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슐린 저항성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인슐린 저항성과"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s)는 핵 호르몬 수용체 (nuclear hormone receptor)군의 하나로 retinoid X receptor (RXR)와 heterodimer를 이루어 작용하 며 세가지 유형, 즉 α, γ, δ로 나뉜다. 인간의 PPAR 아형에 대한 연구결과, PPAR은 nutrient sensing 및 당과 지질대사 의 조절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Table 1). 이들 중 PPARγ의 중요성은 에너지 대사에서 인슐린의 감수성을 증 가시키는 thiazolidinedione (TZD) 계열에 대한 수용체로서 1995년에 처음 제시되었다1). Hyperinsulinemic euglycemic clamp 검사를 시행한 결과 TZD는 간의 포도당 생성은 약 하게 억제하지만 체내 포도당 이용률 (glucose disposal rate)을 증가시켜 인슐린 감수성 (insulin sensitivity)을 향상 시켰다2-7). 이후 PPARγ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TZD는 인 슐린의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약으로 입증되었다.

PPARγ유전자는 염색체 3번에 위치하며 100 Kb에 해당

하는 영역에 산재해 있고 9개의 exo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PPARγ1, PPARγ2의 2가지 단백질을 생성한다. PPARγ1에 비해 주로 지방조직 특이적인 PPARγ2는 28개의 아미노산 이 N-terminal에 더 결합되어 있으며 이것은 리간드에 관계 없이 function-1 domain의 전사 (transcription) 자극의 활성 도를 5~6배 정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8-10). PPARγ는 지방조직에서 발현이 가장 높으며11-15) 지방분화에 관계된 transcriptional cascade를 조절한다16,17). 또한, 영양상태에 따른 지방조직의 지질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8). PPARγ 의 발현은 식후에 가장 높고 이것의 활성화는 지방산의 흡 수 (uptake)와 포착 (trapping)을 전달하는 유전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19-24).

지방조직의 분화와 기능에 대한 PPARγ의 역할은 비교적 잘 정립되어 있지만 근육, 간, 췌장 베타세포 등의 조직에서 낮게 발현되어 있기 때문에 생리적 약리적 중요성에 대해서 의문을 가질 수 있다9,25,26). 또한, 비만한 사람들의 지방세포 에 침윤한다고 알려진 대식세포에서 높게 발현되는 것은 병

인슐린 저항성과 PPARγ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차봉수․박세은 Insulin Resistance and PPAR γ

Bong Soo Cha, Se Eun Par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able 1. Simplified Overview of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Metabolic Roles of the 3 PPAR Isoforms66)

PPARα PPARγ PPARδ

Sites of highest

expression Liver, kidney, heart Adipose tissue, macrophages Adipose tissue, skin, brain, but widespread

Cellular processes activated

Fatty acid β oxidation, lipoprotein synthesis, amino acid catabolism

Adipocyte differentiation, triglyceride synthesis

Fatty acid β oxidation

Physiological function Coordination of metabolic Response to fasting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FA trapping

Muscle fiber type determination Examples of

target genes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I, HNG COA synthase 2, apoA-1

Fatty acid- binding protein 4, lipoprotein lipase, adiponectin

Acyl-CoA oxidase,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I

Metabolic phenotype of knockout mice

Fasting hypoglycemia, hypothermia, hypoketonemia, and hepatic steatosis

-/- Lethal, -/+ more insulin sensitve at baseline

Reduced base-line adiposity:

increased obesity on high fat feeding

(2)

리적으로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PARγ의 조직별 발현과 기능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인슐 린 저항성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론

