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nfluence of Smart Phone on Dry Eye Syndrome in Adolescen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Influence of Smart Phone on Dry Eye Syndrome in Adolescents."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Original Article

pISSN 2233-9019 ·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5;5(3, suppl. 2):336-340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서 론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2015

년 국내 스마트 폰 사용자 수는

5

,

100

만명이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1) 스마트폰이란 기존의 이동전화 기능에 컴퓨터와 인터넷 등 여타 디지털 기능 및 서 비스와 결합하여 다양한 부가 내지 첨부 기능들을 탑재한 것이다.2)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는 생활의 편리함과 재미를 주지만 인체의 신체적, 정신적인 건강문제를 점점 증가 시키고 있다. 실제 국내 연 구에서 스마트폰을 장시간 이용하면 눈의 피로감을 증가시키고 안구 건조, 시력저하를 유발한다고 보고하였으며3) 근골격계 및 두통의 신 체적 문제와 중독이나 의존과 같은 정신적 문제가 발생한다고 보고 하였다.4) 특히 청소년의 경우 스마트폰의 간편성, 즉시성, 쌍방향성 의 특징으로 인해 스마트폰의 의존도가 높아 성인에 비해 스마트폰

중독에 더 취약 할 수 있다.5)

안구건조는 눈물과 안구표면의 다인성질환(

multifactorial disease

)으로 눈물의 고 삼투압과 안구표면의 염증을 동반하는 질환 으로 정의한다.6) 안구 건조증이 있으면 이물감, 빡빡함, 물체의 흐려 보임, 이유 없는 눈의 충혈, 화끈거림 등을 호소하게 된다. 안구건조 증으로 인해 각막상피 손상, 각결막염 등 안질환 발생 우려가 높으며 시력저하를 초래할 우려도 있다. 최근 컴퓨터 사용이 많아지고 휴대 용 영상 기기 등을 사용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이러한 환경을 자주 접하게 되는 젊은 층은

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작업 중에서 눈의 깜빡임 횟수가 감소하고 눈물의 증발 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안구건조 증상이 잘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스 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는 청소년들에 있어서 눈 깜박임 횟수 가 줄어들어 눈의 피로나 안구건조증을 유발 할 수 있다.7)

스마트폰의 사용이 청소년의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

박세윤, 김민정

*

, 김석중, 김태근, 박정명

국립중앙의료원 가정의학과

Influence of Smart Phone on Dry Eye Syndrome in Adolescents.

Sae-Yun Park, Min-Jeong Kim

*

, Seok-Joong Kim, Tae-Geun Kim, Jung-Myung Park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National Medical Center

Background: Most modern man people have physical or emotional problems because they use smartphone are very closely connected with everyday lives as supply expansion of smartphon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evance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dry eyes for in high school students. And this study can be usedThis study was intended for use in for providing a plan to help improve eye health of in adolescents.

Methods: we We conducted question investigationa survey of 200 (men 140, women 60) high school students. In statisticall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Kendall’s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were performed.

Results: 182 students who meet met the appropriate criteria were included for in this study. 94 students be were diagnosed with dry eye syndrome by OSDI score. And ther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time spent daily using smartphones, one-time 1 time smartphone usage, and OSDI score.

Conclusion: In this study, we revealed theobserved a meaningful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usage use and dry eye syndrom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control of smartphone usage use for in adolescents. And through complemented follow-up studies, we can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provide measures for of eye health of in adolescents at the national level.

Keywords: Smartphone, Dry eye syndrome, adolescents

Received February 25, 2015 Revised September 4, 2015 Accepted September 4, 2015 Corresponding Author Min-Jeong Kim

Tel: +82-2-2260-4717, Fax: +82-2- 2262-4739 E-mail: paksaepak@hanmail.net

Copyright © 2015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박세윤 외. 스마트폰의 사용이 청소년의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Original Articl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청소년들의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안구건조는 청소년들의 건강에 위협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 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과 안구건조와의 관 련성을 파악하고 청소년들의 눈 건강을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를 제 공하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S

시의

K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연구 참여에 서면 동의 한 고등학생

200

명 (남자

140

명, 여자

6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시행하였다.

