거대한 트레머리는 한쪽으로 치우치면서 가르마 선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의 트레머리는 옆가리마를 타서 갈라 빗고 머리를 뒤로 모아

12) 박선례, 「고려와 조선의 분장과 두발장식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p.57.

13) 임미지, 박은준(2011), op. cit., p.353.

14) 손미경, 『고전머리 따라하기 -조선시대편-』, 손미경 고전머리연구소, 2012, p.39.

15) 강순제 외 7명,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p.670.

16) 배효정, 「조선시대 여인의 머리 형태를 모티브로 한 기능경기대회 업스타일 과제 개발」, 광주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p.73.

17) 이영숙, 「조선시대 여성 두발 양식의 사회 문화적 형태 분석과 현대적 응용」,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p.110.

18) 손미경, 『한국여인의 발자취』, 도서출판 이환, 2004, pp.274~276.

19) 권귀민, 『조선후기 여성인물화에서 본 머리 형태의 변화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지, 2017, 34(2), p.50.

(6)

뒤에다 넓적하게 틀어 붙인 여성의 머리 모양으로 챙머리가 없어지면서 유행하였는데, 뒤로 모아 틀어 붙인 머리는 넓적하고 클수록 보기 좋다고 하여 속에다 머리심을 넣고 겉에만 본인 의 머리를 입혀 크게 틀었다.20) 조성옥(2013)의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미인도와 황진이의 머 리모양을 현대 패션에 적용 가능한 고전적 재현을 통해 전통머리의 현대화를 제시하였다.21) 이상과 같이 트레머리는 옆가리마를 타서 머리를 뒤로 모아 틀어 붙여 넓적하고 크게 만든 후 머리심을 넣고 본인의 머리를 입혀 크게 트는 머리모양이며, 한쪽으로 치우치는 비대칭적인 형태는 새로운 감각적인 업스타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2.4. 새앙머리

새앙머리는 궁중의 나인과 의녀, 반가(班家)의 머리모양으로 조선 말기에는 주로 궁중의 애기 나인들이 하였으며, 정조 12년 가체신금절목중에는 낭자쌍계와 사양계는 혼전에 쓰는 것이므 로 써서는 안된다고 한 것으로 보아 미혼녀의 머리모양이다.22) 미혼녀가 예복을 입을 때 하는 머리모양으로 사양머리, 생머리, 사양계라고 한다.23) 그리고 양반가에서는 정초, 동지, 연일 문안에 입궐할 때 새앙머리에 석웅황을 매거나 떨잠을 꽂았고 뒤로 땋은 머리를 두 가닥으로 올려 뒷머리 가운데에 나란히 놓고 중간으로 자주색 끈으로 묶은 다음 댕기를 늘여놓은 형태이 다.24) 이러한 새앙머리의 형태는 쌍계임에는 틀림없으나 모발을 둘로 갈라서 정수리 양편에 뿔같이 묶어세우는 남자의 쌍계와는 달리, 머리를 뒤에서 두 가닥으로 갈라서 땋아 내린 뒤, 각각 밑에서부터 9㎝ 정도의 길이로 말아 올려 목 뒤에서 같이 묶고, 그 위에 댕기를 드리우는 형식을 하였다. 또한 땋은 머리를 밑에서부터 책갑처럼 말아 올려 중간을 묶어 고정시킨 새앙 머리용 다리를 말하기도 하나,25) 머리를 좌우 귀밑에서 두 갈래로 갈라서 땋은 머리인데 궁중 에서는 이것을 다시 틀어 올려 아래위 두 덩어리로 나누어 댕기로 잡아매기도 하였다.26) 이러 한 문헌에 나타난 새앙머리의 모양을 모티브로 한 배효정(2013)은 기능경기대회 과제 개발 연구에서 새앙머리의 형태적 강조의 위치가 후두부의 중간에 해당하며, 후두부에 볼륨이 있도 록 재현하였다.27)

이와 같이 새앙머리는 머리를 좌우 귀밑에서 두 갈래로 땋은 머리인데 궁중에서는 이것을 다시 틀어 올려 아래위 두 덩어리로 나누어 댕기로 잡아매는 형태이며, 미혼녀의 예복을 입을 때의 머리모양으로 현재의 웨딩앨범 촬영 시 연출할 수 있는 스타일로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조선시대 여성의 머리모양인 어여머리, 쪽머리 트레머리, 새앙머리는 여러 가지 방법으 로 땋거나 묶어서 틀어 올린 모양으로 전체적으로 둥글 모양을 하고 있으며 대칭과 비대칭의 형태로 두상의 다양한 지점에 중심점으로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현대적인 관점에서 심미 성과 편리성으로 고려하여 실용화 작품으로 제작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보여진다.