1. 지방조직에서 PPARγ와 TZD의 작용

PPARγ활성화에 따른 인슐린 감수성의 증가는 PPARγ가 지방세포 형성 시 지방조직을 증가시켜 생긴 직접적 결과로 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TZD는 주로 과도한 지방조직의 축적이 있는 제2형 당뇨병환자들에게서 인슐린 감수성을 증 가시킨다. 이런 역설은 PPARγ 활성화에 대해 지방조직이 부위 특이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으로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TZD는 내장지방의 축적의 변화없이 피하지방조직의 선택적인 축적을 가져온다27). 또, ex vivo연구에서 같은 사 람의 내장지방조직에서 얻은 세포보다 피하지방조직에서 얻은 경우 더 분화가 잘 일어났다고 보고되었다28-30). TZD 가 모든 신체부분에서 똑같이 피하지방조직을 증가시키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지만 상체와 하체 (대퇴- 둔부) 피하지방조직사이에 중요한 기능적 대사의 차이가 있 다는 증거들이 늘고 있다31,32). 따라서 TZD가 인슐린 저항 성을 감소시키는 기전을 설명하는 한가지 가설은 이런 지방 리모델링이 간이나 문맥순환에 직접 접근하지 않으면서 호 르몬에는 덜 민감한 부위인 피하지방에 지방축적을 증가시 키는 것이다. 또, 지방조직에서 PPARγ를 활성화시키면 지 방세포의 기능도 변한다. 만약 TZD로 인한 지방산 유입에 관련된 유전자가 인간에서도 발견된다면 TZD가 지방세포 에 음식물로부터 섭취한 지방산을 저장하기 때문에 이 지방 산이 골격근 등과 같은 인슐린에 감수성이 예민한 조직들에 작용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 것은 "lipid steal" 가설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 설치류에서 직접 관찰된 바 있으며33) 임상연구들에서도 TZD가 대개 공 복 유리지방산을 낮춘다고 보고되어 지지받고 있다5,6,34).

제시되는 또 다른 기전은 지방세포로부터 분비되는 호르 몬 (adipocytokine)에 의해 인슐린에 감수성을 가진 다른 기 관들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최근에 지방세포가 여러 다양한 작은 분자들을 생성하여 자기자신이나 다른 세포의 기능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adipocytokine 중 leptin은 지방이영양증 (lipodystrophy) 환자에서 근육에서 포도당 이용과 지방산 산화를 증가시킴으로 인슐린 sensitivity를 증가시킨다35,36). 그러나 leptin은 TZD에 의해 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이것이 TZD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또 다른 adipocytokine인 resistin은 근육의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TZD에 의해 그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7). 따라서 지방세

포와 근육세포사이를 매개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 러나 TZD의 resistin에 대한 영향에 상반되는 결과가 보고 되어 아직 의문이 많다38). 이외에 지방조직은 인슐린 저항 성에 관련된 싸이토카인을 분비하는데 이 중 tumor necrosis factor (TNF)α는 인슐린 수용체의 신호전달을 손 상시키고 lipoprotein lipase를 억제하고 지방세포에서 지방 분해 (lipolysis)를 증가시켜 근육세포가 지방산 이용을 증가 시켜 결국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한다. TNFα mRNA는 비만 한 대부분의 동물 모델에서 과발현되어 있는데 TZD는 지방 세포에서 TNFα의 표현을 감소시키고 혈중농도를 낮추며 분화된 지방세포에서 TNF에 의한 인슐린 신호전달의 억제 를 길항한다39).

Adiponectin은 TZD의 지방세포와 근육조직 사이의 인슐 린 감수성을 매개할 것으로 생각되는 가장 유력한 물질이다.

Adiponectin은 혈중 농도가 매우 높고 이것은 인슐린 감수 성과 직접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으며40-42) 지방조직의 부피와 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인다43,44). 또한 비만과 지방이영양증 모델에서 인슐린 감수성과 포도당 이용율을 향상시킨다45). Adiponectin의 효과는 근육의 지방산 산화를 증가시켜 세포 내 지방산과 fatty acyl-CoA의 농도를 낮춰 이것들이 인슐 린에 의한 포도당 이용의 방해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되 고 있다. 간과 근육에서는 AMP activated protein kinase (AMPK)를 활성화시키는데 이것이 근육의 포도당 수송을 활성화시키고, acetyl CoA carboxylase (ACC)를 억제, 지 방산 산화를 촉진시킨다46,47). 아울러 TZD는 adiponectin 유 전자의 발현과 단백질 농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TZD에 의한 인슐린 감수성과 혈중 adiponectin 농도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사람에서 adiponectin에 의 해 인슐린 감수성이 증가된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아직 부족 한 실정이다. 이외에 TZD의 작용에 매개하는 또 다른 물질 로는 adipocytokine인 retinol binding protein 4 (RBP 4)이 있다. RBP 4는 설치류에서 TZD치료를 했을 경우 지방세포 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떨어뜨린다고 보고된 바 있다48).

