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내용 문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내용 문의"

Copied!
8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내용 문의

전형진︱선임연구위원︱연구 총괄, 제1~10장 번역 및 정리︱+86-10-6434-2922 王卿︱연구원︱제1~10장 번역 및 정리︱+86-10-6434-2922

해외농업시리즈 9: 중국농업자료 16 중국농업전망(2021~2030)

등 록︱제 6-0007호(1979. 5 . 25. ) 발 행︱2021. 10.

발 행 인︱김홍상

발 행 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321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 쇄 처︱더크리홍보

I S B N︱979-11-6149-501-9 93520

∙ 이 자료는 다음 자료의 내용을 발췌·요약한 것이며, 우리 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农业部市场预警专家委员会. 「中国农业展望报告(2021-2030)」(2021년 중국농업전망대회 자료집)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3)

1. 쌀

1.1. 향후 10년 시장 전망 ··· 1

1.2. 불확실성 요인 ··· 6

2. 밀 ··· 9

2.1. 향후 10년 시장 전망 ··· 9

2.2. 불확실성 요인 ··· 13

3. 옥수수 ··· 15

3.1. 향후 10년 시장 전망 ··· 15

3.2. 불확실성 요인 ··· 21

4. 채소 ··· 23

4.1. 향후 10년 시장 전망 ··· 23

4.2. 불확실성 요인 ··· 28

5. 과일 ··· 31

5.1. 향후 10년 시장 전망 ··· 31

5.2. 불확실성 요인 ··· 36

6. 돼지고기 ··· 39

6.1. 향후 10년 시장 전망 ··· 39

6.2. 불확실성 요인 ··· 44

차 례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4)

7. 가금육 ··· 47

7.1. 향후 10년 시장 전망 ··· 47

7.2. 불확실성 요인 ··· 51

8. 쇠고기·양고기 ··· 53

8.1. 향후 10년 시장 전망 ··· 53

8.2. 불확실성 요인 ··· 57

9. 조란 ··· 59

9.1. 향후 10년 시장 전망 ··· 59

9.2. 불확실성 요인 ··· 63

10. 유제품 ··· 65

10.1. 향후 10년 시장 전망 ··· 65

10.2. 불확실성 요인 ··· 69

(5)

제1장

<표 1-1> 중국의 쌀 수급 전망(2021~2030년) ··· 2

제2장

<표 2-1> 중국의 밀 수급 전망(2021~2030년) ··· 10

제3장

<표 3-1> 중국의 옥수수 수급 전망(2021~2030년) ··· 16

제4장

<표 4-1> 중국의 채소 수급 전망(2021~2030년) ··· 24

제5장

<표 5-1> 중국의 과일 수급 전망(2021~2030년) ··· 32

제6장

<표 6-1>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량 및 연평균 증가율 추이 ··· 40

<표 6-2> 중국의 돼지고기 수급 전망(2021~2030년) ··· 41

제7장

<표 7-1> 중국의 가금육 수급 전망(2021~2030년) ··· 48

표 차례

(6)

제8장

<표 8-1> 중국의 쇠고기 수급 전망(2021~2030년) ··· 54

<표 8-2> 중국의 양고기 수급 전망(2021~2030년) ··· 55

제9장

<표 9-1> 중국의 조란 수급 전망(2021~2030년) ··· 60

제10장

<표 10-1> 중국의 유제품 수급 전망(2021~2030년) ··· 66

(7)

제1장

<그림 1-1> 중국의 벼 재배면적과 생산량 전망(2021~2030년) ··· 2

<그림 1-2> 중국의 쌀 소비량 전망(2021~2030년) ··· 4

제3장

<그림 3-1> 중국의 옥수수 재배면적, 생산량 및 단수 전망(2021~2030년) ·· 16

<그림 3-2> 중국의 옥수수 소비량 전망(2021~2030년) ··· 18

제4장

<그림 4-1> 중국의 채소 생산량 전망(2021~2030년) ··· 24

<그림 4-2> 중국의 채소 소비량 전망(2021~2030년) ··· 25

<그림 4-3> 중국의 채소 무역량 전망(2021~2030년) ··· 27

제5장

<그림 5-1> 중국의 과일 생산량 전망(2021~2030년) ··· 32

<그림 5-2> 중국의 과일 소비량 전망(2021~2030년) ··· 34

제6장

<그림 6-1>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량 전망(2021~2030년) ··· 40

<그림 6-2> 중국의 돼지고기 소비량 전망(2021~2030년) ··· 42

<그림 6-3> 중국의 돼지고기 무역량 전망(2021~2030년) ··· 43

제7장

<그림 7-1> 중국의 가금육 생산량 전망(2021~2030년) ··· 48

<그림 7-2> 중국의 가금육 소비량 전망(2021~2030년) ··· 49

그림 차례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8)

<그림 7-3> 중국의 가금육 무역량 전망(2021~2030년) ··· 50

제8장

<그림 8-1> 중국의 쇠고기 생산량 전망(2021~2030년) ··· 54

<그림 8-2> 중국의 양고기 생산량 전망(2021~2030년) ··· 55

제9장

<그림 9-1> 중국의 조란 생산량 전망(2021~2030년) ··· 60

<그림 9-2> 중국의 조란 소비량 전망(2021~2030년) ··· 61

<그림 9-3> 중국의 조란 소비 용도별 소비량 전망(2021~2030년) ··· 62

제10장

<그림 10-1> 중국의 우유류(奶类) 생산량 전망(2021~2030년) ··· 66

<그림 10-2> 중국의 유제품 소비량 전망(2021~2030년) ··· 67

<그림 10-3> 중국의 유제품 수입량 전망(2021~2030년) ··· 68

(9)

■ 이 자료는 '2021년 중국농업전망대회' 자료집인 『中国农业展望报告(2021-2030)』(农业 部市场预警专家委员会)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 것임.

■ 중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农业信息研究所)는 2014년부터 중국농업농촌부의 지 원하에 매년 농업전망대회를 개최하고 있음.

◦ 농업전망대회에서는 주요 농업정책 이슈와 함께 중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가 개 발·운영하고 있는 중국농업거시모형 '중국 농산물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 시스템(China Agricultural Monitoring and Early Earning System: CAMES)을 사용한 품목별 10년 전 망치를 발표

◦ 전망 품목(류): 쌀, 밀, 옥수수, 대두, 채유종자, 면화, 식용당, 채소, 과일, 돼지고기, 가금육, 쇠고기, 양고기, 조란(禽蛋), 유제품, 수산물, 사료 등 17개

(본문에는 대두, 채유종자, 면화, 식용당, 수산물, 사료를 제외한 11개 품목 수록)

(10)
(11)

1

1.1. 향후 10년 시장 전망

1.1.1. 생산 전망

❍ 재배면적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중앙정부가 2021년도에 식량재배 농민에 대한 보조를 안정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벼 최저수매가격도 적절하게 인상해 벼 재배면적의 안정 확대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됨.

