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 업 내 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수 업 내 용"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이 지 연 교수

중원대학교 의료공학과

(2)

수 업 내 용

3.2 도함수의 미분법

3.3 함수의 극대와 극소

3.4 도함수의 응용

(3)

학 습 목 표

1. 도함수의 개념을 이해하고, 미분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다.

2. 도함수를 이용하여 함수의 극댓값과 극솟값을 구할 수 있다.

3. 미분의 개념을 이해하고, 귺삿값을 구할 수 있다.

4. 워크북 및 절별 연습문제를 통해 학습 내용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4)

3.2.2 미분법

[정리 3-9] (거듭제곱함수의 미분법)

상수 c와 자연수 n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dxdc 0 (2)

[정리 3-10] (기본 미분법)

두 함수 f(x)와 g(x)가 미분 가능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1) (2)

(3) (4)

f x( )g x( ) '

f x'( )g x'( )

kf x( )

' kf x'( )

f x g x( ) ( ) '

f x g x'( ) ( ) f x g x( ) '( ) g xf x f x g x

g x f x g x

g x

'

2

( ) '( ) ( ) ( ) '( )

, ( ) 0

( ) ( )

  

 

 

 

n n

dx nx dx

1

[Note]

f x( )

g x( )

h x( ) '

f x'( )

g x'( )

h x'( )

f x g x h x ( ) ( ) ( ) '     f x g x h x '( ) ( ) ( )    f x g x h x ( ) '( ) ( )    f x g x h x ( ) ( ) '( )  

(5)

3.2.2 미분법

[정리 3-11] (음의 정수 지수에 대한 도함수) 자연수 n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n n

n n

d d x nx n

dx x dx x

1

1

1  

      

 

 

[정리 3-12] (합성함수의 미분법; 연쇄법칙)

두 함수 y = f(u)와 u = g(x)가 미분 가능하면 합성함수 y = f(g(x))도 미분 가능 하고, 다음이 성립한다.

 

dy dy du f g x g x dx du dx   ' ( ) '( )

[정리 3-13] (역함수의 미분법)

미분 가능한 함수 y = f(x)의 역함수 x = f -1(y)가 졲재하고 f ’(x) ≠ 0이면, 역함 수는 미분 가능하고 다음이 성립한다.

dx

dy dy dx f x

1 1

/ '( )

 

(6)

3.2.2 미분법

방정식 f(x, y) = 0에 대하여 y를 x의 함수로 갂주할 때, dy/dx를 구하는 방법

y를 x의 함수로 갂주하고, 양변을 x에 관하여 미분한다.

② 항을 한쪽 변으로 모아서 정리한다.

③ 에 관하여 방정식을 푼다.

d f x y dx ( , ) 0

y2 – x = 0에서 y를 x의 함수라 할 때, x = 1에서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라.

   

dy dy dy

d y x d y y

dx dx dx dx dx y

2 0 0; 2 1 0; 2 1; 1

       2

• 음함수의 미분법

dy dx

g x y dy h x y ( , )dx  ( , ) dy

dx

dy h x y dx g x y ( , ) ( , )

주어진 방정식 y2 – x = 0에서 x = 1이면 y = – 1 또는 1

x x

y y

y y

dy dy

dx 1 y 1 dx 1 y 1

1 1

1 1, 1 1

2 2 2 2





    

접선의 기울기 :

y 1(x 1), y 1(x 1)

2 2

    

접선의 방정식 :

(7)

3.2.2 미분법

[정리 3-14] (매개변수 방정식의 미분법)

매개변수 방정식 x = f(t), y = g(t)가 각각 미분 가능하고 f ‘(t) ≠ 0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 매개변수 방정식의 미분법

dy dy dt g t dx dx dt f t

/ '( )

/ '( )

 

x = t + t2, y = t – t3 때, dy/dx를 구하라.

dx t dy t

dt dt

1 2 , 1 3 2

   

dy dy dt t

dx dx dt t

/ 1 3 2

/ 1 2

  

(8)

3.2.2 미분법

• 고계도함수

2계 도함수 : 3계 도함수 : n계 도함수 :

d y d f d

y f x f x D f x

dx dx dx

2 2 2

2

2 2 2

'', ''( ), , , ( ), ( )

d y d f d

y f x f x D f x

dx dx dx

3 3 3

3

3 3 3

''', '''( ), , , ( ), ( )

n n n

n n n

n n n

d y d f d

y f x f x D f x n

dx dx dx

( ), ( )( ), , , ( ), ( ), 4

y = xm, m은 자연수일 때, n계 도함수를 구하라.

    

        

m m m

k

m m k

m

y mx y m m x y m m m x

y m m m m x y m m m m k x

y m

1 2 3

(4) 4 ( )

( )

' , '' 1 , '' 1 2 ,

1 2 3 , 1 2 1

!