2. 골격근에서 PPARγ와 TZD의 작용

PPARγ 단백질은 골격근에서 비교적 낮게 발현되지만25), 근육조직에서 인슐린에 의한 포도당 이용률이 70% 이상이 라는 점을 고려할 때 PPARγ가 생리적으로 매우 중요할 것 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TZD가 일관되게 인슐린에 의 한 포도당 이용률은 증가시키지만 인슐린 감수성을 가진 기 관들사이의 에너지 대사가 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근육 자 체에서 PPARγ의 역할은 in vivo에서 분석하기 어렵다. In vitro 연구에서 TZD는 인간의 골격근 세포배양에서 인슐린 에 의한 PI3K 의 활성도 증가와 GLUT 4의 전위에 의해 인 슐린에 의한 포도당 이용의 증가를 보였다49-53). 제2형 당뇨 병환자의 골격근세포에 in vitro로 TZD를 처리했을 때 근육

(3)

세포 내의 중성지방이 감소되고 근육세포 내의 지방산 산화 가 증가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54). 하지만 근육에서 PPAR γ의 생리적 중요성은 아직 확실하지 않다. 근육에서 특이적 으로 PPARγ를 결손시킨 경우 한 연구에서는 중등도의 전 신적 인슐린 저항성, 근육의 정상 포도당 이용률을 보고한 반면55), 다른 연구에서는 인슐린에 의한 근육의 포도당 이 용의 문제로 점진적이고 심각한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었 다고 보고하였다56). 이런 결과는 연구들 사이의 방법적인 차이점도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잘 설명되지 않고 있다.

3. 간에서 PPARγ와 TZD의 작용

TZD 투여는 간의 당생성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23). 임상 연구결과 인간의 간에서 PPARγ mRNA 발현이 매우 낮지만 (지방세포의 10~30%)9,26) 지방간이 있는 많은 당뇨병과 인슐린 저항성 쥐모델에서는 간의 PPARγ발현이 증가되어 있었다57-61). 아데노바이러스 를 이용하여 쥐의 간에 PPARγ를 과발현시켰을 때 adiponectin, adiposin, fatty acid-biding protein 4와 같은 지방세포 특이적으로 생각되는 PPARγ에 반응하는 유전자 들이 활성화되면서 지방간을 일으켰으나62) 아직 인간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여러 연구들에서 TZD치료는 인간에서 비알콜성 지방간을 줄인다고 보고되었다63-65).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대로 만약 TZD가 간에서 지질축적을 일으킨다 하 더라도 이것보다는 TZD에 의한 지방세포에서의 지방산의 포착 (trapping) 등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 시키는 이 로운 효과들이 더 중요성을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PPARγ의 리간드인 TZD는 인간과 동물의 제2형 당뇨병

에서 혈당과 고인슐린혈증, 중성지방을 낮추는 강력한 당뇨 병 치료제이다. PPARγ가 지방조직에 주로 존재하고 근육에 는 거의 없기 때문에 TZD가 인슐린 저항성을 호전시키는 기전에 대한 지방세포, 근육, PPARγ의 관계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PPARγ 활성화는 지방산을 지방세포 안으로 집어넣어 혈중 내의 농도를 낮추고 이 결과로 지방산 이 근육에서의 이용이 감소되어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킨다.

또, 지방세포와 근육사이의 아디포넥틴과 같은 adipocytokine 들이 작용하여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Fig. 1). 이런 기전들은 복합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 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런 지방세포외의 세 포에서 PPARγ의 병태생리적인 중요성은 아직 확실치 않다.

