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비교문 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비교문 학"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Ⅱ. 전통과 영향 ,

그리고 변주

(3)

비교문 학

영향과 원천연구로서의 비교문학은 자국문학과 외국문학과의 교류관계를 주로 하되 , 그들 상호간의 영향관계를 밝혀 자국문학을 세계문학적 차원에서 동시적인 특성 을 발견하고 , 아울러 세계문학의 공통성이나 유사성을 찾아내려고 한 데서 출발한

비교문학자의 장비와 연구 분야

Ⅱ. 전통과 영향 , 그리고 변주

역시와 외래문학적 영향의 요소

1

비교문학의 연구에는 한층 전문적으로 적용되는 다른 원리가 있는데 이 학문을 전공 하고 , 진실로 비교문학자의 이름에 상부하려고 하는 연구자는 어떤 종류의 지식 , 어떤 종류의 정신적 습관을 획득하고 , 어떤 종류의 원리에 잘 통하고 , 또 그의 노 력을 더욱 유효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의 활동 범위를 확대함과 동시에 이를 제한하 여야 함

⇒ 그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완전한 장비가 부여되지 않으면 안 됨

(4)

비교문 학

Ⅱ. 전통과 영향 , 그리고 변주

키이츠와 < 杜鵑 > 의 시적 발상법

2

 < 杜鵑 > 은 총 4 연으로 된 작품으로 김영랑의 초기 시로서 그가 즐 겨 썼던 4 행이나 8 행의 서정 소곡과는 달리 상당히 길다는 것부터

특색이라 할 수 있는데 , 이것은 형태적인 변모를 보인 것이다 . 한밤 중에 피나게 우는 두견의 울음소리를 통해서 인간의 죽음을 연상하고 있다 . 이 시는 촉나라 망제의 넋이 두견새가 되었다는 古事를 바탕으 로 한 것이지만 , 시의 발상 단계에서 이 시는 키이츠의 < 杜鵑賦 >

에서 촉발되었을 가능성을 박용철도 이미 암시한 바 있다 .

 여기서는 김영랑의 < 杜鵑 > 과 키이츠의 < 杜鵑賦 > 와의 제목은 물 론 , 그 내용의 일부에서도 유사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 그리고 두견의 울음소리 를 통해서 죽음 을 발상한 것을 비롯하여 , < ‘ ’ ‘ ’ 杜鵑 > 의 2 연과 < 杜鵑賦 > 의 1 연에서와 같이 두견의 울음소리에 취하여 모든 감각이 마비된 상태로 유도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 그 두

‘ ’ ‘ ’ ‘ ’

견의 소리를 통해서 죽음 곧 저승 과 黃泉 을 의식하는 데서 서로의

유사성을 찾아 볼 수 있다 .

 이와 같이 김영랑의 < 杜鵑 > 은 그 뉘앙스나 분위기 , 또는 그 내용 의 일부에서 키이츠의 < 杜鵑賦 > 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 標本室의 靑개구리 > 의 원천연구

(5)

비교문 학

Ⅱ. 전통과 영향 , 그리고 변주

키이츠와 < 杜鵑 > 의 시적 발상법

2

 그러나 이 두작품은 유사한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차이점 도 지니고 있다 . < 杜鵑 > 의 서두에서 울어 피를 뱉은 피는 도루 삼 “ 켜 / 평생을 원한과 슬픔에 지친 적은 새 라고 한 두견의 울음소리는 ”

‘피울음 으로 표상 되어 있다 . ’ 이에 반해 키이츠의 < 杜鵑賦 > 는 6 연과 7 연을 통해서 볼 때 두견의 소리는 울음소리 가 아닌 노래 소리 ‘ ’ ‘ ’ 이다 .

 영랑의 시는 전형적으로 < 나 > 의 서술 주체에 속하는데 , 이 시에서

‘ ’ ‘ ’ ‘ ’

두견의 울음은 피울음 과 죽음 이 서로 함치된 自我와 世界의 未分化 상태에 속하며 그것의 가장 철저한 양상이 바로 두견인 것이다 .

