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연구>

국토연구원 외(1998)는 농업적성도와 관련하여 농업진흥지역 여부, 기반정비 (경지정리, 용수개발) 수준,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생산성 급지 구분 등을 이용 함. 특히 토지적성(정밀토양도) 상위등급면적비율 등을 검토함으로써 우량농 지의 개념적 설정을 GIS 자료로 구체화하려는 작업을 시도한 바 있는데, 이러 한 과정에서는 속성 자료의 해석, 급지구분의 기준 등에 대한 검토과정은 다양 한 농업 관련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과 이를 이용한 정책적 지표 개 발을 위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함.

박승우 외 8인(2000)은 농업생태계의 구성요소로 기상․수문인자, 지형․지 세․토양․용배수 등 물리적 인자, 환경오염원으로 점원․비점원 인자, 동 식물 생태계 인자, 경운․파종․시비․농약살포 등 영농관리 인자 등을 종

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환경인자들의 상호 관련성 등을 계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현장 모니터링 기술과 수학적 모델 등을 제시함.

이계원(2002)은 국내외 환경정보시스템의 개발 현황과 데이터베이스 구축부 터 응용프로그램 개발에 이르기까지 환경정보시스템의 각 부문별로 진단과 개발방안을 제시하였음.

채미옥 외(2002)는 토지적성평가지표를 물리적 특성요인과 입지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물리적 특성요인으로 토양배수, 토성, 유효토심, 표토의 석력함양, 표층의 암석노출, 토양침식, 경사도, 표고 등을 세부평가지표로 제시함. 입지 적 요인에는 도시적 요인, 농업적 요인, 보전적 요인, 계획적 요인 등으로 세부내용별 평가지표를 제시함. 특히 토지적성평가기준으로 GIS기반 시스 템 활용 방안을 제시함.

곽한강 외 3인(2005)은 범용토양유실방정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토양침식 위험성을 평가하였고, 경사도에 따 른 지역별 토양침식 분포도와 침식도를 지도로 나타냄으로써 침식 등급별 정책적 접근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음. 이는 토양침식 위험성지표 를 기초로 한 정책적 활용 방안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됨.

김창길(2005)은 OECD 농업환경지표의 활용방안으로 추진력-상태-반응 (DSR)의 정책분석 틀을 제시하였고, 환경지표의 정책분석 활용사례로 OECD 사무국과 회원국, 실제 양분수지지표를 이용하여 네덜란드와 우리나 라의 농업환경정책평가 사례를 제시함. OECD 농업환경지표 개발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 김창길, 김태영, 정은미(2006)는 농업환경지표를 이용한 환경 상태 비교, 농업환경지표의 정책적 활용 방안 및 지속적인 지표개발을 위한 과제 등을 제시함.

<국외연구>

Schroder(1995)는 환경적 투입-산출분석을 적용하여 덴마크의 질소성분 유 출의 경제적 파급영향을 계측하였고, 질소배출 감축을 위한 정책대안별 농 업자원 배분의 효율성과 환경적 효과성을 분석함.

Dijk, Leneman and van der Veen(1996)은 양분흐름모델을 적용하여 네덜란 드 지역단위 양분수지 분포도 제시와 양분관리를 위한 정책대안별 시적 시 뮬레이션 분석을 통한 정책평가를 시도함.

Wolf et al.(2003)은 STONE 모형을 적용하여 네덜란드의 농업활동에 따른 양분배출량 추정과 질소배출 및 인산 침출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수단 평가를 위해 시나리오별 향후 30년간의 양분배출량을 분석함.

MacGregor(2005)는 농업정책의 환경효과 분석을 위해 경제-환경통합모델을 설정하여 캐나다의 양분수지, 질산염 침출, 온실가스 변화 등 다양한 분석과 분석결과를 기초로 입지적 여건에 따른 최적관리기법(BMP)을 제시함.

Cattaneo(2005)는 농업정책의 환경효과 연계와 관련 계량분석 기법인 방향 성 그래프분석(directed graph analysis, DGA) 방법을 적용하여 OECD 주요 국의 농업정책변화의 질소수지 변화 분석을 시도함.

Legg(2005)는 최근 농업정책과 환경효과의 연계분석을 시도하는 OECD 농 업환경정책위원회의 연구방향과 농업환경지표를 정책평가에 활용하는 방안 에 관한 향후 작업방향을 제시함.

⇒ 이 연구는 국내외 관련분야 연구 성과를 기초로 농업환경정보에 대한 수요 자 설문조사와 활용 실태분석을 기초로 정책연계 방안 제시에 초점을 맞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