PPARγ 활성화에 대한 특이적 반응이 결정되는 것 또한 아 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고 PPAR의 조직 발현, 내인성 PPAR response element-containing promoter의 순차적 특 이성, 또는 내인 성 리간드의 발현 등은 아직 완전히 설명되 지 못하고 있다. 향후 TZD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결과 및 PPARγ의 내인성 리간드에 의한 생리적 병태생리적 역할에 대한 연구 등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Lehmann JM, Moore LB, Smith-Oliver TA, Wilkison WO, Willson TM, Kliewer SA: An antidiabetic thiazolidinedione is a high affinity ligand f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 gamma). J Biol Chem 270:12953-6, 1995 2. Inzucchi SE, Maggs DG, Spollett GR, Page SL, Rife

FS, Walton V, Shulman GI: Efficacy and metabolic effects of metformin and troglitazone in type II Fig. 1. Metabolic Steps that are stimulated by PPARγ (Indicated by bold arrows)67).

(4)

diabetes mellitus. N Engl J Med 338:867-72, 1998 3. Maggs DG, Buchanan TA, Burant CF, Cline G,

Gumbiner B, Hsueh WA, Inzucchi S, Kelley D, Nolan J, Olefsky JM, Polonsky KS, Silver D, Valiquett TR, Shulman GI: Metabolic effects of troglitazone monotherapy in type 2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Ann Intern Med 128:176-85, 1998

4. Frias JP, Yu JG, Kruszynska YT, Olefsky JM:

Metabolic effects of troglitazone therapy in type 2 diabetic, obese, and lean normal subjects. Diabetes Care 23:64-9, 2000

5. Miyazaki Y, Mahankali A, Matsuda M, Glass L, Mahankali S, Ferrannini E, Cusi K, Mandarino LJ, DeFronzo RA: Improved glycemic control and enhanced insulin sensitivity in type 2 diabetic subjects treated with pioglitazone. Diabetes Care 24:710-9, 2001

6. Miyazaki Y, Mahankali A, Matsuda M, Mahankali S, Hardies J, Cusi K, Mandarino LJ, DeFronzo RA:

Effect of pioglitazone on abdominal fat distribution and insulin sensitivit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 Clin Endocrinol Metab 87:2784-91, 2002

7. Nolan JJ, Ludvik B, Beerdsen P, Joyce M, Olefsky J:

Improvement in glucose tolerance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e subjects treated with troglitazone.

N Engl J Med 331:1188-93, 1994

8. Tontonoz P, Hu E, Graves RA, Budavari AI, Spiegelman BM: mPPAR gamma 2: tissue-specific regulator of an adipocyte enhancer. Genes Dev 8:1224-34, 1994

9. Vidal-Puig AJ, Considine RV, Jimenez-Linan M, Werman A, Pories WJ, Caro JF, Flier J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ene expression in human tissues. Effects of obesity, weight loss, and regulation by insulin and glucocorticoids. J Clin Invest 99:2416-22, 1997

10. Fajas L, Auboeuf D, Raspe E, Schoonjans K, Lefebvre AM, Saladin R, Najib J, Laville M, Fruchart JC, Deeb S, Vidal-Puig A, Flier J, Briggs MR, Staels B, Vidal H, Auwerx J: The organization, promoter analysis, and expression of the human PPARgamma gene. J Biol Chem 272:18779-89, 1997

11. Tontonoz P, Hu E, Spiegelman BM: Stimulation of adipogenesis in fibroblasts by PPAR gamma 2, a lipid-activated transcription factor. Cell 79:1147-56,

1994

12. Sandouk T, Reda D, Hofmann C: Antidiabetic agent pioglitazone enhances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F442A cells. Am J Physiol 264:C1600-8, 1993 13. Kletzien RF, Clarke SD, Ulrich RG: Enhancement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an insulin-sensitizing agent. Mol Pharmacol 41:393-8, 1992

14. Ren D, Collingwood TN, Rebar EJ, Wolffe AP, Camp HS: PPARgamma knockdown by engineered transcription factors: exogenous PPARgamma2 but not PPARgamma1 reactivates adipogenesis. Genes Dev 16:27-32, 2002