2. 자료 수집 (보충 Table 1)

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하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스마트폰 사용 관련 특성, 안구건조 증상 관련 특성을 통하여 스마트폰의 사 용과 안구건조증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안과적 질환이나 전 신질환이 없는 건강한 고등학생이며 질문지의 내용을 이해하고 의 사소통이 가능한 자가 선정 기준이 되었고, 안구건조증으로 진단 받은 적이 있는 자, 안과적 외상이나 질환이 있는 자, 라식 수술을 받은 자, 렌즈를 착용하는 자는 제외 기준으로 하였다. 설문에 응한 총

200

명 중 제외 기준에 해당한

18

명은 제외가 되어 총

182

명 (남

133

명, 여자

59

명)의 설문결과가 반영이 되었다.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성별, 학년을 포함하였고 스마트폰 사용 관 련 특성으로는 하루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30

분 미만,

30

분 이상~

1

시간 미만,

1

시간 이상~

2

시간 미만,

2

시간 이상~

4

시간 미만,

4

시간 이상 등의

5

개 군으로 구분 하였고, 한번 스마트폰 사용시 지 속시간은

10

분 미만,

10

분 이상~

30

분 미만,

30

분 이상~

1

시간 미 만,

1

시간 이상 등의

4

개군으로 구분 하였다.

안구건조 증상 관련 특성으로는

11

가지 항목으로 구성이 되며 증 상점수는 안구표면질환지수(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

OSDI

) 를 측정하였고, 점수 결과에 따라 총 점수가

0

~

12

점인 경우 정상으 로 하고,

13

~

22

점을 경도의 건성안,

23

~

32

점을 중등도의 건성안,

33

~

100

점을 중증의 건성안으로 분류하였다.

3. 통계분석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0

.

0 for Windows

를 사용 할 것이며,

P

<

0

.

05

인 경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1

일 스마 트폰 총 사용시간 및

1

회 사용 시 사용시간과 안구건조 관련 항목 과의 연관성 분석을 위해 통계치의 해석 상에 있어서 가설 검증의 타당성에 있어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비모수 상관분석인

Kendall

s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

kendall

s tau test

)를 사용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Table 1)

연구 대상자 총

182

명중 남성이

133

명(

73

.

08

%), 여성이

49

(

26

.

92

%)으로 남녀 비율은

2

.

7

:

1

정도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1

년이

70

명(

38

.

46

%),

2

학년이

78

명(

42

.

86

%), 그리고

3

학년이

34

(

18

.

68

%)이였다.

2. 연구대상자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 (Table 2)

스마트폰을 보유한 응답자 중

1

일 평균 이용시간은 평균

4

시간 이상 사용한다는 응답자가

59

명(

32

.

42

%)으로 가장 많았고,

2

~

4

간 사용 한다는 응답자가

52

명(

28

.

57

%)로 다음을 차지하였다.

1

~

2

시간을 사용하는 응답자는

50

명(

27

.

47

%)이었고,

30

분~

1

시간 사용 한다는 응답자는

18

명(

9

.

89

%),

30

분 미만을 사용한다는 응답자는

3

명(

1

.

65

%)이었다.

1

회당 평균 이용 시간을 조사하였을 때

10

분에서

30

분 정도 사 용한다는 응답자가

78

명(

42

.

86

%)으로 절반에 가까웠고,

10

분 이하 로 사용한다는 응답자가

56

명(

30

.

77

%)로 그 뒤를 따랐다.

25

%에 가까운 학생들은 스마트폰

1

회 사용시

30

분 이상 사용한다고 응답 하였다.

3. 연구대상자의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점수의 분포 (Figure 1)

전체 응답자 중

OSDI

점수가

0

~

12

점은 경우는

98

명(

53

.

48

%)였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Characteristic Categories N(%)*

Gender Male

Female

133(73.08%) 49(26.92%)

Grade

First Second Third

70(38.46%) 78(42.86%) 34((18.68%)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Table 2. Smartphone usage hours of participants

Categories N(%)* Total hours of use per 1 day

Less than 30 minutes 30 minutes~1 hours 1~2 hours 2~4 hours Over 4 hours

3(1.65%) 18(9.89%) 50(27.47%) 52(28.57%) 59(32.42%) The length of time for use for 1 time

Less than 10 minutes 10 ~ 30 minutes 30 ~ 1 hour Over 1 hour

56(30.77%) 78(42.86%) 41(22.53%) 7(3.84%)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3)

Sae-yun Park, et al. Influence of Smart Phone on Dry Eye Syndrome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고,

13

점이 넘어 건성안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경우가

94

명(

46

.

