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환경자원정보의 정책적 활용방안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농업환경자원정보의 정책적 활용방안 연구"

Copied!
17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C 2007-30 | 2007. 12.. 농업환경자원정보의 정책적 활용방안 연구. 김 신 이 김 김 조. 창 용 상 태 홍 경. 길 광 건 영 상 출. 연 구 위 원 부연구위원 위촉연구원 초청전문연구원 연 구 위 원 초청연구원.

(2) 연구 담당 김창길 신용광 이상건 김태영 김홍상 조경출. 연 구 위 원 부연구위원 위촉연구윈 초청전문연구원 연 구 위 원 초 청연구 원. 연구총괄 및 정책연계 방안 일본의 농업환경정보 활용 사례 농업환경정보의 활용도 조사 유럽의 농업환경정보 활용 사례 국내 농업환경정보 활용 사례 농업환경자원정보 사이트 정리.

(3) i. 머 리. 말. 현실적으로 농업환경 문제는 복잡하고 다양하므로 실질적 해결책 모색을 위해서는 토양․공기․물․생물다양성 등 농업환경자원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적절한 정책대안이 선택될 수 있도록 과학적인 정보를 제 공해주는 농업환경정보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농업환경자 원정보관리 시스템이 정착되면 농업환경의 적절한 관리는 물론 과학적인 분 석 정보를 기초로 친환경농업정책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 다. 또한 농업환경정보 공개는 농업인은 물론 일반 국민들의 농업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정책의 신뢰도 제고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보고서는 농촌진흥청 국책과제인 「농업환경자원정보 통합관리 방안 연 구」의 세부과제로 추진된 ‘농업환경자원정보의 정책적 활용 방안’에 관한 3년 차 연구의 최종 결과물이다. 농업환경자원정보에 대한 정책담당자, 전문가, 농업 인 등 수요자의 활용도 조사와 국내외 활용실태 검토 등을 기초로 농업환경자원 정보의 정책연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무쪼록 이 연구가 농업환경자원을 환경 친화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친환경농업정책 수립과 정책성과 모니터링을 위한 기 초자료로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이 연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총괄연구 책임자로 적극적인 지원과 협 조를 아끼지 않은 농업과학기술원 하상건 박사를 비롯한 토양관리과 참여 연 구진, 농업환경정보에 대한 활용도 조사에 참여한 농림부 친환경농업정책과 와 지방정부 정책담당자, 시군 농업기술센터 지도사, 학계 전문가, 농업인 등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최. 정. 섭.

(4) iii. 요. 약. 농업환경정보는 농업계를 구성하는 토양, 물, 공기 등 환경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하며, 각 구성요인의 유기적인 연계와 종합적인 결합체가 농업환 경정보 시스템을 지칭한다. 농업환경문제의 해결과 건실한 친환경농업 육성 을 위해서는 이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농업환경자원정보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환경자원정보의 정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 기 위함이다. 보고서의 구성은 우선 서론에서 연구의 필요성, 연구목적과 범위, 선행연 구 검토 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농업환경정보의 개념과 구성 체계를 제 시하였다. 3장에서는 농업환경자원정보에 대한 활용도를 알아보기 위해 전문 가, 농업인,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제시하였다. 4장 에서는 국내외 농업환경정보의 활용사례를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농업환경 자원정보의 정책연계와 관련 접근방법, 환경상태 비교와 정책성과 평가, 환 경정보를 이용한 정책개발, 정책적 활용 증대를 위한 관련주체의 역할분담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6장에서는 요약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첫째, 토지이용 관련 정보의 활용도 평가 결과 농업인의 경우 작물 재배 적지 항목 중 재배작물별 주산단지 추천 정보의 활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책담당자의 경우 지목별 토지이용면적 정보, 전문가의 경 우는 작물재배적지 및 작물 재배면적의 활용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둘째, 토양 관련 정보의 활용도와 관련 농업인은 토양비옥도, 양분함량, 농약잔류량, 중금속함량, 정책담당자는 중금속함량, 농약잔류량, 전문가는 토 양비옥도, 양분함량, 중금속 함량 등의 정보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 다. 또한 토양정보에 대한 조사주기는 양분함량의 경우 1년 주기, 중금속함 량, 토양비옥도 등은 2~3년 주기, 물리적 성질, 토양미생물 분포 등은 4~5 년 주기로 조사되었다..