- 중·장기적으로 보면 식량 공급 능력 제고라는 정책 방향이 변할 수 없고, 농지를 비농 업용으로 전환하는 것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등의 조치도 약화될 가능성이 적어 벼 재 배면적은 정책적인 지원에 힘입어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2021년도 벼 재배면적은 2020년에 비해 0.7% 증가한 3,027.2만 ha가 될 것으로 예 상되며,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3,059.2만 ha와 3,073.3만 ha로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됨.

- 향후 벼 생산구조(품종구조)가 더욱 개선되면서 고품질 벼의 재배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12)

<그림 1-1> 중국의 벼 재배면적과 생산량 전망(2021~2030년)

주: 1묘(亩)는 약 0.067ha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28. <그림 2-4>(2020년 수치는 국가통계국 발표 수치, 2021-2030년 수치는 중 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의 CAMES 전망치)

<표 1-1> 중국의 쌀 수급 전망(2021~2030년)

단위: 만 톤, 정곡 기준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생산량 14,830 14,971 15,042 15,130 15,185 15,258 15,315 15,379 15,445 15,511 15,574

수입량 294 300 310 348 382 413 420 428 435 443 450

소비량 15,170 15,234 15,266 15,300 15,336 15,369 15,399 15,424 15,447 15,473 15,504 - 식용 11,157 11,177 11,166 11,158 11,157 11,156 11,156 11,155 11,154 11,154 11,153 - 사료용 1,801 1,809 1,820 1,831 1,839 1,842 1,841 1,836 1,830 1,826 1,826 - 가공용 1,162 1,189 1,215 1,241 1,268 1,294 1,320 1,346 1,372 1,399 1,425

- 종자용 160 161 161 162 162 162 163 163 164 165 165

- 손실 890 898 903 908 911 915 919 923 927 931 934

수출량 230 216 199 187 168 158 158 157 152 151 150

연말 재고 -276 -179 -113 -9 63 143 178 226 280 330 370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199. <표 1> 인용.

(13)

❍ 단수는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벼 육종 수준의 향상과 함께 수확량이 많고 병충해 저항성이 강한 고품질 벼 품종의 보급 확대 및 친환경·고효율 재배 기술의 혁신 등으로 인해 벼 단수가 지속적으로 증 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ha당 벼 단수는 2020년에 비해 0.3% 증가한 7,065kg이 될 것으로 예상 되며,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7,125kg과 7,239kg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생산량은 증가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향후 10년 동안 정책적 지원하에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농지 비옥도 향상 및 기술 진 보에 따른 단수 증가로 벼 생산량은 증가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벼 생산량은 2020년 대비 0.9% 증가한 2억 1,387만 톤이 될 것으로 예상되 며,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2억 1,797만 톤, 2억 2,248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1.1.2. 소비 전망

❍ 쌀 소비량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향후 10년 동안 인구 증가, 사료용 및 가공용 소비 증가에 따라 쌀 소비량은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쌀 소비량은 2020년 대비 0.4% 증가한 1억 5,234만 톤, 2025년과 2030 년에는 각각 1억 5,369만 톤과 1억 5,504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식용 소비는 기본적으로 안정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 1인당 쌀 식용 소비량 감소 요인이 있는 반면 인구 증가 요인도 있어 식용 수요량은 기본적으로 안정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쌀의 식용 소비량은 2020년 대비 0.2% 증가한 1억 1,177만 톤,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1억 1,156만 톤과 1억 1,153만 톤이 될 것으로 예상됨.

(14)

<그림 1-2> 중국의 쌀 소비량 전망(2021~2030년)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29. <그림 2-5>(2020년 수치는 국가통계국 발표 수치, 2021~2030년 수치는 중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의 CAMES 전망치)

❍ 가공용 소비는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쌀 가공 기술의 발전과 가공용 쌀의 활용 다원화 등으로 인해 비축 재고미의 가공용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쌀의 가공용 소비량은 2020년 대비 2.3% 증가한 1,189만 톤,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1,294만 톤, 1,425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사료용 소비는 ‘선 증가, 후 감소’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 쌀의 사료용 소비는 중·단기적으로 옥수수 등 국내 사료용 식량의 공급 부족으로 인 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사료용 식량의 수급구조가 조정되면 서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쌀의 사료용 소비량은 2020년 대비 0.5% 증가한 1,809만 톤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1,842만 톤과 1,826만 톤이 될 것으로 예상됨.

(15)

❍ 종자용 소비는 기본적으로 안정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잡종 교배 기술의 발전과 관련 품종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단위면적당 종자 소요량 은 감소할 것으로 보이지만, 남부지역 쌀 주산지를 중심으로 이기작 재배면적이 증가 함에 따라 종자 수요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전체적으로 보면 종자용 소비량 은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쌀의 종자용 소비량은 161만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162만 톤과 165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1.1.3. 무역 전망

❍ 수입량은 증가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향후 10년 동안 확고한 식량안보 전략과 정책으로 인해 국내 생산량에 비해 수입 쌀 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다만, 선호 품종과 브랜드 쌀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수입량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쌀 수입량은 2020년 대비 2.0% 증가한 300만 톤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413만 톤, 450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주요 수입대상국은 베트남, 태국, 파키스탄, 미얀마, 라오스 등이 될 것으로 전망됨.

❍ 수출량은 감소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 쌀 생산비 증가로 중국산 쌀의 가격경쟁력이 더욱 약화되면서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쌀 수출량은 216만 톤이 될 것으로 보이며,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158만 톤과 150만 톤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 주요 수출대상국은 한국, 북한, 일본, 시에라리온 등이 될 것으로 전망됨.

(16)

1.1.4. 가격 전망

❍ 가격은 안정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다소 상승할 것으로 전망

- 2021년도에도 벼 주산지에서 계속해서 최저수매가격 제도를 실시할 뿐만 아니라 장 립종 벼의 최저수매가가 인상되었고 옥수수 가격이 높게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벼 가격은 안정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다소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kg당 조생 장립종 벼 2.42~2.54위안, 만생 장립종 벼 2.56~3.00위안, 중단립종 벼 2.70~2.90위안).

- 중·장기적으로 보면 식량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을 위한 조치들로 인해 쌀 수급은 기본적으로 균형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지만, 생산비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가격이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다소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1.2. 불확실성 요인

1.2.1. 자연재해 및 병충해

❍ 자연재해

- 2021년도는 평년에 비해 국지적이고 단계적인 가뭄 및 홍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 되는 가운데 북부지역은 홍수, 남부지역은 가뭄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음.

6~8월에 대부분의 강남지역과 화남(华南) 북부지역의 강우량이 비교적 적어 고온·가 뭄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일부 지역에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지속적으로 가뭄 재해가 발생해 벼 생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병충해

- 2021년도에 벼잎말이명나방, 멸구류(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 열대거세미나방 등 으로 인한 병충해가 우려됨. 중·장기적으로 보면 지구온난화로 농작물의 병충해가 늘 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벼 생산을 위협하는 벼잎말이명나방, 멸구류(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 등에 의한 충해와 벼 도열병, 벼검은줄오갈병 등 병해가 벼 생산량 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칠지는 불확실함.