52

%) 이었다. 이 중

13

~

22

점인 경도의 건성안은

34

명(

18

.

68

%),

23

~

32

점인 중등도의 건성안은

18

명(

9

.

89

%),

33

점 이상인 중증의 건성안 은

32

명(

17

.

59

%)이었다

4. 연구대상자의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OSDI 와의 관계 (Table 3)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OSDI

가 어떠한 상관 관계가 있는지 비모 수 상관검정인

Kendall

s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

Kendall

s tau test

)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하루 중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총 시간과

1

회 스마트폰 이용시 지 속시간은

OSDI

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τ

>

0

,

P

<

0

.

001

).

고 찰

요즘 스마트폰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신체적 건강 문제 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눈의 피로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건성안은 눈물막이 과도하게 증발하거나 눈물이 부족하여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눈에 불쾌감, 이물감, 건조감 같은 증상을 일으키 는 모는 눈물막의 질환을 의미한다.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컴퓨터 작업과 같은 집중력을 요하게 되면 눈 깜박임의 횟수가 감소하고 안 검열의 폭이 넓어지면서 안구 노출 시간이 증가하여 눈물막 파괴시 간이 짧아져 안구건조가 발생하게 된다.7) 또한 건조해진 안구표면 에 눈물을 공급하기 위해 눈 깜박임 횟수가 증가하며, 이는 눈물생 성의 감소에 대한 보상작용이며 안구표면의 불편감이 자극이 되어 눈 깜박임 횟수가 증가하는 것이다.

이전에 시행한 건성안의 유병률과 관련된 연구들에 따르면

5

.

5

~

33

.

7

%로 지역이나 나이 등에 따라 차이가 큼을 알 수 있다.8, 9,

10, 11, 12, 13) 본 연구에서 시행한

OSDI

설문은 신뢰도가 높은 평가이고

실제 임상 양상과도 관련이 큰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14)

2003

년에 호주에서 주관적 증상을 이용하여 건성안의 유병률을 조사한 연구 에서는

16

.

6

%의 유병률을 보였으나,12) 아시아 지역에서 시행한 건 성안의 유병률 연구에서는 일본, 인도네시아 에서 각각

33

%,

27

.

5

% 의 유병률을 보였다.11, 13)

일반적으로 건성안은 고령에서 흔하다고 보고되는데 이는 나이 가 들면서 눈물의 생성이 감소하고 눈물의 증발이 증가함이 원인으 로 생각된다.15) 미국에서 연령에 따른 건성안의 유병률을 조사한 연 구에서는 전체

14

.

4

%의 유병률을 보였지만,

60

세 이하에서는

8

.

4

%,

80

세 이상에서는

19

.

9

%의 유병률의 차이를 보였다.10)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본 연구 결과

OSDI

점수가

13

점 이상인 건성안의 경우가

46

.

52

%로 이전의 다른 연구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자의 스마트폰

1

일 이용시간과

1

회당 이용지속 시간 모두

OSDI

점수 총합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스마

트폰을 오래 이용할수록 안구건조 증상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 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서울의 특정 고등학교의 학생들 을 대상으로 하여 전체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나 안구건조 정 도를 정확히 반영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므로 자료의 정확성 측면에 제한이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스 마트폰 이용시간과 안구건조 정도와의 관련성을 입증함으로써 스 마트폰을 사용하는 청소년들에게 이용 시간을 조절할 필요성을 역 설할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표본수를 늘리거나, 객관 적인 안구건조 지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이용시간에 따른 청소 년들의 안구건조 정도 차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 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의 눈 건강을 위한 국가적 인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요 약

연구배경: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로 현대인들은 스마트폰을 일상과 밀접하게 사용하게 됨에 따라 신체적 또는 정신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의 사용 시간과 안구 건조 증상과 관련하여 설문 조사를 통하여 관련성을 분석하고 청소년들의 눈 건강을 위한 대책 마련의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는데 Table 3.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usage hours and OSDI score

τ* 2-sided P valure

Total time spent daily using smartphone 1 time smartphone usage

0.32 0.24

P<0.001 P<0.001 Abbreviations: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 τ, P-value is calculated by kendall’s tau test

P-value of kendall’s tau<0.05

Figure 1. The distribution of OSDI score*

Abbreviations :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 Normal: 0~12, mild: 13~22, moderate: 23~32, severe: 33~

(4)

박세윤 외. 스마트폰의 사용이 청소년의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있다.