     

        

    

m k

k

m m m m k x k m

y m k m

k m

( )

1 2 1

! 0

    

 

 

(9)

3.2.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법

• 지수∙로그함수의 미분법

x

f x ( ) a

 

 

x h

x

x h x

h h

x h h

a a a a

f x h h

a a

a a

h

0 0

0

'( ) lim lim 1

lim 1

ln

 

 

  

의 도함수 f x( ) loga x의 도함수

y y

a

y x x a dx a a

log , dy ln

   

y

dy

dx dx dy a a a x

1 1

/ l

1 1 ln

n

 

 

 

  

 

x x x

f x ( )  ef x '( )  e ln ee

f x

f x x x

e x 1 1

( ) l '( )

ln

n   1

       

(10)

3.2.4 삼각함수와 역삼각함수의 미분법

f x( ) sinx

 

h

h

h

h h

x h x

f x h

x h x x h x

h

h x h

x h h

x h h x

0

0

0

0 0

sin sin

'( ) lim

( ) ( )

2 sin cos

2 2

lim

2 sin cos

2 2

lim

sin( /2)

lim lim cos

/2 2

1 cos cos

 

   

  

 

 

 

    

  

의 도함수 f x( ) cos x

 

h

h

h

h h

x h x

f x h

x h x x h x

h

h x h

h

h x h

h

x x

0

0

0

0 0

cos cos

'( ) lim

( ) ( )

2 sin sin

2 2

lim

2 sin sin

2 2

( 1)lim

sin( /2)

( 1)lim lim sin

/2 2

( 1) sin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도함수

f x( ) tanx의 도함수

x

x x

x

f x x x f x

x x

x x

x x

x

2

2 2

2 2

2

sin 'cos sin cos '

( ) tan sin '( )

cos cos

cos sin 1

cos c s c

s e

o

    

   

 

 

 

x x

x x x

x x x

cot ' cos 2

cos ' cos cot sec ' sec tan

 

 

ec

ec ec

(11)

3.2.4 삼각함수와 역삼각함수의 미분법

f x( ) sin 1x의 도함수 f x( ) cos 1x의 도함수

f x( ) tan 1x의 도함수

y x x y y

dx y y

dy

x

1

2

2

sin sin ,

2 2

cos 1 sin 1

 

    

  

 

d x

dx x

1

2

sin 1

1

y x x y y

dx y y

dy

x

1

2

2

cos cos , 0

sin 1 cos

1

   

    

  

d x

dx x

1

2

cos 1

1

 

y x x y y

dx y y x

dy

1

2 2 2

tan tan ,

2 2

sec 1 tan 1

 

    

    

d x

dx x

1

2

tan 1

1

 

 

 

x x

x x x

x x x

1

2

1

2

1

2

cot ' 1

1 cos ' 1

1 sec ' 1

1

  

  

 

ec

(12)

3.2.5 쌍곡선함수와 역쌍곡선함수의 미분법

f x( ) sinhx

x x

x x e e x x

d e e e e

f dx

x

x ( 1)

'( 2

c )

o

2 sh

2

     

   

 

의 도함수

f x ( ) coshx

의 도함수

f x( ) tanhx의 도함수

   

d x

f x dx x

x x x x

x

x x

x x

x

2

2 2

2

2 2

'( ) sinh

cosh

sinh 'cosh sinh cosh ' cosh

cosh sinh 1

cosh cosh sec

 

  

 

    h

x x

x x e e x x

d e e e e

f dx

x

x ( 1)

'( 2

s )

i

2 nh

2

     

   

 

 

 

 

x x

x x x

x x x

coth ' cos 2

cos ' cos coth

sec ' sec tanh

 

 

 

ech

ech ech

h h

(13)

3.2.5 쌍곡선함수와 역쌍곡선함수의 미분법

f x( ) sinh 1x의 도함수 f x( ) cosh 1x의 도함수

y x x y y

dx y y

dy

x

1

2

2

sinh sinh ,

cosh 1 sinh 1

      

  

 

d x

dx x

1

2

sinh 1

1

y x x y y

dx y y

dy

x

1

2

2

cosh cosh ,

sinh cosh 1

1

      

  

 

cosh

1

2

1 1

d x

dx x

f x( ) tanh 1x의 도함수

y x x y y

dx y y

dy

x

1

2 2

2

tanh tanh ,

sech 1 tanh 1

      

  

 

d x

dx x

1

2

tanh 1

1

 

 

 

x x

x x x

x x x

1

1

1

2

2

2

coth ' 1

1 cos ' 1

1 sec ' 1

1

 

  

  

ech h

(14)

3.3.1 함수의 증감과 극대 · 극소

함수 f(x)가 임계점 x = a를 포함하는 적당한 구갂에서 미분 가능하고,

(1) x = 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에서 –로 변하면, x = a에서 극댓값 f(a) (2) x = 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에서 +로 변하면, x = a에서 극솟값 f(a) (3) x = 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변하지 않으면, 극값을 갖지 않는다.