(17)

1.2.2.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제 쌀시장

❍ 코로나19가 국내외 벼 산업 가치사슬에 미치는 영향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세계 쌀 생산과 무역에서 불확실성이 매우 높음.

❍ 2020년에 세계 쌀 수출국들이 단계적으로 수출 제한 조치를 취해 국제 쌀 가격이 대폭 상승했음. 비록 중국은 쌀의 대외의존도가 비교적 낮지만 국내 쌀 가격 상승 요인에서 국제시장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음.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세계 쌀 수입국들의 식량안보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 어 국제 쌀 가격 변동은 불확실성이 크고 중국 쌀 가격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음. 또한 동남아지역 주요 쌀 수출국들의 수출 제한 조치 실시 여부도 중국의 쌀 수입 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1.2.3. 기타 요인

❍ 국내 경제 환경

- 국내 거시경제 환경이 복잡하고 변화가 심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경제 성장은 여전 히 리스크와 도전에 직면할 수밖에 없고, 재정 수입의 안정적인 증가도 불확실성이 높음. 이는 벼 재배면적 확대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음.

❍ 국제 경제 환경

- 세계 경제 및 무역 상황이 엄중하고 복잡해 불안정 요인이 증가함에 따라 중국산 쌀의 무역과 가격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음.

(18)
(19)

2

2.1. 향후 10년 시장 전망

2.1.1. 생산 전망

❍ 재배면적은 기본적으로 안정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 - 코로나19와 국내외 정치·경제 환경의 영향으로 2020년부터 식량안보가 더욱 강화되

고 있어 2021년도에는 식량 재배면적과 생산량의 증가를 반드시 보장해야 하는 상황 이며 대규모 식량 생산 현(县)에 대한 인센티브도 증가할 것임.

- 2020년 가을 파종 상황을 보면 2021년도 밀 재배면적이 다소 증가해 2,357.3만 ha 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이 중 고품질 가공용 밀의 재배면적이 증가해 허난성(河南省), 허베이성(河北省) 및 안후이성(安徽省) 지역의 경우 전년 대비 각각 11.1%, 1.9%, 8.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2021년도 밀 재배면적은 2,357.3만 ha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2,337.7만 ha와 2,334.4만 ha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20)

❍ 단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중국 밀의 단수가 세계 평균 수준에 도달했지만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도 일정한 격 차가 존재함(영국의 76%, 프랑스의 65% 수준). 또한 비우량 농지의 비중이 높아 지 역 간 밀 단수 차이가 큰 상황임. 향후 우량 밀 품종과 재배기술의 연구개발 및 보급 확대, 우량 농지 조성 강화를 통해 단수 증가 여력이 있다고 판단됨.

- ha당 밀 단수는 2021년도 5,730kg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5,772kg 과 5,817kg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총생산량은 안정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향후 밀 재배면적의 지속적인 증가에는 한계가 있으나 단수 증가 여력이 있어 생산량 은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또한 밀 주산지에서 고품질 밀의 재배면적이 점차 증가해 밀 산업의 품종구조가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밀 생산량은 1억 3,508만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1억 3,493만 톤과 2030년 1억 3,579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표 2-1> 중국의 밀 수급 전망(2021~2030년)

단위: 만 톤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생산량 13,425 13,508 13,423 13,460 13,480 13,493 13,507 13,525 13,554 13,568 13,579

수입량 815 740 690 640 620 580 566 552 540 535 528

소비량 13,838 14,017 13,880 13,897 13,904 13,933 13,977 14,017 14,055 14,088 14,120 - 식용 9,110 9,155 9,191 9,231 9,268 9,302 9,332 9,358 9,380 9,402 9,422 - 사료용 2,145 2,200 1,958 1,860 1,786 1,750 1,732 1,715 1,698 1,673 1,656

- 종자용 590 599 597 596 594 593 592 591 590 590 590

- 가공용 1,404 1,474 1,548 1,625 1,674 1,708 1,742 1,777 1,812 1,848 1,876

- 손실 589 588 586 585 583 580 579 576 574 574 576

수출량 0 20 20 20 20 20 22 22 22 22 22

연말 재고 402 211 212 183 175 120 74 38 18 -7 -35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199. <표 1> 인용.

(21)

2.1.2. 소비 전망

❍ 식용 소비는 증가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식품 소비구조의 업그레이드에 따라 1인당 식용 식량 소비가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 하는 가운데 감소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지만, 인구 증가(매년 500만 명 이상 증가해 2030년 14.5억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에 따라 식용 식량 총소비량은 증가 추 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중국에서 코로나19에 대한 일상적 통제가 이루어지기 시작해 생산·생활 질서가 점차 정상을 회복하고 중국 경제가 회복성 성장을 가속화함에 따라 밀의 식용 소비가 촉진 될 것으로 전망됨.

- 또한 식품 소비구조가 업그레이드되면서 식량 제품의 품질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아 짐에 따라 향후 밀 제품에 대해서도 친환경·영양·건강 등 기능성 제품 관련 수요가 증 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밀의 식용 소비량은 9,155만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9,302만 톤과 9,422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사료용 소비는 대폭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 2020년에 생돈의 생산이 회복되고 대규모 사육기업의 사육 규모가 확대되면서 사료 용 옥수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대체재인 밀의 사 료용 소비가 크게 증가했음. 2021년도 밀의 사료용 소비량은 2,200만 톤에 달할 것 으로 전망됨.

- 향후 10년 동안 옥수수 생산 능력이 회복되면서 밀과 옥수수의 상대 가격이 점차 정 상으로 회복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밀의 사료용 소비는 대폭 감소할 전망임.

2025년과 2030년 밀의 사료용 소비량은 각각 1,750만 톤과 1,656만 톤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밀의 총소비량 중 사료용 소비의 비중이 2020년 16%에서 2030년 11.5%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

(22)

❍ 가공용 소비는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중국 경제가 회복되면서 주류 소비가 증가하고 가격도 상승하고 있어 양조 전용 밀의 수요 증가가 밀의 가공용 소비 증가에 일정 정도 기여하고 있음. 향후 중국의 식품가 공업이 발전하면서 가공용 밀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밀의 가공용 소비량은 1,474만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1,708만 톤과 1,876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종자용 소비와 손실은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감소할 것으로 전망

- 우량 품종 보급, 과학 시비, 적시 파종, 과학적 농지 관리 등으로 인해 향후 밀의 종자 용 소비량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또한 기계화 작업 수준 제고, 수확 후 건조 및 저장 시설 개선으로 손실량도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밀의 종자용 소비량 및 손실량은 1,187만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 에 각각 1,174만 톤과 1,166만 톤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2.1.3. 무역 전망

❍ 수입량은 대폭 하락할 것으로 보이지만 기준 연도(2018~2020년 3년 평균) 수준에 비해 여전히 많을 것으로 전망

- 코로나19 등 특수 상황으로 인해 밀 수입량이 2020년도에 신기록을 경신했지만, 국 내 밀 수급 상황을 보면 향후 수입량이 2020년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은 비교적 작음.