방법:

2014

11

15

일부터

11

16

일 까지

S

시의

K

고등학교의 고등학생

200

명 (남자

140

명, 여자

60

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 하여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통계학적 방법으로는 비모수상관분 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제외 기준에 해당하는

18

명을 제외한

182

명의 고등학생을 대 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OSDI

점수를 통하여 건성안으로 진단 할 수 있는 경우가

94

명이였고, 하루 중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총 시 간과

1

회 스마트폰 이용시 지속시간은

OSDI

와 유의한 양(+)의 상 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을 오래 이용할수록 안구건조 증 상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청소년들에게 이용 시간을 조절할 필요성을 강조 할 수 있고, 향후 보완된 후속 연구들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눈 건강을 위한 국가적인 차원의 대책 마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중심단어: 스마트폰, 안구건조, 청소년

REFERENCES

1.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Wire/wireless telecommu- nication service subscribers statistics [Internet]. Gwacheon: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2013 [cited 2013 July 4]. Available from:http://www.kcc.go.kr/user.do?mode=view&page=A0206040 0&dc=K02060400&boarded=1030&cp=1&boardSeq=36008 2. Lee CS. A study on the consumer type for smartphone users to

basis of motivations[dissertation]. Incheon : Incheon Univ.; 2012.

Korean.

3. Park JS, Choi MJ, Ma JE, Moon JH, Moon HJ. Influence of cellular phone videos and games on dry eye syndrome in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4 ; 25(1):12-23.

4. Lee BI, Kim SW, Kim YJ, Bae JY, Woo SK, Woo HN,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3; 26(1):45-53.

5. Kim DI, Lee YH, Lee JY, Kim MC, Keum CM, Nam JE, et al.

New patterns in media addiction: is smartphone a substitute or a complement to the internet.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12; 20(1): 71-88.

6.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2007). Ocul Surf 2007; 5: 75-92.

7. Lee SH. Evaluating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use on the psycho-physiological condition [master’s thesis]. [Seoul]: Konkuk University; 2011. 41 p.

8. McCarty CA, Bansal AK, Livingston PM. The epidemiology of dry eye in Melbourne, Australia. Ophthalmology 1998; 105: 1114-9.

9. Schein OD, Muñoz B, Tielsch JM. Prevalence of dry eye among the elderly. Am J Ophthalmol 1997; 124: 723-8.

10. Moss SE, Klein R, Klein B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dry eye syndrome. Arch Ophthalmol 2000; 118: 1264-8.

11. Shimmura S, Shimazaki J, Tsubota K. Results of a population- based questionnaire on the symptoms and lifestyles associatedwith dry eye. Cornea 1999; 18: 408-11.

12. Chia EM, Mitchell P, Rochtchina E. Prevalence and associations of dry eye syndrome in an older population: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Clin Experiment Ophthalmol 2003; 31: 229-32.

13. Lee AJ, Lee J, Saw SM.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ry eye symptoms: a population based study in Indonesia. Br J Ophthalmol 2002; 86: 1347-51.

14. Schiffman RM, Christianson MD, Jacobsen 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Arch Ophthalmol 2000; 118: 615-21.

15. Mathers WD, Lane JA, MB. Tear film changes associated with normal aging. Cornea 1996; 15: 229-34.

(5)

Sae-yun Park, et al. Influence of Smart Phone on Dry Eye Syndrome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Supplementary Table 1.