 그러나 키이츠의 시에서는 두견의 노래 소리와 죽음 이 서로 거리를 ‘ ’ 두고 있다 .

 다시 말해서 키이츠의 < 杜鵑賦 > 에서 두견의 노래 소리는 목청껏 ‘

’ ‘ ’

부르는 여름의 노래 소리로 밝고 아름다운 諧調 속에서 자신의 죽음 을 의식하고 있는 것이다 .

< 標本室의 靑개구리 > 의 원천연구

(6)

비교문 학

Ⅱ. 전통과 영향 , 그리고 변주

키이츠와 < 杜鵑 > 의 시적 발상법

2

 이 두시의 차이 , 이것은 김영랑이나 키이츠가 갖고 있는 서로 다른 대 자연 , 인생 태도에서 기인한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

 김영랑의 < 杜鵑 > 이 키이츠의 < 杜鵑賦 > 와 같은 외래적인 것에서 촉발되어 두견의 피울음 , 즉 망제혼의 울음소리로 표상 되고 , 그 울

‘ ’

음소리를 통해서 느끼는 자신의 죽음 조차도 슬프지 않을 수 없는 것 이다 .

 한마디로 김영랑의 < 杜鵑 > 은 외래적인 요소를 전통적인 요소에다 융화하여 그 나름으로서 변주시킨 것으로 보아야 한다 .

< 標本室의 靑개구리 > 의 원천연구

(7)

비교문 학

Ⅱ. 전통과 영향 , 그리고 변주

<

春香 > 의 서구의 고전적 결미법

3

 김영랑의 < 春香 > 은 1940 년 9 월호 《문장》지에 발표된 작품으 로 고대소설 『춘향전』의 내용을 소재로 하고 있다 .

 총 7 연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춘향전』의 내용을 담고 있으면서 도 서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 < 춘향 > 의 1~5 연에 이르는 내용은

『춘향전』과 거의 일치하지만 이몽룡이 암행어사가 되어 나타나는 결 미 6~7 연 , 특히 7 연에 이르러서는『춘향전』의 구성법과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다 .

 춘향과 이몽룡 , 춘향과 변학도의 삼각관계에서 죽음을 무릅쓰고 정절 ‘ ’

을 지켜야만 했던 일편단심 이 『춘향전』의 기본구조이다 .

 이와 같이『춘향전』의 기본구조인 고진감래 의 결미법은 우리 고대 ‘ ’ 소설에 일관하는 원리임에도 불구하고 김영랑의 시 < 춘향 > 은『춘 향전』의 내용을 소재로 하고 있으면서도 그 결미법은 전혀 이와 대립 되는 서구 고전비극의 구성법을 취하고 있다 .

(8)

비교문 학

Ⅱ. 전통과 영향 , 그리고 변주

<

春香 > 의 서구의 고전적 결미법

3

 우리는 여기서 한국 근대시의 형성기에 외래적 영향요소가 전통과 어 떻게 융화되어 새로운 전통을 창조할 수 있었는가에 대해 김영랑의 시 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 비록 외래적 영향요소를 바탕으로 발생한 것이라 해도 그것이 한 시인 의 형성과정에 역동적으로 작용하여 , 더 새로운 전통을 창조하고 새 로운 질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라면 , 또한 전통의 소재를 취했으면 서도 서구의 결미법을 융화한 것이라면 이것으로 보아 전통과 영향 변 주라는 범주에 포괄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

(9)

비교문 학

우리는 < 남으로 창을 내겠소 > 의 시인인 월파 김상용을 잘 알고 있다 . 그의 초기시에서 후기시로 갈수록 그의 시세계가 어떠한 변화를 겪고 어 떤 양상을 보였는가에 대한 비교문학적 고찰은 우리에게 중요한 문제를 던져준다 . 그것은 바로 전통과 외래와의 만남이다 . 월파의 시에서 그 형 식과 내용에 대한 양면성의 문제는 주요한 특색이 되고 있다 . 즉 그 초기 시의 정형적 율조에서 후기시의 주지적 경향에 이르기까지 정형률의 형 성요인과 시집 『망향』에서 비롯되는 전원으로 향한 목가적 정서와 시 적 고뇌가 바로 그것이다 . 이러한 양면성 , 다시 말해서 월파 시의 중요 한 특질을 이루고 있는 전통과 외래의 두 요소의 조화와 갈등적 구조를 비 교문학적 관점에서 검토하면 월파 시의 보다 새로운 국면이 찾아질 수도 dLT 을 것이다 .