3. 전통머리 실용화 디자인 작품 제작 3.1. 어여머리 실용화 디자인

어여머리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전두부 중심의 장식적이며 대칭적 구조를 강조한 형태로 <표 1> 와 같다. 왕관 형태의 이미지에서 모티브를 가지고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색상은 주조색 Light Grayish Tone, 보조색 Light Tone, 강조색 Vivid Tone으로 백모를 염색 하였다. 재료는 마네킨, 백모가체, 철사, 매듭용 색실, 고무줄, 스프레이, 염료, 비녀 등을 사용 하였으며, 기법으로는 세가닥 땋기 기법이 사용되었다.

20) 강순제 외 7명(2015), op. cit., p.737.

21) 조성옥, 「조선시대 기녀 트레머리 고찰과 재현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pp.2~4.

22) 정매자 외 3명, 『우리나라 옛 여인의 머리치장』, 청구문화사, 2018, p.100.

2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24) 손미경, 『고전머리 따라하기 -조선시대편-』, 손미경 고전머리연구소, 2012, p.79.

25) 강순제 외 7명,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p.428.

26) 곽형심 외 6명, 『미용문화사』, 청구문화사, 2006, pp.61~64.

27) 배효정, 「조선시대 여인의 머리 형태를 모티브로 한 기능경기대회 업스타일 과제 개발」, 광주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pp.72~73.

(7)

실용화 작품 제작 과정은 ① 염색된 가체를 고정하고 철사를 끼워서 세가닥 땋기 하여 스프레 이를 뿌려 준비하였다. ② 가운데 가르마를 나누어 빗은 후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지점에 모발을 하나로 묶고 쪽을 만들어 비녀로 고정하였다. ③ 어염쪽두리는 가체와 매듭용 금실에 철사를 끼워서 네가닥 땋기 하여 프론트(Front) 중심에서 타원형의 형태로 고정하였다. ④ 좌우균형에 맞춰 세가닥 땋기를 하여 원형 틀을 만들고 머리위에 씌워 분리가 가능하게 하였다.

⑤ 염색한 가체와 얇은 철사를 합쳐서 땋은 것을 머리위의 틀에 고정하였다.

이러한 제작 과정을 통해서 두상의 포인트 지점에 따라 형태를 분석하고 디자인의 요소를 적용 하였으며, 색상은 톤을 주조, 보조, 강조로 표현하였다. 이 머리모양의 전체적인 특징을 살려 대칭과 반복적인 기법을 적용하였고 화관모양으로 제작하여 쓰고 벗기에 편리하도록 하였으 며, 백모 가체를 염색하여 은은하면서 고전미 있는 이미지를 살리고자 하였다.

<표 1> 어여머리 실용화 디자인

어여머리 재 료 특징 및 기법 디자인 제작

<그림 1>

한복문화학회(2017) 국내의상전 전시작

마네킨, 백모가체, 매듭색실, 고무줄, 스프레이, 염료, 비녀

전두부 중심 대칭적 구조 땋기기법 (세가닥, 네가닥)

<그림 2>

한복문화학회(2018) 국제의상전 전시작

3.2. 쪽머리 실용화 디자인

쪽머리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네이프 포인트 지점의 중심을 강조한 형태로 <표 2>와 같다.

꽃이 줄기를 타고 올라가는 형태의 이미지에서 모티브를 가지고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을 제작 하였다. 색상은 주조색 Soft Tone, 보조색 Dull Tone, 강조색은 Vivid Tone으로 백모를 염색 하였으며, 재료는 마네킨, 백모가체, 철사, 매듭용 색실, 고무줄, 스프레이, 염료, 등을 사용하였 고 기법은 두가닥 꼬기, 네가닥 땋기를 사용하였다.