- 2021년 밀 수입량은 2020년 대비 9.2% 감소한 740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580만 톤, 528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2025년과 2030년 수입량 전망치는 각각 기준 연도 대비 18.1%, 7.5% 높은 수준).

- 지난 2년 동안 미국, 유럽연합, 아르헨티나, 카자흐스탄의 밀 수출 여력이 감소함. 중·

장기적으로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의 밀 생산 및 수출 증가 여력이 커 중 국의 밀 수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23)

❍ 수출량은 지속해서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 밀 수출량은 2021년 20만 톤, 2030년 22만 톤 수준일 것으로 예상됨.

2.1.4. 가격 전망

❍ 향후 10년 동안 밀 가격은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상승할 것으로 전망 - 향후 밀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단기적으로 국내 옥수수 수급 상황, 중·장기

적으로는 국내 공급 상황과 가격 정책임.

- 현재 밀 비축 물량이 비교적 풍부해 시장 조절 여력은 충분하지만, 국내 밀 수급 상황 이 가까스로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여서 국내 가격 인상 압력이 크다고 할 수 있 음. 또한 2021년도에 밀 주산지에서 kg당 최저수매가격을 2020년보다 0.02위안 높 은 2.26위안으로 인상해 가격 상승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 밀 품종이나 재배지역 간 수급 상황에 차이가 있어 밀 가격의 분화 현상이 나타날 가 능성이 있음.

2.2. 불확실성 요인

2.2.1. 코로나19 전염병

❍ 2021년에도 코로나19는 여전히 글로벌 농식품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최대 변수임.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일부 국가가 식품 가격 인상으로 인해 식량 수출 제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존재함. 보도에 따르면 주요 밀 수출국인 러시아가 톤당 밀 수출관세를 2021년 3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이전에 비해 2배 오른 50유로로 인상함.

❍ 코로나19의 효과적인 통제 여부는 백신의 보급에 달려있는데 백신 접종이 여러 가지 도 전에 직면해 있고, 돌연변이도 백신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이러한 요인들은 모두 세계 무역의 안전성과 공급 체인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국제 밀 시장의 리스크가 큰 상황임.

(24)

2.2.2. 국제 정치·경제 상황

❍ 코로나19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 많은 국가와 지역의 중앙 은행이 금리 인하 등 다양한 화폐정책 수단을 활용해 시장 유동성을 확대하였음. 완화적 화폐정책으로 밀을 포함해 국제 농산물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커졌음.

❍ 중미 관계도 중국의 식량 무역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요인임. 중미 1단계 무역합의 이행 등의 요인으로 인해 2020년 중국의 대두, 옥수수 및 밀의 수입량이 최근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음. 향후 중미 간 이익을 얻기 위한 게임이 중국의 밀 수입에 영향을 미칠 것임.

2.2.3. 라니냐 현상

❍ 라니냐 현상이 세계 밀 재배면적과 생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국제 밀 가격 상승 에 따른 생산의 적극성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음.

- 비교적 강력한 라니냐 현상이 나타났던 2010/2011년 양곡 연도에 세계 밀 생산량이 3,752만 톤이 감소했으며 FAO식품지수가 2011년 2월에 역사상 최고치인 137.6을 기록했음. 이는 전 세계적으로 식량위기 현상이 나타났던 2007/2008년 양곡 연도 때보다도 5.1%p 증가한 것임.

❍ 2020/2021년 양곡 연도의 라니냐 강도가 강해지고 있는데 라니냐 현상으로 인한 가뭄 으로 미국, 우크라이나 등 주요 밀 생산국의 겨울밀 생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중국기 상국의 예측에 따르면 라니냐 현상의 영향으로 2021년 1분기 겨울밀 주산지의 기온이 높았고 강수량도 평년에 비해 많아져서 밀 생육이 빨라짐에 따라 꽃샘추위와 늦서리 피 해를 입을 위험성이 증가함.

(25)

3 옥수수

3.1. 향후 10년 시장 전망

3.1.1. 생산 전망

❍ 재배면적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옥수수 수급 상황은 과잉 재고가 해소되고 공급 부족 국면으로 전환됨에 따라 옥수수 생산 증대를 위한 정책 조치를 추진하고 있음. 농업농촌부는 2021년도에 각 성(省)의 식량 재배면적을 확대하고 특히 동북지역과 황회해(黄淮海)지역을 중심으로 옥수수 재배면적을 확대하는 정책 조치를 발표하였음.

- 옥수수의 시장가격 상승과 재배수익 증가로 농민들의 생산 적극성이 제고된 데다 중·

장기적으로 옥수수 수급 불균형 국면이 조성될 것이라는 전망에 의거해 농민들의 옥 수수 재배의향과 생산 적극성이 강해 옥수수 재배면적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임.

또한 대두, 서류, 잡곡 등 작물에 비해 옥수수가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어 재배면적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옥수수 재배면적은 4,267만 ha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4,336만 ha와 4,383만 ha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6)

<그림 3-1> 중국의 옥수수 재배면적, 생산량 및 단수 전망(2021~2030년)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43. <그림 2-11>(2020년 수치는 국가통계국 발표 수치, 2021~2030년 수치는 중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의 CAMES 전망치)

<표 3-1> 중국의 옥수수 수급 전망(2021~2030년)

단위: 만 톤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생산량 26,067 27,200 28,197 29,069 29,851 30,506 31,199 31,775 32,288 32,740 33,171

수입량 1,129 2,000 840 730 665 620 630 635 642 647 650

소비량 28,799 29,487 29,909 30,342 30,850 31,350 31,692 32,123 32,517 32,834 33,192 - 식용 955 965 976 989 1,002 1,013 1,029 1,042 1,054 1,065 1,063 - 사료용 18,550 19,107 19,297 19,478 19,719 19,950 20,036 20,244 20,472 20,700 21,050 - 가공용 8,050 8,200 8,443 8,705 8,976 9,250 9,499 9,717 9,877 9,961 9,980

- 종자용 189 195 196 197 197 198 198 198 198 198 199

- 손실 1,055 1,020 997 974 956 940 931 923 916 909 900

수출량 0 2 2 2 2 2 3 3 4 4 5

연말 재고 -1,603 -289 -874 -546 -336 -226 134 283 409 549 624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200. <표 3> 인용.

(27)

❍ 단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농지 개량, 우량 품종 개발·보급, 농지 기초시설 개선 및 농업과학기술 진보 등으로 인 해 옥수수 단수가 빠르게 증가할 가능성이 존재함. 다만,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증가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임.

- 2021년도 ha당 옥수수 단수는 6,375kg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7,035kg, 7,568kg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10년 동안 연평균 1.8% 증가).

❍ 생산량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 옥수수 재배면적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데다 단수도 증가하는 추세여서 생산량 도 증가 추세를 나타내 결과적으로 옥수수 수급은 기본적으로 균형 수준을 달성할 것 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옥수수 생산량은 2.72억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3.05억 톤과 3.32억 톤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10년 동안 연평균 2.4% 증가).