15. Mueller E, Drori S, Aiyer A, Yie J, Sarraf P, Chen H, Hauser S, Rosen ED, Ge K, Roeder RG, Spiegelman BM: Genetic analysis of adipogenesis through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isoforms. J Biol Chem 277:41925-30, 2002

16. Barak Y, Nelson MC, Ong ES, Jones YZ, Ruiz-Lozano P, Chien KR, Koder A, Evans RM:

PPAR gamma is required for placental, cardiac, and adipose tissue development. Mol Cell 4:585-95, 1999 17. Rosen ED, Sarraf P, Troy AE, Bradwin G, Moore K,

Milstone DS, Spiegelman BM, Mortensen RM: PPAR gamma is required for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 in vivo and in vitro. Mol Cel :611-7, 1999 18. Vidal-Puig A, Jimenez-Linan M, Lowell BB, Hamann

A, Hu E, Spiegelman B, Flier JS, Moller DE:

Regulation of PPAR γ gene expression by nutrition and obesity in rodents. J Clin Invest 97:2553-61, 1996

19. Schoonjans K, Peinado-Onsurbe J, Lefebvre AM, Heyman RA, Briggs M, Deeb S, Staels B, Auwerx J:

PPAR alpha and PPAR gamma activators direct a distinct tissue-specific transcriptional response via a PPRE in the lipoprotein lipase gene. EMBO J.

15:5336-48, 1996

20. Motojima K, Passilly P, Peters JM, Gonzalez FJ, Latruffe N: Expression of putative FA transporter genes are regulated by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alpha and gamma activators in a tissue- and inducer-specific manner. J Biol Chem.

273:16710-4, 1998

21. Tordjman J, Chauvet G, Quette J, Beale EG, Forest C, Antoine B: Thiazolidinediones block FA release by inducing glyceroneogenesis in fat cells. JBiol Chem 278:18785-90, 2003

(5)

22. Tontonoz P, Hu E, Devine J, Beale EG, Spiegelman BM: PPAR gamma 2 regulates adipose expression of the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gene. Mol Cell Biol 15:351-7, 1995

23. Olswang Y, Cohen H, Papo O, Cassuto H, Croniger CM, Hakimi P, Tilghman SM, Hanson RW, Reshef L: A mutation in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bindingsite in the gene for the cytosolic form of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reduces adipose tissue size and fat content in mice.

Proc Natl Acad Sci. U S A. 99:625-30, 2002 24. Glorian M, Duplus E, Beale EG, Scott DK, Granner

DK, Forest C: A single element in the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gene mediates thiazolidinedione action specifically in adipocytes.

Biochimie 83:933-43, 2001

25. Loviscach M, Rehman N, Carter L, Mudaliar S, Mohadeen P, Ciaraldi TP, Veerkamp JH, Henry RR:

Distribu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s) in human skeletal muscle and adipose tissue: relation to insulin action.

Diabetologia. 43:304-11, 2000

26. Auboeuf D, Rieusset J, Fajas L, Vallier P, Frering V, Riou JP, Staels B, Auwerx J, Laville M, Vidal H:

Tissue distribu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expression of mRNAs of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and liver X receptor-alpha in humans: no alteration in adipose tissue of obese and NIDDM patients. Diabetes 46:1319-27, 1997

27. Larsen TM, Toubro S, Astrup A: PPARgamma agonists in the treatment of type II diabetes: is increased fatness commensurate with long-term efficac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7:147-61, 2003

28. van Harmelen V, Dicker A, Ryden M, Hauner H, Lonnqvist F, Naslund E, Arner P: Increased lipolysis and decreased leptin production by human omental as compared with subcutaneous preadipocytes. Diabetes 51:2029-36, 2002

29. Sewter CP, Blows F, Vidal-Puig A, O'Rahilly S:

Regional differences in the response of human pre-adipocytes to PPARgamma and RXRalpha agonists. Diabetes 51:718-23, 2002