(5) iv 셋째, 양분정보와 관련 농업인과 정책담당자 모두 화학비료 사용량과 양 분잉여도 정보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분정보 조사주기는 화학 비료 사용량, 가축사육두수 등은 1년 주기, 그 외 대부분은 2~3년 주기로 조 사되었다. 넷째, 농업인의 농업환경자원정보에 대한 기여도 조사 결과, 영농실천에 도움이 됨이 35.6%, 농업인의 환경문제 인식 고취에 도움이 됨이 29.2%, 지역 환경수준 평가에 도움이 됨이 23.5%, 소비자 홍보에 도움이 됨이 10.2% 등으 로 나타났다. 또한 농업인의 정보 제공처는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 유관기관 의 영농지도가 50.5%로 가장 많았고, 농민/친환경농업 단체 22.3%, 농업전문 지 및 책자가 16.8%, 인터넷이 5.0%로 나타났다. 다섯째, 국내 농업환경정보의 실제적인 활용 사례를 보면 전국 시․군별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성질과 작물재배적지와 토양적성등급 등을 제공하는 농업과학기술원의 농업토양정보시스템, 농지의 효율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해 농림부와 농촌공사의 농지정보화사업으로 이루어진 농촌지형정보시스템과 농지종합정보시스템을 들 수 있다. 여섯째, 외국의 농업환경정보 활용 사례로 농업․농촌개발 관련 종합정보 를 담은 일본 농림수산성의 지리정보시스템, 일본 전역의 토양조사결과를 제 시하는 농업환경기술연구소의 토양정보시스템을 들 수 있다. 또한 양분을 종 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네덜란드의 STONE 모형, 유럽 15개 국가의 농업환경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유럽환경처가 중심이 되어 추진 하고 있는 환경․농업정책통합 지표보고(IRENA) 프로젝트를 들 수 있다. 일곱째, 농업환경자원정보의 정책연계를 위한 접근방법으로 시뮬레이션 모형 활용과 OECD의 추진력-상태-반응 모델인 DSR 방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농업환경정보를 이용한 정책평가모델로 OECD 농업환경정책위원회에서 논의 되었던 방향성 비순환그래프 방법과 정형화된 농업환경정책영향모델 등을 검토하였다. 여덟째, 농업환경정보의 정책연계 활용 사례로 OECD 회원국의 농업환경 상태를 비교하는 농업환경지표를 제시하였고, 농업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사전.

(6) v 적․사후적 농업환경정책을 평가하는 방식을 검토하였다. 농업환경정보를 이 용한 정책개발사례로 양분수지지표를 이용한 지역단위 양분총량제를 제시하 였다. 아홉째, 농업환경정보의 정책적 활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책담당자, 전문가, 농업인 등 관련주체간의 적절한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신뢰도와 활용도가 높은 농업환경정보시스템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에 대한 예산지원 등 정책담당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 다..

(7) vi ABSTRACT. Policy Application of Agricultural Environmental Resources Information. Agricultural environmental resources information refers to what is related t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il, water and air which are absolutely essential for farming, and is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incorporated into the agricultural environmental resources inform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hat the system be established for solving agriculture related problems and for promoting sound eco-friendly farming. This study is intended to address how to apply policies for agricultural resources information. This report consists of as follows: the introduction presents the necessity of the study, purpose and scope of the study, and review of prior studies; chapter 2, concept and system of agricultural environmental resources; chapter 3, survey results of applications of the resources; chapter 4, cases of utilizing the resources at home and abroad; chapter 5, interrelations with polices and approaches to the resources, comparisons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evaluations of performance and development of policy, and roles of the parties concerned; and chapter 6, summary and conclusion. In brief,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land utilization information is being applied by the users; it is shown that farmers mostly use data on optimal cultivation of lands, and policy makers the data on land use areas by land category, and specialists the optimal cultivation of lands and cultivation areas. Second, regarding to what extent that land related data is being used, farmers are found to mostly use data on soil fertility, nutrient contents, chemical residues, and heavy metal contents; administrators heavy metal contents and chemical residues; and specialists soil fertility, nutrient contents, and heavy metals. Soil data was utilized at the following intervals: one year for nutrient contents, 2 to 3 years for heavy metal contents and soil fertility, and 4 to 5 years for the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soil. Third, regarding nutrients, this study shows that farmers and administrators mostly use data on chemical fertilizers and excess nutrients..

(8) vii Nutrient data was referred to at the following intervals; one year for consumption of chemicals and numbers of livestock, and about 2 to 3 years for others. Fourth, it was examined how much farmers contributed to providing agricultural resources information: farming practices accounted for 35.6%, environmental perception 29.2%, local environmental evaluation 23.5%, and consumer promotions 10.2%.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resources information is provided to farmers through various means: farming techniques related institutions (50.5%), farmers and eco-friendly agricultural organizations (22.3%), agriculture journals and articles (16.8%), internet (5.0%), etc. Fifth, agricultural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being applied locally through the soil information system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optimal cultivation areas, and soil fitness)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NIAST) and the rural topography and integrated farmland information system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and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KARICO) for the efficien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farmland. Sixth, foreign cases of using agricultural environmental information are as follows: geographical positioning system for farming and rural development by the Japanese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the soil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surveys of soils) by Agriculture & Environment Technology Research Center in Japan; STONE model of the Netherlands for the extensive management of nutrients; and the IRENA Project initiated by the European Environment Agency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concerns in 15 EC countries. Seventh, approaches to agriculture and environment related policies include utilization of simulations and DSR, drive-status-response provided by OECD. Policy models were evaluated using agricultural environmental information: directional non-circular graphics and standardized agriculture and environmental models discussed by OECD Agriculture & Environment Agency. Eighth, an agricultural environmental indicator was presented by comparing farming conditions among OECD members, and pre- and post-evaluations of agricultural environmental policies were reviewed by using agricultural environmental information. A nutrients loading system was presented by using indicators of nutrient purchase and consumption. Lastly, for an agricultural environmental policy to be effective, it is.