3.1.2. 소비 전망

❍ 총소비량은 증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축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사료용 옥수수 소비가 증가 추세를 나타낼 것이고, 가공기업의 옥수수 심층가공 여력이 많아 가공용 소비 또한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단, 옥수수 가격 상승으로 후방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의 생산비가 증가함에 따라 특히 사료용의 경우 옥수수 대체품의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가공용 소비 의 증가 속도도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국내 옥수수 총소비량은 2020년 대비 2.4% 증가한 2.95억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3.14억 톤과 3.32억 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10년 동안 연평균 1.4% 증가).

(28)

<그림 3-2> 중국의 옥수수 소비량 전망(2021~2030년)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45. <그림 2-12>(2020년 수치는 국가통계국 발표 수치, 2021~2030년 수치는 중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의 CAMES 전망치)

❍ 식용 소비량은 안정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인구 증가, 경제 발전, 생활 수준 향상 등으로 소비자들의 식품 소비 패턴과 니즈가 다 양화되면서 신선 농산물의 식용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옥수수도 식용 소비가 증 가하는 추세이지만 소비량 규모는 크지 않음.

- 2021년도 옥수수의 식용 소비량은 965만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1,013만 톤과 1,063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10년 동안 연평균 1.1% 증가).

❍ 사료용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단기적으로 보면 생돈 생산 능력의 빠른 회복으로 사료용 옥수수 소비량이 2022년에 2017년 수준을 회복하는 데다 가금류, 소·양 및 기타 축산업의 발전으로 사료용 소비 량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그러나 옥수수 가격 상승으로 옥수수 관련 제품 의 생산비가 증가하면 옥수수를 대체해 국산 밀과 쌀, 수입 수수와 보리 등의 소비가 증가해 일정 정도 옥수수의 사료용 소비 증가를 제약할 것으로 전망됨.

(29)

- 중·장기적으로 보면 인구 증가와 식품 소비구조의 개선은 축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이에 따라 옥수수의 사료용 소비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다만, 생돈 생 산 능력이 회복된 후 축산업이 안정적인 발전단계에 진입하게 되면 옥수수의 사료용 소비 증가 속도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옥수수의 사료용 소비량은 2020년에 비해 3.0% 증가한 1.91억 톤에 달하 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2.0억 톤과 2.11억 톤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10년 동안 연평균 1.3% 증가).

❍ 가공용 소비량은 증가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국내 옥수수 심층가공 제품의 생산 능력이 확대되는 추세로 전분당, 아미노산, 유기 산 등 심층 가공제품의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다만, 원료인 옥수수 가격의 상 승으로 제품 생산비가 상승해 수익 증가 여력이 제한적인 데다 벼 과잉 재고를 해소하 는 과정에서 옥수수를 대체해 벼로 에탄올 연료 등을 생산할 수 있어 옥수수의 가공용 소비 증가 속도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옥수수의 가공용 소비량은 2020년에 대비 1.9% 증가한 8,200만 톤에 달 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9,250만 톤과 9,980만 톤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10년 동안 연평균 2.2% 증가).

❍ 종자용 소비량은 안정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옥수수 재배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종자용 옥수수 소비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 만 선진 파종기술의 보급으로 단위면적당 종자 소요량이 다소 감소할 것으로 보여 전 반적으로 옥수수의 종자용 소비량은 안정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옥수수의 종자용 소비량은 195만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198만 톤과 199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30)

3.1.3. 무역 전망

❍ 수입량은 단기적 상승 이후 안정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국내 옥수수 공급 부족과 국내외 가격차로 인해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옥수수 생산량과 무역량이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고 국제시장의 수급 상황이 비교 적 여유가 있고 비축 물량도 충분해 단기적으로 보면 중국이 필요한 물량을 수입하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전망됨.

- 중·장기적으로 보면 국내 수급 상황이 개선되면서 수입량이 감소해 TRQ 물량(720만 톤)을 초과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며 결과적으로 옥수수의 자급률이 높은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됨(2030년 자급률 98% 내외 수준 전망).

- 2021년도 옥수수 수입량은 TRQ 물량을 초과해 약 2,000만 톤에 달할 것으로 보이 며,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620만 톤과 650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 수출량은 매우 낮은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전망

- 2010년 이래 중국은 옥수수 순수입국이 되었는데 국내 공급 부족과 비교적 높은 생 산비로 인해 중국산 옥수수는 국제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을 상실한 상태임.

- 전망 기간 동안 수출량은 매년 약 2만~5만 톤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주로 중 국과 근접한 국가로 수출될 것으로 예상됨.

3.1.4. 가격 전망

❍ 옥수수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변동성이 클 것으로 전망

- 국내 옥수수 공급 부족, 생산비 상승, 생돈 생산 능력 회복 등으로 인해 옥수수 가격이 상승해 높은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됨. 다만, 가공업체와 무역업체들이 비축했 던 물량이 시장에 공급되고 옥수수와 옥수수 대체품의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추가적 인 가격 상승은 억제될 것으로 전망됨.

(31)

- 2021년도 옥수수 가격은 2020년 비해 2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중·장기적으로 보면 옥수수 수급 상황은 공급 부족 국면에서 기본적으로 균형을 달성하는 국면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이며, 옥수수 가격은 상승한 생산비로 인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국내외 시장의 연동성이 심화됨에 따라 가격 변동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변동 폭도 커질 것으로 전망됨.

3.2. 불확실성 요인

3.2.1. 기술 요인

❍ 중국 정부가 식량안보를 그 어느 때보다 중시하고 있기 때문에 정책적 측면에서는 옥 수수 산업의 발전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지만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불확실성이 존재함. 향후 농업과학기술 진보를 촉진하고 육종기술의 개발·보급·응용을 추진하겠지 만 농업과학기술 진보는 장기에 걸쳐 실현되는 것이고 실제적으로는 옥수수 육종기술 의 개발·보급·응용이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옥수수 단수에 어떠한 촉진 작용을 하게 될지는 불확실성이 존재함.

3.2.2. 기후 요인

❍ 가뭄, 홍수, 태풍, 저온 현상, 서리 등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옥수수 생산 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주산지인 동북지역에서 2020년도에 태풍으로 인해 심각한 도복 현상이 발생해 옥수 수 생산이 타격을 입음. 또한 라니냐로 인한 저온 현상이 2020년 겨울부터 2021년 봄까지 지속된 데다 봄철 강우량이 많아 저온과 홍수 피해 가능성이 있음.

❍ 기후 조건으로 인한 병충해도 옥수수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시장으로 전달 되어 가격 파동을 초래할 수 있음. 기후 변화와 극단적인 기후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함

(32)

에 따라 향후 10년 동안 옥수수 생산과 시장 모두 비교적 커다란 불확실성에 직면할 것 으로 예상됨.

3.2.3. 기타 불확실성 요인

❍ 거시경제 환경 변화

-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중국이 직면하고 있는 외부환경의 불확실성 이 존재하며, 국내 경제 회복의 토대도 견고하지 못해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데 기회 와 도전이 동시에 존재함.