30. Adams M, Montague CT, Prins JB, Holder JC, Smith SA, Sanders L, Digby JE, Sewter CP, Lazar MA, Chatterjee VK, O'Rahilly S: Activator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have depot-specific effects on human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J Clin Invest 100:3149-53, 1997

31. Jensen MD: Lipolysis: contribution from regional fat.

Annu Rev Nutr 17:127-39,1997

32. Garg A: Regional adiposity and insulin resistance. J Clin Endocrinol Metab 89:4206-10, 2004

33. Ye JM, Dzamko N, Cleasby ME, Hegarty BD, Furler SM, Cooney GJ, Kraegen EW: Direct demonstration of lipid sequestration as a mechanism by which rosiglitazone prevents fatty-acid-induced insulin resistance in the rat: comparison with metformin.

Diabetologia 47:1306-13, 2004

34. Raskin P, Rappaport EB, Cole ST, Yan Y, Patwardhan R, Freed MI: Rosiglitazone short-term monotherapy lowers fasting and post-prandial glucose i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Diabetologia 43:278-84, 2000

35. Petersen KF, Oral EA, Dufour S, Befroy D, Ariyan C, Yu C, Cline GW, DePaoli AM, Taylor SI, Gorden P, Shulman GI: Leptin reverses insulin resistance and hepatic steatosis in patients with severe lipodystrophy.

J Clin Invest 109:1345-50, 2002

36. Minokoshi Y, Kim Y, Peroni O, Fryer L, Muller C, Carling D, Kahn B: Leptin stimulates fatty-acid oxidation by activatin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Nature 415:268-9,2002

37. Steppan C, Bailey S, Bhat S, Brown E, Banerjee R, Wright C, Patel H, Ahima R, Lazar M: The hormone resistin links obesity to diabetes. Nature 409:307 -12,2001

38. Way JM, Gorgun CZ, Tong Q, Uysal KT, Brown KK, Harrington WW, Oliver WR Jr, Willson TM, Kliewer SA, Hotamisligil GS: Adipose tissue resistin expression is severely suppressed in obesity and stimulated by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agonists. J Biol Chem 276:25651-3, 2001

39. Walczak R, Tontonoz P: PPARadigms and PPARadoxes: expanding roles for PPARgamma in the control of lipid metabolism. J Lipid Res 43:177-86, 2002

40. Weyer C, Funahashi T, Tanaka S, Hotta K, Matsuzawa Y, Pratley RE, Tataranni PA:

Hypoadiponectinemia in obesity and type 2 diabetes:

close association with insulin resistance and

(6)

hyperinsulinemia. J Clin Endocrinol Metab 86:1930-5, 2001

41. Yamamoto Y, Hirose H, Saito I, Tomita M, Taniyama M, Matsubara K, Okazaki Y, Ishii T, Nishikai K, Saruta T: Correlation of the adipocyte-derived protein adiponectin with insulin resistance index and serum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independent of body mass index, in the Japanese population. Clin Sci (Lond) 103:137-42, 2002

42. Yu JG, Javorschi S, Hevener AL, Kruszynska YT, Norman RA, Sinha M, Olefsky JM: The effect of thiazolidinediones on plasma adiponectin levels in normal, obese, and type 2 diabetic subjects. Diabetes 51:2968-74, 2002

43. Yang WS, Lee WJ, Funahashi T, Tanaka S, Matsuzawa Y, Chao CL, Chen CL, Tai TY, Chuang LM: Plasma adiponectin levels in overweight and obese Asians. Obes. Res. 10:1104-10, 2002

44. Kern PA, Di Gregorio GB, Lu T, Rassouli N, Ranganathan, G: Adiponectin expression from human adipose tissue: relation to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expression. Diabetes 52:1779-85, 2003

45. Yamauchi T, Kamon J, Waki H, Terauchi Y, Kubota N, Hara K, Mori Y, Ide T, Murakami K, Tsuboyama-Kasaoka N, Ezaki O, Akanuma Y, Gavrilova O, Vinson C, Reitman ML, Kagechika H, Shudo K, Yoda M, Nakano Y, Tobe K, Nagai R, Kimura S, Tomita M, Froguel P, Kadowaki T: The fat-derived hormone adiponectin reverses insulin resistance associated with both lipoatrophy and obesity. Nat Med 7:941-6, 2001