(9) viii necessary to appropriately assign roles to administrators, experts, and farmers. It is needed for administrators to have interests and provide financial supports for R&D in order that reliable and highly practical agriculture and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can be established.. Researchers: Chang-Gil Kim, Yong-Kwang Shin, Sang-Gun Lee, Tae-Young Kim, Hong-Sang Kim, and Kyung-Chul Joe E-mail address: changgil@krei.re.kr.

(10) ix.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 1 2. 연구목적 ········································································································ 3 3. 선행연구 검토 ······························································································· 3 4.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 6 제2장 농업환경정보의 개념과 구성 체계 1. 농업환경정보의 개념 ···················································································· 8 2. 농업환경정보의 구성 체계 ········································································ 10 3. 환경자원정보의 범위 설정 ········································································ 13 제3장 농업환경정보의 활용도 조사 1. 전문가그룹 농업환경자원정보의 활용도 조사 ········································ 16 2. 농업인의 농업환경자원정보 활용에 대한 수요 ···································· 24 3. 정책담당자의 농업환경자원정보 활용에 대한 수요 ······························· 27 제4장 국내외 농업환경정보 활용실태 1. 국내 농업환경정보 활용실태 ···································································· 31 2. 외국의 농업환경정보 활용 사례 ······························································· 65 3. 국내외 농업환경정보 활용의 시사점 ······················································· 99 제5장 농업환경자원정보의 정책연계 1. 농업환경자원정보의 정책연계 접근 방법 ·············································· 102 2. 환경상태 비교와 정책평가 ······································································ 108.

(11) x 3. 농업환경자원정보를 이용한 정책 개발 ·················································· 113 4. 정책적 활용 증대를 위한 관련주체별 역할 분담 ································ 120 제6장 요약 및 결론 부록 1: 농업환경자원정보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설문조사표 ··················· 125 2: 농업인의 농업환경자원정보 활용도 조사표 ···································· 134 3: 정책담당자의 농업환경자원정보 활용도 조사표 ···························· 138 4: 시책건의 1 ·························································································· 145 5: 시책건의 2 ·························································································· 148 6: 시책건의 3 ·························································································· 151 참고 문헌 ··········································································································· 156.

(12) xi. 표. 차. 례. 제2장 표 2-1. OECD 농업환경지표의 구성 체계 ················································ 12 표 2-2. 농업환경정보 목록(안) ···································································· 14 제3장 표 3-1. 전문가그룹의 토지이용도 정보 활용도 및 조사주기 종합 평가 ···· 17 표 3-2. 전문가 그룹의 토양 정보 활용도 및 조사주기 종합 평가 ········ 18 표 3-3. 물 관리와 수질 정보 활용도 및 조사주기 종합평가 ·················· 19 표 3-4. 전문가그룹의 생물다양성 정보 활용도 및 조사주기 평가 ········ 20 표 3-5. 전문가그룹의 농장관리 정보 활용도 및 조사주기 평가 ············ 21 표 3-6. 전문가그룹의 양분 관련 정보 활용도 및 조사주기 종합평가 ··· 22 표 3-7. 전문가그룹의 대기 및 기후변화 정보 활용도 및 조사주기 평가 ···· 23 표 3-8. 전문가그룹의 농업 경관 정보 활용도 및 조사주기 평가 ·········· 23 표 3-9. 농업인의 농업환경정보 활용도 및 영농활동 기여도 ·················· 24 표 3-10. 농업인의 농업환경정보 제공처 평가 ·········································· 26 표 3-11. 농업인 특성별 영농장부 작성 및 활용여부 ······························· 27 표 3-12. 정책담당자의 평가기준별 농업환경정보 평가 ··························· 28 제4장 표 4-1. 토양지도 세부내용 ·········································································· 32 표 4-2. 농업적성도 지표 개발을 위한 주요 농업지리 정보체계 자료 ··· 38 표 4-3. 주요 지표의 응용(안) ······································································ 39 표 4-4. 토지적성 평가특성 및 평가지표군 ················································ 58 표 4-5. 2006년 농림수산성의 GIS 관련 사업 ··········································· 66.