- 옥수수 산업은 거시경제 환경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기 때문에 외부 환경의 불확실 성은 옥수수 산업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

❍ 국제 옥수수 시장의 변화

- 세계 옥수수 수급 상황을 보면 현재까지는 여전히 초과 공급 상황이지만 점차 공급 부 족 국면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고 비축량도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 국제 옥수수 가격이 빈번하게 변동하는 가운데 최근에 뚜렷한 증가 추세를 나타냄.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국제 식량가격이 보편적으로 상승하는 가운데 우크라 이나, 아르헨티나 등 주요 옥수수 수출국들이 수출 제한 조치를 취함에 따라 국제시 장 가격 변동이 격화되었음.

- 향후 코로나19 팬데믹의 상황 변화와 원유 등 주요 상품 가격의 변화가 국제 옥수수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

❍ 환율 변화

- 최근 들어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 상승으로 인해 옥수수 및 옥수수 대체재의 수입 비 용이 감소하는 추세임. 향후 달러 환율의 변화는 국제 옥수수 가격과 중국의 옥수수 수출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

(33)

4 채소

4.1. 향후 10년 시장 전망

4.1.1. 생산 전망

❍ 채소 생산량은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 향후 10년 동안 채소 재배면적은 동태적 안정 추세를 유지하고, 생산량은 소폭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됨. 2021년도 채소 생산량은 2020년 대비 2.2% 증가한 7.38억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7.67억 톤과 7.98억 톤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10년 동안 연평균 1.1% 증가). 전체 생산량 중 시장에서 상품으로 유 통되는 물량의 비중은 2021년 76.9%에서 2030년 78.1%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친환경·고효율 생산 기술의 보급과 농업부문 서비스업의 발전으로 채소 산업의 업그 레이드가 촉진되고, 비교우위 생산지역으로 생산이 집중되는 한편 품종구조도 더욱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전망됨.

- 채소 산업 가치사슬 표준 제정, 품질 표준 및 평가체계 구축 등의 조치를 통해 채소의 품질 표준 수준을 제고하고, 채소 생산량·단수 동반 증가 및 품질 향상을 추진할 것으 로 전망됨.

(34)

<그림 4-1> 중국의 채소 생산량 전망(2021~2030년)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96. <그림 6-4>(2020년 수치는 국가통계국 발표 수치, 2021~2030년 수치는 중 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의 CAMES 전망치)

<표 4-1> 중국의 채소 수급 전망(2021~2030년)

단위: 만 톤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생산량 72,247 73,805 74,611 75,481 76,171 76,740 77,245 77,745 78,298 78,962 79,795 자체손실량 17,243 17,366 17,446 17,602 17,699 17,751 17,811 17,872 17,665 17,564 17,477 상품량 55,004 56,439 57,165 57,879 58,472 58,989 59,434 59,873 60,633 61,398 62,318

수입량 47 50 52 53 55 57 58 60 60 62 62

소비량 53,789 54,279 55,025 55,907 56,551 57,263 57,968 58,491 59,060 59,658 60,244 - 식용 22,746 22,957 23,550 24,156 24,634 25,200 25,774 26,158 26,601 27,062 27,585 - 가공용 12,375 12,554 12,599 12,630 12,675 12,695 12,719 12,759 12,803 12,852 12,906 - 기타 6,003 6,065 6,124 6,335 6,442 6,531 6,615 6,684 6,733 6,801 6,805 - 손실 12,665 12,703 12,752 12,786 12,800 12,837 12,860 12,890 12,923 12,943 12,948 수출량 1,199 1,281 1,275 1,286 1,295 1,301 1,308 1,315 1,342 1,351 1,392

연말 재고 63 929 917 739 681 482 216 127 291 451 744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202. <표 8> 인용.

(35)

4.1.2. 소비 전망

❍ 채소 소비량은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2021년도 채소 소비량은 2020년 대비 0.91% 증가한 5.43억 톤에 달하고, 2025년 과 2030년에 각각 5.73억 톤과 6.02억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10년 동안 연 평균 1.2% 증가).

❍ 식용 소비량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홈쇼핑, 공동구매 등 신업태(新業態)의 발전으로 온라인 소비 채널이 확대되고, 직거 래 유통 모델이 형성되면서 소비 증대를 촉진하고 있음.

- 2021년도 채소의 식용 소비량은 2.30억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2.52억 톤과 2.76억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채소 소비량 중 식용 소비량이 차 지하는 비중은 2021년 44.0%에서 2030년 45.8%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1인당 식용 소비량은 2021년 176kg에서 2030년 191kg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그림 4-2> 중국의 채소 소비량 전망(2021~2030년)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97. <그림 6-5>(2020년 수치는 국가통계국 발표 수치, 2021~2030년 수치는 중 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의 CAMES 전망치).

(36)

❍ 가공용과 사료용의 소비량은 증가하지만 그 비중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

- 채소 가공기술 발전과 가공 설비 개선으로 가공용 소비 수요가 증가하여 채소 가공 규 모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021년 채소의 가공용 소비량은 1.26억 톤에 달하 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1.27억 톤과 1.29억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 2021년도 채소의 사료용 등 기타 소비량은 6,065만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 에 각각 6,531만 톤과 6,805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채소 총소비량에서 손실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30년에 21.5%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4.1.3. 무역 전망

❍ 수입량은 증가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 채소 종자산업의 발전과 종자기업의 활력 제고, 종묘산업의 기술 혁신에 힘입어 일부 국내산 종자가 수입 종자를 대체해 수입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지만 각국의 특색 있 는 고품질 채소 품종에 대한 수입 수요가 커 수입량이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채소 수입량은 2020년에 비해 6.4% 증가한 약 50만 톤에 달하고, 2025년 과 2030년에 각각 57만 톤과 62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10년 동안 연평균 2.5% 증가).

❍ 수출량도 증가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 2021년도 채소 수출량은 2020년에 비해 6.8% 증가한 1,281만 톤에 달하고, 2025 년과 2030년에 각각 1,301만 톤과 1,392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WTO 가입 이후 중국의 채소 수출액에서 가공채소가 평균적으로 약 60% 이상을 차 지하고 있으며, 주요 수출 품목은 신선·냉장 채소와 단순 가공 채소임.

- 코로나19로 인해 신선 채소 수출 시 검사검역이 엄격해진 결과, 식품안전 관련 과학 기술과 관리 수준이 향상되어 심층 가공 채소의 수출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37)

<그림 4-3> 중국의 채소 무역량 전망(2021~2030년)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98. <그림 6-6>(2020년 수치는 국가통계국 발표 수치, 2021~2030년 수치는 중 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의 CAMES 전망치)

4.1.4. 가격 전망

❍ 채소 가격은 변동성이 큰 가운데 상승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 2020년도에 채소 가격이 전반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2021년에 채소 생산의 적극성 이 다소 제고된 상태임. 이로 인해 2021년도 채소 가격은 안정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 데 다소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 향후 10년 동안에는 가격의 계절적, 주기적 변동이 반 복적으로 나타나는 가운데 전반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 노동 및 토지 비용, 농자재 및 용역서비스 비용 등 채소 생산비 상승이 채소 가격의 상 승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됨.