46. Yamauchi T, Kamon J, Minokoshi Y, Ito Y, Waki H, Uchida S, Yamashita S, Noda M, Kita S, Ueki K, Eto K, Akanuma Y, Froguel P, Foufelle F, FerrP, Carling D, Kimura S, Nagai R, Kahn BB, Kadowaki T:

Adiponectin stimulates glucose utilization and fatty-acid oxidation by activatin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Nat Med 8:1288-95, 2002

47. Tomas E, Tsao T-S, Saha AK, Murrey HE, Zhang Cc, Itani SI, Lodish HF, Ruderman NB: Enhanced muscle fat oxidation and glucose transport by ACRP30 globular domain: acetyl-CoA carboxylase inhibition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ion. Proc Natl Acad Sci U S A 99:16309-13, 2002

48. Yang Q, Graham TE, Mody N, Preitner F, Peroni

OD, Zabolotny JM, Kotani K, Quadro L, Kahn BB:

Serum retinol binding protein 4 contributes to insulin resistance in obesity and type 2 diabetes. Proc Natl Acad Sci U S A 36:356-62, 2005

49. Yonemitsu S, Nishimura H, Shintani M, Inoue R, Yamamoto Y, Masuzaki H, Ogawa Y, Hosoda K, Inoue G, Hayashi T, Nakao K: Troglitazone induces GLUT4 translocation in L6 myotubes. Diabetes 50:1093-101, 2001

50. Ciaraldi TP, Gilmore A, Olefsky JM, Goldberg M, Heidenreich KA: In vitro studies on the action of CS-045, a new antidiabetic agent. Metabolism 39:1056-62, 1990

51. Yang Z, Strickland DK, Bornstein P: Extracellular matrix metalloproteinase 2 levels are regulated by the low density lipoprotein-related scavenger receptor and thrombospondin 2. J Biol Chem 276:8403-8, 2001 52. Cha BS, Ciaraldi TP, Carter L, Nikoulina SE,

Mudaliar S, Mukherjee R, Paterniti JR Jr, Henry R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gamma and retinoid X receptor (RXR) agonists have complementary effects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human skeletal muscle. Diabetologia 44:444-52, 2001

53. Kausch C, Krutzfeldt J, Witke A, Rettig A, Bachmann O, Rett K, Matthaei S, Machicao F, Haring HU, Stumvoll M: Effects of troglitazone on cellular differentiation, insulin signaling, and glucose metabolism in cultured human skeletal muscle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80:664-74

54. Cha BS, Ciaraldi TP, Park KS, Carter L, Mudaliar SR, Henry RR: Impaired fatty acid metabolism in type 2 diabetic skeletal muscle cells is reversed by PPARgamma agonists.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89:E151-9, 2005

55. Norris AW, Chen L, Fisher SJ, Szanto I, Ristow M, Jozsi AC, Hirshman MF, Rosen ED, Goodyear LJ, Gonzalez FJ, Spiegelman BM, Kahn CR:

Muscle-specific PPARγ-deficient mice develop increased adiposity and insulin resistance but respond to thiazolidinediones. J Clin Invest 112:608-18, 2003 56. Hevener AL, He W, Barak Y, Le J, Bandyopadhyay

G, Olson P, Wilkes J, Evans RM, Olefsky J:

Muscle-specific Pparg deletion causes insulin resistance. Nat Med 9:1491-7, 2003

57. Burant CF, Sreenan S, Hirano K, Tai TA, Lohmiller

(7)

J, Lukens J, Davidson NO, Ross S, Graves RA:

Troglitazone action is independent of adipose tissue. J Clin Invest. 100:2900-8, 1997

58. Edvardsson U, Bergstrom M, Alexandersson M, Bamberg K, Ljung B, Dahllof B: Rosiglitazone (BRL49653), a PPARgamma-selective agonist, causes peroxisome proliferator-like liver effects in obese mice. J Lipid Res 40:1177-84, 1999

59. Memon RA, Tecott LH, Nonogaki K, Beigneux A, Moser AH, Grunfeld C, Feingold KR: Up-regul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alpha) and PPAR-gamma messenger ribonucleic acid expression in the liver in murine obesity: troglitazone induces expression of PPAR-gamma-responsive adipose tissue-specific genes in the liver of obese diabetic mice. Endocrinology.