(13) xii 표 4-6. STONE 모델링 시스템의 주요 구성 ············································· 86 표 4-7. 면세대상 질소․인산 잉여 수준별 시나리오 ······························· 91 표 4-8. IRENA 농업환경지표 목록 ···························································· 93 표 4-9. 선정된 농업환경정책 수단의 환경 잠재력 ··································· 97 제5장 표 5-1. OECD 국가의 농업환경지표 비교(2002~2004) ························ 109 표 5-2. 한국과 주요 회원국의 농업-환경 실태 비교 ······························ 110 표 5-3. 도별 양분수지 분석 결과(2004년 기준) ····································· 117 부록 부표 1. 우리나라 농경지의 양분수지 변화 추이 ···································· 153 부표 2. 도별 농경지의 양분수지 실태(2005년 기준) ····························· 154.

(14) xiii. 그 림 차 례. 제1장 그림 1- 1. 연구 흐름도 ·················································································· 7. 제2장 그림 2- 1. 농업환경정보 총량과 집약도에 따른 AEI유형화 ····················· 9 그림 2- 2. 농업환경지표를 활용한 농업자원정보 관리시스템 ················ 10. 제3장 그림 3- 1. 농업인의 농업환경정보 활용 방법 ·········································· 25 그림 3- 2. 농업인의 농업환경정보 활용의 애로사항 ······························· 25 그림 3- 3. 정책담당자의 농업환경정보 용도별 기여도 평가 ·················· 29 그림 3- 4. 정책담당자의 농업환경정보 활용의 애로사항 ························ 29 그림 3- 5. 정책담당자의 농업환경정보 획득 경로 ··································· 30 그림 3- 6. 정책담당자의 농업환경정보 활용 증대 방안 ························· 30. 제4장 그림 4- 1. 토양지도(예: 충남 홍성군 물리적 특성지도-표토의 자갈함량) ·· 33 그림 4- 2. 토양정보통계 구성 ····································································· 34 그림 4- 3. 토양관리 처방서(예: 충남 홍성군 홍동면 보리 재배 시) ····· 35 그림 4- 4. 농지정보화사업 구성 체계 ························································ 36 그림 4- 5. 농촌지형정보시스템 체계도 ···················································· 43 그림 4- 6. 농촌지형정보시스템 소개 ·························································· 43 그림 4- 7. 농지종합정보시스템 체계도 ······················································ 44 그림 4- 8. 농지종합정보시스템 DB구축 체계도 ····································· 45.

(15) xiv 그림 4- 9. 농지종합정보시스템 제공 서비스 ············································ 45 그림 4-10. 농촌행정연계시스템 구성도 ······················································ 46 그림 4-11. 농촌행정연계시스템 제공 서비스 ············································ 47 그림 4-12. 퇴비화(분뇨혼합) 시설산출 ······················································· 48 그림 4-13. 퇴비화(분뇨분리) 시설산출 ······················································· 49 그림 4-14. 저농도액비(SCB) 시설산출 ······················································· 50 그림 4-15. 저장액비화 시설산출 ································································· 51 그림 4-16. 가축분뇨 배설량산출(착유우, 건유우, 육성우가 각 100두일 경우) ····· 51 그림 4-17. 환경정보시스템 구성 ································································· 53 그림 4-18. 국토통계자료 서비스 내용 ························································ 57 그림 4-19. 토양지하수 종합정보시스템 구성 체계 ··································· 61 그림 4-20. 토양지하수 지도 ········································································· 62 그림 4-21. 지리정보시스템 제공 자료 ························································ 63 그림 4-22. 음영기복도(충주지역) ································································ 64 그림 4-23. 일본 농림수산성 지리정보시스템 실시 계획 ························· 65 그림 4-24. 일본수토도감 GIS ······································································ 67 그림 4-25. 지역별 지리정보시스템 활용 ···················································· 68 그림 4-26. 지리정보시스템 GIS 구축 ························································· 69 그림 4-27. GIS의 시각적인 표시 및 분석 ················································· 69 그림 4-28. GIS의 주요활용 분야 ································································ 71 그림 4-29. 일본의 토양정보 수집 시스템 구성 ········································ 72 그림 4-30. 일본의 농업환경자원 모니터링 내용 ······································· 73 그림 4-31. 일본의 GIS를 활용한 포장관리시스템 소개 ·························· 73 그림 4-32. 국립환경연구소의 환경GIS 소개 ············································· 74 그림 4-33. 양분 배출 감축을 위한 대안적 시나리오의 영향 ·················· 84 그림 4-34. STONE 모델링 시스템의 투입 및 산출 자료 ························ 85 그림 4-35. CLEAN2 모형의 주요 계산 단계 ············································ 88 그림 4-36. DSPIR를 활용한 농업환경문제 접근 ······································· 94.