[정리 3-16] (1계 도함수 극값 판정법)

y

0 x

극대

극소

극대

극소

f ’(a)=0

f ’(b)=0

f ’(c)

E

a b c

f ’(d)

E

d 임계점

(15)

3.3.2 함수의 볼록성과 극대 · 극소

아래로 볼록 : 구갂 I에서 f ’(x)가 증가할 때, 이 구갂에서 아래로 볼록

위로 볼록 : 구갂 I에서 f ’(x)가 감소할 때, 이 구갂에서 위로 볼록

변곡점 : y = f(x) 위에서 볼록성이 변하는 점, f ‘‘(a) = 0

x x

a b

a b

f ’(x)<0

f ’(x)>0 f ’(x)=0

f ’(x)=0 f ’(x)>0

f ’(x)<0

함수 f(x)에 대하여 f ‘(a) = 0이고, a를 포함하는 적당한 개구갂에서 f ‘’(x)가 졲재할 때,

(1) f ‘’(a) > 0이면, 극솟값 f(a)를 갖는다.

(2) f ‘’(a) < 0이면, 극댓값 f(a)를 갖는다.

[정리 3-18] (2계 도함수 극값 판정법)

(16)

f(x) = e-xsin x, 0 ≤ x ≤2

에 대하여

(1) 임계점 (2) 변곡점 (3) 볼록성 (4) 극값 (5) 최댓값, 최솟값 (6) 그래프

(1) 임계점 : f ‘(x) = e-x (cos x - sin x ) = 0 ; cos x - sin x = 0 ; tan x = 1 ;

x 5

4 , 4

 

(2) 변곡점 : f ‘’(x) = -2e-x cos x = 0 ; cos x = 0 ; x 2 , 32

e /2 3 e 3 /2

, , ,

2 2

    

   

   

3.3.2 함수의 볼록성과 극대 · 극소

(17)

(3) 볼록성 : x f x

x f x

x f x

0 ''( ) 0

2

3 ''( ) 0

2 2

3 2 ''( ) 0

2

 

 

   

   

   

: 위로 볼록

: 위로 볼록 : 아래로 볼록

(4) 극값 :

   

   

f e f e

f e f e

/4 /4

5 /4 5 /4

'' /4 2 0 /4

2

'' 5 /4 2 0 5 /4

2

 

 

    

    

: 극댓값 : 극솟값 (5) 최댓값, 최솟값 :

f(0) = 0, f(2

) = 0

e e

/4

5 /4

2 2

극댓값 :

극솟값 : π

4

4

e /4 2

0 x

y

f(x) = e- xsin x

π 2

2

e 3 /2 3 ,

2

  

 

 

e /2 2 ,

 

 

 

e 5 /4 2

3.3.2 함수의 볼록성과 극대 · 극소

(18)

• 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1) 정의역을 조사한다.

(2) 절편을 확인한다. f(c) = 0이면 x = c는 x축 절편, f(0) = k이면 y = k는 y축 절편 (3) 대칭성을 조사한다. f(-x) = f(x)이면 y축 대칭, f(-x) = - f(x)이면 원점 대칭 (4) 임계점을 구한다. f ‘(c) = 0 또는 f ‘(c)가 졲재하지 않는 x = c인 점

(5) 함수의 증감을 구한다.

(6) 극값을 구한다.

(7) 함수의 볼록성을 구한다.

(8) 점귺선을 구한다. xlim ( )f x k, lim ( )x a f x , ( )f x ax b g x( ), lim ( ) 0x g x

      

수평점귺선 y = k

수직점귺선

x = a 경사점귺선 : h(x) = ax+b

3.3.2 함수의 볼록성과 극대 · 극소

(19)

3.4.1 평균값 정리

함수 y =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고 하자.

(1) f(x)는 폐구갂 [a, b]에서 연속

(2) f(x)는 개구갂 (a, b)에서 미분 가능 (3) f(a) = f(b)

그러면 f ‘(c) = 0을 만족하는 c가 개구갂 (a, b) 안에 적어도 하나 졲재한다.

[정리 3-19] (Rolle의 정리)

함수 y =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고 하자.

(1) f(x)는 폐구갂 [a, b]에서 연속

(2) f(x)는 개구갂 (a, b)에서 미분 가능 그러면 를 만족하는 c가 개구갂 (a, b) 안에 적어도 하나 졲재한다.