전통과 외래의 갈등과 조화

머리에

1

(10)

비교문 학

 월파의 그 초기의 습작과정에서 시조와 민요의 정형률을 실험하고 있 다 . 그러나 이것은 영문학자로서 월파의 지식체계와는 상충되는 현상 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

 민요의 정형률 문제는 전래의 고유한 민요율의 의식과도 연관된다 하 겠으나 , 한편으로는 그의 해외역시의 율조와도 깊이 연관되어 있는 점도 부인될 수 없는 사실이다 .

 월파의 초기시에 나타난 각운법은 그 형성요인을 다음의 두 가지 측면

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

사랑아 그대는 어데 잇는다 -< 찾는 맘 > 에서 때되면 반드시 덧는단 말이 -< 無常 > 에서 가면 그만일다 -< 斷想 > 에서

꿈에 본 꼿닢일다 -< 孤寂 > 에서

전통과 외래의 갈등과 조화

초기시와 정형률의 형성요인

2

(11)

비교문 학

 ‘ 잇는단 · ‘’ 덧는단 · ‘’ 일다 와 같은 어휘의 구사를 위시한 고시가의’ 운율법이 산견되는데 , 이것은 월파의 우리 고시가에 대한 지식이 그 배경이 된 것이 아닐까 하는 점이고 ,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번역시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 월파는 이들의 번역과정에서 원시의 운율법 을 의식하면서 각연 말행의 각운을 맞춘 것으로도 파악할 수가 있다 .

 한마디로 < 찾는 맘 > · < 모를 일 > · < 무지개도 귀하것만은 > · <

그대가 누구를 사랑한다 할 때 > 등 일련의 초기시에 나타난 운율법은 우리 고시가의 정형률과 서구시의 각운법에서 영향받은 의식적 배경에 서 형성된 것이 아닐까 한다 .

전통과 외래의 갈등과 조화

초기시와 정형률의 형성요인

2

(12)

비교문 학

 월파 시조와 민요조의 시가 < 그러나 거문고 줄은 없고나 > 에서 <

無題 >( 《동방평론》 3 호 ) 까지 이르는 죽음 과 무덤 의 이미지 , 그 ‘ ’ ‘ ’ 리고 『망향』의 일부 시편들에 나타난 관조적 태도와 < 태풍 > 및

< 굴둑 노래 > 에서 비롯되는 후기시작들이 갖는 주제 의식은 전통적

인 것과 외래적인 것과의 두 가지 요소가 교체되는 시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 .

전통과 외래의 갈등과 조화

주제의식의 두 가지 유형

3

(13)

비교문 학

 민요조의 < 先題 > 나 < 찻는 맘 > · < 모를 일 > · < 無常 > 등에 나타난 생에 대한 허무의식은 우리 고유의 민요 등에 나타난 낭만과 감 상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 이에 반하여 < 젖은 그 자락 더 적시우네 > · < 無題 > ( 《동방평 론》 1 호 ) 등 그 초기시에 나타난 죽음 과 무덤 의 이미지를 바탕으 ‘ ’ ‘ ’ 로 한 허무의식은 월파의 내적 자아의 성찰과정에서 발견된 것이나 ,

‘ ’ ‘ ’

한편으로는 그의 역시의 일부에 나타난 죽음 과 무덤 의 이미지에서 발상시킨 사실도 전혀 부정할 수 없다고 본다 .