(38)

4.2. 불확실성 요인

4.2.1. 자연 재해

❍ 자연재해는 채소산업의 발전을 제약하는 요인 중 하나임. 홍수, 가뭄, 우박, 한파, 태풍 등 자연재해는 채소의 생산량뿐만 아니라 품질에도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전체 채소 시장의 수급 상황에 영향을 미침.

❍ 또한 기후조건은 채소 병충해 발생 규모·정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채소 생산 량에 영향을 미침. 라니냐 현상으로 2021년도 상반기에 많은 지역에서 가뭄·홍수 등 자 연재해와 병충해가 예상됨. 기후변화가 심해짐에 따라 기상재해의 발생 확률·정도를 예 측하기가 어려운데 이는 채소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불확실성 요인임.

4.2.2. 국제적 요인

❍ 2020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세계 농산물 생산과 무역 규모가 대폭 축소 된 가운데 향후 10년 동안 무역 마찰이 격화될 가능성이 있어 중국의 대표적인 수출 농 산물인 채소의 수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됨. 각국의 위생 및 식물위생조치(SPS) 와 무역기술장벽(TBT)은 중국의 농산물 수출을 제약하는 주요한 조치로서 더욱 강화되 고 있는 이들 조치로 인해 중국산 채소 수출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음.

❍ 2021년 2월 21일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가 제창한 ‘아시아태 평양 크로스보더 무서류 무역 편리화 기본 협정(CPTA)’이 발효되고 한·중·일 FTA 협상 에서 진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채소 산업 발전에 유리한 무역 환경을 제공하였음.

4.2.3. 기타 요인

❍ 정보통신기술이 농업·농촌에 접목되어 농촌지역의 인터넷 보급률이 크게 증가했고, 홈 쇼핑, 산지 직거래, 모바일 마켓플랫폼, 공동구매 등 새로운 업태의 발전을 촉진하였으

(39)

나 지역 간 발전 격차가 큰 상황임. 이러한 신업태의 발전은 농산물 판매난 해결과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했으며 농촌진흥전략 추진에서 커다란 역할을 발휘함. 그러나 이러한 유통 방식은 도매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소비단계에 진입하게 되어 품질 관리·감독이 어려워 식품안전 측면에서 불확실성이 존재함.

(40)
(41)

5 과일

5.1. 향후 10년 시장 전망

5.1.1. 생산 전망

❍ 재배면적은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증가할 것으로 전망

- 경제사회 발전으로 과일(특히 고품질 과일) 수요가 증가했고, 과일의 재배 수익성이 채소 등 타 경제작물에 비해 높아 농민들과 농외자본의 생산 적극성이 비교적 높음.

- 2021년도 과일 재배면적은 2020년에 대비 1.1% 증가한 1,480만 ha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1,540만 ha와 1,606.7만 ha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10 년 동안 연평균 1.1% 증가).

❍ 단수는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신품종 개발, 재배기술 발전, 병충해 방제 및 기상재해 모니터링 기술 향상, 기계화·

정보화 진전 등으로 과일 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단수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19년 중국과 미국의 사과 ha당 단수는 각각 20.7톤과 41.8톤으로 차이가 큼.

2009~2019년 동안 중국의 과일 단수는 연평균 2% 증가함(사과 3%, 감귤 3.9%).

(42)

- 2021년도 ha당 과일 단수는 19.2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20.4톤과 21.5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10년 동안 연평균 1.4% 증가).

<그림 5-1> 중국의 과일 생산량 전망(2021~2030년)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117. <그림 7-2>(2020년 수치는 국가통계국 발표 수치, 2021~2030년 수치는 중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의 CAMES 전망치)

<표 5-1> 중국의 과일 수급 전망(2021~2030년)

단위: 만 톤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생산량 27,910 28,614 29,205 30,158 30,879 31,523 32,318 33,138 33,721 34,274 34,685 수입량 777 890 1,030 1,177 1,255 1,380 1,490 1,588 1,665 1,710 1,750 소비량 26,997 28,023 28,970 30,021 30,747 31,497 32,304 33,173 33,796 34,306 34,710 - 식용 12,560 13,101 13,525 14,077 14,329 14,642 15,057 15,500 15,748 15,984 16,224 - 가공용 3,589 3,662 3,791 3,940 4,066 4,194 4,320 4,488 4,625 4,698 4,792 - 손실 10,848 11,260 11,654 12,004 12,352 12,661 12,927 13,185 13,423 13,624 13,694 수출량 947 1,111 1,225 1,314 1,386 1,406 1,504 1,554 1,590 1,678 1,725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203. <표 10> 인용.

(43)

❍ 재배면적과 단수 증가로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향후 10년 동안 과일 재배면적은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증가하고, 단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증가 속도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과일 생산이 비교우위 생 산지역으로 집중되고 품종구조도 업그레이드되어 고품질 과일의 규모화·표준화·브 랜드화·특색화 생산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과일 생산량은 2020년 대비 2.6% 증가한 2.86억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3.15억 톤과 3.47억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향후 10년 동안 연평 균 2.5%로 과거 10년간 연평균 증가율 3.3%에는 미치지 못함.

❍ 과일 품종구조가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전망

- 향후 10년 동안 과일 공급과잉 문제가 나타나 한계 과수원이 정리되고 최적 품종 선 택, 정밀화 관리, 생산 표준화 등으로 과일 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됨. 또한 과일 생산이 비교우위 생산지역에 더욱 집중되고, 시설재배 확대 및 산지 냉장시설 등 저 장시설 규모 확대를 통해 계절 과일의 공급주기가 연장될 것으로 예상됨.

5.1.2. 소비 전망

❍ 소득 증가에 따른 식품소비 패턴 변화로 소비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 2021년도 과일 소비량은 2020년에 비해 3.8% 증가한 2.8억 톤에 달하고, 2025년 과 2030년에 각각 3.15억 톤과 3.47억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10년 동안 연 평균 3.0% 증가).

❍ 직접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소비자들의 구매력 향상, 주년 공급, 소비 다양화, 전자상거래 발전, 유통 효율 제고 등으로 과일 소비가 촉진될 것으로 전망됨. 수확 후 상품화 처리 기술 발전, 콜드체인 물류시스템 구축으로 과일 품질이 향상되면서 과일 소비구조도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예상됨.

(44)

- 2021년도 과일의 직접 소비량은 2020년에 비해 4.3% 증가한 1.31억 톤에 달하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1.46억 톤과 1.62억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10년 동안 연평균 2.8% 증가).

❍ 과일 소비량 중 가공용 소비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주민 생활 수준 향상과 건강·안전 의식 강화로 과일주스, 특히 신선 주스의 수요가 지

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가공용 과일 소비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전통적 과일주 스의 소비가 점차 감소하고 신선 착즙 방식의 각종 신형 과일주스가 더욱 선호될 것으 로 전망됨.

- 2021년도 과일의 가공용 소비량은 2020년에 비해 2.0% 증가한 3,662만 톤에 달하 고,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4,194만 톤과 4,792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10년 동안 연평균 3.3% 증가).