실용화 작품 제작 과정은 ① 염색된 가체를 고정하고 네가닥 땋기 하여 스프레이를 뿌려 고정 시킨다. ② 가운데 가르마를 하고 네이프 포인트 지점에서 모발을 하나로 묶었다. ③ 가발을 네가닥 땋기 한 후 철사를 끼워서 비녀 모양을 제작하였다. ④ 앞모습은 장식이 없는 단순한 형태이므로 다양한 염색을 하여 보완하였다. ⑤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가체에 핀을 달아 네이프 지점에 고정하였다.

이와 같은 제작 방법을 통해 은은하면서 고전미 있는 이미지를 살리기 위해서 주조색 Soft Tone, 보조색 Dull Tone, 강조색 Vivid Tone으로 백모를 염색하였으며, 비녀의 모양을 율동감 있게 표현하여 고전적이면서 심플한 디자인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실용성 있게 제작하였다.

(8)

<표 2> 쪽머리 실용화 디자인

쪽머리 재료 특징 및 기법 디자인 제작

<그림 3>

한복문화학회(2017) 국내의상전 전시작

마네킨, 백모 가체, 철사, 매듭색실, 고무줄, 스프레이,

염료, 머리핀

후두부 중심장식 수평 구조 땋기기법(네가닥) 꼬기기법(두가닥)

<그림 4>

한복문화학회(2018) 국제의상전 전시작

3.3. 트레머리 실용화 디자인

트레머리 형태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전두부의 장식적이고 과장된 비대칭적 구조를 강조한 형태로 <표 3>과 같다. 좌우 비대칭 형태의 이미지에서 모티브를 가지고 실용화를 위한 디자 인을 제작하였다.

색상은 주조색 Grayish Tone, 보조색 Light Tone으로 그라데이션하였으며, 검정색으로 강조 하였다. 재료는 마네킨, 백모 가체, 고무줄, 스프레이, U자핀, 염료, 머리띠, 글루건 등을 사용 하였으며, 기법은 세가닥 땋기, 꼬기 기법이 사용되었다.

실용화를 위한 작품 제작 과정은 ① 염색된 가체를 두 가닥 꼬기 하여 스프레이를 뿌려 준비하 였다. ② 가운데 가르마를 나누고 뒤로 빗어 네이프 포인트 지점에서 모발을 하나로 묶었다.

③ 가체를 연결하여 두가닥 꼬기로 쪽의 머리 형태를 감아서 고정하였다. ④ 두가닥 꼬기를 한 가체를 탑 골덴 미듐 포인트(Top Golden Medium Point) 지점에서 부터 이어 포인트 (Ear Point) 지점을 지나 네이프 포인트 지점을 대칭과 비대칭의 조화를 이루게 하고 두가닥을 비틀 어서 크기와 양감을 조절하여 연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비대칭적인 트레머리 형태를 유지하여 풍성하고 세련된 이미지로 표현 하였으며, 크기와 양감을 조절하여 비대칭의 특징을 살려 율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그리고 트레머리의 무겁고 높은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서 머리띠에 부착하여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표 3> 트레머리 실용화 디자인

트레머리 재료 특징 및 기법 디자인 제작

<그림 5>

한복문화학회(2017) 국내의상전 전시작

마네킨, 백모가체, 고무줄, 스프레이,

염료, U자핀, 글루건, 머리띠

전두부,후부두중심 비대칭구조 땋기기법(세가닥) 꼬기기법(두가닥)

<그림 6>

한복문화학회(2018) 국제의상전 전시작

3.4. 새앙머리 실용화 디자인

새앙머리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백 포인트(Back Point) 부분을 강조한 형태로 <표 4>와 같다. 댕기가 바람에 날리는 듯한 형태의 이미지에서 모티브를 가지고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을

(9)

제작하였다.

색상은 주조색 Soft Tone, 보조색 Bright, 강조색 Vivid Tone으로 백모를 염색하였고 재료는 마네킨, 백모가체, 매듭용 색실, 고무줄, 스프레이, 철사, U자핀, 염료, 댕기, 글루건, 집게핀 등을 사용하였으며, 기법으로는 세가닥 땋기, 네가닥 땋기를 사용하였다.