Questionnaire 1. 성별

① 남 ② 여

2. 학년

① 1학년 ② 2학년 ③ 3학년

3-1. 하루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 어느 정도입니까

① 30분 미만 ② 30분 이상~1시간 미만 ③ 1시간 이상~2시간 미만 ④ 2시간 이상- 4시간 미만 ⑤ 4시간 이상

3-2. 한 번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사용 지속 시간은 평균 얼마나 됩니까

① 10분 미만 ② 10분 이상~30분 미만

③ 30분 이상~1시간 미만 ④ 1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사용 4-1. 눈에 모래알이 들어간 듯 이물감이 있다

① 없다 ② 가끔 그렇다 ③ 보통 그렇다 ④ 대부분 그렇다 ⑤ 항상 그렇다

4-2. 눈에 통증이 있고 시리다

① 없다 ② 가끔 그렇다 ③ 보통 그렇다 ④ 대부분 그렇다 ⑤ 항상 그렇다

4-3. 시야가 흐리다

① 없다 ② 가끔 그렇다 ③ 보통 그렇다 ④ 대부분 그렇다 ⑤ 항상 그렇다

4-4. 앞을 보기 어렵다

① 없다 ② 가끔 그렇다 ③ 보통 그렇다 ④ 대부분 그렇다 ⑤ 항상 그렇다

4-5. 빛에 예민하다

① 없다 ② 가끔 그렇다 ③ 보통 그렇다 ④ 대부분 그렇다 ⑤ 항상 그렇다

4-6. 독서를 할 때 어려움을 느낀다

① 없다 ② 가끔 그렇다 ③ 보통 그렇다 ④ 대부분 그렇다 ⑤ 항상 그렇다

4-7. TV 시청을 할 때 어려움을 느낀다

① 없다 ② 가끔 그렇다 ③ 보통 그렇다 ④ 대부분 그렇다 ⑤ 항상 그렇다

4-8. 컴퓨터 모니터를 볼 때 어려움을 느낀다

① 없다 ② 가끔 그렇다 ③ 보통 그렇다 ④ 대부분 그렇다 ⑤ 항상 그렇다

4-9. 바람 부는 날씨에 눈에 불편함을 느낀다

① 없다 ② 가끔 그렇다 ③ 보통 그렇다 ④ 대부분 그렇다 ⑤ 항상 그렇다

4-10. 건조한 장소에서 눈에 불편함을 느낀다.

① 없다 ② 가끔 그렇다 ③ 보통 그렇다 ④ 대부분 그렇다 ⑤ 항상 그렇다

4-11. 에어컨이나 온풍기를 사용할 때 눈에 불편함을 느낀다

① 없다 ② 가끔 그렇다 ③ 보통 그렇다 ④ 대부분 그렇다 ⑤ 항상 그렇다

5-1. 하루 TV 시청이나 컴퓨터 사용 시간이 평균 얼마나 됩니까

① 30분 미만 ② 30분 이상- 1시간 미만 ③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 ④ 2시간 이상- 4시간 미만 ⑤ 4시간 이상

5-2. 안구건조증으로 진단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① 그렇다 ② 아니다

5-3. 안과적 외상을 입거나 안과적 질환이 있습니까

① 그렇다 ② 아니다

5-4. 라식 수술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① 그렇다 ② 아니다

5-5. 렌즈를 착용 하였습니까

① 그렇다 ② 아니다

수치

Table 2. Smartphone usage hours of participants
Figure 1. The distribution of OSDI score*

참조

관련 문서

따라서 본 프로그램에서는 스마트폰의 개념적 특성을 알고,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특징을 탐구하여 우리 생활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여러분이 열심히 참여하 다보면 스마트폰이 단순히 문자 메시지 전송, 전화,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이 있음을 알게

본 연구는 인증종합물류기업의 효율성 분석을 통하여 개별 물류기업의 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고,향후 물류시장 점유율 확대와 물류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이에 본 연구는 치과에 내원하는 흡연자 를 대상으로 일반적, 구강건강 관련, 구강질환 관련, 구강건강 지식, 인식, 실 천도, 흡연, 전자담배에 대한 인식,

따라서 본 프로그램에서는 스마트폰의 개념적 특성을 알고,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특징을 탐구하여 우리 생활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따 라서 제한된 분야에의 관심과 재능을 다양한 분야로 눈을 돌리게 하는 것이 초보적인 단 계에 있는 현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셋째,본 연구는 문학 작품 J ame sJ oyce 의 Ar aby를 선정하였고,문학 텍스 트를 활용하여 위 쓰기 지도 유형 단계들을 고려하여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할 수 있는

본 연구는 미생물에 의한 자류철석과 티탄철석의 물성 변화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서 최적의 성장조건에서 배양한 미생물이 자류철석의 물성 변화에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