<그림 5-2> 중국의 과일 소비량 전망(2021~2030년)

자료: 󰡔中國農業展望報告(2021-2030)󰡕. p. 118. <그림 7-3>(2020년 수치는 국가통계국 발표 수치, 2021~2030년 수치는 중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의 CAMES 전망치)

(45)

❍ 과일 손실량은 증가하지만 증가 속도는 둔화할 것으로 전망

- 콜드체인 물류시스템 구축 및 수확 후 상품화 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과일 손실률이 점 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과일 손실량은 2020년에 비해 3.8% 증가한 1.13억 톤으로 예상되며,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1.27억 톤과 1.37억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10년 동 안 연평균 3.1% 증가).

5.1.3. 무역 전망

❍ 소득 수준 향상 및 식품 소비구조 업그레이드로 과일 수입량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 2021년도 과일 수입량은 2020년에 비해 14.6% 증가한 890만 톤으로 예상되며,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1,380만 톤과 1,750만 톤으로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10년 동안 연평균 8.6% 증가; 2010~2020년 동안에는 연평균 9.5% 증가).

- 주요 수입 과일은 두리안, 체리, 포도, 바나나, 망고스틴, 화룡과 등임.

❍ 과일 수출량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중국의 과일 생산 규모가 크고 과일 가공업 및 콜드체인 물류체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일대일로(一带一路) 연선 국가 및 지역의 소비 잠재력이 크고, 과일 품질 검사 표준이 과일 수입국의 표준에 점차 근접하고 있어 중국의 과일 수출이 촉진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과일 수출량은 2020년에 비해 17.3% 증가한 1,111만 톤으로 예상되며, 2025년과 2030년에 각각 1,406만 톤, 1,725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10년 동안 연평균 6.7% 증가).

(46)

5.1.4. 가격 전망

❍ 과일 가격은 변동이 심한 가운데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 2021년도에는 과일 공급량이 수요량을 다소 초과하여 연간 가격이 안정 추세를 나타 낼 것으로 전망됨. 6종 과일(부사사과, 거봉 포도, 수박, 압리(鸭梨) 배, 파인애플, 바 나나)의 평균 도매가격은 kg당 5~6위안 수준에서 변동할 것으로 전망됨.

- 향후 10년 동안에는 과일 생산비 상승과 품질 제고가 가격 상승을 초래할 것으로 보 이지만 전반적으로 초과 공급 상황이 이어지면서 일정 정도 가격 상승이 제약을 받을 것으로 전망됨.

5.2. 불확실성 요인

5.2.1. 기후 요인

❍ 저온, 한파, 우박 등 자연재해는 사과, 배, 감귤, 바나나 등 과일의 생산량과 품질, 더 나 아가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 향후 10년 동안 지구온난화, 기상재해 증가가 과일 생산량과 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지 불확실성이 존재함.

- 2021년에는 라니냐 현상의 영향으로 봄철에 사과와 배 주산지인 황회해(黄淮海)지 역에서 저온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 사과와 배의 작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5.2.2. 기술 요인

❍ 종자 개량, 재배 방법 혁신, 병충해 방제 등 기술진보는 과일의 단수와 품질 제고, 과수 농가의 수익 향상에 중요한 의미가 있음. 향후 10년 동안 과수 육종분야에서 과일 품질 을 제고하고 서로 다른 성숙기 품종을 육종하는 등의 성과를 얻는다면 과일 공급량과 품 종구조 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또한 기계화, 생력화 재배·수확 등 분야에서 기술발전이 있으면 과일 생산비 절감을 실현할 수 있을 것임.

(47)

5.2.3. 국제 무역 환경

❍ 최근 미국, 인도, 러시아 등의 국가에서 과일 및 과일 제품의 수입 허가 관련 정책이 불 안정해 중국산 과일 수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음.

- 중국의 주요 사과 수출대상국 가운데 하나였던 인도는 2017년 6월부터 중국산 사과 와 배 수입을 금지함.

- 중국의 주요 과일 무역파트너인 러시아는 2019년 8월부터 중국산 이과류(梨果类)와 핵과류(核果类)의 수입을 금지함.

- 카자흐스탄은 2020년 3월 중국산 감귤류 등의 수입을 금지한다고 발표했으나 4월에 는 다시 중국산 사과, 배, 감귤류 등 21개 과일 품목의 수입을 허용함.

- 미국은 2020년 4월부터 중국산 감귤류 5개 품목에 대해 수입을 허용함.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불확실성도 중국산 과일 수출입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음. 예를 들어, 2021년도 초에 코로나19 방역으로 인해 유럽과 미국의 많은 항구에서 운송이 지체되면서 해상운송비가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중국의 과일 수출입에 영향을 미침.

(48)
(49)

6 돼지고기

6.1. 향후 10년 시장 전망

6.1.1. 생산 전망

❍ 생돈 출하량과 돼지고기 생산량 모두 증가할 것으로 전망

- 2020년 9월 국무원은 축산업의 질적 발전을 촉진하고 가축·가금 제품의 안정적인 공 급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에서 ‘축산업 고품질 발전 촉진에 관한 의견(关于促进畜牧业 高质量发展的意见)’을 발표함. 이 문건은 현대적인 사육체계 및 동물방역·가공유통체 계 구축을 가속화하고, 고효율·안전·절약·친환경의 질적 발전 국면을 형성할 것을 촉 구함. 전망 기간 동안 연간 출하량 500마리 이상의 규모화 사육의 비중을 2025년에 65% 이상, 2030년에 80% 이상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함.

- 2021년 생돈 출하량은 2020년에 비해 19.2% 증가한 6.13억 마리, 돼지고기 생산량 은 2020년에 비해 19.8% 증가한 4,927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전망 초기 생돈 산업의 주요 임무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과 생돈 생산 능력 회복임.

- 향후 10년 동안 생돈 출하량과 돼지고기 생산량은 각각 연평균 3.3%와 3.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022년 돼지고기 생산량은 5,402만 톤으로 2017년 수준을 회복할

참조

관련 문서

● 국내외적으로 친환경농식품 시장규모는 소비자들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과 환경 질에 대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향후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또한

EU 의 생산량 증가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중국 옥수수 재배농가 의 대두 및 기타 곡물로의 작목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향후 기말재고량 수준에 따라

주별(State-by-State)모델에 의한 추정에 의하면 북평원(Northern Plains)지대에서는 콩과 밀을, 델타지역에서는 면 화를 대체하여 옥수수 재배면적이 70만

17/18년 세계 옥수수 수급과 관련해 전월 대비 미국의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러시 아와 동남아시아의 생산량 감소로 인해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약간 줄었다..

이에 따라 , 농산물 재고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정상적인 소비자 수요가 재개될 때까지 상품가격 은 더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 사우스스트림 가스파이프라인 사업의 활성화에 따라 EU가 주도하고 있는 유 사 프로젝트인 나부코 가스파이프라인 사업이 더욱 위축될 것으로

As a result, the number of vasopressin and oxytocin-containing neurons was decreased in the paraventricular and supraoptic nucleus in chronic alcohol group..

-국내외경제가회복되면서산업용전력과납사소비가증가할것으로전망 -에너지수요 감축을 위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