(16) xv 그림 4-37. 정책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체계도 ····························· 95 그림 4-38. CAP에서의 환경적 통합과 정보체계 평가 ··························· 96 그림 4-39. 정책 통합과 관련한 농업환경 정책 수단 ······························· 97 그림 4-40. 농업환경 정책수단의 설정 방법 ·············································· 98. 제5장 그림 5- 1. 농업환경정보를 이용한 농업정책분석의 기본 골격 ············ 103 그림 5- 2. 농업환경지표의 DSR연계 구조 ·············································· 104 그림 5- 3. 생물다양성 관리계약의 D-S-R 모델분석 ······························ 105 그림 5- 4. 농업환경지표를 활용한 사전적․사후적 농업환경정책평가 ··· 111 그림 5- 5. 한국과 네덜란드의 질소수지지표 변화 추이 비교 ·············· 112 그림 5- 6. 지역단위 양분수지 진단 체계 ················································ 114 그림 5- 7. 전국 도별 양분(질소․인산) 초과율 ······································ 117 그림 5- 8. 지역단위 양분총량관리시스템 개념도 ··································· 118 그림 5- 9. 질소성분 양분초과량 기준 양분관리지역 지정 ···················· 119. 부록 부도 1. 연도별 국내생산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추이 ························· 152.

(17) 1. 제. 서. 1. 장. 론. 1. 연구 필요성. ○. 현실적으로 농업환경문제는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므로, 실질적인 문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농업환경자원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적절한 정책대안이 선택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해주는 농 업환경정보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농업환경자원에 관한 정보관리시스템은 농업환경의 적절한 관리와 관련 행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농업환경 의사결정의 과학화에 도움 을 줄 수 있음. 또한 농업환경정보 공개는 농업인은 물론 일반 국민들의 농업환경정책에 대한 신뢰도 제고에도 도움이 됨. - 다양하고 복잡한 농업환경정보와 관련 전문가, 정책담당자, 농업인, 일반 인이 쉽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표의 구성 체계와 지표와 정책 을 연계하여 분석할 수 있는 모델개발이 필요함. - 농업환경자원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농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농업환경지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농업환경자원정보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농업환경지도 작성이 필요함..

(18) 2 ○. 농업․농촌 지역의 토양, 수질, 생물상, 대기 등 농업환경요소에 대한 실태 및 동태적 변화를 농업인과 정책담당자는 물론 소비자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분야별 농업환경지표를 개발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기 초로 한 농업환경지도 작성이 필요함.. ○. 농지의 필지단위와 하천 등을 포함한 농업생태계의 지역별 농업환경지도는 해당 지역농업인의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제고와 정책담당자의 정책기초자 료 제공, 국민들의 농업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을 위해 긴요하게 활 용될 수 있으며, 농업환경 데이터베이스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인 터넷을 통해 농업환경변화를 파악할 수 있음.. ○. 농업환경변동에 관한 실태조사는 1999년 이후 농업과학기술원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농업과학기술원의 토양정보시스템과 농촌공사 에서 추진 중인 농지정보시스템 구축 작업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농업환경 관련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운용한다면 농업환경정보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음.. ○.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친환경농업정책의 수립과 추진,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 램에 대한 성과평가, 농경지의 과잉양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단위 양 분총량제와 같은 새로운 정책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해서는 농업환경정보시 스템을 이용한 의사결정 지원체계 및 관련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 축되어야 함.. ○. 향후 효과적인 친환경농업정책 추진과 새로운 정책프로그램의 개발․평가를 위해서는 과학적인 분석을 기초로 한 농업환경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 필요 함. 이를 위해서는 농업환경자원정보 시스템 구축과 이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농업환경지도의 작성과 활용이 관건임..

(19) 3. 2. 연구목적. ○. 토지․토양․물․대기 등 농업생태계의 농업환경자원정보에 대한 정책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음.. ○. 구체적인 연구목적으로는 토지․토양․물․생물다양성․농장관리․양분․ 대기․경관․농약․에너지 등 농업환경자원정보에 대한 수요자를 대상으로 활용도 분석과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부문별 이해도․활용도․기여도․신 뢰도 등을 분석함.. 3. 선행연구 검토. <국내연구> ○. 국토연구원 외(1998)는 농업적성도와 관련하여 농업진흥지역 여부, 기반정비 (경지정리, 용수개발) 수준,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생산성 급지 구분 등을 이용 함. 특히 토지적성(정밀토양도) 상위등급면적비율 등을 검토함으로써 우량농 지의 개념적 설정을 GIS 자료로 구체화하려는 작업을 시도한 바 있는데, 이러 한 과정에서는 속성 자료의 해석, 급지구분의 기준 등에 대한 검토과정은 다양 한 농업 관련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과 이를 이용한 정책적 지표 개 발을 위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함.. ○. 박승우 외 8인(2000)은 농업생태계의 구성요소로 기상․수문인자, 지형․지 세․토양․용배수 등 물리적 인자, 환경오염원으로 점원․비점원 인자, 동 식물 생태계 인자, 경운․파종․시비․농약살포 등 영농관리 인자 등을 종.