실용화를 위한 작품 제작 과정은 ① 염색된 가체를 네 가닥 땋기 하여 스프레이를 뿌려서 준비 하였다. ② 가운데 가르마를 나누어 빗은 후 백 포인트(Back Point) 지점에서 모발을 하나로 묶었다. ③ 댕기는 금박 색실에 철사를 끼워 네 가닥 땋기 하여 철사를 구부려 제작하였다.

④,①,③을 한데 묶어 새앙머리 모양으로 고정하고, 중심부에 댕기를 감싸서 묶었다. ⑤ 탈부착 이 용이하게 중심부에 집게 핀을 달아 백포인트 지점에서 고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백모를 주조색 Soft Tone, 보조색 Bright, 강조색 Vivid Tone으로 그라 데이션으로 염색하였고 땋기 기법을 사용하여 풍성하고 세련된 이미지로 표현하였으며, 중심 부에 핀을 이용하여 짧은 머리에도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가볍고 편리하게 제작하였다.

<표 4> 새앙머리 실용화 디자인

새앙머리 재료 특징 및 기법 디자인 제작

<그림 7>

한복문화학회(2017) 국내의상전 전시작

마네킨, 백모가체, 매듭색실, 고무줄, 스프레이, 철사, U자핀,

염료, 댕기, 글루건, 집게핀

후두부 중심 수직 구조

땋기기법 (세가닥, 네가닥)

<그림 8>

한복문화학회(2018) 국제의상전 전시작

4. 결론 및 제언

조선시대 전통머리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를 위하여 어여머리, 쪽머리, 트레머리, 새앙머 리를 선정하여 선행연구와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 한 후, 형태를 분석하고 디자인을 개발하여 편리성과 심미성을 고려하여 적품을 제작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여머리는 머리모양이 과장되고 대칭적 구조로서 왕관 형태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주조 색 Light Grayish Tone, 보조색 Light Tone, 강조색 Vivid Tone으로 가체의 전체 모양을 구성 하여 쓰고 벗기에 편리하도록 화관 형태로 제작하였다. 이 머리형태의 대칭과 균형의 구조와 화려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두상의 앞쪽을 강조하고 땋기 기법으로 볼륨감을 살렸으며, 백모가 체를 염색하여 은은하면서 고전미 있는 이미지를 살리고자 하였다.

둘째, 쪽머리는 네이프 포인트 지점을 강조한 형태로 꽃이 줄기를 타고 올라가는 이미지에서 주조색 Soft Tone, 보조색 Dull Tone, 강조색조 Vivid Tone으로 가체의 전체 모양을 구성하여 앞장식이 없는 단순한 형태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염색을 하여 탈부착이 용이한 집게 형태로 제작하였다. 이 머리 형태의 특징인 단정하고 깔끔한 이미지를 살리기 위해서 두상의 뒤를 강조하였으며, 비녀의 모양을 율동감 있게 표현하여 고전적이면서 심플한 디자인 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실용적으로 제작하였다.

셋째, 트레머리는 앞중심 모양이 과장되고 비대칭적인 형태가 특징이므로 이를 살려 볼륨감과 화려함을 모티브로 주조색 Grayish Tone, 보조색 Light Tone으로 그라데이션하고 강조색으 로 검정색을 사용하였으며, 트레머리의 무겁고 높은 불편함을 개선하고 머리띠에 부착하여 형태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실제로 착용하기 쉽게 제작하였다.

넷째, 새앙머리는 백 포인트 부분을 강조한 형태로 두상의 비례에 맞게 네가닥 땋기한 것을

(10)

접어서 고정하였다. 주조색 Soft Tone, 보조색 Bright Tone, 강조색 Vivid Tone으로 댕기의 움직임을 율동감 있게 표현하고자 금박 색실에 철사를 끼워 바람에 날리는 모양으로 표현하였 으며, 짧은 머리에 사용될 경우 중심부에 핀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용이 하도록 제작하였다.