141:4021-31, 2000

60. Bedoucha M, Atzpodien E, Boelsterli UA: Diabetic KKAy mice exhibit increased hepatic PPARgamma1 gene expression and develop hepatic steatosis upon chronic treatment with antidiabetic thiazolidinediones.

J Hepatol 35:17-23, 2001

61. Rahimian R, Masih-Khan E, Lo M, van Breemen C, McManus BM, Dube GP: Hepatic over-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2 in the ob/ob mouse model of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Mol Cell Biochem. 224:29-37, 2001 62. Yu S, Matsusue K, Kashireddy P, Cao WQ, Yeldandi

V, Yeldandi AV, Rao MS, Gonzalez FJ, Reddy JK:

Adipocyte-specific gene expression and adipogenic

steatosis in the mouse liver due to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1 (PPARgamma1) overexpression. J Biol Chem 278:498-505, 2003 63. Neuschwander-Tetri BA, Brunt EM, Wehmeier KR,

Sponseller CA, Hampton K, Bacon BR: Interim results of a pilot study demonstrating the early effects of the PPAR-gamma ligand rosiglitazone on insulin sensitivity, aminotransferases, hepatic steatosis and body weight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J Hepatol 38:434-40, 2003

64. Sanyal AJ, Mofrad PS, Contos MJ, Sargeant C, Luketic VA, Sterling RK, Stravitz RT, Shiffman ML, Clore J, Mills AS: A pilot study of vitamin E versus vitamin E and pioglitazone for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1107-15, 2004

65. Promrat K, Lutchman G, Uwaifo GI, Freedman RJ, Soza A, Heller T, Doo E, Ghany M, Premkumar A, Park Y, Liang TJ, Yanovski JA, Kleiner DE, Hoofnagle JH: A pilot study of pioglitazone treatment fo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Hepatology 39:188 -96, 2004

66. Semple RK, Chatterjee VK, O'Rahilly S: PPAR gamma and human metabolic disease.J Clin Invest 116:581-9, 2006

67. Ferre P: The biology of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relationship with lipid metabolism and insulin sensitivity. Diabetes 53:S43-50, 2004

수치

Table  1.  Simplified  Overview  of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Metabolic  Roles  of  the  3  PPAR  Isoforms 66)

참조

관련 문서

물론 최근의 다양한 연구 결과들은 다른 형태의 인슐린 치료방법들도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충분히 효과가 있음 을 보고하고 있다. 2009년 미국당뇨병학회의

중소기업 정책과 제도의 궁극적 목표는 중소기업의 성장이며 중소기업이 공감할 때 정책의 수용성이 높아지고 추진력이 생길 수 있다고

◦ 일본은 농식품 수출 1조엔 달성을 위해 수출촉진대책을 수립하여 시행 하고 있는데, 이 중 할랄과 관련된 사업으로는 “수출 추진 사업자대상

Changes in blood components decreased in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nd increased in high density

IL, interleukin; MCP, monocyte chemoatactant protein; MIG, monokine induced by gamma interferon; TIMP,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TNF, tumor

이 프로그램은 성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강한 청소년들이 직면하기 쉬운 성적 갈등상 황에 처해 있을 때 자신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가치명료화 과정을 통하여 알아내고

운동은 다양한 경로로 β세포를 자극하여 안정시의 혈장 인슐린 농도를 낮추며 당 부하검사에서도 인슐린 분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또한 규칙적 인

책의 내용 중 미세 먼지와 관련된 내용을 써보자... 모둠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