(20) 4 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환경인자들의 상호 관련성 등을 계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현장 모니터링 기술과 수학적 모델 등을 제시함. ○. 이계원(2002)은 국내외 환경정보시스템의 개발 현황과 데이터베이스 구축부 터 응용프로그램 개발에 이르기까지 환경정보시스템의 각 부문별로 진단과 개발방안을 제시하였음.. ○. 채미옥 외(2002)는 토지적성평가지표를 물리적 특성요인과 입지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물리적 특성요인으로 토양배수, 토성, 유효토심, 표토의 석력함양, 표층의 암석노출, 토양침식, 경사도, 표고 등을 세부평가지표로 제시함. 입지 적 요인에는 도시적 요인, 농업적 요인, 보전적 요인, 계획적 요인 등으로 세부내용별 평가지표를 제시함. 특히 토지적성평가기준으로 GIS기반 시스 템 활용 방안을 제시함.. ○. 곽한강 외 3인(2005)은 범용토양유실방정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토양침식 위험성을 평가하였고, 경사도에 따 른 지역별 토양침식 분포도와 침식도를 지도로 나타냄으로써 침식 등급별 정책적 접근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음. 이는 토양침식 위험성지표 를 기초로 한 정책적 활용 방안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됨.. ○. 김창길(2005)은 OECD 농업환경지표의 활용방안으로 추진력-상태-반응 (DSR)의 정책분석 틀을 제시하였고, 환경지표의 정책분석 활용사례로 OECD 사무국과 회원국, 실제 양분수지지표를 이용하여 네덜란드와 우리나 라의 농업환경정책평가 사례를 제시함. OECD 농업환경지표 개발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 김창길, 김태영, 정은미(2006)는 농업환경지표를 이용한 환경 상태 비교, 농업환경지표의 정책적 활용 방안 및 지속적인 지표개발을 위한 과제 등을 제시함..

(21) 5. <국외연구> ○. Schroder(1995)는 환경적 투입-산출분석을 적용하여 덴마크의 질소성분 유 출의 경제적 파급영향을 계측하였고, 질소배출 감축을 위한 정책대안별 농 업자원 배분의 효율성과 환경적 효과성을 분석함.. ○. Dijk, Leneman and van der Veen(1996)은 양분흐름모델을 적용하여 네덜란 드 지역단위 양분수지 분포도 제시와 양분관리를 위한 정책대안별 시적 시 뮬레이션 분석을 통한 정책평가를 시도함.. ○. Wolf et al.(2003)은 STONE 모형을 적용하여 네덜란드의 농업활동에 따른 양분배출량 추정과 질소배출 및 인산 침출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수단 평가를 위해 시나리오별 향후 30년간의 양분배출량을 분석함.. ○. MacGregor(2005)는 농업정책의 환경효과 분석을 위해 경제-환경통합모델을 설정하여 캐나다의 양분수지, 질산염 침출, 온실가스 변화 등 다양한 분석과 분석결과를 기초로 입지적 여건에 따른 최적관리기법(BMP)을 제시함.. ○. Cattaneo(2005)는 농업정책의 환경효과 연계와 관련 계량분석 기법인 방향 성 그래프분석(directed graph analysis, DGA) 방법을 적용하여 OECD 주요 국의 농업정책변화의 질소수지 변화 분석을 시도함.. ○. Legg(2005)는 최근 농업정책과 환경효과의 연계분석을 시도하는 OECD 농 업환경정책위원회의 연구방향과 농업환경지표를 정책평가에 활용하는 방안 에 관한 향후 작업방향을 제시함.. ⇒ 이 연구는 국내외 관련분야 연구 성과를 기초로 농업환경정보에 대한 수요 자 설문조사와 활용 실태분석을 기초로 정책연계 방안 제시에 초점을 맞춤..

(22) 6. 4.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4.1. 연구방법 ○. 기존 국내외 농업환경자원정보 시스템 관련 문헌검토 - 농업과학기술원, 농촌공사, 환경부 등 유관기관의 농업환경자원정보 시 스템 관련자료 검토 - 농업과학기술원이 발간한 보고서 및 환경부의 환경정보 관련 자료의 활용 - 미국, 네덜란드, 캐나다, 일본 등의 농업환경자원정보 시스템에 관한 연 구문헌 검토. ○. 농업환경자원 최적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정책담당자와 전문가 의견수렴. ○. 총괄연구기관인 농업과학기술원 연구진의 토양, 물, 양분 등 부문별 연구결과 를 기초자료로 활용. ○. 농업환경자원정보 시스템 구축에 관한 국내외 전문가를 초청하여 정책적 활용 방안 모색을 위한 농업정책-환경연계 모델링 개발 및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 축에 관한 자문 및 의견 수렴. 4.2. 연구범위 ○. 농업환경자원의 범위는 물, 토양 등의 환경요소와 외부적 농업 투입재에 따른 양분수지 등을 연구대상으로 함.. ○. 농업환경정보의 공간적 영역은 시군 등 지역별 영역은 물론 전국적인 지역을.