 < 無題 > 와 < 杜鵑賦 > ‘는 죽음 을 보는 관점에서 다소의 차이점을’ 보이고 있지만 , 육제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미 와 새노래 가 소재로 되 ‘ ’ ‘ ’ 어 있는 점에서는 서로가 공통되고 있다 .

 이들 작품의 주제의식은 직접 비교의 대상으로 되지 않는다손 치더라 도 이 소재의 처리법이나 , 또는 죽음 과 무덤 의 이미지로 보아 , < 無 ‘ ’ ‘ ’ 題 > 가 < 杜鵑賦 > 에서 암시 받았을 가능성 , 곧 그 발상법의 세부 적인 유사성이 주어지고 있다 .

전통과 외래의 갈등과 조화

주제의식의 두 가지 유형

3

죽음 및 무덤 과 허무의식’ ‘

(14)

비교문 학

 < 반딋불 > · < 어미소 > ( 미완고 ) · < 물고기 하나 > 등에서 자연사 물의 하나하나를 관념적 존재로서 파악하고 있는 관조적 태도는 오히 려 동양적 자연관에서 온 것이다 . 시류와 세태에 휩쓸리지 않고 , 다 만 주어진 환경에 안분할 줄 아는 월파의 대인간 · 대자연태도는 다분 히 관조적으로 될 수밖에 없다 . 자연 사물을 인격화하여 그 하나하나 의 내면을 깊이 관조하고 관념적 존재로서 파악하고 있음은 동양적 자 연관에서 왔을 공산이 크다고 본다 .

 월파의 『망향』 중 < 태풍 ( 颱風 )> 과 < 굴둑 노래 > 등 몇몇 작품

‘ ’

의 시적 경향은 지적 고뇌와 주지적 경향 을 나타낸 것이다 .

 월파의 세태에 대한 혐오와 그 승리감에서 빚어지는 신구사상의 갈등 은 그 초기시의 낭만과 『망향』의 시편들이 갖는 관조적 태도에서 전 환한 후반기 시작의 주지적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

전통과 외래의 갈등과 조화

주제의식의 두 가지 유형

3

관조적 태도와 지적 고뇌

(15)

비교문 학

 이상 월파 시의 양면성을 그 형식과 내용의 면에서 구분하여 전자를

‘초기시와 정형률의 형성요인 으로 , ’ 후자를 주제의식의 두 가지 유형 ‘ ’ 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

 월파는 그의 시력으로 보아 , 형식과 내용의 면에서 전통적인 것과 서 구적인 것과의 교체로 이어지고 때로는 이들이 서로 융화되어 나타나 기도 한다 .

 이것은 물론 그 자신이 갖고 있는 두 가지 요소에 대한 지식체계를 배 경으로 한 양면성임은 말할 것도 없다 .

전통과 외래의 갈등과 조화

주제의식의 두 가지 유형

3

관조적 태도와 지적 고뇌

참조

관련 문서

때문에 소설일반에 대한 이론이 미흡함으로써 문학 이론 혹은 비평 이론으로서 한계를 지닌다... 후기로 올수록 신비평가들은 지나친 사실성, 작품의 객관성만을 탐구함으로

- 동시적인 세계사의 파악을 유도하여 세계사

장애를 가진 사람이 고용되지 않는 것은 그들 의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적절한 훈련방법 을 개발하지 못하여 그들의 욕구를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1) It was published in.. 5) 우리나라 음계의

체험집단은 학기 초 특활부서 [사회복지 봉사반]을 편성하여 8회에 걸쳐 특수학교를 방문하여 다양한 봉사활동을 통해 장애아동을 직접 만나고 그들 에 도움을

[r]

헤르더에 의한 계획의 예시적 암시를 발전시킨 문학사가인 실레겔 형제는 문학의 문 맥 속에 보편적이고 , 서술적인 문학사에 대한

- 기본권 상호간의 마찰모순으로 생기는 제반문제를 기본권의 갈등이라함.. 기본권의 해석, 기본권의 효력, 기본권의 제한과