[정리 3-20] (평균값 정리)

f b f a f c b a

( ) ( )  '( )

평균변화율과 동일한 순갂변화율 갖는 점이 개구갂 (a,b)안에 반드시 졲재함을 의미

(20)

평균값 정리로부터 f(b) = f(a) + f ‘(c)(b - a), a < c < b

이제 b = a + h,

q

= (c - a)/(b - a)라 하면, 0 <

q

< 1, c = a +

q

h이고 f(a + h) = f(a) +h f ‘(a +

q

h)

h ≈ 0이면 a +

q

h ≈ a이므로

f(a + h) ≈ f(a) +h f ‘(a)

(1) (1+x)n ≈ 1+ nx (2) sin x ≈ x (3) cos x ≈ 1 (4) tan-1 x ≈ x (5) ln(1+x) ≈ x (6) ex ≈ 1+x [정리 3-22] (귺사식)

3.4.1 평균값 정리

• 귺삿값 구하기

(21)

3.4.2 로피탈의 정리

함수 f(x), g(x)가 a를 포함하는 구갂에서 미분 가능하고 g‘(a) ≠ 0이라 하자.

(1) (2)

일 때, 가 졲재한다면, 이다.

[정리 3-23] (L’Hospital의 정리)

x a f x x a g x lim ( ) 0,lim ( ) 0

x a f x x a g x lim ( ) ,lim ( )

   

x a

f x g x lim ( )

( )

x a x a

f x f x

g x g x

( ) '( )

lim lim

( ) '( )

[Note]

(1) 0 ∙ ∞, ∞ − ∞ 형태의 부정형은 0/0, ∞ / ∞ 형태로 변경

(2) 00, ∞0, 1 형태의 부정형은 자연로그를 취하여 0/0, ∞ / ∞ 형태로 변경

(22)

3.4.2 로피탈의 정리

다음 극한을 구하여라.

x

x x x

x x

sin

0 0

1 1

(1) lim (2) lim

sin

  

 

 

f(x) =xsin x이라 하면, ln ( ) ln sinf x x x lnxx cosec

 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0 0 0

0

1 1 sin cos 1

lim lim lim

sin sin sin cos

sin 0

lim 0

2 cos sin 2

 

   

  

 

   

 

x x x x

x x x

x x x

f x x x x x x

x x x x

x x x

2

0 0 0 0

0 0 0

ln 1 / sin

lim ln ( ) lim lim lim

cosec cosec cot cos

sin sin sin

lim lim lim tan

cos 1 0 0

ln 1

   

 

     

   

 

x

x

f x

x

x

sin

0 0

lim lim 1

(1)

(2)

1

cosecx=sinx, cotx=𝑐𝑜𝑠𝑥𝑠𝑖𝑛𝑥=𝑡𝑎𝑛𝑥1

(23)

3.4.3 미분

y

0 x

y f x  ( )

x   x x x f x x

(   , (   ))

x f x

( , ( ))

 

x dx

y dy

x

평균값 정리로부터 f(x+Δx) = f(x) + f ‘(x) Δx

x의 미분 : dx = Δx

y의 미분 : dy = f ‘(x) Δx = f ‘(x) dx

Δy ≈ dy

독립변수 x와 dx 에 의해 결정 되는 독립변수

   

   

   

 

d kf kf x dx

d f g f x g x dx

d f g f x g x f x g x dx f x g x f x g x dx

d f g g x

g x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 )

  

  

  

[정리 3-23] (미분공식)

y=f(x)가 x와 Δx를 포함하는 구갂에서 미분 가능하다고 하자. 그러면 평균값정리에 의해 f(x+Δx)의 귺삿값은

참조

관련 문서

부울 함수의 간소화.

함수에 사칙 연산과 합성 연산을 적용하는 방법을

비용이 비교적 적게 든다. 현장연구원이 필요 없다. 문제에 따라서는 보다 솔직한 응답을 구할 수 있다. 면접시 발생할 수 있는 면접자 편견의 개입이 없다.

구절판에서 음식을 배열하는 모든 방법의 수는 원순열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생활과.. 방법을

함수의 극한과 연속...

교대로 편도함수는 차분몫을 이용하여 근사적으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벡터 와 에 의해 결정된 평행사변형을 이용하여 를 근사할

그러나 디락 델타 신호 δ(ˆ ω) 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산시간 복소 지수 신호의 이산시간 푸리에 변환을

용액의 질량이 주어지면 밀도(질량/부피)로부터 부피를 구할 수 있고, 반대로 부피가 주어지면 질량을 구할 수 있다.. 용액의 양을 포함하고 있는 다른 농도 표기와는 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