(23) 7 영역으로 설정함. ○. 농업환경정보시스템(Agri-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AEIS)의 개념 정립 - AEIS는 다양한 농업환경자원 관련 자료를 효율적으로 수집․관리하고 분 석하며, 농업환경변화의 예측 및 해석을 통해 예방 및 경보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하거나 효과적인 농업환경정책을 수립하고 평가하는 시스템임. - 농업환경정보시스템은 도면정보와 속성정보로 구성되어 있는 농업환경 정보와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 및 인적자원시스템이 포함된 개념임. 그림 1-1. 연구 흐름도 ▪국내외 선행연구검토 ▪농업환경자원 관련자료 검토 ▪공동연구기관 연구결과 검토. ▪농업환경정보 체계화 - 토양비옥도, 양분수지, 수질 - 다원적기능 관련 지표 (토지보전, 경관지표 등) - OECD 농업환경핵심지표. ▪분야별 전문가 조사 ▪정보수요자 조사 (정책담당자, 농업인, 소비자 등) ▪주요국의 농업환경정보조사. ▪농업환경정보 관리시스템 활용 - 농업과학기술원 토양정보시스템(ASIS) - 농촌공사 농지정보시스템(RGIS) - 농촌진흥청 가축분뇨종합시스템(ENVI) - 농업환경지도(AEM). ▪해외사례의 벤치마킹 - 미국 농무부의 농업환경지도 - 네덜란드의 환경영향관리시스템 (STONE) - 유럽연합 IRENA 프로젝트. ▪농업환경정보의 정책적 활용방안 - 지역단위의 농업환경실태 파악 및 변동상황 - 친환경농업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 - 친환경농업정책의 성과평가 자료로 활용.

(24) 8. 제. 2. 장. 농업환경정보의 개념과 구성 체계. 1. 농업환경정보의 개념. ○. 농업환경정보와 농업환경정보시스템의 개념 - 농업환경정보(agricultural environmental information)는 농업계를 구성하는 토양, 물, 공기 등 환경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하며, 각 구성요인의 유기 적인 연계와 종합적인 결합체를 농업환경정보시스템(Agri-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AEIS)이라 할 수 있음. - AEIS는 다양한 농업환경자원 관련 자료를 효율적으로 수집․관리하고 분 석하며, 농업환경변화의 예측 및 해석을 통해 예방 및 경보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하거나 효과적인 농업환경정책을 수립하고 평가하는 시스템임.. ○. AEIS와 농업환경지표 - AEIS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농업환경지표(Agri-Environmental Indicators, AEIs)는 농업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환경요소 가운데 현실을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대표치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산정된 값을 말함. - AEI는 지역적 특성 및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돕 는 계량화된 정보임. 농업환경지표의 범위는 크게 공간 및 시간적 영역.

(25) 9 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계측과 관련된 공간적 범위는 농지, 농장, 수계 (watershed), 환경지대(eco-zone), 지역, 국가 등으로 나눌 수 있음. 농업환 경지표의 시간적 범위는 농업의 환경영향에 따라 단기 및 중장기 등으로 나눌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지표는 복잡한 현상에 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하고 전달 될 수 있도록 계량화되고 단순해야 함. 지표의 기본적인 요건은 관심의 대상을 적절히 반영할 수 있도록 대표성을 가져야 하고 과학적이고 객관적 타당 성을 가져야 함. 특히 신뢰할만한 지표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나 이론적으로 건전해야 하며 과학적 지식과 일반적 이해수준과 일치해야 함 은 물론 관련분야 전문가들이 객관성과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어야 함. - 농업환경지표는 분석의 편의상 기본적으로 각 환경요소별 관련 정보의 축 적 및 정보 집약도 정도에 따라 유형화 될 수 있음. 지표의 구성 체계를 보면 크게 매우 세부적이고 기술적인 내용을 다루는 과학자를 위한 지표, 기술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나타낸 일반인(농업인과 소비자 등)을 위 한 지표, 여러 관련지표를 통합하거나 요약하여 종합적으로 나타낸 정책담 당자를 위한 지표(농업환경 성과지수 등) 등으로 나눌 수 있음<그림 2-1>. 그림 2-1. 농업환경정보 총량과 집약도에 따른 AEI 유형화. 정책담당자를 위한 지표. 정 보 의. 일반인을 위한 지표. 집 약 도. 과학자를 위한 지표 정보의 총량.