이 머리형태의 특징인 후두부를 강조하여 가볍게 만들었고 댕기와 색동실로 화려하게 장식하 여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전통머리의 실용화를 위한 작품을 제작하여 한복과 함께 착용 가능한 디자인을 제안하여 생활속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제시하였다. 우리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체 험할 수 있는 것으로 전통머리를 이용하여 생활속에서 문화체험의 일환으로 사용해보고자 하 였다. 우리의 전통성과 세계적인 보편성을 융합하여 전통 머리모양을 다양한 방식으로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으며, 미용문화에서 한스타일을 소재로 한 소통 가능한 문화 컨텐츠로써의 전통머리 모양 디자인을 개발하여 한복과 함께 착용 가능한 디자인을 연구 하였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실제 사람에게 착용하였을 경우 머리모양의 크기와 재료 사용에 서 대중성이 고려되어야 할것이며, 대량으로 제작할 경우 비용면에서도 경제성을 살펴 볼 필요 가 있을 것이다. 향후 조선시대 외에도 각 시대의 고증을 통하여 우리의 전통머리 특징을 분석 하여 실용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다양한 재료와 제작 방법을 개선하여 사용자 착용의 편리 성과 심미성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를 평가하여 더욱 발전시키고자 한다.

참고문헌

가체신금절목, 『정조실록』, 26권, 정조 12년 10월 3일 辛卯 5번째 기사.

강순제 외 7명,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곽형심 외 6명, 『미용문화사』, 출판사 청구문화사, 2006.

김문자, 『한국복식사』, 교문사, 2015.

손미경, 『고전머리 따라하기 -조선시대편-』, 손미경 고전머리연구소, 2012.

손미경, 『한국여인의 발자취』, 도서출판 이환, 2004.

정매자 외 3명, 『우리나라 옛 여인의 머리치장』, 청구문화사, 2018.

권귀민, 「조선후기 여성인물화에서 본 머리 형태의 변화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지, 2017.

김신아, 「조선시대 문헌 속 여인들의 머리모양 재현을 통한 현대 업스타일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김진숙, 도주연, 「T.V 드라마에 표현된 조선시대 고전머리에 관한 연구 : 2000년~2010년도를 중심으로」, 한국인체예술학회지, 2011.

박선례, 「고려와 조선의 분장과 두발장식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배효정, 「조선시대 여인의 머리 형태를 모티브로 한 기능경기대회 업스타일 과제 개발」, 광주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소황옥, 「한복 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한복행사에 관한 제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9.

손복심, 「우리나라 업스타일의 변천과정과 재현에 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이영숙, 「조선시대 여성 두발 양식의 사회 문화적 형태 분석과 현대적 응용」,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이은주, 「조선시대 고전머리모양의 기본형으로서 쪽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이재영, 「대여용 패션 한복의 스타일 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임미지, 박은준, 「조선시대 여성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조형원리 연구」,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지, 2011.

조미영, 「조선후기 여성의 머리형태 재현에 의한 현대 업스타일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조성옥, 「조선시대 기녀 트레머리 고찰과 재현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전통문화포털 http://han-style.com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참조

관련 문서

그 중, 현장 견학프로그램을 안내하는 것 은 강사 경력이 있는 나에게는 굉장히 유리한 점이 많은 업무이다.. 학생부터 일반인, 관련 분야 전공 자 등 다양한

하 선생님의 시범을 따라 엔트리를 이용해 텍스트 분류 모델을 적용한 tone speaker 프로그램을

먹이의 특징에 따라 핀치 새의 부리 모양이 어떤 형태로 변화되었는지 세밀한 관찰을 통해 확인하고 다양한 자연 환경에 따른 새의 부리 모양을 관찰해 본다.. 환경 이

대학 캠퍼스는 이러한 기능적 이념적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하고도 매력적인 공간이 , 어야 한다 즉 연구 교육 봉사의 기능을 위한 표준시설의 기준은 표.

In the current academic research on Chunghwa pigment progressed a lot, but more commonly progresses ‘Hoehoechung’ imported from China for the research came

Not only indigenous Korean food culture formed its traditional way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but also was the transition period from

먼저, 보성녹차 선호도 향상을 위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도출하기 위해 디자인 목표와 컨셉을 구상하고 보성녹차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에 대한 3가지 시안을

조선시대 과학기술의 우수성을 알려주는 동영상을 시청한다...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