(26) 10 - 환경지표를 정책수립과 정책평가 시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과학자들이 농업환경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상세한 환경지표 개발과 지표개발 을 위한 관련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함.. 2. 농업환경정보의 구성 체계. ○. 농업환경정보의 구성 체계 - 농업환경정보시스템은 도면정보와 속성정보로 구성되어 있는 농업환경 정보와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 및 인적자원시스템이 포함된 개념임<그림 2-2>. 그림 2-2. 농업환경지표를 활용한 농업자원정보 관리시스템 토질 ▪침식 ▪토양유기탄소 ▪질소 ▪압축 ▪미량원소. 수질 ▪질소 ▪인산 ▪농약 ▪병원균. 양분수지 ▪탄소 순환 ▪질소 순환 ▪인산 수지. 농장자원관리 ▪경지 이용 ▪농작물 ▪가축 ▪물 이용. 환경친화적 농업환경자원관리 ▪토양, 물, 양분 등 통합적 자원관리. 공기 질 ▪온실가스 ▪암모니아 ▪악취 ▪분진. 생물다양성 ▪서식지 이용 ▪야생동물 피해 ▪토양 생물다양성 ▪침입외래종.

(27) 11 ○. 농업환경지표의 구성체계 - 농업환경지표는 농업생태계의 토양, 물, 대기 등 환경요소의 실태를 파악 할 수 있는 각 부문별 세부지표로 구성됨. - 농업환경지표의 유형화에 있어서 편의상 농업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자연 자원 스톡과 관련된 지표로 토지, 토양, 물, 생물다양성 지표로 그룹화될 수 있고, 환경부하와 관련 양분수지, 농약이용 및 위험, 대기 및 기후변화 지표 등을 들 수 있음. - 이밖에도 농업에너지 사용, 농장관리 지표, 토지보전과 농업경관, 경지이 용과 관련 농경지 피복 등의 지표가 있음.. ○. 농업환경지표는 1994년 OECD 농업환경정책위원회 환경전문가 회의에서 20개 지표개발의 필요성이 제시된 이래 상당한 논의과정을 거쳐 1996년 JWP회의에 서 13개 지표로 확정되어 지표개발을 추진해 왔음.1) 농업환경지표는 각 부문별 로 상당한 세부지표가 개발되어야 하므로 매우 방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고, 각 지표는 회원국의 국가적인 상황과 매우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어 각 지표개발의 필요성 및 지속성 여부에 관해 상당한 논란과 협의가 계속되어 왔음.2) - 2000년 7월 제12차 JWP회의에서 지표개발과 관련하여 미국과 호주․뉴 질랜드 등 농산물 수출국과 한국, EU, 일본 등 농산물수입국의 입장차이 로 지표개발 전반에 관한 회원국의 의견수렴이 이루어 졌으며, 2000년 12월 제13차 JWP회의에서 회원국의 관심정도에 따라 지표를 유형화하 여 개발하기로 하고 핵심지표, 지역지표, 정황지표 등 3개의 범주로 구분. 1) 1994년 12월부터 1996년 12월에 걸쳐 OECD 농업환경정책위원회 JWP는 7차례의 회의를 거쳐 13개의 농업환경지표(① 농업양분균형지표, ② 농약사용지표, ③ 농업 용수사용지표, ④ 농업용수수질지표, ⑤ 토지사용 및 국토보전지표, ⑥ 토양질 지표, ⑦ 농업온실가스지표, ⑧ 농업경관지표, ⑨ 농장관리지표, ⑩ 농장재정지표, ⑪ 농업 의 사회문화지표, ⑫ 생물다양성지표, ⑬ 야생동물 서식지지표)를 개발키로 결정하 고 지표별 선도국가를 선정하여 지표개발이 추진되어 왔다. 2) 농업환경지표의 개발과 관련한 회원국별 첨예한 의견대립 및 협의과정에 관해서는 OECD JWP의 회의 차수별 논의과정에 상세히 제시되어 있다(김창길, 2006, pp.17-34)..

참조

관련 문서

일반적으로 자연호에서는 바람 등에 기인하는 순환 류가 나나타는 경우가 많고, 인공호에서는 하천의 유하방향으로써 일정흐름이 지배적인

EU내 연간 1톤 이상 제조, 수입되는 모든 물질에 대해 제조, 수입량과 위해성에 따라 등록, 평가, 허가 및 제한을 받도록 하는

생물체에 대한 방사선 조사부위에 따라 에 많은 차이가 있으며 조사받은 부위와 주변의 조직 및 기관간에는 상호작용이 있으나 장해는 대부분의 경우 조사받은

지방자치단체 농정 관련 기관에서 시행하는 정책에 대한 만족도, 농정 참여 여부 및 필요성, 농업회의소에 대한 인지도 및 필요성, 가입한 농업회의소의 운영에 대 한

농업인의

Ø 한·중 FTA 농업분야 협상전략수립과 대응방안모색에 기여 Ø 중국의 식품소비와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관심을 충족. 지금까지 축적된 중국 농업 관련 정보와

주: 아파트 및 개인 관련 정보의 노출 최소화를

- 기상법 제11조(관측 결과 등의 발표) 기상청장은 기상관측 결과 및 정보의 신속한 발표가 공공의 안전과 복리 증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방송사ㆍ신문사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